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942B1 - 식재료 박피 칼날 및 이를 포함하는 식재료 박피 장치 - Google Patents

식재료 박피 칼날 및 이를 포함하는 식재료 박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942B1
KR102482942B1 KR1020200088939A KR20200088939A KR102482942B1 KR 102482942 B1 KR102482942 B1 KR 102482942B1 KR 1020200088939 A KR1020200088939 A KR 1020200088939A KR 20200088939 A KR20200088939 A KR 20200088939A KR 102482942 B1 KR102482942 B1 KR 102482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material
peeling
edge
skin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0263A (ko
Inventor
김종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to KR1020200088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942B1/ko
Priority to PCT/KR2021/009187 priority patent/WO2022015105A1/ko
Publication of KR20220010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0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02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A23N7/023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one by o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2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for stemming, piercing, or stripping fruit; Removing sprouts of potato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02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02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A23N7/023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one by one
    • A23N7/026Peeling machines therefor with rotary fruit holding spindles and fixed or movable peeler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10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박피 칼날은, 식재료 박피 장치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식재료의 껍질을 제거하는 식재료 박피 칼날이며,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내부에 껍질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선단에 형성되는 박피 에지 및 상기 박피 에지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 에지를 포함하는 박피부 및 상기 박피 에지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껍질 수용 공간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박피 에지에 의해 박피된 상기 식재료의 껍질을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재료 박피 칼날 및 이를 포함하는 식재료 박피 장치{Food peeling blade unit and food peel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재료 박피 칼날 및 이를 포함하는 식재료 박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식재료의 껍질을 깎는 식재료 박피 장치와 식재료 박피 장치에 장착되어 식재료의 껍질을 깎아내는 식재료 박피 칼날에 관한 것이다.
식재료를 가공하는 공장에서는 식재료의 박피 공정을 자동화한 식재료 박피 장치를 사용하여 대량의 식재료를 박피한다. 최근에는 가정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소형화된 식재료 박피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식재료 박피 장치는 모터가 식재료를 회전시키고, 박피 칼날은 회전하는 식재료의 일측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식재료의 박피가 진행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박피 장치에 의해 박피된 껍질은 한 줄로 길게 배출된다.
따라서, 한 줄로 길게 형성된 껍질을 쓰레기 봉투 또는 쓰레기통에 넣으면 상대적으로 큰 부피를 차지하여, 사용자가 일부러 쓰레기 봉투 또는 쓰레기통 속에 투입된 껍질을 압착하거나,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절단하여 버리는 작업이 요구되었다.
대량의 식재료를 박피하는 산업용 박피 장치의 경우, 껍질의 양이 많기 때문에 박피된 껍질의 폐기와 관련하여 껍질의 부피를 줄이는 노력이 더욱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9232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박피된 껍질의 칩 형태로 배출할 수 있는 식재료 박피 칼날과 식재료 박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박피 칼날은, 식재료 박피 장치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식재료의 껍질을 제거하는 식재료 박피 칼날이며,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내부에 껍질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선단에 형성되는 박피 에지 및 상기 박피 에지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 에지를 포함하는 박피부 및 상기 박피 에지로부터 상기 껍질 수용 공간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박피 에지에 의해 박피된 상기 식재료의 껍질을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슬릿 에지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절단부는 복수의 상기 슬릿 에지 중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슬릿 에지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단부는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슬릿 에지 중 상기 박피 에지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선행하는 슬릿 에지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단부는, 상기 박피 에지로부터 상기 껍질 수용 공간을 향해 연장되는 제1 경사면과, 상기 박피 에지와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는 상기 제1 경사면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식재료의 껍질을 절단하는 절단 에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부는 상기 박피 에지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경사면보다 후행하도록 상기 박피부로부터 상기 껍질 수용 공간을 향해 연장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제1 경사면보다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경사면은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절단 에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식재료의 껍질이 상기 제2 경사면을 따라 껍질 수용 공간으로부터 배출되도록, 상기 껍질 수용 공간의 외측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박피부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확관되며 연장되는 확관부 및 상기 확관부로부터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식재료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박피 