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7313B1 - 자전거 클릿 페달 - Google Patents

자전거 클릿 페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7313B1
KR102367313B1 KR1020210180459A KR20210180459A KR102367313B1 KR 102367313 B1 KR102367313 B1 KR 102367313B1 KR 1020210180459 A KR1020210180459 A KR 1020210180459A KR 20210180459 A KR20210180459 A KR 20210180459A KR 102367313 B1 KR102367313 B1 KR 102367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t
binding
pedal
inclined surfac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기성
Original Assignee
(주) 한영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영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 한영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210180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3/00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 B62M3/08Pedals
    • B62M3/086Attachments between shoe and pedal other than toe clips, e.g. cl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릿슈즈에 결합된 클릿이 결속결합될 수 있도록 서로 직교되는 방향에 각각 클릿결속부가 형성되어 안정적인 결속과 편리한 분리동작이 가능한 자전거 클릿 페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클릿슈즈에 장착된 클릿(10)과 결합 및 분리가능하도록 자전거의 페달(1)에 클릿결속수단이 마련된 자전거 클릿페달에 있어서, 상기 클릿(10)은 좌우측변이 전후변의 길이에 비해 긴 직육면체로 성형되어 상기 클릿슈즈에 고정수단(10a)으로 고정되고, 상기 페달(1)의 중앙에는 클릿(10)이 삽입되게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클릿결속홀(20)이 형성되며, 상기 페달(10)의 전방측과 외측부에 서로 직교되게 일체로 형성 또는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클릿결속홀(20)로 인입되는 상기 클릿(10)의 사방 측면 중 전방 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결속결합되는 고정결속부(25); 상기 페달(1)의 후방측에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비되고, 노출된 일측면이 상기 클릿결속홀(20)로 인입되는 상기 클릿(10)의 후방 측면에 결속결합되는 후방 클릿결속부(30); 상기 후방 클릿결속부(30)와 직교되는 상기 페달(1)의 내측부에 좌우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비되고, 노출된 일측면이 상기 클릿결속홀(20)로 인입되는 상기 클릿(10)의 내측면에 결속결합되는 내측 클릿결속부(40); 상기 페달(1)의 후방측 내부에 상기 후방 클릿결속부(30)와의 사이에 구비되어 후방 클릿결속부(3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50); 상기 페달(1)의 내측부 내부에 상기 내측 클릿결속부(40)와의 사이에 구비되어 내측 클릿결속부(4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60);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전거 클릿 페달{Cleat pedal for bicycle}
본 발명은 슈즈에 설치된 클릿이 결속결합될 수 있도록 서로 직교되는 방향에 각각 클릿결속부가 형성된 자전거 클릿 페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전거 레저를 즐기는 마니아층 사이에서는 신발의 밑창에 고정된 클릿을 페달에 끼워 자전거를 주행하는 방식이 성행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제품들도 다수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은 클릿 결합용 페달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신발과 페달을 안전하게 결합시켜 전진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자전거 주행시 자전거와 자신이 한 몸으로 움직인다는 일체감에 대한 만족감과, 가장 많은 움직임이 연속되는 발과 페달이 안정적으로 접촉되어 있을 때의 편안함으로 인해 주행 스피드와 운동의 효과를 배가시켜 줄 수 있다.
