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737B1 - 정향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정향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737B1
KR102478737B1 KR1020190157155A KR20190157155A KR102478737B1 KR 102478737 B1 KR102478737 B1 KR 102478737B1 KR 1020190157155 A KR1020190157155 A KR 1020190157155A KR 20190157155 A KR20190157155 A KR 20190157155A KR 102478737 B1 KR102478737 B1 KR 102478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love oil
cyclin
dependent kinas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7484A (ko
Inventor
김완일
이경하
Original Assignee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57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737B1/ko
Publication of KR20210067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향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정향 오일은 각질형성세포에 처리시 피부장벽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피부 노화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시킴을 확인함에 따라, 피부장벽 기능을 강화하고 피부 노화를 방지함으로써, 나아가 피부장벽 손상에 의한 피부 건조 또는 피부 염증을 방지하고 주름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어, 화장품 및 식품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향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enhancing skin barrier comprising clove oil}
본 발명은 정향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로부터 개체를 보호하는 장벽기능이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장벽기능은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자극(화학물질, 대기오염물질, 건조한 환경, 자외선 등)에 대한 방어와 피부를 통한 체내 수분의 과도한 발산을 막는 보호 기능이며, 이러한 보호기능은 각질형성세포로 구성된 각질층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만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표피 중에서도 가장 바깥쪽에 존재하는 각질층(Stratum corneum, horney layer)은 각질형성세포로부터 형성되며, 분화가 완결된 각질세포와 그를 둘러싼 지질층으로 구성되어 있다(Marcelo C. L. et al, J. Invest. Dermatol., 80, pp37-44, 1983). 각질세포는 표피 최하층에서 지속적으로 증식(proliferation)하는 기저세포(basal cell)가 단계적으로 형태 및 기능상의 변화를 거치며, 피부 표면까지 상승한 특징적인 세포이며,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오래된 각질세포는 피부에서 탈락되고 새로운 각질세포가 그 기능을 대신하게 되는데, 이러한 반복적인 일련의 변화 과정을 표피 세포의 분화 또는 각화(keratinization)라고 부른다. 또한, 각화과정 중에 각질형성세포는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 와 세포간 지방질(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을 생성하면서 각질층을 형성하여 각질층이 견고함과 유연성을 가지게 하여 피부 장벽(skin barrier)으로서의 기능을 보유하게 한다.
이러한 각질층은 과도한 세안이나, 목욕 등의 생활 습관적 요소나, 건조한 대기 오염 물질 등의 환경적인 요인, 그리고 아토피성 피부나 노인성 피부 같은 내인성 질환 등으로 인해 쉽게 그 기능이 손실될 수 있으며, 실제로 현대에 들어서 더욱 늘어난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최근에는 건조피부증상 및 이로 인한 제반 장해를 호소하는 부분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외부 환경 변화, 노화가 진행되면서 피부 내 여러 가지 변화가 발생하면서 피부 장벽 손상을 입게 되고 이에 따라 피부 염증, 건조증, 가려움증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 장벽을 개선해 줌으로써 피부에 발생하는 다양한 트러블들을 개선해 줄 수 있으며, 최근 들어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피부 장벽을 개선해 주는 원료들은 현재까지 많이 보고되어 있지 않다.