에지는 상기 식재료 접촉부의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슬릿 에지는 상기 식재료 접촉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껍질 수용 공간은 상기 확관부 및 상기 식재료 접촉부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식재료 접촉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확관부의 내측면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박피 장치는, 식재료를 고정하는 고정 유닛, 상기 고정 유닛을 회전시켜 상기 식재료를 회전시키는 식재료 회전 구동부, 상기 식재료 회전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식재료를 박피하는 식재료 박피 칼날, 상기 식재료 박피 칼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식재료 박피 칼날과 상기 식재료의 접촉 상태가 유지되도록 탄성 지지되는 지지암 및 상기 지지암에 지지된 상기 식재료 박피 칼날을 회전시키는 박피 칼날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재료 박피 칼날은, 상기 지지암에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내부에 껍질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선단에 형성되는 박피 에지 및 상기 박피 에지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 에지를 포함하는 박피부 및 상기 박피 에지로부터 상기 껍질 수용 공간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박피 에지에 의해 박피된 상기 식재료의 껍질을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절단부는, 상기 박피 에지로부터 상기 껍질 수용 공간을 향해 연장되는 제1 경사면과, 상기 박피 에지와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는 상기 제1 경사면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식재료의 껍질을 절단하는 절단 에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부는 상기 박피 에지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경사면보다 후행하도록 상기 박피부로부터 상기 껍질 수용 공간을 향해 연장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제1 경사면보다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경사면은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절단 에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식재료의 껍질이 상기 제2 경사면을 따라 껍질 수용 공간으로부터 배출되도록, 상기 껍질 수용 공간의 외측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박피부는 상기 베이스로의 가장자리로부터 확관되며 연장되는 확관부 및 상기 확관부로부터 상기 식재료 박피 칼날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식재료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박피 에지는 상기 식재료 접촉부의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슬릿 에지는 상기 식재료 접촉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껍질 수용 공간은 상기 확관부 및 상기 식재료 접촉부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식재료 접촉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확관부의 내측면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단부는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슬릿 에지 중 상기 박피 에지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선행하는 슬릿 에지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암을 상기 고정 유닛의 회전축과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호 형상의 궤적을 따라 이동시키는 지지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박피된 껍질의 칩 형태로 배출하므로 폐기되는 껍질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박피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재료 박피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식재료 박피 장치에 오렌지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박피 장치의 구동 관련 블록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박피 장치가 구비된 원액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박피 칼날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박피 칼날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박피 칼날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박피 장치와 식재료 박피 칼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박피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식재료 박피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식재료 박피 장치에 오렌지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박피 장치의 구동 관련 블록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박피 장치(10)는 하우징(110), 고정 유닛(120, 130), 식재료 회전 구동부(123), 지지암(151), 지지암 구동부(143), 식재료 박피 칼날(160), 박피 칼날 구동부(180) 등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스테이지(111)와 바디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지(111)와 바디부(112)의 내부에는 식재료 회전 구동부(123), 지지암 구동부(143) 및 박피 칼날 구동부(180)가 구비된다. 식재료 회전 구동부(123)는 스테이지(111)의 내부에 구비되고, 지지암 구동부(143) 및 박피 칼날 구동부(180)는 바디부(112)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지(111)의 상부면에는 하부 고정 유닛(120)이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바디부(112)의 전면에는 상부 고정 유닛(130) 및 지지암(151)이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고정 유닛(120, 130)은 하부 고정 유닛(120)과 상부 고정 유닛(130)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고정 유닛(120)은 식재료(A)의 하단을 지지하고, 상부 고정 유닛(130)은 식재료(A)의 상단을 지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고정 유닛(120)은 회전 지지부(121)와 제1 삽입침(122)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지지부(121)는 스테이지(1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식재료 회전 구동부(123)와 연결되어 식재료 회전 구동부(12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제1 삽입침(122)은 회전 지지부(121)의 상단에 형성되고 식재료(A)에 침습되어 식재료(A)를 고정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삽입침(122)은 회전 지지부(121)의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된 복수의 삽입침으로 구비되어 회전 지지부(121)가 회전함에 따라 식재료(A)로 함께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고정 유닛(130)은 피벗부(131), 연장부(132) 및 제2 삽입침(133)을 포함할 수 있다.
