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887B1 - 안경 힌지를 통한 전도성 연결 - Google Patents

안경 힌지를 통한 전도성 연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887B1
KR102483887B1 KR1020207011823A KR20207011823A KR102483887B1 KR 102483887 B1 KR102483887 B1 KR 102483887B1 KR 1020207011823 A KR1020207011823 A KR 1020207011823A KR 20207011823 A KR20207011823 A KR 20207011823A KR 102483887 B1 KR102483887 B1 KR 102483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pair
cavity
frame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1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3606A (ko
Inventor
더글라스 웨인 모스코위츠
데이비드 지. 플리자
마틴 메이프
Original Assignee
스냅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냅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스냅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227046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7561A/ko
Publication of KR20200053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09Pivot bearings and hinge bolts other than scre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81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for transmitting energy, e.g. electrical cable rou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36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 H05K7/20445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the coupling element being an additional piece, e.g. thermal standof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안경 디바이스는, 그에 안경 디바이스의 템플을 연결하는 힌지 메커니즘의 중공 내부를 통해 가요성 전도성 요소 또는 전도체를 라우팅하는 것을 제공한다. 힌지 메커니즘은 힌지 메커니즘, 도관을 통해 복합 도관을 정의하는 한 쌍의 힌지 피스 및 따라서 힌지 메커니즘의 임의의 동작 위치에서 외부 시야로부터 숨겨지거나 가려지는 통로를 통해 라우팅되는 전도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경 힌지를 통한 전도성 연결
우선권 주장
본 출원은 이로써 주장되는, 미국 가출원 일련 번호 제62/579,629호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안경 디바이스들은 전형적으로 렌즈 유지 프레임 및 사용 동안 사용자의 얼굴 상에 그것을 지지하기 위해 프레임에 연결된 한 쌍의 템플(temple)을 갖는다. 안경 디바이스의 콤팩트한 적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템플들은 전형적으로 프레임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전자장치-가능형 안경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소위 스마트 글래스)은 종종 템플 및 프레임 내에 하우징된 별개의 컴포넌트들을 갖는다. 힌지 메커니즘에 의해 분리되는 이러한 컴포넌트들의 (예를 들어, 전력, 데이터, 또는 열을 전송하기 위한) 전도성 결합은 연결의 심미성, 내구성 및 신뢰성의 요건들로 인해 문제가 된다.
첨부 도면들은 단지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나타내며 그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없다. 도면들에 대한 설명에서 번호가 매겨진 항목들의 대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번호가 매겨진 항목의 제1 숫자는 그 항목이 먼저 설명되는 도면에 대응한다. 도면에서:
도 1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안경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3차원 도면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안경 디바이스를 위한 힌지 메커니즘의 단면도이며, 힌지 메커니즘은 안경 디바이스의 템플을 그 프레임에 연결하고, 전도체는 힌지 메커니즘의 중공 내부를 통해 프레임과 템플 사이에서 연장된다.
도 3은 도 2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힌지 메커니즘을 함께 형성하는 한 쌍의 힌지 피스 중 하나를 제공하는 프레임 피스의 개략적인 3차원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힌지 메커니즘을 함께 형성하는 한 쌍의 힌지 피스 중 다른 하나를 제공하는 템플 피스의 개략적인 3차원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힌지 메커니즘의 개략적인 3차원 도면이며, 힌지 메커니즘의 템플 피스는 프레임 피스에 의해 제공되는 숨겨진 힌지 캐비티의 뷰를 제공하기 위해 파선들로 도시된다.
도 6a는 도 2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힌지 메커니즘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힌지 메커니즘은 착용가능 위치(wearable position)로 배치되고 힌지 메커니즘의 측방향 내측으로부터 본 것이다.
도 6b는 도 2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힌지 메커니즘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힌지 메커니즘은 접힌 위치로 배치되고 힌지 메커니즘의 측방향 외측으로부터 본 것이다.
도 7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안경 디바이스를 위한 힌지 메커니즘의 개략적인 3차원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힌지 메커니즘을 함께 형성하는 한 쌍의 힌지 피스 중 하나를 제공하는 프레임 피스의 개략적인 3차원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힌지 메커니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힌지 메커니즘의 개략적인 3차원 도면이며, 각자의 힌지 피스들은 힌지 메커니즘의 복합 중공 내부를 통해 라우팅되는 동축 케이블들을 노출시키기 위해 파선들로 도시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제목들은 편의를 위한 것에 불과하며, 사용되는 용어들의 범위 또는 의미에 반드시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은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방법들, 기술들, 명령어 시퀀스들 및 컴퓨팅 머신 프로그램 제품들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설명의 목적상, 개시된 주제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상세들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개시된 주제의 실시예들이 이 구체적인 상세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공지된 명령어 인스턴스들, 프로토콜들, 구조들, 및 기술들이 반드시 상세히 나타내어져 있지는 않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는 안경 디바이스의 템플을 안경 디바이스의 프레임에 연결하는 힌지 메커니즘의 중공 내부를 통해 가요성 전도성 요소 또는 전도체를 라우팅하는 것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요성 전도체를 통한 템플 및 프레임 내의 각자의 컴포넌트들의 전도성 결합은 안경 디바이스 내에 통합된 일부 컴포넌트들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한다. 대신에, 또는 추가로, 전도성 결합은 데이터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가요성 전도체는 그 위에 통합 회로를 운반하는 가요성 리본 기판을 갖는 가요성 인쇄 회로(FPC)를 포함한다. 추가 실시예들에서, 전도체를 통한 전도성 결합은 열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열 연결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레임 내의 열-발생 컴포넌트들로부터의 열을 템플 내의 히트싱크로 전도하도록 구성된 그래핀 시트와 같은 가요성 방향성 열 전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 메커니즘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힌지 메커니즘을 통한 복합 통로 또는 도관을 정의하는 한 쌍의 힌지 피스를 포함한다. 힌지 메커니즘은 그를 통한 통로, 따라서 통로를 통해 라우팅되는 전도체가 외부 시야로부터 숨겨지거나 가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힌지 메커니즘을 통해 라우팅되는 전도체는, 안경 디바이스의 착용 동안에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해 대응하는 템플이 위치되는 착용가능 위치, 및 템플이 프레임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폴딩되는 접힌 위치(collapsed position) 둘 다에서의 시야에서 숨겨진다.