상기한 자전거 페달은, 클릿과 페달이 결합되는 경사각이나 두께 등에 의해 결합강도가 달라지므로, 결합강도에 따라 클릿과 페달이 결합/결합해제되는 강도를 강하거나 약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해당 기술분야에서는 클릿과 페달의 안정적인 결합과 돌발상황시 신속한 결합해제를 위한 다양한 구조의 클릿 페달이 제안되어 제품화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클릿 페달의 클릿 결합구조는 숙련을 요함에 따라 숙련자가 아닌 초보자가 사용하기에는 불편함과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종래 클릿 페달은 클릿을 페달에서 분리시키기 위해서 발목을 특정방향(대략 외측방향)으로 힘있게 회동시켜야만 함에 따라 분리작업이 쉽지 않고, 특히 급작스런 돌발상황 발생시에는 발목을 외측방향으로 회전시키기가 더욱 어려워 클릿을 결합해제시키지 못함에 따라 사용자가 자전거와 함께 전복되는 등 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이 있으며, 주변에 차량 또는 보행자가 있을 경우에는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종래 클릿 페달은 단순히 클릿이 페달에 결속되어 일체가 되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는 것이 대부분임에 따라, 사용자의 양발이 서로 나란하지 않고 특정방향(통상 외측방향)을 향하면서 사용자의 다리가 벌려지게 되는 등 바르지 않은 자세로 주행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그에 따라 기대할만한 주행성은 물론 운동효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03979호(2020.01.13. 안전한 자전거 클릿 페달)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9619호(2012.03.27. 자전거 페달 및 그에 결합 가능한 신발)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41278호(2013.12.26. 자전거용 페달 조립체)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클릿슈즈에 장착된 클릿과의 결속결합을 위해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2개의 고정결속부와 스프링에 의해 탄성이동되는 2개의 클릿결속부(내측 클릿결속부, 후방 클릿결합부)가 구비되어 클릿을 안정적으로 결속시켜 줄 수 있음은 물론, 클릿의 분리동작시에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분리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자전거 클릿 페달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릿이 전후변에 비해 좌우측변의 길이가 긴 직육면체로 형성됨으로써 클릿 결속시 사용자의 좌우측 양발이 서로 나란한 상태로 페달을 밟게 됨에 따라 바른자세로 페달링을 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 클릿 페달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클릿슈즈에 장착된 클릿(10)과 결합 및 분리가능하도록 자전거의 페달(1)에 클릿결속수단이 마련된 자전거 클릿페달에 있어서, 상기 클릿(10)은 좌우측변이 전후변의 길이에 비해 긴 직육면체로 성형되어 상기 클릿슈즈에 고정수단(10a)으로 고정되고, 상기 페달(1)의 중앙에는 클릿(10)이 삽입되게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클릿결속홀(20)이 형성되며, 상기 페달(10)의 전방측과 외측부에 서로 직교되게 일체로 형성 또는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클릿결속홀(20)로 인입되는 상기 클릿(10)의 사방 측면 중 전방 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결속결합되는 고정결속부(25); 상기 페달(1)의 후방측에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비되고, 노출된 일측면이 상기 클릿결속홀(20)로 인입되는 상기 클릿(10)의 후방 측면에 결속결합되는 후방 클릿결속부(30); 상기 후방 클릿결속부(30)와 직교되는 상기 페달(1)의 내측부에 좌우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비되고, 노출된 일측면이 상기 클릿결속홀(20)로 인입되는 상기 클릿(10)의 내측면에 결속결합되는 내측 클릿결속부(40); 상기 페달(1)의 후방측 내부에 상기 후방 클릿결속부(30)와의 사이에 구비되어 후방 클릿결속부(3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50); 상기 페달(1)의 내측부 내부에 상기 내측 클릿결속부(40)와의 사이에 구비되어 내측 클릿결속부(4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클릿(10)의 사방 측면에는 최하단에서부터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제1경사면(11)이 형성되고, 제1경사면(11)의 상측에는 제1경사면(11)의 최상단에서부터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제2경사면(12)이 형성되며, 상기 제2경사면(12)의 최상단에서부터 외측방향으로 제1경사면(11)과 동일 경사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2경사면(12)과의 사이에 결속홈(13)을 형성하는 제3경사면(14)이 구비되고, 상기 클릿결속홀(20)과 마주하는 상기 고정결속부(25)와 후방 클릿결속부(30) 및 내측 클릿결속부(40)의 일측면에는 중간을 기준으로 상하부에 각각 동일구조로 결속안내면(70) 형성되며, 상기 결속안내면(70)은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상기 제1경사면(11)과 동일 경사각도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결속안내면(71)과, 상기 제1결속안내면(71)의 하측에 내측방향으로 제2경사면(12)과 동일 경사각도로 형성되는 제2결속안내면(7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결속안내면(71)과 제2결속안내면(72)에 의해 돌출된 돌출부(73)가 상기 결속홈(13)에 결속되면서 상기 클릿(10)이 페달(1)에 결속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경사면(12) 또는 제1경사면(11)과 제2경사면(12)이 만나는 모서리부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돌출부(73)의 