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502B1 - 자가진단기능이 구현된 복수 섹션 비상벨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가진단기능이 구현된 복수 섹션 비상벨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502B1
KR102346502B1 KR1020190151806A KR20190151806A KR102346502B1 KR 102346502 B1 KR102346502 B1 KR 102346502B1 KR 1020190151806 A KR1020190151806 A KR 1020190151806A KR 20190151806 A KR20190151806 A KR 20190151806A KR 102346502 B1 KR102346502 B1 KR 102346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mergency
section
camera
s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3553A (ko
Inventor
안상옥
Original Assignee
(주)데이터허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데이터허브 filed Critical (주)데이터허브
Priority to KR1020190151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502B1/ko
Publication of KR20210063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02Monitoring continuous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encryp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섹션으로 특정되는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는 비상벨을 하나의 단말기에서 제어하고, 각 섹션에 설치되는 기능버튼 및 카메라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가를 판단할 수 있는 자가진단기능이 구현된 복수 섹션 비상벨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상벨은 고장이 발생했는지에 대한 관리가 어려워서 실제 사용률이 떨어지고 범죄 예방에 한계가 있었으며, 자가진단기능이 구비된 종래기술은 구성이 복잡하여 오작동이 빈번한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스피커1과 마이크1과 비상버튼1과 센서1 및 카메라1이 구비된 제1하우징과, 스피커2와 마이크2와 비상버튼2와 센서2 및 카메라2가 구비된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신호를 전달받아 소정의 신호처리과정후 서버에 전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변환된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SAT(Smart Allocation table) 파일시스템이 적용된 SAT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의 동작전류 및 영상신호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정상작동여부를 판단하는 자가진단부가 구비되며, 상기 단말기의 제어부에서 전달된 신호를 통해 외부스피커 및 전광판에 비상상황을 출력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SAT 파일시스템은 커널과 같은 OS 상에서 사용하는 read()/write()의 기본 함수에 의해 Data를 읽고/쓰기를 하며, 미리 만든 함수를 모아 놓은 라이브러리에 접근하기 위한 규칙들을 정의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생성하여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도록 구현되며, 상기 비상버튼1 및 비상버튼2의 신호가 전달되면, 해당위치를 특정하여 관리자 및 주변인에게 경고문자를 표시하는 전광판과; 마이크1 및 마이크2에서 전달되는 구조요청 목소리를 증폭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외부스피커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진단기능이 구현된 복수 섹션 비상벨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상신호 및 영상신호를 발생하는 복수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서버에서는 각 하우징이 설치되는 섹션(Section)1 및 섹션(Section)2의 웨이크업 신호를 전달받어 제어동작을 개시(S10)하며, 각 하우징의 구동여부를 체크하는 단계(S20); 각 섹션에 사람이 있는 지에 대한 센서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30); 마이크와 비상버튼을 포함하는 기능버튼의 동작여부를 수신하는 단계(S40);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전송받는 단계(S50); 단말기에서 측정되는 동작전류가 정상범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60);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신호가 정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70); 단말기의 동작전류 또는 카메라의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가 정상이 아닌경우 외부 감시자에게 고장을 신고하는 단계(S61); 가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상기 (S50) 단계에서 전달된 영상신호는 LEA(Light Encreption Algorism)를 적용하여 암호화하여 변환한 후, 단말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SAT(Smart Allocation table) 파일시스템이 적용된 SAT 저장장치에 저장하며, 상기 SAT 파일시스템은 커널과 같은 OS 상에서 사용하는 read()/write()의 기본 함수에 의해 Data를 읽고/쓰기를 하며, 미리 만든 함수를 모아 놓은 라이브러리에 접근하기 위한 규칙들을 정의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생성하여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진단기능이 구현된 복수 섹션 