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442B1 - 보행자 안심 보행 보조기 - Google Patents

보행자 안심 보행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442B1
KR102481442B1 KR1020210025642A KR20210025642A KR102481442B1 KR 102481442 B1 KR102481442 B1 KR 102481442B1 KR 1020210025642 A KR1020210025642 A KR 1020210025642A KR 20210025642 A KR20210025642 A KR 20210025642A KR 102481442 B1 KR102481442 B1 KR 102481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edestrian
unit
coupled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1951A (ko
Inventor
한동희
조성현
윤원상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25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442B1/ko
Publication of KR20220121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3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a driv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61H2201/0184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by raising an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92Optical sen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06Standing on the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자 안심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자의 보행상태 및 위기상황을 감지하여 보행자의 보행을 어시스트 하거나 보호자에게 알림 기능 하기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보행자 안심 보행보조기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된 구동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보행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결합되어 보행자의 위기상황의 감지 및 알림 기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힌지와 같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접철하여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센서부에서 보행자와의 거리 및 보행자에 대한 시각정보를 제어부에 송신할 수 있다. 수신된 신호에 의거 위기상황이라 판단 시 보행보조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보호자에게 알림 메시지 및 GPS 위치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행자 안심 보행 보조기{PEDESTRIAN SAFETY WALKING SUPPORT APPARATUS}
본 발명은 보행자 안심 보행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보행 보조기는 보행이 어려운 노약자들이나 환자들의 보행을 돕기 위한 보행 보조기구이다. 이러한 보행 보조기에는 지팡이나 보행기, 휠체어 등이 이용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보행 보조기는 보행자의 근력이 뒷받침되어야 하므로 체력이 약한 노약자들이나 환자들이 사용하기에는 다소 불편함이 있다.
근래에는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전동휠체어나 바퀴에 모터를 장착한 자율 보행 보조기가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보행 보조기들은 종래의 보행 보조기에 비해 보행자에게 요구되는 근력이 적어 체력소모가 적어지고 행동 반경이 넓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바퀴에 부착된 모터가 자동보행 모드와 수동보행 모드로 구분되어 동작하여 근력이 약한 노약자 및 환자들의 효율적인 운동에 도움이 되며 재활활동 분야에서 큰 역할을 하는 자율 보행 보조기도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동휠체어나 자율 보행 보조기는 노약자나 환자의 보행상태나 보행 보조기와의 거리를 고려하지 않고 작동하여 자칫 노약자나 환자가 쓰러진 경우 지속적으로 작동해 2차사고의 위험이 있다. 또한 노약자나 환자의 위기상황에 대한 대처수단이 전혀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33981호 (2018.12.24.)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를 이용해 보행자의 보행상태를 측정하고 이에 따라 모터를 동작하여 보행자의 보행을 어시스트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센서를 이용해 보행자의 위기상황을 감지하고 이를 보호자에게 알려 보행자의 위험 및 2차사고에 대처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보행 보조기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된 손잡이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된 구동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보행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연결되어 보행자의 위기상황의 감지 및 알림 기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부프레임, 하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상부 프레임이 상기 하부 프레임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제어부의 보관이 가능한 보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가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이 삽입되는 높이조절용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탄성 재질의 U자형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U자형 핸들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브레이크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U자형 핸들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를 동작 시키기 위한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잇다.
상기 센서부는 보행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센서는 상기 프레임부의 서로 다른 높이에 적어도 세개 이상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보행자에 대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보행 보조기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된 손잡이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된 구동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보행상태를 측정하는 초음파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초음파 센서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서로 다른 높이에 적어도 세개 이상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보행자 안심 보행 보조기는 센서를 통해 보행자의 보행상태를 측정하고 이에 따라 보행자의 보행을 어시스트 할 수 있다.
또한, 보행자의 위기상황 시 이를 센서에 의해 감지하여 보호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보내거나 카메라에 의해 측정된 보행자의 시각정보 및 GPS 위치정보를 제공하여 부차적인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심 보행 보조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심 보행 보조기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심 보행 보조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정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철된 보행자 안심 보행 보조기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면도이다.
