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496B1 -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 - Google Patents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496B1
KR102482496B1 KR1020210071374A KR20210071374A KR102482496B1 KR 102482496 B1 KR102482496 B1 KR 102482496B1 KR 1020210071374 A KR1020210071374 A KR 1020210071374A KR 20210071374 A KR20210071374 A KR 20210071374A KR 102482496 B1 KR102482496 B1 KR 102482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ctuator
unit
height
go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9428A (ko
Inventor
이산복
김신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피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피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피아이
Priority to US18/550,648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40139603A1/en
Priority to PCT/KR2022/003548 priority patent/WO2022197046A1/ko
Priority to JP2023557079A priority patent/JP2024511031A/ja
Publication of KR20220129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52Inclined platforms for practising drives from slo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91Golf courses; Golf practising terrains having a plurality of driving areas, fairways, gree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평면 사각 형상의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되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어 개별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액추에이터로 구성되는 높이조절부가 포함되고, 상기 플레이트부는, 탄성에 의해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복수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부의 평면 형상이 가변되어 곡면의 형상이 구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이조절부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탄성 소재로 구성되는 플레이트부의 평면 형상이 가변되어 곡면의 형상이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굴곡진 지형으로 이루어지는 야외 연습장의 페어웨이 및 러프의 지형 환경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GOLF PLATE DEVICE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MENT UNIT}
본 발명은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높이조절부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탄성 소재로 구성되는 플레이트부의 평면 형상이 가변되어 곡면의 형상이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굴곡진 지형으로 이루어지는 야외 연습장의 페어웨이 및 러프의 지형 환경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는 코스 위의 흰 공을 클럽으로 쳐서 홀(Hole)에 넣는 운동 종목으로, 시작점부터 홀에 공을 넣기까지 소요된 타수의 많고 적음으로 우열을 겨룬다. 즉,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곳에 홀컵을 마련하고, 드라이버 등의 클럽으로 공을 타격하여 홀컵에 넣되, 코스마다 정해진 타수가 있고 가장 적은 타수로 코스를 완주한 골퍼가 이기는 종목이다.
골프의 코스는 티잉 그라운드(teeing ground), 그린(Green) 및 티잉 그라운드와 그린 사이의 페어웨이(Fairway)로 이루어진다. 티잉 그라운드는 골퍼가 공을 처음으로 타격하는 장소로, 대부분 드라이버로 티샷을 한다. 그린은 중앙 또는 가장자리에 홀컵이 배치되는 구간으로, 골퍼는 퍼터로 공을 굴려 컵에 넣는다. 페어웨이는 티잉 그라운드 및 그린 사이의 구간으로, 풀이 긴 러프(Rough)와 달리 잔디의 길이가 비교적 짧아 골퍼가 공을 타격하기에 용이하다. 이외에도 해저드(Hazard), 벙커(Bunker)와 같은 복수의 구성을 추가하여 하나의 코스를 이룰 수 있다.
