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012B1 - 차량용 파워시트레일 기어박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파워시트레일 기어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012B1
KR102484012B1 KR1020210056384A KR20210056384A KR102484012B1 KR 102484012 B1 KR102484012 B1 KR 102484012B1 KR 1020210056384 A KR1020210056384 A KR 1020210056384A KR 20210056384 A KR20210056384 A KR 20210056384A KR 102484012 B1 KR102484012 B1 KR 102484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box
housing
sides
diameter portion
housing cov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9138A (ko
Inventor
최진호
류진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to KR1020210056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012B1/ko
Publication of KR20220149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9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6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by linear actuators, e.g. linear screw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파워시트레일 기어박스에 관한 것으로, 웜휠을 인서트부시가 지지하고, 하우징커버들에 하우징댐퍼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며, 하우징커버들의 상부가 클립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부품수가 감소되어 장치 구성이 간단해지고, 조립이 간편하며, 중량과 제조 비용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하우징커버의 결합이 일정한 강도로 이루어짐으로써 부품 끼임에 의한 작동성 저하와, 갭에 의한 진동 및 이음 발생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파워시트레일 기어박스{Gear box of power seat rail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파워시트레일 기어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량화가 가능하고 작동 성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파워시트레일 기어박스에 관한 것이다.
파워시트레일은 시트의 전후 위치 조절이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파워시트레일은 내부에 리드스크류와 리드스크류에 설치된 기어박스를 구비하는데, 리드스크류는 로워레일에 장착되고 기어박스는 어퍼레일에 장착된다. 따라서 모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기어박스가 리드스크류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로워레일에 대해 어퍼레일이 이동하고, 이에 어퍼레일의 상부에 장착된 시트의 전후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기어박스(3)는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분할된 하우징커버(3a,3b)의 내부에 윔휠(5)과 웜샤프트(6)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우징커버(3a,3b)는 아연 합금 재질의 다이캐스팅 제품이다.
웜휠(5)은 리드스크류(1)의 외주에 나사 결합되고, 웜휠(5)과 웜샤프트(6)는 서로 치합되어 있으며, 도시하지 않았으나 웜샤프트(6)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다.
웜휠(5)의 양단부에는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스틸와셔(5a), 오링(5b), 고무댐퍼(5c), 사출부시(5d) 등의 링형 부품들이 다수 설치되어 웜휠(5)을 전후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지지하고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고 있다.
또한 웜샤프트(6)의 양단부에는 플랜지 사출부시(6a)가 구비되어 회전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기어박스(3)의 전면과 후면에는 고무재질의 하우징댐퍼(7)가 설치되어 기어박스(3)와 기어박스브라켓(2) 사이의 완충작용을 하고 있다. 기어박스브라켓(2)은 기어박스(3)와 결합되어 기어박스(3)와 함께 이동되고 전후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2a)가 어퍼레일에 고정됨으로써 기어박스(3)와 어퍼레일을 함께 이동시키는 연결수단이다.
기어박스(3)의 양측 하우징커버(3a,3b)는 상부가 한 쌍의 볼트(4)에 의해 결합되고, 하단부가 클립(8)에 의해 결합된다. 클립(8)에 의해 결합된 하단부는 기어박스브라켓(2)에 형성된 삽입홀(2b)에 삽입되어 기어박스(3)가 기어박스브라켓(2)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파워시트레일의 기어박스는 스틸와셔(5a), 오링(5b), 고무댐퍼(5c), 사출부시(5d), 플랜지 사출부시(6a) 등 웜휠(5)과 웜샤프트(6)를 지지하고 실링하는 부품들의 수가 많아 장치 구성이 복잡하고, 조립이 번거로우며(또한 조립 자동화에 불리), 중량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개별 부품으로 제작된 하우징댐퍼(7) 역시 상기의 문제점들을 가중시키는 요인 중 하나이다.