도8 및 도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심 보행 보조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심 보행 보조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심 보행 보조기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심 보행 보조기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심 보행 보조기(10)는, 프레임부(100), 손잡이부(300), 구동부(700), 제어부(200) 및 센서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보행자 안심 보행 보조기(1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레임부(100)는,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은 적절한 연결부(17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170)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이 겹쳐지는 부분에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각각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에 연결바를 삽입하여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결합 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0)은 하부가 개방된 'ㄷ'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0)의 단면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 프레임은 강철(steel), 알루미늄(aluminum),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로 만들어 질 수 있다. 그러나 상부 프레임(110)의 형상 및 재질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과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110)의 상부에는 복수의 높이조절용 관통홀(160)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높이조절용 관통홀(160)은 손잡이부(330)의 일 측이 삽입되어 손잡이부의 수직 방향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복수의 높이조절용 관통홀(160)은 상부 프레임(110)의 상부에 3cm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높이조절용 관통홀(160)에 한정되지 않고 유압 실린더나 나사 이용한 높이 조절 장치와 같이 다양한 방식의 높이조절 장치가 활용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20)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ㅅ"형상을 가지는 바(bar)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하부 프레임(120)의 단면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앞부분에는 앞바퀴(760), 뒷부분에는 모터에 연결된 뒷바퀴(710)가 결합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강철(steel), 알루미늄(aluminum),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다만, 하부 프레임(120)의 형상 및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채용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하부 수평지지대(130)는 하부 프레임(120)의 양단를 수평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하부 프레임(12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때, 하부 수평지지대(130)는 하부 프레임(120)의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하부 프레임의 양 단을 연결할 수 있다. 하부 수평지지대(130)는 하부 프레임(120)이 수평방향 길이보다 수직 방향의 길이가 2배가량 길기 때문에 수직방향의 응력에 따른 휨 모멘트에 취약한 점을 보완할 수 있다. 하부 수평지지대(130)는 강철(steel), 알루미늄(aluminum),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로 만들어 질 수 있다. 그러나 하부 수평지지대(130)의 형상 및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채용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상부 수평지지대(340)는 상부 프레임(110)의 양단을 수평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상부 프레임(11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수평지지대(340)는 상부 프레임(110)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상부 프레임(110)의 양 단을 연결할 수 있다. 상부 수평지지대(340)는 하부 프레임(120)이 수평방향 길이보다 수직 방향의 길이가 2배 이상 길기 때문에 수직방향의 응력에 따른 휨 모멘트에 취약한 점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500)가 상부 수평지지대(340)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보행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부(500)는 보행 보조기(10)의 중앙 상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상부 수평지지대(340)의 연결 위치나 형상 및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채용될 수 있는 범위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보관부(140)는 하부 프레임의 하단에 위치하여 뒷바퀴 회전을 위한 구동부(700)와 위기상황의 감지 및 알림 기능하는 제어부(200)를 보관할 수 있다. 보관부(140)는 보행 보조기(10)의 배면과 측면에 두께 1cm정도, 높이 10cm정도의 유리판을 결합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제어부(200)와 구동부(700)의 보관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보관부(140)는 박스 형식, 지지판의 형식 등 제어부(200)와 구동부(700)의 보관을 위한 어떠한 형식도 가능하다.
바스켓(150)은 보행자의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바스켓(150)은 하부 프레임(12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바스켓(150)에는 물품의 분실방지를 위한 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뚜껑은 바스켓(15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뚜껑과 바스켓(150)은 지퍼에 의한 개폐가 가능할 수 있다. 다만 뚜껑은 바스켓(150)과 다른 재질 이어도 무방하며 다양한 형상 및 재질이 가능하다.
바스켓(150)은 내부에 물품보관이 가능한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쇼핑 카트와 같이 가는 철제 파이프가 그물망처럼 얽혀 있는 형식이 가능하다. 또한 측면에서 봤을 때 하부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사다리꼴 형태이며 정면에서 봤을 때 수직방향의 길이가 수평방향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인 속이 뚫린 육면체 형상도 가능하다. 바스켓(150)의 겉면은 내구성이 강한 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바스켓의 재질 및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브레이크 조작부(310)는 간단한 조작으로 뒷바퀴(710)의 브레이크 패드를 가동하여 보행 보조기(10)를 제동할 수 있다. 브레이크 조작부(310)는 손잡이부(30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브레이크 조작부(310)는 보행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레이크 조작부(310)는 금속파이프를 "U"자 형태로 밴딩하여 양측 단부가 상부 프레임(110)에 연결될 수 있다. 브레이크 조작부(310)는 축 브라킷을 통해 축 결합하여 전후 방향으로 스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뒷바퀴(710)의 일 측에 브레이크패드가 설치될 수 있다. 브레이크 조작부에 연결된 와이어에 의해 핸들이 당겨진 경우 브레이크 패드가 뒷바퀴(710)의 마찰 단부에 마찰하여 보행 보조기의 제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외에도 브레이크는 유압 브레이크, 디스크 브레이크 및 v브레이크 등 당업자에 의해 채용될 수 있는 범위에서 변경될 수 있다.
