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203B1 - 진동 방지 보링바 - Google Patents

진동 방지 보링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203B1
KR102483203B1 KR1020220027055A KR20220027055A KR102483203B1 KR 102483203 B1 KR102483203 B1 KR 102483203B1 KR 1020220027055 A KR1020220027055 A KR 1020220027055A KR 20220027055 A KR20220027055 A KR 20220027055A KR 102483203 B1 KR102483203 B1 KR 102483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ring
vibration
insertion space
boring bar
bor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7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길
Original Assignee
이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길 filed Critical 이상길
Priority to KR1020220027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2Boring bars
    • B23B29/022Boring bars with vibration re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32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isolating vibrations in parts of the machine
    • B23Q11/0035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isolating vibrations in parts of the machine by adding or adjusting a mass, e.g. counterwe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29/00Details of boring bars or boring 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진동 방지 보링바가 개시된다. 진동 방지 보링바는, 구동장치에 탈부착되는 홀더부와, 홀더부에 연결되며 내부에 삽입 공간이 형성된 보링 바디와, 보링바의 삽입 공간의 내부에 충진되는 충전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동 방지 보링바{VIBRATION PREVENT BORING BAR}
본 발명은 보링 작업을 위한 회전 작동시 진동 발생의 억제가 가능한 진동 방지 보링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링바는 보링머신, 머시닝센터 등과 같은 절삭가공기계의 주축에 장착되어 가공물에 구멍을 뚫거나 구멍을 깍아서 넓히는 작업을 수행하는 공구를 말한다.
이러한 보링바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상의 보링바의 본체에 비트가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내경이 다른 공작물의 가공시에는 가공하고자 하는 내경에 맞는 보링바로 교체하여 사용한다.
한편, 전술한 종래 보링바는 보링머신, 머시닝센터 등과 같은 절삭가공기계의 주축에 장착되어,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작동되는 과정에서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보링바의 회전 작동에 의해 작업 대상물에 구멍을 뚫거나, 구멍의 내경을 넓히는 등의 작업 과정에서 원활한 작업 진행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1990-0016477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납 재질의 충전재가 충전되어 소정의 회전 구동원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작동되어 보링 작업이 실시되는 과정에서 진동 발생을 억제하여 원활한 보링 작업 또는 구멍 형성 작업이 가능한 진동 방지 보링바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동장치에 탈부착되는 홀더부와, 홀더부에 연결되며 내부에 삽입 공간이 형성된 보링 바디와, 보링바의 삽입 공간의 내부에 충진되는 충전재를 포함한다.
충전재는, 보링 바디의 삽입 공간의 내부에 충진되는 납(lead)일 수 있다.
보링 바디의 외표면은 일정한 온도범위에서 상변화되도록 열처리될 수 있다.
홀더부는, 보링 바디의 일측에 돌출되는 연결부와, 연결부에 형성되어 체결부재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삽입 공간이 형성된 보링 바디의 삽입 공간에 납 재질의 충전재를 충전하는 바, 회전력을 전달하는 소정의 구동장치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보링 작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진동 발생을 억제하여 보링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보링 품질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방지 보링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진동 방지 보링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진동 방지 보링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방지 보링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방지 보링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진동 방지 보링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진동 방지 보링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방지 보링바(100)는, 구동장치에 탈부착되는 홀더부(10)와. 홀더부(10)에 연결되며 내부에 삽입 공간이 형성된 보링 바디(20)와, 보링 바디(20)의 삽입 공간(21)의 내부에 충진되는 충전재(30)를 포함한다.
구동장치(미도시)는 작업 대상물(미도시)에 적절한 크기의 구멍을 형성하도록 보링바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장치는, 보링머신 머시닝센터 등의 절삭가공기계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즉, 구동장치는 회전 구동되는 주축이 설치되어 본 실시예의 진동 방지 보링바(10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보링 머신 또는 머시닝 센터인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물론, 구동장치는 보링 머신 또는 머시닝 센터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소정의 구동원으로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구동장치의 주축에는 본 실시예의 진동 방지 보링바(1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방지 보링바(100)는, 홀더부(10)와 보링 바디(20) 및 충전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부(10)는 보링 바디(20)를 구동장치에 연결하도록 보링 바디(2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홀더부(10)는, 보링 바디(20)의 일측에 돌출되는 연결부(11)와, 연결부(11)에 형성되어 체결부재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홀(13)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1)는 보링 바디(20)의 일측에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구동장치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보링 바디(20)의 일측에 돌출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1)는 보링 바디(20)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로 보링 바디(20)의 일측에 돌출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보링 바디(20)의 일측에 경사진 상태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11)가 보링 바디(20)의 측면에 경사진 상태로 돌출되는 것은, 구동장치에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연결부(11)는 경사진 상태로 보링 바디(20)의 측면에 돌출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경사면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보링 바디(20)의 일측에 돌출되어 구동 장치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연결부(11)에는 구동장치에 결합을 위한 고정홀(13)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홀(13)은 연결부(11)에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체결부재(미도시)의 삽입 고정에 의해 고정 장치에 보링 바디(20)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홀(13)은 연결부(11)에 2개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연결부(11)의 크기 또는 고정력의 변경을 위해 적어도 3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보링 바디(20)는 전술한 홀더부(10)에 의해 구동장치에 연결되어 회전 작동되어 작업 대상물에 소정 크기의 구멍을 뚫거나 구멍을 깍아서 넓히는 작업을 실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링 바디(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작업 대상물에 형성하고자 하는 구멍의 깊이과 직경에 대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보링 바디(20)는 작업 대상물에 형성된 구멍이 내벽면에 접촉하여 구멍의 크기를 적절한 직경 크기로 넓히도록 소정의 직경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링 바디(20)의 내부에는 삽입 공간(21)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 공간(21)은 보링 바디(2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보링 바디(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 공간(21)은 보링 바디(20)의 내부에서 보링 바디(20)의 일측과 타측의 사이 위치에서 긴 길이로 형성되는 것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 공간(21)은 보링 바디(20)의 내부에서 단일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삽입 공간(21)이 보링 바디(2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은, 충전재(30)가 삽입되도록 하여, 보링 작업 과정에서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 및 방지하기 위함이다.
충전재(30)는 보링 바디(20)의 삽입 공간(21)의 내부에 충전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보링바의 회전 작동 과정에서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충전재(30)는 보링바의 회전 작동에 의해 작업 대상물에 구멍을 뚫는 과정에서 정확한 직경과 크기로 구멍을 형성하도록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보링 바디(20)의 내부에 충진될 수 있다.
충전재(30)는 본 실시예에서 납(lead)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보링 바디(20)의 내부에 형성된 삽입 공간(21)의 전체 공간에 균일하게 충진될 수 있다.
충전재(30)는 본 실시예에서 단일의 삽입 공간(21)에 충진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삽입 공간(21)이 복수개로 구획된 상태에서 각각의 구획된 공간에 충전재(30)가 충전되는 것도 가능하다.
충전재(30)는 납으로 적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납과 유사한 금속 재질로 적절하게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보링 바디(20)의 외표면은 일정한 온도범위에서 상변화되도록 열처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링 바디(20)의 외표면이 열처리 작업 진행되는 바, 충분한 경도의 확보에 의한 내구성이 확보되어 회전 작동 과정에서 진동이발생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방지 보링바(100)는, 내부에 삽입 공간(21)이 형성된 보링 바디(20)의 삽입 공간(21)에 납 재질의 충전재(30)를 충전하는 바, 회전력을 전달하는 소정의 구동장치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보링 작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진동 발생을 억제하여 보링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보링 품질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방지 보링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방지 보링바(200)는, 삽입 공간(21)이 복수개로 복수개로 구획되고, 구획된 복수개의 삽입 공간(121)의 각각에 충전재(30)의 충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삽입 공간(21)의 각각에 충전재(30)의 안정적인 충전이 가능하여, 회전 작동 과정에서 진동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홀더부 11...연결부
13...고정홀 20..보링 바디
21, 121..삽입 공간 30...충전재

