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725B1 - 객체 감시장치 - Google Patents

객체 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725B1
KR102482725B1 KR1020210031032A KR20210031032A KR102482725B1 KR 102482725 B1 KR102482725 B1 KR 102482725B1 KR 1020210031032 A KR1020210031032 A KR 1020210031032A KR 20210031032 A KR20210031032 A KR 20210031032A KR 102482725 B1 KR102482725 B1 KR 102482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present
image
coordinates
rob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6585A (ko
Inventor
강재관
Original Assignee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31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725B1/ko
Publication of KR20220126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04N5/2252
    • H04N5/2256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정영역의 객체를 감시하는 객체 감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객체 감시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정면에 형성된 2개의 로봇눈과, 상기 하우징의 정면에 형성되어 설정영역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각각의 로봇눈에 형성된 복수개의 발광부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 중 상기 객체의 위치에 대응되는 발광부를 발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객체 감시장치{Apparatus for monitoring objects}
본 발명은 일정 영역에서의 객체를 감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주변을 감시하기 위한 촬영장치로서, 예컨대 CCTV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CCTV는 방범, 감시, 보안, 범죄, 재난 등의 감시목적으로 실생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촬영된 영상은 사건발생 사후의 대책용으로도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기존에 설치된 CCTV는 특정위치에 고정으로 설치되어 있어 일반적으로 감시효과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불법행위나 범죄행위 등을 감시하기 위한 CCTV의 경우는 감시대상의 영상만 촬영할 뿐, 감시대상의 입장에서 계속 감시를 받는다는 느낌을 주기에는 한계가 있고 감시효과도 떨어진다.
한편, 종래에 감시대상인 객체의 이동에 대응하여 방향을 조정하는 CCTV가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객체의 입장에서 이동이 추적된다는 느낌을 받을 수는 있으나 CCTV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감시를 받는다는 느낌을 주기가 어려우므로 감시효과가 떨어진다.
본 발명은 설정된 영역 내로 진입한 객체를 인식하고 실시간으로 감시하도록 하는 객체 감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람의 두 눈의 형상을 가지며 객체의 이동에 대응하여 두 눈의 눈동자가 움직이도록 하여 객체 감시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객체 감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두 개의 눈에 복수의 LED를 설치하여 야간에도 감시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객체 감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양이 등 동물들의 접근이 확인되면 동물들이 혐오하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동물들의 접근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객체 감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재 등 재난상황을 감시하여 유관기관에 통보할 수 있도록 하는 객체 감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 감시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정면에 형성된 2개의 로봇눈; 상기 하우징의 정면에 형성되어 설정영역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각각의 로봇눈에 형성된 복수개의 발광부; 및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 중 상기 객체의 위치에 대응되는 발광부를 발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로봇눈에 N×N개로 설치되고, 상기 N×N개의 발광부에는 각각 서로 다른 좌표가 설정된다.
상기 영상은 N×N개의 셀로 구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분된 N×N개 셀 중 상기 객체가 있는 셀에 대응하는 발광부를 발광시킨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가 있는 셀에 대응하는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발광시킨다.
상기 객체 감시장치는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음발생기, 설정된 주파수대역의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기, 외부기관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객체 감시장치는 일정 영역에서 있는 객체를 인식하고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객체 감시장치는 사람의 두 눈의 형상을 한 로봇눈에서 눈동자가 객체의 이동위치에 따라 움직이도록 하여 감시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객체 감시장치는 로봇눈의 눈동자가 객체의 이동에 대응하여 움직이므로 범죄행위나 불법행위를 저지르는 사람에게 심적 압박감을 줄 수 있고, 이로써 이러한 행위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객체 감시장치는 두 개의 눈에 복수의 LED를 설치하여 야간에도 감시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객체 감시장치는 길고양이와 같은 동물들의 접근을 확인하고 초음파를 발생시켜 동물들이 쓰레기를 헤집어 놓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객체 감시장치는 재난상황을 감시하여 유관기관에 빠르게 통보함으로써 사전 및 사후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객체 감시장치의 설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객체 감시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객체 감시장치에서 로봇눈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객체 감시장치의 구성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객체 감지장치에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의 예시도.
