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245B1 -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245B1
KR102485245B1 KR1020170155260A KR20170155260A KR102485245B1 KR 102485245 B1 KR102485245 B1 KR 102485245B1 KR 1020170155260 A KR1020170155260 A KR 1020170155260A KR 20170155260 A KR20170155260 A KR 20170155260A KR 102485245 B1 KR102485245 B1 KR 102485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mirror
vehicle
distance
driver
obs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7849A (ko
Inventor
김세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5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245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사이드 미러, 차량에 접근하는 운전자와 상기 사이드 미러와의 거리 및 장애물과 상기 사이드 미러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감지부 및 측정된 상기 사이드 미러와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 및 상기 운전자의 접근 방향을 기초로 상기 사이드 미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방법{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구동력이 필요 이상으로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가속 페달의 답력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발명이다.
현대 사회에서 자동차는 가장 보편적인 이동 수단으로서 자동차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수는 증가하고 있다. 자동차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과거보다 장거리의 이동이 용이하고, 생활이 편해지는 등 생활에 많은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차량을 운전할 때, 운전자는 자동차의 전방을 잘 관측해야만 장애물이나 보행자 등을 피해 처량을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전방뿐만 아니라 후방과 측후방 역시 주의 깊게 관측해야 한다.
차량의 후방을 관측하는 것은 차량의 후방에서 주행중인 타 차량의 존재 및 주행 상태 등을 관측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차량에는 운전석의 운전자가 후방을 관측할 수 있도록 운전석과 동반자석 사이에 룸 미러(Room Mirror)가 장착될 수 있다.
차량의 후방뿐만 아니라 차량의 측면 및 측후방을 관측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2차로 이상의 도로에서 차량을 운전할 때 차로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변경할 차로에 주행중인 다른 차량들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또한 차량을 후진시킬 때에도 후방 관측뿐만 아니라 측후방의 관측도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차량에는 운전석의 운전자가 차량의 측후방을 관측할 수 있도록 운전석 쪽 도어 외측과 동반자석 쪽 도어 외측에 각각 하나씩의 아웃사이드 미러(Outside Mirror)가 장착될 수 있다.
승용 차량의 경우 아웃사이드 미러는 1열 좌석을 위한 도어의 외측에 일정 길이로 돌출되도록 장착된다. 일부 차종에서는 전륜측 펜더 상부에 장착되거나 엔진 룸의 후드 위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되어야만 운전석의 운전자가 아웃사이드 미러를 통해 차량의 측후방을 최소의 사각(死角)으로 관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주차된 차량에서, 아웃사이드 미러의 이와 같은 돌출된 형태는 차량 주변의 보행자에게 자칫 방해 요소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 구조물과의 충돌 등으로 인해 아웃사이드 미러의 손상이 유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대부분의 차량에서는 접이식 아웃사이드 미러를 지원한다.
접이식 아웃사이드 미러는 아웃사이드 미러가 일정 각도로 차체 쪽으로 접혀서(fold) 아웃사이드 미러의 돌출 정도가 감소하도록 한다. 이전에는 아웃사이드 미러를 운전자가 직접 손으로 접거나 펼치는 수동 방식이었으나, 근래에는 거의 모든 접이식 아웃사이드 미러들이 모터의 동력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는(폴딩 및 언폴딩) 방식이다. 이와 같은 방식의 아웃사이드 미러를 '전동 접이식 아웃사이드 미러'라고도 한다.