돌출길이보다 더 깊은 길이로 걸림홈(15)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속안내면(72)에는 상기 걸림홈(15)에 삽입되어 걸림결합되도록 걸림돌기(75)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스프링(50)의 탄성강도는 제2스프링(60)의 탄성강도보다 더 큰 강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스프링(50)과 제2스프링(60)은, 상기 후방 클릿결속부(30)와 내측 클릿결속부(40)의 타측면에 각각 단부가 접촉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내측스프링(51,61)과, 상기 내측스프링(51,61)의 외측에 내측스프링(51,61)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구비되어 내측스프링이 설정된 길이만큼 수축된 경우에 상기 후방 클릿결속부(30)과 내측 클릿결속부(40)의 타측면에 각각 접촉되면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외측스프링(52,62)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페달(1)에는 상기 후방 클릿결속부(30)와 내측 클릿결속부(40)의 타측이 일부 삽입됨은 물론 상기 제1스프링(50)과 제2스프링(60)의 수용을 위해 스프링수용홈(21)이 형성되고, 상기 페달(1)의 측면에는 상기 스프링수용홈(21)으로 돌출되게 나선결합되고 돌출길이의 조절을 통해 상기 제1스프링(50)과 제2스프링(60)의 장력을 조절해주는 장력조절볼트(55)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릿(10)의 하면 중앙에는 상기 페달(1)의 좌우측방향으로 구비되는 고정축결합부(3)가 끼워져 수용되도록 축끼움홈(16)이 형성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자전거 클릿 페달에 따르면, 페달에 스프링에 의해 탄성이동되는 2개의 클릿결속부를 내측부와 후방측에 각각 구비하여 서로 직교되게 설치함으로써 클릿결속시 안정적인 결속은 물론, 클릿의 분리시에는 페달에서 전방 대각선방향(외측부와 전방측 사이의 대각선 방향)으로 사용자가 발을 내딛는 행위에 의해 자연스럽고 적은 힘으로도 쉽게 분리됨에 따라 초보자도 사용할 수 있으며, 급작스런 돌발상황 발생시에도 클릿을 쉽게 분리할 수 있어 클릿 미분리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클릿결속부(후방 클릿결속부, 내측 클릿결속부)와 클릿의 접촉면이 복수번의 경사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종래에 비해 클릿의 결속결합이 용이함은 물론 적은 힘으로도 쉽게 결속결합 및 결속해제시켜 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스프링의 탄성강도를 제2스프링보다 크게 함으로써 주행을 위해 페달링을 하는 과정에서 클릿이 후방 클릿결속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안정적인 페달링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클릿 페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 클릿결속부와 내측 클릿결속부의 분리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측 클릿결속부와 후방 클릿결속부에 결속되는 클릿을 보인 발췌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에 의해 탄성이동되게 구비된 후방 클릿결속부와 내측 클릿결속부를 보인 클릿 페달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이 내측스프링과 외측스프링으로 구성된 경우의 후방 클릿결속부와 내측 클릿결속부를 보인 클릿 페달의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후방 클릿결속부와 클릿의 결속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후방 클릿결속부와 클릿의 서로 접촉되는 경사면에 걸림돌기와 걸림홈이 형성된 단면상태도.
도 8은 도 7에서 내측 클릿결속부와 후방 클릿결속부에 결속되는 클릿을 보인 발췌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클릿 페달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클릿 페달은 클릿슈즈에 장착된 클릿(10)의 결합 및 결합해제(분리)가 가능하도록 자전거의 페달(1)에 클릿결속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클릿(10)은 클릿슈즈의 바닥면에 고정수단(10a)으로 고정되는 것이고, 좌우측변이 전후변의 길이에 비해 긴 직육면체로 성형되어 진다.
페달(1)은 자전거의 전진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부분으로, 중앙부에는 고정축(2)이 끼움결합되도록 페달(1)의 좌우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고정축결합부(3)가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다. 페달(1)의 중앙에는 클릿슈즈에 장착된 클릿(10)이 삽입되게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클릿결속홀(2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축결합부(3)는 클릿결속홀(20)의 중간부분에 노출된 상태로 좌우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구비되어 상기 클릿결속홀을 구획하게 된다.
페달(1)의 표면에는 미끌림방지를 위해 복수개의 돌기나 턱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축결합부(3)는 클릿결속홀(20)의 중간부분을 구획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상기 클릿(10)의 하면 중앙에는 상기 클릿결속홀(20)에 끼워질 경우에 상기 고정축결합부(3)가 끼워져 수용되도록 축끼움홈(16)이 형성된다.
상기 축끼움홈(16)이 형성됨으로써 고정축결합부(3)가 클릿의 중간부분에 위치되게 할 경우 자연스럽게 클릿을 결속시켜 줄 수 있음으로써 초보자라 하더라도 클릿(10)의 결속위치를 더욱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클릿이 결속된 상태에서는 축끼움홈(16)에 고정축결합부(3)가 끼워져 있는 상태이므로 클릿의 유동이나 흔들림 또는 뒤틀림 발생을 방지하거나 최소화시켜 줄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클릿결속홀(20)에 삽입되는 클릿(10)의 결속결합을 위해 페달(1)에는 클릿결속수단이 구비된다.