도 6은 상기 영상의 객체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객체 감시장치에서 영상의 객체 위치와 로봇눈의 눈동자 위치 간의 매핑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객체 감시장치에서 객체의 이동에 따른 로봇눈의 동작도.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객체 감시장치에서 객체의 위치에 대응하는 로봇눈의 눈동자 위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객체 감시장치에서 로봇눈의 눈동자 위치에 대한 다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감시장치에서 객체 감시동작을 보인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객체 감시장치에서 객체 감시동작을 보인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객체 감시장치에서 객체 감시동작을 보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객체 감시장치의 설치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객체 감시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객체 감시장치(100)는 객체를 감시하는 장소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객체의 감시는 보안, 방범, 감시 등의 목적으로 특정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객체 감시장치(100)는 예컨대, 가로등(200) 등과 같이 일정한 높이의 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다.
객체 감시장치(100)는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10)에 사람의 두 눈을 연상시키는 2개의 로봇눈(120)과 객체를 감지하는 감시용 카메라(130)가 형성될 수 있다.
로봇눈(120)에는 눈동자를 연상시키는 발광부(123)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123)는 예컨대 LED일 수 있다. 발광부(123)가 발광되는 위치에 의해 로봇눈(120)의 눈동자가 움직이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즉, 특정위치의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123)가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볼 때 로봇눈(120)의 눈동자가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카메라(130)는 객체를 감지할 수 있고 객체를 포함한 주변에 대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1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객체 감시장치(100)는 카메라(130)에 의해 객체가 감지되면 그 객체의 위치 및 이동에 대응하는 발광부(123)가 적어도 하나 이상 발광할 수 있다. 이는 객체의 위치에 따라 로봇눈(120)의 눈동자가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객체를 계속 감시하는 효과를 줄 수 있다.
로봇눈(120)은 2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로봇눈(121)과 제2로봇눈(122)은 사람의 두 눈을 형성화한 것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좌우로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외부에서 두 로봇눈(121,122)를 볼 때 볼 때 사람의 눈과 같은 인상을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하우징(110)은 사람의 얼굴이고 카메라(130)는 그 위치상 사람의 코 또는 입과 같은 인상을 줄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로봇눈(120)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으로 하우징(11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반구 형상으로 하우징(110)의 전면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카메라(130)는 예컨대 감시용 CCTV가 될 수 있고, 야간에도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열화상 CCTV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130)는 객체의 존재 여부에 대한 감지뿐만 아니라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 및 촬영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객체 감시장치에서 로봇눈의 상세도이다.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객체 감지장치(100)의 로봇눈(120)에는 복수개의 발광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123)는 LED가 될 수 있다.
발광부(123)는 바람직하게는 N×N개 또는 M×N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M,N은 각각 2 이상의 정수가 될 수 있다. 발광부(123)의 개수는 로봇눈(120)의 크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부(123)는 각각 그 위치마다 좌표가 할당될 수 있다. 좌표는 (x,y)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발광부(123)가 3×3개인 경우, 최상단 열에서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차례대로 (1,1),(1,2),(1,3)으로 그 위치의 좌표가 할당될 수 있고, 최하단 열의 맨오른쪽은 좌표가 (3,3)이 될 수 있다.
발광부(123)의 각 좌표는 카메라(130)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객체의 위치와 매핑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발광부(120)는 각각 단일 또는 여러 색상으로 발광될 수 있고 발광되는 색상이 설정된 시간에 따라 변경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객체 감시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객체 감시장치(100)는 하우징(110)의 정면에 설치된 카메라(130), 로봇눈(120)에 형성된 발광부(123) 및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객체 감시장치(100)는 경고음발생기(140), 초음파발생기(150), 통신부(16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카메라(130)와 발광부(123)를 비롯하여 경고음발생기(140), 초음파발생기(150), 통신부(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카메라(130)는 설정영역에 대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130)에서 촬영된 영상은 제어부(17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전달된 영상을 분석 및 처리하여 영상으로부터 객체가 사람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70)는 영상 및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는 영상/이미지 처리용 스프트웨어 또는 프로그램이 탑재될 수 있다.
발광부(123)는 제1,2로봇눈(121,122)에 각각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경고음발생기(140)는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경고음은 감시, 보안, 방범 등을 위한 효과음이나 음성이 될 수 있다.