그러나, 아웃 사이드 미러를 작동하는데 있어서, 차량 주변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사이드 미러를 작동하는데 충돌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이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발명으로서, 사이드 미러를 작동시키는데 있어서, 주변 장애물과의 거리를 판단하고 이를 기초로 효과적으로 사이드 미러를 작동시키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사이드 미러, 차량에 접근하는 운전자와 상기 사이드 미러와의 거리 및 장애물과 상기 사이드 미러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감지부 및 측정된 상기 사이드 미러와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 및 상기 운전자의 접근 방향을 기초로 상기 사이드 미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이드 미러를 언폴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차량의 원격 조작 장치를 감지하여 상기 운전자의 접근 방향 및 상기 운전자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운전자가 상기 차량의 전방에서 접근하거나, 상기 원격 조작 장치에 의해 상기 차량의 전원이 온(On)된 경우, 상기 장애물 및 운전자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가 상기 차량의 후방에서 접근하는 경우, 상기 사이드 미러를 언폴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미러는 제1사이드 미러 및 제2사이드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제1사이드 미러 및 제2 사이드 미러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이드 미러와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이드 미러를 언폴딩하고, 상기 제1사이드 미러 및 제2사이드와 상기 장애물과의 미리 설정된 거리는 각각 서로 다른 거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이 상기 제1사이드 미러 측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사이드 미러만 언폴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이 상기 제2사이드 미러 측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사이드 미러만 언폴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의 접근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제1사이드 미러 및 제2사이드 미러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차량에 접근하는 운전자와 사이드 미러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장애물과 상기 사이드 미러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사이드 미러와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 및 상기 운전자의 접근 방향을 기초로 상기 사이드 미러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미러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이드 미러를 언폴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자와 사이드 미러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원격 조작 장치를 감지하여 상기 운전자의 접근 방향 및 상기 운전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자 및 사이드 미러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가 상기 차량의 전방에서 접근하거나, 상기 원격 조작 장치에 의해 상기 차량의 전원이 온(On)된 경우, 상기 장애물 및 상기 운전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미러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가 상기 차량의 후방에서 접근하는 경우, 상기 사이드 미러를 언폴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미러는, 제1사이드 미러 및 제2사이드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미러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제1사이드 미러 및 제2 사이드 미러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미러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이드 미러와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이드 미러를 언폴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사이드 미러 및 제2사이드와 상기 장애물과의 미리 설정된 거리는 각각 서로 다른 거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미러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장애물이 상기 제1사이드 미러 측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사이드 미러만 언폴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미러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장애물이 상기 제2사이드 미러 측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사이드 미러만 언폴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미러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의 접근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제1사이드 미러 및 제2사이드 미러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운전자의 접근 방향 및 장애물과의 거리를 기초로 사이드 미러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므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차량에 출입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과 원격 조작 장치가 통신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미러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는 일 실시예에 따라, 운전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이며,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함께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외관은 차량(100)을 이동시키는 차륜(12,13), 차량(100)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5L), 차량(100) 내부의 사용자에게 차량(100)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16), 사용자에게 차량(100)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40L,140R)를 포함할 수 있다.
차륜(12,13)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12),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13)을 포함하며, 차량(100) 내부에 마련되는 구동 장치(미도시)는 차량(10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전륜(12) 또는 후륜(13)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 또는 축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를 채용할 수 있다.
도어(15L, 15R)는 차량(10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사용자 또는 동승자가 차량(100)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 또한, 차량(100) 외부에는 도어(15L, 15R)를 개폐할 수 있는 손잡이(17L, 17R)가 마련될 수 있다.
전면 유리(16)는 본체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00) 내부의 사용자가 차량(100)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미러(140L, 140R)는 차량(100)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140L)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140R)를 포함하며, 차량(100) 내부의 사용자가 차량(100)의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차량(100)은 후면 또는 측면의 장애물 내지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근접 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등의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차량의 측면 또는 후면에 감지 신호를 발신하고, 다른 차량 등의 장애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반사 신호의 파형을 기초로 차량(100) 측면이나 후면의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고, 장애물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접 센서의 일 예로서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발신하고, 장애물에 반사된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검출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대시보드(29)의 중앙 영역에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에서 제공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30)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0)는 오디오 화면, 비디오 화면 및 내비게이션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차량(100)과 관련된 각종 제어 화면 또는 부가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4)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 패널을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로부터 터치에 의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또한, 운전석(18L)와 조수석(18R) 사이에 죠그 셔틀(jog shuttle) 타입의 센터 입력부(33)가 마련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센터 입력부(33)를 돌리거나 가압하거나 상, 하, 좌 또는 우 방향으로 미는 방식으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차량(100)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23)가 마련될 수 있다.
스피커(23)는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및 기타 부가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스피커(15)가 운전석(22L) 자리와 조수석(22R) 자리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는 것으로(23L, 23R)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운전석(18L) 쪽의 대시보드(26)에는 스티어링 휠(27)이 마련되며, 스티어링 휠(27)과 인접한 영역에 원격 조작 장치(미도시; 일 예로서, 포브(FOB)키를 삽입할 수 있는 키 홈(28)가 형성될 수 있다. 키 홈(28)에 차량(100)의 시동을 온(On)/오프(Off)할 수 있는 원격 조작 장치(200)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대시보드(29)에는 차량(100)의 시동을 온/오프 제어하는 시동 버튼(29)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차량(100)에는 공조 장치가 구비되어 난방 및 냉방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며, 가열되거나 냉각된 공기를 통풍구(21)를 통해 배출하여 차량(10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통푸구(21)가 운전석(18L) 자리와 조수석(18R) 자리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는 것으로(21L, 21R)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 및 차량(100)과 통신을 수행하는 원격 조작 장치(200) 일 예시도이다.
