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472B1 - 레토르트 식품 공정용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레토르트 식품 공정용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472B1
KR102485472B1 KR1020210054527A KR20210054527A KR102485472B1 KR 102485472 B1 KR102485472 B1 KR 102485472B1 KR 1020210054527 A KR1020210054527 A KR 1020210054527A KR 20210054527 A KR20210054527 A KR 20210054527A KR 102485472 B1 KR102485472 B1 KR 102485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e material
container
retort food
mineral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7416A (ko
Inventor
정우석
Original Assignee
정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석 filed Critical 정우석
Priority to KR1020210054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472B1/ko
Publication of KR20220147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10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used in the polymer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1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materials in packages which are not progressively transported through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8Adding charges, i.e. additives
    • B29B7/90Fillers or reinforcements, e.g.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3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토르트 식품 공정용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아미드 수지에 유리섬유 및 미네랄필러를 혼합하여 고강도 및 고내열성을 갖는 복합소재로부터 제조된 레토르트 식품 공정용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레토르트 식품 공정용 컨테이너{CONTAINER FOR RETORT FOOD PROCESS}
본 발명은 레토르트 식품 공정용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아미드 수지에 유리섬유 및 미네랄필러가 혼합된 고강도 및 고내열성의 복합소재를 가공하여 얻어진 레토르트 식품 공정용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레토르트 식품은 조리가 완성된 식품을 오래 보관할 수 있도록 전용 용기에 포장하여 밀봉한 후 가열살균하여 식품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최근 1인 가구의 증가와 더불어 가정 간편식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로 성장이 두드러지는 산업이다.
레토르트 식품 제조 공정은 조리, 충전, 밀봉, 가열살균, 냉각, 검사 및 출하의 단계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조 공정은 밀봉된 레토르트 식품을 컨테이너 박스에 넣고 가압냉각 장치에서 100℃ 내외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가열살균 처리 시킨 후 즉시 냉각시키는 공정이 포함되며, 컨테이너 소재로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플라스틱 소재 또는 스테인리스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 소재가 사용되고 있다.
PE 및 PP 등 플라스틱 소재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경우, 가격이 저렴하고 경량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지만, 가열살균 공정 시 컨테이너 하판의 처짐, 뒤틀림, 수축 및 팽창 등 컨테이너의 외형이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해 재사용이 불가한 문제가 있다.
스테인리스 및 알루미늄 등 금속 소재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경우, 고내열성 및 고강도를 가지는 장점이 있지만, 가열살균 공정 시 반복된 작업으로 공정 부식(pitting)이나 용접부의 부식으로 인해 내부 금속 성분이 용출되어 장치나 식품에 오염 영향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 자체의 온도 상승으로 인하여 작업자의 안정성이 감소되고, 가격이 비싼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33524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아미드 수지에 유리섬유 및 미네랄필러를 혼합하여 고강도 및 고내열성을 가지는 복합소재로부터 제조된 레토르트 식품 공정용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살균 공정 시 외형 변형이 없는 레토르트 식품 공정용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레토르트 식품 공정용 컨테이너는 복합소재를 가공하여 얻어지는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복합소재는,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폴리아미드(polyamide) 수지 40 내지 50 중량%, 유리섬유(glass fiber) 10 내지 15 중량%, 미네랄필러(mineral filler) 15 내지 20 중량% 및 첨가제 15 내지 20 중량%가 포함되고, 상기 컨테이너는, 100 ℃에서 1시간 가열하여 측정한 치수변화율이 2%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네랄필러는, 규회석(wallastonite) 및 탈석(talc) 중 어느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내충격제, 상용화제, 흐름개선제, 산화방지제, 활제, 분산제, 충격보강제, 난연보조제, 가소제, 열안정제, 적하방지제, 광안정제, 안료, 염료, 및 드립방지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합소재는, 가공온도 240 내지 245 ℃, 스크류 회전속도 500 내지 530 RPM 및 전단변형 60 내지 70 %를 만족하는 혼합기에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합소재는, 충격강도 150 J/m 이상, 굴곡탄성율 8,000 MPa 이상, 선팽창계수 100 ㎛/m℃ 이하 및 열변형온도 195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아미드 수지에 유리섬유 및 미네랄필러를 혼합하여 강도 및 내열 특성이 향상된 복합소재로부터 제조된 레토르트 식품 공정용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복합소재로부터 제조된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고, 가열살균 공정 시 외형 변형이 없는 레토르트 식품 공정용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를 가공하여 얻어진 레토르트 식품 공정용 컨테이너 성형품이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레토르트 식품 공정용 컨테이너는 복합소재를 가공하여 얻어질 수 있으며,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를 가공하여 얻어진 레토르트 식품 공정용 컨테이너 성형품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는 원료로 폴리아미드(polyamide) 수지, 유리섬유(glass fiber), 미네랄필러(mineral filler) 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는 폴리아미드(polyamide, PA) 수지를 베이스로 포함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 수지는 아미드 결합인 [-CONH-]가 반복으로 연결되어 주쇄를 구성하는 선상 고분자 물질로 나일론(nylon) 수지라고도 불리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기계적 성질 특히 내충격성이 우수하다.
