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174B1 - 전기 플러그 - Google Patents

전기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174B1
KR102483174B1 KR1020200147358A KR20200147358A KR102483174B1 KR 102483174 B1 KR102483174 B1 KR 102483174B1 KR 1020200147358 A KR1020200147358 A KR 1020200147358A KR 20200147358 A KR20200147358 A KR 20200147358A KR 102483174 B1 KR102483174 B1 KR 102483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roove
main body
plug
housing
contact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7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1413A (ko
Inventor
이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오플러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오플러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오플러그
Priority to KR1020200147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174B1/ko
Publication of KR20220061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1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주 본체부; 상기 플러그 주 본체부로부터 제1측 방향으로 노출되는 접속핀부; 상기 플러그 주 본체부로부터 제2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러그 보조 본체부; 및 상기 접속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보조 본체부는, 보조 본체부 하우징; 및 상기 보조 본체부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선은 제1배선 및 제2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배선이 연결되는 제1접점 및 상기 제2배선이 연결되는 제2접점을 포함하는 전기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제1접점, 제2접점을 포함하는 체결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1배선, 상기 제2배선을 상기 체결부재에 체결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전기 플러그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배선의 분리 및 체결을 통하여, 상기 전기 플러그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플러그{An Electric Plug}
본 발명은 전기 플러그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선과 전기 플러그의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여,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플러그의 교체가 용이한 전기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전기 플러그는 전기 배선 기구의 한 종류로 전기기구에 연결된 코드 끝에 구비되어 콘센트에 꽂아 사용하는 접속 기구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공장에 들어오는 전기는 콘센트로 이어지며, 상기 콘센트에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꽂아 전기기구에 전기를 공급하여 작동시킨다.
이때, 플러그는 콘센트와의 연결 부분, 예컨대 플러그 본체에 코드와 연결된 두 개의 핀(접속핀)이 고정되어 있어, 이를 콘센트 구멍으로 삽입 및 고정시켜 전기기구에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즉, 상기한 플러그의 일반적인 구조는, 플러그 본체와, 그리고 플러그 본체의 전면에 마련되는 한 쌍의 접속핀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성에 따라, 플러그 본체에 마련된 접속핀을 콘센트에 마련된 접속홀에 접속시킴으로써 가전제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접속핀은 배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배선은 전기기구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접속핀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배선을 통해 상기 전기기구에 공급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 플러그를 도시하는 실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기 플러그(10)는, 플러그 본체(20); 상기 플러그 본체(20)의 제1방향으로 돌출되는 접속핀부(30); 상기 플러그 본체(20)의 제2방향으로 배치되는 배선(40)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접속핀부(30)는 상기 배선(40)에 연결되어, 상기 접속핀부(3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배선(40)을 통해 전기기구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 플러그(10)는 상기 배선(40)가 삽입되고, 상기 플러그 본체(20)의 타측 끝단에 배치되는 보강대(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보강대는 당업계에서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전기 플러그(10)는, 상기 접속핀부(30)에 상기 배선(40)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본체(20)와 상기 보강대(50)가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며, 이를 통해, 상기 접속핀부, 상기 배선, 상기 플러그 본체 및 상기 보강대가 일체화되어 제조되기 때문에, 상기 배선은 상기 접속핀부, 상기 플러그 본체 및 상기 보강대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전기 플러그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선을 포함하는 상기 전기 플러그 전체를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6-008958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선과 전기 플러그의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여,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플러그의 교체가 용이한 전기 플러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플러그 주 본체부; 상기 플러그 주 본체부로부터 제1측 방향으로 노출되는 접속핀부; 상기 플러그 주 본체부로부터 제2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러그 보조 본체부; 및 상기 접속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보조 본체부는, 보조 본체부 하우징; 및 상기 보조 본체부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선은 제1배선 및 제2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배선이 연결되는 제1접점 및 상기 제2배선이 연결되는 제2접점을 포함하는 전기 플러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체결부재는, 육면체의 형상으로 정의되는 체결부재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 몸체부는 육면체의 정의에 따라, 상면부; 하면부; 정면부; 배면부;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측면부는, 상기 제1측면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정면부 방향으로부터 상기 배면부 방향으로 길게 위치하며, 제1깊이를 갖는 제1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 홈은 상기 정면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1가이드홈; 및 상기 제1-1가이드홈과 연속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1가이드홈보다 낮은 단차를 갖으며, 상기 배면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2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측면부는 상기 제1-2가이드홈에 상기 제1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2측면부는, 상기 제2측면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정면부 방향으로부터 상기 배면부 방향으로 길게 위치하며, 제2깊이를 갖는 제2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가이드 홈은 상기 정면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1가이드홈; 및 상기 제2-1가이드홈과 연속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1가이드홈보다 낮은 단차를 갖으며, 상기 배면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2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측면부는 상기 제2-2가이드홈에 상기 제2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선은 접지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접지선이 연결되는 제3접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면부는, 