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8089A - 토출 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로터리 압축기 - Google Patents

토출 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로터리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8089A
KR20220048089A KR1020200130830A KR20200130830A KR20220048089A KR 20220048089 A KR20220048089 A KR 20220048089A KR 1020200130830 A KR1020200130830 A KR 1020200130830A KR 20200130830 A KR20200130830 A KR 20200130830A KR 20220048089 A KR20220048089 A KR 20220048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reinforcing member
discharge valve
longitudinal length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3928B1 (ko
Inventor
민동우
이승목
하종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0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928B1/ko
Publication of KR20220048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6Sile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9/124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10St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50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10St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50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토출 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로터리 압축기가 제공된다. 본 명세서의 일 면(aspect)에 따른 토출 밸브 조립체는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 밸브; 상기 토출 밸브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 밸브를 지지하는 리테이너; 및 상기 리테이너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리테이너를 지지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토출 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로터리 압축기{DISCHARGE VALVE ASSEMBLY AND ROTARY COMPRESSOR INCLUDING THEREOF}
본 명세서는 토출 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로터리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압축 냉매의 토출시 발생되는 과도한 압력 차이에 의하여 발생되는 충격파의 강도를 감소시키고, 충격파에 의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토출 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로터리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모터나 터빈 등의 동력 발생 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공기나 냉매 등의 작동 유체를 압축하도록 이루어지는 장치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압축기는 압축기는 산업 전반이나 가전 제품, 특히 증기압축식 냉동사이클(이하 '냉동 사이클'로 칭함) 등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방식에 따라 왕복동식 압축기(Reciprocating compressor), 로터리 압축기(Rotary compressor), 스크롤 압축기(Scroll compressor)로 구분될 수 있다.
로터리 압축기는 롤러와 베인의 결합 여부에 따라 롤링 피스톤 방식과, 힌지 베인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롤링 피스톤 방식은 베인이 롤러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베인이 롤러에 밀착되는 방식이고, 힌지 베인 방식은 베인이 롤러에 힌지 결합되는 방식이다.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는 각각 힌지 베인 방식을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힌지 베인 방식은 롤링 피스톤 방식에 비해 베인의 거동이 안정되어 축 방향 누설을 줄일 수 있다.
로터리 압축기는 압축 과정에서 압축된 냉매를 토출구를 통해 케이싱의 내부 공간으로 토출 시킨다. 이 경우, 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해 리드 밸브를 적용하게 된다. 그러나, 리드 밸브를 이용하여 토출구를 개폐하는 경우 압축된 냉매가 리드 밸브를 타격 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압축 냉매의 토출시 발생되는 충격파에 의해 리드 밸브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0-168977호(2010.08.05)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34071호 (2016.03.29)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압축된 냉매가 토출 밸브를 타격 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토출 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압축 냉매의 토출시 발생되는 충격파에 의한 토출 밸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토출 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의 일 면(aspect)에 따른 토출 밸브 조립체는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 밸브; 상기 토출 밸브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 밸브를 지지하는 리테이너; 및 상기 리테이너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리테이너를 지지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압축된 냉매가 토출 밸브를 타격 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압축 냉매의 토출시 발생되는 충격파에 의한 토출 밸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토출 밸브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부재의 길이 방향 길이는 상기 리테이너의 길이 방향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리테이너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보강 부재와, 상기 제1 보강 부재와 상기 리테이너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보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강 부재의 길이 방향 길이는 상기 리테이너의 길이 방향 길이에 대응되고, 상기 제2 보강 부재의 길이 방향 길이는 상기 리테이너의 길이 방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보강 부재의 길이 방향 길이는 상기 리테이너의 길이 방향 길이의 0.6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강 부재의 하중은 상기 리테이너의 1차 진동 모드 위치에 가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보강 부재의 하중은 상기 리테이너의 2차 진동 모드 위치에 가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부재의 상기 리테이너를 지지하는 영역은 다른 영역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부재의 상기 리테이너를 지지하는 영역의 면적은 상기 보강 부재의 상기 리테이너를 지지하는 영역과 마주하는 상기 리테이너의 영역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의 일 면(aspect)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안에 배치되는 롤러; 상기 실린더의 양측에 배치되어 압축 공간을 형성하고,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압축 공간과 연통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복수의 베어링; 상기 베어링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 밸브; 상기 토출 밸브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 밸브를 지지하는 리테이너; 및 상기 리테이너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리테이너를 지지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압축된 냉매가 