본 개시내용의 이 양태에 대응하는 안경 디바이스 및 힌지 메커니즘들이의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이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한 쌍의 스마트 글래스의 형태의 전자장치-가능형 안경 디바이스(100)의 정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안경 디바이스(100)는 전방 피스 또는 프레임(106), 및 안경 디바이스(100)가 착용될 때 사용자의 얼굴 상에서 제자리에(in position) 프레임(106)을 지지하기 위해 프레임(106)에 연결된 한 쌍의 템플(109)을 포함하는 바디(body)를 포함한다. 프레임(106)은 임의의 적절한 형상 기억 합금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안경 디바이스(100)는 프레임(106)의 일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렌즈 림(115)의 형태의 대응하는 광학 요소 홀더들에 의해 유지되는 한 쌍의 렌즈(112)의 형태의 한 쌍의 광학 요소를 갖는다. 림들(115)은 브리지(118)에 의해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광학 요소들 중 하나 또는 둘 다는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기 위함),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또는 렌즈 및 디스플레이 조합(예를 들어, 증강 현실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함)일 수 있다.
프레임(106)은 프레임(106)의 측방 단부 부분들을 정의하는 한 쌍의 단부 피스(121)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다양한 전자장치 컴포넌트들이 단부 피스들(121) 중 하나 또는 둘 다에 하우징된다. 푸시 버튼(115)이 단부 피스들(121) 각각의 상부 면에 제공되어, 버튼(들)(115)의 동작에 의해 안경 디바이스(100)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 컴포넌트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의 동작의 사용자 제어를 허용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레임(106)은 일체형 또는 모놀리식 구성을 갖도록 단일 피스의 재료로 형성된다.
템플들(109)은 각자의 단부 피스들(12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예에서, 템플들(109)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착용가능 위치와, 템플들(109)이 프레임(106)을 향해 피벗되어 그것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놓이는 접힌 모드 또는 위치 사이에서 힌지식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각자의 힌지 메커니즘들(163)에 의해 프레임(106)에 결합된다. 템플들(109) 각각은 프레임(106)에 결합되는 전방 부분 및 사용자의 귀에 결합하기 위한 적절한 후방 부분을 포함한다.
안경 디바이스(100)는,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안경 디바이스 바디에 의해 운반되도록 임의의 적절한 타입일 수 있는, 컴퓨터와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온보드 전자장치(124)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온보드 전자장치(124)를 포함하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템플들(109) 중 하나 또는 둘 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된다. 언급된 바와 같이, 온보드 전자장치(124)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그 대신에 또는 추가로 프레임(106)의 측방 단부 피스들(121) 내에 하우징된다. 온보드 전자장치(124)는 메모리, 무선 통신 회로 및 전원(이 예시적인 실시예는 재충전가능한 배터리, 예를 들어, 리튬-이온 배터리임)을 갖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온보드 전자장치(124)는 저전력, 고속 회로, 및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 요소들을 상이한 구성들로 포함하거나 상이한 방식들로 함께 통합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온보드 전자장치(124)는 하나 이상의 재충전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배터리는 템플들(109) 중 하나에 배치된다.
안경 디바이스(100)는, 이 예에서, 안경 디바이스(100)의 착용자의 시야의 방향으로 더 많거나 더 적게 정렬되도록, 단부 피스들(121) 중 하나에 장착되고 전방을 향하는 카메라(130)를 포함하는 카메라-가능형이다. 카메라(130)는 디지털뿐만 아니라 디지털 비디오 콘텐츠를 캡처하도록 구성된다. 카메라(130)의 동작은 온보드 전자장치(124)에 의해 제공되는 카메라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며, 카메라(130)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들 또는 비디오를 나타내는 이미지 데이터는 온보드 전자장치(124)의 일부를 형성하는 메모리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안경 디바이스(100)는 예를 들어, 각각의 단부 피스들(121)에 의해 하우징된, 한 쌍의 카메라(130)를 가질 수 있다.
안경 디바이스(100)는 카메라(130)와의 통신 및 카메라(130)의 제어를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입력 및 출력 디바이스를 추가로 포함한다. 특히, 안경 디바이스(100)는 안경 디바이스(100)의 하나 이상의 기능의 사용자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입력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입력 메커니즘은 버튼(115)을 포함한다. 현재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사진 캡처 커맨드는 단일의 비교적 짧은 버튼 누름(예를 들어, 1초보다 짧음)에 의해 발행될 수 있는 반면, 비디오 캡처 커맨드는 프레스-앤-홀드(press-and-hold) 액션에 의해 발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온보드 전자장치(124)에 연결된 가속도계들에 의해 인식되는 물리적 탭들의 미리 정의된 시퀀스를 통해 안경 디바이스(100)에 커맨드들을 전달하기 위한 탭 입력 채널을 포함하는 추가적인 입력 채널들이 제공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템플들(109) 중 하나 이상은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프레임(106) 내의 협력 컴포넌트들에 전도성으로 결합되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템플들(109) 중 하나 이상에 하우징된 이러한 요소들은 전자, 데이터 처리 컴포넌트들, 센서들, 표시자들 등, 및/또는 배터리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템플들(109) 중 적어도 하나는 프레임(106) 내의 하나 이상의 열-발생 컴포넌트에 열적으로 결합된 히트싱크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템플(109)의 금속 코어 와이어는 프레임(106) 내의 열-발생 전자장치에, 열 전도성 경로에 의해 연결되는 히트싱크를 제공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예시적인 스마트 글래스(100)와 같은 안경 디바이스에 통합된 힌지 메커니즘(163)이 도시되어 있으며, 가요성 인쇄 회로(FPC)(207)의 예시적인 형태의 전도체는 힌지 메커니즘(163)의 격리된 내부를 통해 라우팅되고, 힌지 메커니즘(163)의 중공 내부는 힌지 메커니즘(163)의 외부로부터 격리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힌지 메커니즘(163)을 통해 라우팅되는 전도체는 전력 케이블, 데이터 케이블들(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들), 및/또는 그래핀 시트와 같은 가요성 열 전도체일 수 있다.
힌지 메커니즘(163)은 프레임 피스(208) 및 템플 피스(211)의 예시적 형태의 한 쌍의 힌지 피스를 포함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프레임 피스(208) 및 템플 피스(211)는 단일 피스 구성의 각자의 금속 컴포넌트들이다. 특히, 힌지 피스들은 기계가공된 연강(mild steel) 컴포넌트들이다. 프레임 피스(208)는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되지 않는) 안경 디바이스(100)의 프레임(106)에 고정식으로 장착되고, 템플 피스(211)는 마찬가지로 (도 2 내지 도 10에 또한 도시되지 않은 예시의 명확성을 위해) 템플들(109) 중 대응하는 것에 고정식으로 장착된다. 힌지 피스들(208, 211)은 힌지 축(226)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피벗하기 위해 함께 연결되고, 그에 의해 힌지 축(226)을 중심으로 안경 프레임(106)에 대해 대응하는 템플(109)의 힌지 변위를 달성한다.