클릿결속수단은 고정결속부(25), 후방 클릿결속부(30), 내측 클릿결속부(40), 후방 클릿결속부(30)를 탄성 이동시키기 위한 제1스프링(50), 내측 클릿결속부(40)를 탄성 이동시키기 위한 제2스프링(60)으로 이루어진다.
고정결속부(25)는 상기 페달(1)의 전방측과 외측부에 서로 직교되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클릿결속홀(20)로 인입되는 클릿(10)의 사방 측면 중 전방 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결속결합되어 진다.
고정결속부(25)는 페달(1)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구비되어 페달에 고정되게 구비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페달(1)에 일체로 형성되게 도시되어 있다.
페달(1)의 후방측에는 상기 후방 클릿결속부(30)가 구비되고, 페달(1)의 내측부에는 후방 클릿결속부(30)와 직교되게 내측 클릿결속부(40)가 구비되어 있다.
후방 클릿결속부(30)는 상기 페달(1)의 후방측에 구비된 상태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노출된 일측면이 상기 클릿결속홀(20)로 인입되는 상기 클릿(10)의 후방 측면에 결속결합되어 진다.
내측 클릿결속부(40)는 상기 페달(1)의 내측부에 구비된 상태로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노출된 일측면이 상기 클릿결속홀(20)로 인입되는 상기 클릿(10)의 내측면에 결속결합되어 진다.
이때, 상기 내측 클릿결속부(40)는 페달(1)의 내측부에 구비됨에 따라 페달(1)의 중앙부를 가로지르도록 구비되는 상기 고정축결합부(3)에 관통된 상태로 탄성이동되게 구비된다.
제1스프링(50)은 상기 페달(1)의 후방측 내부에 상기 후방 클릿결속부(30)와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으며, 후방 클릿결속부(3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수축팽창동작에 의해 후방 클릿결속부(3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게 안내하게 된다.
제2스프링(60)은 상기 페달(1)의 내측부 내부에 상기 내측 클릿결속부(40)와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으며, 내측 클릿결속부(4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수축팽창동작에 의해 내측 클릿결속부(40)를 좌우측방향으로 이동되게 안내하게 된다.
상기 제1스프링(50)과 제2스프링(60)의 수용을 위해서, 페달(1)의 후방측과 내측부에는 스프링수용홈(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링수용홈(21)에는 상기 후방 클릿결속부(30)와 내측 클릿결속부(40)의 타측이 일부 삽입되게 구비되며, 그 상태로 각각 제1스프링과 제2스프링에 의해 탄성이동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페달의 전방측과 외측부에 고정결속부(25)가 형성되어 있고, 페달의 후방측과 내측부에는 각각 스프링(제1스프링, 제2스프링)에 탄성이동되는 클릿결속부(후방 클릿결속부, 내측 클릿결속부)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이며, 클릿(10)이 결속된 상태에서 결속해제(분리)될 경우 서로 직교되게 구비된 후방 클릿결속부와 내측 클릿결속부를 밀어내면서 결속해제된다.