피벗부(131)는 바디부(112)에 대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피벗부(131)는 상방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해 탄성력을 갖도록 탄성 지지되어 다양한 크기의 식재료(A)에 대해 하방으로 가압하는 힘을 제공하여 식재료(A)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연장부(132)는 피벗부(131)와 일체로 형성되며 단부에는 제2 삽입침(133)을 구비한다.
식재료(A)를 상부 고정 유닛(130)과 하부 고정 유닛(120) 사이에 위치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부 고정 유닛(130)을 상승시킨 후, 식재료(A)를 하부 고정 유닛(120)의 제1 삽입침(122)에 꽂아 고정시키고, 상부 고정 유닛(130)을 하강시켜 식재료(A)의 상단에 제2 삽입침(133)이 침습되도록 하여, 식재료(A)를 상부 고정 유닛(130)과 하부 고정 유닛(120) 사이에 고정시킨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삽입침(133)은 하나의 삽입침으로 구비되어 하부 고정 유닛(120)에 의해 식재료(A)가 회전할 때에, 식재료(A)가 제2 삽입침(133)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연장부(132)는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크기의 식재료(A)에 대해 대응하여 제2 삽입침(133)이 식재료(A)의 상단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상부 고정 유닛(130)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상부 고정 유닛(130)은 일정 범위 내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는 하부 고정 유닛(120)이 식재료 회전 구동부(123)와 연결되어 식재료(A)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상부 고정 유닛(130)이 식재료 회전 구동부(123)와 연결되어 식재료(A)를 회전시키고, 하부 고정 유닛(120)은 회전하는 식재료(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고정 유닛(130)의 제2 삽입침(133)은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된 복수의 삽입침으로 구성되고, 하부 고정 유닛(120)의 제1 삽입침(122)은 회전축 상에 위치하는 하나의 삽입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고정 유닛(120, 130)이 상부 고정 유닛(130)과 하부 고정 유닛(120)을 모두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고정 유닛(120, 130)은 하부 고정 유닛(120)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지지암(151)은 바디부(112)로부터 하부 고정 유닛(120)과 상부 고정 유닛(130)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에 근접하도록 노출된다.
지지암(151)은 하부 고정 유닛(120)의 회전 지지부(121)의 회전축에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호 형상의 궤적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지지암(151)은 바디부(112)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회전판(141)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전판(141)은 지지암 구동부(143)와 연결되며, 지지암 구동부(143)는 회전판(141)을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일방향/타방향으로 회전시키다. 회전판(141)은 지지암(151)이 상부 고정 유닛(130)과 하부 고정 유닛(120) 사이에서 왕복되도록 하는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부 고정 유닛(130)이 구비되지 않는 실시예에서, 회전판(141)은 지지암(151)이 식재료(A)의 상단까지 도달하거나 상단을 넘어가도록 하는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141)에는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 슬릿(142)이 형성되며, 지지암(151)은 슬릿(142) 내에서 슬릿(14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지지암(151)은 회전판(141)의 외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해 탄성력을 갖도록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식재료(A)에 대해서도 지지암(151)의 단부에 장착되는 식재료 박피 칼날(160)이 식재료(A)에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식재료(A)가 박피될 때에는 지지암(151)은 탄성력에 의해 슬릿(142)을 따라 회전판(141)의 중심측으로 이동되어 식재료 박피 칼날(160)이 식재료(A)에 접하도록 하고,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식재료(A)가 박피될 때에는 지지암(151)은 탄성력에 의해 슬릿(142)을 따라 회전판(141)의 가장 자리 측으로 이동되어 식재료 박피 칼날(160)이 식재료(A)에 접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암(151)의 단부에는 칼날 회전축(152)이 구비된다. 칼날 회전축(152)은 박피 칼날 구동부(180)와 연결되어 회전한다. 박피 칼날 회전축(152)은 회전판(141)이 회전하여 지지암(151)이 회전판(141)을 따라 회전하는 중에도 지속적으로 칼날 회전축(152)을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칼날 회전축(152)에는 식재료 박피 칼날(160)이 결합되며, 칼날 회전축(152)과 식재료 박피 칼날(160)은 일체로 회전된다.