손잡이부(300)의 거치대(320)는 스마트폰을 지지하여 보행 보조기(10)의 운행 중에도 스마트폰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320)는 U자형 핸들(330)에 결합될 수 있다. 거치대(320)는 단말기 고정부재, 하부 지지부, 측면 지지부 및 측면 지지부를 스마트폰의 크기에 따라 좌우폭을 조절할 수 있는 고정 조작부가 포함될 수 있다. 고정 조작부에 의해 측면 지지부가 스마트폰의 너비에 맞게 조절되어 보다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조작부는 측면 지지부에 양단에 연결된 탄성 스프링 및 나사일 수 있다. 거치대(320)는 손잡이부(300)와 클램프 및 자력이 강한 자석 등에 의해 탈 부착될 수 있다. 다만 거치대(320)는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어떠한 방식도 가능하다.
U자형 핸들(330)은 상부 프레임(110)의 직경보다 0.5cm내지 1cm 큰 속이 빈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U자형 핸들(330)은 상부 프레임(110)의 상부형태와 동일한 U자형으로 이루어져 상부 프레임(110)에 끼워지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때, U자형 핸들(330)의 재질은 천연 고무, 부틸 고무, 프루오로 엘라스토머 에틸렌 및 인조 가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U자형 핸들(330)의 형상 및 재질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부(500)의 적외선 센서(510)에는 적외선 송신부(530)와 적외선 수신부(520)가 포함될 수 있다. 적외선 송신부(530)에서는 적외선을 발생시키는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수신부(520)에서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빛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510)에는 빛의 양을 감지해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정하는 포토 트랜지스터가 포함될 수 있다. 적외선 송신부(530)에서 발생한 적외선이 물체에 반사되어 빛 센서에 들어오는 양에 따라 센서 내의 자발 분극을 갖는 물질의 분극을 변화시켜 외부 자유 전하를 발생시킴으로써 보행자를 감지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510)는 연결선(560)을 통해 회로와 연결되어 보행자 감지 신호를 회로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센서부(500)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초음파 센서 등 다양한 센서일 수 있다.
센서부(500)에는 렌즈(550)가 결합된 카메라(540)가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540)에는 이미지 센서의 상부에 복수 개의 렌즈(550)가 배열된 렌즈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렌즈 모듈의 상부에 하부로 볼록한 형상의 광굴절부가 배치될 수 있다. 광굴절부의 상부 내측에는 전방위에서 입사되어 광굴절부에 의해 굴절된 광을 하부에 배치된 렌즈 모듈을 향해 반사 시키기 위한 광반사부가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540)는 연결선(560)을 통해 회로와 연결되어 보행자의 시각정보를 회로에 전달할 수 있다. 센서부(500)의 카메라(540)와 적외선 센서(510)는 유리판(570)에 결합되어 하나의 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700)에는 뒷바퀴(710), 모터(720), 샤프트(730), 커플링(740), 기어장치(750) 및 앞바퀴(760)가 포함될 수 있다.
뒷바퀴(710)는 허브(hub)축과 복수개의 볼트구멍이 형성된 디스크(disk), 샤프트와 체결되는 허브(hub), 타이어와 밀착되어 공기압을 유지해주는 림(rim) 및 림과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spoke)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바퀴의 구조 및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채용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기어장치(750)에는 보행 보조기의 구동을 위한 다양한 기어장치(750)가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어장치(750)는 선기어(sun gear), 유성기어(planetary gear), 유성기어 캐리어(planetary gear carrier), 인터널 링기어(internal ring gear) 및 밴드 브레이크(band brake)로 구성된 유성기어장치(epicyclic gearing)일 수 있다. 유성기어들은 각각 자신의 축과 함께 유성기어 캐리어에 지지될 수 있다. 선기어의 축은 유성기어 캐리어 중공축의 안에 설치될 수 있다. 인터널 링기어의 축은 유성기어 캐리어 중공축의 바깥쪽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유성기어들은 인터널 링기어 및 선기어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존의 수동변속기에 사용되는 기어장치에 비해 개별 기어가 받는 부하가 적을 수 있다.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차동 기어(differential gear), 베벨 기어(bevel gear), 헬리컬 기어(helical gear) 등 다양한 형태의 기어를 활용할 수 있다.