도 3을 간단히 참조하면, 프레임 피스(208)의 개략적인 3차원 도면이 격리하여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 피스(208)는 바디 부분(309), 및 그것과 일체로 연결된, 관형(tubular) 중앙 힌지 너클(312) 형태의 힌지 형성부를 포함한다. 바디 부분(309)은 안경 프레임(106)의 대응하는 단부 피스(121)(도 1)에 프레임 피스(208)를 고정식으로 부착하기 위한 장착 형성부(323)를 갖는다.
중앙 힌지 너클(312)은 힌지 축(226)과 동축을 이루고 힌지 너클(312)을 통해 줄곧 연장되는 원형 원통형 보어(339)를 갖는다. 도 2에 대해 설명이 돌아가는 경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보어(339)에 의해 제공되는 힌지 너클(312)의 중공 내부는 힌지 메커니즘(163)에 대한 내부 힌지 캐비티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FPC(207)의 예시적인 형태의 전도체가 라우팅된다. 힌지 너클(312)은 바디 부분(309)으로부터 가장 먼 힌지 너클(312)의 측부에 개구(349)를 추가로 포함한다. 개구(349)는 힌지 너클(312)의 원형 원통형 벽을 통해 (힌지 축(226)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중앙 힌지 너클(312)의 보어(339)에 연결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간단히 도 2로 되돌아가면, 프레임 피스(208)의 바디 부분(309)은 바디 부분(239)을 통해 연장되고 힌지 너클(312)의 중공 내부 보어(339)에 의해 제공되는 힌지 메커니즘(163)의 내부 캐비티와 연통하는 통로(239)를 정의한다는 것을 알 것이다. 통로(239)는 양 단부에서 개방되고, 그 프레임 단부는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안경 프레임(106)의 내부 캐비티와 연통하고, 그의 다른 단부에서는 중앙 힌지 너클(312)의 보어(339)에 의해 제공되는 내부 힌지 캐비티 내로 (힌지 축(226)에 대해) 횡방향으로 개방된다.
프레임 피스(208)와 유사하게, 템플 피스(211)는 템플 피스(211)를 대응하는 템플(109)에 고정적으로 부착하는 장착 형성부(263)를 갖는 바디 부분(244)을 갖는다. 템플 피스(211)의 바디 부분(244)은 마찬가지로 FPC(207)를 템플(109)의 내부로 그를 통해 라우팅하기 위한 통로(259)를 정의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 메커니즘(163)이 착용가능 위치에 있을 때 템플 피스(211)의 통로(259)는 프레임 피스(309)의 통로(239)와 정렬된다. 착용가능 위치에서, 템플 피스(211)의 통로(259)는 따라서 중앙 힌지 너클(312) 내의 개구(349)를 통해 프레임 피스(309)의 중공 원통형 내부(339)와 연통하고, 통로(259)는 힌지 축(226)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4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템플 피스(211)는 힌지 축(226)을 정의하는 각자의 동축 힌지 소켓들(410)을 갖는 한 쌍의 단부 너클(402)의 형태의 힌지 형성부를 갖는다. 템플 피스(211)는 측방향으로 비대칭적이고, 그 측방향으로 외측(421)(즉, 안경 디바이스(100)가 착용될 때 사용자의 템플들로부터 멀리 떨어져 측방향으로 향하는 힌지 메커니즘(163)의 그 측면) 상에 있고, 힌지 메커니즘(163)이 착용가능 위치에 있을 때 측방향 시야로부터 프레임 피스(208)의 중앙 힌지 너클(312)을 덮는 측벽(415)을 갖는다.
다시 도 2로 돌아가면, 템플 피스(211)가 한 쌍의 힌지 핀(272)에 의해 힌지 축(226)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피벗하기 위해 힌지 피스(208)에 연결되고, 이 힌지 핀들(272) 각각은 힌지 소켓들(410) 중 하나에 부분적으로 그리고 프레임 피스(208)의 원통형 보어(339)의 대응하는 축방향 단부에 부분적으로 위치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힌지 핀들(272)의 축방향 내부 단부들은 원통형 보어(339)의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단부들에 동축으로 압입되고, 따라서 보어(339)의 실질적으로 수밀한 밀봉을 제공한다. 힌지 축(226)을 중심으로 프레임 피스(208)에 대한 템플 피스(211)의 피벗을 허용하기 위해 힌지 핀들(272) 각각 상의 베어링(279)이 대응하는 힌지 소켓(410)의 내부와 맞물린다.
따라서, FPC(207)의 예시적인 형태의 전도체는 힌지 메커니즘(163)의 중공 내부에 의해 정의된 복합 도관 또는 통로를 통해 안경 프레임(106)과 대응하는 템플(109) 사이에서 연장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FPC(207)는 프레임 피스(208)의 횡방향 통로(239)를 통해, 중앙 힌지 너클(312)의 중앙 원통형 보어(339)을 통해, 중앙 힌지 너클(312)의 측벽 내의 개구(349)를 통해, 그리고 템플 피스(211)의 횡방향 통로(259)를 통해 연장된다. FPC(207)는 중앙 힌지 너클(312)을 통해 중앙으로 연장되어, (보어(339) 내의 일부 허용범위 또는 유격을 갖는) FPC(207)가 때때로 힌지 축(226)과 교차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 6a는 힌지 메커니즘(163)의 측방향 내측(432)(도 1 참조)으로부터 본, 착용가능 위치에서의 힌지 메커니즘(163)을 도시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힌지 메커니즘(163)의 내부를 통한 복합 도관 전체(여기서, 통로들(259, 239) 및 보어(339)), 및 결과적으로 그를 통해 라우팅되는 FPC(207)는 외부 시야로부터 완전히 숨겨진다. 따라서, 힌지 메커니즘(163)을 통해 연장되는 전도체는 힌지 메커니즘 컴포넌트들에 의해 시야로부터 가려지게 된다. 또한, 힌지 캐비티는 여기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앙 힌지 너클(312)에 대한 힌지 핀(272)의 밀봉 연결로 인해, 실질적으로 수밀이다. 동일한 고려사항이, 대향하는 측방향 외측(421)으로부터 볼 때 폐쇄 위치에서 힌지 메커니즘(163)에 적용된다. 실제로, 힌지 너클들(312, 402)은 힌지 메커니즘(163)(그리고 따라서 대응 템플(109))이 착용가능 위치에 있을 때, 템플 피스(211)의 측벽(415)에 의해 외측(421)으로부터 자체적으로 가려진다.