상기 하면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정면부 방향으로부터 상기 배면부 방향으로 길게 위치하며, 제3깊이를 갖는 제3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3가이드 홈은 상기 배면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3-1가이드홈; 및 상기 제3-1가이드홈과 연속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3-1가이드홈보다 낮은 단차를 갖으며, 상기 정면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3-2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하면부는 상기 제3-2가이드홈에 상기 제3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속핀부는, 상기 플러그 주 본체부로부터 제1측 방향으로 노출되는 제1접속핀부; 및 상기 플러그 주 본체부로부터 제1측 방향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1접속핀부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접속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접점에서 상기 제1배선 및 제1연결플레이트의 일측이 제1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체결되어, 상기 제1배선과 상기 제1접속핀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접점에서 상기 제2배선 및 제2연결플레이트의 일측이 제2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체결되어, 상기 제2배선과 상기 제2접속핀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러그 주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접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접점에서 상기 접지선 및 제3연결플레이트의 일측이 제3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체결되어, 상기 접지선과 상기 접지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면부는, 상기 상면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1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본체부 하우징은, 원통 형상의 보조 본체부 하우징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본체부 하우징 몸체부는, 상기 보조 본체부 하우징 몸체부의 상부 제1영역에 위치하는 제2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홀은 상기 제2체결홀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제1체결홀 및 상기 제2체결홀이 체결수단에 의해 동시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보조 본체부 하우징이 상호 체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면부는, 상기 배면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상면부 방향에서 상기 하면부 방향으로 길게 위치하는 가이드 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조 본체부 하우징은, 원통 형상의 보조 본체부 하우징 몸체부; 및 상기 보조 본체부 하우징 몸체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돌출턱을 포함하며, 상기 주 본체부는,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은, 상기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의 배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턱을 포함하며, 상기 제1돌출턱은 및 상기 제2돌출턱은 각각 연속적인 링 형상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돌출턱의 링 형상은 상기 제2돌출턱의 링 형상보다 작게 구성되어, 상기 제1돌출턱이 상기 제2돌출턱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면부는, 상기 정면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은, 상기 제2돌출턱의 내부에 위치하는 삽입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삽입홀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삽입홀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어 체결고정됨으로써,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에 체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접점, 제2접점을 포함하는 체결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1배선, 상기 제2배선을 상기 체결부재에 체결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전기 플러그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배선의 분리 및 체결을 통하여, 상기 전기 플러그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배선은 상기 체결부재의 제1측면부에 연결되고, 제2배선은 상기 체결부재의 제2측면부에 연결되며, 접지선은 상기 체결부재의 하면부에 연결되는 구조에 따라, 각 배선 및 접지선이 수평적 연결이 아닌, 입체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각 배선 및 접지선이 연결되는 부위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 플러그를 도시하는 실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보조 본체부를 도시하는 제1방향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보조 본체부를 도시하는 제2방향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를 도시하는 제1방향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를 도시하는 제2방향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를 도시하는 제3방향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를 도시하는 제4방향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본체부 하우징을 도시하는 제1방향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본체부 하우징을 도시하는 제2방향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주 본체부의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주 본체부의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을 도시하는 배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주 본체부의 주 본체부 정면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주 본체부의 주 본체부 정면 하우징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100)는, 플러그 주 본체부(200); 상기 플러그 주 본체부(200)로부터 제1측 방향으로 노출되는 접속핀부(110); 상기 플러그 주 본체부(300)로부터 제2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러그 보조 본체부(300); 및 상기 접속핀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미도시)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플러그 주 본체부(200)는 주 본체부 정면 하우징(210); 및 상기 주 본체부 정면 하우징(210)과 체결되는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핀부(110)는, 상기 플러그 주 본체부(200)로부터 제1측 방향으로 노출되는 제1접속핀부(110a); 및 상기 플러그 주 본체부(200)로부터 제1측 방향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1접속핀부(110a)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접속핀부(110b)를 포함하며, 다만, 도면에서는 상기 접속핀부의 개수가 2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접속핀부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플러그 주 본체부의 내부에는 접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선(미도시)은, 상기 제1접속핀부(11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배선(미도시); 상기 제2접속핀부(11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배선(미도시); 및 상기 접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배선(또는 접지선)(미도시)을 포함하며, 이러한 제1배선 내지 제3배선은 가전제품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 플러그가 연결되는 전자기기에 전원 등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배선(미도시), 상기 제2배선(미도시) 및 상기 제3배선(미도시)이, 각각 제1접속핀부(110a), 제2접속핀부(110b) 및 접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의 세부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보조 본체부를 도시하는 제1방향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보조 본체부를 도시하는 제2방향 사시도이다.
