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674B1 - 로터리 압축기 - Google Patents

로터리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674B1
KR102481674B1 KR1020210081884A KR20210081884A KR102481674B1 KR 102481674 B1 KR102481674 B1 KR 102481674B1 KR 1020210081884 A KR1020210081884 A KR 1020210081884A KR 20210081884 A KR20210081884 A KR 20210081884A KR 102481674 B1 KR102481674 B1 KR 102481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
elastic part
partition wall
rotary compresso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1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상민
이진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1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674B1/ko
Priority to US17/722,526 priority patent/US11655817B2/en
Priority to CN202210430195.8A priority patent/CN115507026A/zh
Priority to EP22171492.6A priority patent/EP410892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04C18/356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one line or continuous surface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 F04C18/356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one line or continuous surface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the surfaces of the inner and outer member, forming the working space, being surfaces of revol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2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1C1/00 - F01C20/00
    • F01C21/08Rotary pistons
    • F01C21/0809Construction of vanes or vane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2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1C1/00 - F01C20/00
    • F01C21/10Outer members for co-operation with rotary pistons; Casings
    • F01C21/104Stators; Members defining the outer boundaries of the working chamber
    • F01C21/106Stators; Members defining the outer boundaries of the working chamber with a radial surface, e.g. cam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both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2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both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hinged to the inner member and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1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similar working princip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7/00Sealing arrangements in 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7/008Sealing arrangements in 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for other than working fluid, i.e. the sealing arrangements are not between working chambers of the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04C18/356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one line or continuous surface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10St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는, 실린더에는 베인이 미끄러지게 삽입되는 베인슬롯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베인슬롯의 원주방향 일측에는 격벽을 사이에 두고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격벽에는, 양쪽 원주방향 측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의 원주방향 측면 또는 양쪽 원주방향 측면 사이에서 관통되거나 함몰된 탄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격벽의 탄성변형률이 증가되어 베인슬롯과 베인 사이의 마찰손실이 감소되고, 격벽의 축방향 측면에 실링거리가 확보되어 베인슬롯과 흡입구 사이에서의 냉매누설을 억제하며, 격벽을 이루는 베인슬롯의 내측면에 탄성부가 형성되어 베인과 베인슬롯 사이에 오일보유량 또는 냉매보유량이 증가하면서 윤활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로터리 압축기{ROTARY COMPRESSOR}
본 발명은 로터리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입구와 베인슬롯 사이에 구비되는 격벽에 관한 것이다.
로터리 압축기는 실린더의 압축공간에서 선회운동을 하는 롤러와, 그 롤러의 외주면에 접하거나 결합되어 실린더의 압축공간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베인을 이용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방식이다. 베인을 중심으로 압축공간은 흡입구와 연통되는 흡입실과 토출구와 연통되는 토출실로 구분될 수 있다.
로터리 압축기는 롤러와 베인의 결합 여부에 따라 회전롤러 방식과 힌지베인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회전롤러 방식은 특허문헌 1(일본실용신안공개번호 제S60-063087호)과 같이 베인이 롤러의 외주면에 미끄러지게 접촉되는 방식이고, 힌지베인 방식은 특허문헌 2(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2-154235호)와 같이 베인이 롤러에 힌지 결합되는 방식이다.
로터리 압축기는 각각 실린더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절개된 베인슬롯이 형성되고, 베인슬롯을 기준으로 원주방향 일측에는 흡입구가, 타측에는 토출구 또는 토출구와 연통되는 토출안내홈이 각각 형성된다. 특히 베인슬롯과 흡입구의 사이에는 격벽이 구비되어 베인슬롯(또는 토출구)과 흡입구 사이가 분리된다.
로터리 압축기의 흡입구는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와 같이 실린더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특허문헌 3(중국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6785643호) 및 특허문헌 4(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4914호)와 같이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관통되되 내주측에서는 양쪽 축방향 측면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로터리 압축기는 베인이 롤러의 외주면에 접촉되거나 결합되어 압축공간을 흡입실과 토출실로 구획하고, 롤러는 회전축의 회전시 그 회전축의 편심부에 결합된 롤러가 선회운동을 하면서 냉매를 흡입실에서 토출실쪽으로 이동시켜 냉매를 압축하게 된다. 이때, 베인은 토출실의 압력부하에 의해 흡입실을 향해 원주방향(측면방향)으로 밀려나면서 그 베인의 흡입측면이 격벽을 이루는 베인슬롯의 원주방향 내측면에 압착되게 된다. 그러면 베인이 베인슬롯에 대해 원활하게 입출되지 못하면서 모터 입력의 상승을 초래하여 압축기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는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와 같이 흡입구가 반경방향으로 관통되는 경우에 더욱 크게 발생될 수 있다. 즉,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와 같은 경우는 흡입구가 반경방향으로 관통됨에 따라 흡입구의 주변이 연결된다. 그러면 흡입구와 베인슬롯 사이의 격벽이 적절한 탄성을 확보하지 못하게 되어 토출실의 압력부하를 적절하게 완충할 수 없게 된다. 그러면 베인이 베인슬롯의 내측면을 이루는 격벽에 과도하게 밀착되어 원활하게 왕복운동을 하지 못하면서 모터입력이 더욱 증가하게 될 수 있다.
특허문헌 3 및 특허문헌 4는 흡입구의 일부, 즉 축방향 측면이 개구됨에 따라 격벽이 실린더의 내주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러면 앞서 설명한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비해서는 격벽이 탄성력을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이들 특허문헌 3 및 특허문헌 4의 경우에도 격벽을 이루는 양쪽 원주방향 측면이 평평하게 형성됨에 따라 격벽의 폭이 증가하게 되어 탄성을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특허문헌 4의 경우는 격벽의 축방향 측면에 단차진 함몰부를 구비하는 기술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특허문헌 4의 함몰부는 그 깊이가 대략 0.1mm 정도여서 격벽의 높이에 비해서는 함몰부의 깊이가 턱없이 낮게 형성됨에 따라, 격벽의 굳기(rigidity)를 낮추고 압력부하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는데는 한계가 있다. 더군다나 특허문헌 4는 함몰부가 격벽의 축방향 측면에서 양쪽 원주방향 측면을 종단하여 형성됨에 따라 베인슬롯과 흡입구 사이에서의 실링거리를 확보하지 못하여 냉매누설이 발생될 수 있다.
일본실용신안공개번호 제S60-063087호(공개일: 1985.06.02.)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2-154235호(공개일: 2012.08.16) 중국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6785643호(공개일: 2017.12.2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4914호(공개일: 2010.04.02.)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인이 베인슬롯의 내측면에 과도하게 밀착되는 것을 개선하여 에너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베인슬롯의 내측면을 이루는 격벽의 탄성변형률을 높일 수 있는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격벽의 탄성변형률을 높이면서도 격벽의 파손 또는 손상되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격벽의 탄성력을 높이면서도 베인슬롯의 냉매나 오일이 흡입구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베인슬롯과 흡입구 사이에 적절한 실링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격벽의 탄성력을 높이면서도 베인슬롯과 베인 사이의 윤활성을 높일 수 있는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베인과 베인슬롯 사이에 냉매 또는 오일보유량을 확보할 수 있는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실린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베어링플레이트,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롤러,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베인을 포함한 로터리 압추기가 제공된다. 상기 실린더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플레이트는 상기 실린더의 축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롤러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각각 회전하거나 선회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베인은 상기 실린더에 각각 미끄러지게 삽입되고,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 각각 접촉되어 미끄러지거나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실린더는, 내주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인이 미끄러지게 삽입되는 베인슬롯이 구비되고, 내주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인슬롯의 원주방향 일측에 구비되는 흡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베인슬롯과 상기 흡입구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베인슬롯과 상기 흡입구 사이를 분리하는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에는, 양쪽 원주방향 측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의 원주방향 측면 또는 양쪽 원주방향 측면 사이에서 관통되거나 함몰된 탄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격벽의 탄성변형률이 증가되어 베인슬롯과 베인 사이의 마찰손실이 감소되고, 격벽의 축방향 측면에 실링거리가 확보되어 베인슬롯과 흡입구 사이에서의 냉매누설을 억제하며, 격벽을 이루는 베인슬롯의 내측면에 탄성부가 함몰지게 형성되어 베인과 베인슬롯 사이에 오일보유량 또는 냉매보유량이 증가하면서 윤활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탄성부는, 상기 격벽의 양쪽 원주방향 측면을 이루는 상기 베인슬롯의 내측면과 상기 흡입구의 내측면 중에서 적어도 한쪽 내측면에서 원주방향으로 기설정된 깊이만큼 함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부를 용이하게 가공하면서도 격벽의 탄성변형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탄성부가 베인슬롯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베인슬롯의 마찰면적을 줄여 베인과 베인슬롯 사이의 마찰손실을 줄일 수 있고, 탄성부가 흡입구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흡입면적이 확대되면서 압축개시시점이 앞당겨져 과압축으로 인한 압축손실을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는, 상기 격벽의 한쪽 원주방향 측면을 이루는 상기 베인슬롯의 내측면에서 상기 베인과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베인의 왕복운동시 그 베인이 탄성부에 걸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탄성부는, 상기 격벽의 양쪽 원주방향 측면을 이루는 상기 베인슬롯의 내측면과 상기 흡입구의 내측면에서 각각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축방향으로 관통되거나 함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부의 단면적을 넓게 형성하면서도 탄성부에 대한 가공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베인슬롯과 흡입구를 평평하게 형성할 수 있어 베인슬롯과 베인 사이에서의 면압을 낮출 수 있으며 흡입구에서의 난류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탄성부는, 상기 격벽의 양쪽 원주방향 측면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실링거리를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부의 단면적이 동일한 조건에서 그 탄성부의 양쪽 실링거리를 최대한으로 확보하여 베인슬롯과 흡입구 사이의 냉매누설을 억제하면서 격벽의 피로한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탄성부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탄성부는, 상기 격벽의 반경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부에 대한 이격거리를 확보하여 격벽의 신뢰성을 유지하면서도 격벽이 능동적으로 탄성변형되어 마찰손실을 더욱 낮출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격벽은 내주측 단면적이 외주측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실린더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탄성부의 단면적은 상기 실린더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탄성부의 단면적에 비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격벽이 곡선형태로 탄성변형되면서도 격벽의 원주방향 폭을 균일하게 확보하여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탄성부는,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동일한 폭을 가지며 반경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장방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부의 