이때, 티잉 그라운드 및 그린은 비교적 평평한 구조로 이루어진데 반해, 코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페어웨이 및 러프는 단면이 굴곡진 형상의 지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지 않는 실내 연습장의 스윙 플레이트에서는 굴곡진 지형으로 이루어지는 야외 연습장의 페어웨이 또는 러프에서 스윙하는 것과 같은 상태를 재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1318호는 지면에 대하여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실내골프장 스윙플레이트에 대한 기술적 내용을 기재하였다. 상기 문헌에 기재된 스윙플레이트는 플레이트 하부에 설치되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슬라이딩되는 복수의 슬라이딩봉, 상기 슬라이딩봉을 슬라이딩시키는 너트베어링블록 및 상기 너트베어링블록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복수의 슬라이딩봉이 배치되는 높이가 독립적으로 가변되고, 가변된 복수의 슬라이딩봉의 높이값이 상이함에 따라 플레이트가 지면으로부터 경사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기재된 스윙플레이트는 일정한 경사도를 갖는 지형을 구현할 수 있으나, 중앙부가 함몰되거나 돌출되어 변곡점을 갖는 곡면에 대한 지형을 구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골퍼가 실제 야외 연습장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지형을 재현하는 데에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1318호 "실내골프장 스윙플레이트 각도 조절 장치" (2017.01.04.)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높이조절부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탄성 소재로 구성되는 플레이트부의 평면 형상이 가변되어 곡면의 형상이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굴곡진 지형으로 이루어지는 야외 연습장의 페어웨이 및 러프의 지형 환경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평면 사각 형상의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되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어 개별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액추에이터로 구성되는 높이조절부가 포함되고, 상기 플레이트부는, 탄성에 의해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복수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부의 평면 형상이 가변되어 곡면의 형상이 구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프레임부에 대해 예각의 각도를 갖는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부 및 플레이트부에 대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부의 높이 조절 시 상기 예각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피스톤이 인출 및 인입되어 상기 플레이트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복수의 액추에이터가 4개로 구성되는 경우 제1액추에이터 내지 제4액추에이터가 각각 상기 플레이트부의 모서리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액추에이터가 5개로 구성되는 경우 제1액추에이터 내지 제4액추에이터는 각각 상기 플레이트부의 모서리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제5액추에이터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중앙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액추에이터가 6개로 구성되는 경우 제1액추에이터 내지 제4액추에이터는 각각 상기 플레이트부의 모서리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제5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액추에이터와 제2액추에이터의 사이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제6액추에이터는 상기 제5액추에이터와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에는 상기 복수의 액추에이터가 5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5액추에이터에 의한 상기 플레이트부의 중앙 측 높이 조절을 보조하도록 구성되는 센터보조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센터보조모듈은 일단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타단은 상기 플레이트부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비교적 상기 타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돌출되는 연결부에 상기 제5액추에이터가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에는,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높이가 조절된 플레이트부의 하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댐퍼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에는, 상기 프레임부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높이가 조절된 플레이트부의 하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댐퍼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에는, 일단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되 상기 액추에이터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플레이트부에 설치되되 상기 액추에이터와 플레이트부의 연결부 보다 외곽의 위치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복원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의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플레이트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로 상기 액추에이터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한 플레이트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단말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신호가 송수신되도록 구성되는 본체통신모듈; 상기 본체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의 제어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처리모듈; 및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처리모듈에 의해 신호 처리되어 높이가 조절된 플레이트부의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감지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모듈에 의해 감지되는 플레이트부의 상태를 현플레이트정보로 가공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단말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전송되는 현플레이트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에 의하면, 높이조절부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탄성 소재로 구성되는 플레이트부의 평면 형상이 가변되어 곡면의 형상이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굴곡진 지형으로 이루어지는 야외 연습장의 페어웨이 및 러프의 지형 환경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레이트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플레이트부의 평면 형상이 곡면 형상으로 가변되도록 하는 액추에이터가 프레임부에 대해 예각의 각도를 갖는 상태로 설치되고 플레이트부의 높이 조절 시에도 예각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피스톤이 인출 및 인입되어 플레이트부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플레이트부에서 발생되는 하중이 온전히 액추에이터로만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액추에이터의 