이때, 도 4 및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접속핀부, 즉, 제1접속핀부(110a) 및 제2접속핀부(110b)를 포함하여 도시하였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보조 본체부(300)는, 보조 본체부 하우징(310); 및 상기 보조 본체부 하우징(3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체결부재(4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보조 본체부 하우징(310)은 상기 체결부재(400)를 커버하면서, 후술할 바와 같이, 주 본체부 하우징으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체결부재(400)는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주 본체부 하우징의 일정영역에 체결고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를 도시하는 제1방향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를 도시하는 제2방향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를 도시하는 제3방향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를 도시하는 제4방향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이때, 도 6 내지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접속핀부, 즉, 제1접속핀부(110a) 및 제2접속핀부(110b)와 접지부(110c)를 포함하여 도시하였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1접속핀부(110a)와 제1접점을 연결하는 제1연결플레이트(120a), 상기 제2접속핀부(110b)와 제2접점을 연결하는 제2연결플레이트(120b), 상기 접지부(110c)와 제3접점을 연결하는 제3연결플레이트(120c)의 구성을 포함하여 도시하였다.
도 6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400)는, 육면체의 형상으로 정의되는 체결부재 몸체부(410)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 몸체부(410)는 육면체의 정의에 따라, 상면부(410a); 상기 상면부(410a)와 마주보며 위치하는 하면부(410b); 상기 상면부(410a)의 제1측과 상기 하면부(410b)의 제1측의 사이에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정면부(410c); 상기 정면부(410c)과 마주보며 위치하고, 상기 상면부(410a)의 제2측과 상기 하면부(410b)의 제2측의 사이에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배면부(410d); 상기 상면부(410a)의 제3측과 상기 하면부(410b)의 제3측의 사이에 연속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정면부(410c)의 일측과 상기 배면부(410b)의 일측의 사이에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제1측면부(410e); 및 상기 제1측면부(410e)과 마주보며 위치하고, 상기 상면부(410a)의 제4측과 상기 하면부(410b)의 제4측의 사이에 연속적으로 위치하며, 상기 정면부(410c)의 타측과 상기 배면부(410d)의 타측의 사이에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제2측면부(410f)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 몸체부(410)는, 상면부(410a); 하면부(410b); 정면부(410c); 배면부(410d); 제1측면부(410e) 및 제2측면부(410f)의 6개의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육면체의 정의는 일반적인 것에 해당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부, 하부, 정면, 배면, 측면 등의 의미에 권리범위의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도 6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400)의 상면부는, 상기 상면부(410a)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1체결홀(411)을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홀(411)은 후술하는 보조 본체부 하우징(310)의 제2체결홀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여, 공지된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도 1의 101)에 의해, 상기 제1체결홀(411) 및 상기 제2체결홀이 동시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보조 본체부 하우징이 상호 체결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400)의 정면부는, 상기 정면부(410c)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돌출부(412)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412)는, 후술하는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의 삽입홀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의 삽입홀에 상기 돌출부(412)가 삽입되어 체결고정됨으로써,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에 체결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의 삽입홀에 상기 돌출부(412)가 삽입된 상태에서, 공지된 접착수단을 통해 이를 본드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으로부터 분리가 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의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돌출부(412) 및 상기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의 삽입홀의 형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400)의 배면부는, 상기 배면부(410d)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상면부(410a) 방향에서 상기 하면부(410b) 방향으로 길게 위치하는 가이드 판(413)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판(413)은, 후술하는 제1측면부(410e)의 제1접점에 연결되는 제1배선과 제2측면부(410f)의 제2접점에 연결되는 제2배선이 위치하는 영역을 분리함으로써, 상기 제1배선과 상기 제2배선이 쇼트가 되지 않도록, 제1배선 영역과 제2배선 영역을 구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400)의 제1측면부는, 상기 제1측면부(410e)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정면부 방향으로부터 상기 배면부 방향으로 길게 위치하며, 제1깊이를 갖는 제1가이드 홈(420a)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 홈(420a)은 상기 정면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1가이드홈(421a); 및 상기 제1-1가이드홈(421a)과 연속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1가이드홈(421a)보다 낮은 단차를 갖으며, 상기 배면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2가이드홈(422a)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1측면부(410e)는 상기 제1-2가이드홈(422a)에 위치하는 제1접점(423a)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접점(423a)에는 제1배선(미도시)의 단부가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1접점(423a)에는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120a)의 일측이 위치하여, 상기 제1접점(423a)에서 상기 제1배선 