반경방향 길이가 길어지면서 격벽의 탄성변형률이 증가되어 베인슬롯과 베인 사이의 마찰손실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탄성부는, 상기 격벽의 양쪽 축방향 측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 축방향 측면에서 축방향으로 기설정된 깊이만큼 함몰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에는 상기 탄성부의 내측 단부가 축방향으로 막혀 미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부의 단면적을 넓혀 격벽의 탄성변형률을 높이면서도 격벽의 피로파괴(fatigue failure)를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의 축방향 깊이는 상기 미관통부의 축방향 길이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부의 단면적이 미관통부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면서도 격벽의 탄성변형률을 적절하게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는, 상기 격벽의 양쪽 축방향 측면에서 상기 미관통부의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격벽의 탄성변형시 축방향 변형률이 대략 동일하게 유지되어 격벽의 비틀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축방향을 따라 동일한 단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부를 용이하게 형성하는 동시에 격벽의 뒤틀림을 억제하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베인은, 상기 롤러의 반대쪽 단부의 양쪽 모서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 모서리에는 모따기된 마찰회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격벽의 탄성변형으로 인해 베인이 베인슬롯의 내측면에 과도하게 밀착되어 베인과 베인슬롯 사이에 면압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찰회피부는, 상기 격벽을 이루는 상기 베인슬롯의 내측면을 마주보는 흡입측 마찰회피부보다 그 반대쪽인 토출측 마찰회피부가 더 크게 라운드지거나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베인의 롤러측 단부가 격벽과 함께 흡입구쪽으로 휘어지더라도 베인의 롤러측 단부의 반대쪽 모서리가 베인슬롯의 토출측 내측면에 과도하게 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흡입구는,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기설정된 깊이만큼 함몰되고, 상기 실린더의 양쪽 축방향 측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 측면을 향해 개구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흡입구와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격벽의 탄성변형률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흡입면적이 확대되어 압축개시시점이 앞당겨지면서 과압축으로 인한 압축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구는,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는 이격부와, 상기 이격부의 외주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실린더의 중심에서 상기 연결부의 외주측 끝단까지를 반경으로 하는 가상원의 범위내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부의 실질적인 효과가 향상되어 격벽의 탄성변형률을 높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와 상기 격벽의 원주방향 측면을 이루는 상기 흡입구의 내측면 사이의 실링거리는, 상기 격벽의 내주측 길이보다는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격벽의 탄성변형률을 확보하면서도 격벽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인슬롯의 반경방향 외측단에는 공간부가 더 연장되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베인슬롯의 원주방향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공간부보다 반경방향으로 내측에서 상기 공간부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격벽이 공간부로부터 이격되어 격벽에 탄성변형부를 형성하면서도 격벽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공간부는, 상기 실린더의 양쪽 축방향 측면을 관통하는 축방향 공간부와,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서 상기 축방향 공간부의 내주면으로 연통되는 반경방향 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경방향 공간부는, 상기 베인슬롯의 반경방향 범위 밖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베인의 일단은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일체로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롤러와 베인이 결합된 힌지 방식에서 베인과 베인슬롯 사이에서의 마찰손실을 낮춤으로써 힌지 방식이 적용된 로터리 압축기에서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는 힌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의 일단에는 상기 힌지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힌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 실린더, 제1 롤러, 제1 베인, 제2 실린더, 제2 롤러, 제2 베인 및 중간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린더는 제1 압축실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압축실에 연통되어 제1 흡입관이 연결되는 제1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흡입구의 일측에는 제1 베인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제1 압축실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인은 상기 제1 베인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실린더에 미끄러지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롤러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실린더는 상기 제1 실린더의 축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압축실과 분리되는 제2 압축실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압축실에 연통되어 제2 흡입관이 연결되는 제2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흡입구의 일측에는 제2 베인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롤러는 상기 제2 압축실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베인은 상기 제2 베인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실린더에 미끄러지게 결합되며, 상기 제2 롤러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중간플레이트는 상기 제1 실린더와 제2 실린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압축실과 제2 압축실 사이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제1 흡입구와 상기 제1 베인슬롯의 사이에는 제1 격벽이 구비되며, 상기 제2 흡입구와 상기 제2 베인슬롯의 사이에는 제2 격벽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제2 격벽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함몰지거나 관통하여서 된 탄성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격벽 또는/및 제2 격벽의 탄성변형률이 증가되면서 각각의 베인이 각각의 베인슬롯의 내측면에 과도하게 밀착되는 것을 억제하여 압축기의 에너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흡입구와 제2 흡입구 중에서 적어도 한 쪽 흡입구는 내주면에서 함몰되고 양쪽 축방향 측면이 모두 개구된 슬롯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격벽 또는/및 제2 격벽이 일종의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각 격벽의 탄성변형률이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흡입면적이 확대되어 압축개시시점이 앞당겨져 과압축으로 인한 압축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는, 반경방향으로 상기 흡입구의 범위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격벽 또는/및 제2 격벽의 탄성변형률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는, 흡입구와 베인슬롯 사이를 분리하는 격벽에는 양쪽 원주방향 측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의 원주방향 측면 또는 양쪽 원주방향 측면 사이에서 관통되거나 함몰된 탄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격벽의 탄성변형률이 증가되어 베인슬롯과 베인 사이의 마찰손실이 감소되고, 격벽의 축방향 측면에 실링거리가 확보되어 베인슬롯과 흡입구 사이에서의 냉매누설을 억제하며, 격벽을 이루는 베인슬롯의 내측면에 탄성부가 함몰지게 형성되어 베인과 베인슬롯 사이에 오일보유량 또는 냉매보유량이 증가하면서 윤활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는, 격벽의 양쪽 원주방향 측면을 이루는 베인슬롯의 내측면과 흡입구의 내측면 중에서 적어도 한쪽 내측면에서 원주방향으로 기설정된 깊이만큼 함몰되는 탄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부를 용이하게 가공하면서도 격벽의 탄성변형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탄성부가 베인슬롯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베인슬롯의 마찰면적을 줄여 베인과 베인슬롯 사이의 마찰손실을 줄일 수 있고, 탄성부가 흡입구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흡입면적이 확대되면서 압축개시시점이 앞당겨져 과압축으로 인한 압축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는, 격벽의 한쪽 원주방향 측면을 이루는 베인슬롯의 내측면에 탄성부가 형성되되, 탄성부는 베인과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서 원주방향으로 함몰지게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베인의 왕복운동시 그 베인이 탄성부에 걸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는, 격벽의 양쪽 원주방향 측면을 이루는 베인슬롯의 내측면과 흡입구의 내측면에서 각각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탄성부가 축방향으로 관통되거나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부의 단면적을 넓게 형성하면서도 탄성부에 대한 가공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베인슬롯과 흡입구를 평평하게 형성할 수 있어 베인슬롯과 베인 사이에서의 면압을 낮출 수 있으며 흡입구에서의 난류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는, 복수 개의 탄성부가 격벽의 반경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부에 대한 이격거리를 확보하여 격벽의 신뢰성을 유지하면서도 격벽이 능동적으로 탄성변형되어 마찰손실을 더욱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는, 격벽의 양쪽 원주방향 측면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실링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격벽의 양쪽 원주방향 측면 사이에 탄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부의 단면적이 동일한 조건에서 그 탄성부의 양쪽 실링거리를 최대한으로 확보하여 베인슬롯과 흡입구 사이의 냉매누설을 억제하면서 격벽의 피로한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는, 격벽의 양쪽 축방향 측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 축방향 측면에서 축방향으로 기설정된 깊이만큼 함몰지게 탄성부가 형성되되, 탄성부의 내측 단부가 축방향으로 막혀 미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부의 단면적을 넓혀 격벽의 탄성변형률을 높이면서도 격벽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는, 탄성부는 격벽의 축방향을 따라 동일한 단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부를 용이하게 형성하는 동시에 격벽의 뒤틀림을 억제하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는, 탄성부는 격벽을 이루는 실린더의 양쪽 축방향 측면을 통과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부를 용이하게 형성하는 동시에 격벽의 뒤틀림을 억제하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는, 탄성부는 격벽을 이루는 실린더의 양쪽 축방향 측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 측면에서 기설정된 깊이만큼 함몰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부의 단면적을 넓혀 격벽의 탄성변형률을 높이면서도 격벽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는, 베인은 롤러의 반대쪽 단부의 양쪽 모서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 모서리에는 모따기된 마찰회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격벽의 탄성변형으로 인해 베인이 베인슬롯의 내측면에 과도하게 밀착되어 면압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는, 베인슬롯의 반경방향 외측단에는 베인슬롯의 폭보다 큰 공간부가 더 연장되고, 탄성부는 공간부보다 반경방향으로 내측에서 공간부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격벽이 공간부로부터 이격되어 격벽에 탄성변형부를 형성하면서도 격벽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는, 베인의 일단은 롤러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일체로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롤러와 베인이 결합된 힌지 방식에서 베인과 베인슬롯 사이에서의 마찰손실을 낮춤으로써 힌지 방식이 적용된 로터리 압축기에서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복식 로터리 압축기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압축부의 일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단면도,
도 5는 본 실시예의 탄성부가 구비된 격벽의 주변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본 실시예의 탄성부가 구비된 격벽의 탄성변형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보인 평면도,
도 8은 탄성부가 적용된 본 실시예의 복식 로터리 압축기를 탄성부가 비적용된 종래의 복식 로터리 압축기와 비교하여 보인 시험결과표,
도 9는 다른 실시예의 탄성부가 구비된 격벽의 주변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평면도,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의 탄성부가 구비된 격벽의 주변을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의 탄성부가 구비된 격벽의 주변을 보인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평면도,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의 탄성부가 구비된 격벽의 주변을 보인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평면도,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의 탄성부가 구비된 격벽의 주변을 보인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평면도,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의 탄성부가 구비된 격벽의 주변을 보인 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평면도,
도 21 및 도 22는 베인에 대한 다른 실시예들을 보인 평면도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로터리 압축기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통상, 로터리 압축기는 압축공간을 이루는 실린더가 한 개만 구비될 수 있고, 복수 개가 구비되어 축방향으로 적층될 수도 있다. 실린더가 한 개인 경우를 단식 로터리 압축기로, 복수 개인 경우를 복식 로터리 압축기로 정의할 수 있다.