본 발명에서 패달(1)의 후방측과 내측부에 각각 후방 클릿결속부와 내측 클릿결속부를 구비한 이유는, 사용자가 자전거의 페달에서 발을 뗄 경우에는 페달에서 전방 대각선방향으로 발을 이동시키는 것이 일반적이고 가장 편한 자세이기 때문에 별도로 발목을 특정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발을 내딛는 행위에 의해 자연스럽고 적은 힘으로도 클릿이 결속해제되면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한방향이 아닌 서로 인접된 2방향에서 결속결합된 상태임에 따라 대략 90도의 각도(외측방향에서 부터 전방측 방향)내에서 어느 방향으로 발목을 회전시키더라도 후방 클릿결속부와 내측 클릿결속부 중 어느 하나가 먼저 이동되면서 클릿의 결속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초보자라 하더라도 종래의 클릿결합구조에 비해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돌발상황이 발생된 경우라도 자연스럽게 클릿을 분리시켜 줄 수 있게 됨으로써 클릿 미분리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클릿페달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습관상 외측방향으로 발목을 회전시키는 경우라도 내측 클릿결속부(40)를 먼저 밀어낸 후 순차적으로 후방 클릿결속부(30)를 밀어내면서 결속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릿이 전후변에 비해 좌우측변의 길이가 긴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있고, 클릿의 사방 측면을 클릿결속부(고정결속부, 후방 클릿결속부, 내측 클릿결속부)가 면접촉된 상태로 결속시켜 주게 됨으로써 클릿 결속시 수평방향으로 뒤틀리거나 유동되지 않은 채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그로 인해 사용자의 좌우측 양발이 서로 나란한 상태로 페달을 밟게 됨에 따라 바른자세로 페달링을 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더욱 효과적으로 전진구동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클릿(10)과 클릿결속부(고정결속부, 후방 클릿결속부, 내측 클릿결속부)의 접촉면은 클릿이 원활하게 결속동작됨은 물론 결속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결속해제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릿(10)의 사방 측면에는 최하단에서부터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제1경사면(11)이 형성되고, 제1경사면(11)의 상측에는 제1경사면(11)의 최상단에서부터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제2경사면(12)이 형성되며, 상기 제2경사면(12)의 최상단에서부터 외측방향으로 제1경사면(11)과 동일 경사각도로 경사지게 제3경사면(14)이 형성된다.
상기 제3경사면(14)이 점차적으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경사면(12)과 제3경사면(14)의 사이에는 결속홈(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클릿(10)의 측면과 접촉되어 결속되도록 클릿결속홀(20)과 마주하는 상기 고정결속부(25)와 후방 클릿결속부(30) 및 내측 클릿결속부(40)의 일측면에는 결속안내면(70)이 형성된다.
결속안내면(70)은 중간을 기준으로 상하부에 각각 동일구조로 형성된다.
이는 페달이 회전되는 구조임에 따라 페달의 일면이나 타면에 모두 클릿을 결속시켜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결속안내면(70)은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일정 거리만큼 제1결속안내면(71)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속안내면(71)의 하측에는 제1결속안내면(71)의 최하단에서부터 내측방향으로 제2결속안내면(72)이 형성된다.
상기 제1결속안내면(71)의 경사각도는 상기 제1경사면(11)의 경사각도와 동일한 경사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속안내면(72)의 경사각도는 제2경사면(12)과 동일 경사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클릿(10)을 클릿결속부(고정결속부, 후방 클릿결속부, 내측 클릿결속부)에 결속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제1경사면(11)이 결속안내면(70)의 제1결속안내면(71)과 접촉되면서 후방 클릿결속부(30)와 내측 클릿결속부(40)를 밀어내게 되고, 이후 제1경사면(11)이 제1결속안내면(71)을 지나쳐 넘어가게 되면 스프링(제1스프링, 제2스프링)에 의해 후방 클릿결속부와 내측 클릿결속부가 복원되면서 클릿(10)의 제2경사면(12)에 제2결속안내면(72)이 접촉되면서 클릿이 클릿결속홀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1결속안내면(71)과 제2결속안내면(72)에 의해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73)가 클릿(10)에 형성된 결속홈(13)에 결속되면서 상기 클릿(10)을 결속결합시켜 주게 되는 것이며, 클릿(10)은 페달(1)에 결속된 상태로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클릿(10)의 결속해제시에는 제2결속안내면에 면접촉되어 있는 제2경사면이 클릿(10)의 인출되는 동작에 따라 제2결속안내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후방 클릿결속부(30)와 내측 클릿결속부(40)를 외측으로 밀어 이동시켜 주게 되고, 제1경사면이 제2결속안내면을 지나치게 되면서 클릿(10)의 결속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클릿과 클릿결속부(고정결속부, 후방 클릿결속부, 내측 클릿결속부)는 서로 접촉되는 면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어 결속결합작업과 결속해제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클릿과 클릿결속부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경사면으로 서로 접촉되어 결속결합되어 있는 구조임에 따라 페달링을 할 경우에 클릿이 결속해제될 가능성이 있다.