원격 조작 장치(200)는 차량(100)과 직접 접촉하거나,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연결된다.
도 3에 일 예로 개시된 원격 조작 장치(200)는 차량(100)에 연결되어 도어 락을 해제하거나, 시동과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포브 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가 원격 조작 장치의 역할을 하는 경우에는 개시된 발명의 원격 조작 장치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모바일 기기에는 원격 조작 장치(200)로서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바, 모바일 기기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판매될 수도 있고 판매 이후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가 차량(100)에 대한 원격 조작 장치(200)로서 동작하기 위해서는 인증절차를 거칠 수 있다.
원격 조작 장치(200)는 차량(100)과 함께 판매될 수 있으며, 차량(100)과의 연결을 위한 인증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원격 조작 장치(200)와 차량(100)은 상호 인증절차를 수행하기 위하여, LF통신망 및 RF통신망을 통해 상호 간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LF(Low Frequency)통신망은 차량(100)이 원격 조작 장치(200)를 탐색하는 데 필요한LF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저주파수 대역의 통신망으로서, 예를 들어, 20kHz 이상 150k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통신망일 수 있다.
LF통신망을 통해 LF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저주파수 대역으로 인한 특성 때문에 신호의 송수신 가능 거리는 고주파수 대역을 갖는 RF통신망의 송수신 가능 거리에 비하여 짧다. 예를 들어, LF신호 송수신 가능 거리는 약 5m이고, RF신호 송수신 가능 거리는 약 100m일 수 있다.
따라서, 차량(100)은 LF통신망을 통해 LF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차량(100)에 근접한 원격 조작 장치(200)를 탐색하고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LF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LF통신부(114)를 포함할 수 있고, LF통신부(114)는 하나 이상의 LF안테나(114a - 114d)를 포함할 수 있다.
각 LF안테나(114a - 114d)는 차량(100)의 본체의 전방, 후방, 측면, 또는 내부에 마련되어 다양한 각도 및 세기로 LF신호를 송신한다. LF안테나(114a -114d)의 마련 위치에 따라 원격 조작 장치(200)의 LF신호의 수신 세기와 수신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이하, 우측 도어(15R)의 손잡이(17R)에 마련된 LF안테나(114a), 좌측 도어(15L)의 손잡이(17L)에 마련된 LF안테나(114c), 본체 상단에 마련된 LF안테나(114b), 및 트렁크에 마련된 LF안테나(114d)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LF안테나의 마련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차량(100)이 LF안테나(114a - 114d)를 통해 LF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작 장치(200)는 각 LF안테나(114a - 114d)가 송신한 LF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RF(Radio Frequency) 통신망은 차량(100)이 LF신호를 수신한 원격 조작 장치(200)로부터 RF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의 통신망으로서, 예를 들어, 300MHz 이상 450MHz 이하의 UHF(Ultra High Frequency) 주파수 대역을 갖는 통신망일 수 있다. RF통신망을 통해 RF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신호의 송수신 가능 거리는 저주파수 대역을 갖는 LF통신망 송수신 가능 거리에 비하여 길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100)의 사이드 미러(140) 중 좌측에 마련된 사이드 미러(140L)의 폴딩/언폴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사이드 미러(140L)는 폴딩(Folding) 상태로서 사이드 미러(140L)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사이드 미러(140L)의 폴딩은 사이드 미러(140L)가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자동차(100)의 주변을 지나는 보행자의 보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반면, 도 4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사이드 미러(140L)는 언폴딩(Unfolding) 상태로서 사이드 미러(140L)가 '펼쳐진(전개된)' 상태이다. 사이드 미러(140)의 언폴딩은 차량(100)의 운전자가 사이드 미러(100)를 통해 차량(100)의 측후방을 관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사이드 미러(140)의 기본 상태는 언폴딩 상태이고, 필요에 따라 폴딩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사이드 미러(140)의 폴딩/언폴딩은 후술한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원격 조작 장치(200)가 차량(100)의 외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도어(15)가 잠기면 사용자(운전자)가 하차한 상태에서 도어(15)가 잠긴 것이므로 차량(100)이 주차된 상태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사이드 미러(140)를 폴딩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도 3의 실선 상태)
원격 조작 장치(200)가 차량(100)의 외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도어(15)의 잠금이 해제되면 사용자(운전자)가 승차를 위해 도어(15)의 잠금을 해제한 것이므로 사이드 미러(140)를 언폴딩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2의 점선 상태)
그러나, 사이드 미러(140)가 자동으로 언폴딩될 때 차량(100)의 측면에서 이동 중인 사용자 또는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충돌(접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특정 이벤트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언폴딩되는 사이드 미러(140)에 의해 사용자의 접근이 방해 받지 않거나 사이드 미러(140)가 장애물과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이드 미러(140)의 자동 폴딩/언폴딩 제어 방법을 개선하고자 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일부 구성 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장애물 및 운전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감지부(110), 원격 조작 장치(200) 및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20), 차량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130) 및 감지부(110)에서 측정한 결과를 기초로 사이드 미러(1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10)는 실시간으로 차량(100) 주변에 위치하는 장애물 및 차량(100)에 접근하는 운전자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한 결과를 제어부(150)로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10)는 차량(100)의 다양한 위치에 마련된 센서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접근 방향 및 운전자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고, 차량(100) 주변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감지부(100)는 장애물 및 운전자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센서는 초음파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특정한 센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센서는 사이드 미러(차량)의 내부 또는 일 측면에 마련되거나, 차량(100) 내부 또는 외부의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도 있다..