단식 로터리 압축기의 경우는 한 개의 실린더에서 한 개의 압축공간을 형성하고, 복식 로터리 압축기의 경우는 두 개 이상의 실린더가 중간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각각의 실린더마다에 압축공간을 각각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복식 로터리 압축기는 각각의 실린더에 흡입관이 독립적으로 연통될 수도 있고, 중간플레이트에 한 개의 흡입관이 연통되어 상하 양쪽 실린더에 분배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실린더가 두 개인 복식 로터리 압축기에서 각각의 실린더에 흡입관이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실린더가 한 개인 단식 로터리 압축기는 물론 단일 흡입관으로 연결된 복식 로터리 압축기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복식 로터리 압축기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압축부의 일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식 로터리 압축기(이하, 로터리 압축기로 약칭한다)는, 케이싱(10)의 내부공간에는 전동부(20)가 설치되고, 전동부(20)의 하측에는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한 후 케이싱(10)의 내부공간(10a)으로 토출하는 압축부(30)가 설치된다. 전동부(20)와 압축부(30)는 회전축(23)에 의해 기구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10)은 원통쉘(11), 상부캡(12) 및 하부캡(13)을 포함한다. 원통쉘(11)은 상하 양단이 개구되고, 상부캡(12) 및 하부캡(13)은 원통쉘(11)의 상하 양단을 복개하여 케이싱(10)의 내부공간(10a)을 밀봉하게 된다.
원통쉘(11)의 하반부에는 어큐뮬레이터(40)의 출구측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흡입관(15a)(15b)이 결합되고, 상부캡(12)에는 응축기(미도시)의 입구측에 토출측 냉매관으로 연결되는 한 개의 토출관(16)이 결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흡입관(15a)(15b)은 원통쉘(11)을 각각 관통하여 후술할 제1 실린더(33)의 제1 흡입구(331)와 제2 실린더(34)의 제2 흡입구(341)에 직접 연결되고, 한 개의 토출관(16)은 상부캡(12)을 관통하여 케이싱(10)의 내부공간(10a)에 연통될 수 있다. 제1 실린더(33)의 제1 흡입구(331) 및 제2 실린더(34)의 제2 흡입구(341)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부(20)는 고정자(21), 회전자(22)를 포함한다.
고정자(21)는 케이싱(10)의 내부에 압입되어 고정되고, 회전자(22)는 고정자(21)의 내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회전자(22)의 중심에는 회전축(23)이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23)은 중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23)의 일단은 회전자(22)에 압입되도록 동일축으로 연장되고, 회전축(23)의 타탄은 후술할 제1 롤러(또는 제1 롤링피스톤)(361)와 제2 롤러(또는 제2 롤링피스톤)(371)가 각각 편심지게 결합되도록 제1 편심부(231)와 제2 편심부(23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편심부(231)와 제2 편심부(232)는 축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제1 편심부(231)와 제2 편심부(232)는 회전각(crank angle)을 기준으로 대략 180°의 위상차를 두고 편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부(30)는 메인베어링플레이트(이하, 메인베어링)(31), 서브베어링플레이트(이하, 서브베어링)(32), 제1 실린더(33), 제2 실린더(34) 중간플레이트(35), 제1 베인롤러(36) 및 제2 베인롤러(37)를 포함한다.
메인베어링(31)은 환형으로 형성되어 원통쉘(11)의 내주면에 고정 결합되고, 서브베어링(32)은 환형으로 형성되어 제1 실린더(33)와 제2 실린더(34) 그리고 중간플레이트(35)를 사이에 두고 메인베어링(31)에 볼트 체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서브베어링(32)이 원통쉘(11)에 고정되고, 메인베어링(31)이 서브베어링(32)에 체결되거나 또는 메인베어링(31)과 서브베어링(32)이 모두 원통쉘(11)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실린더(33)와 제2 실린더(34) 그리고 중간플레이트(35) 중에서 어느 한 개 이상의 부재가 원통쉘(11)에 고정되고 메인베어링(31)과 서브베어링(32)이 이들 부재에 체결되어 지지될 수도 있다.
메인베어링(31)과 서브베어링(32)은 회전축(23)을 지지하며, 제1 실린더(33)와 제2 실린더(34)는 중간플레이트(35)를 사이에 두고 양쪽 축방향에 각각 구비되어 메인베어링(31) 및 서브베어링(32)과 함께 압축공간(V1)(V2)을 형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부(30)는 복수 개의 실린더(33)(34) 중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실린더(33)의 상면에는 제1 압축공간(V1)을 형성하도록 메인베어링(31)이 구비되며,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실린더(34)의 하면에는 제2 압축공간(V2)을 형성하도록 서브베어링(32)이 구비된다.
메인베어링(31)에는 제1 압축공간(V1)에서 압축된 냉매를 토출하는 제1 토출구(311)가 형성되고, 제1 토출구(311)의 단부에는 그 제1 토출구(311)를 개폐하는 제1 토출밸브(312)가 설치된다. 메인베어링(31)의 상면에는 제1 토출공간(381a)을 가지는 제1 토출커버(381)가 설치된다.
서브베어링(32)에는 제2 압축공간(V2)에서 압축된 냉매를 토출하는 제2 토출구(321)가 형성되고, 제2 토출구(321)의 단부에는 그 제2 토출구(321)를 개폐하는 제2 토출밸브(322)가 설치된다. 서브베어링(32)의 상면에는 제2 토출공간(382a)을 가지는 제1 토출커버(382)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1 실린더(33)와 제2 실린더(34)의 사이에는 중간플레이트(35)가 구비되고, 중간플레이트(35)를 사이에 두고 제1 실린더(33)에는 메인베어링(31)과 함께 제1 압축공간(V1)이, 제2 실린더(34)에는 서브베어링(32)과 함께 제2 압축공간(V2)이 각각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린더(33)에는 제1 흡입구(331)가, 제2 실린더(34)에는 제2 흡입구(341)가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압축공간(V1)은 제1 흡입구(331)를 통해 제1 흡입관(15a)에 연통되고, 제2 압축공간(V2)은 제2 흡입구(341)를 통해 후술할 흡입통로(351)에 연통된다.
제1 흡입구(331)와 제2 흡입구(341)는 각각 제1 실린더(33)와 제2 실린더(34)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함몰되고 내주측에서 제1 실린더(33)와 제2 실린더(34)의 상하 축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제1 흡입구(331)와 제2 흡입구(341)는 내주측에서 축방향으로 관통된 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1 흡입구(331)와 제2 흡입구(341)는 각각 제1 실린더(33)와 제2 실린더(34)의 내주면(33a)(34a)에서 반경방향으로 함몰되되, 축방향 양단이 개구된 슬롯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흡입구(331)와 제2 흡입구(341)의 개구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냉매가 제1 압축공간(V1)과 제2 압축공간(V2)으로 각각 신속하게 흡입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흡입구(331)와 제2 흡입구(341)는 제1 실린더(33)와 제2 실린더(34)의 축방향 전체에 걸쳐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흡입구(331)와 제2 흡입구(341)가 제1 실린더(33)의 내주면(33a)에 구멍 또는 상면이 막힌 홈으로 형성되는 것에 비해 각 흡입구(331)(341)의 원주길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냉매의 흡입완료시점과 그에 따른 압축개시시점이 앞당겨지면서 해당 압축공간(V1)(V2)에서의 압축주기가 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과압축을 억제하여 압축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흡입구(331)와 제2 흡입구(341)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린더(33)에는 제1 베인(362)이 미끄러지게 삽입되는 제1 베인슬롯(332)이, 제2 실린더(34)에는 제2 베인(372)이 미끄러지게 삽입되는 제2 베인슬롯(342)이 각각 형성된다. 제1 베인슬롯(332)은 원주방향으로 제1 흡입구(331)의 일측에 형성되고, 제2 베인슬롯(342)은 원주방향으로 제2 흡입구(341)의 일측에 형성된다. 제1 베인슬롯(332)과 제2 베인슬롯(342)은 대략 동일축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압축공간과 제2 압축공간은 회전축의 1회전당 180°의 위상차를 두고 냉매를 흡입, 압축하여 토출하게 된다.
