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277B1 -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277B1
KR102479277B1 KR1020210112415A KR20210112415A KR102479277B1 KR 102479277 B1 KR102479277 B1 KR 102479277B1 KR 1020210112415 A KR1020210112415 A KR 1020210112415A KR 20210112415 A KR20210112415 A KR 20210112415A KR 102479277 B1 KR102479277 B1 KR 102479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member
plate
chest wall
shaped
lin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유성근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지승씨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지승씨앤아이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12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2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강화플라스틱 등의 판형이나 선형으로 된 보강부재를 사용하여 교대 흉벽부의 전면에는 판형 보강부재를 부착보강하고 이를 교대 벽체부에는 선형 보강부재로 전환하여 정착시키기 위하여 판형 보강부재에서 선형 보강부재로의 중심에서 벗어나 편심된 축에서도 효과적인 고정 정착이 되도록 하여, 온도 팽창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흉벽부의 응력을 혼합체 보강부재가 분담저항 거동으로 흉벽의 최대응력을 감소시켜 흉벽의 변형이나 균열을 방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무조인트 교량 상부구조의 온도팽창에 의하여 수평변위가 발생하는 교대 흉벽부의 보강구조에 있어서, 교대 흉벽부의 전면에서 수직으로 일정 길이와 깊이로 천공부를 형성하도록 하고, 일정 크기의 수직 판 형상의 판형 보강부재와, 일정 길이의 선재(線材)로 이루어지며 판형 보강부재의 하단부로 일정길이 돌출하도록 판형 보강부재의 일측면에 수직방향으로 구성되는 선형 보강부재로 구성되는 혼형체 보강부재를, 천공부에 선형 보강부재의 하부구간을 삽입하고 판형 보강부재를 흉벽부의 전면에 부착하며, 천공부에 주입제를 주입하여 형성된다.

Description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Reinforcement Structure of Pseudo Jointless Bridge}
본 발명은 기존 조인트 교량을 흉벽일체 무조인트화하는 구조에서 안전성 증대하도록 하는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섬유강화플라스틱 등의 판형이나 선형으로 된 보강부재를 사용하여 교대 흉벽부의 전면에는 판형 보강부재를 부착보강하고 이를 교대 벽체부에는 선형 보강부재로 전환하여 정착시키기 위하여 판형 보강부재에서 선형 보강부재로의 중심에서 벗어나 편심된 축에서도 효과적인 고정 정착이 되도록 하여, 온도 팽창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흉벽부의 응력을 혼합체 보강부재가 분담저항 거동으로 흉벽의 최대응력을 감소시켜 흉벽의 변형이나 균열을 방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흉벽구조체와 거더(교량구조) 간의 초속경콘크리트를 활용하여 기존 조인트를 제거하고 흉벽과 상부구조를 일체시키는 일체화(무조인트화) 방법 적용시에는 외기온도 상승으로 상부구조 팽창발생이 기존 교대구조체의 흉벽의 전면부에서 인장응력을 유발하는 휨모멘트가 발생하게 되어 구조적 문제가 발생된다.