및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120a)의 일측이 공지된 제1체결수단(424a)에 의해 상호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120a)는 상기 제1접속핀부(110a)와 상기 제1접점(423a)을 연결하며, 즉, 상기 제1접점(423a)에서 상기 제1배선 및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120a)의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120a)의 타측은 상기 제1접속핀부(110a)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배선과 상기 제1접속핀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1가이드 홈(421a)에는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의 일정 영역이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가 안착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제1-1가이드 홈(421a)은 예를 들어, 제1깊이를 갖는 홈의 형태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1-2가이드 홈(422a)에는 제1연결플레이트의 일측 및 제1배선(미도시)의 단부가 위치가 동시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 일측 및 상기 제1배선(미도시)의 단부가 안착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제1-2가이드 홈(422a)은 상기 제1-1가이드 홈(421a) 보다 낮은 단차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400)의 제2측면부는, 상기 제2측면부(410f)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정면부 방향으로부터 상기 배면부 방향으로 길게 위치하며, 제2깊이를 갖는 제2가이드 홈(420b)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가이드 홈(420b)은 상기 정면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1가이드홈(421b); 및 상기 제2-1가이드홈(421b)과 연속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1가이드홈(421b)보다 낮은 단차를 갖으며, 상기 배면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2가이드홈(422b)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2측면부(410f)는 상기 제2-2가이드홈(422b)에 위치하는 제2접점(423b)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접점(423b)에는 제2배선(미도시)의 단부가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2접점(423b)에는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120b)의 일측이 위치하여, 상기 제2접점(423b)에서 상기 제2배선 및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120b)의 일측이 공지된 제2체결수단(424b)에 의해 상호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120b)는 상기 제2접속핀부(110b)와 상기 제2접점(423b)을 연결하며, 즉, 상기 제2접점(423b)에서 상기 제2배선 및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120b)의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120b)의 타측은 상기 제2접속핀부(110b)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2배선과 상기 제2접속핀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1가이드 홈(421b)에는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의 일정 영역이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가 안착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제2-1가이드 홈(421b)은 예를 들어, 제2깊이를 갖는 홈의 형태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2-2가이드 홈(422b)에는 제2연결플레이트의 일측 및 제2배선(미도시)의 단부가 위치가 동시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 일측 및 상기 제2배선(미도시)의 단부가 안착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제2-2가이드 홈(422b)은 상기 제2-1가이드 홈(421b) 보다 낮은 단차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400)의 하면부는, 상기 하면부(410b)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정면부 방향으로부터 상기 배면부 방향으로 길게 위치하며, 제3깊이를 갖는 제3가이드 홈(420c)을 포함하고, 상기 제3가이드 홈(420c)은 상기 배면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3-1가이드홈(422c); 및 상기 제3-1가이드홈(422c)과 연속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3-1가이드홈(422c)보다 낮은 단차를 갖으며, 상기 정면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3-2가이드홈(421c)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하면부(410b)는 상기 제3-2가이드홈(421c)에 위치하는 제3접점(423c)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3접점(423c)에는 접지선(미도시)의 단부가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3접점(423c)에는 상기 제3연결플레이트(120c)의 일측이 위치하여, 상기 제3접점(423c)에서 상기 접지선 및 상기 제3연결플레이트(120c)의 일측이 공지된 제3체결수단(424c)에 의해 상호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3연결플레이트(120c)는 상기 접지부(110c)와 상기 제3접점(423c)을 연결하며, 즉, 상기 제3접점(423c)에서 상기 접지선 및 상기 제3연결플레이트(120c)의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3연결플레이트(120c)의 타측은 상기 접지부(110c)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접지선과 상기 접지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1가이드 홈(422c)에는 상기 접지선(미도시)의 일정 영역이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접지선이 안착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제3-1가이드 홈(422c)은 예를 들어, 제3깊이를 갖는 홈의 형태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3-2가이드 홈(421c)에는 제3연결플레이트의 일측 및 접지선(미도시)의 단부가 위치가 동시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제3연결플레이트 일측 및 상기 접지선(미도시)의 단부가 안착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제3-2가이드 홈(421c)은 상기 제3-1가이드 홈(422c) 보다 낮은 단차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3접점(423c)의 경우, 상기 제1접점(423a) 및 상기 제2접점(423b)과 비교하여, 상기 제1접점(423a) 및 상기 제2접점(423b)은 상기 배면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상기 제1-2가이드홈(422a) 및 상기 제2-2가이드홈(422b)에 배치하였으며, 이와는 달리 상기 제3접점(423c)은 상기 정면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3-2가이드홈(421c)에 배치하였다.
