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556B1 -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556B1
KR102484556B1 KR1020210033147A KR20210033147A KR102484556B1 KR 102484556 B1 KR102484556 B1 KR 102484556B1 KR 1020210033147 A KR1020210033147 A KR 1020210033147A KR 20210033147 A KR20210033147 A KR 20210033147A KR 102484556 B1 KR102484556 B1 KR 102484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toeing
cover
cover bod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8709A (ko
Inventor
이세전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210033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556B1/ko
Publication of KR20220128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58Auxiliary devices
    • B60D1/60Covers, caps or guards, e.g. comprising anti-theft devices
    • B60D1/605Protection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는 범퍼에 연결된 토잉후크가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 관통 홀을 갖는 범퍼커버부, 범퍼커버부의 적어도 일측에 연결되고, 제1 관통 홀과 함께 토잉후크가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2 관통 홀을 갖는 범퍼사이드부, 및 제1, 2 관통 홀을 동시에 개폐시키며 누름 조작이 가능한 손잡이부가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는 토잉커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VEHICLE BUMPER TOEING COVER ASSEMBL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범퍼커버와 토잉커버의 조립구조를 단순 스윙방식 개방구조에서 벗어나 손잡이 형태로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개선한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토잉 후크는 차량의 구난 또는 견인 시 케이블을 차체에 연결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예를 들어, 토잉 후크의 일반적인 구조는 차체에 고리 형상의 후크가 직접 용접되어 고정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차량의 종류에 따라, 토잉 후크는 범퍼, 구체적인 예로서 프런트 범퍼 또는 리어 범퍼의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토잉 후크는 차량의 범퍼를 관통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관통 홀을 형성하여 토잉 후크가 연결되며, 이 경우 별도의 커버를 마련하여 필요 시에만 관통 홀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커버를 토잉커버라 한다.
기존의 일반적인 토잉커버는 단순히 푸쉬 또는 회전 방식으로 개폐되는 구조로서, 토잉커버 자체가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져 있었기에 입체적 형상으로 외관을 디자인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따랐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한 토잉커버의 손쉬운 개폐 조작은 물론, 토잉커버의 미 사용 시 차량의 범퍼와의 보다 입체적인 외관 디자인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디자인 자유도가 높은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30351호에는 차량용 토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범퍼 빔 유닛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이에 개시된 선행문헌에 따르면, 범퍼 빔에 장착되어 토잉 후크가 체결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을 뿐, 손잡이를 이용하여 손쉽게 탈부착 가능하며 디자인 자유도 향상을 위해 입체적인 외관 디자인을 갖는 토잉커버의 구성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개시하거나 언급하는 바가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30351호
본 발명의 목적은 범퍼커버와 토잉커버의 조립구조를 단순 스윙방식 개방구조에서 벗어나 손잡이를 이용하여 범퍼에서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개선하여 입체적인 디자인 자유도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범퍼커버와 토잉커버의 조립구조를 단순 스윙방식 개방구조에서 벗어나 손잡이를 이용하여 범퍼에서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개선하여 입체적인 디자인 자유도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를 제공한다. 