회동 방향으로도 분산되도록 구성되어 과도한 하중에 의해 액추에이터가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부 및 플레이트부의 크기(면적)에 따라 높이조절부를 구성하는 액추에이터의 개수 및 설치 위치가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플레이트부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지지하면서 플레이트부의 곡면 형상을 구현할 수 있고, 프레임부 및 플레이트부의 크기(면적)에 따라 실내용 및 실외용으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센터보조모듈, 제1댐퍼 및 제2댐퍼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가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플레이트부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높이가 조절되어 평면 형상이 곡면 형상으로 가변된 플레이트부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부와 플레이트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복원모듈이 액추에이터와 플레이트부의 연결부보다 외곽의 위치에 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액추에이터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었던 플레이트부가 원래의 평면 형상으로 복원되었을 때, 플레이트부의 소재 등에 의해 플레이트부의 말단이 프레임부로부터 들뜨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기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사용자단말부를 이용하여 높이조절부의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실내뿐만 아니라, 야외에서도 얼마든지 휴대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의 플레이트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의 높이조절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의 제2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의 제3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의 센터보조모듈을 나타내는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의 복원모듈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의 제어부 및 사용자단말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의 사용자단말부를 나타내는 블럭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잔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에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명세서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실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높이조절부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탄성 소재로 구성되는 플레이트부의 평면 형상이 가변되어 곡면의 형상이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굴곡진 지형으로 이루어지는 야외 연습장의 페어웨이 및 러프의 지형 환경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의 플레이트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의 높이조절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1a 내지 도 3에 따르면, 본 발명의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에는, 프레임부(100), 플레이트부(200) 및 높이조절부(300)가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부(100)에는, 지면과 접촉되는 제1수평프레임(110), 상기 제1수평프레임(110)과 대칭되며 후술되는 플레이트부(200)와 접촉되어 지지하는 제2수평프레임(120) 및 상기 제1수평프레임(110)과 제2수평프레임(1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수평프레임(110)과 제2수평프레임(120)의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는 수직프레임(130)이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수직프레임(130)에 의해 형성되는 일정한 공간에는 후술되는 높이조절부(300)가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플레이트부(200)는, 평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수평프레임(120)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사용자는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상부에 올라서서 스윙 연습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부(200)는 탄성에 의해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플레이트부(200)가 후술되는 높이조절부(300)에 의해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부(300)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평면 형상이 가변되어 곡면의 형상이 구현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야외 연습장의 페어웨이 및 러프의 지형 환경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소재의 특성에 의해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소재라면 얼마든지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보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 환경에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일 측에는 퍼팅홀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연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300)는, 상기 프레임부(100)에 설치되되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어 개별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액추에이터(310)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액추에이터(310)는 상기 프레임부(100) 및 플레이트부(200)의 면적에 따라 4개 내지 6개로 구성되어 각각의 개수에 따라 적합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복수의 액추에이터(310)는, 상기 프레임부(100)에 대해 예각의 각도를 갖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프레임부(100) 및 플레이트부(200)에 대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복수의 액추에이터(310)는 상기 프레임부(100) 및 플레이트부(200)의 사이에서 경사진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높이조절부(300)는, 상기 복수의 액추에이터(310)가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에서, 피스톤(320)이 인출되면서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복수의 액추에이터(310)는,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높이 조절 시에도, 상기 예각의 각도를 유지하는 상태로 상기 피스톤(320)이 인출 및 인입되면서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액추에이터(310)가 상기 프레임부(100) 및 플레이트부(200)의 사이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320)이 인출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액추에이터(310)가 점차 회동되어 상기 프레임부(100) 및 플레이트부(200)에 대해 형성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액추에이터(310)의 설치 각도(H)가 점차 커지게 되면서 상기 액추에이터(310)가 설치된 플레이트부(200)의 일부 부분이 상부 방향으로 점차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액추에이터(310)는, 상기 복수의 