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890B1 - 인출 가이드 및 인출가이드를 가지는 마이크로파 조리 기기 또는 공업로 - Google Patents

인출 가이드 및 인출가이드를 가지는 마이크로파 조리 기기 또는 공업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890B1
KR102476890B1 KR1020197030379A KR20197030379A KR102476890B1 KR 102476890 B1 KR102476890 B1 KR 102476890B1 KR 1020197030379 A KR1020197030379 A KR 1020197030379A KR 20197030379 A KR20197030379 A KR 20197030379A KR 102476890 B1 KR102476890 B1 KR 102476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pull
guide
out guide
micro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0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9098A (ko
Inventor
요한-세바스티안 레스만
요하네스 티비지나
빌리 그리가트
Original Assignee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190129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24C15/168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with telescopic rail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2Travelling or movable supports or containers for the charg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6Prevention of microwave leakage, e.g. door sea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어 형성을 위한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바디 레일 (1) 과 주행 레일 (2) 및 마이크로파에 대해 상기 인출 가이드를 차폐하기 위한 마이크로파 실드 (10) 를 갖는 마이크로파 조리 기기 또는 산업용 오븐을 위한 인출 가이드와 관련된다. 상기 인출 가이드는 상기 주행 레일 (2)이 오직 부분적으로만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인출 가이드를 적어도 하나 가지는 마이크로파 조리 기기 또는 산업용 오븐과 관련된다.

Description

인출 가이드 및 인출가이드를 가지는 마이크로파 조리 기기 또는 공업로
본 발명은 지지대, 특히 음식물 지지대 형성을 위한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바디 레일과 주행 레일 및 마이크로파에 대해 상기 인출 가이드를 차폐하기 위한 마이크로파 실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파 조리 기기 또는 공업로를 위한 인출 가이드와 관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인출 가이드를 가지는 마이크로파 조리 기기 또는 공업로와 관련된다.
오븐과 같은 조리 기기에서, 베이킹 트레이와 같은 음식물 지지대 수단으로 주류가 된 인출 가이드는 음식물 지지대가 기울어질 어떠한 위험 없이 기기의 조리실로부터 쉽게 인출될 수 있어 더 쉽게 제거될 수 있거나 음식물이 조리되었는지 여부를 시험할 수 있다.
다른 조리 방법과 조합 또는 대안으로서 또는 독점적으로 마이크로파 복사에 의한 음식을 가열하거나 조리하는 조리 기기에서, 조리실 내에 배열된 모든 구성요소는 마이크로파 복사 때문에 특정 제한을 받기 쉽다. 인출 가이드를 포함하는 조리실에 내장된 구성요소는 마이크로파 복사로부터 에너지 흡수하고 결과적으로 뜨거워지는 것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방식으로 흡수된 에너지가 소실되는 것이 반드시 방지되어야 한다. 가열은 한편으로 에너지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고, 다른 한편으로 인출 가이드 또는 조리실 내의 다른 구성요소를 손상시킬 수 있고 심지어 화재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에너지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며, 파괴 효과와 관련되는 플라즈마 방출 형성의 위험이 있다. 유사한 문제가 가열 목적으로 마이크로파 복사를 사용하는 공업로의 경우에도 존재한다. 문서 DE 4142346 A1은 마이크로파 조리 기기를 위한 인출 가이드를 개시하고, 여기서 상기 인출 가이드의 주행 레일은 폐쇄된 중공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차폐 레일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주행 레일 자체가 차폐 레일로서 구성된다. 실제 인출 가이드는 상기 인출 가이드의 내부 구성요소들이 마이크로파 복사에 접근 가능하지 않도록 상기 차폐 레일에 의해 차폐된다.
이 설계의 하나의 단점은 폐쇄된 중공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구성으로 인해 주행 레일이 움직이는 영역 내에서 인출 가이드의 직접적인 지지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인출 레일은 오직 후단 영역에 고정식으로 장착될 수 있고, 반드시 전방 영역에서 일 예인 조리실의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가이드 롤러에 의해 가이드되어야 한다. 이러한 가이드 롤러는 인출 가이드를 위한 추가 공간을 필요로 하고, 전체 확장/과확장 디자인이 가능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노출된 가이드 롤러는 세척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추가적인 외부 가이드 요소 없이 마이크로파 복사를 사용하는 조리 기기 또는 가열 챔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인출 가이드를 만드는 것이다. 추가적인 목적은 이러한 인출 가이드를 갖는 마이크로파 조리 기기 또는 공업로를 설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각 독립항의 특징들을 갖는 인출 가이드 및 마이크로파 조리 기기 또는 공업로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실시예 및 추가 개발은 종속항들의 대상이 된다.
