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704B1 - 회전식 조립형 도교 - Google Patents

회전식 조립형 도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704B1
KR102482704B1 KR1020200046768A KR20200046768A KR102482704B1 KR 102482704 B1 KR102482704 B1 KR 102482704B1 KR 1020200046768 A KR1020200046768 A KR 1020200046768A KR 20200046768 A KR20200046768 A KR 20200046768A KR 102482704 B1 KR102482704 B1 KR 102482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
bridge
frame
vertical
foot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8738A (ko
Inventor
조진택
Original Assignee
조진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진택 filed Critical 조진택
Priority to KR1020200046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704B1/ko
Publication of KR20210128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24Bridges or similar structures, based on land or on a fixed structure and designed to give access to ships or other floating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립형 도교는 사람이나 운반물이 선박과 육지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다리 역할을 하는 도교부재; 상기 도교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육지에 고정되는 회전형 고정부재; 및 상기 도교부재의 타측에 형성되어 선박 내에서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는 롤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교부재는 폭 방향 양단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 내측 및 외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레일 형태로 배치되는 수평 프레임과, 상기 내측에 배치된 수평 프레임 사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하고 지지하는 장볼트와, 상기 수평 프레임이 하측 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와이어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은 제1 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제2 수직 프레임 및 제3 수직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회전식 조립형 도교{ASSEMBLING TYPE GANGWAY}
본 발명은 육상에 거치되는 회전축이 장착된 회전식 조립형 도교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 제작이 용이하고 인장력이 강한 와이어를 프레임 내부에 삽입하여 도교 본체의 중앙부 처짐이 없고 길이 확장이 용이하며, 육상에 거치되는 힌지는 고정형이 아닌 회전축을 가진 것으로 도교의 좌, 우, 상, 하 방향으로 유동성을 가지며, 무게가 가벼운 조립형 도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교는 항만이나 부두 등지에 설치하여, 선박, 계류시설 등 수상에 부유하는 구조물과 육상을 연결하여 사람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고, 대형 구조물의 도교의 경우 차량이 통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기도 한다.
도교는 구조에 따라 상부로 들어 올리며 접철하는 방식의 접철식 도교, 지상에 고정식 회전축을 가지며 수상 구조물이 이동하는 방향에 따라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식 도교, 육상과 수상 구조물을 연결하는 연락 도교, 수상 구조물과 수상 구조물간의 연결을 하는 연결 도교로 구분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도교는 사각파이프 또는 H-빔 등을 좌, 우측에 배치하고 그 사이에 사각파이프를 용접하여 연결하며 용접된 사각파이프의 윗면, 갑판에 해당하는 부분을 널판지 또는 철판 등으로 마감하고 사각 파이프 또는 H-빔의 위쪽에 난간을 세워 난간 트러스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도교의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도교 중앙부의 처짐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형 H-빔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대형 H-빔을 사용하여 제작된 도교 또한 처짐 현상이 발생되므로, 대형 H-빔의 사용이 처짐 현상을 막기 위한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되지 못 하며 오히려 소형 계류시설의 경우 대형의 H-빔을 사용함으로서 계류 시설의 건현 불균형과 계류시설 자체의 파손, 변형, 안정성이 떨어지는 또 다른 문제점을 야기 시키고 있다.
또한, 종래의 회전식 도교의 경우 대형 H-빔 또는 사각파이프 등으로 제작을 하기 때문에 매우 무겁고, 그로 인하여 도교의 중량에 의하여 회전축이 파손되거나 변형이 되는 등 안전의 문제점을 야기 시키고 있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5384호
본 발명은 회전식 구조를 갖는 회전식 조립형 도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류의 상황에 따라 좌,우,상,하로 유동적 움직임을 갖는 회전식 조립형 도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부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식 조립형 도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 연장이 용이한 회전식 조립형 도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접 부위를 최소화하여 염분 성분에 의아여 용접 부위가 부식되는 것을 감소시킨 회전식 조립형 도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무게가 가벼운 회전식 조립형 도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립형 도교는 사람이나 운반물이 선박과 육지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다리 역할을 하는 도교부재; 상기 도교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육지에 고정되는 회전형 고정부재; 및 상기 도교부재의 타측에 형성되어 선박 내에서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는 롤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교부재는 폭 방향 양단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 내측 및 외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레일 형태로 배치되는 수평 프레임과, 상기 내측에 배치된 수평 프레임 사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하고 지지하는 장볼트와, 상기 수평 프레임이 하측 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와이어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은 제1 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제2 수직 프레임 및 제3 수직 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회전식 구조를 갖는 회전식 조립형 도교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조류의 상황에 따라 좌,우,상,하로 유동적 움직임을 갖는 회전식 조립형 도교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부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식 조립형 도교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 연장이 용이한 회전식 조립형 도교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접 부위를 최소화하여 염분 성분에 의아여 용접 부위가 부식되는 것을 감소시킨 회전식 조립형 도교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무게가 가벼운 회전식 조립형 도교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립형 도교의 전체적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립형 도교의 도교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ㄷ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립형 도교에서 수직 프레임, 수평 프레임, 와이어부재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립형 도교에서 수직 프레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립형 도교에서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립형 도교에서 갑판과 회전형 고정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은 회전형 고정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립형 도교에서 롤러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회전식 조립형 도교에 대하여 개시된다. 