토출 밸브를 타격 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압축 냉매의 토출시 발생되는 충격파에 의한 토출 밸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토출 밸브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부재의 길이 방향 길이는 상기 리테이너의 길이 방향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 밸브의 일측과, 상기 리테이너의 일측과, 상기 보강 부재의 일측은 상기 베어링의 일면에 볼팅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리테이너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보강 부재와, 상기 제1 보강 부재와 상기 리테이너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보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강 부재의 길이 방향 길이는 상기 리테이너의 길이 방향 길이에 대응되고, 상기 제2 보강 부재의 길이 방향 길이는 상기 리테이너의 길이 방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보강 부재의 길이 방향 길이는 상기 리테이너의 길이 방향 길이의 0.6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강 부재의 하중은 상기 리테이너의 1차 진동 모드 위치에 가해지고, 상기 제2 보강 부재의 하중은 상기 리테이너의 2차 진동 모드 위치에 가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베어링의 일면에 결합되는 일측과, 상기 리테이너를 지지하는 타측과,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부재의 타측의 두께는 상기 일측과 상기 연결부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베어링의 일면에 결합되는 일측과, 상기 리테이너를 지지하는 타측과,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부재의 상기 타측의 면적은 상기 보강 부재의 상기 타측과 마주하는 상기 리테이너의 타측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압축된 냉매가 토출 밸브를 타격 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토출 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를 통해 압축 냉매의 토출시 발생되는 충격파에 의한 토출 밸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토출 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종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압축부의 횡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에서 회전축의 회전각에 대한 베인롤러의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메인 베어링의 일부와 토출 밸브 조립체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은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 밸브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 밸브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토출 밸브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토출 밸브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토출 밸브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 밸브 조립체의 1차 진동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 밸브 조립체의 2차 진동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종래 기술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토출 밸브 조립체에서의 소음 피크 성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은 종래 기술과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토출 밸브 조립체의 댐핑 수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discloser)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명세서(discloser)의 용어는 document, specification, description 등의 용어로 대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종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압축부의 횡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는 케이싱(10)과, 케이싱(10)의 내부 공간(11)에 배치되는 전동부(20)와, 전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30)과, 회전축(30)에 기구적으로 연결되는 압축부(10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축 방향은 도 1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의미하고, 반경 방향은 도 1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전동부(20)는 케이싱(10)의 내주면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고정자(21)와, 고정자(2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자(2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자(22)에는 회전축(30)이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30)에는 편심부(35)가 축부(31)에 대해 편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편심부(35)에는 베인롤러(140)의 롤러(141)가 미끄러지게 결합될 수 있다.
압축부(100)는 메인 베어링(110)과, 서브 베어링(120)과, 실린더(130)와, 베인롤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베어링(110)과 서브 베어링(120)은 실린더(130)를 사이에 두고 축 방향으로 양쪽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베어링(110)과 서브 베어링(120)과 실린더(130)의 사이에는 압축 공간(V)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베어링(110)과 서브 베어링(120)은 실린더(130)를 관통하는 회전축(30)을 반경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베인롤러(140)는 회전축(30)의 편심부(35)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인롤러(140)는 실린더(130)에서 선회 운동을 하여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메인 베어링(110)은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는 메인 플랜지부(111)와, 메인 플랜지부(111)의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되는 측벽부(111a)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부(111a)는 케이싱(10)의 내주면에 열박음되거나 용접될 수 있다. 메인 플랜지부(111)의 중앙 영역에는 메인 베어링부(112)가 상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베어링부(112)에는 회전축(30)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메인 축수 구멍(112a)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베어링부(112)는 압축 공간(V)과 연통되는 토출구(114)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구(114)는 압축 공간(V)에서 압축되는 냉매를 케이싱(10)의 내부 공간(11)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토출구(114)는 메인 베어링(110)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토출구(114)는 서브 베어링(120)에 형성될 수도 있고, 메인 베어링(110)과 서브 베어링(120)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서브 베어링(120)은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는 서브 플랜지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플랜지부(120)는 메인 베어링(11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플랜지부(120)는 실린더(130)와 함께 메인 베어링(110)에 볼팅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실린더(130)가 케이싱(10)에 고정되는 경우 메인 베어링(110)은 서브 베어링(120)과 실린더(130)에 각각 볼팅 결합될 수도 있고, 서브 베어링(120)이 케이싱(10)에 고정되는 경우 실린더(130)와 메인 베어링(110)이 서브 베어링(120)에 볼팅 결합될 수도 있다.
