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420B1 - 폐목재 감량화 및 재생 우드칩 생산시스템 - Google Patents

폐목재 감량화 및 재생 우드칩 생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420B1
KR102481420B1 KR1020210034128A KR20210034128A KR102481420B1 KR 102481420 B1 KR102481420 B1 KR 102481420B1 KR 1020210034128 A KR1020210034128 A KR 1020210034128A KR 20210034128 A KR20210034128 A KR 20210034128A KR 102481420 B1 KR102481420 B1 KR 102481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conveyor
primary
crusher
crus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9350A (ko
Inventor
조수양
Original Assignee
조수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수양 filed Critical 조수양
Priority to KR1020210034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420B1/ko
Publication of KR20220129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27L11/005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025High gradient magnetic separators
    • B03C1/031Component part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16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 B03C1/18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with magnets moving dur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27L11/002Transporting devices for wood or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27L11/06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of wood powder or sawd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Debarking, Splitting, And Disintegration Of Timber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목재 감량화 및 재생 우드칩 생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1차파쇄기호퍼를 통해 투입된 폐목재를 파쇄하는 1차파쇄장치와; 1차파쇄장치에서 파쇄되어 배출되는 1차 파쇄목을 이송시키는 스크류컨베이어와; 스크류컨베이어를 통해 공급되는 파쇄목을 이송시키는 인클라인컨베이어와; 인클라인컨베이어를 통해 공급되는 2차 파쇄목에 포함된 쇳조각을 자력을 이용하여 선별하는 자력선별기와; 자력선별기에 의해 쇳조각을 제거한 상태의 2차 파쇄목을 인클라인컨베이어를 통해 공급받아 2차로 파쇄하는 2차파쇄장치와; 2차파쇄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2차 파쇄목을 제품선별 컨베이어장치로 공급하는 인라인튜브 컨베이어와; 인라인튜브 컨베이어를 통해 공급되는 2차 파쇄목에 포함된 이물질을 진동에 의해 분리한 후 크기별로 선별하는 제품선별 컨베이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목재합판 및 MDF 생산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목재를 1차로 파쇄 및 분쇄하여 부피 감소 및 폐기물 감량 후 무주축 스크류가 설치된 스크류컨베이어 및 인클라인컨베이어를 이용 분쇄물을 이송시킬 때 자력선별기를 통해 철편, 철재못 성분의 이물질 등을 분리하고 이물질 등이 선별된 1차 파쇄 목을 수요처의 요구된 사양으로 다시 2차파쇄기를 통해 2차로 파쇄된 목재칩을 격자스크린이 형성된 선별기를 이용 제품의 크기에 따라 선별함으로써 제품의 용도를 달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폐목재 감량화 및 재생 우드칩 생산시스템{Waste wood reduction and recycled wood chip production system}
본 발명은 폐목재 감량화 및 재생 우드칩 생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질 폐기물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원료화를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 포크리프터로 투입량 조절이 가능한 원료투입 호퍼에 폐목질(합판, MDF)원료를 이축 전단식 파쇄기에 투입하여 1차 파쇄한 후 진공흡입식 더블스크류프레스분쇄장치에 투입하여 1차 파쇄물의 균질화 및 불순물을 제거하고, 균질화 및 불순물이 제거된 분쇄물을 경사형 인크라인컨베이어를 통해 이송시키면서 수평부에 위치한 자력선별기에서 잔존하는 철편 및 철재못 등을 제거한 후 2차파쇄기로 이송시켜 수요처의 요구사항에 따라 2차 파쇄가 완료된 제품을 진동선별 장치에 투입해 파쇄물 및 불순물을 재차 분리하여 각 규격별로 제품선별 컨베이어장치에서 최종분리 선별 및 포장되어 반출되도록 한 폐목재 감량화 및 재생 우드칩 생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환경부 제공 자료에 따르면 하루 기준 폐목재는 생활계 폐목재 2,430톤, 사업장 폐목재 1,649톤 및 건설용 폐목재 923톤 등 총 5,002톤이 발생한다고 하며 그중 약 50%가 소각 또는 매립 공정을 통해 처리된다고 한다.
그리고 각종 사업장 내에서 발생하는 MDF원판 가공 후 발생하는 폐MDF 잔재를 처리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폐기물 적치로 인한 환경오염은 물론 작업공간을 침범하여 원활한 작업진행을 방해하며, 심지어 일부 영세업체에서는 처리 비용이 부담되어 불법으로 반출하는 실정이다.
그리고 폐기물 배출사업장으로 배출되는 목재 성분은 세종류로 가공공장을 제외하면 물류 유통과정에서 폐목재가 가장 많이 배출되고, 이러한 물류 유통과정에서 발생되는 팔레트나 목재 포장상자는 기계적 가공과정만 거친 순수목재이며, 이물질이 함유된 P.B 혹은 OSB, MDF 이상 세종류로 구분된다.
또한, 정상적인 배출 신고를 통해 배출된 폐목재들은 우드칩 제조업체 등 중간처리 업체로 유통된 후 우드칩 형태로 P.B, MDF 제조업체 등 최종 재활용업체로 유통되어 재활용제품으로 만들어지거나 열병합발전소에 에너지로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사업장에서 폐목재 중 제재부산물은 위에서 설명한 포장재, 파레트류와는 달리 제재소에서 원목을 제재한 후 발생한 자투리 원목으로써 매우 질이 좋은 폐목재이며, 이러한 폐목재를 시장에서는 폐목재로 거래되지 않고 상품으로 거래되고 있다.
상기 폐목재의 재활용은 생활계에서 배출되는 폐가구의 경우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별포15제1호 다목의 1 및 제66조제3항 별표161, 제112호에 따라 고시된 폐목재의 분류 및 재활용기준을 준수하여야 한다.
생활폐기물 중 폐가구의 처리기준은 폐목재 재활용기준에 따른 재활용을 의무화하고 있으나, 단 사업장폐기물로 배출되는 폐가구는 소각이 가능하지만, 재활용을 우선으로 하고 있고, 재활용하는 경우에는 폐목재 재활용기준을 따라야 한다.
