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900B1 - 스마트 그늘막 - Google Patents

스마트 그늘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900B1
KR102481900B1 KR1020220045881A KR20220045881A KR102481900B1 KR 102481900 B1 KR102481900 B1 KR 102481900B1 KR 1020220045881 A KR1020220045881 A KR 1020220045881A KR 20220045881 A KR20220045881 A KR 20220045881A KR 102481900 B1 KR102481900 B1 KR 102481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base plate
connection support
pai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운
김순하
Original Assignee
최종운
(주)신우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운, (주)신우이엔지 filed Critical 최종운
Priority to KR1020220045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9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44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mechanisms for unrolling or balancing the blind
    • E04F10/0659Control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그늘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양막 본체가 각도 조절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스마트 그늘막의 설치 위치 및 환경에 따라 차양막 본체의 최적 기울기 또는 각도로 설치 또는 변경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그늘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스마트 그늘막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스마트 그늘막에 있어서,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기둥; 상기 기둥 상측에 배치되는 차양막 본체; 상기 차양막 본체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고정 배치되는 연결지지블록; 상기 기둥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연결지지블록이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각도조절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그늘막{smart shade}
본 발명은 스마트 그늘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양막 본체가 각도 조절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스마트 그늘막의 설치 위치 및 환경에 따라 차양막 본체의 최적 기울기 또는 각도로 설치 또는 변경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그늘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시설물의 건널목이나 도로의 교차로 등에는 사람들이 도로를 지나갈 수 있도록 횡단보도가 설치되고, 이러한 횡단보도에는 보행 중 안전사고 등을 방지하기 위해 보행자에게 통행 가능 시점을 제공하는 보행자 신호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신호등의 신호체계를 살펴보면, 보행신호와 대기신호는 각각 녹색과 적색으로 표시된다. 보행자는 신호등이 적색등으로 점등될 때에는 보행자 안전구역에 대기하고, 신호등이 적색등에서 녹색등으로 전환될 때에는 횡단보도를 건너게 된다.
이처럼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너기 위해서는 신호등의 녹색등이 점등될 때까지 보행자 안전구역에서 대기해야 한다. 이로 인해 보행자는 보행자 신호 대기 중에 비나 눈이 내리는 경우 비나 눈을 피하지 못하고 그대로 맞을 수 밖에 없고, 주간에는 강렬한 햇빛을 피할 수 없어 자외선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각 지자체에서 파라솔 형태의 그늘막을 설치 운용하고 있다. 현재 설치 운용되고 있는 파라솔 그늘막은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지주의 상단에서 개폐막 설치대가 수평방향으로 절곡 설치되고, 개폐막 설치대의 선단에 방사상으로 펼쳐지는 차양막을 매달아 지주의 적당한 높이에 개폐수단을 설치하여 관리자가 개폐수단을 수동으로 작동시켜 파라솔처럼 차양막을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현재 설치 운용되고 있는 파라솔 그늘막은 차양 기능 이외에 보행자에게 다양한 편의성과 안전성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시로코팬을 통해 보행자에게 시원한 바람을 제공하고, 더 나아가 태양광 발전을 통해 전원을 자체 생산하여 동작하고, 풍속을 감지하는 풍속센서와 외기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콘트롤 판넬를 통해 풍속이나 온도에 따라 한 쌍의 폴딩암을 제어하여 차양막을 개폐시키는 스마트 횡단보도 그늘막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이에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58879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함)는 온도나 습도, 풍속, 풍향 등의 날씨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또는 수동 조작시 제어부를 통해 자동으로 그늘막의 전기 구동에 의한 전개 또는 접이 작동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전개 또는 접이를 위한 인력의 소모가 없게 하며, 이에 따른 유지 관리가 매우 편리하게 하기 위한 기상정보에 따라 연동되는 스마트 전동 그늘막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그늘막을 전기 구동하기 위하여 복잡한 구성을 채택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스마트 전동 그늘막을 설치하기 위한 필요 이상의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그늘막을 전기 구동하기 위하여 채택 적용되는 복잡한 구성요소들로 인하여 오히려 구조적으로 불안정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강풍에 의해 파손될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날씨 정보에 기반하여 그늘막의 개폐만이 가능할 뿐, 태양의 고도 또는 움직임에 대응하여 그늘막의 기울기 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그늘막 시스템의 설치 위치 또는 환경에 따라 그늘막의 최적 기울기 또는 각도로 설치 또는 변경이 어려운 단점을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58879호(공고일자 : 2021년 06월 01일, 발명의 명칭 : 기상정보에 따라 연동되는 스마트 전동 그늘막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차양막 본체가 각도 조절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스마트 그늘막의 설치 위치 및 환경에 따라 차양막 본체의 최적 기울기 또는 각도로 설치 또는 변경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그늘막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스마트 그늘막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스마트 그늘막에 있어서,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기둥; 상기 기둥 상측에 배치되는 차양막 본체; 상기 차양막 본체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고정 