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611B1 - 인덕터 - Google Patents

인덕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611B1
KR102483611B1 KR1020180013929A KR20180013929A KR102483611B1 KR 102483611 B1 KR102483611 B1 KR 102483611B1 KR 1020180013929 A KR1020180013929 A KR 1020180013929A KR 20180013929 A KR20180013929 A KR 20180013929A KR 102483611 B1 KR102483611 B1 KR 102483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patterns
inductor
disposed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4603A (ko
Inventor
송승제
정민기
김한
홍승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3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611B1/ko
Priority to US16/128,997 priority patent/US10796836B2/en
Priority to CN201811337206.8A priority patent/CN110120294B/zh
Publication of KR20190094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06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with special arrangement or spacing of turns of the winding(s), e.g. to produce desired self-reson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01F2017/002Details of via holes for interconnecting th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2017/0073Printed inductances with a special conductive pattern, e.g. flat spi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코일 패턴이 배치된 복수의 절연층이 적층된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외부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코일 패턴은 코일 연결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양단부가 코일 인출부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외부전극에 연결된 코일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코일 패턴은 외측에 배치된 코일 패턴과 그 내부에 배치된 코일 패턴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코일 패턴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외측에 병렬로 연결된 코일 패턴을 서로 연결하는 제1 코일 연결부와, 외측에 병렬로 연결된 코일 패턴과 인접한 내부의 코일 패턴을 연결하는 제2 코일 연결부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인덕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덕터{INDUCTOR}
본 발명은 인덕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경우, 다대역(多帶域) LTE(Long Term Evolution)의 적용으로 인해 많은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사용한다. 이로 인해 고주파 인덕터가 신호의 송·수신 RF 시스템에서 임피던스 매칭 회로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고주파 인덕터는 소형화, 고용량화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고주파 인덕터는 높은 주파수대역의 자기공진주파수(SRF)와 낮은 비저항을 가져 100MHz 이상의 고주파에서 사용이 가능할 것이 요구 된다. 또한 사용되는 주파수에서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 높은 Q 특성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높은 Q 특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인덕터의 바디를 구성하는 재료의 특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나,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인덕터 코일의 형상에 따라 Q 값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인덕터의 코일 형상을 최적화하여 더 높은 Q 특성을 유지하되, 내부 코일 구조의 산포가 균일한 인덕터 코일 구조의 구현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9741호
본 발명의 일 목적 중 하나는, 높은 Q 특성을 가지되, 비아 접합의 신뢰성과 특성 산포를 개선하는 인덕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코일 패턴이 배치된 복수의 절연층이 적층된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외부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코일 패턴은 코일 연결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양단부가 코일 인출부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외부전극에 연결된 코일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코일 패턴은 외측에 배치된 코일 패턴과 그 내부에 배치된 코일 패턴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코일 패턴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외측에 병렬로 연결된 코일 패턴을 서로 연결하는 제1 코일 연결부와, 외측에 병렬로 연결된 코일 패턴과 인접한 내부의 코일 패턴을 연결하는 제2 코일 연결부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인덕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에 있어서, 병렬로 연결된 코일 패턴을 서로 연결하는 코일 연결부와, 인접한 내부의 코일 패턴을 연결하는 코일 연결부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함으로써, 인덕터의 Q 특성을 종래와 동등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비아 영역과 비아의 외측 영역의 두께의 불균형을 개선하여 특성 산포를 줄일 수 있고, 비아 접합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의 투시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인덕터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인덕터의 분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의 투시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인덕터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4의 인덕터의 분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의 투시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7의 인덕터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7의 인덕터의 분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 예의 도면에 나타난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면의 W, L, T는 각각 제1 방향, 제2 방향, 제3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의 투시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인덕터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인덕터의 분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인덕터(100)의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100)의 바디(101)는 실장면에 수평한 제1 방향으로 복수의 절연층(111)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111)은 자성층 또는 유전층 일 수 있다.