한편, 재활용 용도를 다양화하기 위한 발명으로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법면녹화방법(등록특허 제10-0832467호)을 제안하였다. 상기 발명은 단순 칩화하여 보조식생기반재인 바크퇴비, 피트모스, 토탄, 마사토 등에 1~50 vol%로 혼합되고 CaO, SiO2, Al2O3, SO3로 구성된 입단화제와 최종혼합되어 식상기반재를 형성하는 발명으로 식상기반재내에서 임목폐기물의 칩이 식생향상을 위한 특별한 기능을 부여하지 못하고 단순히 임목폐기물을 식생기반재에 일부 혼합하는 정도의 재활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사례로서 리싸이클링 목탄을 사용한 법면녹화기반재(일본 특개 제2004-166519A호)는 목질계폐기물을 원료로 하고 있으나, 생활·사업장 폐목재와 임목폐기물 모두를 대상으로 칩화후 탄화 그리고 부활과 건조공정을 통해 생산된 목탄 10~40%와 천연인공토양 60~90%와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녹화기반재로서 탄화 온도 700~900℃의 고온에서 제조한 탄화물과 바크퇴비, 우분활성퇴비, 피트모스 등을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녹화기반재로 목질탄화물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500~700℃정도의 중온에서 탄화하는 경우 유용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는데, 이는 중온에서 탄화된 목탄의 세공특성이 미생물 서식에 좋은 거대세공이 크게 발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같이 임목폐기물을 칩화후 탄화하여 식생기반재나 토양개량제 등의 전통적인 목탄과 같은 용도로 일부 활용되어지고 있으나, 단순히 탄화한다는 측면에서의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목탄은 토양개량제나 녹화자재로 활용되거나 흡착용도로 활용되어지고 있으며, 어디까지나 유해성분이 없는 재료를 대상으로 최적의 조건에서 생성된 목탄일 경우에 한해 그 기능이 발휘된다. 즉, 모든 탄화물이 재활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적절하지 않다는 점이다. 농림축산업 분야에서나 고형연료 등 재활용하고자 하는 용도별로 활용되어지기 위해서는 각 용도에 부합한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는 탄화조건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3246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166519A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목질 폐기물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원료화를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 포크리프터로 투입량 조절이 가능한 원료투입 호퍼에 폐목질(합판, MDF)원료를 이축 전단식 파쇄기에 투입하여 1차 파쇄한 후 진공흡입식 더블스크류프레스분쇄장치에 투입하여 1차 파쇄물의 균질화 및 불순물을 제거하고, 균질화 및 불순물이 제거된 분쇄물을 경사형 인크라인컨베이어를 통해 이송시키면서 수평부에 위치한 자력선별기에서 잔존하는 철편 및 철재못을 제거한 후 2차파쇄기로 이송시켜 수요처의 요구사항에 따라 2차 파쇄가 완료된 제품을 진동선별 장치에 투입해 파쇄물 및 불순물을 재차 분리하여 각 규격별로 제품선별 컨베이어장치에서 최종분리 선별 및 포장되어 반출되도록 한 폐목재 감량화 및 재생 우드칩 생산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수단으로,
1차파쇄기호퍼를 통해 투입된 폐목재를 파쇄하는 1차파쇄장치와; 1차파쇄장치에서 파쇄되어 배출되는 1차 파쇄목을 이송시키는 스크류컨베이어와; 스크류컨베이어를 통해 공급되는 파쇄목을 이송시키는 인클라인컨베이어와; 인클라인컨베이어를 통해 공급되는 1차 파쇄목에 포함된 쇳조각을 자력을 이용하여 선별하는 자력선별기와; 자력선별기에 의해 쇳조각을 제거한 상태의 1차 파쇄목을 인클라인컨베이어를 통해 공급받아 2차로 파쇄하는 2차파쇄장치와; 2차파쇄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2차 파쇄목을 제품선별 컨베이어장치로 공급하는 인라인튜브 컨베이어와; 인라인튜브 컨베이어를 통해 공급되는 2차 파쇄목에 포함된 이물질을 진동에 의해 분리한 후 크기별로 선별하는 제품선별 컨베이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목재 감량화 및 재생 우드칩 생산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1차파쇄장치는, 투입량조절이 가능한 1차파쇄기호퍼에서 유입되는 폐목재를 제1회전칼날과 고정칼날에 의해 1차로 파쇄하는 1차파쇄기가 호퍼의 하방향에 설치되며. 1차 파쇄목를 분쇄와 동시에 선별할 수 있도록 폐목재 1차 파쇄기의 하방향에 더블스크류프레스분쇄장치가 설치되고, 더블스크류프레스분쇄장치에 의해 분쇄된 분쇄목을 진공방식에 의해 이물질과 파쇄목을 분류하는 드럼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1차파쇄기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하부로 1차 파쇄목을 더블스크류프레스분쇄장치로 공급하는 공급공이 형성되는 1차파쇄기바디가 설치되며, 1차파쇄기바디의 내측에는 폐목재를 파쇄하는 복수의 제1회전칼날이 형성된 복수의 제1샤프트가 설치되고, 복수의 제1회전칼날 사이에 위치되어 제1회전칼날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폐목재를 파쇄할 수 있도록 1차파쇄기바디의 내부 양측 벽면에 제1고정칼날이 각각 설치되고, 복수의 제1샤프트의 양측에는 드라이브기어가 각각 설치되어 인접되는 다른 드라이브기어와 치합하여 연동되게 설치되며, 복수의 제1샤프트 일측에 설치된 복수의 드라이브기어 중 하나에 메인기어가 설치되고, 메인기어는 1차파쇄기바디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샤프트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블스크류프레스분쇄장치는, 일측 상단에 형성되는 유입구, 하부 중앙부와 일측단에 배출구 및 방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스크류하우징과; 스크류하우징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복수로 설치되는 분류스크류와; 복수의 분류스크류를 회전시켜 파쇄된 폐목재를 분쇄할 수 있도록 스크류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복수의 분류스크류와 연결되게 설치되는 유압모터와; 분류스크류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스크류하우징의 일측에 분류스크류와 결합되게 베어링이 설치된 베어링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류컨베이어는, 1차파쇄기에 형성된 방출게이트에 의해 배출되는 분쇄목이 공급 및 배출되는 공급구와 낙하공이 형성된 'U'자형 컨베이어바디가 형성되고, 분쇄목을 이동시키면서 분쇄물에 의한 스크류축과의 사이에 끼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바디의 내측에 무주축스크류가 복수로 설치되며, 컨베이어바디 양끝단에는 복수의 분류스크류의 샤프트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축수장치를 설치하여 무주축스크류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의 무주축스크류 샤프트에는 웜감속기가 설치되어 복수의 무주축스크류가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력선별기는, 인클라인컨베이어의 수평부 상단에 위치되게 설치하여 철편 및 철재못을 자력에 의해 선별할 수 있도록 선별기프레임에 설치되는 마그네틱바디와; 다수의 분리자를 가지며 선별기프레임과 마그네틱바디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마그네틱롤러에 설치되는 선별벨트와; 선별기프레임에 복수로 설치된 마그네틱롤러 중 하나에 설치되는 롤러스프로켓과 롤러구동모터에 설치되는 모터스프로켓에 연결되는 롤러체인과; 롤러스프로켓과 모터스프로켓에 연결된 롤러체인을 회전시키는 롤러구동모터와; 마그네틱바디에 설치되어 자력 발생을 위한 유압식 전자마그네트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2차파쇄기는, 상부와 하부에 2차파쇄기호퍼와 배출가이드가 각각 설치되어 인클라인컨베이어의 일측 끝단 하방향에 설치되는 2차파쇄기바디와; 2차파쇄기바디의 내측에서 2차 파쇄목을 파쇄할 수 있도록 샤프트기어가 각각 설치되어 연동회전하는 제2샤프트에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는 제2회전칼날과; 복수의 제2회전칼날 사이에 위치되게 2차파쇄기바디의 내부 양측 벽면에 설치되는 제2고정칼날과; 복수의 제2샤프트 중 하나와 결합되어 2차파쇄기바디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파쇄기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2차파쇄기 하부에는 3차원 형태의 