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403B1 - 인체감지센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 - Google Patents

인체감지센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403B1
KR101631403B1 KR1020150001961A KR20150001961A KR101631403B1 KR 101631403 B1 KR101631403 B1 KR 101631403B1 KR 1020150001961 A KR1020150001961 A KR 1020150001961A KR 20150001961 A KR20150001961 A KR 20150001961A KR 101631403 B1 KR101631403 B1 KR 101631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button
control center
camera
image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철규
송영도
박태원
신현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페스
Priority to KR1020150001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4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9/00Electrostatic transducers
    • H04R19/04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감지센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감시 지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전 방향에서 입력이 가능한 비상버튼, 주변 이동물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 상기 비상버튼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빛을 비추는 경광등, 신고자가 관제센터의 관리자에게 전송할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 및 상기 신고자에게 상기 관제센터의 관리자의 음성신호를 전달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인체감지센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체감지센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 {Security camera linked emergency button with passive infrared sensor}
본 발명은 인체감지센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감시 지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전 방향에서 입력이 가능한 비상버튼, 주변 이동물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 상기 비상버튼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빛을 비추는 경광등, 신고자가 관제센터의 관리자에게 전송할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 및 상기 신고자에게 상기 관제센터의 관리자의 음성신호를 전달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인체감지센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는 긴급상황 발생시 신고자에게 비상버튼에 대한 인식을 주기가 힘들어 실제 활용도가 적다.
한편,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와 관련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6034호를 예로 들 수 있다.
해당 특허 문헌에서는, "다수의 방범현장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과 범죄관리 키오스크(kiosk)를 이용한 다양한 범죄예방(용의자수배, 목격자 찾기, 실종아동 찾기 사건, 사고현장 영상정보 등) 정보를 표출하고, 실시간 영상정보와 범죄예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더욱이, 방범 버튼 입력시 구동되는 제2 카메라, 마이크를 포함함으로써 긴급 상황 발생 영역의 음성과 인물의 용모에 대한 정보 또한 획득할 수 있다."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해당 특허 문헌 등 종래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는 비상버튼의 제한적 위치로 인해 긴급상황 발생시 신고자에게 버튼의 위치를 인식시키기 어려우며, 버튼이 눌리기 이전의 상황에 대한 영상을 발생 상황을 인지 한 이후 별도의 조작을 통해 접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대한 빠른 이해와 대처를 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6034호, 범죄예방 지능형 씨씨티브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인체감지센서를 통해 신고자의 동선을 추적하여 긴급상황에 대한 정확한 영상을 제공하는 인체감지센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든 방향에서 비상버튼을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자가진단이 가능하고, 영상추적 및 안면인식이 가능한 인체감지센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체감지센서를 갖는 비상벨 연동 보안용 카메라는, 감시 지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전 방향에서 입력이 가능한 비상버튼, 주변 이동물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 상기 비상버튼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빛을 비추는 경광등, 신고자가 관제센터의 관리자에게 전송할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 및 상기 신고자에게 상기 관제센터의 관리자의 음성신호를 전달하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부는, 추적영상을 촬영하는 360° 회전형 메인 카메라 및
보조영상을 촬영하는 복수개의 고정형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형 카메라는, 상기 비상버튼 및 상기 인체감지센서와 연동해서 상기 신고자의 동선을 추적해 상기 비상 버튼이 눌려지기 전 후 스틸컷을 저장하여 상기 관제센터로 송신하며, 상기 스틸컷은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의한 이동물체 감지에서부터 미감지 시점까지의 영상 및 객체 추적에 의한 객체 검출에서부터 미검출 시점까지의 영상의 중첩영역에 대한 영상 및 상기 각각의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으로 표출된다.
상기 비상버튼은, 철주 원형을 감싸는 굽은 판형으로 제작되어 사방에서 터치가 가능하게 구성되고 눌려진 위치를 파악해 상기 카메라부에 전송하여 상기 눌려진 위치를 촬영하며, 긴급상황의 후보상황인 제 1 상황 및 상기 제 1 상황 외의 상황인 제 2 상황을 판별하며, 시각적으로 인식률을 높일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비상버튼은, 상기 제 1 상황 발생시 상기 비상버튼을 깜빡이거나 철주와 다른 색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 2 상황 발생시 상기 철주와 동일한 색감을 표시한다.