배치되는 연결지지블록; 상기 기둥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연결지지블록이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각도조절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지지블록은 상기 기둥이 사이에 개재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어 이격 배치되고, 상기 각도조절블록은 상기 기둥의 측면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지지블록이 연동되어 각도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각 연결지지블록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 양측에서 각각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차양막 본체의 하부면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는 중심홀과 양측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사이드홀을 구비하며, 상기 각도조절블록은, 상기 기둥의 양 측면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베이스판과, 상기 각 베이스판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는 통과홀과, 상기 각 베이스판의 양측 부분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장공과, 상기 한 쌍의 연결지지블록 중 일측의 연결지지블록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중심홀, 상기 한 쌍의 베이스판 중 일측 베이스판에 형성되는 통과홀, 상기 기둥에 형성되는 관통홀, 상기 한 쌍의 베이스판 중 타측 베이스판에 형성되는 통과홀, 상기 한 쌍의 연결지지블록 중 타측의 연결지지블록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중심홀에 순서대로 삽입 결합되는 중심볼트와, 상기 각 연결지지블록의 양측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사이드홀과 상기 각 베이스판의 양측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장공에 삽입 결합되는 각도조절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기둥과 상기 각 베이스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기둥과 각 베이스판이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판에 일측면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기둥에 타측면이 고정 결합되는 결합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해결 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스마트 그늘막에 의하면, 차양막 본체가 각도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스마트 그늘막의 설치 위치 및 환경에 따라 차양막 본체의 최적 기울기 또는 각도로 설치 또는 변경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발생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그늘막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그늘막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그늘막의 차양막 본체를 제외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그늘막의 차양막 본체를 제외한 상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그늘막을 구성하는 연결지지블록과 각도조절블록의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스마트 그늘막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동작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동작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그늘막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그늘막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그늘막의 차양막 본체를 제외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그늘막의 차양막 본체를 제외한 상태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그늘막을 구성하는 연결지지블록과 각도조절블록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그늘막(100)은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기둥(10), 상기 기둥(10) 상측에 배치되는 차양막 본체(30), 상기 차양막 본체(30)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고정 배치되는 연결지지블록(50) 및 상기 기둥(10)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연결지지블록(50)이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각도조절블록(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둥(10)은 지면에 고정 설치되되,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둥(10)은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둥(10)의 비어 있는 내부 공간을 통하여 필요한 배선이 배치될 수 있고, 관련 부품, 장비 등이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차양막 본체(30)는 상기 기둥(10) 상측에 배치되되, 각도 조절 가능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양막 본체(30)는 상기 연결지지블록(50)에 지지되어 연결되고, 상기 연결지지블록(50)이 상기 각도조절블록(70)을 통해 각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차양막 본체(30) 역시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차양막 본체(30)는 뜨거운 태양을 차단하여 하측으로 그늘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눈, 비, 바람 등을 막을 수 있도록 하며, 더 나아가 하측에 위치하는 사람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차양막 본체(30)는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차양막 본체(30)는 상기 연결지지블록(50)이 상기 각도조절블록(70)에 대해 각도조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연결지지블록(50)의 각도조절과 함께 역시 각도조절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차양막 본체(30)의 하부면에는 송풍팬, 히터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여름에는 상기 송풍팬을 가동하여 차양막 본체(30)의 하측에 위치하는 사람들을 시원하게 할 수 있고, 겨울에는 상기 히터를 가동하여 차양막 본체(30)의 하측에 위치하는 사람들을 따뜻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양막 본체(3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열차단 필름 등의 열차단 기능층이 형성되어 상기 차양막 본체(30)의 하측에 위치하는 사람들에게 태양광의 전달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열차단 기능층은 상기 차양막 본체(30)의 내부에 삽입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차양막 본체(30)는 상기 기둥(10)에 직접 고정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연결지지블록(50)을 통해 상기 각도조절블록(70)을 매개하여 상기 기둥(10)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지지블록(50)은 상기 차양막 본체(30)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고정 배치된다. 