초음파발생기(150)는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초음파는 설정영역 내로 침범한 동물들을 퇴치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통신부(160)는 외부기관과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무선인터넷 모듈과 근거리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카메라(130)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감지하고 영상처리를 통해 영상 내에서 객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객체의 위치추적을 통해 객체의 이동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설정영역 내에 객체의 위치에 대응하여 로봇눈(120)에 형성된 발광부(123)를 발광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객체가 이동함에 따라 객체의 실시간 이동을 대응하여 발광부(123)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이는 객체의 이동에 따라 로봇눈(120)의 눈동자에 대응되는 발광부(123)의 발광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로봇눈(120)의 눈동자가 객체를 계속 따라가면서 감시하는 효과를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람의 눈을 연상시키는 두 로봇눈(121,122)이 객체를 계속 감시하는 효과를 줌으로써, 그 객체로 하여금 감시를 받고 있음을 인지하게 할 수 있고 불범행위시에는 무언의 압박감을 줄 수 있다.
제어부(170)는 필요에 따라 발광부(130)를 단일 색상 또는 여러 색상으로 발광시킬 수 있고, 발광시 빛의 세기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평상시와 불법행위(범법행위)시를 구분하여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객체 감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불법행위시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경고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객체가 유해동물이면 초음파발생기(150)을 통해 초음파를 발생하여 유해동물이 퇴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초음파는 유해동물이 극도로 싫어하는 주파수 대역의 음파이므로 설정영역 내로 유해동물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불법행위나 재난상황이 감지되면 통신부(160)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유관기관(예:경찰서, 소방서 등)에 통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객체 감시장치에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의 예시도이고, 도 6은 상기 영상의 객체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객체 감시장치(100)에서 카메라(130)는 설정영역에 객체(311)가 진입하면 그 책체(311)를 감지할 수 있고, 객체(311)가 감지되면 설정영역에 대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130)는 후술될 제어부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카메라(130)는 촬영각도가 조정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카메라(130)에는 카메라(130)의 촬영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구동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카메라(130)가 향하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설정영역의 중앙위치에 있는 객체(311)를 촬영한 영상(310)의 일례가 도 5에 도시되, 영상(310)의 우측에 객체(311)가 위치한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영상(310)은 복수개의 셀(312)로 구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N×N개 또는 M×N개로 구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발광부(123)의 배치와 동일하게 형태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셀(312)은 각각 그 구분된 위치마다 좌표가 할당될 수 있다. 좌표는 (X,Y)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셀(312)이 3×3개인 경우, 최상단 열에서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차례대로 (1,1),(1,2),(1,3)으로 그 위치의 좌표가 할당될 수 있고, 최하단 열의 맨오른쪽은 좌표가 (3,3)이 될 수 있다.
발광부(123)의 배치와 동일한 형태로 영상(310)의 셀(312)이 구분된 경우에는 발광부(123)의 좌표 (x,y)와 셀(312)의 좌표 (X,Y)는 서로 매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5와 같이 객체(311)가 설정영역의 오른쪽이 있는 경우 영상(310)에도 오른쪽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이때 영상(310)에서 객체(311)의 위치는 객체(311)가 있는 셀(312a,312b,312c)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이는 해당 셀(312a~c)에 할당된 좌표에 의해 확인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객체 감시장치에서 영상 내 객체의 위치와 로봇눈의 눈동자의 위치 간 매핑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의 영상(310) 내 객체(311)의 위치에 대응하는 로봇눈(120)의 발광부(123)가 발광하도록 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영상(310)이 촬영되면 영상(310) 내 객체(311)의 위치는 해당 객체(311)가 있는 셀(312)의 좌표 (X,Y)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셀(312)의 좌표 (X,Y)는 로봇눈(120)의 각각의 발광부(123)의 좌표 (x,y)에 일대 일로 대응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의 영상(310)에서 객체(311)가 존재하는 셀(312a,312b,312c)의 좌표를 (X1,Y1),(X2,Y2),(X3,Y3)라고 하면, 이들 3개의 좌표는 발광부(123)의 좌표 (x1,y1),(x2,y2),(x3,y3)에 대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객체(311)의 위치에 대응하는 발광부(123) 중 적어도 하나가 발광될 수 있다. 이때, 외부에서 볼 때 로봇눈(120)이 사람의 두 눈으로 보이도록 하고 발광부(123)가 사람의 눈동자로 보이도록 하기 위해 발광부(123)는 하나만 발광시키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위 3개의 발광부 중 가운데 발광부를 발광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 7에는 일례로서 가장 우측에 있는 발광부(123a)만 발광하고 나머지 발광부(123b)는 발광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볼 때 로봇눈(120)에서 눈동자가 우측방향을 응시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 발광부(123)의 크기 및/또는 개수에 따라 발광되는 발광부가 눈동자처럼 보이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하나 이상의 발광부가 발광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객체 감시장치에서 객체이동에 따른 로봇눈의 동작도이다.