기존의 토잉커버는 푸쉬(또는 회전) 조작을 위해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져 있었기에 디자인적인 제약이 따랐으나, 본 발명은 손잡이 적용을 통해 사용자가 손쉽게 범퍼에서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하여 보다 입체적인 외관 디자인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는 차량의 범퍼에 구비되며, 상기 범퍼에 연결된 토잉후크가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 관통 홀을 갖는 범퍼커버부; 상기 범퍼커버부의 적어도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관통 홀과 연결되며 상기 제1 관통 홀과 함께 상기 토잉후크가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2 관통 홀을 갖는 범퍼사이드부; 및 상기 범퍼커버부 및 상기 범퍼사이드부에 착탈 결합되고, 상기 제1, 2 관통 홀을 동시에 개폐시키며, 상기 제1, 2 관통 홀의 개폐 시 착탈을 위한 누름 손잡이부가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는 토잉커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에서, 상기 범퍼커버부는, 선단 부위가 상기 범퍼에서 소정 길이로 돌출된 입체블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범퍼사이드부는, 상기 범퍼커버부의 후단 부위와 나란하게 연결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에서, 상기 토잉커버부는, 일단부는 상기 범퍼커버부에 대응하는 입체블록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관통 홀을 개폐시키도록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범퍼사이드부에 대응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관통 홀을 개폐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에서, 상기 토잉커버부는, 상기 범퍼커버부에 대응하는 입체블록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관통 홀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범퍼커버부에 나란히 밀착하여 배치되는 제1 토잉커버 몸체부; 및 상기 제1 토잉커버 몸체부에 비해 소정 높이 단차를 가지면서 상기 범퍼사이드부에 대응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관통 홀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범퍼사이드부에 나란히 밀착 배치되는 제2 토잉커버 몸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토잉커버 몸체부는, 상기 제2 토잉커버 몸체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돌출되는 복수의 경사 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복수의 경사 면 중 적어도 하나의 경사 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사 면에서 내측으로 소정 깊이만큼 함몰하여 형성되고, 상기 함몰된 바닥 면에 손가락이 밀착되는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에서, 상기 제1 토잉커버 몸체부 및 상기 제2 토잉커버 몸체부는,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에서, 상기 제1 토잉커버 몸체부 및 상기 제2 토잉커버 몸체부는, 폴리프로필렌(PP), EPDM을 포함하는 탄성 고무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토잉커버 몸체부 및 상기 제2 토잉커버 몸체부는, TPM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2 토잉커버 몸체부는 내구성이 우수한 탄성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는 손쉽게 손가락 힘을 이용하여 토잉커버부의 탄성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부에 손가락을 대고 힘을 가하면 제1 토잉커버 몸체부는 소정 방향으로 탄성 수축될 수 있으며, 또한 반대로 가한 힘을 제거할 경우 제1 토잉커버 몸체부는 원래 형상으로 쉽게 복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에서, 상기 제2 토잉커버 몸체부는, 상기 범퍼사이드부에 밀착 시 상기 범퍼사이드부의 배면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며 상기 범퍼사이드부의 배면에 소정 길이로 걸려 고정되는 걸림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범퍼사이드부는, 상기 제2 관통 홀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제2 토잉커버 몸체부의 밀착 시 상기 제2 토잉커버 몸체부의 배면을 접촉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편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토잉커버 몸체부는, 상기 범퍼사이드부에 밀착 시 상기 범퍼사이드부의 배면 중 제1 위치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제1 걸림 돌기와, 상기 범퍼사이드부에 밀착 시 상기 범퍼사이드부의 배면 중 상기 제1 위치와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하여 위치하는 제2 위치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제2 걸림 돌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범퍼사이드부는 상기 제1 걸림 돌기와 상기 제2 걸림 돌기 사이에서 상기 제2 관통 홀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제2 토잉커버 몸체부의 밀착 시 상기 제2 토잉커버 몸체부의 배면을 접촉 지지하는 제1 지지 편과, 상기 제1 지지 편과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지지 편과 함께 상기 제2 토잉커버 몸체부의 배면을 접촉 지지하는 제2 지지 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에서, 상기 제1 토잉커버 몸체부는, 상기 제2 토잉커버 몸체부가 연결된 반대 편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1 관통 홀의 테두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돌출된 누름 고정 편을 구비하고, 상기 누름 고정 편은, 상기 손잡이부의 누름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토잉커버 몸체부의 탄성 변형 및 복원에 의해 상기 제1 관통 홀의 테두리에 마련된 고정 홈에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범퍼커버부는, 상기 고정 홈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관통 홀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하여 돌출된 연장 지지 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 지지 편은, 상기 누름 고정 편이 상기 고정 홈에 결착 시 상기 제1 토잉커버 몸체부의 배면을 접촉 지지할 수 있다.