도입부에 언급된 유형의 본 발명에 따른 인출 가이드는 마이크로파 실드가 주행 레일이 부분적으로만 차폐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분적 차폐는 주행 레일이 주행 레일의 수축된 상태에서만 완전히 차폐되는 반면, 주행 레일은 연장되거나 부분적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완전히 차폐되지 않기 때문에 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수축된 상태 및 부분적 또는 완전히 연장된 상태에서 주행 레일이 측면을 따라 기하학적으로 완전히 덮이지 않고 오히려 부분적으로 덮이는 점에서 부분적 차폐가 달성될 수 있다. 이는 특정 상황에서 불완전한 차폐가 허용된다는 지식에 근거한다.
인출 가이드의 유리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이크로파 실드는 적어도 두 개의 부품으로 형성되고, 제1 부품은 바디 레일에 부착되고 제2 부품은 주행 레일에 부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출 가이드의 수축 상태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상기 인출 가이드를 둘러싸고 마이크로파 복사로부터 인출 가이드의 중요 영역을 차폐하는 상기 마이크로파 실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행 레일이 연장될 때 내부 공간을 경계로 하는 문이 열리고 마이크로파 에미터가 꺼지기 때문에 두 개의 부품 설계로 인해 상기 주행 레일이 연장될 때 차폐가 되지 않는다는 사실은 중요하지 않다. 상기 마이크로파 실드의 상기 제1 부품이 바디 레일에 부착되면 해당 부품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바디 레일의 장착된(마찬가지로 고정된) 요소와 충돌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부품은 측면 레그들을 갖는 제1 U형 프로파일 레일일 수 있고, 상기 제2 부품은 측면 레그들을 갖는 제2 U형 프로파일 레일일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U형 프로파일 레일은 서로 맞물리고, 적어도 일부 섹션에서 그들의 레그들과 측면으로 서로 겹친다. 따라서, 수축된 상태에서 마이크로파에 대해 밀봉된 실드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상기 제2 U형 프로파일 레일은 그들의 종 방향으로 테이퍼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수축된 상태의 상기 프로파일 레일은 어떠한 간극 없이 중첩 영역에서 서로 지지될 수 있고, 상기 프로파일 레일들의 상기 레그들은 상기 주행 레일이 연장됨에 따라 서로 멀어진다. 따라서 상기 주행 레일의 연장은 상기 프로파일 레일의 섹션들이 서로 마찰하는 것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부품은 적어도 제1 스트립형 차폐 플레이트일 수 있고, 상기 제2 부품은 적어도 제2 스트립형 차폐 플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차폐 플레이트는 상기 인출 가이드상에 측면으로 배열되고, 상기 인출 가이드의 적어도 수축된 상태에서 각각의 종방 에지를 따라 서로 겹치거나 각각의 종방 에지와 서로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종방 에지는 인출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로를 주행하고, 그 결과 상기 주행 레일이 연장됨에 따라 상기 차폐 플레이트들이 서로 마찰되지 않고 상기 인출 가이드의 수축된 상태에서 다시 한번 폐쇄 차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출 가이드의 유리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부품은 측면 레그들을 갖는 U형 프로파일 레일이고, 반면에 상기 제2 부품은 접촉 영역에서 상기 U형 프로파일 레일과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 요소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바디 레일은 상기 U형 프로파일 레일 및 상기 접촉 요소들과 함께 마이크로파 실드로 작용하고, 상기 바디 레일과 상기 U형 프로파일 레일 사이에 남아있는 임의의 간극은 바람직하게 마이크로파 복사선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짧은 섹션들로 상기 접촉 요소들에 의해 분할된다. 또한 상기 접촉 요소들은 상기 U형 프로파일 레일과 상기 주행 레일이 항상 상기 바디 레일과 동일한 전위에 있도록 한다.