통신부(120)는 원격 조작 장치(200)와 신호를 송수신하고 송수신한 결과를 제어부(150)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부(120)는 외부 서버와 여러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RF(Radio Frequency),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엔에프씨(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광대역(Ultra-Wide Band: UWB) 통신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서버(200)와 정보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다.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전술한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는 방법이면, 어느 방식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도 5에서는 통신부(120)가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단일의 구성요소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미도시) 및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미도시)가 별도로 존재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53에서는 감지부(110)와 통신부(120)를 별도의 구성 요소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신부(120)가 하는 역할을 감지부(110)가 동시에 수행할 수 도 있고, 통신부(120)가 감지부(110)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차량(100)에 관한 각종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30)는 차량(100)의 길이, 높이, 너비 등에 대한 정보와 더불어 사이드 미러(140)가 폴딩과 언폴딩 되었을 때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제어부(150)로 송신되고 제어부(150)는 저장부(130)로부터 수신한 정보와 감지부(110) 및 통신부(120)에서 수신한 결과를 기초로 사이드 미러(140)의 작동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13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50)와 관련하여 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차량(100)에 마련되어 있는 각종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감지부(110)로부터 수신한 운전자의 접근 방향과 운전자와의 거리 그리고 장애물과의 거리를 기초로 사이드 미러(1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데, 제어부(150)는 장애물과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사이드 미러(140)를 언폴딩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거리는 사이드 미러(140)를 언폴딩(전개) 하였을 때, 차량(100) 주변에 위치하는 운전자와 장애물과 부딪히지 않는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사이드 미러(140)와 운전자 또는 장애물과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포함된다면, 사이드 미러(140)를 언폴딩할 경우 사이드 미러(140)는 운전자 또는 장애물과 충돌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제어부(150) 사이드 미러(140)를 언폴딩하지 않는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거리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다양한 길이로 설정될 수 있으며, 단순히 사이드 미러(140)가 운전자 또는 장애물과 부딪히지 않는 최소 거리 뿐만 아니라, 사이드 미러(140)를 전개하였을 때 운전자가 통과할 수 있는 거리 등을 포함한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차량(100)에 맞춰 다양한 길이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미러(140)는 제1사이드 미러 및 제2사이드 미러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1사이드 미러는 차량(100) 좌측에 마련되는 사이드 미러(140L)를 의미하고 제2사이드 미러는 차량(100) 우측에 마련되는 사이드 미러(140R)로 지칭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칭에 한정되는 것은 반대로 지칭될 수 있다. 즉, 제1사이드 미러는 차량(100) 우측에 마련되는 사이드 미러(140R)를 지칭되고, 제2사이드 미러는 차량(100) 좌측에 마련되는 사이드 미러(140L)로 지칭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기초로 제1사이드 미러 및 제2 사이드 미러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장애물이 제1사이드 미러 측면에만 존재하는 경우, 제1사이드 미러의 작동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사이드 미러 측면에만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제1사이드 미러와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제1사이드 미러를 언폴딩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50)는 장애물이 제2사이드 미러 측면에만 존재하는 경우, 제2사이드 미러의 작동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사이드 미러 측면에만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제2사이드 미러와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제2사이드 미러를 언폴딩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100) 환경에 기초하여 제1사이드 미러와 장애물과의 미리 설정된 거리 및 제2사이드와 장애물과의 미리 설정된 거리는 각각 서로 다른 거리를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운전자의 접근 방향에 기초하여 제1사이드 미러 및 제2사이드 미러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차량(100)의 후방에서 접근하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어부(150)는 제1사이드 미러와 제2사이드 미러를 동시에 언폴딩할 수 있다.