제1 흡입구(331)와 제1 베인슬롯(332)의 사이에는 제1 격벽(333)이, 제2 흡입구(341)와 제2 베인슬롯(342) 사이에는 제2 격벽(343)이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흡입구(331)와 제1 베인슬롯(332)은 제1 격벽(333)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분리되고, 제2 흡입구(341)와 제2 베인슬롯(342)은 제2 격벽(343)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분리된다.
제1 격벽(333)은 제1 흡입구(331)의 원주방향 내측면과 이에 원주방향으로 인접하는 제1 베인슬롯(332)의 원주방향 내측면에 의해 정의되며, 제2 격벽(343)은 제2 흡입구(341)의 원주방향 내측면과 이에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제2 베인슬롯(342)의 원주방향 내측면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1 격벽(333)과 제2 격벽(343)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설명한다.
중간플레이트(35)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제1 실린더(33)와 제2 실린더(34)의 사이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1 압축공간(V1)과 제2 압축공간(V2)은 중간플레이트에 의해 서로 다른 압축공간으로 분리된다.
한편, 제1 베인롤러(36)는 제1 롤러(361) 및 제1 베인(362)을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롤러(361)와 제1 베인(362)은 단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대운동을 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롤러(361)와 제1 베인(36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롤러(361)는 회전축(130)의 제1 편심부(134)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롤러(361)는 그 내주면과 외주면이 동일한 중심을 가지는 진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제1 롤러(361)의 내주면과 외주면이 서로 다른 중심을 가지는 편심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롤러(361)의 축방향높이는 제1 실린더(33)의 내주면 높이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된다. 하지만, 제1 롤러(361)의 축방향높이는 제1 실린더(33)의 내주면 높이보다 약간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롤러(361)는 메인베어링(31)의 하면과 이를 마주보는 중간플레이트(35)의 상면에 대해 축방향으로 지지되면서 미끄럼 운동을 할 수 있다.
제1 롤러(361)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제1 베인(362)의 제1 힌지돌부(362b)가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힌지홈(361a)이 형성된다. 제1 힌지홈(361a)은 제1 롤러(361)의 축방향을 따라 외주면이 개구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힌지홈(361a)의 내경은 제1 힌지돌부(362b)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되되, 제1 힌지돌부(362b)가 삽입된 상태에서 빠지지 않으면서 미끄럼 운동을 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제1 베인(362)은 제1 베인바디부(362a), 제1 힌지돌부(362b)를 포함한다.
제1 베인바디부(362a)는 제1 베인슬롯(332)에 삽입되어 흡입실과 토출실 사이를 분리하는 부분으로, 기설정된 길이와 두께를 가지는 평판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인바디부(362a)는 전체적으로는 장방형의 6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베인바디부(362a)는 제1 롤러(361)가 제1 베인슬롯(332)의 반대쪽으로 완전히 이동한 상태에서도 제1 베인(362)이 제1 베인슬롯(332)에 남아있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힌지돌부(362b)는 제1 롤러(361)를 마주보는 제1 베인바디부(362a)의 내주측 단부(이하, 전방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 힌지돌부(362b)는 제1 힌지홈(1411)에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는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제1 힌지돌부(362b)는 제1 힌지홈(1411)에 대응하도록 반원형 또는 연결부분을 제외한 거의 원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베인롤러(37)는 제2 롤러(371) 및 제2 베인(372)을 포함한다. 제2 롤러(371)는 제2 힌지홈(371a)을 구비하고, 제2 베인(372)은 제2 베인바디부(372a) 및 제2 힌지돌부(372b)를 포함한다.
제2 베인롤러(37)를 이루는 제2 롤러(371) 및 제2 베인(372)은 제1 베인롤러(36)를 이루는 제1 롤러(361) 및 제1 베인(362)과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제2 베인롤러(37)에 대한 설명은 제1 베인롤러(36)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342는 제2 공간부, F는 냉매통로이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복식 로터리 압축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즉, 고정자(21)에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자(22)와 회전축(23)이 고정자(21)의 내부에서 회전을 하면서 제1 베인롤러(36)와 제2 베인롤러(37)가 선회운동을 하고, 이 제1 베인롤러(36)와 제2 베인롤러(37)의 선회운동에 따라 각 압축공간(V1)(V2)의 흡입실 체적이 각각 가변되면서 냉매를 제1 실린더(33)의 제1 압축공간(V1)과 제2 실린더(34)의 제2 압축공간(V2)으로 각각 흡입하게 된다.
이 흡입된 냉매는 제1 베인롤러(36)와 제2 베인롤러(37)의 선회운동에 의해 제1 압축공간(V1)과 제2 압축공간(V2)에서 압축되고, 이 압축된 냉매는 메인베어링(31)에 구비된 제1 토출구(311)와 서브베어링(32)에 구비된 제2 토출구(321)를 통해 각각 제1 토출커버(381)의 제1 토출공간(381a)과 제2 토출커버(382)의 제2 토출공간(382a)으로 토출된다.
이때, 제1 토출공간(381a)으로 토출되는 냉매는 곧바로 케이싱(10)의 내부공간(10a)으로 토출되는 반면, 제2 토출공간(382a)으로 토출된 냉매는 서브베어링(32), 제2 실린더(34), 중간플레이트(35), 제1 실린더(33) 그리고 메인베어링(31)을 차례로 관통하는 냉매통로(F)를 통해 제1 토출커버(381)의 제1 토출공간(381a)로 이동하게 된다. 이 냉매는 제1 압축공간(V1)에서 토출되는 냉매와 함께 케이싱(10)의 내부공간(10a)으로 토출되어 냉동사이클로 순환이동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1 압축공간(V1)과 제2 압축공간(V2)에서 냉매가 압축되는 과정에서 제1 베인롤러(36)와 제2 베인롤러(37)는 제1 롤러(361)와 제2 롤러(371)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각각 가스력(Fg)이 발생하게 된다.
이 가스력(Fg)은 제1 베인(362)과 제2 베인(372)의 토출실측 측면에 작용하여 토출실에서 흡입실쪽, 즉 흡입구(331)(341)가 형성된 쪽으로 각각의 베인(362)(372)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베인(362)(372)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제1 베인(362)은 제1 흡입구(331)에 인접한 제1 베인슬롯(332)의 원주방향 내측면에, 제2 베인(372)은 제2 흡입구(341)에 인접한 제2 베인슬롯(342)의 원주방향 내측면에 밀착하게 될 수 있다. 그러면 각각의 베인(362)(372)과 베인슬롯(332)(342) 사이에서의 마찰손실에 의해 모터효율이 저하되어 압축성능이 낮아질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흡입구(331)(341)와 베인슬롯(332)(342) 사이에 구비되는 각각의 격벽(333)(343)에 탄성부를 각각 형성하여 각각의 압축공간에서의 압축행정시 베인과 베인슬롯 사이에서 발생될 마찰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333f)(343f)는 제1 흡입구(331)와 제1 베인슬롯(332) 사이의 제1 격벽(333) 및 제2 흡입구(341)와 제2 베인슬롯(342) 사이의 제2 격벽(343)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격벽(333)과 제2 격벽(343) 중 어느 한 쪽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격벽(333)에 제1 탄성부(333f)가, 제2 격벽(343)에는 제2 탄성부(343f)가 각각 형성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탄성부(333f)와 제2 탄성부(343f)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이하에서는 제1 탄성부(333f)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2 탄성부(343f)에 대해서는 제1 탄성부(333f)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흡입구(331)의 양쪽 원주방향 내측면 중에서 베인슬롯(332)에 인접한 쪽의 내측면을 베인슬롯(332)의 내측면으로, 베인슬롯측 원주방향 내측면은 흡입구의 내측면으로 각각 이해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탄성부가 구비된 격벽의 주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격벽(333)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흡입구(331)와 제1 베인슬롯(332)의 원주방향 사이에 형성된다. 제1 흡입구(331)와 제1 베인슬롯(332)은 각각 제1 실린더(33)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함몰진 슬롯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제1 격벽(333)은 내주측이 자유단을 이루는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흡입구(331)와 제1 베인슬롯(332)은 각각 제1 실린더(33)의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제1 격벽(333)은 내주측은 원호길이가 짧고 외주측은 원호길이가 긴 부채꼴 단면 또는 원호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흡입구(331)는 제1 이격부(331a) 및 제1 연결부(331b)를 포함할 있다. 이에 따라 제1 흡입구(331)의 내주측은 제1 압축공간(V1)을 향해 개구되고, 제1 흡입구(331)의 외주측은 막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이격부(331a)는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양쪽 원주방향 내측면이 제1 실린더(33)의 내주면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이격부(331a)는 원주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양쪽 원주방향 내측면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격부(331a)를 이루는 양쪽 원주방향 내측면은 반경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외주쪽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이격부(331a)를 이루는 원주방향 내측면은 제1 실린더(33)의 상면 또는 하면에 대해 직교하도록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축방향 중간이 함몰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이격부(331a)를 이루는 원주방향 내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제1 실린더(33)의 상면 및 하면에 대해 직교하도록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연결부(331b)는 제1 이격부(331a)를 이루는 양쪽 원주방향 내측면의 외주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331b)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연결부(331b)가 제1 실린더(33)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의 곡률보다 큰 곡률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베인슬롯(332)은 제1 슬롯부(332a) 및 제1 공간부(33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베인슬롯(332)의 내주측은 제1 압축공간(V1)을 향해 개구되고, 제1 베인슬롯(332)의 외주측은 막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베인슬롯(332)의 외주측에는 제1 공간부(332b)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슬롯부(332a)는 양쪽의 원주방향 내측면이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반경향으로 기설정된 깊이만큼 함몰될 수 있다. 제1 슬롯부(332a)를 이루는 원주방향 내측면은 각각 평면으로 형성되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제1 슬롯부(332a)를 이루는 양쪽 원주방향 내측면은 경우에 따라서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홈이 구비되어 오일통로를 형성하거나 베인과의 마찰면적을 줄일 수도 있다.