도 6b는 접힌 위치에 있지만, 도 6a에 도시된 것으로부터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으로부터 보여지는, 즉 안경 디바이스(100)의 측방향 외측(421)으로부터 보여지는 힌지 메커니즘(163)을 도시한다. 다시, 힌지 메커니즘(163)의 내부를 통한 복합 도관의 전체, 그리고 따라서 FPC(207) 또한 외부 시야로부터 가려지지 않는다. 특히, 중앙 힌지 너클(312) 내의 개구(349)는 템플 피스(211)의 측벽(415)에 의해 덮인다는 점에 유의한다.
따라서, 힌지 메커니즘(163)은 FPC(207)에 대한 도관의 역할을 하는 중공 내부를 제공하여, FPC(207)는 힌지 메커니즘(163)의 모든 동작가능한 위치들에서 외부 시야로부터 가려지게 된다. 설명된 힌지 메커니즘(163)의 이점은 그것이 이용가능한 컴포넌트 공간이 품귀 상태인 전자장치-가능형 안경 디바이스에서 공간 절감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힌지 메커니즘(163)을 통한 FPC(207)의 예시적인 형태의 전도체의 라우팅은, 대응하는 템플(109)의 길이 방향이 힌지 축(226)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저-프로파일 힌지 메커니즘의 구성을 허용한다.
예시된 힌지 메커니즘(163)은 힌지 메커니즘(163)의 대향 측면들의 컴포넌트들 간에 전도성 연결을 제공하는 문제에 대해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해결책을 제공하는 이점을 또한 갖는다. 사용자에게는, 전통적인 안경에서 발견되는 바와 같이 힌지만이 존재한다. 외부로부터의 힌지 핀들(272)의 연결은 사이클링에 의한 느슨해짐 및 탬퍼링을 방지한다.
또한, 힌지 축(226)은 FPC(207)가 연장되는 내부 힌지 캐비티(339)와 교차하며, 이는 다수의 이점을 제공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이들 중 하나는 (프레임(106) 및 템플(109) 내의 각자의 컴포넌트들에 고정되는) 전도체의 단부들 사이의 전도체를 따른 거리가 프레임(106)에 대한 템플(109)의 힌지 변위 동안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점을 설명하기 위해, (설명된 예에서의 FPC(207)와 같은) 전도체가 내부 힌지 캐비티를 통해 라우팅되지만, 힌지 축(226)을 따라 연장되는 단일 힌지 핀 주위에 있는 대안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고려한다. 이어서, 힌지 핀의 외부 또는 내부 주위의 전도체를 따른 거리가 힌지결합 동안 변하기 때문에, 가요성 전도체는 템플(109)의 힌지식 이동에 응답하여 늘어짐(slack)을 회수하거나 응력 하에 놓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들은, 가요성 전도체가 힌지 메커니즘 외부의 프레임과 템플 사이에서 라우팅되는 안경 디바이스들에서 훨씬 더 많이 적용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힌지 메커니즘(700)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힌지 메커니즘(700)은 도 2 내지 도 6의 힌지 메커니즘(163)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기술들을 이용하며, 중요한 차이점은 힌지 피스들 중 하나가 그 바디 부분을 통해 한 쌍의 통로를 정의하여, 케이블들의 각자의 쌍을 다른 힌지 피스 내의 단일의 공통 통로로 라우팅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점들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먼저 도 7로 돌아가면, 힌지 메커니즘(700)의 힌지 형성부들은 중간 너클들(707)의 동축 쌍에 의해 플랭킹되는 중앙 너클(714)로 구성되는 5개의 상호맞물림된 힌지 너클을 포함하며, 이는 차례로 단부 너클들(721)의 동축 쌍에 의해 플랭킹되는 것임을 알 것이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중간 너클들(707)의 쌍은 프레임 피스(208)의 힌지 형성부에 의해 제공되는 한편, 중앙 너클(714) 및 단부 너클들(721)의 쌍은 템플 피스(211)의 힌지 형성부에 의해 제공된다.
프레임 피스(208)를 격리하여 도시하는 도 8에서, 프레임 피스(208)의 바디 부분(309)은 각자의 케이블들을 하우징하기 위한 한 쌍의 통로(728)를 정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통로들(728) 각각은, 중앙 너클(714)이 수용될 중간 너클들(707) 사이의 갭을 향해 축방향으로 개방되는 채널(735)을 정의하는, 중간 너클들(707) 중 대응하는 하나의 중간 너클의 중공 내부로 이어진다. 각각의 중간 너클(707)의 축방향 외측은 각자의 힌지 핀(272)을 수용하기 위한 힌지 핀 홀(742)을 정의한다.
도 9는 그를 통해 라우팅되는 한 쌍의 동축 케이블(816)을 갖는 힌지 메커니즘(700)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템플 피스(211)의 중앙 너클(714)은 그 양측에 축방향으로 개방되는 중공 힌지 루프를 정의한다. 따라서, 중앙 너클(714)의 내부는 템플 피스(211)의 바디 부분(244)을 통해 연장되는 통로(259)에 연결되는 루프 개구(808)를 정의한다.
힌지 메커니즘(163)과 유사하게, 힌지 메커니즘(700)의 힌지 피스들(208, 211)은 한 쌍의 힌지 핀(272)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힌지 핀들(272)은 템플 피스(211)의 단부 너클들(721)에 의해 정의되는 각자의 힌지 소켓들(410) 내에 수용된다. 힌지 핀들(272)의 축방향으로 스텝 다운된(stepped down) 내부 단부들은 중간 너클들(707)의 각자의 힌지 핀 홀들(742) 내로 압입된다.
힌지 피스들(208, 211)이 따라서 함께 연결될 때, 각자의 중간 너클들의 채널들(735)은 중앙 너클(714)의 루프 개구(808) 내로 축방향으로 개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레임 피스(208)의 각자의 통로들(728)은 채널들(735) 및 개구(808)를 통해 템플 피스(211)의 통로(259)와 연통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힌지 메커니즘(700)의 내부 힌지 캐비티는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앙 너클(714)의 루프 개구(808)에 의해 제공되며, 내부 힌지 캐비티는 힌지 축(226)과 다시 교차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따라서 힌지 메커니즘(700)을 통해 제공되는 복합 도관은, 힌지 메커니즘(700)을 통해 한 쌍의 동축 케이블(816)을 라우팅하기 위해 이용되어, 프레임(106) 및 템플(109) 내의 각자의 컴포넌트들을 전도성 연결한다. 프레임 피스(208)의 통로들(728)이 프레임(106)의 각자의 단부 피스(121)의 밀봉된 내부와 연통하고, 템플 피스(211)의 통로(259)는 마찬가지로 각자의 템플(109)의 밀봉된 내부와 연통한다는 점이 다시 강조된다. 따라서, 힌지 메커니즘(163)의 복합 도관은 힌지 메커니즘(163)의 외부에 대해 임의의 노출을 하면서, 프레임(106) 및 템플(109)의 내부들을 연통하여 배치한다. 케이블들(816) 각각은 프레임 피스의 통로 홈(503) 중 각자의 하나를 따라 프레임(106)으로부터 연장되어, 중간 너클들(707)의 개방 채널들(735) 중 각자의 하나 내로 연장된다. 이러한 채널들(735)로부터, 각각의 케이블(816)은 루프 개구(808) 내로 더 많이 또는 더 적게 축방향으로 진입하며, 여기서 케이블들(816) 둘 다는 함께 템플 피스(211)를 통해 공통 통로(259) 내로 그리고 그를 통해 연장된다.