한편, p21 및 p16은 암 억제 단백질로 각각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아제 1A(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1A, CDKN1A) 및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아제 2A(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2A, CDKN2A) 유전자로 암호화되어 있다. 다세포 생물의 세포 주기에서 세포분열 및 성장의 반대 신호로 작용하며 다양한 내외부적 요인에 의한 세포분열의 억제 및 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또한,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5(transglutaminase 5, TGM5)는 표피의 가시층, 과립층, 기저층에서 주로 발현되며 표피의 분화(Differentiation)에 관여하는 피부장벽 구성의 핵심 유전자이다. 칼슘에 의해서 즉각적으로 발현이 증가하며, 이후 피부세포의 분화 정도에 따라 다시 발현이 감소하는 특성을 가진다. 피부장벽의 주요 구성 단백질인 involucrin, loricrin, SPR1, SPR2를 기질로 가지며, 글루타민(Glutamine)과 라이신(Lysine)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함. 따라서 표피의 구조를 형성하며, 피부장벽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케라틴 1(keratin 1, KRT1)은 표피세포 가시층과 과립층에서 주로 발현되며, 표피의 피부장벽을 구성하는 주요 유전자의 하나이다. Type 2에 속하며 Keratin 10과 함께 결합하여 표피 각질세포의 세포골격 주요 구성인자로 작용한다. KRT1 유전자의 발현은 Filaggrin을 포함하는 타 구조단백질의 발현을 야기하며 지질과의 공유결합을 통해 피부장벽의 건설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KRT1유전자의 이상은 피부에 다양한 종류의 질환을 야기하며, 따라서 해당 유전자는 피부장벽 기능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장벽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천연 원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정향 오일이 각질세포의 노화관련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고, 피부장벽 관련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17043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정향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향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형성세포 분화 유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향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향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향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형성세포 분화 유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향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향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향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형성세포 분화 유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정향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향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정향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형성세포 분화 유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정향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향 오일은 각질형성세포에 처리시 피부장벽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피부 노화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시킴을 확인함에 따라, 피부장벽 기능을 강화하고 피부 노화를 방지함으로써, 나아가 피부장벽 손상에 의한 피부 건조 또는 피부 염증을 방지하고 주름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어, 화장품 및 식품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정향 오일 처리 농도 및 처리 시간에 따른 HaCaT 세포에서의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2는 정향 오일 처리에 따른 피부 노화 관련 유전자 CDKN1A 및 CDKN2A의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정향 오일 처리에 따른 피부 장벽 관련 유전자 TGM5(transglutaminase 5) 및 KRT1(keratin 1)의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정향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피부 각질형성세포 분화 유도용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정향 오일은 정향나무(Eugenia caryophyllata)의 꽃봉오리(flower buds)에서 추출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Eugenia caryophyllata의 꽃봉오리를 증류법(Steam distillation)으로 추출하여 수득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transglutaminase) 및 케라틴(keratin)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5 및 케라틴 1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장벽 기능 강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일 수 있다. 나아가, 피부건조 또는 피부염증유발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아제 유전자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아제 1A(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1A) 및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아제 2A(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2A) 유전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유전자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써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발휘하는 것일 수 있다. 