즉, 상기 연결지지블록(50)의 상부는 상기 차양막 본체(30)의 하부면에 용접을 통해 단단히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차양막 본체(30)는 상기 연결지지블록(50)에 의해 고정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지지블록(50)은 상부를 통해 상기 차양막 본체(30)를 고정 지지하고, 하부를 통해 상기 각도조절블록(70)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연결지지블록(50)의 하부는 상기 각도조절블록(70)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각도조절블록(70)은 상기 기둥(10)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연결지지블록(50)이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즉, 상기 각도조절블록(70)은 상기 기둥(10)에 용접을 통해 고정 결합되되, 상기 연결지지블록(50)이 각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연결지지블록(50)은 하부가 상기 각도조절블록(70)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부가 상기 차양막 본체(30)의 하부면에 고정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지지블록(50)이 각도조절블록(70)에 각도 조절됨에 따라 상기 차양막 본체(30) 역시 각도 조절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연결지지블록(50)은 상기 각도조절블록(70)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도조절블록(70)에 용이하게 각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지지블록(50)은 상기 기둥(10)이 사이에 개재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어 이격 배치되고, 상기 각도조절블록(70)은 상기 기둥(10)의 측면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지지블록(50)이 연동되어 각도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지지블록(50)은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되, 상기 기둥(10)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도록 이격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연결지지블록(50)은 상기 각도조절블록(70)에 의해 연동되어 각도 조절되고, 특정 각도 또는 기울기로 조절된 후 견고하게 고정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각도조절블록(70)은 상기 기둥(10)의 측면에 용접을 통해 고정 결합되고, 상기 기둥(10)의 양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상기 한 쌍의 연결지지블록(50)이 연동되어 각도 및 기울기가 조절된 후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한 쌍의 연결지지블록(50)과 상기 한 쌍의 연결지지블록(50)이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각도조절블록(70)의 구체적인 구성과 연결 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기둥(10)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연결지지블록(50)을 구성하는 각 연결지지블록(50)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부(51)와 상기 연결부(51) 양측에서 각각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차양막 본체(30)의 하부면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부(55)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51)는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는 중심홀(52)과 양측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사이드홀(53)을 구비한다.
상기 차양막 본체(30)는 상호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연결지지블록(50)에 의해 지지되고, 더 나아가 각 연결지지블록(50)을 구성하는 한 쌍의 지지부(55)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안정적이고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각 연결지지블록(50)의 연결부(51)는 상기 각도조절블록(70)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에 해당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부(51)에는 후술할 중심볼트(77)가 삽입되는 중심홀(52)과 후술할 각도조절볼트(75)가 삽입되는 사이드홀(53)이 형성된다.
상기 중심홀(52)은 상기 중심볼트(77)가 삽입되기 위한 형상, 즉 단면이 원형을 가지면서 상기 연결부(51)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는 반면, 상기 사이드홀(53)은 상기 연결부(51)의 양측 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볼트(75)가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이 원형을 가진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지지블록(50)을 구성하는 각 연결부(51)는 상기 각도조절블록(70)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고, 특정 각도 또는 기울기로 조절된 후에는 견고하고 고정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각도조절블록(70)은, 상기 기둥(10)의 양 측면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베이스판(71)과, 상기 각 베이스판(71)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는 통과홀(72)과, 상기 각 베이스판(71) 양측 부분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장공(73)과, 상기 한 쌍의 연결지지블록(50) 중 일측의 연결지지블록(50)의 연결부(51)에 형성되는 중심홀(52), 상기 한 쌍의 베이스판(71) 중 일측 베이스판(71)에 형성되는 통과홀(72), 상기 기둥에 형성되는 관통홀(11), 상기 한 쌍의 베이스판(71) 중 타측 베이스판(71)에 형성되는 통과홀(72), 상기 한 쌍의 연결지지블록(50) 중 타측의 연결지지블록(50)의 연결부(51)에 형성되는 중심홀(52)에 순서대로 삽입 결합되는 중심볼트(77)와, 상기 각 연결지지블록(50)의 양측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사이드홀(53)과 상기 각 베이스판(71)의 양측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장공(73)에 삽입 결합되는 각도조절볼트(7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베이스판(71)은 상기 기둥(10)의 양 측면에 각각 고정 결합된다. 즉, 상기 한 쌍의 베이스판(71)은 상기 기둥(1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일측 베이스판(71)과 상기 기둥(10)의 타측에 고정 결합되는 타측 베이스판(71)으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 베이스판(71)과 타측 베이스판(71)은 사이에 상기 기둥(10)을 개재한 상태로 이격되어 마주보고 배치된다.