서브 플랜지부(121)의 중앙 영역에는 서브 베어링부(122)가 하향 돌출될 수 있다. 서브 베어링부(122)에는 서브 축수 구멍(122a)이 메인 축수 구멍(112a)와 동일 축선 상에서 형성될 수 있다. 서브 축수 구멍(122a)은 회전축(30)의 하부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실린더(130)의 내주면은 내경이 동일한 진원 형상의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130)의 내경은 롤러(14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130)의 내주면과 롤러(141)의 외주면 사이에는 압축 공간(V)이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130)의 내주면은 압축 공간(V)의 외벽면을 형성하고, 롤러(141)의 외주면은 압축 공간(V)의 내벽면을 형성하고, 베인(145)은 압축 공간(V)의 측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 롤러(141)가 선회 운동을 함에 따라, 압축 공간(V)의 외벽면은 고정벽을 이루는 반면, 압축 공간(V)의 내벽면과 측벽면은 그 위치가 가변되는 가변벽을 형성할 수 있다.
실린더(130)는 흡입구(131)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131)의 원주 방향 일측에는 베인 슬롯(132)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인 슬롯(132)을 사이에 두고 흡입구(131)의 반대편에는 토출 안내홈(133)이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31)는 원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31)는 실린더(130)의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를 관통할 수 있다. 흡입구(131)는 케이싱(10)을 관통하는 흡입관(12)과 연결될 수 있다. 냉매는 흡입관(12)과 흡입구(131)를 통해 실린더(130)의 압축 공간(V)으로 흡입될 수 있다.
베인 슬롯(132)은 직육면체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인 슬롯(132)은 실린더(130)의 내주면에서 외주면을 향하는 반경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베인 슬롯(132)의 내주측은 개구될 수 있다. 베인 슬롯(132)의 외주측은 막히거나 또는 케이싱(10)의 내주면에 의해 막히도록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베인 슬롯(132)은 베인롤러(140)의 베인(145)이 미끄러지게 삽입될 수 있다. 베인 슬롯(132)의 폭과 두께는 베인(145)의 폭과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베인(145)의 양쪽 측면은 베인 슬롯(132)의 양쪽 내벽면에 의해 지지되어 반경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토출 안내홈(133)는 실린더(130)의 내측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 안내홈(133)은 반구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 안내홈(133)은 모따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 안내홈(133)은 실린더(130)의 압축 공간(V)에서 압축된 냉매를 메인 베어링(110)의 토출구(144)로 안내할 수 있다. 토출 안내홈(133)은 토출구(133)와 연통되도록 축 방향으로 토출구(133)와 중첩(overlap)될 수 있다. 토출 안내홈(133)는 사체적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외되고 실시되거나, 최소한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인롤러(140)는 롤러(141)와 베인(145)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141)와 베인(145)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대 운동하도록 별개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는 롤러(141)와 베인(145)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롤러(14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롤러(141)는 실린더(130)의 안에 배치될 수 있다. 롤러(141)의 축 방향 높이는 실린더(130)의 내주면의 높이에 대응될 수 있다. 롤러(141)가 메인 베어링(110)과 서브 베어링(120)에 대해 미끄럼 운동을 하기 위해, 롤러(141)의 축 방향 높이는 실린더(130)의 내주면의 높이보다 약간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롤러(141)의 내주면의 높이와 외주면의 높이는 거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롤러(141)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연결하는 양쪽 축 방향 단면은 제1 실링면(141a)과 제2 실링면(141b)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실링면(141a)과 제2 실링면(141b)은 롤러(141)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대해 각각 직각을 이룰 수 있다. 롤러(141)의 내주면과 제1 및 제2 실링면(141a, 141b) 사이의 모서리, 또는 롤러(141)의 외주면과 제1 및 제2 실링면(141a, 141b) 사이의 모서리는 직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경사지거나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롤러(141)는 회전축(30)의 편심부(3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롤러(141)는 회전축(30)의 편심부(35)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베인(145)은 실린더(130)의 베인 슬롯(132)에 미끄러지게 결합될 수 있다. 베인(145)은 롤러(141)의 외주면에 힌지(hinge)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축(30)의 회전하는 경우, 롤러(141)는 편심부(35)에 의해 실린더(130)의 내부에서 선회 운동을 하고, 베인(145)은 롤러(141)에 결합된 상태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롤러(141)의 외주면에는 베인(145)의 힌지 돌부(1452)가 삽입되는 힌지 홈(1411)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 홈(1411)에는 베인(145)의 힌지 돌부(145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힌지 홈(1411)의 외주면은 개구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힌지 홈(1411)의 내경은 힌지 돌부(145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힌지 홈(1411)의 내경은 힌지 돌부(1452)가 삽입된 상태에서 빠지지 않으면서 미끄럼 운동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인(145)은 슬라이딩부(1451)와, 힌지 돌부(1452)와, 간섭 회피부(1453)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1451)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1451)는 기 설정된 길이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부(1451)는 전체적으로 장방향의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1451)는 롤러(141)가 베인 슬롯(132)의 반대쪽으로 완전히 이동한 상태에서도 베인(145)이 베인 슬롯(132)에 남아 있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힌지 돌부(1452)는 롤러(141)를 마주보는 슬라이딩부(1451)의 전방측 단부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힌지 돌부(1452)는 힌지 홈(1411)에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다. 힌지 돌부(1452)는 힌지 홈(1411)에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는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힌지 돌부(1452)는 힌지 홈(1411)에 대응하도록 반원형이나, 연결 부분을 제외하고 원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간섭 회피부(1453)는 베인(145)이 롤러(141)에 대해 회전 운동할 때, 슬라이딩부(1451)가 힌지 홈(1411)의 축 방향 모서리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간섭 회피부(1453)는 슬라이딩부(1451)과 힌지 돌부(145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간섭 회피부(1453)는 슬라이딩부(1451)과 힌지 돌부(1452) 사이의 면적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함몰지게 형성될 수 있다.