입체적 이송이 가능한 밀폐형 인라인튜브컨베이어를 구성하여 2차 파쇄된 목재 칩을 밀폐형 인라인튜브컨베이어의 내부에 설치된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진동선별기까지 이송시킬 목적으로 사용하여 밀폐된 구조로 파쇄물을 이송시키므로 분진 및 이물질이 비산되지 않도록 한 수평이송튜브과 상승이송튜브으로 구성되고, 동력전달용 구동부휠과 리턴부 테이크업휘로 구성하여 장력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품선별 컨베이어장치는, 인라인튜브 컨베이어의 수평이송튜브와 상승이송튜브를 통해 최종 파쇄된 목재칩을 공급받은 상태에서 바이프레이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진동이 전달되어 스프링의 반복 교번작용에 상품과 이물질을 선별하는 진동선별기와; 진동선별기에서 공급되는 제품을 격자스크린에 형성된 눈목의 크기에 의해 상품의 크기를 선별하는 상품선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목재합판 및 MDF 생산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목재를 1차로 파쇄 및 분쇄하여 부피 감소 및 폐기물 감량 후 무주축 스크류가 설치된 스크류컨베이어 및 인클라인컨베이어를 이용 분쇄물을 이송시킬 때 자력선별기를 통해 철편, 철재못 성분의 이물질 등을 분리하고 이물질 등이 선별된 1차 파쇄 목을 수요처의 요구된 사양으로 다시 2차파쇄기를 통해 2차로 파쇄된 목재칩을 격자스크린이 형성된 선별기를 이용 제품의 크기에 따라 선별함으로써 제품의 용도를 달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목질 폐기물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원료화를 위한 전처리공정으로 투입량 조절이 가능한 원료투입 호퍼에 폐목질(합판, MDF) 원료를 이축 전단식 파쇄기에 투입하여 1차 파쇄한 다음, 더블칼날형 1차파쇄기와 더블스크류형 더블스크류프레스분쇄장치에서 1차 파쇄물의 균질화 및 진공을 이용한 파쇄물 내부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1차 스크류컨베이어를 거쳐 인클라인컨베이어의 수평부에 설치된 자력선별기를 이용하여 1차 파쇄물에 잔존하는 철편 및 철재 불순물을 제거하여 기계장치를 보호하면서 폐목재를 2차파쇄장치로 용이하게 이송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폐목재를 파쇄하여 우드칩으로 가공하여 나무판 등 목재 성형제품 제조용으로 사용할 경우 우드칩은 중간 가공폐기물로 분류되며, 축사 제초용 원료로 사용되는 고형연료제품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재활용제품으로 분류되고, 동일한 등급의 폐목재를 동일한 형태로 가공하더라도 사용 용도에 따라 중간 가공폐기물과 재활용제품의 활용도가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더블스크류프레스분쇄장치는 파쇄시 재료의 반력으로 인한 날의 회전을 방해하는 반력 모멘트가 날이 지지되는 축지점의 모멘트 반력보다 작게 설치하여 스크류의 마찰력을 통해 파쇄가 이루어짐으로써 폐목재의 파쇄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원 및 화석에너지의 소비증가에 따른 자원의 결핍, 주요 에너지원인 석유가 고갈되어감에 따라 원유가가 폭등하고, 선진국을 중심으로 각 나라들은 희귀 자원의 자국 산업 보호하면서 버려지는 자원의 재생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목재 감량화 및 재생 우드칩 생산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1차파쇄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1차파쇄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2의 2차파쇄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2의 스크류컨베이어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인클라인컨베이어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인클라인컨베이어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1의 자력선별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1의 2차파쇄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2차파쇄기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의 진동선별기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의 격자스크린이 설치된 상품선별기 평면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폐목재 감량화 및 재생 우드칩 생산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목재 감량화 및 재생 우드칩 생산시스템은 투입량조절이 가능한 1차파쇄기호퍼(110)를 통해 투입된 폐목재를 파쇄하는 1차파쇄장치(100)와, 1차파쇄장치(100)에서 파쇄되어 배출되는 1차 파쇄목을 이송시키는 스크류컨베이어(160)와, 스크류컨베이어(160)를 통해 공급되는 파쇄목을 이송시키는 인클라인컨베이어(200)와, 인클라인컨베이어(200)를 통해 공급되는 1차 파쇄목에 포함된 쇳조각을 자력을 이용하여 선별하는 자력선별기(300)와, 자력선별기(300)에 의해 쇳조각을 제거한 상태의 1차 파쇄목을 인클라인컨베이어(200)를 통해 공급받아 2차로 파쇄하는 2차파쇄장치(400)와, 2차파쇄장치(400)를 통해 공급되는 2차 파쇄목을 제품선별 컨베이어장치(500)로 공급하는 인라인튜브 컨베이어(420)와, 인라인튜브 컨베이어(420)를 통해 공급되는 2차 파쇄목에 포함된 이물질을 진동에 의해 분리한 후 크기별로 상품을 선별하는 제품선별 컨베이어장치(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목재 감량화 및 재생 우드칩 생산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세 설명한다.
도 1 내지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폐목재 감량화 및 재생 우드칩 생산시스템은 1차파쇄장치(100), 스크류컨베이어(160), 인클라인컨베이어(200), 자력선별기(300), 2차파쇄장치(400), 인라인튜브 컨베이어(420), 제품선별 컨베이어장치(500)를 포함한다.
상기 1차파쇄장치(100)는 1차파쇄기호퍼(110)에서 유입되는 폐목재를 제1회전칼날(123)과 제1고정칼날(124)에 의해 1차로 파쇄하는 1차파쇄기(120)가 1차파쇄기호퍼(110)의 하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분쇄된 폐목재를 분쇄와 동시에 선별할 수 있도록 1차파쇄기(120)의 하방향에 더블스크류프레스분쇄장치(130)가 설치되며, 상기 더블스크류프레스분쇄장치(130)를 통해 분쇄된 분쇄물을 진공방식에 의해 이물질과 파쇄목을 분류하는 드럼스크린(1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파쇄기(120)는 1차파쇄기호퍼(110)와 더블스크류프레스분쇄장치(130)의 사이에 설치되어 1차파쇄기호퍼(110)로부터 공급되는 폐목재를 파쇄한다.
상기 1차파쇄기(120)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하부로 1차 파쇄목을 더블스크류프레스분쇄장치(130)로 공급하는 공급공이 형성되는 1차파쇄기바디(121)가 설치되며, 상기 1차파쇄기바디(121)의 내측에는 폐목재를 파쇄하는 복수의 제1회전칼날(123)이 형성된 복수의 제1샤프트(122)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회전칼날(123) 사이에 위치되어 제1회전칼날(123)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폐목재를 파쇄할 수 있도록 1차파쇄기바디(121)의 내부 양측 벽면에 제1고정칼날(124)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샤프트(122)의 양측에는 드라이브기어(122-1)가 각각 설치되어 인접되는 다른 드라이브기어(122-1)와 치합하여 연동되게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1샤프트(122) 일측에 설치된 복수의 드라이브기어(122-1) 중 하나에 메인기어(125-1)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기어(125-1)는 1차파쇄기바디(121)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샤프트구동모터(125)의 구동축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1차파쇄기(120)에 설치되는 제1회전칼날(123)은 예각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복수의 제1회전칼날(123)이 교차하는 각이 약 82°~ 96°를 이루어지도록 하여 1차파쇄기호퍼(110)로부터 공급되는 폐목재가 1차파쇄기바디(121) 내측 양측면에 위치되어 절단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여 절단효율을 증대시킨다.