제1 공간부(332b)는 제1 슬롯부(332a)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공간부(332b)는 제1 슬롯부(332a)와 마찬가지로 축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공간부(332b)는 제1 실린더(33)의 외주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 공간부(332b)는 메인베어링(31) 또는 중간플레이트(35)에 구비되는 관통구멍(미도시)과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싱(10)의 내부공간(10a)에 수용된 고압의 냉매가스 또는 고압의 오일이 상기한 제1 공간부(332b)로 유입되고, 이 냉매 또는 오일은 제1 베인(362)을 제1 롤러(361)쪽으로 가압하는 동시에 제1 베인슬롯(332)과 제1 베인(362) 사이의 마찰면을 윤활하여 모터부하를 낮출 수 있다.
후술할 제1 탄성부(333f)가 제1 베인슬롯(332)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 공간부(332b)로 유입되는 냉매 또는 오일의 일부가 제1 탄성부(333f)에 저장되어 제1 베인슬롯(332)과 제1 베인(362) 사이에서의 냉매보유량 또는 오일보유량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탄성부(333f)에 저장된 냉매 또는 오일에 의해 제1 베인슬롯(332)과 제1 베인(362) 사이의 윤활성이 향상되면서 모터부하를 더욱 낮출 수 있다.
제1 공간부(332b)는 축방향으로 관통되는 축방향 공간부(332b1)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축방향 공간부(332b1)와 반경방향 공간부(332b2)가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공간부(332b)가 축방향 공간부(332b1)와 반경방향 공간부(332b2)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반경방향 공간부(332b2)는 제1 실린더(33)의 외주면에서 축방향 공간부(332b1)의 내주면으로 관통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반경방향 공간부(332b2)는 축방향 공간부(332b1)를 통과하지 않는 범위, 즉 반경방향 공간부(332b2)는 제1 슬롯부(332a)와 반경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축방향 공간부(332b1)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격벽(333)의 원주방향 길이를 충분하게 확보하여 제1 격벽(333)의 외주측 단부에서의 응력집중으로 인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격벽(333)의 원주방향 길이를 충분하게 확보함에 따라, 제1 격벽(333)에 후술할 제1 탄성부(333f)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반경방향 공간부(332b2)는 축방향 공간부(332b1)를 통과하여 반경방향 공간부(332b2)의 일부가 제1 슬롯부(332a)와 반경방향으로 중첩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반경방향 공간부(332b2)가 제1 슬롯부(332a)에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는 길이를 최소화, 예를 들어 중첩길이가 제1 베인슬롯(332)의 원주방향 폭길이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앞서 설명한 제1 격벽(333)의 신뢰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격벽(333)은 제1 흡입구(331)의 내측면과 이를 마주보는 제1 베인슬롯(332)의 내측면으로 정의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격벽(333)의 내주측은 원호길이가 짧고 외주측은 원호길이가 긴 부채꼴 단면 또는 원호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격벽(333)은 양쪽 축방향 측면(333a)(333b), 제1 원주방향 측면(333c), 제2 원주방향 측면(333d), 내주측 측면(333e)을 포함한다. 양쪽 축방향 측면(333a)(333b)의 내주측 단부, 제1 원주방향 측면(333c)의 내주측 단부, 제2 원주방향 측면(333d)의 내주측 단부는 실린더(33)의 내주면(33a)을 이루는 내주측 측면(333e)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격벽(333)은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격벽(333)의 양쪽 축방향 측면(333a)(333b)은 제1 실린더(33)의 양쪽 축방향 측면에 해당하며, 메인베어링(31)과 서브베어링(32)을 각각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제1 격벽(333)의 양쪽 축방향 측면(333a)(333b)은 각각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격벽(333)의 양쪽 축방향 측면(333a)(333b)은 반경방향으로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격벽(333)이 원주방향으로 짧게 형성되더라도 제1 흡입구(331)와 제1 베인슬롯(332) 사이에서의 축방향 실링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1 격벽(333)의 양쪽 축방향 측면(333a)(333b)은 외주측에서 내주측으로 갈수록 실린더(33)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진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격벽(333)이 가스력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제1 베인(362)과 제1 베인슬롯(332) 사이에서의 마찰손실을 줄일 수도 있다.
제1 격벽(333)의 제1 원주방향 측면(333c)은 제1 흡입구(331)의 내측면에 해당하며, 양쪽 축방향 측면(333a)(333b)의 원주방향 일측에서 그 양쪽 축방향 측면(333a)(333b)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제1 격벽(333)의 제2 원주방향 측면(333d)은 제2 베인슬롯(332)의 내측면에 해당하며, 양쪽 축방향 측면(333a)(333b)의 원주방향 타측에서 양쪽 축방향 측면(333a)(333b)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제1 격벽(333)의 양쪽 원주방향 측면(333c)(333d)은 각각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흡입구(331)와 제1 베인슬롯(332)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격벽(333)의 양쪽 원주방향 측면(333c)(333d)은 각각 전체적으로는 평평하면서도 양쪽 원주방향 측면(333c)(333d)이 일부는 요철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격벽(333)의 양쪽 원주방향 측면(333c)(333d)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 원주방향 측면에는 원주방향으로 기설정된 깊이만큼 함몰된 제1 탄성부(333f)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탄성부(333f)가 제1 베인슬롯(332)을 이루는 제2 원주방향 측면(333d)에 형성된 예를 대표예로 삼아 설명한다. 또한, 편의상 제1 흡입구(331)를 이루는 제2 원주방향 측면(333c)을 제1 측면으로, 제1 베인슬롯(332)을 이루는 제2 원주방향 측면(333d)을 제2 측면으로 각각 정의하여 설명하되, 필요한 경우에는 제1 원주방향 측면(333c)이나 제2 원주방향 측면(333d)을 혼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탄성부(333f)는 제2 측면에 요철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격벽(333)의 탄성력을 높여 앞서 설명한 베인(362)과 베인슬롯(332) 사이의 마찰손실을 줄일 수 있다.
제1 탄성부(333f)는 제2 측면(333d)중에서 가스력에 대한 저항력이 큰 위치, 즉 제1 베인(362)이 받는 압력부하에 대한 저항력이 큰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와 같이 제1 탄성부(333f)는 제1 실린더(33)의 중심에서 제1 흡입구(331)의 일부를 이루는 제1 연결부(331b)의 외주측 끝단까지를 반경으로 하는 가상원(C)의 범위내에 제1 탄성부(333f)가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도록 형성되되, 가능한 한 제1 격벽(333)의 외주측에 근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탄성부(332e)는 제1 베인슬롯(332)의 내측면을 이루는 제1 격벽(333)의 제2 측면(332d)에 원주방향으로 기설정된 깊이를 가진 홈(recess)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탄성부(333f)는 양쪽 축방향 측면(333a)(333b)을 통과하는 한 개의 홈으로 형성되되, 축방향 투영시 반원 단면 또는 타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탄성부(333f)는 그 내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1 탄성부(333f)에서의 응력집중으로 인한 피로한도(fatigue limit)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탄성부(333f)는 가능한 한 깊고 넓게 형성되는 것이 제1 격벽(333)의 굳기 혹은 경직성(rigidity)을 완화시키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다만 제1 탄성부(333f)가 원주방향으로 너무 깊게 형성될 경우에는 그 제1 탄성부(333f)와 제1 흡입구(331) 사이의 최소간격인 실링거리(L1)가 너무 좁아질 수 있다. 그러면 베인슬롯(332)과 흡입구(331) 사이의 실링거리가 충분하게 확보되지 못하여 베인슬롯(332)의 냉매 또는 오일이 흡입구쪽으로 누설되면서 흡입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가스력이 제1 베인(362)을 통해 제1 격벽(333)에 전달될 때 제1 탄성부(333f)의 해당 구간에서 응력이 집중되어 파손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탄성부(333f)와 제1 흡입구(331) 사이의 실링거리(L1)는 적어도 제1 격벽(333)의 내주측 길이(L2)보다는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격벽(333)이 제1 베인(362)을 통해 가스력을 전달받더라도 제1 탄성부(333f) 주변에서 응력이 집중되어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부(333f)는 제1 베인(362)의 반경방향으로의 이동범위 내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탄성부(333f)의 반경방향 양단이 제1 베인(362)의 반경방향 범위내에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베인(362)이 제1 베인슬롯(332)의 내부에서 왕복운동을 할 때 제1 탄성부(333f)가 제1 베인(362)의 흡입측 측면과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제1 베인(362)의 외측단(또는 후방단)이 제1 탄성부(333f)에 걸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부(333f)는 축방향으로 동일한 단면적(A)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탄성부(333f)에 의한 제1 격벽(333)의 탄성변형률이 축방향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격벽(333)의 비틀림이 억제되어 제1 베인(362)이 원활하게 왕복운동을 함으로써 마찰손실과 압축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탄성부가 구비된 격벽의 탄성변형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보인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와 같이 베인슬롯(332)을 이루는 제1 격벽(333)의 측면(333d)에 제1 탄성부(333f)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 격벽(333)이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제1 탄성부(333f)의 단면적만큼 제1 격벽(333)의 뿌리부분에서의 단면적이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격벽(333)은 탄성을 가지는 일종의 완충형 격벽으로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면, 제1 베인(362)이 제1 흡입구(331)를 향해 원주방향으로 토출압에 해당하는 가스력(Fg)을 받더라도 제1 격벽(333)이 가스력(Fg)에 대응하여 제1 탄성부(333f)를 중심으로 제1 흡입구(331)를 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그러면 제1 베인(362)의 흡입측 측면이 제1 베인슬롯(332)의 내측면을 이루는 제1 격벽(333)의 제2 측면(333d)에 과도하게 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격벽(또는 제1 베인슬롯)(333)과 제1 베인(362) 사이에서의 마찰손실을 줄여 압축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8은 탄성부가 적용된 본 실시예의 복식 로터리 압축기를 탄성부가 비적용된 종래의 복식 로터리 압축기와 비교하여 보인 시험결과표이다. 이는 냉매 410a를 적용한 시험결과이다. 