폴리아미드 수지는 지방족 폴리아미드,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 및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지방족 폴리아미드는 개환중합 또는 축중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개환중합으로 형성된 폴리아미드의 종류로는 ε-카프로락탐(ε-caprolactam)을 모노머로 갖는 폴리아미드6(PA6), ω-라우로락탐(ω-laurolactam)을 모노머로 갖는 폴리아미드12(PA12) 및 프로파노-3-락탐(Propano-3-lactam)을 모노머로 갖는 폴리아미드3(PA3) 등이 있으며, 축중합으로 형성된 폴리아미드의 종류로는 ω-아미노에난틱산(ω-aminoenanthic acid)를 모노머로 갖는 폴리아미드7(PA7), ω-아미노운데칸산(ω-aminoundecanoic acid)를 모노머로 갖는 폴리아미드11(PA11), 헥사메틸렌디아민(hexamethylenediamine)과 아디프산(adipic acid)을 축중합한 폴리아미드66(PA66) 1,4-디아미노부탄(1,4-diaminobutane)과 아디프산(adipic acid)을 축중합한 폴리아미드46(PA46) 및 헥사메틸렌디아민(hexamethylenediamine)과 세바스산(sebacic acid)을 축중합한 폴리아미드610(PA610) 등이 있다.
반방향족 폴리아미드는 폴리프탈라미드(polyphthalamide)라고도 불리며,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과 아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의 축중합으로 형성된다. 반방향족 폴리아미드의 종류로는 PA6T(Poly(hexamethylene teraphthalamide)), PA9T(Poly(nonanmethylene teraphthalamide)) 및 PA-MXD6(polyxylylene adipamide) 등이 있다.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아라미드(aramid)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 수지로 폴리아미드6이 선택될 수 있다. 폴리아미드6은 다른 폴리아미드 보다 높은 가공온도에서 물성 감소가 크지 않고, 상대적으로 저융점 특성을 가져 성형가공이 쉽고, 내열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는 유리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섬유는 용융한 유리를 가늘고 긴 섬유 모양으로 한 광물섬유로 고내열, 저흡습성, 내화학성, 고강도, 저신장률, 절연성, 내마모성 등의 특성이 있어 복합소재의 보강재로 사용하여 물성을 보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는 미네랄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미네랄필러는 규회석(wallastonite) 및 탈석(talc)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미네랄필러로 규회석과 탈석을 첨가한 복합소재의 물성을 표 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복합소재의 물성은 폴리아미드 69.2 중량%, 미네랄필러 30 중량%, 산화방지제 0.3 중량% 및 활제 0.5 중량%가 포함되었다.