상기 마이크로파 실드의 두 부품으로 이루어진 구성에서, 상기 접촉 요소들은 상기 바디 레일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U형 프로파일 레일이 상기 주행 레일 상에 장착되고 상기 접촉 요소를 전달한 다음 상기 바디 레일과 접촉하는 마이크로파 실드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고려 될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다, 상기 U형 프로파일 레일의 상기 접촉 영역은 상기 접촉 요소들이 돌출되는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파 실드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주행 레일에 부착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마이크로파 실드는 상기 바디 레일과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 요소들을 가지는 측면 레그들을 갖는 U형 프로파일 레일로 다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촉 요소들은 각각 U형 프로파일 레일의 래칭 개구들 내로 삽입되는 래칭 헤드와 이에 연결된 접촉 스프링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촉 요소들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이 경우 U형 프로파일 레일의 측면 레그들은 서로에 대해 경사져서, 상기 U형 프로파일 레일은 하향 방향으로 넓어 질 수 있다.
상기 인출 가이드의 유리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이크로파 실드는 상기 바디 레일 및 상기 주행 레일을 둘러싸고 하나의 종방향 측면을 따라 슬롯을 갖는 직사각형 프로파일 레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조리실의 측벽에 인접하게 위치된 슬롯으로의 마이크로파 복사선의 임의의 침투는 복사선의 침투 부분이 매우 낮은 강도로 감소되거나 방지된다. 상기 슬롯은 상기 바디 레일이 슬롯을 통해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바디 레일을 위한 장착 요소, 예를 들어 장착 브래킷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 조리 기기 또는 본 발명에 따른 공업로는 이러한 인출 가이드를 적어도 하나 가진다. 상기 인출 가이드와 관련하여 언급된 장점들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고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 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1 a-c는 본 발명에 따른 인출 가이드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를 다른 시각으로 보여준다.
도. 2 a-c는 본 발명에 따른 인출 가이드의 제2 예시적인 실시예를 다른 시각으로 보여준다.
도. 3 a-c는 본 발명에 따른 인출 가이드의 제3 예시적인 실시예를 다른 시각으로 보여준다.
도. 4 a-c는 본 발명에 따른 인출 가이드의 제4 예시적인 실시예를 다른 시각으로 보여준다.
도. 5 a-c는 본 발명에 따른 인출 가이드의 제5 예시적인 실시예를 다른 시각으로 보여준다.
도 1a 내지 1c는 마이크로파 조리 기기를 위한 인출 가이드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를 보여준다.
여기서, 마이크로파 조리 기기(microwave cooking appliance)는 마이크로파 오븐 또는 마이크로파 조리 기능에 대한 추가 또는 대안으로서 열 조리 기능을 제공하는 소위 조합 조리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두 개의 이러한 인출 가이드(pull-out guide)는 조리실(cooking chamber)에서 좌측 및 우측에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어 음식물 지지대, 예를 들어 베이킹 트레이(baking tray) 또는 랙(rack)을 그 위에 위치할 수 있게 하고, 후자를 조리실 밖으로 수평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인출 가이드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른 레벨(level)로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가열(heating) 또는 가교(crosslinking) 플라스틱 분야의 공업로(industrial furnace)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인출 가이드를 사용하는 것 또한 고려 될 수 있다.
인출 가이드는 도 1a의 등각 분해도 및 도 1b의 조립된 상태의 등각 투영도로 도시된다. 도 1c는 인출 레일의 종방향 연장에 수직인 단면, 즉 인출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도시한다.
인출 가이드는 바디 레일(body rail) 1 및 바디 레일 1 위에 배치되고 상대적으로 변위 가능하게(displaceably) 가이드되는(guided) 주행 레일(running rail) 2을 포함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 가이드는 전체 연장부(full extension)로 구성되고 바디 레일 1과 주행 레일 2 모두에 대해 변위 가능한 중간 레일(middle rail) 3을 가진다. 바디 레일 1 및 주행 레일 2은 각각 부분적으로 개방된 측면을 가지는 폐쇄되지 않는 정사각형 프로파일(non-closed square profile)로 구성된다. 바디 레일 1의 및 주행 레일 2의 프로파일들의 부분적으로 개방된 측면은 서로를 항해 마주보고, 중간 레일 3은 각각의 경우 바디 레일 1의 및 주행 레일 2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중간 레일 3은 각각의 경우에 복수의 롤링 요소(rolling element) 5가 유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롤링 요소 케이지(rolling element cage) 4를 통해 바디 레일 1 및 주행 레일 2에서 변위 가능하게 가이드된다.
