KR102486579B1 - 클릿 페달 - Google Patents

클릿 페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579B1
KR102486579B1 KR1020220138009A KR20220138009A KR102486579B1 KR 102486579 B1 KR102486579 B1 KR 102486579B1 KR 1020220138009 A KR1020220138009 A KR 1020220138009A KR 20220138009 A KR20220138009 A KR 20220138009A KR 102486579 B1 KR102486579 B1 KR 102486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t
pedal
binding member
bracket
compress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8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6579B9 (ko
Inventor
고태호
Original Assignee
(주) 한영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영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 한영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220138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5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579B1/ko
Publication of KR102486579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579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3/00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 B62M3/08Pedals
    • B62M3/086Attachments between shoe and pedal other than toe clips, e.g. cl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인접되어 직교되는 위치에 2개의 고정편(전방측, 외측)과 회동편(내측, 후방측)이 각각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사용시 클릿과의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면서도 클릿의 결합상태에서 보다 쉽게 결합해제시켜 줄 수 있는 클릿 페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페달의 고정을 위한 고정축(15)이 끼움 결합되는 축결합부(11)가 일정 길이로 형성되고, 페달의 전방과 후방을 향하는 상기 축결합부(11)의 양측에는 각각 제1브라켓(12)이 돌출되며, 페달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1브라켓(12)의 측벽에는 제2브라켓(13)이 돌출되게 형성된 페달 몸체(10); 상기 페달 몸체(10)의 상부 앞쪽에 위치되게 결합되고, 내측 테두리부분에는 클릿이 결합될 경우 클릿의 전방측과 외측을 감싸 결합되도록 각각 상방으로 돌출되게 제1고정편(21)이 형성된 제1고정부(20); 상기 제1브라켓(12) 중 후방에 위치한 제1브라켓에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힌지회동되게 설치되고, 내측 테두리부분에는 클릿이 결합될 경우 클릿의 후방측을 감싸 결합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게 제1후방결속편(31)이 형성된 제1후방결속구(30); 상기 제2브라켓(13)에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힌지회동되게 설치되고, 내측 테두리부분에는 클릿이 결합될 경우 클릿의 내측을 감싸 결합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게 제1내측결속편(41)이 형성된 제1내측결속구(40); 상기 제1브라켓(12)과 제2브라켓(13)의 내측에 힌지축의 위치보다 바깥쪽에 위치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후방결속구(30)와 제1내측결속구(40)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상방으로 회동되게 안내하는 제1압축스프링(50) 및 제2압축스프링(55);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클릿 페달{Cleat pedal}
본 발명은 클릿슈즈에 설치된 클릿의 안정적인 결합은 물론 용이하게 결합해제시킬 수 있도록 된 클릿 페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전거 레저를 즐기는 마니아층 사이에서는 신발의 밑창에 고정된 클릿을 페달에 끼워 자전거를 주행하는 방식이 성행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제품들도 다수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은 클릿 결합용 페달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신발과 페달을 안전하게 결합시켜 전진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자전거 주행시 자전거와 자신이 한 몸으로 움직인다는 일체감에 대한 만족감과, 발과 페달이 안정적으로 접촉되어 있을 때의 편안함으로 인해 주행 스피드와 운동의 효과를 배가시켜 준다.