상기 더블스크류프레스분쇄장치(130)는 일측 상단에 형성되는 유입구(131-1), 하부 중앙부와 일측단에 배출구 및 방출구(131-2)가 각각 형성되는 스크류하우징(131)이 구성되며, 상기 스크류하우징(131)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분류스크류(132)가 복수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분류스크류(132)의 일측에는 유압모터의 구동에 의해 복수의 분류스크류(132)가 연동 회전할 수 있도록 연동기어(132-1)가 각각 설치되어 서로 치압이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분류스크류(132)를 회전시켜 파쇄된 폐목재를 선별할 수 있도록 스크류하우징(131)의 일측에 설치되어 복수의 분류스크류(132)와 연결되게 유압모터(133)가 설치되고, 상기 분류스크류(132)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스크류하우징(131)의 일측에 분류스크류(132)와 결합되게 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된 베어링하우징(134)이 구성된다.
상기 분류스크류(132)는 복수로 이루어져 회전이 용이하도록 복수의 구동축(미부호)에 결합되어 대형 스크류 또는 소형 스크류로 이루어져 스크류하우징(131)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분류스크류(132)는 대형 스크류와 대형 스크류, 또는 소형 스크류와 소형 스크류로 짝을 이루어 설치할 수 있고, 이때 스크류하우징(131)의 크기는 설치되는 대형 스크류, 소형 스크류의 종류에 따라 그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미부호)를 통해 배출되는 1차 파쇄목 중에서 상품성이 떨어지는 1차 파쇄목을 에어펌프(140)에서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드럼스크린(150) 쪽으로 공급되고, 상기 드럼스크린(150)은 이물질을 분리한 후 상품성이 떨어지는 1차 파쇄목을 선별한다.
상기 유압모터(133)에 구동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유압동력장치(미부호)가 구성되며, 상기 유압동력장치는 유압분배기를 통해 1차파쇄기호퍼(110)에 설치된 피드컨트롤유닛과 스크류하우징(131)의 일측과 방출구(131-2)에 설치된 유압모터(133)와 방출게이트(135)로 공급한다.
상기 1차파쇄장치(100)는 폐목재 및 폐MDF 등 파쇄하고자 하는 대상 물질을 1차파쇄기호퍼(110)에 통해 투입하고, 1차파쇄기호퍼(110)를 통해 공급되는 폐목재를 제1회전칼날(123)과 제1고정칼날(124)에 의해 1차파쇄기(120)에서 1차로 파쇄가 이루어지고, 1차로 파쇄가 이루어진 1차 파쇄목을 더블스크류프레스분쇄장치(130)로 공급하여 복수의 분류스크류(132)에 의해 분류되면서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방출구(131-2)로 배출이 이루어지며, 상기 방출구(131-2)에 설치된 방출게이트(135)의 개방상태를 조절하여 파쇄된 1차 파쇄목의 배출량이 조절된다.
상기 스크류컨베이어(160)는 1차파쇄장치(100)에 형성된 방출게이트(135)에 의해 배출되는 1차 파쇄목이 공급되는 공급구(161-1)와 배출되는 낙하공(161-2)이 형성된 컨베이어바디(161)가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1차 파쇄목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컨베이어바디(161)의 내측에 무주축스크류(162)가 설치되며, 상기 무주축스크류(162)는 복수의 스크류축(162-1)에 의해 컨베이어바디(16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스크류축(162-1) 중 하나에 스크류모터(163)가 설치되어 무주축스크류(162)를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바디(161)의 양측 끝단에는 무주측스크류(162)의 샤프트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축수장치가 설치하여 무주축스크류(162)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무주측스크류(162)에 설치된 복수의 샤프트 중 하나에 웜감속기가 설치되어 무주측스크류(162)의 스크류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무주축스크류(162)는 주축스크류장치의 단점인 분쇄물에 의해 스크류축과의 사이에 끼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스크류컨베이어(160)는 1차파쇄기(120)를 통해 공급되는 1차 파쇄목을 공급구로 유입되면, 컨베이어바디(161)의 일측에 설치된 스크류모터(163)의 구동에 의해 무주축스크류(162)가 회전하면서 공급된 1차 파쇄목을 이동시켜 낙하공(161-2)으로 낙하시켜 인클라인컨베이어(200)로 공급된다.
상기 인클라인컨베이어(200)는 스크류컨베이어(160)를 통해 공급되는 1차 파쇄목을 2차파쇄장치(400)로 공급할 수 있도록 이송시킨다, 또한, 인클라인컨베이어(200)는 소정 거리까지는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고, 수평방향의 끝단에서부터 상방향 쪽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지면서 경사지게 이루어진 상단에서 다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게 형성되어 2차파쇄장치(400)로 1차 파쇄목을 공급한다.
상기 인클라인컨베이어(200)는 1차 파쇄목을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다 소정 높이로 이송시킨 상태에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인클라인컨베이어프레임(210)이 구성되고, 상기 인클라인컨베이어프레임(210)의 양측과 꺾이는 부분에 컨베이어롤러(220)와 가이드롤러(230)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롤러(220)와 가이드롤러(230)에는 1차 파쇄목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컨베이어벨트(240)가 설치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240)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직각이 되게 이송판(241)이 다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컨베이어롤러(220)의 일측에는 체인스프로켓(221)이 설치되고, 상기 체인스프로켓(221)에는 체인(222)이 결합되어 컨베이어모터(250)의 구동력에 의해 컨베이어벨트(240)가 회전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컨베이어모터(250)는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인클라인컨베이어프레임(210)에 설치되어 컨베이어롤러(22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체인(222)은 인클라인컨베이어프레임(210)의 꺾이는 부분마다 설치된 가이드롤러에 의해 가이드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인클라인컨베이어(200)에는 복수의 지지대(260)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260)는 인클라인컨베이어프레임(210)의 높이에 따라 그 길이가 각기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인클라인컨베이어(200)는 스크류컨베이어(160)를 통해 공급되는 1차 파쇄목을 인클라인컨베이어(200)의 컨베이어벨트(240)에 형성된 이송판(241)에 의해 소정량씩 나누어 이송이 이루어지게 때문에 1차 파쇄목에 섞인 철편 및 철재물 등을 자력선별기(300)를 통해 선별하기가 용이하다.