비상벨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섹션으로 특정되는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는 비상벨을 하나의 단말기에서 제어하여 관리의 편의성이 증진되며, 각 섹션에 설치되는 기능버튼 및 카메라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가를 판단할 수 있는 자가진단기능이 구비되어, 범죄의 예방에 효율적인 수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말상태에서 이벤트가 발생시, 이벤트 파티션에 정상적으로 영상을 저장하고, 노말 파티션에는 가변 프레임 레이트 (Valuable Framd rate)를 적용하여 다운된 촬영 프레임으로 저장시간으로 확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가진단기능이 구현된 복수 섹션 비상벨 장치 및 그 제어방법{Multi-section emergency bell device with self-diagnosis function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비상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섹션으로 특정되는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는 비상벨을 하나의 단말기에서 제어하고, 각 섹션에 설치되는 기능버튼 및 카메라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가를 판단할 수 있는 자가진단기능이 구현된 복수 섹션 비상벨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왕래가 많은 곳 또는 인적이 드문 지역에는 CCTV 카메라를 설치하여,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범죄를 예방하고, 범죄 발생시에는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범죄자를 검거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CCTV는 범죄 발생 일시를 확인하여, 범인 추적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나, 실시간으로 대응하기 어려우므로 범죄 예방의 역할은 거의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개선하여 최근에는 공중화장실 또는 건물 외곽지역의 CCTV 카메라가 설치된 곳에 비상벨을 설치하여, 비상상황 발생시에 상기 비상벨을 누르면 CCTV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관제부에 비상신호가 전송되고, 이러한 비상신호를 전송받은 관제부에서는 비상벨이 눌려진 위치로 경찰관 등을 출동하도록 하여, 범죄 대응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상벨은 고장이 발생했는 지를 판단하기 어렵고, 이를 관리하기 어려워서 실제 사용률이 떨어져 범죄 예방에 한계가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59062(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비상벨 장치)(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서는 구조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선택된 하나의 관제센터로 송신하기 위한 구조요청부; 및 상기 구조요청부를 구성하는 각 모듈의 상태정보를 실시간 수집 및 감시하여 이상작동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상작동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제센터로 송신하는 자가진단부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위 선행기술의 자가진단부에서는 "구조요청부로 공급되는 입력전압 및 입력전류를 감시, 움직임을 감지하기 센서의 계측신호를 분석, 구조요청버튼을 정전용량식 터치센서로 구성, 상기 관제센터와의 신호 송수신, 경광등 모듈의 전류계측' 등을 수행하는 방식이나, 이러한 복수의 고장진단은 단지 이론적인 상황에서의 방안 제시일뿐, 비상벨의 본질적인 기능인 비상호출 및 영상확보를 확보하기에는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섹션으로 특정되는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는 비상벨을 하나의 단말기에서 제어하고, 각 섹션에 설치되는 기능버튼 및 카메라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가를 판단할 수 있는 자가진단기능이 구현된 복수 섹션 비상벨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가진단기능이 구현된 복수 섹션 비상벨은 스피커1과 마이크1과 비상버튼1과 센서1 및 카메라1이 구비된 제1하우징과, 스피커2와 마이크2와 비상버튼2와 센서2 및 카메라2가 구비된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신호를 전달받아 소정의 신호처리과정후 서버에 전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변환된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SAT(Smart Allocation table) 파일시스템이 적용된 SAT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의 동작전류 및 영상신호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정상작동여부를 판단하는 자가진단부가 구비되며, 상기 단말기의 제어부에서 전달된 신호를 통해 외부스피커 및 전광판에 비상상황을 출력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SAT 파일시스템은 커널과 같은 OS 상에서 사용하는 read()/write()의 기본 함수에 의해 Data를 읽고/쓰기를 하며, 미리 만든 함수를 모아 놓은 라이브러리에 접근하기 위한 규칙들을 정의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생성하여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도록 구현되며, 상기 비상버튼1 및 비상버튼2의 신호가 전달되면, 해당위치를 특정하여 관리자 및 주변인에게 경고문자를 표시하는 전광판과; 마이크1 및 마이크2에서 전달되는 구조요청 목소리를 증폭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외부스피커가 더 