액추에이터(310)에서 상기 피스톤(320)이 최대로 인출된 상태에서도 상기 복수의 액추에이터(310)의 설치 각도(H)는 예각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부(200)에서 발생되어 전달되는 하중이 온전히 상기 액추에이터(310)에서 인출된 피스톤(320)에만 가해지는 것이 아니라 상기 액추에이터(310)의 회동 방향으로도 분산되게 되어 과도한 하중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310) 및 피스톤(320)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의 제2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의 제3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에 따르면, 도 4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부(300)를 이루는 액추에이터(310)가 4개로 구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5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부(300)를 이루는 액추에이터(310)가 5개로 구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6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부(300)를 이루는 액추에이터(310)가 6개로 구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높이조절부(300)를 이루는 액추에이터(310)가 4개로 구성되는 경우, 제1액추에이터(311) 내지 제4액추에이터(314)가 각각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모서리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실시 예는, 상기 프레임부(100) 및 플레이트부(200)의 면적이 작은 형태를 이루어서 상기 제1액추에이터(311) 내지 제4액추에이터(314)가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모서리와 인접한 위치에만 설치되더라도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중앙으로 가해지는 하중에도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300)를 이루는 액추에이터(310)가 5개로 구성되는 경우, 제1액추에이터(311) 내지 제4액추에이터(314)는 각각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모서리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제5액추에이터(315)는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중앙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실시 예는, 상기 프레임부(100) 및 플레이트부(200)의 면적이 중간 형태를 이루어서 상기 제1액추에이터(311) 내지 제4액추에이터(314)가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모서리와 인접한 위치에만 설치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중앙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무리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300)를 이루는 액추에이터(310)가 6개로 구성되는 경우, 제1액추에이터(311) 내지 제4액추에이터(314)는 각각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모서리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제5액추에이터(315)는 상기 제1액추에이터(311)와 제2액추에이터(312)의 사이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제6액추에이터(316)는 상기 제5액추에이터(315)와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실시 예는, 상기 프레임부(100) 및 플레이트부(200)의 면적이 큰 형태를 이루어서 상기 제1액추에이터(311) 내지 제4액추에이터(314)가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모서리와 인접한 위치에만 설치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중앙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무리가 클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높이조절부(300)를 이루는 액추에이터(310)가 4개, 5개 및 6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개수로 설치되는 것이라 설명하고 있으나, 실시 환경에 따라, 상기 프레임부(100) 및 플레이트부(200)의 면적이 더욱 커져서 상기 액추에이터(310)가 6개로 배치되어도 하중의 지지가 어려울 경우 더욱 증가되어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부(300)에는 상기 프레임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액추에이터(310)에 의해 높이가 조절된 플레이트부(200)의 하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댐퍼(35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350)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높이조절부(300)의 액추에이터(310)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300)에는 상기 프레임부(100)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액추에이터(310)에 의해 높이가 조절된 플레이트부(200)의 하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댐퍼(36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댐퍼(360)는 복수의 스프링이 하나로 모듈화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부(100)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높이조절부(300)의 액추에이터(310)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제1댐퍼(350) 및 제2댐퍼(360)는 실시 환경에 따라 스프링의 강도 또한 얼마든지 변경되어 적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의 센터보조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의 복원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7a 내지 도 8b에 따르면, 본 발명의 높이조절부(300)에는 상기 복수의 액추에이터(310)가 5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5액추에이터(315)에 의한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중앙 측 높이 조절을 보조하도록 구성되는 센터보조모듈(330)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센터보조모듈(330)은, 일단은 상기 프레임부(100)에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타단은 상기 플레이트부(200)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비교적 상기 타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돌출되는 연결부(331)에 상기 제5액추에이터(315)가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센터보조모듈(330)은,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중앙에서 가해지는 하중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상기 액추에이터(310)를 6개 배치하는 대신 5개 배치하면서 상기 플레이트부(200) 중앙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5액추에이터(315)의 높이조절을 보조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300)에는 일단은 상기 프레임부(100)에 설치되되 상기 액추에이터(310)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플레이트부(200)에 설치되되 상기 액추에이터(310)와 플레이트부(200)의 연결부 보다 외곽의 위치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복원모듈(34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복원모듈(340)은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프레임부(100)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플레이트부(200)에 