상기 비상버튼은, 상기 관제센터로부터 신호를 받아 전기 자극 혹은 접점의 작동으로 자가 진단이 가능하고, 상기 마이크 및 스피커는, 상기 관제센터로부터 신호를 받아 동시 작동하여 상기 마이크로부터 출력된 일정 패턴의 신호를 상기 스피커에 입력되도록 하여 자가 진단을 한다.
상기 경광등은, 상기 비상버튼의 신호를 받아 번쩍이거나 색을 바꿔가면서 긴급상황을 나타내며, 사이렌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인체감지센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와 연계된 상기 관제센터는, 감시지역의 감시영상을 표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부, 상기 관제센터의 관리상황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관제센터의 관리자가 상기 신고자에게 전송할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 및 상기 관제센터의 관리자에게 상기 신고자의 음성신호 및 알람신호를 전달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카메라의 종류에 맞게 적응적으로 처리가 가능하다.
상기 디스플레이(display)부는, 상기 감시지역의 실시간 감시영상을 표출하는 현 상황부, 상기 스틸컷을 표시하는 스틸컷부, 상기 신고자의 안면을 인식하여 확대 표출하는 안면인식부 및 긴급상황의 고속 리플레이(replay)영상을 표출하는 리플레이(replay)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신호가 발생된 감시구역의 상기 비상버튼이 눌려진 위치에 따른 화면의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display)부에 표출된 각각의 화면 배율, 스틸컷의 수, 리플레이(replay)영상의 배속 및 각 부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며, 감시구역별 맞춤형 영상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display)부를 설정할 수 있고 설정에 따라 상기 스틸컷 및 상기 리플레이(replay)영상을 역으로 재생하여 상기 신고자의 이동 동선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체감지센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에 의하면,
첫째, 긴급상황 발생시 어떤 위치에서든 비상버튼을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비상버튼이 눌린 위치를 감지하여 신고자가 비상버튼을 누르기 전 위치에 대한 영상을 저장하여 상황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다.
셋째, 카메라 종류에 맞게 적응적으로 처리가 가능하여 기존의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넷째, 카메라가 설치된 위치에 직접가지 않아도 자가진단이 가능하여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다.
다섯째, 긴급상황의 후보상황 및 그렇지 않은 상황을 인지하여 위급시 눈에 잘 띄게 하고 그렇지 않을 시에는 보호색을 띄워 장난 신고를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해 정확한 객체 추적을 돕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체감지센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체감지센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와 연계된 관제센터의 디스플레이부의 제어부 설정에 따른 화면표출 방법의 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체감지센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의 순방향 및 역방향 추적 영상의 실시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체감지센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인체감지센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는 카메라부, 비상버튼, 인체감지센서, 경광등,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신고자가 비상버튼을 작동시키면 경광등이 작동함과 동시에 카메라부는 비상버튼 및 인체감지센서와 연동하여 비상버튼을 누르기 전 후 신고자의 이동 경로를 추적, 이에 해당하는 영상의 스틸컷 및 비상버튼을 누르기 전 후 감시영상을 관제서버로 송신한다. 또한, 비상버튼은 눌려짐과 동시에 알람신호를 관제센터의 스피커를 통해 관리자에게 전달한다. 관제서버에 송신된 영상은 제어부의 설정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표출되며, 관리자와 신고자는 각각 관제센터 및 감시영역의 스피커 및 마이크를 통해 통신을 주고받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인체감지센서를 통해 보행자의 유무를 확인하고 각 상황에 맞게 비상버튼의 색상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카메라부는 추적영상을 촬영하는 360° 회전형 메인 카메라 및 보조영상을 촬영하는 복수개의 고정형 카메라를 포함한다. 이때, 고정형 카메라는, 비상버튼 및 인체감지센서와 연동해서 신고자의 동선을 추적해 비상 버튼이 눌려지기 전 후 스틸컷을 저장한다. 이때, 스틸컷은 인체감지센서에 의한 이동물체 감지에서부터 미감지 시점까지의 영상 및 객체 추적에 의한 객체 검출에서부터 미검출 시점까지의 영상의 중첩영역에 대한 영상 및 각각의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으로 표출할 수 있다. 중첩영역에 대한 영상을 표출하는 것은, 각각 하나의 영상으로 표출하는 것에 비해 신고자의 동선 및 긴급상황의 이해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다.