즉, 온도신축에 의해 거더가 신장하며 이에 따라 일체 연결된 흉벽 상부구조에 수평변위가 발생하며, 흉벽구조체에 모멘트가 발생하게 되고 균열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보강이전 기존 흉벽은 배면토를 지지하는 구조이므로 흉벽 배면이 인장응력이 발생하나 무조인트화 방법을 적용시 팽창시 전면부에 인장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777271호 "교대상부 무조인트 슬래브 교량구조"(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교대(100) 상부의 슬래브 조인트를 설치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도로지반(PG) 및 기존설계뒷채움구간(BD) 쪽에 설치되는 교대(100); 상기 기존설계뒷채움구간(BD)에서 도로 쪽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기초확장구간(BS); 상기 도로지반(PG) 상부에 포설되는 도로슬래브(SS); 교량설치방향에서 접근하여 타단이 상기 교대(100) 상부에 설치되는 거더(G); 상기 거더(G) 상부에 포설되는 교량슬래브(S); 상기 기존설계뒷채움구간(BD) 상부 및 상기 기초확장구간(BS) 상부에 포설되는 확장슬래브(1);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교량슬래브(S) 타단과 상기 확장슬래브(1) 일단은 서로 간극이 없도록 접촉하며, 상기 교량슬래브(S) 타단과 상기 확장슬래브(1) 일단 내부에는 힌지(hinge)기능을 하는 강연선(3)이 설치되고, 상기 확장슬래브(1)의 타단과 상기 도로슬래브(SS)의 일단은 상기 기초확장구간(BS) 상부에서 간극을 가진 탄성조인트(10)를 형성하므로, 교대 상부의 상기 교량슬래브(S) 타단과 상기 확장슬래브(1) 일단에서 간극을 가진 슬래브 조인트가 생략되고 변위는 상기 탄성조인트(10)에서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확장슬래브(1)의 타단 중 일부는 확장조인트슬래브(2);를 형성하고 상기 확장조인트슬래브(2) 타단과 상기 도로슬래브(SS) 일단이 상기 탄성조인트(10)를 형성하고, 상기 확장슬래브(1) 타단과 상기 확장조인트슬래브(2) 일단이 간극을 가진 추가탄성조인트(9);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상부 무조인트 슬래브 교량구조'를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 역시 온도변화에 의하여 교대(100)의 교대돌출부(110)에 하중이 집중되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 제1777271호 "교대상부 무조인트 슬래브 교량구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섬유강화플라스틱 등의 판형이나 선형으로 된 보강부재를 사용하여 교대 흉벽부의 전면에는 판형 보강부재를 부착보강하고 교대 벽체부에는 선형 보강부재를 편심된 축에서도 효과적인 정착되도록 하여, 온도 팽창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흉벽부의 응력을 혼합체 보강부재가 분담저항 거동으로 흉벽의 최대응력을 감소시켜 흉벽의 변형이나 균열을 방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무조인트 교량 상부구조의 온도팽창에 의하여 수평변위가 발생하는 교대 흉벽부의 보강구조에 있어서, 교대 흉벽부의 전면에서 수직으로 일정 길이와 깊이로 천공부를 형성하도록 하고, 일정 크기의 수직 판 형상의 판형 보강부재와, 일정 길이의 선재(線材)로 이루어지며 판형 보강부재의 하단부로 일정길이 돌출하도록 판형 보강부재의 일측면에 수직방향으로 구성되는 선형 보강부재로 구성되는 혼형체 보강부재를, 천공부에 선형 보강부재의 하부구간을 삽입하고 판형 보강부재를 흉벽부의 전면에 부착하며, 천공부에 주입제를 주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선형 보강부재는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2개 또는 그 이상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선형 보강부재의 상단부에서 하부로 일정 구간이 판형 보강부재의 하단부에서 상부 일정 구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판형 보강부재에는 복수의 부착공이 통공되고, 접착제가 판형 보강부재의 일측면과 부착공에 채워져 정착 또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혼형체 보강부재는 섬유강화플라스틱 또는 강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혼형체 보강부재는 선형 보강부재가 각형 단면 또는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혼형체 보강부재는 판형 보강부재의 하부 일부구간과 선형 보강부재을 동시로 감싸도록 래핑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혼형체 보강부재는 판형 보강부재의 전면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선형 보강부재가 형성되고, 판형 보강부재의 전면부의 하부 일부구간과 선형 보강부재을 수지로 함침하여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혼형체 보강부재는, 판형 보강부재가 흉벽부의 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ㄷ 형단면의 본체부와 본체부의 양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며 결합공이 통공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고정채널이 판형 보강부재의 하부 일부구간과 선형 보강부재을 동시로 감싸 결합부가 흉벽부의 전면에 