상기 자력선별기(300)는 수평방향으로 이송되게 형성된 인클라인컨베이어(200)의 수평부 상부 쪽에 선별기프레임(310)이 설치되고, 상기 선별기프레임(310)에는 1차 파쇄목에 포함된 철편 및 철재물 등을 자력에 의해 선별할 수 있도록 마그네틱바디(320)가 설치되며, 상기 마그네틱바디(320)의 자력에 의해 1차 파쇄목에서 선별된 철편, 철재못 등의 이물질이 붙어서 이동될 수 있도록 선별벨트(330)가 다수의 마그네틱롤러(340)에 설치되고, 상기 마그네틱롤러(340)는 선별기프레임(310)의 상단과 마그네틱바디(320)의 상단에 각각 복수로 설치되며, 상기 선별기프레임(310)에 복수로 설치된 마그네틱롤러(340) 중 하나에는 롤러스프로켓(341)이 설치되고, 상기 롤러스프로켓(341)에 롤러체인(352)이 설치되어 선별벨트(330)를 이동시켜 자력에 의해 부착된 철편, 철재못 및 철재성분의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모터스프로켓(351)이 설치된 롤러구동모터(350)가 선별기프레임(310)의 일측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마그네틱바디에 자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유압식 전자마그테트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선별벨트(330)에는 등간격으로 복수의 분리자(331)가 설치되며, 상기 분리자(331)는 인클라인컨베이어(200)에 의해 이송되는 1차 파쇄목에서 철편, 철재못 및 철재성분의 이물질 등이 자력에 의해 선별벨트(330)에 부착된 상태에서 인클라인컨베이어(200)에서 벗어나면 자력이 상실되면서 철편, 철재못 및 절채성분의 이물질 등이 제거되며, 상기 복수의 분리자(331)에 의해 인클라인컨베이어(200)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자력선별기(300)는 유압식 전자석 자동분리형으로 1차 파쇄목의 포함된 철편, 철재못 및 철재성분의 이물질을 1차 파쇄목이 인클라인컨베이어(200)에 의해 이송되는 중에 제거된다.
또한, 자력선별기(300)의 자석 밀도는 설치 대응 거리 200mm 기준 860가우스 정도로 구성하여 흡인 거리 300mm 이상 유지하여 효율적으로 1차 파쇄목에서 철편, 철재못 및 철재성분의 이물질 등을 선별벨트(330)에 부착하고, 부착된 철편, 철재못 및 철재성분의 이물질이 선별벨트(330)에서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상기 2차파쇄장치(400)는 자력선별기(300)에서 철편, 철재못 및 철재성분의 이물질이 제거된 1차 파쇄목을 다시 더 작은 크기의 파쇄목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2차로 파쇄할 수 있도록 2차파쇄기(410)와 인라인튜브 컨베이어(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2차파쇄기(41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이루어져 상부에 설치되는 2차파쇄기호퍼(411-1)와 하부에 설치되는 배출가이드(411-2)가 각각 설치되는 2차파쇄기바디(411)가 인클라인컨베이어(200)의 일측 끝단 하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2차파쇄기바디(411)의 내측에는 2차파쇄기호퍼(411-1)를 통해 공급되는 1차 파쇄목을 다시 작은 크기로 파쇄할 수 있도록 제2회전칼날(41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회전칼날(412)은 일측에 샤프트기어(413-1)가 설치된 복수의 제2샤프트(413)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2차파쇄기호퍼(411-1)를 통해 공급되는 1차 파쇄목을 제2고정칼날(414)과 상호작용에 의해 파쇄하고, 상기 제2샤프트(413)는 2차파쇄기바디(4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고정칼날(414)은 등간격으로 제2샤프트(413)에 설치된 제2회전칼날(412)의 사이에 위치되게 2차파쇄기바디(411) 내부 양측 벽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어 제2회전칼날(412)의 상호작용에 의해 1차 파쇄목을 파쇄한다.
상기 복수의 제2회전칼날(412)이 설치된 복수의 제2샤프트(413) 중 하나는 제2파쇄기모터(415)와 결합되고, 상기 제2파쇄기모터(415)가 설치된 반대측 복수의 제2샤프트(413)에 샤프트기어(413-1)가 각각 설치되어 치압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복수의 제2샤프트(413)는 제2파쇄기모터(415)의 구동력에 의해 하나의 제2샤프트(413)가 회전하면서 샤프트기어(413-1)를 연동시켜 다른 제2샤프트(413)가 함께 회전되도록 하여 1차 파쇄목을 파쇄한다.
상기 2차파쇄기바디(411)의 하부에는 제품과 이물질을 최종적으로 선별하면서 크기별로 최종 파쇄목을 선별할 수 있도록 2차파쇄기(410)를 통해 파쇄된 최종 파쇄목을 제품선별 컨베이어장치(500)로 이동시키는 인라인튜브 컨베이어(420)가 구비된다.
상기 인라인튜브 컨베이어(420)는 수평이송튜브(421)과 상승이송튜브(4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이송튜브(421)은 2차파쇄기(410)로부터 최종 파목이 공급되어 이송기(423)에 의해 이동되도록 2차파쇄기(4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평이송튜브(421)의 일측에는 이송기(423)에 의해 이동되는 최종 파쇄목 소정 높이로 이송할 수 있도록 상승이송튜브(422)이 설치된다.
상기 수평이송튜브(421)과 상승이송튜브(422)의 내측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블레이드(미도시)가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는 이송기(423)의 구동에 의해 이동되면서 최종 파쇄목을 제품선별 컨베이어장치(500)로 공급한다. 상기 이송기(423)는 동력전달용 구동부 휠과 리턴부 테이크업 휠로 구성되어 장력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품선별 컨베이어장치(500)는 인라인튜브 컨베이어(420)의 수평이송튜브(421)와 상승이송튜브(422)를 통해 최종 파쇄된 목재칩을 공급받은 상태에서 바이프레이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진동이 전달되어 스프링의 반복 교번작용에 상품과 이물질을 선별하는 진동선별기(510)와, 진동선별기(510)에서 공급되는 제품을 격자스크린(524)에 형성된 눈목의 크기에 의해 상품의 크기를 선별하는 상품선별기(5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동선별기(510)는 인라인튜브 컨베이어(420)의 수평이송튜브(421)과 상승이송튜브(422)에서 공급되는 최종 파쇄목을 공급받은 상태에서 바이브레이터 모터(513)의 구동에 의해 상부판(511)에 진동에 의해 제품과 이물질을 선별한다.
또한, 상기 상부판(511)은 진동선별기본체(512)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판(511)의 하부에는 복수의 스프링(미도시)이 진동선별기본체(512)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판(511)에 진동이 가해지도록 바이브레이터 모터(513)가 구성된다.