즉, 상기 제1배선의 단부 및 상기 제2배선의 단부가 체결되는 위치를 상기 배면부와 인접하는 영역으로 배치하고, 상기 접지선의 단부가 체결되는 위치를 상기 정면부와 인접하는 영역으로 배치함으로써, 각 배선 및 접지선의 단부로 인하여 두께가 증가하는 영역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접점, 제2접점 및 제3접점을 포함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접점, 상기 제2접점 및 상기 제3접점에는 각각 제1배선, 제2배선 및 접지선이 체결되어, 상기 제1배선, 상기 제2배선 및 상기 접지선은, 각각 제1접속핀부, 제2접속핀부 및 접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 플러그(10)는, 상기 접속핀부(30)에 상기 배선(40)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본체(20)와 상기 보강대(50)가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며, 이를 통해, 상기 접속핀부, 상기 배선, 상기 플러그 본체 및 상기 보강대가 일체화되어 제조되기 때문에, 상기 배선은 상기 접속핀부, 상기 플러그 본체 및 상기 보강대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종래의 전기 플러그의 경우, 상기 전기 플러그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선을 포함하는 상기 전기 플러그 전체를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1접점, 제2접점 및 제3접점을 포함하는 체결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1배선, 상기 제2배선 및 상기 접지선을 상기 체결부재에 체결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전기 플러그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배선 및 접지선의 분리 및 체결을 통하여, 상기 전기 플러그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접점, 제2접점 및 제3접점을 포함하는 체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1접점은 상기 체결부재의 제1측면부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2접점은 상기 체결부재의 제2측면부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제3접점은 상기 체결부재의 하면부에 위치함으로써, 제1접점, 제2접점 및 제3접점에 각각 체결되는 각 배선 및 접지선의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즉, 제1배선은 상기 체결부재의 제1측면부에 연결되고, 제2배선은 상기 체결부재의 제2측면부에 연결되며, 접지선은 상기 체결부재의 하면부에 연결되는 구조에 따라, 각 배선 및 접지선이 수평적 연결이 아닌, 입체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각 배선 및 접지선이 연결되는 부위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본체부 하우징을 도시하는 제1방향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본체부 하우징을 도시하는 제2방향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본체부 하우징(310)은, 내부공간(311)을 포함하고, 원통 형상의 보조 본체부 하우징 몸체부(3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내부공간(311)에 상기 체결부재(400)가 위치하여, 상기 보조 본체부 하우징(310)은 상기 체결부재(400)를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본체부 하우징 몸체부(320)는, 상기 보조 본체부 하우징 몸체부(320)의 상부 제1영역, 예를 들어, 전방 영역에 위치하는 제2체결홀(321)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체결홀(321)은 상기 체결부재(400)의 상기 상면부(410a)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1체결홀(411)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여, 공지된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도 1의 101)에 의해, 상기 제1체결홀(411) 및 상기 제2체결홀(321)이 동시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보조 본체부 하우징이 상호 체결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본체부 하우징(310)은, 상기 보조 본체부 하우징 몸체부(320)의 상부 제2영역, 예를 들어, 후방 영역에 위치하는 제3체결홀(322)을 포함하며, 상기 제3체결홀(322)에 공지된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도 1의 102)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제1배선, 제2배선 및 접지선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배선, 상기 제2배선 및 상기 접지선의 발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1배선, 상기 제2배선 및 상기 접지선은 상기 보조 본체부 하우징에 삽입됨에 있어서, 일정 힘 이상으로 지지되는 것이 필요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3체결홀(322)에 체결수단(도 1의 102)을 체결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제1배선, 제2배선 및 접지선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배선, 상기 제2배선 및 상기 접지선의 발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본체부 하우징(310)은, 상기 보조 본체부 하우징 몸체부(320)의 전방에 위치하고, 후술하는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의 제2돌출턱에 삽입되는 제1돌출턱(33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돌출턱(300)은 연속적인 링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돌출턱도 연속적인 링 형상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돌출턱이 상기 제2돌출턱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돌출턱의 링 형상은 상기 제2돌출턱의 링 형상보다 작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돌출턱과 상기 제2돌출턱을 통해, 상기 보조 본체부 하우징(310)이 상기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에 결합되는 위치를 정의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1돌출턱이 상기 제2돌출턱에 삽입됨에 의하여, 상기 보조 본체부 하우징(310)이 상기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주 본체부의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주 본체부의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을 도시하는 배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주 본체부의 주 본체부 정면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주 본체부의 주 본체부 정면 하우징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7 내지 도 20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핀부를 포함하여 도시하였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주 본체부(200)는 주 본체부 정면 하우징(210); 및 상기 주 본체부 정면 하우징(210)과 체결되는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7 내지 도 20에 