나아가, 주름 개선을 억제 또는 개선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정향 오일을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90 중량부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으나, 바람직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유효량을 포함한다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젤,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 로션 및 바디 클렌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은 형광물질, 살진균제, 굴수성 유발물질, 보습체, 방향제, 방향제 담체, 단백질, 용해화제, 당유도체, 일광차단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부형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화장료 조성물을 의약품 또는 화장품으로 제형화할 경우, 활성 성분에 대한 담체로 작용하는 피부에 적용가능한 공지의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의약품으로의 제형화시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화장품으로 제형화시에는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6th ed., 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1995]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문헌들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건강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본 발명은 정향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피부 각질형성세포 분화 유도용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건강식품 또는 건강기능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정향 오일을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정향 오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킷, 떡,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유제품 및 유가공 제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향 오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정향 오일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 중의 상기 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유지를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정향 오일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 정향 오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라이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정향 오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및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정향 오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정향 오일의 세포독성 측정
정향 오일(bail oil)은 ㈜콘스텔라(경기도 군포시)에서 100%원액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인간 피부세포/각질세포주의 일종인 HaCaT세포는 DMEM (Dulbecco′Modified Eagle′), 10% FBS (Fetal Bovine Serum), 1% Penicillin/Streptomycin을 배합한 배지에 의해 배양되었으며, 5% CO2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37℃ 배양기 내에서 유지되었다. 해당 세포는 96-well plate 위에서 배양되었으며, 90% 이상 성장하였을 때 (90% of Visual Confluency)에 상기 정향 오일을 0.001, 0.01 및 0.05%의 농도로 7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 후 배양액을 제거한 후, 96-well plate 상의 세포를 PBS (Phosphate-buffered saline)로 3회 세척하였다. 다음으로 CCK-8 용액 (CK04, Dojindo Molecular Technologies, USA)을 10μL 추가한 후에 4시간 동안 37℃에서 반응 시켰다. 이후 OD=45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도 1은 정향 오일 처리 농도 및 처리 시간에 따른 HaCaT 세포에서의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그 결과, 0.01% 이하의 정향 오일 처리가 인간 피부세포의 일종인 각질세포의 생존 및 분열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각질세포의 노화에 대한 정향 오일의 영향 확인
인간 피부세포/각질세포주의 일종인 HaCaT세포는 DMEM (Dulbecco′Modified Eagle′을 배합한 배지에 의해 배양되었으며, 5% CO2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37℃ 배양기 내에서 유지되었다. 해당 세포는 96-well plate 위에서 배양되었으며, 90% 이상 성장하였을 때 (90% of Visual Confluency)에 정향 오일을 0.01% 농도로 7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 후 배양액을 제거한 후, plate 상의 세포를 PBS (Phosphate-buffered saline)로 3회 세척하였다. 수집된 세포에서 RNA를 정제한 후 cDNA를 합성하였으며, qPCR을 이용하여 유전자 정량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al-time PCR, quantitative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은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기반으로 하는 실험방법으로, 목표 DNA분자의 증폭과 양의 측정을 동시에 할 수 있다. DNA샘플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특정 서열을 위해,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은 검출과 양의 측정을 할 수 있게 하며, 계량은 절대적인 복제 수 또는 상대적인 양을 셀 수 있다.
실험의 진행은 일반적인 중합효소연쇄반응을 따라 진행하였다. 중요한 특징은, 증폭된 DNA가 실시간으로 측정된다는 것으로, 이 점이 마지막에서 DNA가 관측이 되는 기본적인 중합효소연쇄반응과의 차이점이다. 두 가지의 일반적인 방법이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에서 사용되었다. 아무 DNA이중나선에 끼어들어갈 수 있는 불특정한 형광염색, 그리고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서열-특이적 DNA탐침- 형광으로 보고자가 라벨되어 있고, 상보적인 DNA목표에 결합한 뒤 검출되었다. 이번에 사용한 기법은 SYBR 시약을 이용한 비특이선 이중나선의 검출법이다.
도 2는 정향 오일 처리에 따른 피부 노화 관련 유전자 CDKN1A 및 CDKN2A의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인간 피부세포/각질세포주의 일종인 HaCaT세포에 0.01%의 정향 오일을 처리한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CDKN1A와 CDKN2A 유전자 발현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CDKN1A와 CDKN2A 유전자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인간세포의 노화를 촉진하는 p21, p16 단백질을 암호화하고 있다. 따라서 해당 유전자의 발현 감소는 피부의 노화 정도가 감소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정향 오일이 인간 각질세포의 노화 억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항노화 기능 소재로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피부장벽 기능에 대한 정향 오일의 영향 확인
인간 피부세포/각질세포주의 일종인 HaCaT세포는 DMEM (Dulbecco′Modified Eagle′e Serum), 1% Penicillin/Streptomycin을 배합한 배지에 의해 배양되었으며, 5% CO2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37℃ 배양기 내에서 유지되었다. 해당 세포는 96-well plate 위에서 배양되었으며, 90% 이상 성장하였을 때 (90% of Visual Confluency)에 정향 오일을 0.01% 농도로 7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 후 배양액을 제거한 후, plate 상의 세포를 PBS (Phosphate-buffered saline)로 3회 세척하였다. 수집된 세포에서 RNA를 정제한 후 cDNA를 합성하였으며,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qPCR)을 이용하여 유전자 정량분석을 수행하였다. 실험예 2와 마찬가지로, 실험의 진행은 일반적인 중합효소연쇄반응을 따라 진행하였다.