연장 지지 편은, 상기 제1 토잉커버 몸체부의 하단 양측에서 상기 제1 관통 홀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1 연결 지지 편과, 상기 고정 홈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연결 지지 편과 다른 각도로 연결되는 제2 연결 지지 편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연결 지지 편은 상기 제1 토잉커버 몸체부의 안착 시 상기 제1 토잉커버 몸체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회동 돌기를 더 구비하며, 회동 돌기는 상기 제2 토잉커버 몸체부의 고정 후 상기 제1 토잉커버 몸체부의 착탈을 위한 회전 중심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토잉커버 몸체부의 일단에는 연결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라인은 상기 제2 연장 지지 편에 마련된 제3 관통 홀을 관통하여 상기 범퍼 내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범퍼커버와 토잉커버의 조립구조를 단순 스윙방식 개방구조에서 벗어나 손잡이를 이용하여 범퍼에서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개선하여 입체적인 디자인 자유도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토잉커버는 푸쉬(또는 회전) 조작을 위해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져 있었기에 디자인적인 제약이 컸다.
본 발명은 기존의 푸쉬 스윙형 토잉커버의 디자인 제약에서 벗어나 보다 입체적 형상에서의 손잡이 적용을 통한 작동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 대비 디자인 자유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가 적용된 범퍼의 전체 형상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 중에서 범퍼커버부 및 범퍼사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 중에서 토잉커버부를 간략히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 중에서 토잉커버부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에서 제1, 2 관통 홀에 토잉커버부가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가 적용된 범퍼의 전체 형상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 중에서 범퍼커버부 및 범퍼사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 중에서 토잉커버부를 간략히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 중에서 토잉커버부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1000)는 토잉커버부(200)의 조립구조를 기존의 스윙방식 개폐 구조에서 벗어나, 누름 손잡이부(220)를 이용하여 범퍼(100)에서 토잉커버부(200)를 손쉽게 착탈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1000)는 다양한 입체적인 디자인 자유도를 구현할 수 있다.
기존의 토잉커버부는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져 있었기에 디자인적인 제약이 따랐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1000)에 의하면 입체적인 외관 디자인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1000)는 범퍼커버부(110), 범퍼사이드부(130), 및 토잉커버부(200)를 포함한다(도 2 참조).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1000)의 세부 구성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범퍼커버부(110)
범퍼커버부(110)는 차량의 범퍼(100)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는, 범퍼커버부(110)는 범퍼(100)에 연결된 토잉후크(미도시)가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범퍼커버부(110)는 토잉후크의 관통에 필요한 홀을 갖는데 이를 제1 관통 홀(115)이라 한다.
여기서, 토잉후크라 함은, 차량의 범퍼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범퍼 빔에 연결되어 차량을 견인하거나 차량을 고정하는데 필요한 후크 형태의 체결용 장치를 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1000)에서, 범퍼커버부(110)는 범퍼(100)에서 소정 길이로 돌출된 입체블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범퍼커버부(110)는 삼각형 단면의 산 모양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끝 부위가 평탄하거나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반드시 도시된 형상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와 다른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
범퍼사이드부(130)
범퍼사이드부(130)는 상기 범퍼커버부(110)의 적어도 일측에 연결되며, 범퍼커버부(110)와 함께 차량의 범퍼(100)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는 범퍼사이드부(130)는 토잉후크의 관통에 필요한 홀을 갖는데 이를 제2 관통 홀(135)이라 한다.
제2 관통 홀(135)은 상기 제1 관통 홀(115)과 연결되며 상기 제1 관통 홀(115)과 함께 토잉후크가 관통하도록 소정의 면적으로 개방된 홀을 형성한다(도 3 참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1000)에서 범퍼사이드부(130)는 범퍼커버부(110)의 돌출되지 않은 부위와 나란하게 연결된 평면 또는 곡면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범퍼사이드부(130)는 플레이트 형상의 일면을 통해 마름모 형상 등의 요철 무늬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요철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토잉커버부(200)
토잉커버부(200)는 범퍼커버부(110) 및 범퍼사이드부(130)에 착탈 결합되는 커버 형태의 부재이다.