상기 바이브레이터 모터(513)는 상부판(511)으로 진동을 전달하면, 상기 상부판(511)을 지지하는 다수의 스프링에 의해 연쇄적인 진동이 발생하여 상품과 이물질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상품선별기(520)는 진동선별기(510)에서 이물질이 분리된 제품을 공급받아 크기별로 제품을 선별할 수 있도록 상품선별기프레임(521)이 구성되고, 상기 상품선별기프레임(521)에는 제품을 이동시키기 위한 선별컨베이어(522)가 설치되고, 상기 선별컨베이어(522)가 제품을 이송할 수 있도록 선별기컨베이어롤러(523)가 상품선별기프레임(521)의 설치되어 선별컨베이어(522)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선별컨베이어(522)의 일측에는 격자스크린(524)이 상품선별기프레임(521)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품선별기(520)에 설치된 격자스크린(524)에 형성된 구멍의 크기보다 작은 상품은 아래방향으로 낙하되고, 구멍보다 큰 상품은 격자스크린(524)의 지나 상품선별기프레임(521)의 끝단으로 낙하되게 형성되며, 크기별로 낙하되는 상품에 따라 포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폐목재 감량화 및 재생 우드칩 생산시스템을 통해 폐목재를 상품화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폐목재를 1차파쇄기호퍼(110)를 통해 투입하고, 1차파쇄기호퍼(110)로 투입되는 폐목재를 일정량씩 1차파쇄장치(100)로 공급한다. 상기 1차파쇄장치(100)로 유입되는 폐목재는 예각으로 설치된 1차파쇄장치(100)의 제1회전칼날(123)과 제1고정칼날(124)의 상호작용에 의해 파쇄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1회전칼날(123)과 제1고정칼날(124)에 의해 파쇄된 1차 파쇄목은 1차파쇄장치(100)의 하부에 설치된 더블스크류프레스분쇄장치(130)로 공급되고, 상기 더블스크류프레스분쇄장치(130)로 공급된 1차 파쇄목 중에서 제품의 크기보다 현저하게 작은 부스러기는 배출구로 배출되면, 에어펌프(140)의 에어에 의해 드럼스크린(150)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제품성이 있는 1차 파쇄목은 스크류하우징(131)의 일측에 형성된 방출구(131-2)로 배출되는데, 이때 방출구(131-2)에 설치된 방출게이트(135)에 의해 방출량이 조절된다.
상기 방출구(131-2)로 배출되는 1차 파쇄목은 스크류컨베이어(160)의 공급구(161-1)를 통해 컨베이어바디(161) 내측으로 유입되고, 컨베이어바디(161)의 내측으로 유입된 1차 파쇄목은 스크류모터(163)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무주축스크류에 의해 이송되어 낙하공(161-2)으로 배출된다.
상기 컨베이어바디(161)의 낙하공(161-2)으로 배출된 1차 파쇄목은 다시 인클라인컨베이어(200)에 의해 이송되며, 상기 인클라인컨베이어(200)는 1차 파쇄목을 소정 높이로 이송시켜 2차파쇄장치(400)로 공급한다.
상기 인클라인컨베이어(200)에 의해 1차 파쇄목이 이송될 때 수평한 상태로 이송되는 부분에서 1차 파쇄목에 포함된 철편, 철재못 및 철재성분의 이물질 등을 자력선별기(300)의 자력으로 선별하여 인클라인컨베이어(200)의 일측으로 배출시킨다.
상기 자력선별기(300)는 선별기프레임(310)에 설치된 유압식 전자마그네트 장치에 의해 마그네틱바디(320)에서 자력이 발생되고, 발생된 자력에 의해 선별벨트(330)에 철편, 철재못 및 철재성분의 이물질 등이 부착되며, 부착된 철편, 철재못 및 철재성분의 이물질 등은 롤러구동모터(350)의 구동력에 의해 선별벨트(330)가 회전하여 컨베이어롤러(220)의 측방향으로 이송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롤러(220)의 측방향으로 이송된 철편, 철재못 및 철재성분의 이물질 등은 마그네틱바디(320)에서 발생된 자력의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에 선별벨트(330)에서 분리된다.
상기 자력선별기(300)를 통해 철편, 철재못 및 철재성분의 이물질 등이 선별된 1차 파쇄목은 인클라인컨베이어(200)에 의해 2차파쇄장치(400)의 2차파쇄기(410)로 공급된다.
상기 2차파쇄기(410)로 공급된 1차 파쇄목은 2차파쇄기호퍼(411-1)를 통해 2차파쇄기바디(411)의 내측으로 유입되고, 상기 2차파쇄기바디(411)의 내측으로 유입된 1차 파쇄목은 제2샤프트(413)에 설치된 제2회전칼날(412)과 2차파쇄기바디(411)의 내부 양측 벽면에 설치된 제2고정칼날(414)의 상호작용에 의해 파쇄가 이루어진다. 상기 2차파쇄기(410)에서 파쇄된 2차 파쇄목은 제품과 동일한 크기로 파쇄가 이루어진다.
상기 2차파쇄기(410)에서 파쇄된 2차 파쇄목은 인라인튜브 컨베이어(420)의 수평이송튜브(421)으로 유입되어 이송기(423)에 의해 이송이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기(423)에 의해 이송되는 2차 파쇄목은 진동선별기(510)로 공급된다.
상기 진동선별기(510)로 공급된 2차 파쇄목은 진동선별기(510)의 상부판(511)에 위치된 상태에서 바이브레이터 모터(513)의 구동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며, 이때 상부판(511)은 그 하부에 설치된 복수의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일정 폭 내에서만 진동이 이루어져 2차 파쇄목이 진동에 의해 진동선별기(510)의 외부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진동선별기(510)에서 제품과 이물질 등이 선별되어 제품은 상품선별기(520)로 공급되고, 이물질은 상부판(511)의 하부쪽으로 배출된다. 