커플링(740)은 보행 보조기의 하중을 지탱하고 축의 비 정렬 현상을 보정할 수 있다. 커플링(740)에는 디스크 커플링(disc coupling), 기어 커플링(gear coupling), 헬리컬 커플링(helical coupling), 벨로우즈 커플링(bellows coupling)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토크의 전달 및 축의 정렬 조정 가능한 모든 형태의 커플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740)은 복수개의 샤프트(730)에 의해 뒷바퀴(710)와 연결되어 모터(720)의 동력을 뒷바퀴(710)에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따른 보행자 안심 보행 보조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심 보행 보조기의 측면도이다.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심 보행 보조기(10)는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의 연결방식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심 보행 보조기(1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170)는 상부 프레임(110)의 하단부는 하부 프레임(120)에 마련된 힌지편의 힌지공을 따라 진입되는 힌지축 부재를 직결 힌지공에 관통시켜서, 하부 프레임(120)에 힌지로 직결하여 결합될 수 있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프레임(120)은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110)은 전 후방으로 180도 이상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고정나사가 구비되어 원하는 각도에서 상부 프레임(110)을 고정할 수 있다. 이외에도 연결부(170)는 파이프용 관절 브라켓과 같이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모든 결합 방식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 프레임(110)이 하부 프레임(120)과 인접하게 수직 하방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110)이 하부 프레임(120)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수단은 상부 프레임(110)의 소정 위치와, 상부 프레임(110)이 수직 하방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110) 상의 소정 위치에 대향하는 하부 프레임(120)상의 위치에 각각 장착되어 자력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자성체 쌍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을 끼워서 연결할 수 있는 더블 엔드 클립 형식의 고정수단과 같이 고정수단의 형상과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과 재질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따른 보행자 안심 보행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심 보행보조기의 배면도이고, 도 8내지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심 보행 보조기는 센서부(500)를 제외하고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심 보행 보조기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500)는 보행 보조기(10)의 상단에 위치한 제1 센서 모듈(500a), 보행 보조기의 중단에 위치한 제2 센서 모듈(500b), 보행 보조기의 하단에 위치한 제3 센서 모듈(500c)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센서 모듈은 유리판(570), 카메라(540) 및 적외선 센서(5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센서 모듈(500a)은 상부 수평지지대(340)의 중앙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센서 모듈(500b)은 중단의 수평 지지대의 중앙에 고정될 수 있다. 제3 센서 모듈(500c)은 하부 수평지지대(130)의 중앙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 모듈(500a), 상기 제2 센서 모듈(500b) 및 상기 제3 센서 모듈(500c)은 보행자와의 거리를 측정한 신호를 제어부(200)에 전송한다. 상기 제1 센서 모듈(500a), 상기 제2 센서 모듈(500b) 및 상기 제3 센서 모듈(500c)이 결합된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센서 모듈(500a), 상기 제2 센서 모듈(500b) 및 상기 제3 센서 모듈(500c)에서 측정한 보행자와의 거리신호에 따라 제어부(200)에서 보행상태를 파악하고 모터(720)를 구동하여 보행자의 보행을 어시스트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가 정상적으로 보행하고 있을 경우 상기 제1 센서 모듈, 제2 센서 모듈 및 제3 센서 모듈 모두에서 보행자가 측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가 쓰러지는 등의 위기상황인 경우 제1 센서 모듈과 제2 센서 모듈에서는 보행자가 측정되지 않으나 제3 센서 모듈에서만 보행자가 측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위기상황으로 인지하고 제어부(200)에 위기상황이라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에 위기상황이라는 신호가 전송된 경우, 제어부(200)는 수신된 신호에 따라 모터에 제동을 걸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수신된 신호에 따라 위기상황이라 판단 시 보호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보내거나 카메라에 의해 측정된 보행자의 시각정보 및 gps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보행자 안심 보행 보조기(10)와 구성 요소들의 형상, 직경 및 길이에 대한 수치가 예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행자 안심 보행 보조기(10)의 형상과 수치는 당업자에 의해 채용될 수 있는 범위에서 일부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보행자 안심 보행보조기
100 프레임
110 상부 프레임
120 하부 프레임
130 하부 수평지지대
140 보관부
150 바스켓
160 관통홀
170 연결부
200 제어부
300 손잡이부
310 브레이크 조작부
320 거치대
330 U자형 핸들
340 상부 수평지지대
500 센서부
500a 제1 센서 모듈
500b 제2 센서 모듈
500c 제3 센서 모듈
510 적외선 센서
520 적외선 수신부
530 적외선 송신부
540 카메라
550 렌즈
560 연결선
570 유리판
700 구동부
710 뒷바퀴
720 모터
730 샤프트
740 커플링
750 기어장치
760 앞바퀴

Claims (7)

  1.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힌지로 직결하여 결합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상부 프레임이 상기 하부 프레임과 인접하게 수직 하방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이 상기 하부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된 손잡이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된 구동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보행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결합되어 보행자의 위기상황의 감지 및 알림 기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보행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적외선 센서와, 상기 보행자에 대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센서는,
    상기 프레임부의 서로 다른 높이에 적어도 세개 이상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적외선 센서가 모두 보행자를 측정하면 정상 상태라고 판단하고, 복수의 적외선 센서 중 맨 아래에 구비된 적외선 센서만 보행자를 측정하면 위기상황이라고 판단하여 상기 위기상황과 관련된 알림 메시지가 보호자에게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제어부를 보관하는 보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가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이 삽입되는 높이조절용 관통홀을 포함하는 보행 보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탄성 재질의 U자형 핸들;
    상기 U자형 핸들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브레이크 조작부; 및
    상기 U자형 핸들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를 동작 시키기 위한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보행 보조기.