간섭 회피부(1453)는 슬라이딩부(1451)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 형성될 수 있다. 간섭 회피부(1453)는 함몰진 쐐기 단면 형상이나, 곡면진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간섭 회피부(1453)는 베인 슬롯(132)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베인 슬롯(132)의 내벽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고, 롤러(141)의 외주면과 냉매 잔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토출 밸브(150)는 메인 베어링(110)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 밸브(150)는 토출구(114)를 개폐할 수 있다. 토출 밸브(150)는 리드 밸브(lead valve)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밸브(150)는 압축 공간(V)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경우 토출구(114)을 오픈시키고, 이외의 경우 토출구(114)를 밀폐하여 압축 공간(V)에서의 냉매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토출 밸브(150)는 메인 베어링(110)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서브 베어링(120)에 설치되거나, 메인 베어링(110)과 서브 베어링(120) 모두에 설치될 수도 있다.
머플러(160)는 메인 베어링(110)에 배치될 수 있다. 머플러(160)는 메인 베어링(160)에 볼팅(volting) 결합될 수 있다. 머플러(160)의 내측면과 메인 베어링(110)의 상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토출구(114)에서 토출되는 압축 냉매가 내부 공간(11)으로 토출되는 경우 발생되는 공명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로터리 압축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될 수 있다.
전동부(20)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전동부(20)의 회전자(22)가 회전하여 회전축(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축(30)의 편심부(35)에 결합된 베인롤러(140)의 롤러(141)가 선회 운동을 하면서 냉매를 실린더(130)의 압축 공간(V)으로 흡입할 수 있다.
이 냉매는 베인롤러(140)의 롤러(141)와 베인(145)에 의해 압축되고, 압축된 냉매는 메인 베어링(110)에 구비된 토출 밸브(150)를 열고 토출구(114)를 통해 머플러(160)를 지나 케이싱(10)의 내부 공간(11)으로 토출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에서 회전축의 회전각에 대한 베인롤러의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롤러(141)와 베인(145)은 회전축(30)의 회전각에 따라 위치가 다음과 같이 변동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회전축(30)의 편심부(35)가 베인 슬롯(132)을 마주보는 위치에서 회전축(30)의 축 중심(O)과 힌지 홈(1411)의 축 중심(O`)을 지나는 가상선이 기준이 되고, 이 가상선의 위치를 0°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축(30)의 축 중심(O)은 실린더(130)의 축 중심과 동일할 수 있다. 롤러(141)의 힌지 홈(1411)이 실린더(130)의 내주면과 인접하여 베인(145)이 베인 슬롯(132)의 안쪽으로 인입될 수 있다.
도 4는 회전축이 60°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5는 회전축이 120°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롤러(141)의 힌지 홈(1411)은 실린더(130)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베인(145)의 일부가 베인 슬롯(132)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냉매가 흡입구(131)를 통해 후행 압축실(V2)로 유입되고, 후행 압축실(V2)는 흡입실을 형성할 수 있다. 선행 압축실(V1)은 압축실을 형성하여 선행 압축실(V1)에 채워진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도 6은 회전축이 180°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롤러(141)의 힌지 홈(1411)은 실린더(130)의 내주면으로부터 최대로 이격될 수 있다. 베인(145)은 베인 슬롯(132)으로부터 최대로 인출될 수 있다. 선행 압축실(V1)은 압축 행정이 상당히 진행된 상태일 수 있다. 선행 압축실(V1)에 수용된 냉매는 토출압에 근접한 상태일 수 있다.
도 7은 회전축이 240°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롤러(145)의 힌지 홈(1411)은 다시 실린더(130)의 내주면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베인(145)은 베인 슬롯(132)으로 일부가 인입될 수 있다. 선행 압축실(V1)에 수용된 냉매는 이미 토출압에 도달하여 토출을 개시하거나, 토출개시시점에 도달한 상태일 수 있다.