앵커볼트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고정채널의 내부에는 수지로 함침하여 연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는 섬유강화플라스틱 등의 판형이나 선형으로 된 보강부재를 사용하여 교대 흉벽부의 전면에는 판형 보강부재를 부착보강하고 이를 교대 벽체부에는 선형 보강부재로 전환하여 정착시키기 위하여 판형 보강부재에서 선형 보강부재로의 중심에서 벗어나 편심된 축에서도 효과적인 고정 정착이 되도록 하여, 온도 팽창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흉벽부의 응력을 혼합체 보강부재가 분담저항 거동으로 흉벽의 최대응력을 감소시켜 흉벽의 변형이나 균열을 방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상기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 2b는 상기 도 2a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혼형체 보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혼형체 보강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는 상기 도 1의 측단면도이며, 도 2b는 상기 도 2a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혼형체 보강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혼형체 보강부재(30)를 이용하여 상부구조(20)의 온도팽창에 의하여 수평변위가 발생하는 교대 흉벽부(10a)의 보강하도록 하되 교대 벽체부(10b)에 혼형체 보강부재(30)를 정착시켜서 효과적인 보강이 구형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혼형체 보강부재(30)는 도 3에서와 같이, 일정 크기의 수직 판 형상의 플레이트와 같은 판형 보강부재(31)와, 판형 보강부재(31)의 일측면에 상부 일부 구간이 부착되는 일정 길이의 선형 보강부재(32)으로 구성된다.
이는 도 2b와 같이 구조체인 교대(10)를 구성하는 교대 흉벽부(10a)의 전면을 보강하기 위해서는 면 요소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으나, 교대 벽체부(10b)는 전면에서 수평하게되는 면이 교차하는 모서리(“다”)가 형성되어 후술되는 선형 보강부재(32)을 사용하여 효과적인 정착하기 위한 드릴 홀인 천공부(16)와는 이격(“라”)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에 따른 판형 보강부재(31)의 중심축(“가”)과 선형 보강부재(32)의 중심축(“나”) 간의 발생하는 편심(“마”)이 형성되므로 이를 보다 이격이나 편심의 크기를 적게 하도록 효과적인 혼형체 보강부재(30)를 교대 흉벽부(10a)에 휨 보강하고 이를 교대 벽체부(10b)에 정착하는데 저항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선형 보강부재(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거리 이격되어 한 쌍이 구성되거나 그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외에도 하나만 구성될수도 있으며, 판형 보강부재(31)의 일측면에 수직방향으로 구성되는데, 판형 보강부재(31)의 높이보다 일정길이 더 길게 형성되어 판형 보강부재(31)의 일측면의 전체 높이에 구성하고 선형 보강부재(32)의 하단부에서 상부로 의 일정 구간이 판형 보강부재(31)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 보강부재(32)의 상단부에서 하부로 일정 구간이 판형 보강부재(31)의 하단부에서 상부 일정 구간에 위치하도록 하여 선형 보강부재(32)의 하단부에서 상부로 의 일정 구간이 판형 보강부재(31)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선형 보강부재(32)의 상단부에서 하부로 일정 구간은 판형 보강부재(31)의 일측면에 접착제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부착, 접착, 결합 등의 방법으로 구성되며, 선형 보강부재(32)의 하단부에서 상부로의 일정 구간은 판형 보강부재(31)의 하단부에서 하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판형 보강부재(31)와 선형 보강부재(32)는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재질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섬유강화플라스틱, 강재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판형 보강부재(31)는 수직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판형 보강부재(31)의 외측면은 흉벽부(10a)에 밀착하여 부착되어 흉벽부(10a)가 온도신축에 의해 압력이 가해질 때 압력을 분산시켜 보강하도록 하며, 따라서 그 크기 및 두께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선형 보강부재(32)는 일정 길이로 이루어지며, 도 3a에서와 같이, 사각 단면을 갖도록 하거나, 도 3b에서와 같이, 원형 단면이나 이외에도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혼형체 보강부재(30)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흉벽부(10a)의 보강을 위하여, 교대(10) 흉벽부(10a)의 전면 하부 교대면에서 수직으로 일정 길이와 깊이로 천공부(16)를 형성하도록 하고, 혼형체 보강부재(30)의 선형 보강부재(32)을 천공부(16)에 삽입하여 위치시키고 판형 보강부재(31)를 흉벽부(10a)의 전면에 접착제, 앵커볼트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부착하도록 한다.