지지암(151)의 일측에는 지지암(151)의 선단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배출관 장착부(153)가 구비되며, 배출관 장착부(153)에는 배출관(154)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154)은 대략 원통형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배출관 장착부(153)에 결합된 상태에서 식재료 박피 칼날(160)의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배출관(154)은 배출 유로가 하향 경사를 갖도록 배출관 장착부(153)에 결합될 수 있다. 식재료 박피 칼날(160)에 의해 박피된 식재료(A)의 껍질은 배출관(154)을 통해 배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재료 회전 구동부(123), 박피 칼날 구동부(180) 및 지지암 구동부(143)는 동력원(B)으로부터 제공된 동력을 각각 하부 고정 유닛(120), 칼날 회전축(152) 및 회전판(141)으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식재료 회전 구동부(123), 박피 칼날 구동부(180) 및 지지암 구동부(143)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기어, 벨트 등의 동력 전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원(B)은 모터일 수 있으며, 하우징(110) 내에 구비되거나, 식재료 박피 장치(10)의 외부에 존재할 수 있다.
동력원(B)이 식재료 박피 장치(10)의 외부에 존재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다른 주방 가전의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식재료 회전 구동부(123), 박피 칼날 구동부(180) 및 지지암 구동부(143)가 작동하는 경우일 수 있다.
일례로서, 식재료 박피 장치(10)는 원액기의 스크류의 회전력을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박피 장치가 구비된 원액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박피 장치(10)는 원액기(20)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박피 장치(10)는 원액기(20)와 일체와 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식재료 박피 기능을 갖는 원액기가 될 수 있다.
원액기(20)는 일정한 공간 내로 투입된 식재료를 저속 회전하는 스크류(230)를 이용해 파쇄하고 착즙망(미도시)을 이용해 식재료의 즙과 찌꺼기를 분리시켜 배출한다.
이를 위해, 원액기(20)는 구동 모터(211)가 구비된 본체(210)와 본체(2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용기(220) 및 용기(220) 내에 수용되는 스크류(230)를 포함한다.
스크류(230)는 본체(210)의 상부로 노출되는 구동 모터(211)의 출력축(212)과 연결되어 구동 모터(211)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스크류(230)의 저속 회전을 위해 구동 모터(211)와 출력축(212) 사이에는 감속기(미도시)가 구비되어, 구동 모터(211)의 빠른 회전 속도를 감속시켜 출력축(212)으로 전달할 수 있다.
용기(220)는 본체(210)의 상부에 안착되며, 용기(220)와 스크류(230) 사이에는 스크류(230)에 의해 분쇄된 식재료의 즙과 찌꺼기를 분리시키는 착즙망(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용기(220)의 일측에는 착즙망에 의해 분리된 즙이 배출되는 즙 배출구(221)와 분리된 찌꺼기가 배출되는 찌꺼기 배출구(222)가 구비될 수 있다.
스크류(230)는 하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스크류(230)의 외측면에는 하방을 향하는 나선형의 복수의 블레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230)와 착즙망 사이로 유입된 식재료는 블레이드에 의해 분쇄되고 블레이드를 따라 스크류(230)의 측면을 타고 하방으로 이동한다. 스크류(230)와 착즙망 사이의 간격이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므로 식재료는 점점 잘게 분쇄되며 착즙된다.
스크류(230)의 상단에는 동력 전달축(231)이 형성되고, 식재료 박피 장치(10)는 동력 전달축(231)을 수용하는 방식으로 원액기(2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재료 박피 장치(10)는 스크류(230)의 상단 및 용기(220)의 상단에 안착됨과 동시에 동력 전달축(231)을 수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동력 전달축(231)은 식재료 박피 장치(10)의 식재료 회전 구동부(123), 박피 칼날 구동부(180) 및 지지암 구동부(143)를 구동하는 동력원(B)이 될 수 있다.