절연층(111)이 유전층인 경우, 절연층(111)은 BaTiO3(티탄산바륨)계 세라믹 분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BaTiO3계 세라믹 분말은 예를 들면 BaTiO3에 Ca(칼슘), Zr(지르코늄) 등이 일부 고용된 (Ba1 - xCax)TiO3, Ba(Ti1-yCay)O3, (Ba1-xCax)(Ti1-yZry)O3 또는 Ba(Ti1-yZry)O3 등이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절연층(111)이 자성층인 경우, 절연층(111)은 인덕터의 바디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 중 적절한 것을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수지, 세라믹, 페라이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자성층은 감광성 절연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포토 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한 미세 패턴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즉, 감광성 절연재로 자성층을 형성함으로써 코일 패턴, 코일 인출부(131) 및 코일 연결부(132, 133)를 미세하게 형성하여 인덕터(100)의 소형화 및 기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자성층에는 예컨대 감광성 유기물이나 감광성 수지가 포함될 수 있다. 이 외에 자성층에는 필러(Filler) 성분으로서 SiO2/Al2O3/BaSO4/Talc 등의 무기 성분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디(101)의 외측에는 제1 및 제2 외부전극(181, 182)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외부전극(181, 182)은 바디(101)의 실장면에 배치될 수 있다. 실장면이란 인덕터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될 때에 인쇄회로기판을 향하는 면을 의미한다.
외부전극(181, 182)은 인덕터(100)가 인쇄회로기판(PCB)에 실장 될 때, 인덕터(100)를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외부전극(181, 182)은 바디(101) 상에 제1 방향 및 실장면에 수평한 제2 방향의 가장자리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외부전극(181, 182)은, 예를 들어, 전도성 수지층과, 상기 전도성 수지층 상에 형성된 도체층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도성 수지층은 구리(Cu), 니켈(Ni) 및 은(Ag)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도전성 금속과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체층은 니켈(Ni), 구리(Cu) 및 주석(S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니켈(Ni)층과 주석(Sn)층이 순차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절연층(111)에는 코일 패턴(121a~121f)이 형성될 수 있다.
코일 패턴(121a~121f)은 인접하는 코일패턴과 코일 연결부(132, 133)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나선형의 코일패턴(121a~121f)이 코일 연결부(132, 133)에 의해 연결되어 코일(120)을 형성한다. 코일(120)의 양단부는 코일 인출부(131)에 의해 각각 제1 및 제2 외부전극(181, 182)과 연결된다. 코일 연결부(132, 133)는 코일 패턴(121a~121f) 사이의 연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코일 패턴(121a~121f)에 비해 넓은 선폭을 가질 수 있으며, 절연층(111)을 관통하는 도전성 비아를 포함한다.
상기 코일 인출부(131)는 상기 바디(101)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로 노출되며, 기판 실장면인 하면으로도 노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코일 인출부(131)는 상기 바디(101)의 길이-두께 방향 단면에서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절연층(111) 중 외부전극(181, 182)에 대응하는 위치에 더미 전극(140)이 형성될 수 있다. 더미 전극(140)은 외부전극(181, 182)과 바디(101) 사이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거나, 외부전극이 도금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브릿지(bridge)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더미 전극(140)과 코일 인출부(131)는 비아 전극(142)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코일 패턴(121a~121f), 코일 인출부(131) 및 코일 연결부(132, 133)의 재질로는 도전성이 뛰어난 금속인 구리(Cu), 알루미늄(Al), 은(Ag), 주석(Sn), 금(Au), 니켈(Ni), 납(Pb),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의 도전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코일패턴(121), 코일 인출부(131) 및 코일 연결부(132, 133)는 도금법 또는 인쇄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인덕터(100)는, 절연층(111)에 코일 패턴(121a~121f), 코일 인출부(131) 또는 코일 연결부(132, 133) 등을 형성한 후에 절연층(111)을 실장면에 수평한 제1 방향으로 적층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종래보다 용이하게 인덕터(100)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코일 패턴(121a~121f)이 실장면에 수직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실장기판에 의해 자속이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인덕터(100)의 코일(120)은 제1 방향에서 투사시에 코일 패턴(121)들이 중첩되어 1회 이상의 코일 턴수를 가지는 코일 궤도를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외부전극(181)과 제1 및 제2 코일패턴(121a, 121b)이 코일 인출부(131)에 의해 연결되고, 이후 순차적으로 제1 내지 제6 코일패턴(121a~121f)이 코일 연결부(132, 133)에 의해 연결된다.