상기한 자전거 페달은, 클릿과 페달이 결합되는 경사각이나 두께 등에 의해 결합강도가 달라지므로, 결합강도에 따라 클릿과 페달이 결합/결합해제되는 강도를 강하게 하거나 약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해당 기술분야에서는 클릿과 페달의 안정적인 결합과 돌발상황시 신속한 결합해제를 위한 다양한 구조의 클릿 페달이 제안되어 제품화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클릿 페달의 클릿 결합구조는 숙련을 요함에 따라 숙련자가 아닌 초보자가 사용하기에는 불편함과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종래 클릿 페달은 클릿을 페달에서 분리시키기 위해서 발목을 특정방향(대략 외측방향)으로 힘있게 회동시켜야만 함에 따라 분리작업이 쉽지 않고, 특히 급작스런 돌발상황 발생시에는 발목을 외측방향으로 회동시키기가 더욱 어려워 클릿을 결합해제하지 못하여 자전거와 함께 전복되는 등 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이 있으며, 주변에 차량 또는 보행자가 있을 경우에는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종래 클릿 페달은 단순히 클릿이 페달에 결합되어 일체가 되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는 것이 대부분임에 따라, 사용자의 양발이 서로 나란하지 않고 특정방향(통상 외측방향)을 향하면서 사용자의 다리가 벌려지게 되는 등 바르지 않은 자세로 주행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그에 따라 기대할만한 주행성은 물론 운동효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공보 제10-2367313호(자전거 클릿 페달)에서와 같이,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2개의 고정결속부와, 스프링에 의해 탄성이동되는 2개의 클릿결속부(내측 클릿결속부, 후방 클릿결속부)를 구비하여 클릿의 안정적인 결합과 편리하고 용이하게 분리시켜 줄 수 있는 클릿 페달을 등록받은 바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367313호(2022.02.21. 자전거 클릿 페달)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03979호(20200113 안전한 자전거 클릿 페달)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9619호(20120327 자전거 페달 및 그에 결합 가능한 신발)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41278호(20131226 자전거용 페달 조립체)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2개의 제1고정편(전방측, 외측)과 제1후방결속편 및 제1내측결속편이 구비되어 있어 사용시 클릿과의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면서도 결합상태에서 용이하게 결합해제시켜 줄 수 있는 클릿 페달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후방결속편 및 제1내측결속편이 힌지회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면서도 압축스프링(제1압축스프링, 제2압축스프링)에 의해 탄성회동되게 구비됨으로써 종래 수평이동되면서 클릿을 결합하는 구조보다 더 용이하게 클릿을 결합해제시켜 줄 수 있고, 종래 비틀림스프링에 의해 회동되는 구조보다 더 부드러우면서 적은 힘으로도 제1후방결속편 및 제1내측결속편을 쉽게 회동시켜 줄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우수하며 클릿 해제가 용이하여 미해제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클릿 페달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페달의 고정을 위한 고정축(15)이 끼움 결합되는 축결합부(11)가 일정 길이로 형성되고, 페달의 전방과 후방을 향하는 상기 축결합부(11)의 양측에는 각각 제1브라켓(12)이 돌출되며, 페달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1브라켓(12)의 측벽에는 제2브라켓(13)이 돌출되게 형성된 페달 몸체(10); 상기 페달 몸체(10)의 상부 앞쪽에 위치되게 결합되고, 내측 테두리부분에는 클릿이 결합될 경우 클릿의 전방측과 외측을 감싸 결합되도록 각각 상방으로 돌출되게 제1고정편(21)이 형성된 제1고정부(20); 상기 제1브라켓(12) 중 후방에 위치한 제1브라켓에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힌지회동되게 설치되고, 내측 테두리부분에는 클릿이 결합될 경우 클릿의 후방측을 감싸 결합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게 제1후방결속편(31)이 형성된 제1후방결속구(30); 상기 제2브라켓(13)에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힌지회동되게 설치되고, 내측 테두리부분에는 클릿이 결합될 경우 클릿의 내측을 감싸 결합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게 제1내측결속편(41)이 형성된 제1내측결속구(40); 상기 제1브라켓(12)과 제2브라켓(13)의 내측에 힌지축의 위치보다 바깥쪽에 위치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후방결속구(30)와 제1내측결속구(40)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상방으로 회동되게 안내하는 제1압축스프링(50) 및 제2압축스프링(5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페달 몸체(10)의 하부 뒤쪽에는 페달 몸체를 180° 회전시킬 경우에 페달의 전방측에 위치되도록 결합되고 내측 테두리부분에는 각각 하방으로 돌출되게 제2고정편(61)이 형성된 제2고정부(60)가 설치되고, 상기 페달 몸체(10)의 하부 앞쪽에는 페달 몸체를 180° 회전시킬 경우에 페달의 후방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브라켓(12) 중 전방에 위치한 제1브라켓에 힌지축으로 힌지결합된 상태로 제3압축스프링(75)의 탄성력을 부여받도록 구비되고 내측 테두리부분에는 하방으로 돌출되게 제2후방결속편(71)이 형성된 제2후방결속구(70)가 설치되며, 상기 제2브라켓(13)에는 힌지축으로 힌지결합되고 제2압축스프링(55)의 탄성력을 부여받아 하방으로 회동되도록 제2내측결속구(80)가 설치된다.