도 8은 회전축이 300°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선행 압축실(V1)의 냉매가 거의 토출 완료된 상태일 수 있다. 롤러(141)의 힌지 홈(1411)이 실린더(130)의 내주면과 인접할 수 있다. 베인(145)은 베인 슬롯(132)에 거의 인입된 상태일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메인 베어링의 일부와 토출 밸브 조립체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은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 밸브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 밸브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토출 밸브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토출 밸브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토출 밸브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 밸브 조립체의 1차 진동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 밸브 조립체의 2차 진동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종래 기술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토출 밸브 조립체에서의 소음 피크 성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은 종래 기술과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토출 밸브 조립체의 댐핑 수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는 토출 밸브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밸브 조립체는 메인 베어링(110)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 밸브 조립체는 메인 베어링(110)의 메인 플랜지부(111)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 밸브 조립체는 메인 베어링(110)의 메인 플랜지부(111)의 메인 홈(115)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 밸브 조립체는 토출구(114)를 개폐할 수 있다. 토출 밸브 조립체는 결합 부재(152)를 통해 메인 베어링(110)에 결합될 수 있다. 토출 밸브 조립체의 일측은 결합 부재(152)에 의해 메인 베어링(110) 상에 고정되고, 토출 밸브 조립체의 타측은 압축 공간(V)에서 압축된 냉매의 압력에 의해 토출구(114)를 개폐할 수 있다. 토출 밸브 조립체는 토출 밸브(150)와, 리테이너(151)와, 보강 부재(200, 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토출 밸브 조립체는 메인 베어링(110)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토출구(114)의 위치에 따라 서브 베어링(120)에 설치될 수도 있고, 메인 베어링(110) 및 서브 베어링(1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토출 밸브 조립체는 토출 밸브(150)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밸브(150)는 메인 베어링(110)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 밸브(150)는 메인 베어링(110)의 메인 플렌지부(111)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 밸브(150)는 메인 베어링(110)의 메인 플랜지부(111)의 메인 홈(115)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 밸브(150)는 결합 부재(152)를 통해 메인 베어링(11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 밸브(150)의 일측(1501)은 결합 부재(152)에 의해 메인 베어링(110)에 볼팅 결합될 수 있다. 토출 밸브(150)의 일측(1501)은 결합 부재(152)에 의해 메인 베어링(110) 상에 고정되고, 토출 밸브(150)의 타측(1503)은 압축 공간(V)에서 압축된 냉매의 압력에 의해 토출구(114)를 개폐할 수 있다. 토출 밸브(150)의 일측(1501)과 타측(1503)은 연결부(150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토출 밸브(150)의 연결부(1502)의 폭은 일측(1501)의 면적과 타측(1503)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토출 밸브(15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 밸브(15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 밸브(150)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 밸브(150)는 리드 밸브(lead valve)일 수 있다. 토출개시시점에 도달하는 경우, 토출 밸브(150)의 타측(1503)은 토출압에 의해 위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토출 밸브(150)의 타측(1503)이 메인 베어링(110)에서 분리되어 토출구(114)를 열어 압축된 냉매를 토출시킬 수 있다.
토출 밸브 조립체는 리테이너(151)를 포함할 수 있다. 리테이너(151)는 메인 베어링(110)에 배치될 수 있다. 리테이너(151)는 메인 베어링(110)의 메인 플랜지부(111)에 배치될 수 있다. 리테이너(151)는 메인 베어링(110)의 메인 플랜지부(111)의 메인 홈(115)에 배치될 수 있다. 리테이너(151)는 결합 부재(152)를 통해 메인 베어링(11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테이너(151)의 일측(1511)은 결합부재(152)에 의해 메인 베어링(110)에 볼팅 결합될 수 있다.