종래에는 교대(10) 흉벽부(10a)의 전면 하부 교대면에서 흉벽부(10a)의 전면에 의하여 천공장비 등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천공을 하기가 불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혼형체 보강부재(30)를 판형 보강부재(31)와 선형 보강부재(32)으로 구성함으로써 교대(10) 흉벽부(10a)의 전면에 시공시에 선형 보강부재(32)가 흉벽부(10a)의 전면과 판형 보강부재(31)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천공 장비 등을 이용하여 천공부(16)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판형 보강부재(31)에는 복수의 부착공(311)이 통공되도록 하고, 앵커볼트 등이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접착제 이용하여 부착시에 접착제가 판형 보강부재(31)의 일면과 부착공(311)에 채워져 정착 또는 부착되도록 하여, 판형 보강부재(31)와 흉벽부(10a) 간의 부착력을 높이도록 한다.
이때, 판형 보강부재(31)는 흉벽부(10a)의 수직한 전면에 부착되며, 선형 보강부재(32)는 교대(10)에서 교대하단 수평면에 형성되는 천공부(16)에 삽입하여 정착되도록 하는데, 천공부(16)에는 선형 보강부재(32)의 정착을 위하여 공지의 다양한 주입제(17)를 주입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혼형체 보강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혼형체 보강부재(30)는 판형 보강부재(31)와 선형 보강부재(32)을 접착제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접착, 부착, 결합하도록 할 수 있으나, 결합력을 높이도록 도 4에서와 같이, 혼형체 보강부재(30)는 판형 보강부재(31)의 하부 일부구간과 선형 보강부재(32)을 함께 감싸도록 래핑부재(37)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래핑부재(37)는 FRP, 섬유강화플라스틱 등 공지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판형 보강부재(31)와 선형 보강부재(32)의 결합구간을 감싸서 추가로 일체 고정하도록 한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혼형체 보강부재(30)는, 판형 보강부재(31)가 흉벽부(10a)의 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고정채널(40)에 의하여 추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데, 고정채널(40)은 ㄷ 형단면의 본체부(41)와 본체부(41)의 양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며 결합공(421)이 통공되는 결합부(42)로 이루어지는 고정채널(40)이 판형 보강부재(31)의 하부 일부구간과 선형 보강부재(32)을 동시로 감싸 결합부(42)가 흉벽부(10a)의 전면에 앵커볼트(50)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고정채널(40)의 내부에는 도 5b에서와 같이, 수지로 충진하여 연결부(33)를 형성하도록 하여, 판형 보강부재(31)와 선형 보강부재(32)의 연결부를 고정채널(40)과 이중으로 보강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혼형체 보강부재(30)는 판형 보강부재(31)와 선형 보강부재(32)가 접하여 접합, 부착, 결합되기 때문에, 흉벽부(10a)에 시공시에는 선형 보강부재(32)가 수직한 흉벽부(10a)의 전면에 근접하기 때문에 이를 온도신축에 따른 변위에 적절히 대응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판형 보강부재(31)와 선형 보강부재(32)을 이격시키기 위하여, 도 6a 및 도 6b에서와 같이, 판형 보강부재(31)의 전면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선형 보강부재(32)가 형성되도록 하고, 판형 보강부재(31)의 전면부의 하부 일부구간과 선형 보강부재(32)을 수지로 함침하여 연결부(33)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연결부(33)는 도 6c에서와 같이, 고정채널(40) 연결부(33)를 흉벽부(10a)의 전면에 앵커볼트(50)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는 섬유강화플라스틱 등의 판형이나 선형으로 된 보강부재를 사용하여 교대 흉벽부의 전면에는 판형 보강부재를 부착보강하고 이를 교대 벽체부에는 선형 보강부재로 전환하여 정착시키기 위하여 판형 보강부재에서 선형 보강부재로의 중심에서 벗어나 편심된 축에서도 효과적인 고정 정착이 되도록 하여, 온도 팽창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흉벽부의 응력을 혼합체 보강부재가 분담저항 거동으로 흉벽의 최대응력을 감소시켜 흉벽의 변형이나 균열을 방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 교대
10a : 흉벽부
16 : 천공부
17 : 주입제
20 : 상부구조
30 : 혼형체 보강부재
31 : 판형 보강부재
32 : 선형 보강부재

Claims (11)