구체적으로는 토잉커버부(200)는 상기 제1, 2 관통 홀(115,135)을 동시에 개폐, 즉 한번에 제1, 2 관통 홀(115, 135)을 모두 개폐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토잉커버부(200)는 제1, 2 관통 홀(115, 135)의 개폐 시 범퍼커버부(110) 및 범퍼사이드부(130)에 착탈 되기 위해 별도의 누름 손잡이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름 손잡이부(220)는 토잉커버부(200)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다른 예로서, 누름 손잡이부(220)는 토잉커버부(200)에 복수 개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적어도 2개의 손가락에 의해 착탈 시 필요한 힘을 제공 받을 수 있다.
누름 손잡이부(220)의 형상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형상에 반드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토잉커버부(200)는 양단부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잉커버부(200)의 일단부는 범퍼커버부(110)에 대응하는 입체블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잉커버부(200)의 일단부는 상기 제1 관통 홀(115)을 개폐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토잉커버부(200)의 타단부는 범퍼사이드부(130)에 대응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잉커버부(200)의 타단부는 상기 제2 관통 홀(135)을 개폐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토잉커버부(200)는 제1 토잉커버 몸체부(210)와 제2 토잉커버 몸체부(230)를 포함한다.
이때, 제1 토잉커버 몸체부(210)는 범퍼커버부(110)에 대응하는 입체블록 형상을 가지고 제1 관통 홀(115)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1 토잉커버 몸체부(210)는 제1 관통 홀(115)을 차폐 시 범퍼커버부(110)에 나란히 밀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토잉커버 몸체부(230)는 제1 토잉커버 몸체부(210)에 비해 소정 높이 단차를 가지는데, 범퍼사이드부(130)에 대응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제2 관통 홀(135)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2 토잉커버 몸체부(230)는 제2 관통 홀(135)을 차폐 시 범퍼사이드부(130)에 나란히 밀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1 토잉커버 몸체부(210)는 제2 토잉커버 몸체부(2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돌출되는 복수의 경사 면(213)을 구비할 수 있다. 손잡이부(220)는 복수의 경사 면(213) 중 적어도 하나의 경사 면에 위치할 수 있다(도 5 참조).
예를 들어, 손잡이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 면(213)에서 내측으로 소정 깊이만큼 함몰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221)을 포함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홈(221) 내부에 함몰된 바닥 면(223)은 사용자의 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가 완전히 밀착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홈(221) 내부의 바닥 면(223)에 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를 밀착시켜 제1 토잉커버 몸체부(230)의 경사 면(213)을 큰 힘으로 가압하여 착탈에 필요한 소재의 탄성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홈(221)의 바닥 면(223)은 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와 완전히 밀착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1000)에서 제1 토잉커버 몸체부(210)와 제2 토잉커버 몸체부(230)는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토잉커버 몸체부(210)와 제2 토잉커버 몸체부(230)는 탄성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서, 제1 토잉커버 몸체부(210)와 제2 토잉커버 몸체부(230)는 폴리프로필렌(PP), EPDM을 포함하는 탄성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토잉커버 몸체부(210)와 제2 토잉커버 몸체부(230)는 TPM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손쉽게 손가락 힘을 이용하여 토잉커버부(220)의 탄성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부(220)를 구성하는 홈(221)의 바닥 면(223)에 손가락을 완전히 밀착시킨 후 손잡이부(220)를 들어 올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제1 토잉커버 몸체부(210)는 탄성 변형되며 설정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범퍼커버부(1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손가락을 통해 가한 힘을 제거하면 제1 토잉커버 몸체부(210)는 원래의 형상으로 바로 복원될 수 있다.
범퍼 토잉커버부 조립구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에서 제1, 2 관통 홀에 토잉커버부가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1000)에서 제2 토잉커버 몸체부(230)는 범퍼사이드부(130)에 밀착 시 범퍼사이드부(130)의 배면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걸림 돌기(231, 232)를 더 구비한다.
걸림 돌기(231, 232)는 범퍼사이드부(130)의 배면으로 슬라이딩 삽입된 후 범퍼사이드부(130)의 배면에 소정 길이로 걸려 제2 토잉커버 몸체부(230)의 분리 및 이탈을 방지한다.