구비된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가진단기능이 구현된 복수 섹션 비상벨 장치의 제어방법은 비상신호 및 영상신호를 발생하는 복수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서버에서는 각 하우징이 설치되는 섹션(Section)1 및 섹션(Section)2의 웨이크업 신호를 전달받어 제어동작을 개시(S10)하며, 각 하우징의 구동여부를 체크하는 단계(S20); 각 섹션에 사람이 있는 지에 대한 센서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30); 마이크와 비상버튼을 포함하는 기능버튼의 동작여부를 수신하는 단계(S40);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전송받는 단계(S50); 단말기에서 측정되는 동작전류가 정상범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60);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신호가 정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70); 단말기의 동작전류 또는 카메라의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가 정상이 아닌경우 외부 감시자에게 고장을 신고하는 단계(S61); 가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상기 (S50) 단계에서 전달된 영상신호는 LEA(Light Encreption Algorism)를 적용하여 암호화하여 변환한 후, 단말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SAT(Smart Allocation table) 파일시스템이 적용된 SAT 저장장치에 저장하며, 상기 SAT 파일시스템은 커널과 같은 OS 상에서 사용하는 read()/write()의 기본 함수에 의해 Data를 읽고/쓰기를 하며, 미리 만든 함수를 모아 놓은 라이브러리에 접근하기 위한 규칙들을 정의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생성하여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가진단기능이 구현된 복수 섹션 비상벨 장치는 섹션으로 특정되는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는 비상벨을 하나의 단말기에서 제어하여, 관리의 편의성이 증진되며, 각 섹션에 설치되는 기능버튼 및 카메라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가를 판단할 수 있는 자가진단기능이 구비되어, 범죄의 예방에 효율적인 수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말상태에서 이벤트가 발생시, 이벤트 파티션에 정상적으로 영상을 저장하고, 노말 파티션에는 가변 프레임 레이트 (Valuable Framd rate)를 적용하여 다운된 촬영 프레임으로 저장시간으로 확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에서 SAT 저장장치에 촬영된 영상을 저장시 LEA(Light Encreption Algorism)를 적용하여 암호화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고, 외부 컴퓨터에서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SAT 뷰어(Viewer)를 사용하여 보안성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가진단기능이 구현된 복수 섹션 비상벨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가진단기능이 구현된 복수 섹션 비상벨 장치의 제어방법의 흐름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가진단기능이 구현된 복수 섹션 비상벨 장치는 하나의 단말기를 복수의 하우징으로 구분하고, 각 하우징을 각 지역(Section)에 설치하여 통합관리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하우징에서 전달되는 비상신호 또는 영상신호를 서버에 전달하여 비상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제안되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피커1(11a)과 마이크1(12a)과 비상버튼1(13a)과 센서1(14a) 및 카메라1(15a)이 구비된 제1하우징(10a)과, 스피커2(11b)와 마이크2(12b)와 비상버튼2(13b)와 센서2(14b) 및 카메라2(15b)가 구비된 제1하우징(10b)과, 상기 제1하우징(10a)과 제2하우징(10b)의 신호를 전달받아 소정의 신호처리과정 후 서버(200)에 전달하는 제어부(20)와, 상기 제어부(20)에서 변환된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SAT 저장장치(30)를 포함하는 단말기(100)와; 단말기의 동작전류 및 영상신호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정상작동여부를 판단하는 자가진단부(240)가 구비되며, 상기 단말기(100)의 제어부(20)에서 전달된 신호를 통해 외부스피커(230) 및 전광판(220)에 비상상황을 출력하는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SAT 저장장치(30)는 본원출원인의 선등록권리인 등록특허 제10-2181578호(발명의 명칭: SAT 가별 데이터블록방식이 적용되는 차량용 블랙박스; 이하, '선등록발명'이라 함)에서 제안한 SAT(Smart Allocation table) 파일시스템이 적용되는 저장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SAT 파일시스템은 종래 저장장치에서 사용되던 FAT(File Allocation table) 파일시스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원출원인이 새롭게 제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SAT(Smart Allocation Table) 방식은 커널과 같은 OS 상에서 사용하는 read()/write()의 기본 함수에 의해 Data를 읽고/쓰기를 할 수 있으며, 미리 만든 함수를 모아 놓은 라이브러리에 접근하기 위한 규칙들을 정의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도록 구현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API List의 OS 함수를 이용하여 SAT 저장장치(30)에 직접 기록할 수 있으며, 저장장치의 물리적인 위치를 계산하여 테이블을 생성하고, 데이터를 저장 장치의 특정 위치에 기록할수 있다.
