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560B1 - 폐토사에 함유된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폐토사에 함유된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560B1
KR102480560B1 KR1020210163658A KR20210163658A KR102480560B1 KR 102480560 B1 KR102480560 B1 KR 102480560B1 KR 1020210163658 A KR1020210163658 A KR 1020210163658A KR 20210163658 A KR20210163658 A KR 20210163658A KR 102480560 B1 KR102480560 B1 KR 102480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screen
rotating
waste soil
foreign substances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3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호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대성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대성기업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대성기업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6Feeding or discharging arrangem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폐토사에 함유된 이물질 제거장치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주면에 이물질이 통과할 수 있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다수의 통공이 구비되며, 길이 방향으로 투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는 회전스크린; 회전스크린 및 배출컨베이어 구동시키는 구동부; 회전스크린의 양 측면과 상부를 폐쇄하고 하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구 및 배출구를 제외한 회전스크린의 전방과 후방을 폐쇄하는 보호커버; 보호커버의 상면에 복수 개로 구비된 송풍기를 포함하여 폐토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회전스크린 내부로 풍력을 제공하는 송풍수단; 회전스크린의 하부에 구비되어 폐토사가 회전스크린 내부를 통과하면서 제거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컨베이어; 및 지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지주와, 상기 회전스크린, 구동부, 보호커버, 송풍수단 및 배출컨베이어가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토사에 함유된 이물질 제거장치{Dirt removing apparatus contained in waste soil}
본 발명은 폐토사에 함유된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토사로부터 합성수지 및 금속류 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요업제품 원료로서의 토사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폐토사에 함유된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토사란 쓰레기, 폐자재 등이 섞인 형태의 토사로서 사업장 폐기물이나 건설폐기물의 하나이고, 이러한 폐토사에는 합성수지 및 금속류 등의 이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대부분 재활용되지 못하고 매립되는 실정이다.
이에 폐토사를 재활용하고자 폐토사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술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일예로, 아래의 특허문헌 1은 건설 폐토사 내 이물질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설 폐토사를 토사와 골재 및 이물질로 각각 선별해 주는 트롬멜 스크린과, 폐토사의 골재에 묻은 토사와 모래 및 각종 이물질을 분리시켜 주는 토사 및 이물질 분리구와, 트롬멜 스크린의 출구 측 상부에 설치된 이물질 흡입용 호퍼를 통해 선별된 각종 이물질들 중 상대적으로 중량이 가벼운 이물질들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풍력 선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장치는 건설 폐토사에서 금속 성분을 분리해내기 어렵고, 이물질의 제거가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폐토사로부터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요업제품 원료로서의 토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안출하게 되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85120호(2016. 12. 19. 공고)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풍력 및 자력을 이용하되 보다 효과적으로 폐토사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사업장 폐기물이나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을 도모할 수 있고 요업제품 원료로서의 토사로 사용할 수 있는 폐토사에 함유된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폐토사에 함유된 이물질 제거장치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주면에 이물질이 통과할 수 있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다수의 통공이 구비되며, 길이 방향으로 투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는 회전스크린; 회전스크린 및 배출컨베이어 구동시키는 구동부; 회전스크린의 양 측면과 상부를 폐쇄하고 하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구 및 배출구를 제외한 회전스크린의 전방과 후방을 폐쇄하는 보호커버; 보호커버의 상면에 복수 개로 구비된 송풍기를 포함하여 폐토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회전스크린 내부로 풍력을 제공하는 송풍수단; 회전스크린의 하부에 구비되어 폐토사가 회전스크린 내부를 통과하면서 제거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컨베이어; 및 지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지주와, 상기 회전스크린, 구동부, 