또한 종래의 기어박스(3)는 양측 하우징커버(3a,3b)의 상부가 한 쌍의 볼트(4)에 의해 결합되는데, 볼트(4) 역시 부품수와 중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일 뿐만 아니라, 볼트(4)가 과도하게 조여질 경우 하우징커버(3a,3b) 내부의 습동부에 웜휠(5)이 끼임으로써 웜휠(5)의 회전이 억제되어 기어박스(3) 구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볼트(4)가 느슨하게 조여질 경우 하우징커버(3a,3b)내 습동부와 웜휠(5)의 사이에 갭(gap)이 발생하여 웜휠(5)과 웜샤프트(6)의 회전중심이 어긋나게 되어 기어박스(3) 작동시 진동 및 이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4154호(2002.02.19.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부품수가 감소되어 장치 구성이 단순하고, 조립이 간편하며, 중량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이 감소되는 차량용 파워시트레일 기어박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트 체결력 과도에 의한 작동성 저하와, 부족에 의한 진동과 이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파워시트레일 기어박스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로 분할된 양측 하우징커버와; 양측 하우징커버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치합된 웜휠과 웜샤프트; 상기 양측 하우징커버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웜휠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인서트부시와; 상기 양측 하우징커버의 상부를 결합하는 클립;을 포함한다.
상기 양측 하우징커버의 상면에 체결홈이 형성되고, 양측 하우징커버의 상부 측면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클립은 금속 재질의 탄성편으로서 양단에 '<'형상의 체결편이 형성되고, 상기 클립은 상기 체결홈에 삽입 안착되며, 양단의 체결편이 양측 하우징커버의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려진다.
상기 양측 하우징커버의 하단에 서로 맞대지는 삽입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는 기어박스를 시트레일의 어퍼레일에 고정하는 기어박스브라켓의 바닥부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 결합된다.
상기 인서트부시는 단경부와 장경부가 형성된 플라스틱 재질의 사출부시와, 상기 장경부에 이중사출로 형성된 고무링을 포함하며, 고무링은 장경부 양측면에 형성된 고무층과 장경부의 외주면을 일정 간격마다 가로질러 양측 고무층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인서트부시가 웜휠의 단부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웜휠의 단부는 상기 하우징커버의 개구홀 내측 부분에 형성된 지지부에 지지된다.
상기 인서트부시의 단경부가 하우징커버에서 상기 지지부의 안쪽에 단차를 두고 형성된 다른 지지부에 지지되고, 상기 단경부의 단부면은 상기 두 지지부 사이의 단차면에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상기 인서트부시의 장경부에 구비된 고무링의 일측 고무층이 상기 단경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내측 단차면에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상기 하우징커버에 고무 재질의 하우징댐퍼가 일체로 이중사출되고, 상기 하우징댐퍼는 하우징커버의 전면과 후면에서 개구홀 주변부를 제외한 부분과, 전면과 후면의 양측 및 하부 모서리부, 바닥면 양측의 모서리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웜휠을 지지하는 다수의 부품들이 인서트부시로 대체됨으로써 기어박스의 구성이 단순해지고, 부품수가 감소되며(조립 자동화에 유리함), 중량 및 제조 비용이 감소된다.
양측 하우징커버를 결합하는 볼트가 보다 가벼운 클립으로 대체되고, 하우징커버가 금속 재질에서 플라스틱 재질로 변경됨으로써 기어박스의 중량이 감소된다.
양측 하우징커버의 상부가 클립으로 결합됨으로써 하우징커버가 항상 일정한 크기의 체결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력 과도에 따른 웜휠 끼임으로 인한 작동성 저하 문제가 해결된다. 또한 체결력 부족에 따른 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웜휠과 웜샤프트의 회전중심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작동시 진동 및 이음 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워 시트레일의 기어박스 설치 상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종래 기어박스의 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어박스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시트레일의 기어박스 설치 상태도.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기어박스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어박스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어박스의 조립 상태 측면도로서, 일측 하우징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파워시트레일 기어박스(30)는, 분할된 양측 하우징커버(31,32), 양측 하우징커버(31,32)의 사이에 설치되는 웜휠(50)과 웜샤프트(60), 웜휠(50)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인서트부시(70), 양측 하우징커버(31,32)의 상부를 결합하는 한 쌍의 클립(40)을 포함한다.