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높이조절부(300)의 액추에이터(310)에 의한 높이 조절이 복원되는 과정에서 상기 액추에이터(310)에 의한 변형이 초기 형태로 복원되지 않았을 때에 상기 복원모듈(340)이 갖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복원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의 제어부 및 사용자단말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의 사용자단말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 9 내지 도 11에 따르면, 본 발명의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에는, 상기 높이조절부(300)의 액추에이터(310)를 제어하여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400) 및 상기 제어부(400)로 상기 액추에이터(310)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액추에이터(310)에 의한 플레이트부(20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단말부(5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에는, 신호가 송수신되도록 구성되는 본체통신모듈(410), 상기 본체통신모듈(410)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300)의 제어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처리모듈(420) 및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모듈(430)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단말부(500)에서 전송되는 신호가 상기 본체통신모듈(410)을 통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높이조절부(30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배터리모듈(430)이 포함되어 충전 후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시 전원 콘센트(Concentric plug)를 연결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을 방지하고 아울러 실내가 아닌 야외에서의 사용에 제약이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부(500)에는, 신호가 송수신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통신모듈(510) 및 터치, 버튼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방식으로 구성되는 입력모듈(520)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단말부(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모듈(520)을 통해 상기 높이조절부(30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사용자통신모듈(510)을 통해 상기 신호를 전송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높이조절부(300)를 제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상기 높이조절부(300) 및 제어부(400)와 접촉하지 않아도 상기 사용자단말부(500)를 통해 무선으로 상기 높이조절부(30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실내가 아닌 야외에서도 간편하게 본 발명의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400)에는 상기 처리모듈(420)에 의해 신호 처리되어 높이가 조절된 플레이트부(200)의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감지모듈(440)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감지모듈(440)에 의해 감지되는 플레이트부(200)의 상태를 현플레이트정보로 가공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단말부(500)는 상기 제어부(400)에서 전송되는 현플레이트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부(500)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40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높이조절부(300)를 제어하여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높이가 조절된 플레이트부(200)의 현재 상태가 상기 감지모듈(440)에 의해 감지되고 상기 제어부(400)에 의해 현플레이트정보로 가공되어 상기 사용자단말부(500)로 전송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부(500)의 디스플레이모듈(530)을 통해 상기 현플레이트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이조절부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탄성 소재로 구성되는 플레이트부의 평면 형상이 가변되어 곡면의 형상이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굴곡진 지형으로 이루어지는 야외 연습장의 페어웨이 및 러프의 지형 환경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0 : 프레임부
110 : 제1수평프레임 120 : 제2수평프레임
130 : 수직프레임
200 : 플레이트부
300 : 높이조절부
310 : 액추에이터 320 : 피스톤
330 : 센터보조모듈 331 : 연결부
340 : 복원모듈 350 : 제1댐퍼
360 : 제2댐퍼
400 : 제어부
410 : 본체통신모듈 420 : 처리모듈
430 : 배터리모듈 440 : 감지모듈
500 : 사용자단말부
510 : 사용자통신모듈 520 : 입력모듈
530 : 사용자디스플레이모듈

Claims (10)

  1. 프레임부(100);
    상기 프레임부(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평면 사각 형상의 플레이트부(200); 및
    상기 프레임부(100)에 설치되되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어 개별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액추에이터(310)로 구성되는 높이조절부(300);
    가 포함되고,
    상기 플레이트부(200)는,
    탄성에 의해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복수의 액추에이터(310)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평면 형상이 가변되어 곡면의 형상이 구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높이조절부(300)에는,
    일단은 상기 프레임부(100)에 설치되되 상기 액추에이터(310)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플레이트부(200)에 설치되되 상기 액추에이터(310)와 플레이트부(200)의 연결부 보다 외곽의 위치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복원모듈(340);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310)는,
    상기 프레임부(100)에 대해 예각의 각도를 갖는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부(100) 및 플레이트부(200)에 대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높이 조절 시, 상기 예각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피스톤(320)이 인출 및 인입되어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300)는,
    상기 복수의 액추에이터(310)가 4개로 구성되는 경우, 제1액추에이터(311) 내지 제4액추에이터(314)가 각각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모서리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액추에이터(310)가 5개로 구성되는 경우, 제1액추에이터(311) 내지 제4액추에이터(314)는 각각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모서리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제5액추에이터(315)는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중앙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액추에이터(310)가 6개로 구성되는 경우, 제1액추에이터(311) 내지 제4액추에이터(314)는 각각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모서리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제5액추에이터(315)는 상기 제1액추에이터(311)와 제2액추에이터(312)의 사이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제6액추에이터(316)는 상기 제5액추에이터(315)와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300)에는,