상기 일측 베이스판(71)은 상기 한 쌍의 연결지지블록(50) 중, 상기 기둥(10)의 일측에 배치되는 일측 연결지지블록(50)을 구성하는 연결부(51)가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타측 베이스판(71)은 상기 한 쌍의 연결지지블록(50) 중, 상기 기둥(10)의 타측에 배치되는 타측 연결지지블록(50)을 구성하는 연결부(51)가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각 베이스판, 즉 상기 일측 베이스판(71)과 타측 베이스판(71)의 가운데 부분에는 통과홀(72)이 형성된다. 상기 통과홀(72)은 상기 연결부(51)에 형성되는 중심홀(52)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중심볼트(77)가 삽입되도록 단면이 원형 형상을 가진다.
상기 각 베이스판, 즉 상기 일측 베이스판(71)과 타측 베이스판(71)의 양측 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장공(73)이 형성된다. 상기 장공(73)은 상하 방향으로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측 베이스판(71)과 타측 베이스판(71)의 양측 중, 일측에는 "( " 형상의 장공(73)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 베이스판(71)과 타측 베이스판(71)의 양측 중, 타측에는 " )" 형상의 장공(73)이 형성된다.
상기 장공(73)은 상기 연결부(71)에 형성되는 사이드홀(53)에 대응되어 형성되지만 단면이 원형 형상이 아니라, 호 형상이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장공(73)에는 상기 사이드홀(53)과 함께 상기 각도조절볼트(75)가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볼트(75)가 상기 연결부(71)의 사이드홀(53)과 상기 베이스판(71)의 장공(73)에 삽입되어 결합되되, 상기 장공(73)을 따라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51), 좀 더 구체적으로 연결지지블록(50)을 원하는 각도 또는 기울기로 조절한 후 상기 베이스판(71)에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71)는 가운데 부분을 회동축으로 하여 양측 부분이 상하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판(71)에 연결된다. 즉, 상기 중심볼트(77)를 통해 상기 연결부(51)의 가운데 부분과 상기 베이스판(71)의 가운데 부분을 삽입 연결하면 상기 연결부(51)는 가운데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연결부(51)의 가운데 부분을 회동축으로 하여 양측 중 일측이 하강하면 타측이 상승하고, 일측이 상승하면 타측이 하강하는 회동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이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중심볼트(77)가 삽입 연결될 수 있는 중심홀(52)이 상기 각 연결지지블록(50)의 연결부(51)에 형성되고, 통과홀(72)이 상기 각 베이스판(71)에 형성되며, 상기 기둥(10)에 관통홀(11)이 형성된다.
상기 중심볼트(77)는 상기 한 쌍의 연결지지블록(50) 중 일측의 연결지지블록(50)의 연결부(51)에 형성되는 중심홀(52), 상기 한 쌍의 베이스판(71) 중 일측 베이스판(71)에 형성되는 통과홀(72), 상기 기둥(10)에 형성되는 관통홀(11), 상기 한 쌍의 베이스판(71) 중 타측 베이스판(71)에 형성되는 통과홀(72), 상기 한 쌍의 연결지지블록(50) 중 타측의 연결지지블록(50)의 연결부(51)에 형성되는 중심홀(52)에 순서대로 삽입 결합된다.
상기 중심볼트(77)가 상기 일측의 연결지지블록(50)의 연결부(51)에 형성되는 중심홀(52)에서 상기 타측의 연결지지블록(50)의 연결부(51)에 형성되는 중심홀(52)로 삽입된 후 중심너트(78)에 의해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중심볼트(77)와 상기 중심너트(78)를 강하게 조여서 체결하면, 상기 한 쌍의 연결부(51),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연결지지블록(50)은 각각 대응하는 베이스판(71)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상기 중심볼트(77)와 상기 중심너트(78)의 체결을 느슨하게 풀면, 상기 한 쌍의 연결부(51),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연결지지블록(50)은 각각 대응하는 베이스판(71)에 대해서 상기 중심볼트(77)를 회동축으로 하여 양측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동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연결지지블록(50)의 각도 또는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각도조절볼트(75)를 상기 각 연결지지블록(50), 구체적으로 각 연결부(5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사이드홀(53)과 상기 대응하는 베이스판(71)의 양측 부분에 형성된 각 장공(73)에 삽입 체결한다.