하우징커버(31,32)는 결합 상태의 외형은 대략 직육면체이며,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중간 부분이 좌우로 분할되어 좌측 하우징커버(31)와 우측 하우징커버(32)로 구성된다.
하우징커버(31,32)는 플라스틱 사출물로서 금속 재질에 비해 중량이 가벼우므로 기어박스(30) 경량화에 유리하다.
하우징커버(31,32)의 내측에는 웜휠(50)이 설치되는 원통형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커버(31,32)의 내측에는 상기 웜휠(5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웜휠(50)에 치합되는 웜샤프트(60)가 설치되는 공간도 형성된다.
하우징커버(31,32)의 전후 단부에는 리드스크류(10)가 관통될 수 있도록 개구홀이 형성되며, 개구홀의 내측 부분에는 웜휠(50)의 단부(51) 및 인서트부시(70)를 지지하는 원주 형상의 지지부(31c,31d)들이 형성된다(도 7참조).
하우징커버(31,32)의 상면에는 전방부와 후방부에 클립(40) 체결을 위한 체결홈(31b,32b)이 형성된다.
클립(40)은 탄성이 있는 얇은 강판의 양단이 절곡 성형되어 대략 '<'형상의 체결편(41)이 형성된 것으로, 클립(40) 전체가 양측 하우징커버(31,32)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홈(31b,32b)에 삽입 안착되고, 양단의 상기 체결편(41)이 하우징커버(31,32)의 측면 상부에 형성된 걸림홈(31ba,32ba)에 삽입되어 걸려짐으로써 클립(40)의 이탈이 방지되고, 양측 하우징커버(31,32)의 상부가 결합 상태를 유지한다.
양측 하우징커버(31,32)의 하면에는 서로 맞대지는 동일한 길이의 삽입부(31a,32a)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양측 삽입부(31a,32a)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일측 삽입부(31a)에는 결합돌기(31aa)가 형성되고 타측 삽입부(32a)에는 결합홈(32aa)이 형성된다. 따라서 양측 삽입부(31a,32a)가 서로 맞대질 때 결합돌기(31aa)가 결합홈(32aa)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양측 하우징커버(31,32)의 하부 결합력이 증대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결합된 양측 삽입부(31a,32a)는 기어박스브라켓(20)의 바닥부에 관통 형성된 삽입홈(22)에 삽입 결합된다. 따라서 양측 하우징커버(31,32) 하부의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고, 기어박스(30)가 기어박스브라켓(20)에서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상기 기어박스브라켓(20)은 바닥부의 전후에 전방벽과 후방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부 즉, 전방벽과 후방벽에는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직각으로 절곡된 플랜지(21)가 형성되고, 각 플랜지(21)에는 체결홀이 형성된다.
상기 기어박스브라켓(20)의 내측에 기어박스(30)가 삽입 안착되며, 기어박스(30)와 기어박스브라켓(20)의 사이에는 고무재질의 하우징댐퍼(80)가 구비되어 기어박스(30)와 기어박스브라켓(20) 사이의 완충재 역할을 한다.
리드스크류(10)는 기어박스브라켓(20)의 전방벽과 후방벽 및 기어박스(30)를 관통한다. 리드스크류(10)의 양단은 시트레일의 로워레일에 고정된다.
상기 기어박스브라켓(20)은 양측 플랜지(21)가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매개로 시트레일의 어퍼레일에 고정된다.
따라서 기어박스(30)가 리드스크류(10)을 따라 이동할 때 기어박스(30)와 함께 기어박스브라켓(20)도 이동한다. 따라서 기어박스(30) 작동에 의해 기어박스브라켓(20)이 장착된 어퍼레일이 로워레일(차량 실내 바닥에 고정됨)에 대해 전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웜휠(50)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서 중간 부분에 기어이가 형성되고, 웜휠(50)의 축방향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홀의 내주면에는 상기 리드스크류(10)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즉 웜휠(50)은 리드스크류(10)의 외주에 나사 결합된다.
