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4794B1 -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가스 흡입구조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가스 흡입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4794B1
KR100524794B1 KR10-2004-0000755A KR20040000755A KR100524794B1 KR 100524794 B1 KR100524794 B1 KR 100524794B1 KR 20040000755 A KR20040000755 A KR 20040000755A KR 100524794 B1 KR100524794 B1 KR 100524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uction
refrigerant gas
suction port
hermetic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0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2357A (ko
Inventor
박준홍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0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4794B1/ko
Publication of KR20050072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4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47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2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 F16L1/036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the pipes being composed of sections of short lengt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1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between shaft elements, e.g. of rings forming said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가스 흡입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한 개의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그 내부공간에 연통하는 한 개의 흡입구를 형성하는 실린더와, 실린더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하도록 결합하여 상기한 실린더의 내부공간을 상하 복수 개의 압축공간으로 구획하도록 블레이드부를 가지는 회전축과, 블레이드부의 상하 양측면에 압접하여 각각의 밀폐공간을 압축실과 흡입실로 전환 가능하게 구분하는 복수 개의 베인을 포함한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흡입구는 양쪽 압축공간에 모두 연통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중심을 향해 방사상으로 형성하고, 그 흡입구의 수평중심선에 접하는 흡입실 방향의 모서리에 냉매가스의 흡입을 유도하는 가스안내홈을 경사지게 형성하거나 또는 흡입구는 양쪽 압축공간에 모두 연통하도록 그 축방향 중심선이 상기 실린더의 중심에 대해 흡입실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어긋나도록 형성함으로써, 냉매가스의 유로저항을 줄여 흡입소음은 줄이면서 흡입량은 크게 늘릴 수 있고 이를 통해 압축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블레이드부에 의해 흡입구가 막힐 때 냉매가스를 우회시켜 흡입되도록 가스연통홈을 형성함으로써, 냉매가스가 지속적으로 흡입되도록 하여 압축기의 흡입손실은 낮추고 효율은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가스 흡입구조{REFRIGERANTS SUCTION STRUCTURE FOR ENCLOSSED COMPRESSOR}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베인을 구비하는 베인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매가스의 흡입시 유로저항을 줄이고 흡입면적을 넓혀 흡입량을 늘릴 수 있는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가스 흡입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인식 압축기는 회전체에 베인을 압접시켜 실린더의 내부공간을 흡입영역과 압축영역으로 구획하고, 회전체를 회전하여 흡입영역과 압축영역을 서로 연속적으로 바꾸면서 유체를 흡입 압축 토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베인식 압축기의 일례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베인식 압축기는, 케이싱(1)의 내측 상부에 동력을 발생하도록 설치하는 전동기구부와, 전동기구부에 연결하여 유체를 흡입 압축 토출하도록 설치하는 압축기구부로 구성하고 있다.
압축기구부는 냉매가스를 흡입 압축하기 위한 내부공간(V)을 구비하여 케이싱(1)의 하반부에 고정하는 실린더(2)와, 실린더(2)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체결하여 함께 실린더조립체를 형성하는 제1 베어링플레이트(3A) 및 제2 베어링플레이트(3B)와, 실린더조립체의 내부공간(V)을 복수 개의 압축공간(S1)(S2)으로 구획하도록 블레이드부(4C)를 구비하여 전동기구부의 동력을 압축기구부에 전달하는 회전축(4)과, 회전축(4)의 블레이드부(4C) 양측에 각각 접촉하여 상기 회전축(4)의 회전시 각각의 압축공간(S1)(S2)을 흡입영역 및 압축영역으로 가변하는 제1 베인(5A) 및 제2 베인(5B)과, 각 베인(5A)(5B)을 양단으로 함께 탄력 지지하는 베인스프링(6)을 포함하고 있다.
실린더(2)는 도 2에서와 같이 환형으로 형성하되 그 일측에는 가스흡입관(SP)과 연통하여 복수 개의 압축공간(S1)(S2)에 함께 연통하는 한 개의 흡입구(2a)를 형성하고 있다. 흡입구(2a)는 도 3에서와 같이 그 중심선이 실린더(2)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방사상으로 형성하고, 흡입구(2a)의 직경은 상기한 회전축(4)의 블레이드부(4C) 두께 보다 넓게 형성하고 있다.
베어링플레이트(3A)(3B)는 실린더(2)의 상면과 하면을 복개하도록 원판 모양으로 형성하고 있다.