즉, 상기 각도조절볼트(75)는 상기 각 연결지지블록(50), 구체적으로 각 연결부(51)의 양측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사이드홀(53)과 상기 각 베이스판(71)의 양측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장공(73)에 삽입 결합된다. 상기 사이드홀(53)과 상기 장공(73)의 소정 위치에 삽입된 상태의 각도조절볼트(75)는 각도조절너트(76)로 체결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51)의 양측 부분에 형성된 각 사이드홀(53)에서 상기 베이스판(71)의 양측 부분에 형성되는 장공(73)으로 상기 각도조절볼트(75)를 삽입한 후, 상기 연결부(51),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지지블록(50)을 원하는 각도 또는 기울기로 조정한 후, 상기 각도조절볼트(75)의 끝단을 상기 각도조절너트(76)로 강하게 체결 고정한다. 그런 후, 상기 중심볼트(77)와 상기 중심너트(78) 역시 강하게 체결 고정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한 쌍의 연결지지블록(50)은 원하는 각도 또는 기울기로 조정된 상태로 상기 대응하는 베이스판(71)에 강하게 고정 결합된다. 이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연결지지블록(50)에 의해 지지 고정되는 차양막 본체(30)가 원하는 각도 또는 기울기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베이스판(71)은 각각 상기 기둥(10)에 견고하고 안정하게 고정 결합될 필요가 있고, 상기 각도조절볼트(75)와 상기 각도조절너트(76)의 체결 및 체결 해제가 용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늘막(100)은 상기 기둥(10)과 상기 각 베이스판(71)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기둥(10)과 각 베이스판(71)이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판(71)에 일측면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기둥(10)에 타측면이 고정 결합되는 결합블록(79)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블록(79)은 타측면이 상기 기둥(10)에 용접을 통해 견고하고 단단하게 결합되고, 일측면이 상기 베이스판(71)에 용접을 통해 견고하고 단단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블록(79)을 통해 상기 기둥(10)과 상기 베이스판(71)을 고정 결합하는 것은 상기 베이스판(71)을 상기 기둥(10)에 직접 고정 결합하는 것보다 더 견고하고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결합블록(79)이 상기 기둥(10)과 베이스판(71) 사이에 개재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판(71)이 상기 기둥(1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기둥(10)과 상기 베이스판(71)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각도조절볼트(75)의 끝단에 각도조절너트(76)를 체결하고 푸는 과정을 좀 더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그늘막(100)은 쉼터 또는 대기 공간으로 활용되기 때문에, 벤치(91)와 테이블(93)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벤치(91)는 상기 기둥(10)의 주변을 따라 지면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테이블(93)은 상기 벤치(91) 상측에 설치되되, 상기 기둥(10)의 주변을 따라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둥(10)에는 사람들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충전포트(9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둥(10)의 내부 공간에는 배선, 다양한 부품 및 장비 등이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기둥(10)에 상기 충전포트(95)를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람들은 휴대폰 등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기둥 11 : 관통홀
30 : 차양막 본체
50 : 연결지지블록 51 : 연결부
52 : 중심홀 53 : 사이드홀
55 : 지지부
70 : 각도조절블록 71 : 베이스판
72 : 통과홀 73 : 장공
75 : 각도조절볼트 76 : 각도조절너트
77 : 중심볼트 78 : 중심너트
79 : 결합블록
91 : 벤치 93 : 테이블
95 : 충전포트 100 : 스마트 그늘막

Claims (4)

  1. 스마트 그늘막에 있어서,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기둥; 상기 기둥 상측에 배치되는 차양막 본체; 상기 차양막 본체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고정 배치되는 연결지지블록; 상기 기둥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연결지지블록이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각도조절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지지블록은 상기 기둥이 사이에 개재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어 이격 배치되고, 상기 각도조절블록은 상기 기둥의 측면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지지블록이 연동되어 각도 조절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연결지지블록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 양측에서 각각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차양막 본체의 하부면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는 중심홀과 양측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사이드홀을 구비하고,