상기 상품선별기(520)로 공급되 제품은 선별컨베이어(522)에 의해 이송되고, 이송된 제품은 격자스크린(524)의 구멍 크기에 따라 작은 것은 격자스크린(524)의 하방향으로 배출이 이루어지며, 격자스크린(524)의 구멍 크기보다 큰 것은 상품선별기(52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상품선별기(520)에 의해 선별된 제품은 그 크기에 따라 사용처를 달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폐목재를 1차로 파쇄하여 이물질 및 부스러기 등을 선별한 후 자력선별기(300)를 통해 철편, 철재못, 철재성분의 이물질 등을 선별하고, 철편, 철재못, 철재성분의 이물질 등이 선별된 1차 파쇄목을 다시 2차파쇄기(410)를 통해 2차로 파쇄하여 2차 파쇄목을 제품선별 컨베이어장치(500)의 진동선별기(510)와 상품선별기(520)를 통해 제품의 크기에 따라 선별함으로써 제품의 크기에 따라 용도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목질 폐기물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원료화를 위한 전처리공정으로 원료투입 1차파쇄기호퍼(110)에 폐목질(합판, MDF) 원료를 이축 전단식 파쇄기에 투입하여 1차 파쇄한 다음, 더블칼날형 1차파쇄기(120)와 더블스크류형 더블스크류프레스분쇄장치(130)에서 1차 파쇄물의 균질화 및 진공을 이용한 파쇄물 내부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1차 스크류컨베이어(160)를 거쳐 벨트식 인클라인컨베이어(200)에 파쇄물 내부의 불순물을 제거 및 1차 파쇄목을 이송시키며, 이송과정 중 자력선별기(300)를 통해 1차 파쇄물에 잔존하는 철편 및 철재 불순물을 제거하여 기계장치를 보호하면서 폐목재를 2차파쇄장치(400)로 용이하게 이송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폐목재를 파쇄하여 목재칩으로 가공하여 나무판 등 목재 성형제품 제조용으로 사용할 경우 목재칩은 중간 가공폐기물로 분류된다. 그리고 축사 제초용 원료로 사용되는 고형연료제품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재활용제품으로 분류되고, 동일한 등급의 폐목재를 동일한 형태로 가공하더라도 사용 용도에 따라 중간 가공폐기물과 재활용제품의 활용도가 높은 이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차파쇄장치 110; 1차파쇄기호퍼
120: 1차파쇄기 121: 1차파쇄기바디
122: 제1샤프트 122-1: 드라이브기어
123: 제1회전칼날 124: 제1고정칼날
125: 제1샤프트구동모터 125-1: 메인기어
130: 더블스크류프레스분쇄장치 131: 스크류하우징
131-1: 유입구 131-2: 방출구
132: 분류스크류 132-1: 연동기어
133: 유압모터 134: 베어링하우징
135: 방출게이트 140: 에어펌프
150: 드럼스크린 160: 스크류컨베이어
161: 컨베이어바디 161-1: 공급구
161-2: 낙하공 162: 무주축스크류
162-1: 스크류축 163: 스크류모터
200; 인클라인컨베이어 210: 인클라인컨베이어프레임
220: 컨베이어롤러 221: 체인스프로켓
222: 체인 230: 가이드롤러
240: 컨베이어벨트 241: 이송판
250: 컨베이어모터 260: 지지대
300; 자력선별기 310: 선별기프레임
320: 마그네틱바디 330: 선별벨트
331: 분리자 340: 마그네틱롤러
341: 롤러스프로켓 350: 롤러구동모터
351: 모터스프로켓 352: 롤러체인
360: 마그네틱장치 400: 2차파쇄장치
410: 2차파쇄기 411: 2차파쇄기바디
411-1: 2차파쇄기호퍼 411-2: 배출가이드
412: 제2회전칼날 413: 제2샤프트
413-1; 샤프트기어 414: 제2고정칼날
415: 제2파쇄기모터 420: 인라인튜브 컨베이어
421: 수평이송튜브 422: 상승이송튜브
423: 이송기 500: 제품선별 컨베이어장치
510: 진동선별기 511: 상부판
512: 진동선별기본체 513: 바이브레이터 모터
520: 상품선별기 521: 상품선별기프레임
522: 선별컨베이어 523: 선별기컨베이어롤러
524; 격자스크린

Claims (10)

1차파쇄기호퍼(110)를 통해 투입된 폐목재를 파쇄하는 1차파쇄장치(100)와;
1차파쇄장치(100)에서 파쇄되어 배출되는 1차 파쇄목을 이송시키는 스크류컨베이어(160)와;
스크류컨베이어(160)를 통해 공급되는 파쇄목을 이송시키는 인클라인컨베이어(200)와;
인클라인컨베이어(200)를 통해 공급되는 1차 파쇄목에 포함된 쇳조각을 자력을 이용하여 선별하는 자력선별기(300)와;
자력선별기(300)에 의해 쇳조각을 제거한 상태의 1차 파쇄목을 인클라인컨베이어(200)를 통해 공급받아 2차로 파쇄하는 2차파쇄장치(400)와;
2차파쇄장치(400)를 통해 공급되는 2차 파쇄목을 제품선별 컨베이어장치(500)로 공급하는 인라인튜브 컨베이어(420)와;
인라인튜브 컨베이어(420)를 통해 공급되는 2차 파쇄목에 포함된 이물질을 진동에 의해 분리한 후 크기별로 선별하는 제품선별 컨베이어장치(500);
를 포함하고,
상기 1차파쇄장치(100)는,
투입량조절이 가능한 1차파쇄기호퍼(110)로 유입되는 폐목재를 제1회전칼날(123)과 제1고정칼날(124)에 의해 1차로 파쇄하는 1차파쇄기(120)가 1차파쇄기호퍼(110)의 하방향에 설치되며. 1차 파쇄목를 분쇄와 동시에 선별할 수 있도록 1차파쇄기(120)의 하방향에 하방향에 더블스크류프레스분쇄장치(130)가 설치되고, 더블스크류프레스분쇄장치(130)에 의해 분쇄된 분쇄목을 진공방식에 의해 이물질과 파쇄목을 분류하는 드럼스크린(150)으로 구성되며,
상기 1차파쇄기(120)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하부로 1차 파쇄목을 더블스크류프레스분쇄장치(130)로 공급하는 공급공이 형성되는 1차파쇄기바디(121)가 설치되며, 1차파쇄기바디(121)의 내측에는 폐목재를 파쇄하는 복수의 제1회전칼날(123)이 형성된 복수의 제1샤프트(122)가 설치되고, 복수의 제1회전칼날(123) 사이에 위치되어 제1회전칼날(123)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폐목재를 파쇄할 수 있도록 1차파쇄기바디(121)의 내부 양측 벽면에 제1고정칼날(124)이 각각 설치되고, 복수의 제1샤프트(122)의 양측에는 드라이브기어(122-1)가 각각 설치되어 인접되는 다른 드라이브기어(122-1)와 치합하여 연동되게 설치되며, 복수의 제1샤프트(122) 일측에 설치된 복수의 드라이브기어(122-1) 중 하나에 메인기어가 설치되고, 메인기어(125-1)는 1차파쇄기바디(121)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샤프트구동모터(125)의 구동축에 결합되며,
상기 더블스크류프레스분쇄장치(130)는,
일측 상단에 형성되는 유입구(131-1), 하부 중앙부와 일측단에 배출구 및 방출구(131-2)가 각각 형성되는 스크류하우징(131)과; 스크류하우징(131)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복수로 설치되는 분류스크류(132)와; 복수의 분류스크류(132)를 회전시켜 파쇄된 폐목재를 파쇄할 수 있도록 스크류하우징(131)의 일측에 설치되어 복수의 분류스크류(132)와 연결되게 설치되는 유압모터(133)와; 분류스크류(132)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스크류하우징(131)의 일측에 분류스크류(132)와 결합되게 베어링이 설치된 베어링하우징(13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목재 감량화 및 재생 우드칩 생산시스템.