리테이너(151)는 토출 밸브(15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테이너(151)는 토출 밸브(15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리테이너(151)는 토출 밸브(150)를 지지할 수 있다. 토출개시시점이 아닌 경우, 리테이너(151)의 타측(1513)은 토출 밸브(150)의 타측(1503)과 축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리테이너(151)의 일측(1501)은 결합 부재(152)에 의해 메인 베어링(110) 상에 고정되고, 리테이너(151)의 타측(1513)은 토출 밸브(150)가 위로 이동하는 경우 토출 밸브(150)의 타측(1503)을 지지할 수 있다. 리테이너(151)의 일측(1511)과 타측(1513)은 연결부(151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리테이너(151)의 연결부(1512)의 폭은 일측(1511)과 타측(1513)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토출 밸브 조립체는 제1 보강 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강 부재(200)는 메인 베어링(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강 부재(200)는 메인 베어링(110)의 메인 플랜지부(11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강 부재(200)는 메인 베어링(110)의 메인 플랜지부(111)의 메인 홈(115)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강 부재(200)는 결합 부재(152)를 통해 메인 베어링(11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강 부재(200)의 일측(201)은 결합 부재(152)에 의해 메인 베어링(110)에 볼팅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토출 밸브(150)의 일측(1501)과 리테이너(151)의 일측(1511)과 제1 보강 부재(200)의 일측(201)은 하나의 결합 부재(152)에 의해 메인 베어링(110)에 볼팅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각각 별도의 결합 부재에 의해 메인 베어링(110) 상에 고정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제1 보강 부재(200)는 리테이너(15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강 부재(200)는 리테이너(151)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강 부재(200)는 리테이너(151)를 지지할 수 있다. 토출개시시점이 아닌 경우, 제1 보강 부재(200)의 타측(203)은 리테이너(151)의 타측(1503)과 인접하거나 접촉할 수 있으나, 제1 보강 부재(200)의 타측(203)이 리테이너(151)의 타측(1503)과 축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제1 보강 부재(200)의 일측(201)은 결합 부재(152)에 의해 메인 베어링(110) 상에 고정되고, 제1 보강 부재(200)의 타측(203)은 토출 밸브(150)가 위로 이동하는 경우 리테이너(151)의 타측(1513)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보강 부재(200)의 일측(201)과 타측(203)은 연결부(20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보강 부재(200)의 연결부(202)의 폭은 일측(201)과 타측(203)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토출개시시점이 아닌 경우, 제1 보강 부재(200)의 연결부(202)는 리테이너(151)의 연결부(1512)와 축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보강 부재(200)의 길이 방향 길이는 리테이너(151)의 길이 방향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제1 보강 부재(200)의 타측(203)의 끝단이 리테이너(151)의 타측(203)의 끝단과 접촉하거나 인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보강 부재(200)의 타측(203)의 끝단이 리테이너(151)의 1차 진동 모드 위치(P1)와 접촉하거나 인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보강 부재(200)의 하중이 리테이너(151)의 1차 진동 모드 위치(P1)에 가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리테이너(151)의 1차 진동 모드에서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151)의 1차 진동 모드에서의 진동을 줄일 수 있으므로, 압축 냉매의 토출시 발생되는 충격파에 의해 토출 밸브(150)나 리테이너(15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토출 밸브(150)가 열려 리테이너(151)와 접촉하여 리테이너(151)가 진동하는 경우, 리테이너(151)의 1차 진동 모드 위치(P1)는 리테이터(151)의 타측(1513)의 끝단이 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서 리테이너(151)의 1차 진동 모드 위치(P1)에서 소음이 피크치가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1 보강 부재(200)의 하중이 리테이너(151)의 1차 진동 모드 위치(P1)에 가해지므로, 리테이너(151)의 진동 소음을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151)의 1차 진동 모드에서의 진동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압축 냉매의 토출시 발생되는 충격파에 의해 토출 밸브(150)나 리테이너(151)가 손상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 보강 부재(200)의 리테이너(151)를 지지하는 영역은 다른 영역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강 부재(200)의 타측(203)의 영역은 제1 보강 부재(200)의 일측(201)이나, 제1 보강 부재(200)의 연결부(202)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을 참조하면, 제1 보강 부재(200)의 타측(203)에는 보강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리테이너(151)의 1차 진동 모드 위치(P1)에서의 소음 감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보강 부재(200)의 리테이너(151)를 지지하는 영역의 면적은 보강 부재(200)의 리테이너(151)를 지지하는 영역과 마주하는 리테이너(151)의 영역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를 참조하면, 제1 보강 부재(200)의 타측(203)은 리테이너(151)의 타측(1513)의 영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리테이너(151)의 1차 진동 모드 위치(P1)에서의 소음 감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보강 부재(200)는 토출 밸브(15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 밸브(150)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제1 보강 부재(2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강 부재(200)는 토출 밸브(15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강 부재(200)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보강 부재(200)가 토출 밸브(150)와 동일한 형상과 재질을 가지므로 별도의 추가 가공이 필요 하지 않고, 저렴한 리드 밸브를 사용하므로 공정상 비용이 크게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토출 밸브 조립체는 제2 보강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강 부재(300)는 메인 베어링(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보강 부재(300)는 메인 베어링(110)의 메인 플랜지부(111)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보강 부재(300)는 메인 베어링(110)의 메인 플랜지부(111)의 메인 홈(115)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보강 부재(300)는 결합 부재(152)를 통해 메인 베어링(11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보강 부재(300)의 일측은 결합 부재(152)에 의해 메인 베어링(110)에 볼팅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토출 밸브(150)의 일측(1501)과 리테이너(151)의 일측(1511)과 제1 보강 부재(200)의 일측(201)과 제2 보강 부재(300)의 일측은 하나의 결합 부재(152)에 의해 메인 베어링(110)에 볼팅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각각 별도의 결합 부재에 의해 메인 베어링(110) 상에 고정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제2 보강 부재(300)는 제1 보강 부재(200)와 리테이너(15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보강 부재(300)는 리테이너(151)를 지지할 수 있다. 