또한 베인이 롤러에 힌지 결합된 힌지 로터리 압축기(Hinge type) 및 베인이 롤러에 미끄럼접촉되는 롤링피스톤 로터리 압축기(Roling piston type)에서 탄성부(333f)가 적용된 경우와 비적용된 경우를 비교하여 시험한 결과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힌지 로터리 압축기의 경우에는 모터가 40Hz, 60Hz, 80Hz의 회전속도로 운전할 때, 본 실시예에 따른 힌지 로터리 압축기가 종래의 힌지 로터리 압축기에 비해 모두 모터입력이 낮아지면서 에너지효율(EER)이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힌지 로터리 압축기의 경우에는 롤러와 베인이 결합됨에 따라 롤러와 베인 사이에서의 슬립(slip)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베인은 토출실의 가스력(Fg) 외에 롤러의 선회운동에 따른 부하를 받게 된다. 이로 인해 베인과 격벽 사이에서는 강한 마찰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격벽에 탄성부(333f)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격벽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변형되면서 베인과 격벽 사이에서의 마찰손실을 낮춘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냉매 R410a를 적용한 결과이므로 고압냉매를 적용하는 경우에서의 효과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한편, 롤링피스톤 로터리 압축기의 경우에도 일부의 모터회전속도대역(60Hz, 80Hz)에서는 모터입력이 감소하면서 에너지효율이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다만 롤링피스톤 로터리 압축기의 경우에는 앞선 힌지 로터리 압축기의 경우에 비해 그 효과가 크지 않다. 이는 롤러와 베인이 미끄러지게 접촉됨에 따라 롤러의 선회운동에 따른 부하를 베인이 거의 받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운전조건에 따라 베인의 후방측 가압력이 증가하거나 롤러와 베인 사이의 윤활이 원활하지 않은 조건에서는 탄성부(333f)의 적용에 따른 효과가 배가될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냉매 R410a를 적용한 결과이므로 고압냉매를 적용하는 경우에서의 효과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탄성부(333f)는 축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제1 탄성부(333f)의 기본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는 제1 탄성부(333f)가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것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아울러, 이하에서는 제1 탄성부(333f)가 축방향으로 관통되거나 함몰되는 것은 축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관통되거나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제1 탄성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탄성부가 제1 격벽의 외주측에 근접한 위치에 한 개만 형성되는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1 탄성부가 제1 격벽의 측벽면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의 탄성부가 구비된 격벽의 주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탄성부(333f)는 복수 개가 구비되되, 복수 개의 제1 탄성부(333f)는 제1 베인슬롯(332)의 내측면을 이루는 제1 격벽(333)의 제2 측면(333d)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탄성부(333f)는 각각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제1 격벽(333)은 축방향 투영시 내주측의 원호길이보다 외주측의 원호길이가 큰 부채꼴 단면 또는 원호 단면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내주측은 원주방향 단면적이 작고 외주측은 원주방향 단면적이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제1 탄성부(333f)는 제1 격벽(333)의 형상에 대응하여 외주측에 위치하는 제1 탄성부(333f)의 단면적(또는 내경)은 내주측에 위치하는 제1 탄성부(333f)의 단면적(또는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탄성부(333f)가 제1 격벽(333)의 한 쪽 측면(333c)(333d)에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제1 탄성부(333f)의 기본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탄성부(333f)가 복수 개로 구비되어 반경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됨에 따라, 제1 격벽(333)이 각각의 제1 탄성부(333f)를 기점으로 휘어지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베인(362)의 왕복운동시 그 제1 베인(362)이 받는 가스력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제1 격벽(333)이 변경될 수 있어 그만큼 제1 베인(362)과 제1 베인슬롯(332) 사이의 마찰손실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베인슬롯(332)의 내측면을 이루는 제1 격벽(333)의 측면(333d)에 제1 탄성부(333f)가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 베인슬롯(332)의 내측면의 면적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면 제1 베인슬롯(332)과 제1 베인(362) 사이에서의 마찰면적이 감소하게 되어 그만큼 마찰손실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제1 탄성부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격벽의 양쪽 원주방향 측면 중에서 가스력을 받는 쪽의 측면에 제1 탄성부가 형성되는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가스력을 받는 쪽의 반대쪽에 제1 탄성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의 탄성부가 구비된 격벽의 주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탄성부(333f)는 제1 흡입구(331)의 내측면을 이루는 제1 격벽(333)의 제1 측면(333c)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탄성부(333f)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제1 격벽(333)의 제1 측면(333c)에 기설정된 깊이를 가지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되, 한 개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9 및 도 10의 실시예와 같이 복수 개가 반경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탄성부(333f)가 제1 흡입구(331)의 내측면을 이루는 제1 격벽(333)의 제1 측면(333c)에 홈지게 형성되는 경우에도 제1 탄성부(333f)의 기본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탄성부(333f)가 제1 흡입구(331)의 내측면에 형성됨에 따라 제1 흡입구(331)의 흡입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냉매의 유로저항을 낮춰 흡입손실을 억제하여 압축효율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제1 탄성부(333f)가 제1 흡입구(331)의 내측면에 형성되되 압축방향의 반대쪽에 형성됨에 따라, 동일 흡입체적 대비 제1 흡입구(331)의 원주방향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탄성부(333f)가 제1 흡입구(331)의 내측면에 연통됨에 따라 제1 탄성부(333f)도 제1 흡입구(331)의 일부가 된다. 이에 제1 탄성부(333f)의 단면적만큼 제1 흡입구(331)의 제1 이격부(331a)를 이루는 양쪽 내측면 사이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이때, 제1 흡입구(331)의 제1 이격부를 이루는 양쪽 내측면 중에서 제1 베인슬롯(332)에서 먼 쪽의 내측면을 제1 베인슬롯(332)쪽으로 이동시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흡입완료시점이 앞당겨지게 되어 압축주기가 길어지게 되면서 과압축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제1 탄력발생부가 복수 개인 경우에 더욱 크게 발생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복수 개의 제1 탄력발생부(333f)는 반경방향을 따라 연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복수 개의 제1 탄력발생부(333f)는 제1 베인슬롯(332)의 내측면을 따라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른 효과는 이어서 설명할 장홈형 제1 탄력발생부(333f)와 유사하다.
한편, 제1 탄성부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제1 탄성부가 원형 단면 또는 타원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1 탄성부가 장방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의 탄성부가 구비된 격벽의 주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평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탄성부(333f)는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탄성부(333f)는 원주방향 폭보다는 반경방향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탄성부(333f)는 타원 단면 형상과 달리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동일한 폭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탄성부(333f)는 반경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제1 탄성부(333f)의 네 모서리는 직각보다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응력집중을 줄이는데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1 탄성부(333f)가 반경방향으로 긴 장방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제1 탄성부(333f)의 기본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탄력발생부(333f)의 반경방향 길이가 길어지면서 제1 격벽(333)의 탄성변형률을 높여 제1 베인슬롯(332)과 제1 베인(362) 사이의 마찰손실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탄력발생부(333f)가 원형 단면 또는 타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되, 복수 개의 제1 탄력발생부(333f)를 연이어 형성하는 경우에도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제1 탄성부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제1 탄성부가 축방향으로 관통되는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양쪽 축방향 측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 측면 또는 중간에서 막힌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의 탄성부가 구비된 격벽의 주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평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탄성부(333f)는 제1 격벽(333)의 양쪽 축방향 측면(333a)(333b)에서 축방향으로 각각 기설정된 깊이만큼 함몰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 제1 탄성부(333f1)는 제1 격벽(333)의 상면(333a)에서 하면(333b)을 향해 축방향으로 기설정된 깊이만큼 함몰지게 형성되고, 하측 제1 탄성부(333f2)는 제1 격벽(333)의 하면(333b)에서 상면(333a)을 향해 축방향으로 기설정된 깊이만큼 함몰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양측 제1 탄성부(333f1)(333f2)의 사이에는 미관통부(non-penetrated portion)(333g)가 형성되어 제1 탄성부(333f)의 단면적을 넓혀 제1 격벽(333)의 탄성변형률을 높이면서도 제1 격벽(333)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양측 제1 탄성부(333f)의 축방향 깊이(L3)는 미관통부(333g)의 축방향 길이(L4)보다 각각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측 제1 탄성부(333f)의 축방향 깊이(L3)는 미관통부(333g)의 축방향 길이(L4)보다 각각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탄성부(333f)의 단면적이 미관통부(333g)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면서 제1 격벽(333)의 탄성변형률을 적절하게 확보할 수 있다.