클릿의 결속결합력을 높여주기 위해, 상기 제2경사면(12) 또는 제1경사면(11)과 제2경사면(12)이 만나는 모서리부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돌출부(73)의 돌출길이보다 더 깊은 길이로 걸림홈(15)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속안내면(72)에는 상기 걸림홈(15)에 삽입되어 걸림결합되도록 걸림돌기(75)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돌기(75)가 걸림홈(15)에 삽입되어 걸림결합됨으로써 클릿의 결속력을 높여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와 걸림홈은 수평하게 형성되거나 약간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고, 또한, 걸림돌기의 돌출길이나 걸림홈의 깊이는 일측과 타측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클릿(10)의 후방측에 결속되는 후방 클릿결속부(30)와 클릿(10)의 내측부에 결속되는 내측 클릿결속부(40)는 서로 다른 탄성력을 제공받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후방 클릿결속부(30)가 내측 클릿결속부(40)에 비해 더 강한 탄성력을 제공받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스프링(50)의 탄성강도가 제2스프링(60)의 탄성강도보다 더 큰 강도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후방 클릿결속부(30)를 더 강한 탄성력으로 탄성이동시켜 주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는 자전거의 주행을 위해 페달링을 할 경우, 페달링과정에서 후방 클릿결속부(30)가 결속해제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제1스프링의 탄성강도 즉 탄성계수를 더 크게 한 것이다.
따라서, 강하게 페달링을 하더라도 후방 클릿결속부(30)가 쉽게 결속해제되지 않음으로써 안정적으로 페달링을 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주행 스피드를 더 배가시켜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스프링(50)과 제2스프링(60)은 클릿이 후방 클릿결속부(30)와 내측 클릿결속부(40)에 접촉되는 시작지점부터 설정된 지점에 도달하기(대략 30%지점) 까지는 상대적으로 약한 탄성력으로 상기 후방 클릿결속부(30)와 내측 클릿결속부(40)를 탄성이동시켜 주도록 하고, 설정된 지점에 도달한 후에는 강한 탄성력으로 상기 후방 클릿결속부(30)와 내측 클릿결속부(40)를 탄성이동시켜 주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스프링(50)과 제2스프링(60)은 상기 후방 클릿결속부(30)와 내측 클릿결속부(40)의 타측면에 각각 단부가 접촉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내측스프링(51,61)과, 상기 내측스프링(51,61)의 외측에 내측스프링(51,61)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구비되는 외측스프링(52,62)로 구성된다.
상기 외측스프링은 클릿이 후방 클릿결속부와 내측 클릿결속부를 밀어냄에 따라 내측스프링이 설정된 길이만큼 수축된 경우에 단부가 상기 후방 클릿결속부과 내측 클릿결속부의 타측면에 각각 접촉되면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즉, 후방 클릿결속부와 내측 클릿결속부는 내측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만 탄성이동되게 구비된 상태이고, 클릿의 결속결합과 결속해제 과정중에 외측스프링의 탄성력이 더 추가되는 것이다.
따라서, 클릿의 결속결합 상태에서는 내측스프링의 탄성력만으로 클릿을 결속하고 있음에 따라 처음 클릿을 결합해제시키고자 할 경우에 보다 적은 힘으로도 발목을 회전시켜 주어 클릿의 결합해제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보다 쉽게 결속해제할 수 있음은 물론 결속해제를 위한 발목의 회전시 발목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여주어 부담을 주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페달(1)의 측면에는 상기 스프링수용홈(21)으로 돌출되게 나선결합되는 장력조절볼트(미도시)가 구비되어 스프링수용홈(21)으로 돌출되는 길이의 조절을 통해 상기 제1스프링(50)과 제2스프링(60)의 장력을 조절해주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스프링의 장력조절은 클릿사용시 사용자마다 자신의 조건(체형이나 근력 등)에 맞게 클릿의 결속결합강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필요한 경우 클릿의 결속결합강도를 조절해주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페달 2: 고정축
3: 고정축결합부
10: 클릿 10a: 고정수단
11: 제1경사면 12: 제2경사면
13: 결속홈 14: 제3경사면
15: 걸림홈 16: 축끼움홈
20: 클릿결속홀 21: 스프링수용홈
25: 고정결속부 30: 후방 클릿결속부
40: 내측 클릿결속부 50: 제1스프링
51: 내측스프링 52: 외측스프링
55: 장력조절볼트 60: 제2스프링
61: 내측스프링 62: 외측스프링
70: 결속안내면 71: 제1결속안내면
72: 제2결속안내면 73: 돌출부
75: 걸림돌기

Claims (6)