이하, SAT 파일 시스템의 구조 및 특징 등은 선등록발명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므로,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서버(200)에 상기 비상버튼1(13a) 및 비상버튼2(13b)의 신호가 전달되면, 해당위치를 특정하여 관리자 및 주변인에게 경고문자를 표시하는 전광판(220)과; 마이크1(12a) 및 마이크2(12b)에서 전달되는 구조요청 목소리를 증폭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외부스피커(230)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에는 카메라1(15a) 및 카메라2(15b)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SAT 저장장치(30)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서버(200)에서는 단말기(100)에서 전달된 음성 및 비상호출신호와,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외부기기(210)가 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SAT 저장장치(30)에는 현재 시점의 촬영상황에 따라 카메라1(15a) 및 카메라2(15b)의 영상 데이터를 이벤트 파티션(Event Partition)과 노말 파티션(Normal Partition)에 의해 구분된 각각의 데이터 블록에 시간순서에 따라 각각 구분하여 저장하고, 노말 상태에서는 노말 파티션에 데이터를 저장하다가, 이벤트가 발생하는 시점부터 이벤트 파티션에 동시에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블록은 섹터의 절대주소(absolute address)를 저장하는 헤더(H) 영역,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D)영역, 및 데이터블록의 정보를 저장하는 섹터(S)영역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절대 주소(absolute address)란, 주기억 장치(main storage) 안에서 하나의 단어나 하나의 문자가 차지하는 물리적 기억 위치를 가리키는 주소를 말하는 것으로 실제 주소(actual address)라고도 한다.
즉, 본 발명의 서버(200)에서는 노말 상태에서 이벤트(비상호출 등)가 발생시, 이벤트 파티션에 영상 데이터를 저장함과 동시에, 노말 파티션는 가변 프레임 레이트 (Valuable Framd rate)를 적용하여 다운된 촬영 프레임으로 전체 저장시간으로 확대할 수 있다. 상기 가변 프레임 레이트는 기본적인 30fps/s 에서 1 내지 5 fps/s로 프레임을 줄여서 저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SAT(Smart Allocation table) 파일시스템의 저장방식에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해 NSRI(국가보안기술연구소)에서 개발된 블록 암호 LEA(Lightweight Encryption Algorithm : 경량 블록 암ㆍ복호화 알고리즘)가 적용되었다.