반대로, 차량(100)의 전방에서 운전자가 접근하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어부(150)는 제1사이드 미러와 장애물과의 거리 및 제2사이드 미러와 장애물과의 거리를 기초로 제1사이드 미러와 제2사이드 미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7 일 실시예에 따라, 운전자의 접근 방향 및 거리를 측정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차량(100)에 접근하는 운전자(1)와의 거리 및 접근해오는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S100)
구체적으로, 차량(100)의 여러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센서를 이용하여 운전자(1) 및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차량(100)의 전방과 후방에 마련되어 있는 센서(111a, 111d, 111e)를 이용하여 운전자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차량(100) 전방에 마련되어 있는 센서(111a)를 이용하여 운전자(1)가 차량(100) 전방에서 접근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고, 차량 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센서(111e)를 이용하여 운전자(1)가 후방에서 접근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운전자(1)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는 경우 전방 및 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센서(111a, 111e)를 이용하여 각각 거리(d1, d2)를 측정하고 이를 기초로 정확한 운전자와의 거리 및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운전자(1)는 원격 조작 장치(200)를 소지한 채로 차량(100)에 접근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차량(100)에 마련되어 있는 센서들은 원격 조작 장치(200)와의 수행된 통신 정보를 기초로 운전자(1)와의 거리 및 접근 방향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운전자가 차량(100)의 후방에서 접근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S200)
운전자가 차량(100)의 후방에서 접근해왔다면, 양쪽 사이드 미러를 언폴딩하여 사용자가 차량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S300)
만약, 운전자가 차량(100)의 후방에서 접근해오지 않은 경우, 차량(100)은 운전자가 전방에서 접근하거나 차량(100)의 전원이 원격 조작 장치(100)에 의해 온(On)이 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400)
운전자가 차량(100) 전방에서 접근해오거나 차량(100)의 전원이 원격 시동 장치(200)에 의해 온이 된 경우에는 제1사이드미러와 장애물 또는 운전자와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500)
측정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였다면 사이드 미러를 언폴딩할 수 있으므로 제1사이드 미러를 언폴딩한다.(S600)
또한, 제2사이드미러와 장애물 또는 운전자와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였는지 판단하고, 측정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를 초과한 경우 제2사이드 미러를 언폴딩한다.(S700, S800)
미리 설정된 거리는 사이드 미러(140)를 언폴딩(전개) 하였을 때, 차량(100) 주변에 위치하는 운전자와 장애물과 부딪히지 않는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사이드 미러(140)와 운전자 또는 장애물과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포함된다면, 사이드 미러(140)를 언폴딩할 경우 사이드 미러(140)는 운전자 또는 장애물과 충돌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제어부(150) 사이드 미러(140)를 언폴딩하지 않는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거리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다양한 길이로 설정될 수 있으며, 단순히 사이드 미러(140)가 운전자 또는 장애물과 부딪히지 않는 최소 거리 뿐만 아니라, 사이드 미러(140)를 전개하였을 때 운전자가 통과할 수 있는 거리 등을 포함한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차량(100)에 맞춰 다양한 길이로 설정할 수 있다.