경광등은 비상버튼의 신호를 받아 번쩍이거나 색을 바꿔가면서 긴급상황을 나타내며, 사이렌을 더 포함한다. 이때, 사이렌은 경고음 외에도 사람의 음성(경고! 경고!, 경찰이다!)을 표출할 수 있다.
인체감지센서는 신고자의 동선을 파악하여 카메라를 이용해 추적하는데 있어서 보다 정확한 객체 추적을 도울 수 있으며, 신고자의 안면을 인식하는데 있어서 신고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기때문에 효과적으로 얼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비상버튼은 철주 원형을 감싸는 굽은 판형으로 제작되어 사방에서 터치가 가능하게 구성되고 눌려진 위치를 파악해 카메라부에 전송한다. 또한, 관제센터로부터 신호를 받아 전기 자극 혹은 접점의 작동으로 자가 진단이 가능하고, 마이크 및 스피커는 관제센터로부터 신호를 받아 동시 작동하여 마이크로부터 출력된 일정 패턴의 신호를 스피커에 입력되도록 하여 자가 진단을 한다.
비상버튼은, 또한, 긴급상황의 후보상황인 제 1 상황 및 제 1 상황 외의 상황인 제 2 상황을 판별하여 제 1 상황 발생시 비상버튼을 깜빡이거나 철주와 다른 색상을 표시하고, 제 2 상황 발생시 철주와 동일한 색감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시각적으로 인식률을 높일 수 있는 수단을 추가하여 제 1 상황 발생시 비상버튼을 가리키는 화살표의 깜빡임 또는 비상버튼 외측 둘레에 조명을 달아 깜빡이거나 빛을 표출하여 비상버튼을 시각적으로 부각시키고, 제 2 상황 발생시 외부 장치를 끔으로서 비상버튼을 눈에 띄지 않도록 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제 1 상황 및 제 2 상황을 판별하는데 있어서 인체감지센서 또는 고정형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다. 인체감시센서 또는 고정형 카메라를 이용하여 보행자의 이동 속도를 파악해 뛰어오는지 또는 걸어오는지 인식하여 제 1 상황으로 인식될 경우 보행자의 눈에 띄게 장치를 조작하고, 제 2 상황으로 인식될 경우 장난신고를 방지하기 위해 외부 장치를 끄거나 비상버튼에 철주와 동일한 색감을 입혀 보호색을 띄울 수 있다. 이때,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제 1 상황을 인식하는데 필요한 알고리즘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신고자가 메인 카메라 및 보조 카메라에 인식되었을 때 이동 경로, 비상버튼이 눌렸을 때의 인식된 객체의 이동 패턴 및 속도, 객체가 감지 되었을때부터 비상버튼이 눌리기까지의 시간 등의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다.
인체감지센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와 연계된 관제센터는 디스플레이(display)부, 제어부, 마이크 및 스피커로 구성되어 지며, 카메라의 종류에 맞에 적응적으로 처리가 가능하다.
디스플레이(display)부는 감시지역의 실시간 감시영상을 표출하는 현 상황부, 스틸컷을 표시하는 스틸컷부, 신고자의 안면을 인식하여 확대 표출하는 안면인식부 및 긴급상황의 고속 리플레이(replay)영상을 표출하는 리플레이(replay)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스틸컷부를 구성함으로써 관리자가 비상버튼이 눌리기 전 후의 상황에 대해 보다 쉽고 빠르게 이해할 수 있어 오신고인지 혹은 긴급상황인지를 파악할 수 있게 돕고, 리플레이(replay)부 또한 전체적인 상황을 빠르게 파악하고 이에 대한 효율적인 대처방법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신호가 발생된 감시구역의 비상버튼이 눌려진 위치에 따른 화면의 구성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체감지센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와 연계된 관제센터의 디스플레이부의 제어부 설정에 따른 화면표출 방법의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디스플레이(display)부에 표출된 각각의 화면 배율, 스틸컷의 수, 리플레이(replay)영상의 배속 및 각 부의 위치를 제어한다. 또한, 감시구역별 장소의 특이성, 관제센터의 디스플레이(display)부의 크기 및 관리자의 편의에 따른 맞춤 영상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display)부를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에 따라 스틸컷 및 리플레이(replay)영상을 역으로 재생하여 신고자의 이동 동선을 파악한다.