제1 및 제2 코일패턴(121a, 121b)은 병렬로 연결되며, 코일 인출부(131)에 의해 제1 외부전극(181)과 연결되고, 병렬로 연결된 제5 및 제6 코일패턴(121e, 121f)은 코일 인출부(131)에 의해 제2 외부전극(182)과 연결된다.
내부에 배치된 제3 및 제4 코일패턴(121c, 121d)은 병렬로 연결되며, 코일 연결부(133)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코일 패턴(121a~121f)은 각각 2개씩 병렬로 연결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코일 패턴 중 제1 및 제2 코일패턴(121a, 121b)과 제5 및 제6 코일패턴(121e, 121f)이 외측에 배치된 코일 패턴에 해당하고, 제3 코일 패턴 및 제4 코일 패턴(121c, 121d)이 내부에 배치된 코일 패턴에 해당한다.
상기 외측에 배치된 코일 패턴과 내부에 배치된 코일 패턴은 적어도 2 이상이 동일한 패턴으로 연결된다.
즉, 코일 패턴이 병렬로 연결된다는 것은 절연층(111) 상에 배치된 코일 패턴 중 서로 인접하는 2 이상의 코일 패턴의 형상이 동일하며, 서로 코일 연결부(132, 133)에 의해 연결된 형태를 의미한다.
상기 외측에 배치된 코일 패턴(121a, 121b, 121e, 121f)과 인접한 내부에 배치된 코일 패턴(121c, 121d)은 서로 다른 패턴 형상을 갖는다.
즉, 외측에 배치된 코일 패턴인 제1 및 제2 코일패턴(121a, 121b)에 인접한 제3 코일 패턴(121c)은 제1 및 제2 코일패턴(121a, 121b)의 형상과 다른 패턴 형상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외측에 배치된 코일 패턴인 제5 및 제6 코일패턴(121e, 121f)에 인접한 제4 코일 패턴(121d)은 제5 및 제6 코일패턴(121e, 121f)의 형상과 다른 패턴 형상을 갖는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100)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일 패턴(121a~121f)은 외측에 배치된 코일 패턴(121a, 121b, 121e, 121f)과 그 내부에 배치된 코일 패턴(121c, 121d)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코일 패턴(121a~121f)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외측에 병렬로 연결된 코일 패턴(121a, 121b, 121e, 121f)을 각각 서로 연결하는 제1 코일 연결부(132)와, 외측에 병렬로 연결된 코일 패턴(121a, 121b, 121e, 121f)과 인접한 내부의 코일 패턴(121c, 121d)을 연결하는 제2 코일 연결부(133)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코일 연결부는 외측에 병렬로 연결된 코일 패턴(121a, 121b, 121e, 121f)을 각각 서로 연결하는 제1 코일 연결부(132)와 외측에 배치된 코일 패턴과 인접한 내부에 배치된 코일 패턴을 연결하는 제2 코일 연결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코일 연결부(133)는 병렬로 연결된 내부에 배치된 코일 패턴(121c, 121d)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외측에 배치된 코일 패턴(121a, 121b, 121e, 121f)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코일 패턴(121)의 적층 방향 즉, 바디(101)의 폭 방향에서 바디의 양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코일 패턴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외측에 배치된 코일 패턴(121a, 121b, 121e, 121f) 중 제1 및 제6 코일 패턴(121a, 121f)은 상기 바디(101)의 양 측면 방향으로는 인접한 코일 패턴이 없으며, 내부 방향으로만 인접한 코일 패턴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내부에 배치된 코일 패턴(121c, 121d)은 상기 바디(101)의 폭 방향에서 바디의 양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외측 코일 패턴(121a, 121b, 121e, 121f)의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코일 패턴을 의미한다.