보호커버, 송풍수단 및 배출컨베이어가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폐토사에 함유된 이물질 제거장치는, 상기 송풍기의 풍력에 의해 회전하는 이물질 분리 보조부가 회전스크린 내부에 더 구비되고, 상기 이물질 분리 보조부는 회전스크린 내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홈이 복수 개 구비되되 회전스크린의 중심축 상에 위치하고 소정 길이를 갖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외주면에 복수의 블레이드가 형성된 복수의 중공회전봉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폐토사에 함유된 이물질 제거장치는, 상기 고정봉 상에는 중공회전봉의 독립 회전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중공회전봉의 길이 방향 양단부 측에 이격판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폐토사에 함유된 이물질 제거장치는, 상기 회전스크린의 내주면에 폐토사에 함유된 금속 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폐토사에 부착된 이물질 분리를 촉진시키는 자석판이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의 폐토사에 함유된 이물질 제거장치에 의하면, 이물질 분리보조부와 자석판에 의해 폐토사에 부착된 합성수지 및 금속류 등의 이물질이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또한 본 발명의 폐토사에 함유된 이물질 제거장치에 의하면, 사업장 폐기물이나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을 도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요업제품에 필요한 토사를 폐토사로부터 수득할 수 있으므로 요업제품 생산시 경제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토사에 함유된 이물질 제거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토사에 함유된 이물질 제거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토사에 함유된 이물질 제거장치에서 보호커버 및 회전스크린의 내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토사에 함유된 이물질 제거장치에서 이물질 분리 보조부 일부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폐토사에 함유된 이물질 제거장치는 회전스크린(100), 구동부(200), 보호커버(300), 송풍수단(400), 배출컨베이어(500) 및 프레임부(600)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스크린(100)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주면에 이물질이 통과할 수 있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다수의 통공(110)이 구비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으로 투입구(120)와 배출구(130)가 형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상태로 설치된다.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는 폐토사는 별도의 폐토사 유입 컨베이어(미도시)를 통해 회전스크린(100) 내부로 투입되며, 합성수지 및 금속류 등의 이물질은 회전스크린(100) 내부에서 제거된 후 이물질이 제거된 폐토사가 중력과 상기 구동부(200)에 의한 회전스크린(100)의 회전에 의해 배출구(130)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스크린(100)의 내주면에는 폐토사에 함유된 금속 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폐토사에 부착된 이물질 분리를 촉진시키는 자석판(1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석판(150)은 강자성체로 일체로 제조되거나, 판상의 본체 일부에 영구자석이 고정 또는 삽입되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단면상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자석판(150)은 회전스크린(100)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는 자석판(150)에 금속 성분이 다량 부착되면 폐토사와의 충돌 시 다시 탈락될 수 있으므로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부착된 금속 성분의 제거 작업이 필요해지는바 그 작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상기 구동부(200)는 회전스크린(100) 및 배출컨베이어(500)를 구동시키는 구성으로서, 상기 회전스크린(100)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210)와 상기 배출컨베이어(500)를 작동시키는 제2모터(2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보호커버(300)는 회전스크린(100)을 보호하고 회전스크린(100) 내부에서 발생되는 먼지의 비산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보호커버(300)는 회전스크린(100)의 양 측면과 상부를 폐쇄하고 하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투입구(120) 및 배출구(130)를 제외한 회전스크린(100)의 전방과 후방을 폐쇄하는 형태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300)는 유지 보수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상부와 하부가 분리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수단(400)은 폐토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회전스크린(100)의 통공(110)을 통해 회전스크린(100) 내부로 풍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보호커버(300)의 상면에 복수 개로 구비된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풍기의 풍력에 의해 회전스크린(100) 내부를 이동하는 폐토사는 회전스크린(100)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공중으로 부상(浮上)하게 되는바, 단순히 중력과 회전스크린(100)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경우보다 회전스크린(100) 내벽에 충돌하거나 폐토사끼리 충돌하는 횟수가 더욱 증가하게 되고, 이는 이물질이 폐토사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촉진하는 결과로 이어진다.