즉, 동력 전달축(231)은 식재료 박피 장치(10) 내의 식재료 회전 구동부(123), 박피 칼날 구동부(180) 및 지지암 구동부(143)과 병렬적 및/또는 직렬적으로 연결되는 기어 구조와 연결되고, 스크류(230)가 회전함에 따라 식재료 박피 장치(10) 내의 식재료 회전 구동부(123), 박피 칼날 구동부(180) 및 지지암 구동부(143)는 동력 전달축(231)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각각 하부 고정 유닛(120), 칼날 회전축(152) 및 회전판(141)을 작동시킨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식재료 박피 장치(10)는 식재료 회전 구동부(123), 박피 칼날 구동부(180) 및 지지암 구동부(143)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원액기(20)로부터 전달받으므로, 별도의 구동원(예를 들어, 모터 등)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되며, 구동원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가벼운 중량을 가지므로 원액기(20)의 상부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재료 박피 장치(10)는 인클로져(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클로져(190)는 식재료(A)가 박피되는 공간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클로져(190)는 스테이지(111)와 바디부(11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식재료(A)가 박피되는 공간을 외부와 분리하고, 식재료(A)가 박피되는 동안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함과 동시에, 식재료(A)가 박피되는 과정에서 즙액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인클로져(190)는 하우징(110)에 대해 탈착 또는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인클로져(190)의 내부 또는 스테이지(111)에는 배출관(154)에 인접하도록 구비되어, 배출관(154)을 통해 배출되는 껍질을 수용하는 껍질 회수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식재료 박피 장치(10)와 용기(220) 사이에는 박피가 완료된 식재료(A)가 용기(220)의 내부로 낙하 또는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 경로 및/또는 이송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는 식재료 박피 장치(10)가 원액기(20)의 상부에 장착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원액기(20)의 구동 모터(211)의 출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면 원액기(20)의 측부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원액기(20)의 구동 모터(211)는 스크류(230)와 연결되는 출력축(212) 이외에 본체(210)의 측면을 통해 노출되는 추가적인 출력축을 포함하고, 식재료 박피 장치(10)는 본체(210)의 측면을 통해 노출되는 출력축과 연결되어 구동 모터(211)의 출력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는 식재료 박피 장치(10)가 원액기(20)의 동력을 제공받아 동작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블렌더, 반죽기 등의 동력원을 갖는 다른 주방 가전의 출력을 제공받아 동작되는 실시에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식재료 박피 장치(10)에 장착되는 식재료 박피 칼날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박피 칼날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박피 칼날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박피 칼날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박피 칼날(160)은 베이스(161), 박피부(167) 및 절단부(170)를 포함한다.
베이스(161)는 지지암(151)의 일단에 노출되는 칼날 회전축(152)에 결합되어, 칼날 회전축(152)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식재료 박피 칼날(160)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식재료 박피 칼날(160)은 칼날 회전축(152)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칼날 회전축(152)에 결합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식재료 박피 칼날(160)은 칼날 회전축(152)에 결합된 상태에서 칼날 회전축(152)과 반대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식재료 박피 칼날(160)과 칼날 회전축(152)이 서로 반대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식재료 박피 칼날(160)과 칼날 회전축(152) 사이에 기어 구조 등의 동력 전달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박피부(167)는 확관부(162)와 식재료 접촉부(163)를 포함한다.
확관부(162)는 베이스(161)의 가장자리로부터 확관되며 연장되고, 식재료 접촉부(163)는 확관부(162)로부터 칼날 회전축(152)의 회전축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확관부(162)의 내부에는 대략 원뿔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고, 식재료 접촉부(163)의 내부에는 대략 원통 형성의 공간이 형성된다. 확관부(162) 및 식재료 접촉부(163)의 내부 공간은 후술할 박피 에지(164)에 의해 박피된 껍질이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껍질 수용 공간(166)이 된다.
박피부(167)는 확관부(162)를 포함하여, 껍질 수용 공간(166)으로 유입된 식재료(A)의 껍질이 새로 유입된 껍질에 의해 자연스럽게 밀려서 배출관(154) 측으로 이동하게 한다.