상측 제1 탄성부(333f1)와 하측 제1 탄성부(333f2)는 미관통부(333g)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 제1 탄성부(333f1)의 단면적 및 깊이는 하측 제1 탄성부(333f2)의 단면적 및 깊이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격벽(333)의 탄성변형시 축방향 변형률이 대략 동일하게 유지되어 제1 격벽(333)의 비틀림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제1 탄성부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제1 탄성부가 제1 격벽의 한쪽 원주방향 측면에만 형성되는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1 탄성부가 제1 격벽의 양쪽 원주방향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의 탄성부가 구비된 격벽의 주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평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탄성부(333f)는 제1 격벽(333)이 양쪽 원주방향 측면, 즉 제1 흡입구(331)의 내측면을 이루는 제1 측면(333c)과 제1 베인슬롯(332)의 내측면을 이루는 제2 측면(333d)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측면(333c)에 형성되는 제1 탄성부(333f)와 제2 측면(333d)에 형성되는 제1 탄성부(333f)는 제1 격벽(333)의 반경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측면(333c)과 제2 측면(333d)에 각각의 제1 탄성부(333f)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제1 측면(333c)에 형성되는 제1 탄성부(333f)와 제2 측면(333d)에 형성되는 제1 탄성부(333f)는 제1 격벽(333)의 반경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측면(333c)에 형성되는 제1 탄성부(333f)와 제2 측면(333d)에 형성되는 제1 탄성부(333f)는 반경방향을 따라 번갈아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측면(333c)에 형성되는 제1 탄성부(333f)와 제2 측면(333f)에 형성되는 제1 탄성부(333f)는 축방향 투영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격벽(333)의 제1 측면(333c)과 제2 측면(333d)에 제1 탄성부(333f)(333f)를 각각 형성하면서도 제1 탄성부(333f)(333f)와 이를 마주보는 쪽 원주방향 측면(333c)(333d) 사이의 실링거리(L1)를 확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베인슬롯(332)과 흡입구(331) 사이의 냉매누설을 억제하는 동시에 각각의 제1 탄성부(333f)를 깊게 형성할 수 있어 그만큼 제1 격벽(333)의 탄성변형률을 크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탄성부(333f)가 제1 흡입구(331)의 내측면을 이루는 제1 격벽(333)의 제1 측면(333c) 및 제1 베인슬롯(332)의 내측면을 이루는 제1 격벽(333)의 제2 측면(333d)에 각각 홈지게 형성되는 경우에도 그 기본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한편, 제1 탄성부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제1 탄성부가 제1 격벽의 원주방향 측면에 홈지게 형성되는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1 탄성부가 제1 격벽의 양쪽 원주방향 측면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의 탄성부가 구비된 격벽의 주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평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탄성부(333f)는 제1 격벽(333)의 중간 위치, 예를 들어 제1 격벽(333)의 제1 측면(333c)과 제1 격벽(333)의 제2 측면(333d)으로부터 각각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탄성부(333f)는 제1 측면(333c)과 제2 측면(333d)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각각 동일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탄성부(333f)가 제1 격벽(333)의 중간에 형성되는 경우에 제1 탄성부(333f)의 양쪽 실링거리(L1')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탄성부(333f)의 단면적이 동일한 조건에서 그 제1 탄성부(333f)의 양쪽 실링거리(L1')를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탄성부(333f)가 제1 격벽(333)의 중간에 형성되면서도 베인슬롯(332)과 흡입구(331) 사이의 냉매누설을 억제하는 동시에 제1 격벽(333)의 피로한도(fatigue limit)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탄성부(333f)는 제1 격벽(333)의 양쪽 축방향 측면(333c)(333d)을 관통하는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격벽(333)의 중간에 제1 탄성부(333f)를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격벽(333)의 탄성변형률을 높이는데도 유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탄성부(333f)가 제1 격벽(333)의 제1 측면(333c)과 제2 측면(333d)의 사이에서 구멍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도 제1 탄성부(333f)의 기본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제1 격벽(333)의 제1 측면(333c)과 제2 측면(333d)에 홈으로 형성하는 것과 유사하다. 다시 말해 제1 탄성부(333f)는 원형 단면 또는 타원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반경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거나 연속으로 연결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탄성부(333f)가 제1 격벽(333)의 중간에 형성됨에 따라, 제1 격벽(333)의 제1 측면(333c)과 제2 측면(333d)을 각각 평평한 평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격벽(333)의 탄성변형률을 높이면서도 제1 베인슬롯(332)의 내측면이 제1 베인(362)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면압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흡입구(331)에서의 냉매의 난류발생을 억제하여 유동손실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제1 베인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베인의 외주단(이하 후방단이라고 한다)의 모서리가 직각으로 형성되는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1 베인의 후방단 모서리가 곡면지거나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1 및 도 22는 베인에 대한 다른 실시예들을 보인 평면도들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베인(362)은 제1 베인슬롯(3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베인바디부(362a)를 포함하되, 제1 베인바디부(362a)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베인바디부(362a)의 전방측 단부는 힌지돌부(362b)가 원형 단면 형상으로 연장되고, 제1 베인바디부(362a)의 후방측 단부는 평평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베인바디부(362a)의 후방측 모서리에는 제1 마찰회피부(362c)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마찰회피부(362c)는 제1 베인바디부(362a)의 후방측 모서리를 곡면지게 모따기 가공하거나 또는 경사지게 모따기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마찰회피부(362c)는 제1 베인바디부(362a)의 후방측 단부의 폭에 대해 대략 절반 정도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베인바디부(362a)의 후방측 단부는 제1 공간부(332b)로 유입되는 고압의 냉매 또는 고압의 오일에 의해 제1 롤러(361)쪽으로 가압되어 원활하게 왕복운동을 하는 동시에, 제1 탄성부(333f)에 의해 제1 격벽(333)이 탄성변형을 하더라도 제1 베인바디부(362a)의 후방측 모서리가 제1 베인슬롯(332)의 내측면에 과도하게 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마찰회피부(362c)는 제1 베인바디부(362a)의 양쪽 후방측 모서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21과 같이 제1 마찰회피부(362c)는 양쪽 후방측 모서리에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22와 같이 서로 다른 규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2와 같이 제1 마찰회피부(362c1)(362c2)는 양쪽 후방측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되, 제1 격벽(333)의 제2 측면(333d)을 마주보는 흡입측 제1 마찰회피부(362c1)보다는 그 반대쪽인 토출측 제1 마찰회피부(362c2)가 더 크게 라운드지거나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베인(362)이 제1 격벽(333)의 탄성변형에 의해 전방측 단부가 제1 흡입구(331)쪽으로 기울어질 경우에도 후방측 단부의 양쪽 모서리중에서 제1 격벽(333)으로부터 먼쪽의 후방측 모서리가 이를 마주보는 제1 베인슬롯(332)의 내측면에 과도하게 밀착되어 면압이 증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마찰회피부(362c)는 양쪽 후방측 모서리 중에서 한쪽 후방측 모서리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마찰회피부(362c)는 제1 격벽(333)으로부터 먼쪽의 후방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탄성부(333f)에 의해 제1 격벽(333)이 탄성변형을 하더라도 제1 베인(362)의 후방측 모서리가 제1 베인슬롯(332)의 내측면에 과도하게 밀착되어 면압이 증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제1 흡입구와 제2 흡입구가 각각의 실린더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함몰되고 내주측에서 각 실린더의 상하 축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중간플레이트에 흡입관이 연결되는 흡입통로가 반경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 실린더와 제2 실린더의 내주면에는 중간플레이트의 흡입통로에 각각 연통되도록 흡입구가 각각 형성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격벽에 탄성부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복식 로터리 압축기에 탄성부가 적용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나, 단식 로터리 압축기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은 힌지 로터리 압축기는 물론 롤링피스톤 로터리 압축기 또는 타원형 롤러를 구비한 동심 로터리 압축기 등 흡입구와 베인슬롯 사이에 격벽이 구비되는 로터리 압축기에는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10: 케이싱 10a: 내부공간
11: 원통쉘 12: 상부캡
13: 하부캡 15a,15b: 흡입관
16: 토출관 20: 전동부
21: 고정자 22: 회전자
23: 회전축 231,232: 제1,2 편심부
30: 압축부 31: 메인베어링플레이트
311: 제1 토출구 312: 제1 토출밸브
32: 서브베어링플레이트 321: 제2 토출구
322: 제2 토출밸브 33: 제1 실린더
33a: 제1 실린더의 내주면 331: 제1 흡입구
331a: 제1 이격부 331b: 제1 연결부
332: 제1 베인슬롯 332a: 제1 슬롯부
332b: 제1 공간부 332b1: 축방향 공간부
332b2: 반경방향 공간부 333: 제1 격벽
333a,333b: 축방향 측면(상면, 하면)
333c: 흡입구측 원주방향 측면(제1 측면)
333d: 베인슬롯측 원주방향 측면(제2 측면)
333f: 제1 탄성부 333f1: 상측 제1 탄성부
333f2: 하측 제1 탄성부 333g: 미관통부
34: 제2 실린더 34a: 제2 실린더의 내주면
341: 제2 흡입구 341a: 제2 흡입구의 원주방향 내측면
342: 제2 베인슬롯 343: 제2 격벽
343f: 제2 탄성부 35: 중간플레이트
36: 제1 베인롤러 361: 제1 롤러
361a: 제1 힌지홈 362: 제1 베인
362a: 제1 베인바디부 362b: 제1 힌지돌부
362c: 제1 마찰회피부 362c1: 흡입측 제1 마찰회피부
362c2: 토출측 제1 마찰회피부 37: 제2 베인롤러
371: 제2 롤러 371a: 제2 힌지홈
372: 제2 베인 372a: 제2 베인바디부
372b: 제2 힌지돌부 381: 제1 토출커버
381a: 제1 토출공간 382: 제2 토출커버
382a: 제2 토출공간 40: 어큐뮬레이터
F: 냉매통로 Fg: 가스력
L1,L1': 실링거리 L2: 제1 격벽의 내주측 길이
L3: 탄성부의 축방향 깊이 L4: 미관통부의 축방향 길이
V1: 제1 압축공간 V2: 제2 압축공간

Claims (20)

  1. 환형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축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베어링플레이트;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롤러;
    상기 실린더에 각각 미끄러지게 삽입되고,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 각각 접촉되어 미끄러지거나 결합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는,
    내주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인이 미끄러지게 삽입되는 베인슬롯;
    내주측의 양쪽 축방향 측면이 개구되도록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기설정된 깊이만큼 함몰되며, 함몰된 부분의 외주측 단부에서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을 향해 관통되어 상기 베인슬롯의 원주방향 일측에 구비되는 흡입구; 및