도 10은 힌지 메커니즘(163)이 힌지식으로 도 9에 도시된 착용가능 위치로부터 접힌 상태로 개시될 때 케이블들(816)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케이블(816)이 힌지 축(226)을 중심으로 더 많이 또는 더 적게 구부러지거나 굽혀지고, 따라서 힌지 메커니즘(700)을 통해 가요성 전도체를 중앙으로 라우팅하는 것과 연관된 이전에 설명된 이점들을 달성한다는 것을 알 것이다. 또한, 각각의 경로를 통해 다수의 케이블이 라우팅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도 7 및 도 10으로부터, 힌지 메커니즘(700)을 통한 복합 도관의 캐비티들 중 어느 것도 힌지 메커니즘(700)의 동작 위치들 중 임의의 하나의 위치에서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 주목될 것이다. 특히, 통로들(728 및 259)은 프레임(106) 및 템플(109)에 의해 각각 가려진다. 중간 너클들(707)의 개방 채널들(735)은 그들 사이에 수용된 중앙 너클(714)의 루프에 의해 가려진다. 마찬가지로, 중앙 너클(714)의 루프 개구(808)는 그것을 플랭킹하는 중간 너클들(707)의 쌍에 의해 가려진다. 따라서, 힌지 메커니즘(700)은 전통적인 힌지 외관을 가지며, 그를 통해 라우팅되는 전기 연결들을 감춘다.
선택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요약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다수의 예시적인 실시예들 및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조합들이 개시된다는 것을 알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하에 제시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열거된 리스트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 1: 안경 디바이스로서,
하나 이상의 광학 요소를 유지하는 프레임;
안경 디바이스의 착용 동안 프레임을 제자리에 지지하기 위해 프레임에 결합된 템플;
착용가능 위치와 접힌 위치 사이의 힌지식 이동(hinged movement)을 허용하기 위해 템플을 프레임에 결합하는 힌지 메커니즘- 힌지 메커니즘은 외부 시야로부터 숨겨진 내부 힌지 캐비티를 정의함 -; 및
힌지 메커니즘을 통해 프레임과 템플 사이에 연장되어 프레임 및 템플에 각각 통합된 컴포넌트들 사이에 전도성 결합을 제공하는 전도체- 전도체는 힌지 캐비티를 통과함 -를 포함하는 안경 디바이스.
예 2: 예 1에 있어서, 힌지 메커니즘은 프레임 및 템플에 각각 통합된 한 쌍의 힌지 피스에 의해 제공되고, 각각의 힌지 피스는:
프레임 또는 템플에 각각 부착된 바디 부분; 및
바디 부분에 부착되고 다른 힌지 피스의 상보적 힌지 형성부와 힌지식으로 맞물림되어, 함께 힌지 메커니즘을 형성하는 힌지 형성부를 포함하고,
힌지 캐비티는 맞물림된 힌지 형성부들에 의해 정의되고,
각각의 바디 부분은, 그를 통해 연장되는 통로를 정의하고, 각각의 통로는 힌지 캐비티와 연통하고,
전도체는 힌지 피스들 중 하나의 힌지 피스의 통로를 통해, 힌지 캐비티를 통해, 그리고 힌지 피스들 중 다른 하나의 힌지 피스의 통로를 통해 순차적으로 연장되는 안경 디바이스.
예 3: 예 2에 있어서, 힌지 캐비티 및 한 쌍의 힌지 피스의 통로들은 착용가능 위치 및 접힌 위치 둘 다에서 외부 시야로부터 가려지는 안경 디바이스.
예 4. 예 2 또는 예 3에 있어서, 각각의 힌지 피스는 1-피스 구성의 금속 컴포넌트인 안경 디바이스.
예 5. 예들 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힌지 메커니즘에 의해 정의되는 힌지 축은 힌지 캐비티와 일치하고, 전도체는 힌지 내에서 힌지 축과 교차할 수 있는 안경 디바이스.
예 6. 예 4 또는 예 5에 있어서, 힌지 형성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힌지 축과 실질적으로 동축이고 힌지 캐비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내부를 갖는 실질적으로 관형인 힌지 너클을 포함하는 안경 디바이스.
예 7. 예 5 또는 예 6에 있어서,
힌지 피스들 중 하나의 힌지 피스의 힌지 형성부는 힌지 캐비티와 동축이고 힌지 캐비티의 대향하는 축방향 단부들에 위치되는 한 쌍의 관형 단부 너클을 포함하고;
안경 디바이스는 한 쌍의 힌지 피스의 힌지 형성부들을 피벗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힌지 핀을 추가로 포함하고, 한 쌍의 힌지 핀은 힌지 캐비티의 대향하는 축방향 단부들을 폐쇄하는 것과 같이 한 쌍의 단부 너클에 위치되는 안경 디바이스.
예 8. 예 1에 있어서, 각자의 힌지 피스들의 바디 부분들에 의해 정의된 통로들은 힌지 캐비티 내로 횡방향으로 개방되어, 전도체가 힌지 캐비티를 통해 횡방향으로 통과하게 하는 안경 디바이스.
예 9. 예들 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바디 부분들을 통한 통로들 중 적어도 하나는 힌지 캐비티 내로 축방향으로 개방되어, 전도체는: 힌지 피스들 중 제1 힌지 피스를 통해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힌지 캐비티 내로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로부터 힌지 피스들 중 제2 힌지 피스를 통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안경 디바이스.
예 10. 예들 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한 쌍의 힌지 피스 중 제1 힌지 피스는 그 바디 부분을 통해 개별적으로 연장되고 힌지 캐비티 내로 개별적으로 개방되는 한 쌍의 통로를 정의하는 안경 디바이스.