본 발명의 회전식 조립형 도교에 사용되는 부품들은 금속 및 비금속(CFRP, GFRP, ABS 등) 재질의 다양한 소재로 형성되는 바, 각각의 부품들은 통상적인 결합수단을 통해 체결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회전식 조립형 도교에서 부품들은 대표적으로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되는데, 이는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나 도면을 참조할 때 이러한 체결방식은 특별한 설명이 없다고 하더라도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립형 도교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립형 도교의 전체적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립형 도교의 도교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립형 도교에서 수직 프레임, 수평 프레임, 와이어부재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립형 도교는 사람이나 운반물이 선박(1)과 육지(2)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다리 역할을 하는 도교부재(100)와, 상기 도교부재(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육지에 고정되는 회전형 고정부재(110)와, 상기 도교부재(100)의 타측에 형성되어 선박내에서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는 롤러부재(1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교부재(100)는 사람이나 운반물의 안전한 통행을 위한 난간(130)과, 갑판(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교부재(100)는 부품들의 용이하고 확장성있는 조립을 위하여 폭 방향 양단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10) 및 상기 수직 프레임(10) 내측 및 외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수평 프레임(20)이 각각 레일 형태로 배치되고, 내측의 수평 프레임(20) 사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하고 지지하기 위한 장볼트(30)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 프레임(20)이 하측 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와이어부재(40)가 설치된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와이어부재(40)의 장력을 조절하고 유지하기 위한 턴버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갑판(140)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갑판 지지부(145)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갑판 지지부(145)는 상기 수직 프레임(10)에 결합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립형 도교에서 수직 프레임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립형 도교에서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수직 프레임(10)은 제1 수직 프레임(11)과, 제2 수직 프레임(12)과, 제3 수직 프레임(13)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 프레임(10)은 제1 수직 프레임(1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수직 프레임(12)과 제3 수직 프레임(13)이 결합된다.
상기 제1 수직 프레임(11)은 상기 제2 수직 프레임(12)과 제3 수직 프레임(13)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수직 프레임(12)과 제3 수직 프레임(13)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상부가 2 부분으로 분기되도록 형성되는데, 흡사 Y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직 프레임(11)의 제1 가지(11a)와 제2 가지(11b)는 상기 인접한 분리된 난간(130)과 결합되는데, 상기 난간(130)은 제1 수직 프레임(11)의 제1 가지(11a)와 이웃한 제1 수직 프레임(11)의 제2 가지(11b)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상기 난간(130)은 도교의 전체 길이만큼 길게 제작될 필요가 없으며, 짧은 단위 난간들이 다수개가 결합되어 설치됨으로써 도교의 길이에 따라 유연한 난간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 제2 수직 프레임(12)과 제3 수직 프레임(13)은 상기 제1 수직 프레임(11)의 내측 및 외측에 결합되는데, 상기 제2 수직 프레임(12)과 제3 수직 프레임(13)에는 각각 수평 프레임(20)이 결합된다. 상기 제2 수직 프레임(12)과 제3 수직 프레임(13)은 볼트, 너트, 워셔 등을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으며, 결합 방식은 다양하게 채택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직 프레임(12)과 제3 수직 프레임(13) 사이에 상기 와이어(40)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와이어(40)는 상기 제2 수직 프레임(12)과 제3 수직 프레임(13)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도교부재(100)의 일측 끝단에서 타측 끝단까지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부재(40)의 장력을 조절하고 유지하기 위하여 턴버클이 설치된다.
도 7을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립형 도교에서 갑판과 회전형 고정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은 회전형 고정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양측에 배치된 내측의 수평 프레임(20) 상에는 갑판(140)이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갑판(14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태의 바 모양의 부재가 조립된 형태의 갑판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도교의 일측에는 육지에 고정되는 회전형 고정부재(110)가 결합된다.
상기 회전형 고정부재(110)는 육지(2)에 고정되는 고정부(111)와, 상기 고정부(111)에 설치되는 베어링 수납부(112)와, 상기 베어링 수납부(112)에 설치되는 베어링(113)과, 상기 베어링(113) 내에 삽입되는 회전축(114)과, 상기 회전축(114)이 상기 도교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115)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 수납부(112)와, 베어링(113) 및 회전축(114)의 결합구조로 인하여, 상기 회전축(114)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111)가 육지(2)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115)를 통해 연결된 도교는 상,하,좌,우로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립형 도교에서 롤러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롤러부재(120)는 상기 도교부재(100)의 타측에 결합되어 선박(1) 측에 위치한다.
상기 롤러부재(120)는 상기 도교부재(100)의 타측 끝단에 폭 방향 양단에 배치되는 수평 프레임(20)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된다.
상기 롤러부재(120)는 도교부재(100)의 양측에 각가 1개씩 설치될 수 있으며, 선박(1)의 움직임에 따른 적절한 이동으로 선박(1)이나 도교부재(1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수직 프레임, 20; 수평 프레임, 30; 장볼트, 40; 와이어부재, 100; 도교부재 110; 회전형 고정부재, 120; 롤러부재, 130; 난간