종래에는 코일 패턴을 연결하는 코일 연결부가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설계가 이루어졌다. 이 경우, 종래의 인덕터는 제작 과정에서 압력을 받는 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중첩된 코일 연결부에 의하여 코일 패턴이 배치된 코일 연결부의 외부 영역과 코일 연결부 영역간에 두께의 불균일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두께의 불균일은 자로 길이의 불균형을 초래하며 이는 인덕터 특성 산포의 원인이 되어 왔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는 외측에 병렬로 연결된 코일 패턴(121a, 121b, 121e, 121f)을 각각 서로 연결하는 제1 코일 연결부(132)와, 외측에 병렬로 연결된 코일 패턴(121a, 121b, 121e, 121f)과 인접한 내부의 코일 패턴(121c, 121d)을 연결하는 제2 코일 연결부(133)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외측에 병렬로 연결된 코일 패턴(121a, 121b, 121e, 121f)을 각각 서로 연결하는 제1 코일 연결부(132)와, 외측에 병렬로 연결된 코일 패턴(121a, 121b, 121e, 121f)과 인접한 내부의 코일 패턴(121c, 121d)을 연결하는 제2 코일 연결부(133)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중첩된 코일 연결부에 의하여 코일 패턴이 배치된 코일 연결부의 외부 영역과 코일 연결부 영역간에 두께의 불균일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코일 연결부가 중첩되지 않아 코일 패턴이 배치된 코일 연결부의 외부 영역과 코일 연결부 영역간의 두께의 불균일이 없으며, 그 결과 자로 길이의 균형을 도모할 수 있어, 인덕터의 특성 산포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코일 연결부(132)와 제2 코일 연결부(133)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기 때문에, 코일 연결부와 코일 연결부의 패드 간의 접합 불량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서, 외측에 병렬로 연결된 코일 패턴(121a, 121b, 121e, 121f)을 서로 연결하는 제1 코일 연결부(132)와, 외측에 병렬로 연결된 코일 패턴(121a, 121b, 121e, 121f)과 인접한 내부의 코일 패턴(121c, 121d)을 연결하는 제2 코일 연결부(133)를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게 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코일 패턴(121a)과 제2 코일 패턴(121b)을 연결하는 제1 코일 연결부(132)와 중첩되지 않도록 제2 코일 패턴(121b)과 제3 코일 패턴(121c)을 연결하는 제2 코일 연결부(133)를 형성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제1 코일 연결부(132)와 제2 코일 연결부(133)를 형성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비아를 형성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코일 연결부(132)와 제2 코일 연결부(133)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 외에 그 형성 방법은 종래의 방법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코일 패턴(121a~121f)을 연결하는 코일 연결부(132, 133)는 각 코일 패턴 간에 1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코일 패턴(121a)과 제2 코일 패턴(121b)을 연결하는 제1 코일 연결부(132) 및 제2 코일 패턴(121b)과 제3 코일 패턴(121c)을 연결하는 제2 코일 연결부(133)는 각각 1개이며, 그 외 각 코일 패턴을 연결하는 코일 연결부 역시 1개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코일 연결부(132)와 제2 코일 연결부(133)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기 때문에, 인덕터의 특성 산포 문제를 개선할 수 있으며, 코일 연결부와 코일 연결부의 패드 간의 접합 불량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코일 패턴을 연결하는 코일 연결부를 2개 이상 복수 개 형성하지 않더라도 코일 연결부의 접합 불량 혹은 연결 불량 문제는 없어 공정이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코일 연결부(132)와 제2 코일 연결부(133)는 상기 바디(101)의 길이 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일 측면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코일 연결부(132)와 제2 코일 연결부(133)가 서로 엇갈려 배치되되, 이격된 거리가 짧은 경우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코일 연결부(132)와 제2 코일 연결부(133)는 상기 바디(101)의 길이 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일 측면쪽에 배치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코일 연결부(132)와 제2 코일 연결부(133)는 상기 바디(101)의 길이 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길이 방향 측면쪽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의 투시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인덕터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4의 인덕터의 분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 연결부(132)와 제2 코일 연결부(133)는 서로 접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일 연결부(132)와 제2 코일 연결부(133)가 서로 엇갈려 배치되되, 이격된 거리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보다 더 짧은 경우로서, 이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비하여 내부에 배치된 코일 패턴(121c, 121d)의 턴수가 증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인덕터의 인덕턴스를 보다 높일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원하는 인덕턴스를 얻도록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의 