현 상황부를 설정하는데 있어서, 알람이 울리지 않은 평상시에는 각 영역별 배치 및 감시 영역 크기를 제어하고, 알람이 울렸을 경우의 배치 및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스틸컷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스틸컷으로 저장될 영상의 시간, 스틸컷 간격 및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고속 리플레이(replay)영상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고속 리플레이(replay)영상의 시간, 속도, 크기 및 촬영 영역의 범위를 제어할 수 있다.
맞춤 영상 시스템은 각 영역별 특징(카메라가 위치한 공간, 장애물 여부, 차량 통행 유무 등) 및 해당 감시구역 관리자의 편의성(선호하는 고속 리플레이(replay) 배속, 스틸컷 수, 화면 배치 등)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체감지센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의 순방향 및 역방향 추적 영상의 실시예이다.
도 3에 따르면, 제어부에 의한 맞춤 영상 시스템의 설정 가능 요소로서 고속 리플레이(replay)영상의 재생 및 스틸컷의 배치 순서에 대한 순방향 혹은 역방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역방향으로 고속 리플레이(replay)영상을 재생하거나 스틸컷을 배치 함으로써 신고자의 동선을 정확하게 추적하여 사건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을 돕고, 문제발생상황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면서 상황판단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어 이를 대처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객체를 역으로 추적함으로써 영상처리를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9)

  1. 감시 지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전 방향에서 입력이 가능한 비상버튼;
    주변 이동물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
    상기 비상버튼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빛을 비추는 경광등;
    신고자가 관제센터의 관리자에게 전송할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 및
    상기 신고자에게 상기 관제센터의 관리자의 음성신호를 전달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비상버튼은,
    철주 원형을 감싸는 굽은 판형으로 제작되어 사방에서 터치가 가능하게 구성되고 눌려진 위치를 파악해 상기 카메라부에 전송하여 상기 눌려진 위치를 촬영하며, 상기 관제센터로부터 신호를 받아 전기 자극 혹은 접점의 작동으로 자가 진단이 가능하고,
    상기 마이크 및 스피커는,
    상기 관제센터로부터 신호를 받아 동시 작동하여 상기 마이크로부터 출력된 일정 패턴의 신호를 상기 스피커에 입력되도록 하여 자가 진단을 하는,
    인체감지센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추적영상을 촬영하는 360° 회전형 메인 카메라; 및
    보조영상을 촬영하는 복수개의 고정형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형 카메라는,
    상기 비상버튼 및 상기 인체감지센서와 연동해서 상기 신고자의 동선을 추적해 상기 비상 버튼이 눌려지기 전 후 스틸컷을 저장하여 상기 관제센터로 송신하며,
    상기 스틸컷은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의한 이동물체 감지에서부터 미감지 시점까지의 영상 및 객체 추적에 의한 객체 검출에서부터 미검출 시점까지의 영상의 중첩영역에 대한 영상 및 상기 각각의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으로 표출되는,
    인체감지센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버튼은,
    긴급상황의 후보상황인 제 1 상황; 및
    상기 제 1 상황 외의 상황인 제 2 상황;을 판별하며,
    시각적으로 인식률을 높일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
    인체감지센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버튼은,
    상기 제 1 상황 발생시 상기 비상버튼을 깜빡이거나 철주와 다른 색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 2 상황 발생시 상기 철주와 동일한 색감을 표시하는,
    인체감지센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광등은,
    상기 비상버튼의 신호를 받아 번쩍이거나 색을 바꿔가면서 긴급상황을 나타내며,
    사이렌을 더 포함하는,
    인체감지센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
  7. 제 1 항 내지 제 4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체감지센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와 연계된 상기 관제센터는,
    감시지역의 감시영상을 표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부;
    상기 관제센터의 관리상황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관제센터의 관리자가 상기 신고자에게 전송할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 및
    상기 관제센터의 관리자에게 상기 신고자의 음성신호 및 알람신호를 전달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카메라의 종류에 맞게 적응적으로 처리가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display)부에 표출된 각각의 화면 배율, 스틸컷의 수, 리플레이(replay)영상의 배속 및 각 부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며, 감시구역별 맞춤형 영상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display)부를 설정할 수 있고 설정에 따라 상기 스틸컷 및 상기 리플레이(replay)영상을 역으로 재생하여 상기 신고자의 이동 동선을 파악할 수 있는,
    관제센터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display)부는,
    상기 감시지역의 실시간 감시영상을 표출하는 현 상황부;
    상기 스틸컷을 표시하는 스틸컷부;
    상기 신고자의 안면을 인식하여 확대 표출하는 안면인식부; 및
    긴급상황의 고속 리플레이(replay)영상을 표출하는 리플레이(replay)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신호가 발생된 감시구역의 상기 비상버튼이 눌려진 위치에 따른 화면의 구성이 가능한,
    관제센터 시스템.