한편, 범퍼사이드부(130)는 제2 관통 홀(135)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 편(131, 132)을 포함한다.
복수의 지지 편(131, 132)은 제2 토잉커버 몸체부(230)가 범퍼사이드부(130)에 밀착 시 제2 토잉커버 몸체부(230)의 배면을 접촉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2 토잉커버 몸체부(230)는 제1 걸림 돌기(231)와 제2 걸림 돌기(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림 돌기(231)는 제2 토잉커버 몸체부(230)가 범퍼사이드부(130)에 밀착 시 범퍼사이드부(130)의 배면 중 제1 위치로 슬라이딩 삽입된다.
제2 걸림 돌기(232)는 제2 토잉커버 몸체부(230)가 범퍼사이드부(130)에 밀착 시 제2 위치로 슬라이딩 삽입된다. 제2 위치는 범퍼사이드부(130)의 배면 중 제1 위치와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된 위치를 말하는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소정의 거리 상에는 후술될 제1 지지 편(131)이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범퍼사이드부(130)는 제1 지지 편(131)과 제2 지지 편(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편(131)은 제1 걸림 돌기(231)와 제2 걸림 돌기(233) 사이에서 제2 관통 홀(135)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1 지지 편(131)은 제2 토잉커버 몸체부(230)의 밀착 시 제2 토잉커버 몸체부의 배면을 접촉 지지한다.
제2 지지 편(132)은 제1 지지 편(131)과 간격을 두고 제1 지지 편(131)과 함께 제2 걸림 돌기(232)의 외측에서 제2 토잉커버 몸체부(230)의 배면을 접촉 지지한다.
이와 같이, 제1, 2 지지 편(131, 132)은 범퍼사이드부(130)에서 제2 관통 홀(135)을 향해 서로 이격하여 돌출되고, 제1, 2 걸림 돌기(231, 232)는 제1, 2 지지 편(131, 132)가 돌출되지 않은 위치에서 서로 이격하여 범퍼사이드부(130)의 배면을 향해 슬라이딩 삽입 가능하게 돌출된다.
이에 따라, 제1, 2 걸림 돌기(231, 232)와 제1, 2 지지 편(131, 132)는 제2 토잉커버 몸체부(230)가 범퍼사이드부(130)에 결합 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이중의 지지 구조를 제공하며 정해진 위치로의 결합 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제1, 2 걸림 돌기(231, 232)와 제1, 2 지지 편(131, 132)는 제2 토잉커버 몸체부(230)가 범퍼사이드부(130)에 결합된 이후, 제2 토잉커버 몸체부(230)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임의로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제1 토잉커버 몸체부(210)는 누름 고정 편(211)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누름 고정 편(211)은 제1 토잉커버 몸체부(210) 중에서 제2 토잉커버 몸체부(230)가 연결된 위치의 반대 편 하단 부위에서 제1 관통 홀(115)의 일측 테두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돌출될 수 있다.
누름 고정 편(211)은 손잡이부(220)가 구비된 경사 면(213)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도 7 참조).