지금까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구성 요소 및 차량(100)의 제어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종래 기술의 경우, 차량 주변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사이드 미러를 작동하는데 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그러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사이드 미러를 작동시키는데 있어서, 주변 장애물과의 거리를 판단하고 이를 기초로 사이드 미러의 폴딩 또는 언폴딩을 제어하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사이드 미러를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지금까지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차량
110: 감지부
120: 통신부
130: 저장부
140: 사이드미러
150: 제어부
200: 원격 조작 장치

Claims (20)

  1. 사이드 미러;
    차량에 접근하는 운전자와 상기 사이드 미러와의 거리 및 장애물과 상기 사이드 미러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감지부; 및
    측정된 상기 사이드 미러와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 및 상기 운전자의 접근 방향을 기초로 상기 사이드 미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운전자가 상기 차량의 전방에서 접근하거나, 원격 조작 장치에 의해 상기 차량의 전원이 온(On)된 경우, 상기 장애물 및 상기 운전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이드 미러를 언폴딩하는 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차량의 상기 원격 조작 장치를 감지하여 상기 운전자의 접근 방향 및 상기 운전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차량.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가 상기 차량의 후방에서 접근하는 경우, 상기 사이드 미러를 언폴딩하는 차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미러는 제1사이드 미러 및 제2사이드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제1사이드 미러 및 제2 사이드 미러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차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이드 미러와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이드 미러를 언폴딩하고, 상기 제1사이드 미러 및 제2사이드 미러와 상기 장애물과의 미리 설정된 거리는 각각 서로 다른 거리를 갖는 차량.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이 상기 제1사이드 미러 측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사이드 미러의 작동만 제어하는 차량.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이 상기 제2사이드 미러 측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사이드 미러의 작동만 제어하는 차량.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의 접근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제1사이드 미러 및 제2사이드 미러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차량.
  11. 운전자가 차량의 전방에서 접근하거나, 원격 조작 장치에 의해 상기 차량의 전원이 온(On)된 경우, 상기 차량에 접근하는 상기 운전자와 사이드 미러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가 상기 차량의 전방에서 접근하거나, 상기 원격 조작 장치에 의해 상기 차량의 전원이 온(On)된 경우, 장애물과 상기 사이드 미러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사이드 미러와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 및 상기 운전자의 접근 방향을 기초로 상기 사이드 미러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미러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이드 미러를 언폴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와 사이드 미러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상기 원격 조작 장치를 감지하여 상기 운전자의 접근 방향 및 상기 운전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미러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가 상기 차량의 후방에서 접근하는 경우, 상기 사이드 미러를 언폴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미러는, 제1사이드 미러 및 제2사이드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미러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제1사이드 미러 및 제2 사이드 미러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미러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이드 미러와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이드 미러를 언폴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사이드 미러 및 제2사이드 미러와 상기 장애물과의 미리 설정된 거리는 각각 서로 다른 거리를 갖는 차량의 제어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미러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장애물이 상기 제1사이드 미러 측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사이드 미러의 작동만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미러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장애물이 상기 제2사이드 미러 측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사이드 미러의 작동만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미러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의 접근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제1사이드 미러 및 제2사이드 미러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KR1020170155260A 2017-11-21 2017-11-21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485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260A KR102485245B1 (ko) 2017-11-21 2017-11-21 차량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260A KR102485245B1 (ko) 2017-11-21 2017-11-21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849A KR20190057849A (ko) 2019-05-29
KR102485245B1 true KR102485245B1 (ko) 2023-01-06

Family

ID=66672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260A KR102485245B1 (ko) 2017-11-21 2017-11-21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24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8095A (ko) * 2003-11-19 2005-05-2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 및 방법
KR101601302B1 (ko) * 2010-08-31 2016-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언폴딩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320255B1 (ko) * 2015-11-05 2021-11-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및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849A (ko)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64470B (zh) 车辆及其控制方法
US10732257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5807904B (zh) 用于车辆的人机接口设备及其控制方法
US20070188122A1 (en) Rain sensing automatic power windows
CN109703516B (zh) 车辆及车辆系统
KR102578196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491371B1 (ko) 원격 조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842436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N110834601A (zh) 遥控器、与其通信的车辆以及控制车辆的方法
KR102488706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35124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320255B1 (ko) 자동차 및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 방법
KR102485245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20230060470A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89959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67844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642241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384151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90450A (ko) 테일 게이트의 개폐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
KR102504474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2018043728A (ja) 車両用情報表示装置及び車両用情報表示システム
KR102211311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
KR102455789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234551A1 (en) Device for controlling vehicle convenience equipment, and vehicle having the same
US20240067085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convenience equipment, and vehicle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