  6. 삭제
  7.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힌지로 직결하여 결합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상부 프레임이 상기 하부 프레임과 인접하게 수직 하방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이 상기 하부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된 손잡이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된 구동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보행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결합되어 보행자의 위기상황의 감지 및 알림 기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보행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초음파 센서와, 상기 보행자에 대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센서는,
    상기 프레임부의 서로 다른 높이에 적어도 세개 이상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초음파 센서가 모두 보행자를 측정하면 정상 상태라고 판단하고, 복수의 초음파 센서 중 맨 아래에 구비된 초음파 센서만 보행자를 측정하면 위기상황이라고 판단하여 상기 위기상황과 관련된 알림 메시지가 보호자에게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보행 보조기.
KR1020210025642A 2021-02-25 2021-02-25 보행자 안심 보행 보조기 KR102481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642A KR102481442B1 (ko) 2021-02-25 2021-02-25 보행자 안심 보행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642A KR102481442B1 (ko) 2021-02-25 2021-02-25 보행자 안심 보행 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951A KR20220121951A (ko) 2022-09-02
KR102481442B1 true KR102481442B1 (ko) 2022-12-26

Family

ID=83281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642A KR102481442B1 (ko) 2021-02-25 2021-02-25 보행자 안심 보행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44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618B1 (ko) * 2012-02-14 2013-11-18 한금희 Led가 부착된 보행보조차
KR102186840B1 (ko) * 2014-01-16 2020-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 보행 보조 장치
KR101965786B1 (ko) * 2017-05-10 2019-04-04 주식회사 엔티로봇 기립과 착석을 보조하는 기립보행기 및 이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33981B1 (ko) 2018-08-28 2018-12-31 이지수 다기능 보행 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951A (ko) 2022-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4900B1 (ko) 목발형 전동 보행 보조기
JP7010883B2 (ja) 補助推進システム、方法およびシャーシ
RU2180618C2 (ru) Колес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JP2016525977A5 (ko)
EP0862906A1 (en) Motor-driven wheelchair
TW201700314A (zh) 無中心的輪組件
KR102481442B1 (ko) 보행자 안심 보행 보조기
US20210309275A1 (en) Smart stroll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5509638A (en) Hoist with an elastic cable
JP2019524533A (ja) ベビーカーコンフォート装置、ベビーカー下部フレーム、ならびにベビーカー
KR20170064024A (ko) 휠체어용 자세 유지 장치
CN110812139A (zh) 一种可用于爬楼梯的助行器
CN205113553U (zh) 一种智能平衡车
KR20200120995A (ko) 탄소 프레임 기반의 다기능 보행보조 장치
KR20170101398A (ko) 분리형 구동장치가 구비된 휠체어
KR102348445B1 (ko) 하수관로 촬영장치
KR102513222B1 (ko)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FR3088888A1 (fr) Dispositif portatif de balancement de poussette pour apaiser l’enfant sans le conditionner
US11642256B2 (en) Auxiliary drive device for a wheelchair
JP4848828B2 (ja) 移動ロボットの脚構造
JP2023063657A (ja) 自走歩行器
JP2005152505A (ja) レーザ治療装置
RU2691850C1 (ru) Устройство сигнализации для коляски
KR102172565B1 (ko) 주행 속도에 반응하는 스마트 모빌리티의 경보음 발생장치
KR102058297B1 (ko) 기립식 외바퀴 전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