구분 규회석 탈석
충격강도 (J/m) 62 45
굴곡탄성율 (MPa) 8,251 7,233
표 1을 참고하면, 규회석의 충격강도 및 굴곡탄성율이 탈석에 비해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미네랄필러로 규회석을 주사용하여 복합소재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탈석은 판상형이기 때문에 치수안정성이 침상형인 규회석보다 좋기 때문에, 치수안정성 향상을 위해 탈석을 소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는 유리섬유 및 미네랄필러가 동시 첨가되어 서로의 단점을 상쇄시키고 복합소재의 기계적 강도 및 치수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는 내충격제, 상용화제, 흐름개선제, 산화방지제, 활제, 분산제, 충격보강제, 난연보조제, 가소제, 열안정제, 적하방지제, 광안정제, 안료, 염료, 및 드립방지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합소재의 첨가제로 내충격제, 상용화제, 흐름개선제, 산화방지제 및 활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는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폴리아미드 수지 40 내지 50 중량%, 유리섬유 10 내지 15 중량%, 미네랄필러 15 내지 20 중량% 및 첨가제 15 내지 20 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폴리아미드 수지는 복합소재의 베이스 물질로 전체 원료 중 가장 많은 40 내지 50 중량%가 함유될 수 있다.
유리섬유는 복합소재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미네랄필러는 복합소재의 치수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복합소재에 모두 첨가된다. 유리섬유/미네랄필러(규회석, 활석)의 함량별 복합소재의 유동성, 충격강도 및 굴곡탄성율을 표 2 및 표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복합소재의 물성은 폴리아미드 64.2 중량%, 유리섬유/미네랄필러 35 중량%, 산화방지제 0.3 중량% 및 활제 0.5 중량%가 포함되었다.
유리섬유/규회석 함량 (중량%) 30/5 25/10 20/15 15/20 10/25
유동성 (g/10min) 15 16 16 16 17
충격강도 (J/m) 126 115 85 78 72
굴곡탄성율 (MPa) 9,982 9,877 9,852 9,865 9,848
유리섬유/활석 함량 (중량%) 30/5 25/10 20/15 15/20 10/25
유동성 (g/10min) 16 17 17 17 18
충격강도 (J/m) 105 82 65 55 48
굴곡탄성율 (MPa) 9,955 9,562 9,424 9,217 8,952
표 2 및 표 3을 참고하면 규회석을 첨가하였을 때 활석을 첨가한 경우에 비해 유동성, 충격강도, 굴곡탄성율이 감소되는 수치가 더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미네랄필러로 규회석을 주사용하고, 활석을 소량 첨가하여 치수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유리섬유/미네랄필러(규회석, 활석)의 함량별 선팽창계수(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CTE)를 표 4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복합소재의 물성은 폴리아미드 64.2 중량%, 유리섬유/미네랄필러 35 중량%, 산화방지제 0.3 중량% 및 활제 0.5 중량%가 포함되었다.
유리섬유/규회석/활석 함량 (중량%) 30/0/5 20/0/15 10/0/25 35/0/0 0/35/0 0/0/35
CTE (㎛/m℃) 105 98 84 108 82 75
표 4를 참고하면, 미네랄필러가 15 중량% 이상 첨가되었을 때, 선팽창계수가 100 ㎛/m℃ 이하의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복합소재는 유리섬유 10 내지 15 중량% 및 미네랄필러 15 내지 20 중량%가 포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첨가제는 내충격제, 상용화제, 흐름개선제, 산화방지제 및 활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전체 복합소재 100 중량%에 대하여 첨가제가 3 내지 5 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내충격제는 복합소재의 충격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내충격제 중량%별 복합소재의 물성을 표 5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복합소재의 물성은 폴리아미드/내충격제 64.2 중량%, 유리섬유 15 중량%, 미네랄필러 20 중량%, 산화방지제 0.3 중량% 및 활제 0.5 중량%가 포함되었다.