회전축(4)은 제1 베어링플레이트(3A)와 제2 베어링플레이트(3B)를 관통하도록 전동기구부의 회전자(미도시)에 결합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축부(4A)와, 축부(4A)의 하반부에 반경방향으로 확장 형성하여 상기 제1 베어링플레이트(3A)와 제2 베어링플레이트(3B)의 스러스트베어링면에 미끄럼 접촉하여 지지되는 베어링부(4B)와, 베어링부(4B)의 외주면에서 확장 형성하여 실린더조립체의 내부공간(V)을 밀폐공간인 제1 압축공간(S1) 및 제2 압축공간(S2)으로 구획하는 블레이드부(4C)로 이루어져 있다.
축부(4A)는 그 내부에 케이싱(1)의 오일을 흡상할 수 있도록 오일유로(4a)를 길게 관통 형성하고 있다.
베어링부(4B)는 그 중심이 축부(4A)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평면투영시 축부(4A)와 동심상에 형성하고, 블레이드부(4C)을 중심으로 할 때 상하 양측의 직경이 동일하도록 대칭지게 형성하고 있다.
블레이드부(4C)는 외주면이 실린더(2)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하도록 평면 투영시 원판형으로 형성하고, 양 측면은 측면 전개시 내주면에서 외주면까지 동일한 두께를 갖는 정현파 모양의 캠면으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베인식 압축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전동기구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회전자(미도시)가 회전하면, 회전축(4)이 회전자와 함께 도2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블레이드부(4C)의 상하 양 측면에 각각 접촉한 제1 베인(5A)과 제2 베인(5B)이 블레이드부(4C)의 높낮이를 따라 상하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과정에서 실린더조립체의 제1 압축공간(S1)과 제2 압축공간(S2)의 용적이 번갈아 가변되면서 냉매가스가 가스흡입관(SP)을 통해 제1 압축공간(S1)과 제2 압축공간(S2)으로 흡입되어 순차적으로 압축되어 상기 블레이드부(4C)의 양쪽 볼록곡면부가 토출개시시점에 도달하는 순간부터 각 토출구(미도시)를 지나는 순간까지 각각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다.
여기서, 냉매가스가 흡입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흡입구(2a)는 블레이드부(4C)를 중심으로 양분되어 그 중 한 쪽은 제1 압축공간(S1)과 연통되고 다른 한 쪽은 제2 압축공간(S2)과 연통되되 블레이드부(4C)의 회전에 따라 각 압축공간(S1)(S2)의 체적이 가변되면서 냉매가스가 각 압축공간(S1)(S2)으로 번갈아 흡입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는, 도 3에서와 같이 실린더(2)의 흡입구(2a)가 중심을 향해 단순 원형으로 관통됨에 따라 냉매가스는 흡입구(2a)를 통해 반경방향으로 흡입되었다가 블레이드부(4C)에 의해 대체로 직각방향으로 꺾여 원주방으로 유동하게 되나 이는 냉매가스의 유동특성을 저하시켜 흡입저항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냉매가스의 흡입소음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 흡입량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도 4에서와 같이 회전축(4)이 회전을 하면서 블레이드부(4C)가 도면의 굵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블레이드부(4C)가 어느 한 압축공간(S1)(S2)을 완전히 차단하는 소위 '흡입진공상태'를 초래하면서 냉매가스의 흡입량이 저감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밀폐형 압축기가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냉매가스의 유동특성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냉매가스의 흡입저항을 줄여 흡입소음은 줄이면서 흡입량은 증가시킬 수 있는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가스 흡입구조를 제공하려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 흡입구가 블레이드부에 의해 막히는 시간을 줄여 흡입량을 늘릴 수 있는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가스 흡입구조를 제공하려는데도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 개의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그 내부공간에 연통하는 한 개의 흡입구를 형성하는 실린더와, 실린더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하도록 결합하여 상기한 실린더의 내부공간을 상하 복수 개의 압축공간으로 구획하도록 블레이드부를 가지는 회전축과, 블레이드부의 상하 양측면에 압접하여 각각의 밀폐공간을 압축실과 흡입실로 전환 가능하게 구분하는 복수 개의 베인을 포함한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흡입구는 양쪽 압축공간에 모두 연통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중심을 향해 방사상으로 형성하고, 그 흡입구의 수평중심선에 접하는 흡입실 방향의 모서리에 냉매가스의 흡입을 유도하는 가스안내홈을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가스 흡입구조를 제공한다.