웜휠(50)의 양측 단부(51)는 단순 원통 형상으로서 하우징커버(31,32)의 개구홀에 인접하여 형성된 지지부(31d)에 지지된다(도 7 참조).
상기 웜샤프트(60)는 웜휠(50)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중간 부분에 웜휠(50)의 기어이에 치합되는 기어이가 형성되고, 양측 단부(61)는 원통형이며 하우징커버(31,32)에 형성된 지지홀(31e,32e)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된다.
웜샤프트(60)의 일측 단부(61)에는 모터에 연결된 연결축(미도시)이 삽입 연결되어 모터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웜샤프트(60)를 회전시킨다.
상기 인서트부시(70)는 플라스틱 사출물인 사출부시(71)와 고무 사출물인 고무링(72)이 이중사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사출부시(71)는 단경부(71a)와 장경부(71b)가 단차를 두고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장경부(71b)에는 상기 고무링(72)이 이중사출된다.
상기 고무링(72)은 장경부(71b)의 양측면에 원주 둘레 전체에 걸쳐 고무 층을 형성하고, 양측 고무층은 장경부(71b)의 외주면을 일정 간격으로 가로지르는 다수의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구조로 형성된다. 고무링(72)의 표면은 장경부(71b)의 표면보다 미세하게 돌출되어 하우징커버(31,32)의 대응부에 접촉하여 실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인서트부시(70)는 웜휠(50)의 양측 단부(51)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단경부(71a)가 하우징커버(31)의 상기 지지부(31d) 안쪽에 단차를 두고 형성된 다른 지지부(31c)에 의해 지지된다. 즉, 인서트부시(70)의 단경부(71a)의 원주면은 상기 지지부(31c)에 원주 방향 전체에 걸쳐 지지되고, 단경부(71a)의 단부면은 상기 두 지지부(31d,31c) 사이의 단차면에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또한 장경부(71b)에 형성된 고무링(72)의 일측면이 역시 안쪽 지지부(31c)의 내측 단차면(기어박스의 안쪽을 향하는 면)에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상기와 같은 축방향 이중 지지 작용에 의해 웜샤프트(60)에 의해 웜휠(50)이 회전할 때 축방향으로 발생하는 하중에 대해 견고한 지지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링(72)이 상기 지지부(31c)의 내측 단차면과 하우징커버(31,32)의 내측에 형성된 웜휠(50)의 습동부 내주면에 접촉되면서 실링 및 완충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댐퍼(80)는 하우징커버(31,32)에 일체로 사출성형(즉, 이중사출)될 수 있다. 하우징댐퍼(80)는 하우징커버(31,32)의 전면과 후면에서 개구홀 주변부를 제외한 부분과, 전면과 후면의 양측 및 하부 모서리부, 바닥면 양측의 모서리부를 감싸는 형태로 사출 성형된다.
하우징댐퍼(80)는 사출 재료(고무)의 부착력만으로도 하우징커버(31,3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도 7과 같이, 하우징커버(31)에 요홈(31f)을 형성하여 사출 후 하우징댐퍼(80)에 요홈(31f)에 삽입된 돌기부(81)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하우징커버(31,32)와 하우징댐퍼(80)가 보다 견고하게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파워시트레일 기어박스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갖는다.
상기 웜휠(50)은 양단부(51)에 구비되는 인서트부시(70)만으로 회전방향 지지와 전후방향 지지 뿐만 아니라 실링 및 완충 작용이 모두 이루어진다. 즉, 상기 인서트부시(70)가 종래 다수의 지지 및 실링용 부품들을 대체함으로써 기어박스(30)의 부품수가 크게 감소된다. 따라서 기어박스(30)의 구성이 단순해지고, 조립이 용이해지며, 조립 자동화에 유리하고, 중량이 감소되며, 제조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웜샤프트(60)의 단부(61)가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하우징커버(31,32)의 지지홀(31e,32e)에 직접 지지됨으로써 부품수가 감소된다.