누름 고정 편(211)은 손잡이부(220)의 누름 조작에 의해 제1 관통 홀(115)에 삽입 가능한 방향으로 제1 토잉커버 몸체부(210)와 함께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반대로 손잡이부(220)의 누름 조작이 해제되면 누름 고정 편(211)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220)의 누름 조작에 의해 제1 토잉커버 몸체부(210)의 탄성 변형 또는 복원이 이루어짐에 따라, 누름 고정 편(211)은 제1 관통 홀(115)의 일측 테두리에 마련된 고정 홈(116)에 삽입 고정되거나 또는 고정 홈(116)의 외부로 벗어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220)의 누름 조작 시 제1 토잉커버 몸체부(210)의 경사 면(216)의 변형이 최대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누름 고정 편(211)은 손잡이부(220)가 위치한 경사 면(216)의 하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범퍼커버부(110)는 연장 지지 편(117, 1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 지지 편(117, 118)은 고정 홈(116)을 사이에 두고 제1 관통 홀(115)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연장 지지 편(117, 118)은 누름 고정 편(211)이 고정 홈(116)에 삽입 고정되는 결착 상태에서, 제1 토잉커버 몸체부(210)의 배면에 소정 면적으로 접촉되어 접촉 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연장 지지 편(117, 118)은 제1 토잉커버 몸체부(210)의 견고한 결합을 유지시켜주며, 제1 관통 홀(115)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 지지 편(117, 118)은 제1 연장 지지 편(117)과 제2 연장 지지 편(1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 지지 편(117)은 제1 토잉커버 몸체부(210)의 하단 양측에서 제1 관통 홀(115)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1 연장 지지 편(117)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제1 연장 지지 편(117) 각각은 제1 관통 홀(115)의 양측에서 제2 관통 홀(135)을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결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연장 지지 편(118)은 고정 홈(116)이 위치한 제1 관통 홀(115)의 일측 테두리에 위치하는데, 고정 홈(116)을 사이에 두고 제1 연결 지지 편(117)과 서로 다른 각도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결 지지 편(117)에는 회동 돌기(117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토잉커버부(200)는 제2 토잉커버 몸체부(230)가 범퍼사이드부(230)에 먼저 고정된 다음 제1 토잉커버 몸체부(210)가 범퍼커버부(110)를 향하여 설정 방향으로 회전하여 누름 고정 편(211)이 고정 홈(116)에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진다.
회동 돌기(117a)는 제2 토잉커버 몸체부(230)가 범퍼사이드부(230)에 고정된 후 제1 토잉커버 몸체부(210)가 범퍼커버부(110)에 결합될 때, 제1 토잉커버 몸체부(210)의 결합을 위한 회전을 가능하게 해준다.
회동 돌기(117a)는 토잉커버부(200)의 회전 중심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회동 돌기(117a)는 제1 토잉커버 몸체부(210)의 양측, 즉 경사 면(213)과 이웃한 양 측면에 결합되어 제1 토잉커버 몸체부(210)의 회전 시 회전 축 형태로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한편, 제1 토잉커버 몸체부(210)의 일단에는 연결라인(300)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연결라인(300)은 제2 연장 지지 편(118)의 일측에 마련된 제3 관통 홀을 관통하여 범퍼(100)의 내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범퍼커버부와 토잉커버부의 조립구조를 단순 스윙방식 개방구조에서 벗어나 손잡이를 이용하여 범퍼에서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개선하여 입체적인 디자인 자유도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0: 범퍼
110: 범퍼커버부
115: 제1 관통 홀
116: 고정 홈
117: 제1 연장 지지 편
117a: 회동 돌기
118: 제2 연장 지지 편
119: 제3 관통 홀
130: 범퍼사이드부
131, 132: 지지 편
135: 제2 관통 홀
200: 토잉커버부
210: 제1 토잉커버 몸체부
211: 누름 고정 편
213: 경사 면
215: 측면
220: 손잡이부
221: 홈
223: 바닥 면
230: 제2 토잉커버 몸체부
231, 232: 걸림 돌기
233, 234: 지지 편
300: 연결라인
1000: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

Claims (10)

  1. 범퍼에 연결된 토잉후크가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 관통 홀을 갖는 범퍼커버부;
    상기 범퍼커버부의 적어도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관통 홀과 함께 상기 토잉후크가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2 관통 홀을 갖는 범퍼사이드부; 및
    상기 제1, 2 관통 홀을 동시에 개폐시키며 누름 조작이 가능한 손잡이부가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는 토잉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잉커버부는, 상기 범퍼커버부에 대응하는 입체블록 형상을 가지고 상기 범퍼커버부에 나란히 밀착하여 배치되는 제1 토잉커버 몸체부; 및