또, 한 개의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그 내부공간에 연통하는 한 개의 흡입구를 형성하는 실린더와, 실린더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하도록 결합하여 상기한 실린더의 내부공간을 상하 복수 개의 압축공간으로 구획하도록 블레이드부를 가지는 회전축과, 블레이드부의 상하 양측면에 압접하여 각각의 밀폐공간을 압축실과 흡입실로 전환 가능하게 구분하는 복수 개의 베인을 포함한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흡입구는 양쪽 압축공간에 모두 연통하도록 그 축방향 중심선이 상기 실린더의 중심에 대해 흡입실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어긋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가스 흡입구조를 제공한다.
또, 한 개의 흡입구와 복수 개의 토출구가 서로 연통하도록 한 개의 내부공간을 가지는 실린더조립체와, 실린더조립체의 흡입구와 양쪽 토출구가 각각 번갈아 한 쌍이 되도록 내부공간을 복수 개의 압축실로 구획하여 상기 실린더조립체에 대해 상대회전운동을 하면서 각 압축실내 유체를 원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획판과, 구획판에 대해 상대직선운동을 하도록 상기 실린더조립체에 축방향으로 미끄러지게 결합하고 각 압축실내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여 압축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베인을 포함한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흡입구와 연통하는 가스연통홈을 상기 흡입구의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편심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가스 흡입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가스 흡입구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 밀폐형 압축기에서 실린더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Ⅱ-Ⅱ"선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밀폐형 압축기에서 실린더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Ⅲ-Ⅲ"선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 밀폐형 압축기에서 도 8의 실시예에 대한 흡입과정을 보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밀폐형 압축기에서 실린더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 밀폐형 압축기에서 회전축의 회전각도에 따른 냉매안내홈과 냉매연통홈의 범위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개략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압축기구부는 냉매가스를 흡입 압축하기 위한 내부공간(V)을 구비하여 케이싱(도 1에 도시)(1)의 하반부에 고정하는 환형의 실린더(10)와, 실린더(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체결하여 함께 실린더조립체를 형성하는 제1 베어링플레이트(3A) 및 제2 베어링플레이트(3B)와, 실린더조립체의 내부공간(V)을 복수 개의 압축공간(S1)(S2)으로 구획하도록 블레이드부(4C)를 구비하여 전동기구부의 동력을 압축기구부에 전달하는 회전축(4)과, 회전축(4)의 블레이드부(4C) 양측에 각각 접촉하여 상기 회전축(4)의 회전시 각각의 밀폐공간(S1)(S2)을 흡입영역 및 압축영역으로 가변하는 제1 베인(5A) 및 제2 베인(5B)과, 각 베인(5A)(5B)을 양단으로 함께 탄력 지지하는 베인스프링(도 1에 도시)(6)를 포함한다.
실린더(10)는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환형으로 형성하고 그 일 측에 상기한 흡입구(11)를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관통하도록 형성한다.
흡입구(11)는 그 축방향 중심선이 실린더(10)의 중심선과 일치하도록 입구측과 출구측 직경을 동일하게 형성하고, 실린더(10)의 내주면에 접하는 모서리에 냉매가스를 각 압축공간(S1)(S2)의 흡입실로 안내하도록 가스안내홈(12)을 경사지게 형성한다.
가스안내홈(12)은 평면투영시 실린더(10)의 내주면으로 접근할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 확대되도록 형성하고, 정면투영시 흡입구의 수평중심선을 중심으로 상하 대칭되게 형성하되 흡입구(11)에서 원주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점차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블레이드부(4C)와의 간섭을 고려할 때 단면적을 가장 넓게 형성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한편, 흡입구(11)는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그 입구에서 출구까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하되, 실린더(10)의 내주면에 접하는 흡입실 방향의 모서리에는 상기한 가스안내홈(12)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흡입구(11)의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가스안내홈(12)의 맞은편에는 가스연통홈(13)을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한다.
가스연통홈(13)은 흡입구(11)의 수직방향 접선에서 최대 수직중심선까지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압축개시시점이 과도하게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한편, 흡입구(11)는 도 10에서와 같이 원통모양으로 형성하되 그 안쪽 끝단이 각 압축공간(S1)(S2)의 흡입실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흡입구(11)는 입구단에서 출구단까지의 내경을 동일하게 형성하더라도 냉매가스가 흡입실쪽으로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스안내홈(12)은 도 11에서와 같이 블레이드부(4C)가 압축개시시점에 도달하는 순간 가려지는 위치까지 형성하는 것이 냉매가스의 압축성능을 높이는데 바람직하다. 즉, 실선으로 표시한 함수곡선은 가스연통홈(13)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 대한 것이고 점선으로 표시한 함수곡선은 가스연통홈(13)을 형성한 경우에 대한 것으로, 가스연통홈(13)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의 가스안내홈(12)의 면적(실선으로 표시)은 가스연통홈(13)을 형성한 경우의 가스안내홈(12)의 면적(점선으로 표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한다. 이는 가스연통홈(13)을 형성하는 경우 그만큼 압축개시시점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다소 지연되는 점을 감안하여 가스가스홈(12)을 넓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중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가스 흡입구조조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가 있다.