    상기 베인슬롯과 상기 흡입구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베인슬롯과 상기 흡입구 사이를 분리하는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에는,
    양쪽 원주방향 측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의 원주방향 측면 또는 양쪽 원주방향 측면 사이에서 관통되거나 함몰된 탄성부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을 향해 연장되는 이격부와, 상기 이격부의 외주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맞은 편 이격부를 향해 연장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실린더의 중심에서 상기 연결부의 외주측 끝단까지를 반경으로 하는 가상원의 범위내에 위치하는 로터리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격벽의 양쪽 원주방향 측면을 이루는 상기 베인슬롯의 내측면과 상기 흡입구의 내측면 중에서 적어도 한쪽 내측면에서 원주방향으로 기설정된 깊이만큼 함몰되는 로터리 압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격벽의 한쪽 원주방향 측면을 이루는 상기 베인슬롯의 내측면에서 상기 베인과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로터리 압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격벽의 양쪽 원주방향 측면을 이루는 상기 베인슬롯의 내측면과 상기 흡입구의 내측면에서 각각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축방향으로 관통되거나 함몰되는 로터리 압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격벽의 양쪽 원주방향 측면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각각 동일한 실링거리를 두고 이격되는 로터리 압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탄성부는,
    상기 격벽의 반경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는 로터리 압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내주측 단면적이 외주측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실린더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탄성부의 단면적은 상기 실린더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탄성부의 단면적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로터리 압축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동일한 폭을 가지며 반경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장방형상으로 형성되는 로터리 압축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격벽의 양쪽 축방향 측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 축방향 측면에서 축방향으로 기설정된 깊이만큼 함몰지게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는 상기 탄성부의 내측 단부가 축방향으로 막혀 미관통부가 형성되는 로터리 압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의 축방향 깊이는 상기 미관통부의 축방향 길이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는 로터리 압축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격벽의 양쪽 축방향 측면에서 상기 미관통부의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로터리 압축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축방향을 따라 동일한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로터리 압축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상기 롤러의 반대쪽 단부의 양쪽 모서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 모서리에 모따기된 마찰회피부가 형성되는 로터리 압축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회피부는,
    상기 격벽을 이루는 상기 베인슬롯의 내측면을 마주보는 흡입측 마찰회피부보다 그 반대쪽인 토출측 마찰회피부가 더 크게 라운드지거나 경사지게 형성되는 로터리 압축기.
  15. 삭제
  16. 삭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와 상기 격벽의 원주방향 측면을 이루는 상기 흡입구의 내측면 사이의 실링거리는,
    상기 격벽의 내주측 길이보다는 크거나 같게 형성되는 로터리 압축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슬롯의 반경방향 외측단에는 공간부가 더 연장되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베인슬롯의 원주방향 폭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공간부보다 반경방향으로 내측에서 상기 공간부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로터리 압축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실린더의 양쪽 축방향 측면을 관통하는 축방향 공간부와,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서 상기 축방향 공간부의 내주면으로 연통되는 반경방향 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경방향 공간부는,
    상기 베인슬롯의 반경방향 범위 밖에 형성되는 로터리 압축기.
  20. 제1항 내지 제14항,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의 일단은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일체로 연장되는 로터리 압축기.
KR1020210081884A 2021-06-23 2021-06-23 로터리 압축기 KR102481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884A KR102481674B1 (ko) 2021-06-23 2021-06-23 로터리 압축기
US17/722,526 US11655817B2 (en) 2021-06-23 2022-04-18 Rotary compressor
CN202210430195.8A CN115507026A (zh) 2021-06-23 2022-04-22 旋转式压缩机
EP22171492.6A EP4108926A1 (en) 2021-06-23 2022-05-04 Rotary compres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884A KR102481674B1 (ko) 2021-06-23 2021-06-23 로터리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674B1 true KR102481674B1 (ko) 2022-12-27

Family

ID=81579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884A KR102481674B1 (ko) 2021-06-23 2021-06-23 로터리 압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55817B2 (ko)
EP (1) EP4108926A1 (ko)
KR (1) KR102481674B1 (ko)
CN (1) CN11550702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115B1 (ko) * 2014-09-19 2021-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3087A (ja) 1983-09-17 1985-04-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二重環縫ル−パ−機構
KR19980053484A (ko) * 1996-12-27 1998-09-25 구자홍 로터리압축기의 슬롯구조
KR20100034914A (ko) 2008-09-25 2010-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용 실린더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 압축기
JP2012154235A (ja) 2011-01-26 2012-08-16 Panasonic Corp 回転式圧縮機
KR20160034071A (ko) * 2014-09-19 201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KR20170092044A (ko) * 2016-02-02 2017-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CN206785643U (zh) 2017-04-28 2017-12-22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旋转式压缩机的压缩机构和旋转式压缩机
KR20190011141A (ko) * 2017-07-24 2019-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KR102034799B1 (ko) * 2018-05-10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베인 누설과 마찰 손실을 저감한 로터리 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74112A (en) * 1932-03-14 1934-09-18 Luelia C Johnson Rotary pump
DE1158331B (de) * 1961-01-21 1963-11-28 Nsu Motorenwerke Ag Neckarsulm Kolben fuer Rotationskolbenmaschinen, insbesondere -brennkraftmaschinen
US3813193A (en) * 1972-07-31 1974-05-28 Gen Electric Rotary compressor including means for reducing vane slot wear
JPS6063087U (ja) 1983-10-06 1985-05-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圧縮機
BR8802894A (pt) * 1988-06-09 1990-01-23 Brasil Compressores Sa Compressor rotativo de pistao rolante
JP4008471B2 (ja) 2003-01-20 2007-11-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ロータリ圧縮機
KR101637446B1 (ko) 2009-12-11 201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US10465684B2 (en) 2014-08-04 2019-11-05 Daikin Industries, Ltd. Rotary compressor
US10473102B2 (en) 2016-02-02 2019-11-12 Lg Electronics Inc. Rotary compressor having fluid passage between sliding vane and vane slot
JP6394681B2 (ja) * 2016-11-09 2018-09-26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ロータリ圧縮機
KR102653975B1 (ko) * 2017-02-06 202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KR102366119B1 (ko) * 2017-07-24 2022-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3087A (ja) 1983-09-17 1985-04-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二重環縫ル−パ−機構
KR19980053484A (ko) * 1996-12-27 1998-09-25 구자홍 로터리압축기의 슬롯구조
KR20100034914A (ko) 2008-09-25 2010-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용 실린더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 압축기
JP2012154235A (ja) 2011-01-26 2012-08-16 Panasonic Corp 回転式圧縮機
KR20160034071A (ko) * 2014-09-19 201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KR20170092044A (ko) * 2016-02-02 2017-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CN206785643U (zh) 2017-04-28 2017-12-22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旋转式压缩机的压缩机构和旋转式压缩机
KR20190011141A (ko) * 2017-07-24 2019-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KR102034799B1 (ko) * 2018-05-10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베인 누설과 마찰 손실을 저감한 로터리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412358A1 (en) 2022-12-29
EP4108926A1 (en) 2022-12-28
US11655817B2 (en) 2023-05-23
CN115507026A (zh) 2022-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446219B (zh) 旋转式压缩机
US20170218956A1 (en) Rotary compressor
CN110268163B (zh) 封闭式压缩机
KR102481674B1 (ko) 로터리 압축기
US10962010B2 (en) Compressor
KR20200135037A (ko) 로터리 압축기
KR20190011141A (ko) 로터리 압축기
CN212690342U (zh) 旋转式压缩机
KR102328396B1 (ko) 밀폐형 압축기
KR20190011140A (ko) 로터리 압축기
CN113700648B (zh) 旋转式压缩机
KR102442465B1 (ko) 로터리 압축기
KR102270805B1 (ko) 로터리 압축기
KR20210144364A (ko) 로터리 압축기
KR20220004483A (ko) 로터리 압축기
KR102413930B1 (ko) 토출 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로터리 압축기
KR102317529B1 (ko) 로터리 압축기
KR20240076562A (ko) 로터리 압축기
KR102372174B1 (ko) 로터리 압축기
KR102626191B1 (ko) 로터리 압축기
KR102508196B1 (ko) 로터리 압축기
US11732584B2 (en) Rotary compressor with unequally spaced vane slots
KR102447838B1 (ko) 로터리 압축기
KR20220048089A (ko) 토출 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로터리 압축기
KR100524794B1 (ko)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가스 흡입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