다만, 송풍기는 보호커버(300)의 상면에 구비되는 것이어서 장착될 수 있는 송풍기의 사양에 제한이 따르고 회전스크린(100)의 크기를 고려할 때 회전스크린(100)의 일부에만 바람이 공급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커버(300)의 상면 내부에 확산판(410)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확산판(410)은 송풍기에서 발생한 바람이 회전스크린(100)의 전체 면에 걸쳐 고루 공급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폐토사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송풍기의 풍력에 의해 회전하는 이물질 분리보조부(700)가 회전스크린(100) 내부에 더 구비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물질 분리보조부(700)는 회전스크린(100) 내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바(710)와, 상기 지지바(710)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홈(720a)이 복수 개 구비되되 회전스크린(100)의 중심축 상에 위치하고 소정 길이를 갖는 고정봉(720)과, 상기 고정봉(720)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외주면에 복수의 블레이드(730a)가 형성된 복수의 중공회전봉(73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봉(720) 상에는 중공회전봉(730)의 독립 회전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중공회전봉(730)의 길이 방향 양단부 측에 이격판(750)이 고정 구비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회전스크린(100) 내부로 유입된 바람은 다수의 블레이드(730a)에 작용하여 중공회전봉(730)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렇게 회전하고 있는 중공회전봉(730)은 중공회전봉(730) 근처에 부상한 폐토사를 블레이드(730a)로 타격함으로써 폐토사에 부착된 이물질의 추가적인 제거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타격된 폐토사는 불규칙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스크린(100)이나 다른 폐토사와 다시 충돌하게 되므로 폐토사로부터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배출컨베이어(500)는 폐토사가 회전스크린(100) 내부를 통과하면서 제거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으로서 회전스크린(100)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배출컨베이어(500)는 일측에 구비된 제2모터(220)에 연결된 구동풀리와 타측에 구비된 종동풀리에 벨트를 걸고, 회전스크린(100)과 마찬가지로 길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풀리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벨트의 이동방향을 투입구(120)로부터 배출구(130)로 향하는 폐토사의 진행방향과 반대로 한다.
상기 회전스크린(100)의 통공(110)을 통해 낙하한 토사 등의 이물질은 이동중인 벨트 위로 떨어지고 벨트를 따라 이동하다 배출컨베이어(500)의 종단에서 낙하하여 별도의 수집함(미도시)으로 수집되어 처리된다.
또한, 이물질이 배출컨베이어(500)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사이드 차폐벽(510)이 벨트 측면에 더 구비될 수 있고, 배출컨베이어(500)의 경사에 따라 이물질이 벨트 진행 역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분리벽(520)이 벨트 표면에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배출컨베이어(500)에 이물질이 고착되는 경우 고장이나 내구성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벨트표면에 이물질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벨트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시가 프레임부(600)의 일측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600)는 지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지주(610)와 상기 회전스크린(100), 구동부(200), 보호커버(300), 송풍수단(400) 및 배출컨베이어(500)가 설치되는 지지프레임(6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프레임(620)에는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작업대(6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회전스크린 110: 통공 120: 투입구
130: 배출구 150: 자석판 200: 구동부
210: 제1모터 220: 제2모터 300: 보호커버
400: 송풍수단 410: 확산판 500: 배출컨베이어
510: 사이드 차폐벽 520: 분리벽 600: 프레임부
610): 지주 620: 지지프레임 630: 작업대
700: 이물질 분리보조부 710: 지지바 720: 고정봉
730: 중공회전봉 750: 이격판

Claims (4)

  1.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주면에 이물질이 통과할 수 있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다수의 통공(110)이 구비되며, 길이 방향으로 투입구(120)와 배출구(130)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는 회전스크린(100);
    회전스크린(100) 및 배출컨베이어(50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200);
    회전스크린(100)의 양 측면과 상부를 폐쇄하고 하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구(120) 및 배출구(130)를 제외한 회전스크린(100)의 전방과 후방을 폐쇄하는 보호커버(300);
    보호커버(300)의 상면에 복수 개로 구비된 송풍기를 포함하여 폐토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회전스크린(100) 내부로 풍력을 제공하는 송풍수단(400);