즉, 전동기구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회전자(미도시)이 회전하면, 그 회전자에 결합한 회전축(4)이 함께 회전을 하면서 블레이드부(4C)가 도 9의 굵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고, 냉매가스는 회전축(4)의 블레이드부(4C)가 흡입구(11)를 지날 때까지 실린더(10)의 흡입구(11)를 통해 제1 압축공간(S1)의 흡입실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흡입된다.
이때, 냉매가스는 도 6에서와 같이 흡입구(11)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흡입되다가 블레이드부(4C)의 이동방향, 즉 원주방향으로 꺾여 유동을 하게 되나, 흡입구(11)의 안쪽 모서리에 흡입실 방향으로 가스안내홈(12)을 경사지게 형성함에 따라 흡입구(11)를 통해 반경방향으로 흡입되던 냉매가스가 상기한 가스안내홈(12)의 경사면을 따라 미리 유선형으로 휘어져 제1 압축공간(S1)의 흡입실로 흡입된다. 이에 따라 냉매가스가 회전축(4)의 베어링부(4B) 외주면에 직각으로 부딪히는 것을 최소화하여 유동저항을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냉매가스의 흡입소음은 감소되면서 흡입량은 크게 증가할 수 있다.
또, 흡입구(11)를 도 10에서와 같이 흡입실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형성하는 경우에도 냉매가스가 상기한 흡입구(11)를 따라 비스듬하게 흡입됨에 따라 냉매가스의 유로저항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냉매가스의 흡입소음은 줄이면서 흡입량은 늘릴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흡입구(11)의 가스안내홈(12) 맞은 편에 가스연통홈(13)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가스안내홈(12)을 통해 냉매가스의 유로저항을 줄이는 동시에 가스연통홈(13)을 통해서는 블레이드부(4C)가 제1 압축공간(S1)의 흡입구 면적을 가리더라도 상기한 가스연통홈(13)을 통해 냉매가스를 우회적으로 흡입할 수 있어 흡입구(11)가 순간적으로 막히는 소위 "흡입진공상태"를 개선하고 이를 통해 냉매가스에 대한 압축개시시점이 지나치게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흡입량은 크게 늘릴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냉매가스가 흡입구를 통해 각 압축공간의 흡입실로 흡입될 때 유선형으로 흡입됨에 따라 유로저항이 감소하여 흡입소음은 줄이면서도 흡입량은 크게 늘릴 수 있다.
또, 냉매가스가 각 압축공간으로 연속하여 흡입됨에 따라 냉매가스가 원활하게 흡입되어 흡입손실을 줄이고 압축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가스 흡입구조는, 흡입구에 흡입실 방향으로 가스안내홈을 형성하거나 흡입실 방향으로 비스듬히 형성함으로써, 냉매가스의 유로저항을 줄여 흡입소음은 줄이면서 흡입량은 크게 늘릴 수 있고 이를 통해 압축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블레이드부에 의해 흡입구가 막힐 때 냉매가스를 우회시켜 흡입되도록 가스연통홈을 형성함으로써, 냉매가스가 지속적으로 흡입되도록 하여 압축기의 흡입손실은 낮추고 효율은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밀폐형 압축기의 압축기구부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종래 밀폐형 압축기에서 실린더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Ⅰ-Ⅰ"선단면도,
도 4는 종래 밀폐형 압축기에서 흡입과정을 보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 밀폐형 압축기에서 실린더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Ⅱ-Ⅱ"선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밀폐형 압축기에서 실린더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8는 도 7의 "Ⅲ-Ⅲ"선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밀폐형 압축기에서 도 7의 실시예에 대한 흡입과정을 보인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 밀폐형 압축기에서 실린더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밀폐형 압축기에서 회전축의 회전각도에 따른 냉매연통홈과 냉매안내홈의 범위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 : 회전축 4A : 축부
4B : 베어링부 4C : 블레이드부
5A : 제1 베인 5B : 제2 베인
10 : 실린더 11 : 흡입구
12 : 가스안내홈 13 : 가스연통홈
S1 : 제1 압축공간 S2 : 제2 압축공간

Claims (8)

  1. 한 개의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그 내부공간에 연통하는 한 개의 흡입구를 형성하는 실린더와, 실린더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하도록 결합하여 상기한 실린더의 내부공간을 상하 복수 개의 압축공간으로 구획하도록 블레이드부를 가지는 회전축과, 블레이드부의 상하 양측면에 압접하여 각각의 밀폐공간을 압축실과 흡입실로 전환 가능하게 구분하는 복수 개의 베인을 포함한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흡입구는 양쪽 압축공간에 모두 연통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중심을 향해 방사상으로 형성하고, 그 흡입구의 수평중심선에 접하는 흡입실 방향의 모서리에 냉매가스의 흡입을 유도하는 가스안내홈을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가스 흡입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가스안내홈은 평면투영시 실린더의 내주면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확장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가스 흡입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가스안내홈은 정면투영시 흡입구에서 실린더의 원주방향으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가스 흡입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입구의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가스안내홈의 맞은 편에는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도록 가스연통홈을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가스 흡입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가스안내홈은 블레이드부가 압축개시시점에 도달하는 순간 그 블레이드부에 의해 가려지는 범위까지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가스 흡입구조.