상기 LEA는 128비트 데이터 블록을 암호화하는 알고리즘으로 128, 192, 256비트 비밀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요구되는 안전성 기준에 따라 용도가 구분될 수 있다. LEA의 라운드 함수는 32비트 단위의 ARX(Addition, Rotation, XoR) 연산만으로 구성하여, 이들 연산을 지원하는 범용 32비트 플랫폼에서 고속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라운드 함수에서 ARX(Addition, Rotation, XoR) 연산을 적절하게 배치하여 충분한 안전성을 보장하는 것과 동시에 S-box의 사용을 배제하여 경량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SAT 저장장치(30)에 저장되거나, 서버(200)에서 외부기기(220)로 송신되는 파일은 암호화에 의해 보안기능이 강화되어 제3자가 취득하여도 해당 파일이 영상파일인지 문서 파일인지 확인할 수 없도록 되어 있으며, 분실 또는 저장매체를 폐기 처분할 때 제 3자가 악의적으로 해당 데이터를 복구하여 사용할 수 없으므로, 따라서 개인정보보호 및 보안에 특화된 파일시스템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때, 서버에서 진행되는 암호화 알고리즘에서는 LEA(Light Encreption Algorism)를 적용하여 암호화과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영상데이터의 블록단위 배열을 랜덤으로 재배열하고, 복호화과정에서 재배열된 블록단위 배열을 다시 원상으로 복원시키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암호화된 영상데이터는 상기 SAT 저장장치(30)의 데이터를 복사하거나, 외부기기(210)에 연결된 컴퓨터에서 영상데이터를 시청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LEA(Light Encreption Algorism)가 적용된 SAT 뷰어(Viewer)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영상데이터의 유실위험성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자가진단기능이 구현된 복수 섹션 비상벨 장치의 제어방법은 도 2에 의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비상신호 및 영상신호를 발생하는 복수의 하우징(10a)(10b)으로 이루어진 단말기(100)와, 상기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일체의 제어동작은 서버(200)에서 수행된다.
먼저, 상기 서버(200)에서는 각 하우징(10a)(10b)이 설치되는 섹션(Section)1 및 섹션(Section)2의 웨이크업 신호를 전달받아 제어동작을 개시(S10)한다.
즉, 각 하우징(10a)(10b)의 출력신호에 따라 구동여부를 체크하는 단계(S20)가 진행되며, 각 섹션에 사람이 있는 지에 대한 센서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30)와; 마이크(12a)(12b)와 비상버튼(13a)(13b)을 포함하는 기능버튼의 동작여부를 수신하는 단계(S40); 및 카메라(15a)(15b)를 통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전송받는 단계(S50);가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을 통해, 단말기(100)의 각 하우징(10a)(10b)에서 발생하는 비상신호를 서버(200)에서 인지하고, 영상신호를 확보하여 비상상황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S50)단계에서 전달된 영상신호는 LEA(Light Encreption Algorism)를 적용하여 암호화하여 변환한 후, 단말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SAT 저장장치(3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비상신호를 송출하는 단말기(100)와 영상신호를 발생하는 카메라(15a)(15b)가 정상작동하는 지를 자가진단부(240)를 통해 스스로 판단하여, 즉각적인 조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먼저, 단말기(100)에서 측정되는 동작전류가 정상범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60);와 카메라(15a)(15b)에서 촬영된 영상신호가 정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70);가 진행되고, 단말기(100)의 동작전류 또는 카메라(15a)(15b)의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가 정상이 아닌경우 외부 감시자에게 고장을 신고하는 단계(S61);가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상기 단말기(100)의 동작전류는 스피커, 마이크, 비상버튼, 센서를 포함하는 각 구성요소를 개별적으로 체크하는 것이 아니라, 정상동작인 경우의 동작전류를 미리 설정한 후, 각 구성요소중 어느 하나 이상에 문제가 생겨 변동되는 실시간 동작전류의 변동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는 비상벨 장치가 조금이라도 이상작동하는 경우 즉각적인 고장신고를 진행하여, 긴급상황발생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이다.