  1. 상부구조(20)의 온도팽창에 의하여 수평변위가 발생하는 교대(10) 흉벽부(10a)의 보강구조에 있어서,
    교대(10) 흉벽부(10a)의 전면에서 수직으로 일정 길이와 깊이로 천공부(16)를 형성하도록 하고,
    일정 크기의 수직 판 형상의 판형 보강부재(31)와, 일정 길이의 선재(線材)로 이루어지며 판형 보강부재(31)의 하단부로 일정길이 돌출하도록 판형 보강부재(31)의 일측면에 수직방향으로 구성되는 선형 보강부재(32)로 구성되는 혼형체 보강부재(30)를,
    천공부(16)에 선형 보강부재(32)의 하부구간을 삽입하고 판형 보강부재(31)를 흉벽부(10a)의 전면에 부착하며,
    천공부(16)에 주입제(17)를 주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선형 보강부재(32)는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2개 또는 그 이상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선형 보강부재(32)의 상단부에서 하부로 일정 구간이 판형 보강부재(31)의 하단부에서 상부 일정 구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판형 보강부재(31)에는 복수의 부착공(311)이 통공되고,
    접착제가 판형 보강부재(31)의 일측면과 부착공(311)에 채워져 정착 또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혼형체 보강부재(30)는 섬유강화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혼형체 보강부재(30)는 강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혼형체 보강부재(30)는 선형 보강부재(32)가 각형 단면 또는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혼형체 보강부재(30)는 판형 보강부재(31)의 하부 일부구간과 선형 보강부재(32)을 동시로 감싸도록 래핑부재(3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혼형체 보강부재(30)는,
    판형 보강부재(31)가 흉벽부(10a)의 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ㄷ 형단면의 본체부(41)와 본체부(41)의 양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며 결합공(421)이 통공되는 결합부(42)로 이루어지는 고정채널(40)이
    판형 보강부재(31)의 하부 일부구간과 선형 보강부재(32)을 동시로 감싸 결합부(42)가 흉벽부(10a)의 전면에 앵커볼트(50)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고정채널(40)의 내부에는 수지로 함침하여 연결부(3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혼형체 보강부재(30)는 판형 보강부재(31)의 전면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선형 보강부재(32)가 형성되고, 판형 보강부재(31)의 전면부의 하부 일부구간과 선형 보강부재(32)을 수지로 함침하여 연결부(33)가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
KR1020210112415A 2021-08-25 2021-08-25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 KR102479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415A KR102479277B1 (ko) 2021-08-25 2021-08-25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415A KR102479277B1 (ko) 2021-08-25 2021-08-25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9277B1 true KR102479277B1 (ko) 2022-12-20

Family

ID=84539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415A KR102479277B1 (ko) 2021-08-25 2021-08-25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277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321A (ja) * 1995-06-30 1997-01-14 Ohbayashi Corp 橋脚柱の補強構造
JP2000144642A (ja) * 1998-09-10 2000-05-26 Sankyu Inc 壁式rc構造物の耐震補強構造及び耐震補強方法
KR20010100042A (ko) * 2001-04-14 2001-11-14 김연수 교각의 내진 보강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10114109A (ko) * 2000-06-21 2001-12-29 김기중 교각의 내진보강장치
KR200362687Y1 (ko) * 2004-06-30 2004-09-22 이승영 교각 보강장치
JP2011247044A (ja) * 2010-05-31 2011-12-08 Railway Technical Research Institute 橋台の補強方法