상기 제1내측결속구(40)와 제2내측결속구(80)는 상기 제2브라켓(13)에 하나의 힌지축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압축스프링(55)은 상기 제1내측결속구(40)와 제2내측결속구(80)의 사이에 구비된 채로 양단부가 상기 제1내측결속구(40)와 제2내측결속구(80)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제1내측결속구(40)와 제2내측결속구(80)에 탄성력을 동시에 부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압축스프링(50)과 제2압축스프링(55) 및 제3압축스프링(75)은 각각의 제1후방결속구(30)와 제1내측결속구(40) 및 제2후방결속구(70)를 힌지결합시키는 힌지축의 위치보다 바깥쪽에 위치되어 지되, 수직되게 설치되어져 수직상방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2압축스프링(55)은 상기 제1압축스프링(50)의 탄성강도보다 더 큰 탄성강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클릿 페달에 따르면, 클릿의 사방측을 2개의 고정편과 제1후방결속편 및 제1내측결속편이 각각 결속함은 물론 제1후방결속편 및 제1내측결속편이 회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클릿과의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면서도 클릿이 결합상태에서도 용이하게 결합해제시켜 줄 수 있음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매우 우수하다.
특히, 페달 몸체에 힌지결합되는 제1후방결속편 및 제1내측결속편이 압축스프링(제1압축스프링, 제2압축스프링)에 의해 탄성회동되게 구비됨에 따라 클릿의 지지력은 유지하면서도 종래 비틀림스프링이나 토션스프링에 비해 부드러우면서 적은 힘으로 쉽게 분리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클릿이 분리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전복 사고 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릿 페달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후방결속편 및 제1내측결속편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페달 몸체를 보인 발췌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축과 압축스프링의 위치를 보인 클릿 페달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릿 페달의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릿이 결합된 상태의 클릿 페달을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릿 페달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릿 페달은 자전거의 전진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페달로서, 클릿슈즈에 장착된 클릿의 결합 또는 결합해제(분리)를 위해 클릿결합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페달이다.
클릿(1)은 클릿슈즈의 바닥면에 피스 등의 고정수단(3)으로 고정되는 것이고, 좌우측변이 전후변의 길이에 비해 더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로 성형된다.
클릿 페달은 크게 페달 몸체(10), 제1고정부(20), 제1후방결속구(30), 제1내측결속구(40), 제1압축스프링(50) 및 제2압축스프링(55)으로 이루어진다.
페달 몸체(10)는 페달의 고정을 위한 고정축(15)이 끼움 결합되는 축결합부(11)가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페달의 전방과 후방을 향하는 상기 축결합부(11)의 양측에는 각각 제1브라켓(12)이 돌출되며, 페달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1브라켓(12)의 측벽에는 제2브라켓(13)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1브라켓(12)과 제2브라켓(13)는 상기 제1후방결속구(30)와 제1내측결속구(40)가 힌지결합될 수 있는 부분이 구비되어 있으면 충분하므로, 그 형상은 제한이 없다.