  9. 삭제
KR1020150001961A 2015-01-07 2015-01-07 인체감지센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 KR101631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961A KR101631403B1 (ko) 2015-01-07 2015-01-07 인체감지센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961A KR101631403B1 (ko) 2015-01-07 2015-01-07 인체감지센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1403B1 true KR101631403B1 (ko) 2016-06-16

Family

ID=56355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961A KR101631403B1 (ko) 2015-01-07 2015-01-07 인체감지센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4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15265A (zh) * 2018-10-29 2019-01-15 合肥泛米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全方位多角度安防控制系统
KR20210063553A (ko) * 2019-11-25 2021-06-02 (주)데이터허브 자가진단기능이 구현된 복수 섹션 비상벨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6034A (ko) 2008-08-29 2010-03-10 길옥환 주방용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995569B1 (ko) * 2010-03-24 2010-11-19 주식회사 시큐인포 범죄예방 지능형 씨씨티브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69039A (ko) * 2010-12-20 2012-06-28 주식회사 동일이앤시 비상도움용 벨 및 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경보시스템
KR20130062104A (ko) * 2011-12-02 2013-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가로등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가로등 제어시스템
KR20140106300A (ko) * 2013-02-26 2014-09-03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Cctv와 연계를 통한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6034A (ko) 2008-08-29 2010-03-10 길옥환 주방용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995569B1 (ko) * 2010-03-24 2010-11-19 주식회사 시큐인포 범죄예방 지능형 씨씨티브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69039A (ko) * 2010-12-20 2012-06-28 주식회사 동일이앤시 비상도움용 벨 및 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경보시스템
KR20130062104A (ko) * 2011-12-02 2013-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가로등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가로등 제어시스템
KR20140106300A (ko) * 2013-02-26 2014-09-03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Cctv와 연계를 통한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15265A (zh) * 2018-10-29 2019-01-15 合肥泛米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全方位多角度安防控制系统
KR20210063553A (ko) * 2019-11-25 2021-06-02 (주)데이터허브 자가진단기능이 구현된 복수 섹션 비상벨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46502B1 (ko) * 2019-11-25 2022-01-03 (주)데이터허브 자가진단기능이 구현된 복수 섹션 비상벨 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6316B2 (en) Portable blind aid device
JP4617269B2 (ja) 監視システム
US20090128632A1 (en) Camera and image processor
US8346056B2 (en) Graphical bookmarking of video data with user inputs in video surveillance
KR101602753B1 (ko) 음성인식 비상 호출 시스템
KR101038913B1 (ko) 도난예방 알림 및 위치추적 시스템
ES2848523T3 (es) Sistema y método de vigilancia y alarma por zonas
KR101936837B1 (ko) 맵기반 지능형 영상통합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감시 방법
KR100760209B1 (ko)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
KR101631403B1 (ko) 인체감지센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
KR101615824B1 (ko) 위급상황 cctv 모니터링 시스템
JP2009015536A (ja) 不審者通報装置、不審者監視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遠隔監視システム
JP2012242993A (ja) 移動体監視装置及び移動体の監視方法
KR101937836B1 (ko) 영상 및 음성 복합 상황 판별 장치 및 방법
KR101520597B1 (ko) 전 방향 터치패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 시스템
JP2008020981A (ja) 監視システム
JP3801044B2 (ja) 防犯監視システム
JP2006003941A (ja) 緊急通報システム
KR101393304B1 (ko) Cctv의 절취방지를 위한 제어방법
KR101524922B1 (ko) 비상 알림을 위한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JP2000209573A (ja) 侵入者検出システム
KR102482725B1 (ko) 객체 감시장치
US20220189267A1 (en) Security system
JP2020132073A (ja) 車両用防犯システム及び車両用防犯装置
KR101416076B1 (ko) 감시카메라 비상호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