예 11. 예 10에 있어서, 제1 힌지 피스의 힌지 형성부는 다른 제2 힌지 피스의 힌지 형성부에 의해 제공된 중앙 힌지 너클을 동축으로 플랭킹하는 한 쌍의 관형 힌지 너클을 포함하고,
힌지 캐비티는 제2 힌지 피스의 중앙 힌지 너클의 중공 내부에 의해 정의되고, 제2 힌지 피스는 그 바디 부분을 통해 중앙 힌지 너클의 내부로 연장되는 단일 통로를 갖고,
제1 힌지 피스의 바디 부분을 통한 한 쌍의 통로는 제1 힌지 피스의 한 쌍의 힌지 너클의 각자의 중공 내부들로 연장되고, 한 쌍의 힌지 너클의 내부들은 그의 대향하는 축방향 단부들에서 중앙 힌지 너클의 힌지 캐비티와 연통하는 안경 디바이스.
예 12. 예들 1-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도체는 힌지 메커니즘에 걸쳐 전자 컴포넌트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안경 디바이스의 온보드 배터리의 전기 전도체인 안경 디바이스.
예 13. 예들 1-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도체는 프레임 및 템플 각각에서의 전자 컴포넌트들 사이의 힌지 메커니즘에 걸쳐 데이터 연결을 설정하는 안경 디바이스.
예 14. 예들 1-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도체는 열 발생 컴포넌트로부터 힌지 메커니즘에 걸쳐 히트싱크 요소로 열을 전도하도록 구성된 열 전도체인 안경 디바이스.
예 15. 힌지 메커니즘으로서,
한 쌍의 힌지 피스- 힌지 피스들 각각은:
다른 힌지 피스의 상보적 정보와 힌지식으로 맞물림되는 힌지 형성부- 맞물림된 힌지 형성부들은 외부 시야로부터 숨겨진 내부 힌지 캐비티를 정의함 -; 및
각자의 힌지 형성부에 고정식으로 부착된 바디 부분- 바디 부분은, 그를 통해 연장되고 힌지 캐비티와 연통하는 통로를 정의함 -을 포함함 -; 및
각자의 힌지 피스들의 통로들을 통해 그리고 힌지 캐비티를 통해 연장되는 전도체를 포함하고, 전도체가 맞물림된 힌지 형성부들에서 외부 시야로부터 가려지게 되는 힌지 메커니즘.
예 16. 예 15에 있어서, 한 쌍의 힌지 피스는 개방과 폐쇄 위치 사이에서 힌지식으로 배치가능하고, 힌지 캐비티와 한 쌍의 힌지 피스의 통로들은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 둘 다에서 외부 시야로부터 가려지는 힌지 메커니즘.
예 17. 예 15 또는 예 16에 있어서, 각각의 힌지 피스는 1-피스 구성의 금속 컴포넌트인 힌지 메커니즘.
예 18. 예들 15-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힌지 메커니즘에 의해 정의된 힌지 축은 힌지 캐비티와 일치하고, 전도체는 힌지 내에서 힌지 축과 교차할 수 있는 힌지 메커니즘.
예 19. 예 18에 있어서, 힌지 형성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힌지 캐비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하고 힌지 축과 실질적으로 동축인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내부를 갖는 실질적으로 관형인 힌지 너클을 포함하는 힌지 메커니즘.
예 20. 예들 15-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도체는 전기 전도체인 힌지 메커니즘.
예 21. 예들 15-2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힌지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안경 디바이스로서, 힌지 메커니즘은 템플 피스를 안경 프레임에 연결하는 안경 디바이스.
언어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복수형 인스턴스(plural instance)들은 단일 인스턴스로서 기술된 컴포넌트들, 동작들 또는 구조들을 구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방법의 개개의 동작들이 별개의 동작들로서 예시되고 설명되지만, 개개의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고, 동작들이 예시된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예시적인 구성들에서 별개의 컴포넌트들로서 제시된 구조들 및 기능은 결합된 구조 또는 컴포넌트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사하게, 단일 컴포넌트로서 제시된 구조들 및 기능은 별개의 컴포넌트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그리고 다른 변형들, 수정들, 추가들 및 개선들은 본 명세서의 주제의 범위 내에 있다.
본 개시된 대상의 개요가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보다 넓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들 실시예들에 대해 다양한 수정들 및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주제에 대한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편의를 위해 그리고 실제로, 하나보다 많은 것이 개시된다면 임의의 단일 개시내용 또는 발명의 개념으로 본 출원의 범위를 자발적으로 제한하도록 의도하지 않고 "발명(invention)"이라는 용어에 의해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된 실시예들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개시된 교시를 실시할 수 있게 하도록 충분히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이로부터 다른 실시예들이 사용되고 도출될 수 있어서, 구조적 및 논리적 치환예들 및 변경예들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만들어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 간주되어서는 안되고,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가 부여되는 등가물들의 전체 범위와 함께, 그러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또는(or)"이라는 용어는 포함적 또는 배타적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더구나, 복수형 인스턴스들이 단일 인스턴스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리소스들, 동작들, 또는 구조들에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다양한 리소스들, 동작들, 모듈들, 엔진들 및 데이터 저장소들 사이의 경계들은 다소 임의적이며, 구체적인 동작들은 특정한 예시적인 구성들의 맥락에서 설명된다. 기능의 다른 할당들을 구상해 볼 수 있고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예시적인 구성들에서의 별개의 리소스들로서 제시된 구조들 및 기능은 조합된 구조 또는 리소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사하게, 단일 리소스로서 제시된 구조들 및 기능은 별개의 리소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그리고 다른 변형들, 수정들, 추가들 및 개선들은 첨부된 청구항들로 표현되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범위 내에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 및 도면들은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예시적인 의미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안경 디바이스로서,
    하나 이상의 광학 요소를 유지하는 프레임;
    상기 안경 디바이스의 착용 동안 상기 프레임을 제자리에(in position) 지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템플;
    상기 프레임과 상기 템플의 단부 부분들 각각 상에 위치하는 한 쌍의 상보적 힌지 형성부들에 의해 형성되는 힌지 메커니즘 - 상기 힌지 메커니즘은 착용가능 위치와 접힌 위치 사이의, 상기 힌지 메커니즘에 의해 정의되는 힌지 축을 중심으로 한 힌지식 이동(hinged movement)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템플을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고,
    상기 힌지 메커니즘은 상기 한 쌍의 힌지 형성부들에 의해 정의되는 내부 힌지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캐비티는 상기 힌지 축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치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템플의 상기 단부 부분들은, 각각 상기 힌지 캐비티와 연통하도록, 그를 통해 연장되는 각각의 통로를 정의하고, 상기 단부 부분들을 통과하는 상기 각각의 통로는 외부 시야로부터 숨겨지고, 상기 단부 부분들 중 적어도 제1 단부 부분을 통과하는 통로는 상기 힌지 캐비티 내로 축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힌지 메커니즘은 상기 프레임과 상기 템플의 상기 단부 부분들을 피벗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힌지 핀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힌지 핀이 상기 힌지 캐비티의 대향하는 축방향 단부들을 차단하여 상기 힌지 캐비티가 외부 시야로부터 숨겨짐 -; 및