다만, 제1브라켓(12)의 경우에는 상하 단부가 일정 면적을 가지면서 평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부(20)와 하기 제2고정부(60)가 지지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1고정부(20)와 제2고정부(60)는 페달의 상부는 물론 페달의 하부에 클릿을 결합하기 위한 클릿결합수단이 구비될 경우에 제1압축스프링(50)과 제3압축스프링(75)이 각각 제2고정부(60)와 제1고정부(20)에 지지된 상태로 구비되도록 이루어짐으로서 더욱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1고정부(20)는 상기 페달 몸체(10)의 상부 앞쪽에 위치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축결합부(11)와 상기 제1브라켓(12)의 상단부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고정부(20)는 페달의 전방측과 외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이고, 내측 테두리부분에는 클릿(1)이 결합될 경우 클릿의 전방측과 외측을 감싸 결합되도록 각각 상방으로 돌출되게 제1고정편(21)이 형성되어 있다.
제1고정편(21)의 단부 또는 단부 근방에는 수평으로 걸림돌기(22)가 형성되어 있으며, 걸림돌기(22)는 상기 클릿(1)의 전방측과 외측에 형성된 걸림홈(2)에 끼워져 걸리게 되면서 클릿과의 걸림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1후방결속구(30)는 상기 제1브라켓(12) 중 후방에 위치한 제1브라켓에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힌지회동되게 설치되는 것이고, 내측 테두리부분에는 클릿이 결합될 경우 클릿의 후방측을 감싸 결합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게 제1후방결속편(31)이 형성된다.
상기 제1후방결속편(31)의 단부 또는 단부 근방에는 상기 클릿(1)의 후방측에 형성된 걸림홈(2)에 걸림결합되도록 상기 제1고정편(21)에 형성된 걸림돌기(22)와 같이 수평으로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브라켓(12)의 내측에는 상기 제1후방결속구(30)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제1후방결속구(30)가 상방으로 회동되면서 제1후방결속편(31)이 클릿(1)에 걸림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제1압축스프링(50)이 구비된다.
제1압축스프링(50)은 제1브라켓(12)의 사이에 별도로 스프링지지편(미도시)을 구비하여 스프링지지편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1후방결속구(30)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하기의 제2고정부(60)가 구비된 경우에는 스프링지지편(미도시)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제2고정부(60)의 배면에 지지되도록 구비한 상태로 상기 제1후방결속구(30)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제1내측결속구(40)는 상기 제2브라켓(13)에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힌지회동되게 설치되는 것이고, 내측 테두리부분에는 클릿이 결합될 경우 클릿의 내측을 감싸 결합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게 제1내측결속편(41)이 형성된다.
상기 제1내측결속편(41)도 마찬가지로 단부 또는 단부 근방에는 상기 클릿(1)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홈(2)에 걸림결합되도록 상기 제1고정편(21)에 형성된 걸림돌기(22)와 같이 수평으로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브라켓(13)의 내측에는 상기 제1내측결속구(40)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상방으로 회동되도록 안내하기 위해 제2압축스프링(55)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압축스프링(50)과 제2압축스프링(55)은 각각 힌지축의 위치보다 바깥쪽에 위치되게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이 제1후방결속구(30)와 제1내측결속구(40)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압축스프링(50)과 제2압축스프링(55)은 수직이 되게 수직상방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제1후방결속구(30)와 제1내측결구(40)가 상방으로 회동되면서 클릿에 결속결합될 경우에 클릿을 너무 강하게 가압하지 않은 채 결합될 수 있는 것이고, 이에 따라 결합해제시 종래에 비해 수월하게 클릿을 분리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미분리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클릿을 결속하는 수단이 종래 서로 마주보는 방향(내측, 외측)이 아니라 서로 인접된 2방향(내측, 후방측)에서 클릿을 결속하게 됨으로써 발목을 외측방향으로 꺾지 않더라도 전방향부터 외측방향 사이 즉, 12시방향부터 3시 방향까지 어느 방향으로 발목을 꺾으면서 내딛는 경우라도 쉽게 클릿결합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초보자라 하더라도 종래의 클릿결합구조에 비해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돌발상황이 발생된 경우라도 자연스럽게 클릿을 분리시켜 줄 수 있게 됨으로써 클릿 미분리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자전거 페달은 회동되게 구비되어 있고, 사용자가 상부와 하부 모두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임에 따라 페달 몸체(10)의 상부는 물론 하부에도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클릿결속수단(제2고정부, 제2후방결속구, 제2내측결속구)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2고정부(60)는 상기 페달 몸체(10)의 하부 뒤쪽에 결합되는 것이며, 페달 몸체를 180° 회전시킬 경우에 페달의 전방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제2고정부(60)의 내측 테두리부분에는 클릿의 걸림홈에 걸림결합되도록 전방측과 외측에 각각 하방으로 돌출되게 제2고정편(61)이 형성된다.