폴리아미드/내충격제 함량 (중량%) 59.2/5 54.2/10 52.2/12 49.2/15
유동성 (g/10min) 13 11 10 7
충격강도 (J/m) 105 122 138 221
굴곡탄성율 (MPa) 9,245 8,228 7,922 7,287
CTE (㎛/m℃) 86 87 87 88
표 5를 참고하면, 내충격제 함량이 증가할수록 충격강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유동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어 다른 첨가제를 투입하여 유동성을 개선시켜야 한다.상용화제는 복합소재의 성분들의 결합을 증진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상용화제 중량%별 복합소재의 물성을 표 6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복합소재의 물성은 폴리아미드/상용화제 52.2 중량%, 유리섬유 15 중량%, 미네랄필러 20 중량%, 내충격제 12 중량%, 산화방지제 0.3 중량% 및 활제 0.5 중량%가 포함되었다.
폴리아미드/상용화제 함량 (중량%) 51.2/1 50.2/2 49.2/3 47.2/5
유동성 (g/10min) 10 10 10 10
충격강도 (J/m) 142 145 155 156
굴곡탄성율 (MPa) 8,018 8,246 8,455 8,488
CTE (㎛/m℃) 87 87 87 87
표 6을 참고하면 상용화제가 3 중량% 이상 첨가되었을 때 기계적인 강도가 크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흐름개선제는 복합소재 제조 시 혼합기 내부에서 원료의 유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흐름개선제 중량%별 복합소재의 물성을 표 7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복합소재의 물성은 폴리아미드/흐름개선제 49.2 중량%, 유리섬유 15 중량%, 미네랄필러 20 중량%, 내충격제 12 중량%, 상용화제 3 중량% 산화방지제 0.3 중량% 및 활제 0.5 중량%가 포함되었다.
폴리아미드/흐름개선제 함량 (중량%) 48.9/0.3 48.7/0.5 48.2/1.0 47.2/2.0
유동성 (g/10min) 15 18 26 34
충격강도 (J/m) 154 154 153 149
굴곡탄성율 (MPa) 8,398 8,377 8,372 8,126
CTE (㎛/m℃) 87 87 87 87
표 7을 참고하면 흐름개선제가 1.0 중량% 이상 첨가되었을 때 유동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산화방지제는 복합소재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0.5 중량% 이내로 소량 첨가될 수 있다.
활제는 복합소재의 표면 개선 및 광택 부여를 위해 첨가될 수 있으며, 0.5 중량% 이내로 소량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는 가공온도 240 내지 245 ℃, 스크류 회전속도 500 내지 530 RPM 및 전단변형 60 내지 70 %를 만족하는 혼합기에서 원료를 혼합시켜 제조될 수 있다.
혼합기는 단축 또는 이축의 압출기, 밴버리 믹서, 니더, 믹싱 롤 등 통상 공지의 용융 혼합기에 원료를 공급하여 복합소재를 혼합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원료는 혼합기에 일괄 투입될 수 있다. 원료를 일괄 투입하는 경우, 사이드 투입 방식에 비해 준비 시간이 단축되고 사이드 투입에 따른 추가 검량이 필요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원료의 투입 방식별 복합소재의 물성을 표 8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구분 일괄 투입 사이드 투입
충격강도 (J/m) 48 47
굴곡탄성율 (MPa) 4,877 4,558
표 8을 참고하면, 원료 일괄 투입 시 사이드 투입에 비해 굴곡탄성율이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일괄 투입 시 복합소재의 분산성이 더 좋고, 사이드 투입의 경우 분극 현상이 일어나 굴곡탄성율이 감소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복합소재는 가공온도는 240 내지 245 ℃에서 원료가 혼합될 수 있다. 가공온도가 240 ℃ 미만이거나 245 ℃ 초과 시 물성이 양호하지 않을 수 있다. 가공온도별 복합소재의 물성을 표 9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가공온도 (℃) 220 230 240 250
충격강도 (J/m) 120 122 123 122
굴곡탄성율 (MPa) 9,126 9,288 9,355 9,351
표 9를 참고하면, 가공온도 240 ℃에서 충격강도 및 굴곡탄성율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복합소재는 스크류 회전속도 500 내지 530 RPM의 혼합기에서 원료가 혼합될 수 있다. 스크류 회전속도가 500 RPM 미만이면 인장강도가 감소할 수 있고, 530 RPM을 초과하면 인장강도 증가폭이 감소되어 인장강도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스크류 회전속도별 복합소재의 물성을 표 1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스크류 회전속도 (RPM) 300 400 500 600
충격강도 (J/m) 118 121 122 122
굴곡탄성율 (MPa) 9,189 9,212 9,355 9,322