    회전스크린(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폐토사가 회전스크린(100) 내부를 통과하면서 제거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컨베이어(500); 및
    지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지주(610)와, 상기 회전스크린(100), 구동부(200), 보호커버(300), 송풍수단(400) 및 배출컨베이어(500)가 설치되는 지지프레임(620)을 포함하는 프레임부(600);
    로 이루어지며,
    상기 송풍기의 풍력에 의해 회전하는 이물질 분리 보조부(550)가 회전스크린(100) 내부에 더 구비되고,
    상기 이물질 분리 보조부(550)는 회전스크린(100) 내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바(551)와, 상기 지지바(551)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홈(552a)이 복수 개 구비되되 회전스크린(100)의 중심축 상에 위치하고 소정 길이를 갖는 고정봉(552)과, 상기 고정봉(55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외주면에 복수의 블레이드(553a)가 형성된 복수의 중공회전봉(55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봉(552) 상에는 중공회전봉(553)의 독립 회전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중공회전봉(553)의 길이 방향 양단부 측에 이격판(554)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스크린(100)의 내주면에는 폐토사에 함유된 금속 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폐토사에 부착된 이물질 분리를 촉진시키는 자석판(515)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토사에 함유된 이물질 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163658A 2021-09-16 2021-11-24 폐토사에 함유된 이물질 제거장치 KR1024805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23743 2021-09-16
KR1020210123743 2021-09-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0560B1 true KR102480560B1 (ko) 2023-01-04

Family

ID=84924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3658A KR102480560B1 (ko) 2021-09-16 2021-11-24 폐토사에 함유된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56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0364A (ja) * 2006-07-31 2008-02-14 Kayaba System Machinery Kk 合成樹脂製シートの洗浄処理装置
KR100952073B1 (ko) * 2009-07-30 2010-04-13 (주)포스벨엔지니어링 가연성 폐기물 정밀 선별장치
KR101373117B1 (ko) * 2013-12-16 2014-03-11 한국토지주택공사 가연성 폐기물의 연료화 선별방법 및 선별장치
KR101685120B1 (ko) 2016-03-21 2016-12-19 삼흥산업개발 (주) 건설 폐토사 내 이물질 선별장치
KR102361059B1 (ko) * 2021-03-04 2022-02-14 유한회사 다온산업 고형연료용 폐합성수지에 부착된 이물질의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0364A (ja) * 2006-07-31 2008-02-14 Kayaba System Machinery Kk 合成樹脂製シートの洗浄処理装置
KR100952073B1 (ko) * 2009-07-30 2010-04-13 (주)포스벨엔지니어링 가연성 폐기물 정밀 선별장치
KR101373117B1 (ko) * 2013-12-16 2014-03-11 한국토지주택공사 가연성 폐기물의 연료화 선별방법 및 선별장치
KR101685120B1 (ko) 2016-03-21 2016-12-19 삼흥산업개발 (주) 건설 폐토사 내 이물질 선별장치
KR102361059B1 (ko) * 2021-03-04 2022-02-14 유한회사 다온산업 고형연료용 폐합성수지에 부착된 이물질의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14026B2 (ja) 選別装置
US11478824B2 (en) Specific gravity-specific waste air sorter having impurity separation function, using vortex
KR101320976B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
KR101678685B1 (ko) 이물질을 거르는 목재칩 또는 톱밥의 이송 장치
KR100952903B1 (ko) 원심력을 이용한 폐비닐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비닐 재생 시스템
KR102480560B1 (ko) 폐토사에 함유된 이물질 제거장치
KR100967539B1 (ko) 건설폐기물의 선별장치
JP5634324B2 (ja) 集塵機能を備えた吸引風力式選別装置
KR102361059B1 (ko) 고형연료용 폐합성수지에 부착된 이물질의 제거장치
JP2008030364A (ja) 合成樹脂製シートの洗浄処理装置
JPH11500058A (ja) 廃棄物、特に混合建設廃棄物を仕分け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341277B1 (ko) 재활용 폐비닐 건조장치
JP2016087952A (ja) リサイクル処理装置
JPH06320112A (ja) 選別装置
KR102480567B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고순도 비성형 고형연료 제조시스템
KR101514428B1 (ko) 금속과 비닐 선별장치
KR200387222Y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2174459B1 (ko) 혼합 폐기물 선별장치
KR20080075242A (ko) 비중 차를 이용한 폐 플라스틱류 습식 선별방법
JP2002219447A (ja) ダスト分離装置
KR100430837B1 (ko) 골재의 입형개선 및 그 속에 포함된 이물질 선별 시스템
KR200450648Y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
KR20090041483A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
JP2013075279A (ja) 可燃物分離装置
CN221063430U (zh) 一种具有震荡功能的八角滚筒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