Claims (5)

  1. 사람이나 운반물이 선박과 육지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다리 역할을 하는 도교부재;
    상기 도교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육지에 고정되는 회전형 고정부재; 및
    상기 도교부재의 타측에 형성되어 선박 내에서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는 롤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교부재는 폭 방향 양단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 내측 및 외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레일 형태로 배치되는 수평 프레임과, 상기 내측에 배치된 수평 프레임 사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하고 지지하는 장볼트와, 상기 수평 프레임이 하측 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와이어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은 제1 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제2 수직 프레임 및 제3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직 프레임 및 제3 수직 프레임은 각각 상기 수평 프레임과 결합되고,
    상기 수평 프레임의 양단에 배치된 상기 제2 수직 프레임 및 제3 수직 프레임은 홀이 형성되어 고정 핀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 핀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상기 와이어부재는 하측 사선방향으로 제1 수직 프레임의 하단을 지나고, 복수의 제1 수직 프레임의 하단을 지난 후 상측 사선방향으로 지나 상기 고정 핀에 결합되며,
    상기 도교부재는 사람이나 운반물의 안전한 통행을 위한 난간과 갑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은 상부가 2부분으로 분기되어 각각 분리된 난간과 결합되는 회전식 조립형 도교.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고정부재는 육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는 베어링 수납부와, 상기 베어링 수납부에 설치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 내에 삽입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이 상기 도교부재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회전식 조립형 도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도교부재의 폭 방향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수평프레임 사이에 결합되는 회전식 조립형 도교.
KR1020200046768A 2020-04-17 2020-04-17 회전식 조립형 도교 KR102482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768A KR102482704B1 (ko) 2020-04-17 2020-04-17 회전식 조립형 도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768A KR102482704B1 (ko) 2020-04-17 2020-04-17 회전식 조립형 도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738A KR20210128738A (ko) 2021-10-27
KR102482704B1 true KR102482704B1 (ko) 2022-12-28

Family

ID=78286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768A KR102482704B1 (ko) 2020-04-17 2020-04-17 회전식 조립형 도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7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6293A (ja) * 2004-02-12 2005-08-2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浮体用連絡橋
KR101775645B1 (ko) * 2017-04-13 2017-09-19 진성산업 주식회사 교량 점검용 통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523B1 (ko) * 2013-07-15 2013-10-14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이엔씨 분절거더를 이용한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의 제작에 사용되는 정착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의 분절 거더의 교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6293A (ja) * 2004-02-12 2005-08-2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浮体用連絡橋
KR101775645B1 (ko) * 2017-04-13 2017-09-19 진성산업 주식회사 교량 점검용 통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738A (ko) 202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04346B1 (en) Box beam for use as a load carrying member and structures incorporating such box beams
CN103620128A (zh) 分离式节点板连接
CN113550225B (zh) 具有防止间隙张开和分离的连接单元的模块化嵌板结构
KR101546304B1 (ko) 거더와 난간이 조립방식으로 체결되어 트러스구조를 이루는 다리
US4660495A (en) Floating dock/marina system
US5680664A (en) Bridge structure
KR102482704B1 (ko) 회전식 조립형 도교
US4043287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floating docks
US3394419A (en) Road construction
US20060042181A1 (en) Brace assembly for truss legs of offshore structures
US5121518A (en) Cable-stayed bridge and construction process
KR102316116B1 (ko) 조립형 도교
KR100547484B1 (ko) H빔을 다층으로 연결하고,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교량거더와 낙교방지장치 및 다중 지점 지지장치로 이루어진 가설교량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454888B1 (ko) 수평의 슬래브 지지부가 구비된 원형 강관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거더 교량
US20050126101A1 (en) Heliport and civil engineering/building material
EP0118820A2 (en) Steel truss
KR102046420B1 (ko) 방풍벽 및 이의 시공공법
KR100656428B1 (ko) 프리캐스트 난간
US5454127A (en) Unbalanced bascule bridge with concrete slab roadway
Kærn et al. 16.13: Queensferry crossing cable‐stayed composite bridge
KR102622588B1 (ko) 파형강판이 적용된 켄틸레버 브라켓
KR102165949B1 (ko) 도교 조립체가 연결된 부잔교
KR200160072Y1 (ko) 이동식 교량 안전 점검대 구조시스템
KR200325423Y1 (ko) H빔을 다층으로 연결하고, 선택적으로 프리스트레스를도입한 교량거더와 낙교방지장치 및 다중 지점지지장치로 이루어진 가설교량
CN109555024B (zh) 一种用于钢桥面工程全天候施工的模块化自行式风雨棚幅宽调节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