상기 제2후방결속구(70)는 상기 페달 몸체(10)의 하부 앞쪽에 상기 제1브라켓(12) 중 전방에 위치한 제1브라켓에 힌지축으로 힌지결합되게 구비되는 것이며, 페달 몸체를 180° 회전시킬 경우에 페달의 후방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제2후방결속구(70)는 제3압축스프링(75)의 탄성력을 부여받도록 구비되어 있고, 내측 테두리부분에는 클릿의 걸림홈에 걸림결합되게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제2후방결속편(71)이 형성된다.
제2내측결속구(80)는 상기 제2브라켓(13)에 힌지축으로 힌지결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고, 제2압축스프링(55)의 탄성력을 부여받아 하방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된다.
제2내측결속구(80)의 내측 테두리부분에는 제1내측결속구(40)에 형성된 제1내측결속편(41)과 같이 제2내측결속편(8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내측결속구(40)와 제2내측결속구(80)는 상기 제2브라켓(13)에 하나의 힌지축을 이용하여 힌지결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압축스프링(55)은 상기 제1내측결속구(40)와 제2내측결속구(80)의 사이에 구비된 채로 양단부가 상기 제1내측결속구(40)와 제2내측결속구(80)에 지지되게 설치되어져 제1내측결속구(40)와 제2내측결속구(80)에 탄성력을 동시에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힌지축과 제2압축스프링(55)만으로 제1내측결속구(40)와 제2내측결속구(80) 모두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음에 따라 부품 감소는 물론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고, 나아가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2압축스프링(55)은 상기 제1압축스프링(50)의 탄성강도보다 더 큰 탄성강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페달에서 발을 떼어낼 경우에 발목을 꺾으면서 전방 외측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일반적임에 따라 후방측에 위치한 제1후방결속구(30)나 제2후방결속구(70)에 비해 제1내측결속구(40)나 제2내측결속구(80)에 먼저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제2압축스프링(55)의 탄성강도를 더 크게 한 것이다.