    상기 각도조절블록은, 상기 기둥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일측 베이스판과 상기 기둥의 타측에 고정 결합되는 타측 베이스판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베이스판과, 상기 각 베이스판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는 통과홀과, 상기 각 베이스판의 양측 부분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장공과, 상기 한 쌍의 연결지지블록 중 일측의 연결지지블록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중심홀, 상기 한 쌍의 베이스판 중 일측 베이스판에 형성되는 통과홀, 상기 기둥에 형성되는 관통홀, 상기 한 쌍의 베이스판 중 타측 베이스판에 형성되는 통과홀, 상기 한 쌍의 연결지지블록 중 타측의 연결지지블록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중심홀에 순서대로 삽입 결합되는 중심볼트와, 상기 각 연결지지블록의 양측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사이드홀과 상기 각 베이스판의 양측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장공에 삽입 결합되는 각도조절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일측 베이스판과 타측 베이스판은 사이에 상기 기둥이 개재된 상태가 되도록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일측 베이스판은 상기 한 쌍의 연결지지블록 중, 상기 기둥의 일측에 배치되는 일측 연결지지블록을 구성하는 연결부가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타측 베이스판은 상기 한 쌍의 연결지지블록 중, 상기 기둥의 타측에 배치되는 타측 연결지지블록을 구성하는 연결부가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기둥과 상기 각 베이스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기둥과 각 베이스판이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판에 일측면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기둥에 타측면이 고정 결합되는 결합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늘막.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20045881A 2022-04-13 2022-04-13 스마트 그늘막 KR102481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881A KR102481900B1 (ko) 2022-04-13 2022-04-13 스마트 그늘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881A KR102481900B1 (ko) 2022-04-13 2022-04-13 스마트 그늘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900B1 true KR102481900B1 (ko) 2022-12-27

Family

ID=84568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881A KR102481900B1 (ko) 2022-04-13 2022-04-13 스마트 그늘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9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687B1 (ko) * 2004-04-30 200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용 루프바이저의 각도조절장치
KR100960572B1 (ko) * 2009-11-24 2010-06-03 유한회사 이티아이 전주
KR102258879B1 (ko) 2020-10-20 2021-06-01 주식회사 청우산업 기상정보에 따라 연동되는 스마트 전동 그늘막 시스템
KR102360229B1 (ko) * 2021-07-05 2022-02-09 주식회사 유퍼니 스마트 그늘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합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687B1 (ko) * 2004-04-30 200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용 루프바이저의 각도조절장치
KR100960572B1 (ko) * 2009-11-24 2010-06-03 유한회사 이티아이 전주
KR102258879B1 (ko) 2020-10-20 2021-06-01 주식회사 청우산업 기상정보에 따라 연동되는 스마트 전동 그늘막 시스템
KR102360229B1 (ko) * 2021-07-05 2022-02-09 주식회사 유퍼니 스마트 그늘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합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1202B1 (ko) 스마트 횡단보도 그늘막
US9038298B2 (en) Safety sign system
WO2021093382A1 (zh) 一种装配式可移动光敏调节快速拆建太阳能仿生景观亭
EP2499309B1 (en) Device for protecting door or window closure elements for roofs or the like against atmospheric precipitation
KR20150026425A (ko) 전동 접이식 어닝을 구비한 파고라
KR101945176B1 (ko) 횡단보도용 복엽 파라솔
KR102481900B1 (ko) 스마트 그늘막
KR101407657B1 (ko) 파라솔
KR100414807B1 (ko) 도로교통신호 시설물
WO2008012636A2 (en) Collapsible shelter suitable for a vehicle
KR101856494B1 (ko) 횡단보도용 쉘터
KR200386284Y1 (ko) 차양막 장력조절구조를 갖는 대형 천막조형물
WO2022257290A1 (zh) 一种带有通讯广播的市政路灯
KR102055787B1 (ko) 다축 회동 어닝
KR102323246B1 (ko) 스마트 그늘막 시스템
CN107859366B (zh) 一种基于物联网的用于指挥交通系统的智能型站岗台
CN109083453A (zh) 一种红绿灯路口便于拆卸的遮雨棚
KR102264333B1 (ko) 안전난간장치
KR102142973B1 (ko) 횡단보도용 그늘막
KR102178362B1 (ko) 횡단보도용 접이식 파라솔
KR20190109698A (ko) 태양광 가로등주
KR102153556B1 (ko) 횡단보도용 접이식 차양막 기구
ES2345078B1 (es) Estructura para seguidor solar y procedimiento de instalacion.
KR20210110051A (ko) 태양광 모듈 그늘막
KR20210048248A (ko) 이동 및 고정식 쉼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