    상기 힌지 메커니즘을 통해 상기 프레임과 상기 템플 사이에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 및 상기 템플에 각각 통합된 컴포넌트들 사이에 전도성 결합을 제공하는 전도체- 상기 전도체는 상기 제1 단부 부분의 상기 통로를 통해 상기 힌지 캐비티 내로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힌지 캐비티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축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단부 부분들 중 다른 하나의 단부 부분의 통로를 통해 연장되며, 따라서 상기 전도체는 외부 시야로부터 완전히 숨겨짐 -
    를 포함하는 안경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메커니즘의 상기 힌지 형성부들은 상기 프레임 및 상기 템플에 각각 통합된 한 쌍의 힌지 피스에 의해 제공되고, 각각의 힌지 피스는: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템플에 각각 부착된 바디 부분; 및
    상기 바디 부분에 부착되고 다른 힌지 피스의 상보적 힌지 형성부와 힌지식으로 맞물림되어, 함께 상기 힌지 메커니즘을 형성하는 각각의 힌지 형성부
    를 포함하는 안경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캐비티 및 한 쌍의 상기 단부 부분들의 통로들은 상기 착용가능 위치 및 상기 접힌 위치 둘 다에서 외부 시야로부터 가려지는 안경 디바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힌지 피스는 1-피스 구성(one-piece construction)의 금속 컴포넌트인 안경 디바이스.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형성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힌지 캐비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하고 상기 힌지 축과 동축인 원통형의 내부를 갖는 관형의 힌지 너클을 포함하는 안경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부분들 중 하나의 단부 부분의 상기 힌지 형성부는 상기 힌지 캐비티와 동축이고 상기 힌지 캐비티의 대향하는 축방향 단부들에 위치되는 한 쌍의 관형 단부 너클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힌지 핀은 상기 상보적 힌지 형성부들을 함께 피벗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힌지 핀은 상기 힌지 캐비티의 상기 대향하는 축방향 단부들을 밀봉하여 폐쇄하는 것과 같이 상기 한 쌍의 단부 너클에 위치되는 안경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부분들 중 제2 단부 부분에 의해 정의되는 각각의 통로는 상기 힌지 캐비티 내로 횡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전도체가 상기 제2 단부 부분의 상기 통로를 통해 상기 힌지 캐비티 내로 횡방향으로 통과하게 하는 안경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는: 상기 제1 단부 부분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힌지 캐비티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로부터 상기 제2 단부 부분을 통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안경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단부 부분들 중 하나의 단부 부분은 그를 통해 개별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힌지 캐비티 내로 개별적으로 개방되는 한 쌍의 통로를 정의하는 안경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단부 부분의 힌지 형성부는 상기 단부 부분들 중 다른 하나의 단부 부분의 힌지 형성부에 의해 제공된 중앙 힌지 너클을 동축으로 플랭킹하는 한 쌍의 관형 힌지 너클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캐비티는 상기 중앙 힌지 너클의 중공 내부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다른 하나의 단부 부분의 상기 통로는 상기 중앙 힌지 너클의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하나의 단부 부분을 통한 상기 한 쌍의 통로는 상기 하나의 단부 부분의 상기 한 쌍의 힌지 너클의 각자의 중공 내부들로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힌지 너클의 내부들은 그의 대향하는 축방향 단부들에서 상기 중앙 힌지 너클의 상기 힌지 캐비티와 연통하는 안경 디바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는 상기 힌지 메커니즘에 걸쳐 전자 컴포넌트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상기 안경 디바이스의 온보드 배터리에 연결된 전기 전도체인 안경 디바이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는 상기 프레임 및 상기 템플 각각에서의 전자 컴포넌트들 사이의 상기 힌지 메커니즘에 걸쳐 데이터 연결을 설정하는 안경 디바이스.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는 열 발생 컴포넌트로부터 상기 힌지 메커니즘에 걸쳐 히트싱크 요소로 열을 전도하도록 구성된 열 전도체인 안경 디바이스.
  15. 힌지 메커니즘으로서,
    안경 디바이스의 프레임을 상기 안경 디바이스의 템플에 결합하여 힌지 축을 중심으로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기 템플의 힌지식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힌지 피스- 상기 힌지 피스들 각각은:
    다른 힌지 피스의 상보적 힌지 형성부와 힌지식으로 맞물림되는 힌지 형성부- 상기 맞물림된 힌지 형성부들은 상기 힌지 축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내부 힌지 캐비티를 함께 정의함 -; 및
    상기 각자의 힌지 형성부에 고정식으로 부착된 바디 부분- 상기 바디 부분은, 그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힌지 캐비티와 연통하는 통로를 정의함 -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힌지 피스 중 제1 힌지 피스의 통로는 상기 힌지 캐비티 내로 축방향으로 개방됨 -;
    상기 상보적 힌지 형성부들을 피벗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힌지 핀 - 상기 한 쌍의 힌지 핀이 상기 힌지 캐비티의 대향하는 축방향 단부들을 차단하여 상기 힌지 캐비티가 상기 한 쌍의 힌지 핀에 의해 외부 시야로부터 숨겨짐 -; 및
    상기 제1 힌지 피스의 상기 통로를 통해 상기 힌지 캐비티 내로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힌지 캐비티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축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다른 힌지 피스의 통로를 통해 연장되는 전도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체가 상기 맞물림된 힌지 형성부들에서 외부 시야로부터 완전히 가려지게 되는 힌지 메커니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힌지 피스는 개방과 폐쇄 위치 사이에서 힌지식으로 배치가능하고, 상기 힌지 캐비티와 상기 한 쌍의 힌지 피스의 상기 통로들은 상기 개방 위치 및 상기 폐쇄 위치 둘 다에서 외부 시야로부터 가려지는 힌지 메커니즘.
  17. 제15항에 있어서,
    각각의 힌지 피스는 1-피스 구성의 금속 컴포넌트인 힌지 메커니즘.
  18. 삭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형성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힌지 캐비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하고 상기 힌지 축과 동축인 원통형의 내부를 갖는 관형의 힌지 너클을 포함하는 힌지 메커니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는 전기 전도체인 힌지 메커니즘.