도 3은 정향 오일 처리에 따른 피부 장벽 관련 유전자 TGM5(transglutaminase 5) 및 KRT1(keratin 1)의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인간 피부세포/각질세포주의 일종인 HaCaT세포에 0.01%의 정향 오일을 처리한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TGM5 및 KRT1 유전자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TGM5 유전자의 발현을 통해 표피에 존재하는 다양한 구조 단백질의 결합을 촉진하고, KRT1 유전자 발현 증가를 통해 피부장벽의 강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정향 오일이 인간 각질세포의 분화촉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정향나무(Eugenia caryophyllata)의 꽃봉오리에서 증류법(Steam distillation)으로 추출하여 수득된 정향 오일을 포함하는,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아제 1A(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1A),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아제 2A(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2A) 유전자 발현에 의한 피부 노화에 의한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정향 오일은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5(transglutaminase 5) 및 케라틴 1(keratin 1)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 및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아제 1A(CDKN1A),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아제 2A(CDKN2A)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인, 조성물.
  8. 삭제
  9. 삭제
  10. 정향나무(Eugenia caryophyllata)의 꽃봉오리에서 증류법(Steam distillation)으로 추출하여 수득된 정향 오일을 포함하는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아제 1A(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1A),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아제 2A(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2A) 유전자 발현에 의한 피부 노화에 의한 피부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정향 오일은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5(transglutaminase 5) 및 케라틴 1(keratin 1)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 및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아제 1A(CDKN1A),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아제 2A(CDKN2A)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인, 조성물.
KR1020190157155A 2019-11-29 2019-11-29 정향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78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155A KR102478737B1 (ko) 2019-11-29 2019-11-29 정향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155A KR102478737B1 (ko) 2019-11-29 2019-11-29 정향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484A KR20210067484A (ko) 2021-06-08
KR102478737B1 true KR102478737B1 (ko) 2022-12-19

Family

ID=76399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155A KR102478737B1 (ko) 2019-11-29 2019-11-29 정향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87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205Y1 (ko) 2000-12-15 2001-05-15 주식회사자무코스메틱 여성화장 소독세정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8066A (ja) * 2000-03-31 2001-10-16 Shiseido Co Ltd 皮膚バリアー機能改善剤
KR101106216B1 (ko) * 2008-10-22 2012-01-19 이병수 피부염 예방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1477552B1 (ko) * 2012-12-07 2014-12-30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제놀 유도체를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74017B1 (ko) 2015-06-23 2018-07-04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온에서 액체상태인 유지로 둘러싸인 덱스트린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조리 시간이 절감된 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205Y1 (ko) 2000-12-15 2001-05-15 주식회사자무코스메틱 여성화장 소독세정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484A (ko)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76534B2 (ja) 鉄皮石斛(デンドロビウム・カンディダム)花の抽出物を含む化粧料組成物
KR101693574B1 (ko) 틴달화 유산균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190005369A (ko) 씨-피코시아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10098124A (ko) 포제를 이용한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536371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그 배양액,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피부 보습, 피부 장벽 강화, 및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CN111201012A (zh) 包含积雪草不定根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用于皮肤美白及皱纹改善的化妆品组合物
KR20230147028A (ko) 대마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항염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EP2200574B1 (en) Novel use of panduratin derivatives or extract of kaempferia pandurata comprising the same
US10555894B2 (en) Plant extract comprising sucrose esters as an active agent for use in cosmetic, dermatological or nutricosmetic composition
JP2023171950A (ja) 抗老化剤、抗酸化剤、抗炎症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
KR102122649B1 (ko) 유산 및 글루코노락톤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78737B1 (ko) 정향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3994B1 (ko) 흰점박이꽃무지유충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92334B1 (ko) 바질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JP4136207B2 (ja) 化粧料、医薬部外品、医薬品、食品
KR102173406B1 (ko) 망고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각질 개선,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조성물
KR102239415B1 (ko) 발효 삼칠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JP5312731B2 (ja) 皮膚外用剤
KR20220077991A (ko)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924446B1 (ko) 포제를 이용한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JP2017206468A (ja) リソソーム活性促進剤
JP2011051920A (ja) 美白剤
KR101884897B1 (ko) 고본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활성 화장료 조성물
KR101964837B1 (ko) 쇄양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134968B1 (ko) 우절 추출물 및 미숙사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