Claims (4)

  1. 구동장치에 탈부착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에 연결되며 내부에 삽입 공간이 형성된 보링 바디; 및
    상기 보링 바디의 상기 삽입 공간 전체에 균일하게 충진되는 충전재;
    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재는, 납(lead)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의 것이며,
    상기 홀더부는, 상기 보링 바디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링 바디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로 일측에 돌출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어 체결부재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홀;
    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 공간은 상기 보링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획되고, 삽입 공간의 각각에 상기 충전재가 충진되는, 진동 방지 보링바.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20027055A 2022-03-02 2022-03-02 진동 방지 보링바 KR102483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055A KR102483203B1 (ko) 2022-03-02 2022-03-02 진동 방지 보링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055A KR102483203B1 (ko) 2022-03-02 2022-03-02 진동 방지 보링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3203B1 true KR102483203B1 (ko) 2023-01-03

Family

ID=84924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055A KR102483203B1 (ko) 2022-03-02 2022-03-02 진동 방지 보링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2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1006U (ko) * 1980-11-05 1982-05-19
KR900016477A (ko) 1989-04-06 1990-11-13 마흐너, 자우러 진동에 대한 높은 안정성을 가진 기계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47823A (ko) * 2001-12-11 2003-06-18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공구홀더
KR20160143211A (ko) * 2015-06-05 2016-12-14 정만성 채터링을 최소화하는 절삭공구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1006U (ko) * 1980-11-05 1982-05-19
KR900016477A (ko) 1989-04-06 1990-11-13 마흐너, 자우러 진동에 대한 높은 안정성을 가진 기계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47823A (ko) * 2001-12-11 2003-06-18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공구홀더
KR20160143211A (ko) * 2015-06-05 2016-12-14 정만성 채터링을 최소화하는 절삭공구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12159B2 (ja) 深穴のためのドリルシステム
US8734068B2 (en) Cutting tool with unequal flute spacing
KR20130083583A (ko) 선박 중형엔진용 캠 플랜지홀 드릴링 다축 장치
EP1293279B1 (en) Collet
US4726717A (en) Deep-bore drilling machine
KR102483203B1 (ko) 진동 방지 보링바
WO2008082237A1 (en) Automatic pallet changer
US4475853A (en) Rotary tool and guide
TWI395625B (zh) Rotating tool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nd the rotating tool
JP2008290167A (ja) 切削加工装置
KR102217335B1 (ko) 건드릴 머신의 숏드릴 연결구조
KR20160070961A (ko) 지그 장치 및 홀 가공방법
JP4689360B2 (ja) ドリルホルダ
KR200393862Y1 (ko) 진동방지 보링바
JPH11216606A (ja) ボーリング用工具アセンブリ
RU2749594C1 (ru) Сборное сверло
KR102023691B1 (ko) 공작 기계용 헤드 유닛 구동시스템
KR20110109169A (ko) 장축 내경 가공이 가능한 공작기계용 터릿
JP5997584B2 (ja) 工具取付具および工具取付機構
JP6745868B2 (ja) 工具ホルダ
US3104563A (en) Drills
JP5090297B2 (ja) 流体供給穴付き加工工具
KR100677823B1 (ko) 마스터 스핀들
KR100394612B1 (ko) 공작기계의 다중 가공용 스핀들 장치
KR200309661Y1 (ko) 절삭 공구 안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