표 10을 참고하면, 스크류 회전속도 500 RPM에서 충격강도 및 굴곡탄성율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복합소재는 전단변형 60 내지 70 %의 조건에서 원료를 혼합할 수 있다. 전단변형은 전단력을 받아 생기는 각도 변화에 의한 미끄럼 변형으로, 전단변형이 60 % 미만이면 인장강도가 감소할 수 있고, 70 % 초과하면 혼합기가 정지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전단변형별 복합소재의 물성을 표 1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전단변형 (%) 40 50 60 70
충격강도 (J/m) 118 121 123 122
굴곡탄성율 (MPa) 9,026 9,105 9,361 9,205
표 11을 참고하면, 전단변형 60%에서 충격강도 및 굴곡탄성율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복합소재는 니딩블록의 개수 10 내지 20 개를 가지는 혼합기에서 원료가 혼합될 수 있다. 니딩블록의 개수가 10 개 미만이면 복합소재의 분산성이 감소하고, 작업성이 좋지 않아 단사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니딩블록의 개수가 20 개를 초과화면 복합소재 생산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는 충격강도 150 J/m 이상, 굴곡탄성율 8,000 MPa 이상, 선팽창계수 100 ㎛/m℃ 이하 및 열변형온도(heat deflection temperature, HDT) 195 ℃ 이상을 만족할 수 있으며, 8대 중금속인 Pb, Ba, Cr, Cd, Hg, Sb, As, Se 함량이 기준치 미만으로 검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합소재는 폴리아미드 수지 48.2 중량%, 유리섬유 15 중량%, 미네랄필러 20 중량% 및 첨가제 16.8 중량%가 포함될 수 있으며, 미네랄필러는 규회석이 사용될 수 있고, 첨가제는 내충격제 12 중량%, 상용화제 3 중량%, 흐름개선제 1 중량%, 산화방지제 0.3 중량% 및 활제 0.5 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이 때의 복합소재의 물성은 유동성 27 g/10min, 충격강도 155 J/m, 굴곡탄성율 8,455 MPa 및 CTE 87 ㎛/m℃을 만족하며, 8대 중금속은 기준치 미만으로 검출되었다.
또한 동일한 물성으로 복합소재의 양산 시험을 수행한 결과, 복합소재의 물성은 유동성 29 g/10min, 충격강도 156 J/m, 굴곡탄성율 8,612 MPa 및 CTE 87 ㎛/m℃으로 나타나 양산 시의 복합소재의 물성이 소폭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레토르트 식품 공정용 컨테이너는 복합소재를 다이캐스팅(die casting), 사출성형(conventional injection molding), 압출성형(extrusion molding), 중공성형(blow molding), 압축성형(compression molding), 트랜스퍼성형(transfer molding), 진공성형(vacuum molding), 분말성형(powder molding) 및 열성형(thermoforming)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가공하여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토르트 식품 공정용 컨테이너는 10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여 외형 변형 치수를 측정하였을 때 치수변화율이 2% 미만을 만족할 수 있으며, 고온 하중 및 고온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컨테이너는 레토르트 식품 가열살균 공정에 사용 시 형태 변화가 없어야 하므로 온도 10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을 시 9 kg의 하중을 견디며, 컨테이너에 내용물을 적재하여도 외관상 파손 및 변형이 존재하지 않고, 시험 전 컨테이너 치수에 비해 시험 후 컨테이너 치수의 전후, 좌우, 상하 방향의 치수변화율이 모두 2% 미만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복합소재를 가공하여 얻어지는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복합소재는,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폴리아미드(polyamide) 수지 40 내지 50 중량%, 유리섬유(glass fiber) 10 내지 15 중량%, 미네랄필러(mineral filler) 15 내지 20 중량% 및 첨가제 15 내지 20 중량%가 포함되고,
    상기 미네랄필러는 규회석(wallastonite) 및 탈석(talc)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소재는, 충격강도 150 J/m 이상, 굴곡탄성율 8,000 MPa 이상, 선팽창계수 100 ㎛/m℃ 이하 및 열변형온도 195 ℃ 이상이고, 가공온도 240 내지 245 ℃, 스크류 회전속도 500 내지 530 RPM 및 전단변형 60 내지 70 %를 만족하는 혼합기에서 혼합되며,
    상기 컨테이너는, 100 ℃에서 1시간 가열하여 측정한 치수변화율이 2%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토르트 식품 공정용 컨테이너.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내충격제, 상용화제, 흐름개선제, 산화방지제, 활제, 분산제, 충격보강제, 난연보조제, 가소제, 열안정제, 적하방지제, 광안정제, 안료, 염료, 및 드립방지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토르트 식품 공정용 컨테이너.