또한, 상기 자가진단부(240)에서는 각 섹션에서 낮과 밤의 특정 시간대 촬영된 영상화면을 설정값으로 미리 저장하고, 카메라(15a)(15b)에서 일정 시간간격마다 촬영된 비교영상를 비교하여 고장여부를 진단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영상화면의 특정픽셀위치를 지정하여 놓고, 상기 특정픽셀위치를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도 있으며, 이는 당업계에서 화면분석 알고리즘에 대한 공지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 내에서 당 분야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10a : 제1하우징 10b : 제2하우징
11a : 스피커1 11b : 스피커2
12a : 마이크1 12b : 마이크2
13a : 비상버튼1 13b : 비상버튼2
14a : 센서1 14b : 센서2
15a : 카메라1 15b : 카메라2
20 : 제어부 30 : SAT 저장장치
100 : 단말기 200 : 서버
210 : 외부기기 220 : 전광판
230 : 외부스피커 240 : 자가진단부

Claims (6)

  1. 스피커1(11a)과 마이크1(12a)과 비상버튼1(13a)과 센서1(14a) 및 카메라1(15a)이 구비된 제1하우징(10a)과, 스피커2(11b)와 마이크2(12b)와 비상버튼2(13b)와 센서2(14b) 및 카메라2(15b)가 구비된 제1하우징(10b)과, 상기 제1하우징(10a)과 제2하우징(10b)에서 신호를 전달받아 소정의 신호처리과정을 거친후 서버(200)에 전달하는 제어부(20)와, 상기 제어부(20)에서 변환된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SAT(Smart Allocation table) 파일시스템이 적용된 SAT 저장장치(30)를 포함하는 단말기(100)와; 상기 단말기(100)의 동작전류 및 영상신호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정상작동여부를 판단하는 자가진단부(240)가 구비되며, 상기 단말기(100)의 제어부(20)에서 전달된 신호를 통해 외부스피커(230) 및 전광판(220)에 비상상황을 출력하는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SAT 파일시스템은 커널과 같은 OS 상에서 사용하는 read()/write()의 기본 함수에 의해 Data를 읽고/쓰기를 하며, 미리 만든 함수를 모아 놓은 라이브러리에 접근하기 위한 규칙들을 정의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생성하여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도록 구현되며,
    상기 비상버튼1(13a) 및 비상버튼2(13b)의 신호가 전달되면, 해당위치를 특정하여 관리자 및 주변인에게 경고문자를 표시하는 전광판(220)과; 마이크1(12a) 및 마이크2(12b)에서 전달되는 구조요청 목소리를 증폭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외부스피커(23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진단기능이 구현된 복수 섹션 비상벨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200)에는 단말기(100)에서 전달된 음성 및 비상호출신호와,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외부기기(210)가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진단기능이 구현된 복수 섹션 비상벨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100)에는 카메라1(15a) 및 카메라2(15b)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SAT 저장장치(30)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SAT 저장장치(30)에는 현재 시점의 촬영상황에 따라 카메라1(15a) 및 카메라2(15b)의 영상 데이터를 이벤트 파티션과 노말 파티션에 의해 구분된 각각의 데이터 블록에 시간순서에 따라 각각 구분하여 저장하고, 노말 상태에서는 노말 파티션에 데이터를 저장하다가, 이벤트가 발생하는 시점부터 이벤트 파티션에 동시에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블록은 섹터의 절대주소(absolute address)를 저장하는 헤더(H) 영역,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D)영역, 및 데이터블록의 정보를 저장하는 섹터(S)영역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진단기능이 구현된 복수 섹션 비상벨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SAT 저장장치(30)에 저장되는 영상데이터는 서버(200)에서 LEA(Light Encreption Algorism)를 적용하여 암호화하여 변환하여 저장함으로써, 영상데이터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진단기능이 구현된 복수 섹션 비상벨 장치.