    상기 복수의 액추에이터(310)가 5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5액추에이터(315)에 의한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중앙 측 높이 조절을 보조하도록 구성되는 센터보조모듈(330)이 포함되며,
    상기 센터보조모듈(330)은,
    일단은 상기 프레임부(100)에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타단은 상기 플레이트부(200)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비교적 상기 타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돌출되는 연결부(331)에 상기 제5액추에이터(315)가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300)에는,
    상기 프레임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액추에이터(310)에 의해 높이가 조절된 플레이트부(200)의 하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댐퍼(35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300)에는,
    상기 프레임부(100)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액추에이터(310)에 의해 높이가 조절된 플레이트부(200)의 하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댐퍼(36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300)의 액추에이터(310)를 제어하여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400)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400)로 상기 액추에이터(310)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액추에이터(310)에 의한 플레이트부(20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단말부(5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에는,
    신호가 송수신되도록 구성되는 본체통신모듈(410);
    상기 본체통신모듈(410)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300)의 제어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처리모듈(420); 및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모듈(430);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에는,
    상기 처리모듈(420)에 의해 신호 처리되어 높이가 조절된 플레이트부(200)의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감지모듈(440)이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감지모듈(440)에 의해 감지되는 플레이트부(200)의 상태를 현플레이트정보로 가공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단말부(500)는,
    상기 제어부(400)에서 전송되는 현플레이트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
KR1020210071374A 2021-03-16 2021-06-02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 KR102482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550,648 US20240139603A1 (en) 2021-03-16 2022-03-14 Golf plate apparatus provided with height adjuster
PCT/KR2022/003548 WO2022197046A1 (ko) 2021-03-16 2022-03-14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
JP2023557079A JP2024511031A (ja) 2021-03-16 2022-03-14 高さ調節部付きのゴルフプレート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34276 2021-03-16
KR1020210034276 2021-03-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428A KR20220129428A (ko) 2022-09-23
KR102482496B1 true KR102482496B1 (ko) 2022-12-29

Family

ID=83445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374A KR102482496B1 (ko) 2021-03-16 2021-06-02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49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710B1 (ko) * 2020-06-15 2021-03-05 이명직 확장 가능한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7562A (ko) * 2008-05-09 2009-11-12 (주) 골프존 직립의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골프 연습기용 플레이트
KR20090130485A (ko) * 2008-06-16 2009-12-24 이원봉 경사조절이 가능한 다축 골프 플레이트
KR20170001318A (ko) 2015-06-26 2017-01-04 주식회사 에스지골프 실내골프장 스윙플레이트 각도 조절장치
KR101839752B1 (ko) * 2016-06-10 2018-03-19 송미자 골프연습장치
KR20190036797A (ko) * 2017-09-28 2019-04-05 장윤재 퍼팅 연습 매트 및 퍼팅 연습 매트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단말
KR102518718B1 (ko) * 2018-08-10 2023-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710B1 (ko) * 2020-06-15 2021-03-05 이명직 확장 가능한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428A (ko) 2022-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7707B1 (ko) 골프 타석의 경사 조절장치
KR102482496B1 (ko)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
KR20170072097A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연습장용 스윙 플레이트
KR100657549B1 (ko) 골프 연습용 받침대
KR102127693B1 (ko) 각도 조절형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101041493B1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기
US20240139603A1 (en) Golf plate apparatus provided with height adjuster
KR20240037138A (ko) 구동모듈이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
KR20110022976A (ko) 경사 조절이 가능한 골프스윙 연습장치
KR102446316B1 (ko) 가변형 골프 퍼팅 연습매트
KR20220000789A (ko) 리얼라이 구현 플레이트
KR102253311B1 (ko) 경사면 골프퍼팅 연습기
KR100946011B1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연습기
US20050049070A1 (en) Golf putting practice apparatus
US20060160635A1 (en) Training apparatus for golf swing
KR100713658B1 (ko) 경사 조절이 가능한 실내 골프 연습기
KR101492766B1 (ko) 골프퍼팅 연습장치
US10065081B1 (en) Object positioning system
KR102154831B1 (ko) 지형 변화부가 구비된 골프 스크린 장치
KR100946012B1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연습기
KR20210150245A (ko) 리얼라이 구현 플레이트
KR101857329B1 (ko) 스크류 방식을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터용 스윙 플레이트
KR20010025627A (ko) 골프연습기
KR102366710B1 (ko) 골프 클럽의 디보트 감지를 통한 자세 교정시스템
KR102563940B1 (ko) 대형 골프 퍼팅 연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