  1. 클릿슈즈에 장착된 클릿(10)과 결합 및 분리가능하도록 자전거의 페달(1)에 클릿결속수단이 마련된 자전거 클릿페달에 있어서,
    상기 클릿(10)은 좌우측변이 전후변의 길이에 비해 긴 직육면체로 성형되어 상기 클릿슈즈에 고정수단(10a)으로 고정되고,
    상기 페달(1)의 중앙에는 클릿(10)이 삽입되게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클릿결속홀(20)이 형성되며,
    상기 페달(1)의 전방측과 외측부에 서로 직교되게 일체로 형성 또는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클릿결속홀(20)로 인입되는 상기 클릿(10)의 사방 측면 중 전방 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결속결합되는 고정결속부(25);
    상기 페달(1)의 후방측에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비되고, 노출된 일측면이 상기 클릿결속홀(20)로 인입되는 상기 클릿(10)의 후방 측면에 결속결합되는 후방 클릿결속부(30);
    상기 후방 클릿결속부(30)와 직교되는 상기 페달(1)의 내측부에 좌우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비되고, 노출된 일측면이 상기 클릿결속홀(20)로 인입되는 상기 클릿(10)의 내측면에 결속결합되는 내측 클릿결속부(40);
    상기 페달(1)의 후방측 내부에 상기 후방 클릿결속부(30)와의 사이에 구비되어 후방 클릿결속부(3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50);
    상기 페달(1)의 내측부 내부에 상기 내측 클릿결속부(40)와의 사이에 구비되어 내측 클릿결속부(4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60);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클릿페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릿(10)의 사방 측면에는 최하단에서부터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제1경사면(11)이 형성되고, 제1경사면(11)의 상측에는 제1경사면(11)의 최상단에서부터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제2경사면(12)이 형성되며, 상기 제2경사면(12)의 최상단에서부터 외측방향으로 제1경사면(11)과 동일 경사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2경사면(12)과의 사이에 결속홈(13)을 형성하는 제3경사면(14)이 구비되고,
    상기 클릿결속홀(20)과 마주하는 상기 고정결속부(25)와 후방 클릿결속부(30) 및 내측 클릿결속부(40)의 일측면에는 중간을 기준으로 상하부에 각각 동일구조로 결속안내면(70) 형성되며,
    상기 결속안내면(70)은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상기 제1경사면(11)과 동일 경사각도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결속안내면(71)과, 상기 제1결속안내면(71)의 하측에 내측방향으로 제2경사면(12)과 동일 경사각도로 형성되는 제2결속안내면(7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결속안내면(71)과 제2결속안내면(72)에 의해 돌출된 돌출부(73)가 상기 결속홈(13)에 결속되면서 상기 클릿(10)이 페달(1)에 결속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클릿 페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경사면(12) 또는 제1경사면(11)과 제2경사면(12)이 만나는 모서리부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돌출부(73)의 돌출길이보다 더 깊은 길이로 걸림홈(15)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속안내면(72)에는 상기 걸림홈(15)에 삽입되어 걸림결합되도록 걸림돌기(7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클릿 페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50)의 탄성강도는 제2스프링(60)의 탄성강도보다 더 큰 강도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클릿 페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50)과 제2스프링(60)은, 상기 후방 클릿결속부(30)와 내측 클릿결속부(40)의 타측면에 각각 단부가 접촉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내측스프링(51,61)과, 상기 내측스프링(51,61)의 외측에 내측스프링(51,61)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구비되어 내측스프링이 설정된 길이만큼 수축된 경우에 상기 후방 클릿결속부(30)과 내측 클릿결속부(40)의 타측면에 각각 접촉되면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외측스프링(52,6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클릿 페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릿(10)의 하면 중앙에는 상기 페달(1)의 좌우측방향으로 구비되는 고정축결합부(3)가 끼워져 수용되도록 축끼움홈(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클릿 페달.