  4. 삭제
  5. 삭제
KR1020210054527A 2021-04-27 2021-04-27 레토르트 식품 공정용 컨테이너 KR102485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527A KR102485472B1 (ko) 2021-04-27 2021-04-27 레토르트 식품 공정용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527A KR102485472B1 (ko) 2021-04-27 2021-04-27 레토르트 식품 공정용 컨테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416A KR20220147416A (ko) 2022-11-03
KR102485472B1 true KR102485472B1 (ko) 2023-01-05

Family

ID=84041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527A KR102485472B1 (ko) 2021-04-27 2021-04-27 레토르트 식품 공정용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472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57124B1 (en) * 2010-04-06 2018-06-06 Unitika, Ltd. Polyamide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polyamide resin composition
KR101466278B1 (ko) * 2010-12-21 2014-11-27 제일모직 주식회사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533524B1 (ko) 2014-02-21 2015-07-0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레토르트 파우치용 트레이 장치
KR20150126517A (ko) * 2014-05-02 2015-11-12 (주)엘지하우시스 고속 건식 함침용 미세 입자,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77446B1 (ko) * 2014-12-03 2017-09-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리섬유 보강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플라스틱 성형품
KR20160077273A (ko) * 2014-12-22 2016-07-04 한국화학연구원 유동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폴리아미드계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계 복합소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416A (ko)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87782B (zh) 成型品
US9000082B2 (en) Heat/light-stabilized polyamide compositions
JP6951075B2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US20190352505A1 (en) Resin composition,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lded article
JP2011500875A (ja) ポリアミド組成物
US20110275760A1 (en) Modified polyamides having enhanced melt flow indices
JP2016210988A (ja) 熱可塑性成形材料
TWI804479B (zh) 聚醯胺樹脂組成物、成形品及聚醯胺樹脂丸粒之製造方法
CN107810239A (zh) 具有高的熔体流动和良好的机械性能的聚酰胺组合物
US10017642B2 (en) Polyamide resin composition,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lded article
KR20180019553A (ko) 폴리아미드 수지 및 성형품
KR20080098442A (ko) 고 유동성 폴리아미드
JP2013060534A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成形してなる成形体
EP3728436B1 (en) A stabilizer composition, its use and a plas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JP2011068873A (ja) 摺動部材
KR102485472B1 (ko) 레토르트 식품 공정용 컨테이너
KR20220147827A (ko) 레토르트 식품 컨테이너용 내열 복합소재
KR101777446B1 (ko) 유리섬유 보강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플라스틱 성형품
CN103756310A (zh) 一种聚酰胺/聚芳酯合金及其制备方法
KR101740687B1 (ko) 유동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계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폴리아미드계 복합소재
JP2022127208A (ja) 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KR101795675B1 (ko) 고리형 화합물이 첨가된 폴리아미드계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아미드계 복합소재
JP6827815B2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KR20210056335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N111117234A (zh) 一种冲击强度改善的增强聚酰胺56组合物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