도 8의 (a)에서와 같이 영상(310)에서 객체(311)가 중앙에 있는 경우에는 로봇눈(120)에서 가운데에 있는 발광부(123)만 발광하도록 함으로써 로봇눈(120)의 눈동자가 가운데를 응시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도 8의 (b) 및 (c)와 같이 객체(311)가 영상(310)의 아랫측 중앙과 우측 중앙에 있는 경우 로봇눈(120)에서 아랫측 중앙과 우측 중앙에 있는 발광부(123)만 발광하도록 함으로써 로봇눈(120)의 눈동자가 각각 아랫방향과 우측방향을 응시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객체(311)가 이동하는 경우는 카메라(130)에 실시간으로 객체(311)를 촬영하고, 실시간으로 객체(311)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그 객체(311)의 이동위치에 대응하여 로봇눈(120)의 발광부(123)를 선택적으로 발광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로봇눈(120)에서 눈동자를 형상화한 발광부(123)를 객체(311)의 이동위체에 따라 발광하도록 함으로써 로봇눈(120)이 객체(311)를 계속 주시 및 감시하는 것처럼 보이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객체 감시장치에서 객체의 위치에 대응하는 로봇눈의 눈동자 위치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객체 감시장치에서 로봇눈의 눈동자 위치에 대한 다른 예시도이다.
도 9a와 같이 객체(311)가 설정영역의 중앙에 있으면 로봇눈(121,122)의 눈동자는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이는 중앙에 있는 발광부(123)가 발광되는 것이다.
도 9b 및 도 9c와 같이 객체(311)가 설정영역의 좌측 및 우측에 있으면 로봇눈(121,122)의 눈동자는 각각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이는 좌측 및 우측에 발광부(123)가 발광되는 것이다.
도 10에는 객체 감시장치(100)의 설치위치 및 객체(311)의 위치에 따라 로봇눈(121,122)에서 눈동자가 다른 위치로 이동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각각 해당 위치에 있는 발광부(123)가 발광되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감시장치에서 객체를 감시하는 동작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객체 감시장치(100)에서는 설정영역에서 객체에 대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S101). 제어부(170)는 영상처리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해당 영상에서 객체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S103).
이어, 제어부(170)는 영상에서 객체의 위치에 대응하여 로봇눈(120)의 눈동자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S105).
S105 단계 이후에는 S101 단계로 진행하여 객체의 감지 및 이동에 따라 상기 단계들을 계속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로봇눈(120)의 눈동자는 발광부(123)를 의미하며, 눈동자의 이동은 복수개의 발광부(123) 중 일부가 온/오프되도록 함으로써 그 효과를 내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복수개의 발광부(123) 중에서 객체의 위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를 온(발광)시킴으로써, 외부에서 볼 때 눈동자가 객체의 이동에 따라 움직이는 것으로 보이도록 하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객체 감시장치에서 초음파를 발생하는 동작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객체 감시장치(100)에서 카메라(130)가 객체영상을 촬영하고(S201), 제어부(170)는 촬영된 객체가 동물인 것으로 판단되면(S203), 초음파발생기(160)를 동작시켜 초음파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S205). 이로써, 유해동물이 설정영역 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객체 감시장치에서 감시에 따른 동작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카메라(130)에서 설정영역의 영상을 촬영하고(S301), 불법행위이나 재난상황 등과 같은 비상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S303), 제어부(170)는 통신부(160)을 통해 미리 설정된 유관기관으로 상황을 통보할 수 있다(S305). 이로써 비상상황을 조기에 처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객체 감시장치는 감시, 방법, 재난, 보안 등의 감시가 필요한 지역에 설치될 있으며, 객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로봇눈의 눈동자를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객체를 지속적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객체 감시장치는 특정상황에서는 객체로 경고음 또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객체에게 경고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본 객체 감시장치는 재난, 사고 등의 비상상황에 대비하거나 사후처리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 하우징 120 : 로봇눈
121 : 제1로봇눈 122 : 제2로봇눈
123 : 발광부 130 : 카메라
140 : 경고음발생기 150 : 초음파발생기
160 : 통신부 170 : 제어부

Claims (8)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정면에 일정간격으로 좌우로 나란히 반구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사람의 두 눈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2개의 로봇눈;