또한 하우징댐퍼(80)가 하우징커버(31,32)에 이중사출되어 일체로 제작됨으로써 부품수가 감소된다.
이와 같이 부품수가 더욱 감소됨으로써 위에 설명한 구성 단순화, 조립 용이성, 중량 감소, 제조 비용 감소 효과가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볼트 대신 클립(40)을 이용하여 하우징커버(31,32)의 상부를 서로 결합한다. 기존의 볼트에 비해 얇은 탄성 판재로 이루어진 클립(40)의 중량이 더 작기 때문에 기어박스(30)의 중량이 더욱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커버(31,32)의 재질이 금속 재질인 아연 합금에서 플라스틱 재질로 변경되었으므로 이 또한 기어박스(30)의 중량 감소에 도움이 된다.
한편, 상기 클립(40)은 체결홈(31b,32b) 및 걸림홈(31ba,32ba)에 체결된 상태에서 항상 일정한 체결력을 발휘한다. 즉, 제품 자체의 성능에 기인한 체결력만 발휘될 뿐 작업자의 체결 작업의 강도 차이에 따른 체결력 편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체결력 과도에 의한 웜휠(50) 끼임 현상이나 체결력 부족에 의한 웜휠(50)과 하우징커버(31,32) 사이의 갭 발생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기어박스(30)가 항상 양호한 작동 성능을 가지게 되고, 작동시 웜휠(50)과 웜샤프트(60)의 회전중심이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진동이나 이음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리드스크류 20 : 기어박스브라켓
21 : 플랜지 22 : 삽입홀
30 : 기어박스 31,32 : 하우징커버
31a,32a : 삽입부 31b,32b : 체결홈
31c,31d : 지지부 31e,32e : 지지홀
31f : 요홈 40 : 클립
41 : 체결편 50 : 웜휠
60 : 웜샤프트 70 : 인서트부시
71 : 사출부시 71a : 단경부
71b : 장경부 72 : 고무링
80 : 하우징댐퍼 81 : 돌기부

Claims (8)

  1.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로 분할된 양측 하우징커버와;
    양측 하우징커버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치합된 웜휠과 웜샤프트;
    상기 양측 하우징커버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웜휠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인서트부시와;
    상기 양측 하우징커버의 상부를 결합하는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양측 하우징커버의 상면에 체결홈이 형성되고, 양측 하우징커버의 상부 측면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클립은 금속 재질의 탄성편으로서 양단에 '<'형상의 체결편이 형성되고,
    상기 클립은 상기 체결홈에 삽입 안착되며, 양단의 체결편이 양측 하우징커버의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시트레일 기어박스.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측 하우징커버의 하단에 서로 맞대지는 삽입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는 기어박스를 시트레일의 어퍼레일에 고정하는 기어박스브라켓의 바닥부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시트레일 기어박스.
  4.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로 분할된 양측 하우징커버;
    양측 하우징커버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치합된 웜휠과 웜샤프트;
    상기 양측 하우징커버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웜휠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인서트부시; 및
    상기 양측 하우징커버의 상부를 결합하는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부시는 단경부와 장경부가 형성된 플라스틱 재질의 사출부시와, 상기 장경부에 이중사출로 형성된 고무링을 포함하며, 고무링은 장경부 양측면에 형성된 고무층과 장경부의 외주면을 일정 간격마다 가로질러 양측 고무층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시트레일 기어박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부시가 웜휠의 단부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웜휠의 단부는 상기 하우징커버의 개구홀 내측 부분에 형성된 지지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시트레일 기어박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부시의 단경부가 하우징커버에서 상기 지지부의 안쪽에 단차를 두고 형성된 다른 지지부에 지지되고, 상기 단경부의 단부면은 상기 두 지지부 사이의 단차면에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시트레일 기어박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부시의 장경부에 구비된 고무링의 일측 고무층이 상기 단경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내측 단차면에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시트레일 기어박스.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커버에 고무 재질의 하우징댐퍼가 일체로 이중사출되고, 상기 하우징댐퍼는 하우징커버의 전면과 후면에서 개구홀 주변부를 제외한 부분과, 전면과 후면의 양측 및 하부 모서리부, 바닥면 양측의 모서리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시트레일 기어박스.