따른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과 주 본체부 정면 하우징이 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주 본체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다만, 도면에서는 상기 주 본체부가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과 주 본체부 정면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주 본체부는 단일의 하우징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후술할 바를 제외하고는,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과 주 본체부 정면 하우징의 형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220)은,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220)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220)의 배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턱(221)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돌출턱(221)은 연속적인 링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본체부 하우징의 상기 제1돌출턱(330)이 상기 제2돌출턱(22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돌출턱의 링 형상은 상기 제2돌출턱의 링 형상보다 작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돌출턱과 상기 제2돌출턱을 통해, 상기 보조 본체부 하우징(310)이 상기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에 결합되는 위치를 정의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1돌출턱이 상기 제2돌출턱에 삽입됨에 의하여, 상기 보조 본체부 하우징(310)이 상기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220)은, 상기 제2돌출턱(221)의 내부에 위치하는 삽입홀(222)을 포함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400)의 정면부는, 상기 정면부(410c)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돌출부(412)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412)는, 상기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의 삽입홀(222)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의 삽입홀(222)에 상기 돌출부(412)가 삽입되어 체결고정됨으로써,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에 체결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의 삽입홀(222)에 상기 돌출부(412)가 삽입된 상태에서, 공지된 접착수단을 통해 이를 본드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으로부터 분리가 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의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9)

  1. 플러그 주 본체부;
    상기 플러그 주 본체부로부터 제1측 방향으로 노출되는 접속핀부;
    상기 플러그 주 본체부로부터 제2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러그 보조 본체부; 및
    상기 접속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보조 본체부는, 보조 본체부 하우징; 및 상기 보조 본체부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선은 제1배선 및 제2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배선이 연결되는 제1접점 및 상기 제2배선이 연결되는 제2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핀부는, 상기 플러그 주 본체부로부터 제1측 방향으로 노출되는 제1접속핀부; 및 상기 플러그 주 본체부로부터 제1측 방향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1접속핀부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접속핀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접속핀부와 상기 제1접점을 연결하는 제1연결플레이트 및 상기 제2접속핀부와 상기 제2접점을 연결하는 제2연결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제1접점에서 상기 제1배선 및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의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의 타측은 상기 제1접속핀부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배선과 상기 제1접속핀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제2접점에서 상기 제2배선 및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의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의 타측은 상기 제2접속핀부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2배선과 상기 제2접속핀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육면체의 형상으로 정의되는 체결부재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 몸체부는 육면체의 정의에 따라, 상면부; 하면부; 정면부; 배면부;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측면부는, 상기 제1측면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정면부 방향으로부터 상기 배면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하며, 제1깊이를 갖는 제1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 홈은 상기 정면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1가이드홈; 및 상기 제1-1가이드홈과 연속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1가이드홈보다 낮은 단차를 갖으며, 상기 배면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2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측면부는 상기 제1-2가이드홈에 상기 제1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2측면부는, 상기 제2측면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정면부 방향으로부터 상기 배면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하며, 제2깊이를 갖는 제2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가이드 홈은 상기 정면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1가이드홈; 및 상기 제2-1가이드홈과 연속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1가이드홈보다 낮은 단차를 갖으며, 상기 배면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2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측면부는 상기 제2-2가이드홈에 상기 제2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접지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접지선이 연결되는 제3접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면부는, 