    상기 제1 토잉커버 몸체부에 비해 소정의 높이 단차를 가지면서 상기 범퍼사이드부에 대응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상기 범퍼사이드부에 나란히 밀착 배치되는 제2 토잉커버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토잉커버 몸체부는 상기 범퍼사이드부의 배면 중 제1 위치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제1 걸림 돌기와, 상기 범퍼사이드부의 배면 중 상기 제1 위치와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하여 위치하는 제2 위치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제2 걸림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범퍼사이드부는 상기 제1 걸림 돌기와 상기 제2 걸림 돌기 사이에서 상기 제2 관통 홀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제2 토잉커버 몸체부의 배면을 접촉 지지하는 제1 지지 편과, 상기 제1 지지 편과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지지 편과 함께 상기 제2 토잉커버 몸체부의 배면을 접촉 지지하는 제2 지지 편을 포함하는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커버부는,
    상기 범퍼에서 적어도 한 방향으로 돌출된 입체블록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사이드부는,
    상기 범퍼커버부와 소정의 높이 단차를 두고 평면 또는 곡면을 이루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잉커버부는,
    일단부는 상기 범퍼커버부에 대응하는 입체블록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관통 홀을 개폐시키도록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범퍼사이드부에 대응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관통 홀을 개폐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잉커버 몸체부는,
    복수의 경사 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복수의 경사 면 중 적어도 하나의 경사 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잉커버 몸체부 및 상기 제2 토잉커버 몸체부는,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잉커버 몸체부 및 상기 제2 토잉커버 몸체부는,
    폴리프로필렌(PP), EPDM을 포함하는 탄성 고무 재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잉커버 몸체부는,
    상기 제2 토잉커버 몸체부가 연결된 반대 편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1 관통 홀의 테두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돌출된 누름 고정 편을 구비하고,
    상기 누름 고정 편은,
    상기 손잡이부의 누름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관통 홀의 테두리에 마련된 고정 홈에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
KR1020210033147A 2021-03-15 2021-03-15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 KR102484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147A KR102484556B1 (ko) 2021-03-15 2021-03-15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147A KR102484556B1 (ko) 2021-03-15 2021-03-15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709A KR20220128709A (ko) 2022-09-22
KR102484556B1 true KR102484556B1 (ko) 2023-01-04

Family

ID=83445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147A KR102484556B1 (ko) 2021-03-15 2021-03-15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5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83324B2 (ja) * 2012-11-07 2016-08-31 スズキ株式会社 キャップ組付構造
WO2020236608A1 (en) * 2019-05-17 2020-11-26 Magna Exteriors Inc. Trailer hitch cover retention and release featur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351B1 (ko) 2019-01-28 2020-07-06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토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범퍼 빔 유닛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83324B2 (ja) * 2012-11-07 2016-08-31 スズキ株式会社 キャップ組付構造
WO2020236608A1 (en) * 2019-05-17 2020-11-26 Magna Exteriors Inc. Trailer hitch cover retention and release fea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709A (ko)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44406B2 (ja) フロアカーペ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の留め具
GB2216173A (en) Strip clamp
KR20070044356A (ko) 사이드-릴리스 버클 조립체
EP2861792A1 (en) Laundry treatment device with door assembly
KR102484556B1 (ko)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
CN102777476A (zh) 搭扣结构
CA2317224C (en) Clipboard
JPH0216663Y2 (ko)
KR101592715B1 (ko) 차량용 매트 고정구
KR100315086B1 (ko) 판재고정구
KR20200072204A (ko) 헤어핀에 장착되는 액세서리부재
KR20080006395U (ko) 램프홀더
KR100233607B1 (ko) 센터 패시아 패널 탈장착구조
JP4338007B2 (ja) 蓋の開閉機構
CN112188858A (zh) 擦拭板
KR101657558B1 (ko) 집게
KR101701243B1 (ko) 헬멧
JPH0658874U (ja) ケース付はさみ
KR102284301B1 (ko) 와이어링 고정클립
JP3219287U (ja) 吊下具
KR102299895B1 (ko) 단추 유닛
KR970008147B1 (ko) 버클의 고정구조
JPH0239375Y2 (ko)
KR200447088Y1 (ko) 램프홀더
JPH0640349U (ja) クラ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