KR1020210056384A 2021-04-30 2021-04-30 차량용 파워시트레일 기어박스 KR102484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384A KR102484012B1 (ko) 2021-04-30 2021-04-30 차량용 파워시트레일 기어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384A KR102484012B1 (ko) 2021-04-30 2021-04-30 차량용 파워시트레일 기어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138A KR20220149138A (ko) 2022-11-08
KR102484012B1 true KR102484012B1 (ko) 2023-01-04

Family

ID=84041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384A KR102484012B1 (ko) 2021-04-30 2021-04-30 차량용 파워시트레일 기어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01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420B1 (ko) 2013-06-19 2014-05-12 에이테크솔루션(주)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
KR101468163B1 (ko) * 2013-09-03 2014-12-03 계양전기 주식회사 시트 슬라이드 조절 장치
KR101470180B1 (ko) 2013-07-03 2014-12-08 현대다이모스(주) 기어박스
KR102024526B1 (ko) 2018-01-05 2019-09-24 대원정밀공업(주) 자동차 시트 슬라이드용 기어박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154Y1 (ko) 2001-11-08 2002-02-19 대부기공주식회사 자동차 파워시트용 시트레일
DE102014204301B3 (de) * 2014-01-31 2015-05-13 Johnson Controls Metals and Mechanisms GmbH & Co. KG Getriebegehäuse für ein Verstellgetriebe eines Fahrzeugsitzes
KR101863711B1 (ko) * 2016-06-29 2018-06-04 주식회사 다스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기어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420B1 (ko) 2013-06-19 2014-05-12 에이테크솔루션(주)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
KR101470180B1 (ko) 2013-07-03 2014-12-08 현대다이모스(주) 기어박스
KR101468163B1 (ko) * 2013-09-03 2014-12-03 계양전기 주식회사 시트 슬라이드 조절 장치
KR102024526B1 (ko) 2018-01-05 2019-09-24 대원정밀공업(주) 자동차 시트 슬라이드용 기어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138A (ko) 202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3022B2 (en) Spindle gearbox and drive unit of an electric seat drive
KR101406672B1 (ko) 동력 좌석 트랙 구동 조립체
US4899608A (en) Gear arrangement, in particular for use in connection with motor vehicle window lifter drives
US20150360719A1 (en) Motor driven power steering system
CN101680523B (zh) 齿轮箱壳体组件
US6014915A (en) Gear housing
US20080282822A1 (en) Gearing for an adjustment device, especially an automotive adjustment device, with compensation for play
KR101468163B1 (ko) 시트 슬라이드 조절 장치
CN109477561B (zh) 用于机动车的舒适性驱动装置的驱动机构以及舒适性驱动装置
KR102061493B1 (ko) 차량 시트 조정 레일에 설치되는 기어 박스
US20100062864A1 (en) Damper device
KR101607093B1 (ko) 선형 구동장치의 장착 장치
KR102484012B1 (ko) 차량용 파워시트레일 기어박스
KR20170121063A (ko) 2개의 상호 조절 가능한 자동차 부품의 조절을 위한 자동차 내 조절 장치용 전동 장치
CN213799869U (zh) 转向装置
KR101832887B1 (ko)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기어박스
JP5335107B2 (ja) 減速機構付モータ
EP0764793B1 (fr) Embrayage à friction rigide pour véhicules automobiles
CN114552871A (zh) 一种电驱动三级行星减速驱动器
JP5271048B2 (ja) 減速機構付モータ
KR20180060913A (ko) 낚시용 릴의 기어 장착 구조
JP7241567B2 (ja) 減速機構付モータ
CN217135310U (zh) 一种电驱动三级行星减速驱动器
KR20190020431A (ko) 기어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CN216401211U (zh) 一种座椅的纵向调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