식재료 접촉부(163)의 선단에는 대략 원형의 박피 에지(164)가 형성된다. 그리고 식재료 접촉부(163)에는 박피 에지(164)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 에지(165)가 형성된다. 도 6 내지 도 8에는 4개의 슬릿 에지(165)가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슬릿 에지(165)의 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식재료 접촉부(163)의 외측면은 탄성 지지되는 지지암(151)에 의해 식재료(A)의 외표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식재료(A)가 하부 고정 유닛(120)의 회전 지지부(121)에 의해 회전하는 중에, 식재료 박피 칼날(160)은 식재료(A)의 회전축과 수직한 축을 중심을 회전하고, 식재료 접촉부(163)에 형성된 박피 에지(164)와 슬릿 에지(165)는 식재료(A)의 껍질을 깎아 식재료(A)를 박피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재료 박피 칼날(160)이 회전함에 따라 슬릿 에지(165)는 식재료(A)의 껍질에 흠집을 내고, 박피 에지(164)는 슬릿 에지(165)가 낸 흠집을 파고들며 식재료(A)의 껍질을 깍아내어 식재료(A)를 박피하게 된다.
한편, 절단부(170)는 박피 에지(164)로부터 껍질 수용 공간(166)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절단 에지(172)를 포함한다. 절단 에지(172)는 박피 에지(164)에 의해 깎인 식재료(A)의 껍질을 절단한다. 즉, 박피 에지(164)가 회전하면서 연속적으로 깎인 식재료(A)의 껍질은 절단 에지(172)를 만나면서 절단되게 된다. 그 결과 식재료(A)의 껍질은 칩(chip) 형태로 절단된 상태로 배출관(154)으로 배출된다.
절단 에지(172)가 없는 경우에는 식재료(A)의 껍질이 박피 에지(164)를 따라 한 줄로 길게 깎이며 껍질 수용 공간(166)을 거쳐 배출관(154)을 통해 배출되는데, 이 경우 박피된 껍질을 버릴 때에 차지하는 부피가 커진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박피 장치 또는 식재료 박피 칼날에 의해 박피된 칩(chip) 형태로 잘게 잘려진 껍질은 한 줄로 길게 깎여진 껍질에 비해, 껍질을 압축하는 등의 외력을 가하지 않는 이상, 동일한 공간 내에 보다 밀도 높게 수용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170)는 제1 경사면(171)과 제2 경사면(17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면(171)과 제2 경사면(172)은 인접하는 2개의 슬릿 에지(165)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재료 박피 칼날(160)의 회전 방향(C)을 기준으로 제2 경사면(173)은 제1 경사면(171) 보다 후행하는 면이고, 절단 에지(172)는 제1 경사면(171)의 일단에 형성된다.
제1 경사면(171)은 2개의 슬릿 에지(165) 중 식재료 박피 칼날(160)의 회전 방향(C)을 기준으로 선행하는 슬릿 에지(165)로부터 상향 경사를 형성하며 연장 형성된다. 또한, 제1 경사면(171)은 박피 에지(164)로부터 껍질 수용 공간(166)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확관부(162)의 내측면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절단 에지(172)는 박피 에지(164)와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는 제1 경사면(171)의 단부에 형성된다.
제2 경사면(173)은 박피부(167)의 내측면으로부터 식재료 박피 칼날(160)의 회전 방향(C)을 따라 제1 경사면(171)을 향해 상향 경사를 형성하며 연장 형성된다. 제2 경사면(173)은 제1 경사면(171) 보다 완만한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경사면(173)을 완만한 경사로 형성하여, 절단 에지(172)에 의해 절단된 식재료(A)의 껍질이 자연스럽게 제2 경사면(173)을 타고 껍질 수용 공간(166)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절단 에지(172)에 의해 절단된 식재료(A)의 껍질이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경사면(173)은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경사면(173)은 껍질 수용 공간(166)의 외측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는 1개의 절단 에지(172)가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절단 에지(172)는 2개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절단 에지(172)의 수가 많아질수록 박피된 껍질은 더 잘게 잘려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박피 칼날(160)은 식재료(A)의 껍질을 칩 형태로 절단하는 절단 에지(172)를 포함하여, 박피된 껍질을 칩 형태로 배출한다. 따라서, 식재료(A)의 박피로 배출된 껍질이 차지하는 부피를 줄일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박피 장치(10)는 식재료 회전 구동부(123), 박피 칼날 구동부(180) 및 지지암 구동부(143)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원을 포함하지 않고, 다른 주방 기기에 결합되어 다른 주방 기기의 동력을 전달받아 식재료 회전 구동부(123), 박피 칼날 구동부(180) 및 지지암 구동부(143)를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식재료 박피 장치(10)를 보다 가볍게 제조할 수 있고, 가벼운 중량에 의해 사용자가 다른 주방 기기의 상부에 장착하는 것이 어렵지 않고, 다른 주방 기기의 상부에 장착되더라도 작동 중에 전도(顚倒])될 위험성이 낮아진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식재료 박피 장치 20: 원액기
110: 하우징 111: 스테이지
112: 바디부 120: 하부 고정 유닛
121: 회전 지지부 122: 제1 삽입침
130: 상부 고정 유닛 131: 피벗부
132: 연장부 133: 제2 삽입침
141: 회전판 142: 슬릿
151: 지지암 152: 칼날 회전축
153: 배출관 장착부 154: 배출관
160: 식재료 박피 칼날 161: 베이스
162: 확관부 163: 식재료 접촉부
164: 박피 에지 165: 슬릿 에지
166: 껍질 수용 공간 167: 박피부
170: 절단부 171: 제1 경사면
172: 절단 에지 172: 제2 경사면
190: 인클로져 210: 본체
211: 구동 모터 212: 출력축
220: 용기 221: 즙 배출구
222: 찌꺼기 배출구 230: 스크류
231: 동력 전달축 A: 식재료

Claims (20)

  1. 식재료 박피 장치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식재료의 껍질을 제거하는 식재료 박피 칼날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내부에 껍질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선단에 형성되는 박피 에지 및 상기 박피 에지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 에지를 포함하는 박피부; 및