  5. 비상신호 및 영상신호를 발생하는 복수의 하우징(10a)(10b)으로 이루어진 단말기(100)와, 상기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서버(200)에서는 각 하우징(10a)(10b)이 설치되는 특정 지역인 섹션(Section)1 및 섹션(Section)2의 웨이크업 신호를 전달받아 제어동작을 개시하는 단계(S10); 각 하우징(10a)(10b)의 구동여부를 체크하는 단계(S20); 각 섹션에 사람이 있는 지에 대한 센서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30); 마이크(12a)(12b)와 비상버튼(13a)(13b)을 포함하는 기능버튼의 동작여부를 수신하는 단계(S40); 카메라(15a)(15b)를 통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전송받는 단계(S50); 단말기(100)에서 측정되는 동작전류가 정상범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60); 카메라(15a)(15b)에서 촬영된 영상신호가 정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70); 단말기(100)의 동작전류 또는 카메라(15a)(15b)의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가 정상이 아닌경우 외부 감시자에게 고장을 신고하는 단계(S61);가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상기 (S50) 단계에서 전달된 영상신호는 LEA(Light Encreption Algorism)를 적용하여 암호화하여 변환한 후, 단말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SAT(Smart Allocation table) 파일시스템이 적용된 SAT 저장장치(30)에 저장하며,
    상기 SAT 파일시스템은 커널과 같은 OS 상에서 사용하는 read()/write()의 기본 함수에 의해 Data를 읽고/쓰기를 하며, 미리 만든 함수를 모아 놓은 라이브러리에 접근하기 위한 규칙들을 정의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생성하여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진단기능이 구현된 복수 섹션 비상벨 장치의 제어방법.
  6. 삭제
KR1020190151806A 2019-11-25 2019-11-25 자가진단기능이 구현된 복수 섹션 비상벨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46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806A KR102346502B1 (ko) 2019-11-25 2019-11-25 자가진단기능이 구현된 복수 섹션 비상벨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806A KR102346502B1 (ko) 2019-11-25 2019-11-25 자가진단기능이 구현된 복수 섹션 비상벨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553A KR20210063553A (ko) 2021-06-02
KR102346502B1 true KR102346502B1 (ko) 2022-01-03

Family

ID=76372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806A KR102346502B1 (ko) 2019-11-25 2019-11-25 자가진단기능이 구현된 복수 섹션 비상벨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5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738B1 (ko) * 2021-10-21 2022-09-21 주식회사 디앤샤인 작동 편의성과 식별력이 향상된 비상벨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403B1 (ko) * 2015-01-07 2016-06-16 주식회사 토페스 인체감지센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
KR101926815B1 (ko) * 2018-08-07 2018-12-07 권순우 자기진단 기능을 갖는 cctv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995B1 (ko) * 2008-07-21 2011-05-11 삼우에레코 주식회사 자가 진단 기능을 가지는 보안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403B1 (ko) * 2015-01-07 2016-06-16 주식회사 토페스 인체감지센서를 갖는 비상버튼 연동 보안용 카메라
KR101926815B1 (ko) * 2018-08-07 2018-12-07 권순우 자기진단 기능을 갖는 cctv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553A (ko) 202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7126B2 (en) Privacy masking video content of alarm exceptions and mask verification
US20190373219A1 (en) Methods, systems, apparatuse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management of emergency situations
US8704893B2 (en) Ambient presentation of surveillance data
KR101747213B1 (ko) 시나리오 기반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JP2003319158A (ja) 画像処理システム
US10235573B2 (en) Low-fidelity always-on audio/video monitoring
KR102346502B1 (ko) 자가진단기능이 구현된 복수 섹션 비상벨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10007700A (ko) 보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격지 영상 감시 서비스방법
JP6211125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
JP6875255B2 (ja) 映像監視システム及び映像監視装置
KR101731592B1 (ko) 독립형 다중 영상 감시 시스템
KR101895843B1 (ko) 알람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US9870518B2 (en) Data processing system
KR102165276B1 (ko) 통합관제서버 및 설비를 통합관제하는 방법
US20190244449A1 (en) Room camera access control by keycard and tracking guest accessories
KR100926580B1 (ko) 어린이 방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6534801B2 (ja) 画像確認システムおよびセンタ装置
TWI480795B (zh) 影像監視與分析方法
KR20160131678A (ko) 카메라를 구비한 보호용 휴대 장치 및 영상 촬영 방법
KR200492429Y1 (ko) 통합관제서버
TWI742463B (zh) 監控警示系統
TWM487495U (zh) 保全監視系統
KR102253672B1 (ko) 영상 보안 시스템 및 그에 대한 보안 관리 장치
JP2005094642A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
WO2023162011A1 (ja) 監視システム、通信装置、監視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