  6. 한 개의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그 내부공간에 연통하는 한 개의 흡입구를 형성하는 실린더와, 실린더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하도록 결합하여 상기한 실린더의 내부공간을 상하 복수 개의 압축공간으로 구획하도록 블레이드부를 가지는 회전축과, 블레이드부의 상하 양측면에 압접하여 각각의 밀폐공간을 압축실과 흡입실로 전환 가능하게 구분하는 복수 개의 베인을 포함한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흡입구는 양쪽 압축공간에 모두 연통하도록 그 축방향 중심선이 상기 실린더의 중심에 대해 흡입실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어긋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가스 흡입구조.
  7. 제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흡입구와 연통하는 가스연통홈을 상기 흡입구의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편심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가스 흡입구조.
  8. 한 개의 흡입구와 복수 개의 토출구가 서로 연통하도록 한 개의 내부공간을 가지는 실린더조립체와, 실린더조립체의 흡입구와 양쪽 토출구가 각각 번갈아 한 쌍이 되도록 내부공간을 복수 개의 압축실로 구획하여 상기 실린더조립체에 대해 상대회전운동을 하면서 각 압축실내 유체를 원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획판과, 구획판에 대해 상대직선운동을 하도록 상기 실린더조립체에 축방향으로 미끄러지게 결합하고 각 압축실내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여 압축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베인을 포함한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흡입구와 연통하는 가스연통홈을 상기 흡입구의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편심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가스 흡입구조.
KR10-2004-0000755A 2004-01-06 2004-01-06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가스 흡입구조 KR100524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755A KR100524794B1 (ko) 2004-01-06 2004-01-06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가스 흡입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755A KR100524794B1 (ko) 2004-01-06 2004-01-06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가스 흡입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357A KR20050072357A (ko) 2005-07-11
KR100524794B1 true KR100524794B1 (ko) 2005-10-31

Family

ID=37261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755A KR100524794B1 (ko) 2004-01-06 2004-01-06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가스 흡입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479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357A (ko) 2005-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44350A (ko) 밀폐형 2단 로터리 압축기
US11448215B2 (en) Hermetic compressor
KR20100084079A (ko) 로터리 압축기
KR20030041576A (ko) 밀폐형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 장치
KR100315954B1 (ko) 압축기
JP6127722B2 (ja) 回転式圧縮機
EP4108926A1 (en) Rotary compressor
KR100524794B1 (ko)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가스 흡입구조
US20030170134A1 (en) Compressor and vane therefor
KR101964957B1 (ko) 미세홈이 구비되는 압축기
KR100343727B1 (ko) 스크롤 압축기의 구동축 지지구조
KR100351150B1 (ko) 밀폐형 압축기
KR20040000584A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손실 저감구조
KR100434079B1 (ko) 밀폐형 압축기의 마찰손실 저감구조
KR20040036973A (ko) 밀폐형 압축기의 면압 저감 장치
KR200162301Y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실린더
KR20040038330A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손실 저감구조
KR20010097678A (ko) 밀폐형 압축기의 가스누설 저감구조
KR100324770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행정체적 확대구조
KR20050012011A (ko) 밀폐형 압축기의 가스누설 저감 구조
JP2898710B2 (ja) 流体圧縮機
KR100524791B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
KR20010097677A (ko) 밀폐형 압축기의 가스누설 저감구조
KR20010097675A (ko) 밀폐형 압축기의 가스력 보상구조
KR20050011227A (ko) 밀폐형 압축기의 마찰 저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