    상기 하우징의 정면에 상기 2개의 로봇눈 사이의 중앙부 아래에 형성되어 설정영역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각각의 로봇눈에 상기 두 눈의 눈동자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발광부; 및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 중 상기 객체의 위치에 대응되는 발광부를 발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는 M×N개이고 각각 (x,y) 좌표가 할당되고, 상기 영상은 M×N개의 셀로 구분되고 각각 (X,Y) 좌표가 할당되며(M,N은 2 이상 정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의 위치에 따른 상기 셀의 (X,Y) 좌표에 대응하는 상기 발광부의 (x,y) 좌표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 중 상기 결정된 (x,y) 좌표에 해당하는 발광부를 발광시키는 객체 감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음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객체 감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설정된 주파수대역의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객체 감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외부기관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객체 감시장치.
KR1020210031032A 2021-03-09 2021-03-09 객체 감시장치 KR102482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032A KR102482725B1 (ko) 2021-03-09 2021-03-09 객체 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032A KR102482725B1 (ko) 2021-03-09 2021-03-09 객체 감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585A KR20220126585A (ko) 2022-09-16
KR102482725B1 true KR102482725B1 (ko) 2022-12-28

Family

ID=83445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032A KR102482725B1 (ko) 2021-03-09 2021-03-09 객체 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7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9935A (ko) 2022-03-02 2023-09-11 메타플레이어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 유해동물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666B1 (ko) * 2010-03-09 2016-07-14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적외선 감시 카메라
KR101443199B1 (ko) * 2013-02-22 2014-09-2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
KR101626139B1 (ko) * 2014-10-10 2016-05-31 (주)아이엔이테크 조명 제어 시스템
KR20170128648A (ko) * 2016-05-12 2017-11-23 주식회사 협성엠티 쓰레기 무단투기 감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9935A (ko) 2022-03-02 2023-09-11 메타플레이어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 유해동물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585A (ko) 202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24702A1 (en) Threat detection and notification system for public safety vehicles
US11501619B2 (en) Worksite classification system and method
JP2021500668A (ja) 監視装置、産業用設備、監視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424341B2 (ja) 音響再生装置および音響再生システム
CN102789217B (zh) 一种远程监控安全保障系统
US11074804B2 (en) Wearable personal security devices and systems
CN107067612B (zh) 一种便携式红外报警及无线录像的监控系统及监控方法
KR102482725B1 (ko) 객체 감시장치
US20210248384A1 (en) Building evacuation method and building evacuation system
KR20120084159A (ko) 전자발찌 착용자에 대한 영상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71560A (ko) 체험농장 안전관리 시스템
KR101615824B1 (ko) 위급상황 cctv 모니터링 시스템
JP2008541650A (ja) モニタリング方法および装置
JP2008020981A (ja) 監視システム
CN102821141A (zh) 一种适用于公安警察的远程监控安全保障系统
KR101415848B1 (ko) 차량 및 보행자 검지를 이용한 스쿨존 방범장치
KR101631403B1 (ko) 인체감지센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
WO2020246251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520597B1 (ko) 전 방향 터치패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 시스템
KR102674327B1 (ko) Ai 스마트 안전 안내판 시스템
CN102761622A (zh) 一种适用于交通警察的远程监控安全保障系统
KR101804309B1 (ko) 위치 추적 감시 카메라
JP2016097966A (ja) 車両保護に用いる方法、車両保護に用いる設備、及び非暫時性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102688714B1 (ko) 안전용품에 탈부착 가능한 센서장치를 포함하며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이동반경 내 안전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지 및 전파하는 지능형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60050128A (ko) 카메라를 이용한 위험경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