투시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7의 인덕터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7의 인덕터의 분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코일 연결부(132)와 제2 코일 연결부(133)는 상기 바디(101)의 길이 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길이 방향 측면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코일 연결부(132)와 제2 코일 연결부(133)가 서로 엇갈려 배치되되, 이격된 거리가 긴 경우로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코일 연결부(132)와 제2 코일 연결부(133)는 상기 바디(101)의 길이 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길이 방향 측면쪽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코일 연결부(132)와 제2 코일 연결부(133)는 상기 바디(101)의 길이 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길이 방향 측면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인덕터의 특성 산포 개선 효과가 보다 우수할 수 있다.
즉, 코일 패턴이 배치된 코일 연결부의 외부 영역과 코일 연결부 영역간의 두께를 보다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자로 길이의 균형을 도모할 수 있어, 인덕터의 특성 산포 개선 효과가 보다 우수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에 있어서, 상기 내부에 배치된 병렬로 연결된 코일 패턴들(121c~121h) 중, 하나의 병렬로 연결된 코일 패턴들 사이를 연결하는 코일 연결부와, 인접한 코일 패턴들 사이를 연결하는 코일 연결부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코일 패턴(121a~121j) 중 제1 및 제2 코일패턴(121a, 121b)과 제9 및 제10 코일패턴(121i, 121j)이 외측에 배치된 코일 패턴에 해당하고, 제3 코일 패턴 내지 제8 코일 패턴(121c~121h)이 내부에 배치된 코일 패턴에 해당한다.
상기 내부에 배치된 병렬로 연결된 코일 패턴들(121c~121h)을 연결하는 제2 코일 연결부(133)은 4개의 코일 연결부(133a, 133b, 133c, 133d)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코일 연결부(133a, 133b, 133c, 133d)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일 패턴의 개수가 증가하는 경우 내부에 배치된 코일 패턴들 사이를 연결하는 코일 연결부 각각도 서로 엇갈리게 배치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코일 연결부가 중첩되지 않아 코일 패턴이 배치된 코일 연결부의 외부 영역과 코일 연결부 영역간의 두께의 불균일이 없으며, 그 결과 자로 길이의 균형을 도모할 수 있어, 인덕터의 특성 산포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코일 연결부(132)와 제2 코일 연결부(133)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기 때문에, 코일 연결부와 코일 연결부의 패드 간의 접합 불량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인덕터에 있어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인덕터와 동일한 특징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서로 독립적인 것이 아니며, 실시예 하나를 단독으로 실시하거나 실시예 둘 이상을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인덕터
101: 바디
120: 코일
121: 코일 패턴
131: 코일 인출부
132: 제1 코일 연결부
133: 제2 코일 연결부
140: 더미 패턴
181, 182: 외부 전극

Claims (9)

  1. 코일 패턴이 배치된 복수의 절연층이 적층된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외부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코일 패턴은 코일 연결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양단부가 코일 인출부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외부전극에 연결된 코일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코일 패턴은 외측에 배치된 코일 패턴과 그 내부에 배치된 코일 패턴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코일 패턴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외측에 병렬로 연결된 코일 패턴을 서로 연결하는 제1 코일 연결부와, 외측에 병렬로 연결된 코일 패턴과 인접한 내부의 코일 패턴을 연결하는 제2 코일 연결부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인덕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코일 패턴은 적어도 2 이상의 동일한 패턴을 포함하는 인덕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에 배치된 코일 패턴에 인접한 내부에 배치된 코일 패턴은 외측에 배치된 코일 패턴과 다른 패턴 형상을 갖는 인덕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일 패턴은 기판 실장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적층된 인덕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 연결부와 제2 코일 연결부는 서로 접하는 인덕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 연결부와 제2 코일 연결부는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일 측면쪽에 배치된 인덕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 연결부와 제2 코일 연결부는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길이 방향 측면쪽에 배치된 인덕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일 패턴을 연결하는 코일 연결부는 각 코일 패턴 간에 1개인 인덕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에 배치된 병렬로 연결된 코일 패턴들 중, 하나의 병렬로 연결된 코일 패턴들 사이를 연결하는 코일 연결부와, 인접한 코일 패턴들 사이를 연결하는 코일 연결부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인덕터.