KR1020210180459A 2021-12-16 2021-12-16 자전거 클릿 페달 KR102367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459A KR102367313B1 (ko) 2021-12-16 2021-12-16 자전거 클릿 페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459A KR102367313B1 (ko) 2021-12-16 2021-12-16 자전거 클릿 페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7313B1 true KR102367313B1 (ko) 2022-02-24

Family

ID=80474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459A KR102367313B1 (ko) 2021-12-16 2021-12-16 자전거 클릿 페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3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346B1 (ko) 2022-06-10 2022-12-23 김대현 페달 및 슈즈 연결 구조체
KR102480344B1 (ko) 2022-07-04 2022-12-23 김대현 페달 및 슈즈 연결 구조체
KR102486579B1 (ko) 2022-10-25 2023-01-09 (주) 한영하이테크 클릿 페달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2538A (ja) * 1998-11-05 2000-05-23 Shimano Inc 自転車用ペダル及び自転車靴クリ―ト
US6216558B1 (en) * 1993-04-08 2001-04-17 Shinji Marui Clipless bicycle pedal
EP0735965B1 (en) * 1994-01-21 2001-09-26 Speedplay, Inc. Improved clipless bicycle pedal system
JP2005145080A (ja) * 2003-11-11 2005-06-09 Aidesu Kk 自転車ペダル着脱装置
US7104158B2 (en) * 1998-09-03 2006-09-12 Harrington Jeffrey M Bicycle pedal and sho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KR20120029619A (ko) 2010-09-17 2012-03-27 (주)나눅스 자전거 페달 및 그에 결합 가능한 신발
KR20130141278A (ko) 2012-06-15 2013-12-26 (주)나눅스 자전거용 페달 조립체
WO2017106336A1 (en) * 2015-12-15 2017-06-22 Rousseva Nevena Bicycle pedal configured for shoes of various height and shape
EP2635485B1 (en) * 2010-11-01 2019-05-22 Speedplay, Inc. Pedal-cleat assembly
KR20200003979A (ko) 2018-07-03 2020-01-13 이종훈 안전한 자전거 클릿 페달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6558B1 (en) * 1993-04-08 2001-04-17 Shinji Marui Clipless bicycle pedal
EP0735965B1 (en) * 1994-01-21 2001-09-26 Speedplay, Inc. Improved clipless bicycle pedal system
US7104158B2 (en) * 1998-09-03 2006-09-12 Harrington Jeffrey M Bicycle pedal and sho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JP2000142538A (ja) * 1998-11-05 2000-05-23 Shimano Inc 自転車用ペダル及び自転車靴クリ―ト
JP2005145080A (ja) * 2003-11-11 2005-06-09 Aidesu Kk 自転車ペダル着脱装置
KR20120029619A (ko) 2010-09-17 2012-03-27 (주)나눅스 자전거 페달 및 그에 결합 가능한 신발
EP2635485B1 (en) * 2010-11-01 2019-05-22 Speedplay, Inc. Pedal-cleat assembly
KR20130141278A (ko) 2012-06-15 2013-12-26 (주)나눅스 자전거용 페달 조립체
WO2017106336A1 (en) * 2015-12-15 2017-06-22 Rousseva Nevena Bicycle pedal configured for shoes of various height and shape
KR20200003979A (ko) 2018-07-03 2020-01-13 이종훈 안전한 자전거 클릿 페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346B1 (ko) 2022-06-10 2022-12-23 김대현 페달 및 슈즈 연결 구조체
KR102480344B1 (ko) 2022-07-04 2022-12-23 김대현 페달 및 슈즈 연결 구조체
KR102486579B1 (ko) 2022-10-25 2023-01-09 (주) 한영하이테크 클릿 페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7313B1 (ko) 자전거 클릿 페달
CA2614351C (en) Ergonomic bicycle pedal with removable platform
KR101748958B1 (ko) 다기능 운동기구
US7500324B1 (en) Convertible therapeutic sandals
JP6639681B2 (ja) 折り畳み式キックボード
JPH05193547A (ja) 自転車ペダルに靴を固定する装置
US20180207468A1 (en) Exercise machine with multi-function wheel brake actuator and over center locking mechanism
US6035743A (en) Multi-functional clipless pedal
US20120028766A1 (en) Weight Lifting Sandals
JPH09201206A (ja) スノーボードブーツのバックサポート
US10035058B1 (en) Boot binding system with foot latch pedal
US20160175689A1 (en) Heel locking binding system
US20040110604A1 (en) Rocking exercise device
KR101758902B1 (ko) 미끄럼방지와 선택적으로 무게조절이 가능하며 안전성을 향상시킨 밸런스보드
KR102486579B1 (ko) 클릿 페달
US9107476B2 (en) Adjustable spring device for walking and running
AU2020372446B2 (en) Foldable bicycle
JP6721896B2 (ja) イップス改善用トレーニング装具およびイップス改善用トレーニングセット
TWI304348B (en) Exercise device with treadles
CN112407132A (zh) 一种高安全性的自行车踏板系统
TWM543002U (zh) 座椅升降調整結構
KR20030059780A (ko) 패널형 스프링 장착 운동화
TW202225020A (zh) 腳踏車踏板的彈性組合結構
EP3056253A1 (en) Foot deck-based vehicle with increased potential energy for ollie-type manoeuvers
US20070137430A1 (en) Pedal structure without front clamping memb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