토출개시시점이 아닌 경우, 제2 보강 부재(300)의 타측은 리테이너(151)의 연결부(1512)와 인접하거나 접촉할 수 있으나, 제2 보강 부재(300)의 타측이 리테이너(151)의 연결부(1512)와 축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제2 보강 부재(300)의 일측은 결합 부재(152)에 의해 메인 베어링(110) 상에 고정되고, 제2 보강 부재(300)의 타측은 토출 밸브(150)가 위로 이동하는 경우 리테이너(151)의 연결부(1512)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보강 부재(300)는 토출 밸브(15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 밸브(150)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제2 보강 부재(3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보강 부재(300)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 보강 부재(300)가 토출 밸브(150)와 동일한 재질을 가지므로, 단순한 절삭 작업만으로도 저렴한 리드 밸브를 사용 가능하므로 공정상 비용이 크게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제2 보강 부재(300)의 길이 방향 길이는 리테이너(151)의 길이 방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보강 부재(300)의 길이 방향 길이는 리테이너(151)의 2차 진동 모드 위치(P2)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보강 부재(300)의 길이 방향 길이는 리테이너(151)의 길이 방향 길이의 0.6배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보강 부재(300)의 하중이 리테이너(151)의 2차 진동 모드(P2)의 위치에 가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리테이너(151)의 2차 진동 모드에서의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151)의 2차 진동 모드에서의 진동을 줄일 수 있으므로, 압축 냉매의 토출시 발생되는 충격파에 의해 토출 밸브(150)나 리테이너(15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토출 밸브(150)가 열려 리테이너(151)와 접촉하여 리테이너(151)가 진동하는 경우, 리테이너(151)의 2차 진동 모드 위치(P2)는 리테이터(151)의 연결부(1512) 상에 있을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서 리테이너(151)의 2차 진동 모드 위치(P2)에서 소음이 피크치가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2 보강 부재(300)의 하중이 리테이너(151)의 2차 진동 모드 위치(P2)에 가해지므로, 리테이너(151)의 진동 소음을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151)의 2차 진동 모드에서의 진동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압축 냉매의 토출시 발생되는 충격파에 의해 토출 밸브(150)나 리테이너(151)가 손상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토출 밸브 조립체의 보강 부재(200, 300)로 인해 리테이너(151)에 대한 진동 댐핑 효과가 기존에 비해 상승함을 알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명세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명세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케이싱 11: 내부 공간
12: 흡입관 13: 토출관
20: 전동부 21: 고정자
22: 회전자 30: 회전축
31: 축부 35: 편심부
100: 압축부 110: 메인 베어링
111: 메인 플랜지부 111a: 측벽부
112: 메인 베어링부 112a: 메인 축수 구멍
114: 토출구 115: 메인 홈
120: 서브 베어링 121: 서브 플랜지부
122: 서브 베어링부 122a: 서브 축수 구멍
130: 실린더 131: 흡입구
132: 베인 슬롯 133: 토출 안내홈
140: 베인롤러 141: 롤러
141a: 제1 실링면 141b: 제2 실링면
1411: 힌지 홈 145: 베인
1451: 슬라이딩부 1452: 힌지 돌부
1453: 간섭 회피부 150: 토출 밸브
151: 리테이너 152: 결합 부재
160: 머플러 200: 제1 보강 부재
300: 제2 보강 부재

Claims (20)

  1.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 밸브;
    상기 토출 밸브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 밸브를 지지하는 리테이너; 및
    상기 리테이너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리테이너를 지지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토출 밸브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토출 밸브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토출 밸브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의 길이 방향 길이는 상기 리테이너의 길이 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토출 밸브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리테이너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보강 부재와, 상기 제1 보강 부재와 상기 리테이너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토출 밸브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부재의 길이 방향 길이는 상기 리테이너의 길이 방향 길이에 대응되고,
    상기 제2 보강 부재의 길이 방향 길이는 상기 리테이너의 길이 방향 길이보다 짧은 토출 밸브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 부재의 길이 방향 길이는 상기 리테이너의 길이 방향 길이의 0.6배인 토출 밸브 조립체.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부재의 하중은 상기 리테이너의 1차 진동 모드 위치에 가해지는 토출 밸브 조립체.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 부재의 하중은 상기 리테이너의 2차 진동 모드 위치에 가해지는 토출 밸브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의 상기 리테이너를 지지하는 영역은 다른 영역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토출 밸브 조립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의 상기 리테이너를 지지하는 영역의 면적은 상기 보강 부재의 상기 리테이너를 지지하는 영역과 마주하는 상기 리테이너의 영역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토출 밸브 조립체.