1: 클릿 2: 걸림홈
3: 고정수단
10: 페달 몸체 11: 축결합부
12: 제1브라켓 13: 제2브라켓
15: 고정축 20: 제1고정부
21: 제1고정편 22: 걸림돌기
30: 제1후방결속구 31: 제1후방결속편
40: 제1내측결속구 41: 제1내측결속편
50: 제1압축스프링 55: 제2압축스프링
60: 제2고정부 61: 제2고정편
70: 제2후방결속구 71: 제2후방결속편
75: 제3압축스프링 80: 제2내측결속구
81: 제2내측결속편

Claims (5)

  1. 페달의 고정을 위한 고정축(15)이 끼움 결합되는 축결합부(11)가 일정 길이로 형성되고, 페달의 전방과 후방을 향하는 상기 축결합부(11)의 양측에는 각각 제1브라켓(12)이 돌출되며, 페달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1브라켓(12)의 측벽에는 제2브라켓(13)이 돌출되게 형성된 페달 몸체(10);
    상기 페달 몸체(10)의 상부 앞쪽에 위치되게 결합되고, 내측 테두리부분에는 클릿이 결합될 경우 클릿의 전방측과 외측을 감싸 결합되도록 각각 상방으로 돌출되게 제1고정편(21)이 형성된 제1고정부(20);
    상기 제1브라켓(12) 중 후방에 위치한 제1브라켓에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힌지회동되게 설치되고, 내측 테두리부분에는 클릿이 결합될 경우 클릿의 후방측을 감싸 결합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게 제1후방결속편(31)이 형성된 제1후방결속구(30);
    상기 제2브라켓(13)에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힌지회동되게 설치되고, 내측 테두리부분에는 클릿이 결합될 경우 클릿의 내측을 감싸 결합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게 제1내측결속편(41)이 형성된 제1내측결속구(40);
    상기 제1브라켓(12)과 제2브라켓(13)의 내측에 힌지축의 위치보다 바깥쪽에 위치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후방결속구(30)와 제1내측결속구(40)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상방으로 회동되게 안내하는 제1압축스프링(50) 및 제2압축스프링(55);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릿 페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몸체(10)의 하부 뒤쪽에는 페달 몸체를 180° 회전시킬 경우에 페달의 전방측에 위치되도록 결합되고 내측 테두리부분에는 각각 하방으로 돌출되게 제2고정편(61)이 형성된 제2고정부(60)가 설치되고,
    상기 페달 몸체(10)의 하부 앞쪽에는 페달 몸체를 180° 회전시킬 경우에 페달의 후방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브라켓(12) 중 전방에 위치한 제1브라켓에 힌지축으로 힌지결합된 상태로 제3압축스프링(75)의 탄성력을 부여받도록 구비되고 내측 테두리부분에는 하방으로 돌출되게 제2후방결속편(71)이 형성된 제2후방결속구(70)가 설치되며,
    상기 제2브라켓(13)에는 힌지축으로 힌지결합되고 제2압축스프링(55)의 탄성력을 부여받아 하방으로 회동되도록 제2내측결속구(8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릿 페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측결속구(40)와 제2내측결속구(80)는 상기 제2브라켓(13)에 하나의 힌지축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압축스프링(55)은 상기 제1내측결속구(40)와 제2내측결속구(80)의 사이에 구비된 채로 양단부가 상기 제1내측결속구(40)와 제2내측결속구(80)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제1내측결속구(40)와 제2내측결속구(80)에 탄성력을 동시에 부여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릿 페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축스프링(50)과 제2압축스프링(55) 및 제3압축스프링(75)은 각각의 제1후방결속구(30)와 제1내측결속구(40) 및 제2후방결속구(70)를 힌지결합시키는 힌지축의 위치보다 바깥쪽에 위치되어 지되, 수직되게 설치되어져 수직상방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릿 페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압축스프링(55)은 상기 제1압축스프링(50)의 탄성강도보다 더 큰 탄성강도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릿 페달.