KR1020180013929A 2018-02-05 2018-02-05 인덕터 KR102483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929A KR102483611B1 (ko) 2018-02-05 2018-02-05 인덕터
US16/128,997 US10796836B2 (en) 2018-02-05 2018-09-12 Inductor
CN201811337206.8A CN110120294B (zh) 2018-02-05 2018-11-12 电感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929A KR102483611B1 (ko) 2018-02-05 2018-02-05 인덕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603A KR20190094603A (ko) 2019-08-14
KR102483611B1 true KR102483611B1 (ko) 2023-01-02

Family

ID=67475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929A KR102483611B1 (ko) 2018-02-05 2018-02-05 인덕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96836B2 (ko)
KR (1) KR102483611B1 (ko)
CN (1) CN1101202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42892B2 (ja) 2021-01-25 2023-09-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インダクタ部品
KR20240038433A (ko) 2022-09-16 2024-03-25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전자 부품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0920B2 (ja) * 2002-09-30 2007-11-21 Tdk株式会社 インダクティブ素子の製造方法
JP2005005595A (ja) * 2003-06-13 2005-01-06 Murata Mfg Co Ltd コイル部品
JP2005123332A (ja) 2003-10-15 2005-05-12 Denso Corp 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TW200717549A (en) * 2005-10-14 2007-05-01 Murata Manufacturing Co Multiplayer coil component
KR100869741B1 (ko) 2006-12-29 2008-11-21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나선형 인덕터
CN102044323A (zh) * 2009-10-19 2011-05-04 深圳振华富电子有限公司 一种叠层片式电感器
CN101789307A (zh) * 2010-03-15 2010-07-28 深圳顺络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叠层片式元器件内电极的螺形线圈的结构
JP5835252B2 (ja) 2013-03-07 2015-12-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
KR102083991B1 (ko) 2014-04-11 2020-03-03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전자부품
KR102120898B1 (ko) * 2014-06-19 2020-06-09 삼성전기주식회사 칩형 코일 부품
KR102105389B1 (ko) * 2015-09-14 2020-04-28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전자부품
US10580559B2 (en) * 2016-07-07 2020-03-0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il component
JP6519561B2 (ja) * 2016-09-23 2019-05-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インダクタ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120294B (zh) 2024-05-17
US20190244740A1 (en) 2019-08-08
US10796836B2 (en) 2020-10-06
KR20190094603A (ko) 2019-08-14
CN110120294A (zh) 201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1943B2 (en) Multilayer type indu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94759B1 (ko) 인덕터
KR102442384B1 (ko) 코일 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565701B1 (ko) 코일 부품
KR102632343B1 (ko) 인덕터 어레이 부품 및 그의 실장 기판
US11289264B2 (en) Inductor
KR101843283B1 (ko) 코일 전자 부품
KR20180071644A (ko) 인덕터
US20190318867A1 (en) Indu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483611B1 (ko) 인덕터
KR102551243B1 (ko) 코일 부품
CN108206087B (zh) 电感器及其贴装基板
KR102064072B1 (ko) 인덕터
KR102494342B1 (ko) 인덕터
KR102064064B1 (ko) 인덕터
CN110534287B (zh) 电感器
CN110676029B (zh) 电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