    상기 박피 에지로부터 상기 껍질 수용 공간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박피 에지에 의해 박피된 상기 식재료의 껍질을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는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슬릿 에지 중 상기 박피 에지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선행하는 슬릿 에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식재료 박피 칼날.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박피 에지로부터 상기 껍질 수용 공간을 향해 연장되는 제1 경사면과,
    상기 박피 에지와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는 상기 제1 경사면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식재료의 껍질을 절단하는 절단 에지를 포함하는, 식재료 박피 칼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박피 에지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경사면보다 후행하도록 상기 박피부로부터 상기 껍질 수용 공간을 향해 연장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식재료 박피 칼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제1 경사면보다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식재료 박피 칼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면은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식재료 박피 칼날.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절단 에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식재료의 껍질이 상기 제2 경사면을 따라 껍질 수용 공간으로부터 배출되도록, 상기 껍질 수용 공간의 외측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식재료 박피 칼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피부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확관되며 연장되는 확관부 및 상기 확관부로부터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식재료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박피 에지는 상기 식재료 접촉부의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슬릿 에지는 상기 식재료 접촉부에 형성되는, 식재료 박피 칼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껍질 수용 공간은 상기 확관부 및 상기 식재료 접촉부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식재료 접촉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확관부의 내측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식재료 박피 칼날.
  11. 식재료를 고정하는 고정 유닛;
    상기 고정 유닛을 회전시켜 상기 식재료를 회전시키는 식재료 회전 구동부;
    상기 식재료 회전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식재료를 박피하는 식재료 박피 칼날;
    상기 식재료 박피 칼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식재료 박피 칼날과 상기 식재료의 접촉 상태가 유지되도록 탄성 지지되는 지지암; 및
    상기 지지암에 지지된 상기 식재료 박피 칼날을 회전시키는 박피 칼날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재료 박피 칼날은,
    상기 지지암에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내부에 껍질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선단에 형성되는 박피 에지 및 상기 박피 에지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 에지를 포함하는 박피부 및
    상기 박피 에지로부터 상기 껍질 수용 공간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박피 에지에 의해 박피된 상기 식재료의 껍질을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는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슬릿 에지 중 상기 박피 에지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선행하는 슬릿 에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식재료 박피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박피 에지로부터 상기 껍질 수용 공간을 향해 연장되는 제1 경사면과,
    상기 박피 에지와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는 상기 제1 경사면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식재료의 껍질을 절단하는 절단 에지를 포함하는, 식재료 박피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박피 에지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경사면보다 후행하도록 상기 박피부로부터 상기 껍질 수용 공간을 향해 연장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식재료 박피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제1 경사면보다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식재료 박피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면은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식재료 박피 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절단 에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식재료의 껍질이 상기 제2 경사면을 따라 껍질 수용 공간으로부터 배출되도록, 상기 껍질 수용 공간의 외측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식재료 박피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박피부는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로부터 확관되며 연장되는 확관부 및 상기 확관부로부터 상기 식재료 박피 칼날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식재료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박피 에지는 상기 식재료 접촉부의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슬릿 에지는 상기 식재료 접촉부에 형성되는, 식재료 박피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껍질 수용 공간은 상기 확관부 및 상기 식재료 접촉부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식재료 접촉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확관부의 내측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식재료 박피 장치.