KR1020220138009A 2022-10-25 2022-10-25 클릿 페달 KR102486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009A KR102486579B1 (ko) 2022-10-25 2022-10-25 클릿 페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009A KR102486579B1 (ko) 2022-10-25 2022-10-25 클릿 페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579B1 true KR102486579B1 (ko) 2023-01-09
KR102486579B9 KR102486579B9 (ko) 2023-09-19

Family

ID=84892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8009A KR102486579B1 (ko) 2022-10-25 2022-10-25 클릿 페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579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2538A (ja) * 1998-11-05 2000-05-23 Shimano Inc 自転車用ペダル及び自転車靴クリ―ト
US6216558B1 (en) * 1993-04-08 2001-04-17 Shinji Marui Clipless bicycle pedal
EP0735965B1 (en) * 1994-01-21 2001-09-26 Speedplay, Inc. Improved clipless bicycle pedal system
JP2005145080A (ja) * 2003-11-11 2005-06-09 Aidesu Kk 自転車ペダル着脱装置
US7104158B2 (en) * 1998-09-03 2006-09-12 Harrington Jeffrey M Bicycle pedal and sho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KR20120029619A (ko) 2010-09-17 2012-03-27 (주)나눅스 자전거 페달 및 그에 결합 가능한 신발
KR20130141278A (ko) 2012-06-15 2013-12-26 (주)나눅스 자전거용 페달 조립체
WO2017106336A1 (en) * 2015-12-15 2017-06-22 Rousseva Nevena Bicycle pedal configured for shoes of various height and shape
EP2635485B1 (en) * 2010-11-01 2019-05-22 Speedplay, Inc. Pedal-cleat assembly
KR20200003979A (ko) 2018-07-03 2020-01-13 이종훈 안전한 자전거 클릿 페달
KR102367313B1 (ko) 2021-12-16 2022-02-24 (주) 한영하이테크 자전거 클릿 페달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6558B1 (en) * 1993-04-08 2001-04-17 Shinji Marui Clipless bicycle pedal
EP0735965B1 (en) * 1994-01-21 2001-09-26 Speedplay, Inc. Improved clipless bicycle pedal system
US7104158B2 (en) * 1998-09-03 2006-09-12 Harrington Jeffrey M Bicycle pedal and sho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JP2000142538A (ja) * 1998-11-05 2000-05-23 Shimano Inc 自転車用ペダル及び自転車靴クリ―ト
JP2005145080A (ja) * 2003-11-11 2005-06-09 Aidesu Kk 自転車ペダル着脱装置
KR20120029619A (ko) 2010-09-17 2012-03-27 (주)나눅스 자전거 페달 및 그에 결합 가능한 신발
EP2635485B1 (en) * 2010-11-01 2019-05-22 Speedplay, Inc. Pedal-cleat assembly
KR20130141278A (ko) 2012-06-15 2013-12-26 (주)나눅스 자전거용 페달 조립체
WO2017106336A1 (en) * 2015-12-15 2017-06-22 Rousseva Nevena Bicycle pedal configured for shoes of various height and shape
KR20200003979A (ko) 2018-07-03 2020-01-13 이종훈 안전한 자전거 클릿 페달
KR102367313B1 (ko) 2021-12-16 2022-02-24 (주) 한영하이테크 자전거 클릿 페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579B9 (ko) 202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9681B2 (ja) 折り畳み式キックボード
KR102367313B1 (ko) 자전거 클릿 페달
KR101748958B1 (ko) 다기능 운동기구
JP3342743B2 (ja) 自転車用安全ペダルとサイクリングシューズとのアセンブリ、自転車用安全ペダル、およびサイクリングシューズ
EP1907271B1 (en) Ergonomic bicycle pedal with removable platform
JP2764805B2 (ja) スノーボードブーツのバックサポート
US20110031708A1 (en) Stroller
WO2003099396A1 (en) Interface system for retaining a foot or a boot on a sports article
CA2565799A1 (en) Multi-functional board
US20110115262A1 (en) Gaming chairs
KR20110119504A (ko) 슬라이딩 보드
KR101758902B1 (ko) 미끄럼방지와 선택적으로 무게조절이 가능하며 안전성을 향상시킨 밸런스보드
US20120157894A1 (en) Walking assistance device
KR102486579B1 (ko) 클릿 페달
JPH11505150A (ja) 滑走ボードに靴を保持する装置
JP4781155B2 (ja) 自転車用のスタンド
WO2008140140A1 (en) An inline-board-type roller-ski
KR101535793B1 (ko) 다기능 블록 및 이를 구비한 스노우 슬라이딩 장치
KR200381741Y1 (ko) 유희용 스프링 신발
KR200477183Y1 (ko) 자전거용 페달 및 신발측 부재
KR200457284Y1 (ko) 신발용 뒤축 보조구
KR101320349B1 (ko)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TWI766508B (zh) 腳踏車踏板的彈性組合結構
JP4073694B2 (ja) 折り畳みテーブル
CN210645070U (zh) 一种脚踩式滑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