KR1020207011823A 2017-10-31 2018-10-31 안경 힌지를 통한 전도성 연결 KR102483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46167A KR20230007561A (ko) 2017-10-31 2018-10-31 안경 힌지를 통한 전도성 연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79629P 2017-10-31 2017-10-31
US62/579,629 2017-10-31
PCT/US2018/058498 WO2019089785A1 (en) 2017-10-31 2018-10-31 Conductive connection through eyewear hing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6167A Division KR20230007561A (ko) 2017-10-31 2018-10-31 안경 힌지를 통한 전도성 연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606A KR20200053606A (ko) 2020-05-18
KR102483887B1 true KR102483887B1 (ko) 2023-01-03

Family

ID=643626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6167A KR20230007561A (ko) 2017-10-31 2018-10-31 안경 힌지를 통한 전도성 연결
KR1020207011823A KR102483887B1 (ko) 2017-10-31 2018-10-31 안경 힌지를 통한 전도성 연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6167A KR20230007561A (ko) 2017-10-31 2018-10-31 안경 힌지를 통한 전도성 연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10852562B2 (ko)
EP (1) EP3704534B1 (ko)
KR (2) KR20230007561A (ko)
CN (1) CN111213084B (ko)
WO (1) WO20190897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52562B2 (en) * 2017-10-31 2020-12-01 Snap Inc. Conductive connection through eyewear hinge
CN110022503A (zh) * 2018-01-08 2019-07-16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发声装置
US11474376B2 (en) * 2018-12-02 2022-10-18 Vigo Technologies, Inc. Hinge designs in wearable electronic devices
CN110471196B (zh) * 2019-07-26 2020-12-01 歌尔光学科技有限公司 智能眼镜
US11662609B2 (en) 2020-01-31 2023-05-30 Bose Corporation Wearable audio device with cable-through hinge
US11513366B2 (en) * 2020-01-31 2022-11-29 Bose Corporation Audio eyeglasses with double-detent hinge
TWI735285B (zh) * 2020-07-10 2021-08-01 研能科技股份有限公司 穿戴顯示裝置
IT202000017815A1 (it) * 2020-07-23 2022-01-23 Luxottica Srl Cerniera per occhiali elettronici.
DE102020210683B3 (de) 2020-08-21 2021-11-25 Obe Gmbh & Co. Kg Zentralteil für ein Brillenscharnier und Brille mit einem solchen Zentralteil
CN111965841B (zh) * 2020-08-27 2022-06-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眼镜的转动机构、眼镜和智能眼镜
KR20220036048A (ko) * 2020-09-15 2022-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열 구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CN112087935B (zh) * 2020-10-26 2022-11-04 歌尔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其导热铰链结构
CN112099236A (zh) * 2020-10-30 2020-12-18 歌尔光学科技有限公司 智能眼镜
KR20230077431A (ko) * 2021-11-25 2023-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53806A1 (ko) * 2022-09-06 2024-03-14 삼성전자 주식회사 힌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35159A1 (en) * 1999-11-12 2001-05-17 Ppg Industries Ohio, Inc. Split-pin hinge with wire extending therethrough
US20080013041A1 (en) 2006-07-12 2008-01-17 Chia-Lin Chou Slim frame of spectacle having electronic device thereon, and spectacle having the same
WO2016194853A1 (ja) 2015-06-01 2016-12-0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眼鏡型電子機器
WO2017042510A1 (fr) * 2015-09-11 2017-03-16 Vrm Lunetterie Articulation de lunettes et lunettes correspondant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2711A (en) * 1981-12-03 1983-11-01 The Stanley Works Two knuckle electrical hinge
FR2746151B1 (fr) 1996-03-15 1998-05-22 Dispositif de protection et de guidage d'un composant allonge associe, au niveau de l'articulation, a deux elements rigides articules l'un a l'autre, et ses applications industrielles
JP2002249002A (ja) * 2001-02-22 2002-09-03 Yazaki Corp ドアヒンジハーネス
DE20216305U1 (de) * 2002-10-22 2003-12-11 ATS Automatik-Tür-Systeme GmbH Tür- oder Fensterbeschlag
US7824200B2 (en) * 2009-03-30 2010-11-02 Assa Abloy, Inc. Data transfer hinge
US8353593B2 (en) * 2009-10-15 2013-01-15 Adlens Beacon, Inc. Hinge mechanism for a fluid filled lens assembly
ITGE20120054A1 (it) * 2012-05-21 2013-11-22 Michele Iurilli Occhiale comprendente elementi elettrici e/o elettronici
US9442305B2 (en) * 2012-06-14 2016-09-13 Mitsui Chemicals, Inc. Electronic eyeglass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WO2017051092A1 (fr) * 2015-09-24 2017-03-30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Monture électronique
FR3045700B1 (fr) * 2015-12-21 2019-08-02 Saint-Gobain Glass France Dispositif articule en rotation dote d’un systeme de connexion electrique
US9851585B2 (en) * 2016-02-29 2017-12-26 Snap Inc. Heat sink configuration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852562B2 (en) 2017-10-31 2020-12-01 Snap Inc. Conductive connection through eyewear hin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35159A1 (en) * 1999-11-12 2001-05-17 Ppg Industries Ohio, Inc. Split-pin hinge with wire extending therethrough
US20080013041A1 (en) 2006-07-12 2008-01-17 Chia-Lin Chou Slim frame of spectacle having electronic device thereon, and spectacle having the same
WO2016194853A1 (ja) 2015-06-01 2016-12-0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眼鏡型電子機器
WO2017042510A1 (fr) * 2015-09-11 2017-03-16 Vrm Lunetterie Articulation de lunettes et lunettes correspondan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89785A1 (en) 2019-05-09
EP3704534B1 (en) 2024-04-10
EP3704534A1 (en) 2020-09-09
US11422384B2 (en) 2022-08-23
US20210263334A1 (en) 2021-08-26
KR20230007561A (ko) 2023-01-12
US10852562B2 (en) 2020-12-01
US20230046364A1 (en) 2023-02-16
US20190129200A1 (en) 2019-05-02
CN111213084B (zh) 2021-08-17
CN111213084A (zh) 2020-05-29
KR20200053606A (ko) 2020-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3887B1 (ko) 안경 힌지를 통한 전도성 연결
US11973292B2 (en) Eyewear having selectively exposable feature
US20210149217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articulated joint
EP3830634B1 (en) Audio eyeglasses with cable-through hinge and related flexible printed circuit
US10514559B1 (en) Eyewear having linkage assembly between a temple and a frame
JP7208398B2 (ja) モジュール化された眼鏡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
CN204669487U (zh) 模块化摄像头
CN104836951A (zh) 模块化摄像头及其制造方法
US11199716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wearable heads-up displays
CN113168026A (zh) 电子眼镜
US20240184134A1 (en) Dual-axis hinge mechanism
CN117940835A (zh) 双轴铰链机构
CN112558306A (zh) 颈戴式设备和可穿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