  19. 삭제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을 상기 고정 유닛의 회전축과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호 형상의 궤적을 따라 이동시키는 지지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식재료 박피 장치.
KR1020200088939A 2020-07-17 2020-07-17 식재료 박피 칼날 및 이를 포함하는 식재료 박피 장치 KR102482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939A KR102482942B1 (ko) 2020-07-17 2020-07-17 식재료 박피 칼날 및 이를 포함하는 식재료 박피 장치
PCT/KR2021/009187 WO2022015105A1 (ko) 2020-07-17 2021-07-16 식재료 박피 칼날 및 이를 포함하는 식재료 박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939A KR102482942B1 (ko) 2020-07-17 2020-07-17 식재료 박피 칼날 및 이를 포함하는 식재료 박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263A KR20220010263A (ko) 2022-01-25
KR102482942B1 true KR102482942B1 (ko) 2023-01-02

Family

ID=79554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939A KR102482942B1 (ko) 2020-07-17 2020-07-17 식재료 박피 칼날 및 이를 포함하는 식재료 박피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82942B1 (ko)
WO (1) WO202201510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694Y1 (ko) * 2000-03-02 2000-09-01 최영민 과일의 껍질 분리기
JP2018015073A (ja) * 2016-07-25 2018-02-01 株式会社川▲崎▼合成樹脂 粉砕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5014A (ko) * 2009-07-09 2011-01-17 김형동 열매 박피 장치
KR20150102181A (ko) * 2014-02-28 2015-09-07 김정명 멍게 부산물 처리기
KR20180092329A (ko) 2017-02-08 2018-08-20 (주)성우정밀 다목적 과일 박피기
KR200494287Y1 (ko) * 2019-10-23 2021-09-09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694Y1 (ko) * 2000-03-02 2000-09-01 최영민 과일의 껍질 분리기
JP2018015073A (ja) * 2016-07-25 2018-02-01 株式会社川▲崎▼合成樹脂 粉砕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15105A1 (ko) 2022-01-20
KR20220010263A (ko) 202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1753B1 (ko) 재료의 전처리 커팅 시스템이 포함된 주서기 구조
US5222430A (en) Juicer/mixer device
KR970011292B1 (ko) 파인애플등의 과일의 심(core)외피 및 과육을 분리 하기위한 도구
US20040206837A1 (en) Food processor blade unit
JPH07313335A (ja) ジューサー
NZ544234A (en) Juicer with inwardly directed formations arranged to constrict the feed tube
EP0980664A2 (en) Feed tube
EP1610660B1 (en) Shredding appliance for shredding vegetables or other food articles
KR102482942B1 (ko) 식재료 박피 칼날 및 이를 포함하는 식재료 박피 장치
JP2015533605A (ja) 柑橘系果物からジュースを搾り出すための柑橘系果物圧搾装置及び方法
EP1433402B1 (en) Juice extractor device for fruits or vegetables
KR101511772B1 (ko) 박피기능을 구비한 마늘 가공장치
CN209966046U (zh) 果汁制取装置
KR20120012039A (ko) 편심형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0283830Y1 (ko) 착즙기
RU2403848C1 (ru) Аппарат механ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продуктов питания, содержащий кухонный прибор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юре
CN110876553A (zh) 果汁制取装置及防护构件
CN110876552A (zh) 果汁制取装置及防护构件
CN212681225U (zh) 一种新型微垃圾处理器
KR200280339Y1 (ko) 착즙기
KR100440203B1 (ko) 과일 절단기
US20230028801A1 (en) Cutting device for a kitchen utensil
KR200290455Y1 (ko) 과일 절단기
CN110876551A (zh) 果汁制取装置及防护构件
EP3424372A1 (en) Orbital motion pee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