삭제
삭제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컨베이어(160)는,
1차파쇄장치(100)에 형성된 방출게이트(135)에 의해 배출되는 분쇄목이 공급 및 배출되는 공급구(161-1)와 낙하공(161-2)이 형성된 'U'자형 컨베이어바디(161)가 형성되고,
분쇄목을 이동시키면서 분쇄물에 의한 스크류축과의 사이에 끼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바디(161)의 내측에 무주축스크류(162)가 복수로 설치되며,
컨베이어바디(161) 양끝단에는 복수의 무주축스크류(162)의 샤프트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축수장치를 설치하여 무주축스크류(162)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의 무주축스크류(162) 샤프트에는 웜감속기가 설치되어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목재 감량화 및 재생 우드칩 생산시스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선별기(300)는,
인클라인컨베이어(200)의 수평부 상단에 위치되게 설치하여 철편 및 철재못을 자력에 의해 선별할 수 있도록 선별기프레임(310)에 설치되는 마그네틱바디(320)와;
다수의 분리자를 가지며 선별기프레임(310)과 마그네틱바디(320)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마그네틱롤러(340)에 설치되는 선별벨트(330)와;
선별기프레임(310)에 복수로 설치된 마그네틱롤러(340) 중 하나에 설치되는 롤러스프로켓(341)과 롤러구동모터(350)에 설치되는 모터스프로켓(351)에 연결되는 롤러체인(352)과;
롤러스프로켓(341)과 모터스프로켓(351)에 연결된 롤러체인(352)을 회전시키는 롤러구동모터(350)와;
마그네틱바디(320)에 설치되어 자력 발생을 위한 유압식 전자마그네트장치(3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폐목재 감량화 및 재생 우드칩 생산시스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파쇄장치(400)는,
자력선별기(300)에서 철편, 철재못 및 철재성분의 이물질이 제거된 1차 파쇄목을 다시 더 작은 크기의 파쇄목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2차로 파쇄할 수 있도록 2차파쇄기(410)와 인라인튜브 컨베이어(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목재 감량화 및 재생 우드칩 생산시스템.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차파쇄기(410)는,
상부와 하부에 2차파쇄기호퍼(411-1)와 배출가이드(411-2)가 각각 설치되어 인클라인컨베이어(200)의 일측 끝단 하방향에 설치되는 2차파쇄기바디(411)와;
2차파쇄기바디(411)의 내측에서 1차 파쇄목을 파쇄할 수 있도록 샤프트기어(413-1)가 각각 설치되어 연동회전하는 제2샤프트(413)에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는 제2회전칼날(412)과;
복수의 제2회전칼날(412) 사이에 위치되게 2차파쇄기바디(411)의 내부 양측 벽면에 설치되는 제2고정칼날(414)과;
복수의 제2샤프트(413) 중 하나와 결합되어 2차파쇄기바디(411)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파쇄기모터(41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목재 감량화 및 재생 우드칩 생산시스템.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차파쇄기(410)의 하부에는 인라인튜브 컨베이어(420)가 설치되고,
상기 인라인튜브 컨베이어(420)는 3차원 형태의 입체적 이송이 가능한 밀폐형으로 구성하여 2차 파쇄된 목재 칩을 밀폐형 인라인튜브컨베이어(420)의 내부에 설치된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제품선별 컨베이어장치(500)까지 밀폐된 구조로 파쇄물을 이송시켜 분진 및 이물질이 비산되지 않도록 수평이송튜브(421)과 상승이송튜브(422)으로 구성되고,
동력전달용 구동부휠과 리턴부 테이크업휠로 구성하여 장력조절이 가능하게 이송기(423)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목재 감량화 및 재생 우드칩 생산시스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선별 컨베이어장치(500)는,
인라인튜브 컨베이어(420)의 수평이송튜브(421)와 상승이송튜브(422)를 통해 최종 파쇄된 목재칩을 공급받은 상태에서 바이프레이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진동이 전달되어 스프링의 반복 교번작용에 상품과 이물질을 선별하는 진동선별기(510)와;
진동선별기(510)에서 공급되는 제품을 격자스크린(524)에 형성된 눈목의 크기에 의해 상품의 크기를 선별하는 상품선별기(5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목재 감량화 및 재생 우드칩 생산시스템.
KR1020210034128A 2021-03-16 2021-03-16 폐목재 감량화 및 재생 우드칩 생산시스템 KR102481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128A KR102481420B1 (ko) 2021-03-16 2021-03-16 폐목재 감량화 및 재생 우드칩 생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128A KR102481420B1 (ko) 2021-03-16 2021-03-16 폐목재 감량화 및 재생 우드칩 생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350A KR20220129350A (ko) 2022-09-23
KR102481420B1 true KR102481420B1 (ko) 2022-12-26

Family

ID=83446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128A KR102481420B1 (ko) 2021-03-16 2021-03-16 폐목재 감량화 및 재생 우드칩 생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42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964Y1 (ko) * 2004-09-09 2004-12-20 동신산업(주) 복합진동을 이용한 파분쇄 및 선별장치용 스크린
KR100472078B1 (ko) * 2004-06-23 2005-03-14 (주)한진그린기술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임목폐기물 재활용장치 및 그 방법
KR101754569B1 (ko) * 2016-04-25 2017-07-07 김수철 폐기물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1826Y1 (ko) * 1997-03-27 1999-07-15 김택열 분쇄목 이송장치
JP2004166519A (ja) 2002-11-18 2004-06-17 Shimabara Sangyo Kk リサイクル木炭を使った法面緑化基盤材
KR100832467B1 (ko) 2006-08-03 2008-05-26 주식회사 풍록원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법면 녹화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078B1 (ko) * 2004-06-23 2005-03-14 (주)한진그린기술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임목폐기물 재활용장치 및 그 방법
KR200369964Y1 (ko) * 2004-09-09 2004-12-20 동신산업(주) 복합진동을 이용한 파분쇄 및 선별장치용 스크린
KR101754569B1 (ko) * 2016-04-25 2017-07-07 김수철 폐기물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350A (ko) 2022-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9040B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behandling av hushaolls-, industri- och andra liknande avfall.
CN105750205B (zh) 一种建筑垃圾抛重破碎装置及其方法
KR20210108268A (ko) 매립쓰레기에서 가연성쓰레기를 연료화하고 토석류는 재활용하기 위한 선별방법 및 선별시스템
KR101543781B1 (ko) 선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선별 시스템
KR20030057556A (ko) 자주식 리사이클기계, 자주식 리사이클기계의 베이스유닛및 베이스프레임
KR100960366B1 (ko) 폐목을 이용한 톱밥 마쇄기 및 이를 이용한 톱밥 및 목분 제조 장치
CN104492567A (zh) 生物质燃料破碎机
CN112547260A (zh) 一种固体废物处理用分筛存储装置
CN103264043A (zh) 建筑垃圾分拣机及其分类系统
US1067566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processing of forest residue
KR102481420B1 (ko) 폐목재 감량화 및 재생 우드칩 생산시스템
WO2012096560A1 (en) Cutter drum for use in tree trunk pulverizer
KR20100118096A (ko) 우드칩 및 톱밥 겸용 제조장치
KR101976741B1 (ko) 펠릿 제조용 선별장치
CN218308416U (zh) 非金属撕碎线
KR20040051174A (ko) 목재칩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목재칩제조방법
CN109168666B (zh) 一种秸秆粉碎机
SU1585019A1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твердых бытовых отходов
CN217069571U (zh) 人造板生产的备料装置
CN213382033U (zh) 一种木材废料回收装置
KR100935709B1 (ko) 이동식 칩 제조장치
KR20060129635A (ko) 산업폐기물 및 폐차량 처리용 슈레더
CN218654789U (zh) 一种废菌棒的多级粉碎装置
KR20040051916A (ko) 나무 뿌리를 활용한 이동식 톱밥 및 우드칩 제조장치
CN220496527U (zh) 一种用于磷矿开采的筛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