  11.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안에 배치되는 롤러;
    상기 실린더의 양측에 배치되어 압축 공간을 형성하고,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압축 공간과 연통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복수의 베어링;
    상기 베어링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 밸브;
    상기 토출 밸브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 밸브를 지지하는 리테이너; 및
    상기 리테이너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리테이너를 지지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로터리 압축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토출 밸브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로터리 압축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의 길이 방향 길이는 상기 리테이너의 길이 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로터리 압축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밸브의 일측과, 상기 리테이너의 일측과, 상기 보강 부재의 일측은 상기 베어링의 일면에 볼팅 결합되는 로터리 압축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리테이너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보강 부재와, 상기 제1 보강 부재와 상기 리테이너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로터리 압축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부재의 길이 방향 길이는 상기 리테이너의 길이 방향 길이에 대응되고,
    상기 제2 보강 부재의 길이 방향 길이는 상기 리테이너의 길이 방향 길이보다 짧은 로터리 압축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 부재의 길이 방향 길이는 상기 리테이너의 길이 방향 길이의 0.6배인 로터리 압축기.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부재의 하중은 상기 리테이너의 1차 진동 모드 위치에 가해지고,
    상기 제2 보강 부재의 하중은 상기 리테이너의 2차 진동 모드 위치에 가해지는 로터리 압축기.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베어링의 일면에 결합되는 일측과, 상기 리테이너를 지지하는 타측과,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부재의 타측의 두께는 상기 일측과 상기 연결부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로터리 압축기.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베어링의 일면에 결합되는 일측과, 상기 리테이너를 지지하는 타측과,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부재의 상기 타측의 면적은 상기 보강 부재의 상기 타측과 마주하는 상기 리테이너의 타측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로터리 압축기.
KR1020200130830A 2020-10-12 2020-10-12 토출 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로터리 압축기 KR102413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830A KR102413928B1 (ko) 2020-10-12 2020-10-12 토출 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로터리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830A KR102413928B1 (ko) 2020-10-12 2020-10-12 토출 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로터리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089A true KR20220048089A (ko) 2022-04-19
KR102413928B1 KR102413928B1 (ko) 2022-06-28

Family

ID=81391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830A KR102413928B1 (ko) 2020-10-12 2020-10-12 토출 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로터리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9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7207A (ko) * 2000-02-01 2001-08-17 구자홍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토출 밸브 소음 저감구조
JP2010168977A (ja) 2009-01-22 2010-08-05 Panasonic Corp 密閉型圧縮機
KR20160034071A (ko) 2014-09-19 201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7207A (ko) * 2000-02-01 2001-08-17 구자홍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토출 밸브 소음 저감구조
JP2010168977A (ja) 2009-01-22 2010-08-05 Panasonic Corp 密閉型圧縮機
KR20160034071A (ko) 2014-09-19 201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3928B1 (ko)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299653A (ja) ローリングピストン及びそれを備えた回転式圧縮機のガス漏れ防止装置
US10012232B2 (en) Compressor
EP3741958B1 (en) Rotary compressor
KR101335427B1 (ko) 스크롤 압축기
US11754071B2 (en) Hermetic compressor including an intermediate plate having a curved suction passage
US20210025389A1 (en) Rotary comppresor
KR102413928B1 (ko) 토출 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로터리 압축기
KR102413930B1 (ko) 토출 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로터리 압축기
KR102481674B1 (ko) 로터리 압축기
KR200381016Y1 (ko) 로터리 압축기의 흡입손실 저감 구조
KR102387189B1 (ko) 로터리 압축기
US11448072B2 (en) Rotary compressor
EP3739214B1 (en) Rotary compressor
KR20190011140A (ko) 로터리 압축기
KR102270805B1 (ko) 로터리 압축기
WO2023166604A1 (ja) 圧縮機
KR102317529B1 (ko) 로터리 압축기
KR101161440B1 (ko) 로터리 압축기
JP6869378B2 (ja) ロータリ圧縮機
KR20180094412A (ko) 로터리 압축기
KR100234777B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압축손실 저감구조
JP2017172343A (ja) 回転式圧縮機
KR20150040054A (ko) 로터리 압축기
KR20080076114A (ko) 회전압축기
KR20010097677A (ko) 밀폐형 압축기의 가스누설 저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