상기 하면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정면부 방향으로부터 상기 배면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하며, 제3깊이를 갖는 제3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3가이드 홈은 상기 배면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3-1가이드홈; 및 상기 제3-1가이드홈과 연속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3-1가이드홈보다 낮은 단차를 갖으며, 상기 정면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3-2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하면부는 상기 제3-2가이드홈에 상기 제3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주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접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접점에서 상기 접지선 및 제3연결플레이트의 일측이 제3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체결되어, 상기 접지선과 상기 접지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는, 상기 상면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1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본체부 하우징은, 원통 형상의 보조 본체부 하우징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본체부 하우징 몸체부는, 상기 보조 본체부 하우징 몸체부의 상부 제1영역에 위치하는 제2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홀은 상기 제2체결홀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제1체결홀 및 상기 제2체결홀이 체결수단에 의해 동시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보조 본체부 하우징이 상호 체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부는, 상기 배면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상면부 방향에서 상기 하면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하는 가이드 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본체부 하우징은, 원통 형상의 보조 본체부 하우징 몸체부; 및 상기 보조 본체부 하우징 몸체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돌출턱을 포함하며,
    상기 주 본체부는,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은, 상기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의 배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턱을 포함하며,
    상기 제1돌출턱은 및 상기 제2돌출턱은 각각 연속적인 링 형상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돌출턱의 링 형상은 상기 제2돌출턱의 링 형상보다 작게 구성되어, 상기 제1돌출턱이 상기 제2돌출턱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부는, 상기 정면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은, 상기 제2돌출턱의 내부에 위치하는 삽입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삽입홀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삽입홀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어 체결고정됨으로써,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주 본체부 배면 하우징에 체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KR1020200147358A 2020-11-06 2020-11-06 전기 플러그 KR102483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358A KR102483174B1 (ko) 2020-11-06 2020-11-06 전기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358A KR102483174B1 (ko) 2020-11-06 2020-11-06 전기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1413A KR20220061413A (ko) 2022-05-13
KR102483174B1 true KR102483174B1 (ko) 2022-12-30

Family

ID=81583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7358A KR102483174B1 (ko) 2020-11-06 2020-11-06 전기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17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53143A1 (en) * 2003-10-07 2014-06-05 Pass & Seymour, Inc. Plug tail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9582A (ko) 2005-02-05 2006-08-09 최경구 전기콘센트에서의 원터치 탈착 전기플러그
DE102005041116B4 (de) * 2005-08-30 2009-12-10 Friwo Gerätebau Gmbh Steckernetzgerät mit auswechselbarer Netzsteckereinheit
US7306483B2 (en) * 2006-05-05 2007-12-11 Wahl Clipper Corporation Electrical cord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53143A1 (en) * 2003-10-07 2014-06-05 Pass & Seymour, Inc. Plug tail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1413A (ko) 2022-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53258B2 (ja) 双方向エレクトリックコネクトソケット及び双方向エレクトリックコネクトプラグ
US9484681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CN103311855B (zh) 电连接箱
CN106575837A (zh) 电连接器
US10177481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the same
US10720734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KR102483174B1 (ko) 전기 플러그
CN204966857U (zh) 电连接器
US20210265758A1 (en) Connector
CN205282695U (zh) 电连接器
US20090081907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housing having a curved structure
CN218940121U (zh) 接线胶壳组件
CN208637650U (zh) 电连接装置
JP2003051615A (ja) Led用ソケットおよびこのled用ソケットの製造方法並びにこのled用ソケットを用いたled装着体
US6817884B1 (en) Multi-I/O-port-41-channel connector
CN107431292A (zh) 蜂房式组合件
CN111755849A (zh) 一种电连接器
KR20210001912U (ko) 조립식 단자대
CN211181483U (zh) 一种结构紧凑的led显示屏
CN218731959U (zh) 一种分体式下耦合器及食品加工机
CN212659685U (zh) 一种连接组件
KR20080003684U (ko) 커넥터용 스페이서
CN203574156U (zh) 电连接插座
CN216602590U (zh) 料理机的刀具组件及料理机
CN101609938A (zh) 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