JP2013194471A (ja) * 2012-03-22 2013-09-30 Nippon Expressway Research Institute Co Ltd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構造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
KR101777271B1 (ko) 2016-11-24 2017-09-11 이호형 교대상부 무조인트 슬래브 교량구조
JP2018035508A (ja) * 2016-08-29 2018-03-08 西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打継目移動制限装置及び橋脚
KR20200126671A (ko) * 2019-04-30 2020-11-09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이격 보강부재 및 외부 보강강판을 활용한 콘크리트 기둥 구조물의 내진, 내화, 보수, 보강공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321A (ja) * 1995-06-30 1997-01-14 Ohbayashi Corp 橋脚柱の補強構造
JP2000144642A (ja) * 1998-09-10 2000-05-26 Sankyu Inc 壁式rc構造物の耐震補強構造及び耐震補強方法
KR20010114109A (ko) * 2000-06-21 2001-12-29 김기중 교각의 내진보강장치
KR20010100042A (ko) * 2001-04-14 2001-11-14 김연수 교각의 내진 보강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362687Y1 (ko) * 2004-06-30 2004-09-22 이승영 교각 보강장치
JP2011247044A (ja) * 2010-05-31 2011-12-08 Railway Technical Research Institute 橋台の補強方法
JP2013194471A (ja) * 2012-03-22 2013-09-30 Nippon Expressway Research Institute Co Ltd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構造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
JP2018035508A (ja) * 2016-08-29 2018-03-08 西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打継目移動制限装置及び橋脚
KR101777271B1 (ko) 2016-11-24 2017-09-11 이호형 교대상부 무조인트 슬래브 교량구조
KR20200126671A (ko) * 2019-04-30 2020-11-09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이격 보강부재 및 외부 보강강판을 활용한 콘크리트 기둥 구조물의 내진, 내화, 보수, 보강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4874B1 (ko) 강관으로 전단을 보강한 조립식 콘크리트 교각 구조
KR101880490B1 (ko) 딥데크 슬래브용 합성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구조
KR101711202B1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교량 바닥판
JP6691880B2 (ja) プレキャスト壁高欄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JP2015101842A (ja) 橋梁床版用継手金具
KR101653803B1 (ko) 소하천 조립식 교량
JP4735501B2 (ja) ハーフプレキャスト型複合構造部材
KR100381443B1 (ko) 구조재의 접합부의 보강구조 및 보강방법
KR102479277B1 (ko)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
KR20090037053A (ko) 유도핀 매립식 암거
JP3869236B2 (ja) 既存鉄筋コンクリート造高架橋の耐震補強方法
KR101699022B1 (ko) 연속지점부의 거더 매립형 교량 시공 방법
KR101298581B1 (ko) 섬유보강 복합소재 데크 튜브 간의 스냅-핏과 접착 혼합 조립에 의한 바닥판과 거더의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KR101482977B1 (ko)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KR102005970B1 (ko) 강합성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824963B1 (ko) 하이브리드 강합성거더 및 그 시공방법
JP5516933B2 (ja) 柱梁接合部の補強構造
KR100769222B1 (ko) 중공 에프알피 바닥판과 주형의 연결구조
KR100838739B1 (ko) 중력식 철도교각의 내진성능 보강구조 및 그를 이용한보강공법
KR101886744B1 (ko) 도로용 프리캐스트 반단면 데크
KR20030053637A (ko) T형 보강재가 보강된 파형강판 구조물 및 그 보강방법
KR100656285B1 (ko) 인장 및 전단 보강을 위한 외부강선의 정착구조
KR101908700B1 (ko) 압축개방 u형 플랜지와 단부 h접합블럭으로 구성된 복합보
JP3314357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圧着工法
KR200296003Y1 (ko) 강연선 매입 내화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