음식물 지지대는 레일들의 상부, 주행 레일 2에 배치된다. 음식물 지지대가 변위로부터 고정되도록, 수직하게 위로 돌출하는 핀(pin) 6은 주행 레일 2에 연결되고 주행 레일 2을 후방을 향하여 바운드(bound)한다 (인출 방향으로 보여짐). 음식물 지지대는 이 핀 6을 지지할 수 있거나, 핀 6은 음식물 지지대의 대응하는 구멍(hole) 또는 개구(aperture)를 통과할 수 있다. 단부 쪽에서, 인출 가이드는 단부 커버(end cover) 7로 덮여 있으며, 각각의 단부 커버 7는 레일들 1, 2 중 하나에 연결된다. 도 1a 및 1b의 핀 6에 인접한 후방 단부 커버 7는 바디 레일 1에 연결되고, 전방 단부 커버 7는 주행 레일 2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시된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서로 맞물리는 두 개의 U형 프로파일 레일(U-shaped profile rail)을 포함하는 마이크로파 실드(microwave shield) 10가 제공된다. 제1 (하부) U형 프로파일 레일 11은 바디 레일 1에 연결되고 따라서 조리실 내에 고정(stationary) 방식으로 배치된다. 제2 (상부) U형 프로파일 레일 12은 주행 레일 2 상에 배치되고 예를 들면 스폿 용접(spot weld) 방식에 의해 후행 레일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부 프로파일 레일 12은 핀 6이 위로 돌출하는 개구(aperture) 122를 갖는다.
상부 U형 프로파일 레일 12의 측면 레그들(lateral leg) 121은 하부 프로파일 레일 11의 대응하는 레그들 111보다 더 큰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어, 상부 프로파일 레일 12은 하부 프로파일 레일 11에 대해 측 방향으로 맞물린다. 하부 및 상부 프로파일 레일 11, 12의 레그들 111, 121은 도 1c에 상징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작은 거리로 이격되거나 간극(gap) 없이 또는 간극이 거의 없이 서로 지지될 수 있다.
서로 맞물리는 두 개의 U형 프로파일 레일 11, 12 때문에, 인출 가이드의 바디 레일 1 및 주행 레일 2은 인출 가이드가 완전히 수축되는(retracted) 경우 마이크로파에 대해 밀봉되는 방식으로 밀폐된다. 따라서 마이크로파는 인출 가이드의 더 작은 구성 요소, 예를 들어 선택적으로 안테나로서 작용하는 롤링 요소 5에 도달할 수 없으므로, 주행 레일 2의 수축된 상태에서, 도시된 인출 가이드는 마이크로파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인출 가이드가 수축된 상태로 완전히 덮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리실에 장착될 수 있도록 바디 레일 1은 장착 요소, 예를 들어 장착 브래킷(mouting bracket)을 위해 하부에서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접근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도시 된 경우와 같이 U형 프로파일 레일 11, 12은 종방향으로 테이퍼(tapered in)되고, 즉 폭(두 측면 레그들 사이의 거리)은 인출 방향에서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더 좁아진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로파일 11의 폭은 값 B11에서 값 b11으로 테이퍼되고, 여기서 B11> b11가 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상부 U형 프로파일 레일 12은 인출 방향으로 폭이 값 B12로부터 값 b12로 테이퍼되고, 여기서 다시 한번 B12> b12이다. 위에서 언급 한 바와 같이, 상부 U형 프로파일 레일은 모든 지점에서 하부 U형 프로파일 레일과 맞물리므로 B12> B11 및 b12> b11인 것 또한 사실이다.
두 개의 U형 프로파일 레일 11, 12의 테이퍼형 설계는 인출 가이드의 완전히 수축된 상태에서 레그들 111, 121이 서로 접촉하는 반면 인출 가이드가 연장됨에 따라 서로 점점 더 이격되는 결과를 가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밀봉되고 간극이 없는 마이크로파 실드 10가 인출 가이드의 수축된 상태로 형성되지만, 이는 인출 가이드가 쉽게 그리고 가능한 적은 마찰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한다. .
도 2a 내지 2c, 3a 내지 3c, 4a 내지 4c 및 5a 내지 5c 각각은 본 출원에 따른 인출 가이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모든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도 1a 내지 1c의 예에서와 동일하거나 동등한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모든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인출 가이드는 접미사 "a"를 갖는 도면에서 등각 분해도, 접미사 "b"를 갖는 도면에서 조립된 상태에서의 등각 투영도, 및 도 3은 접미사 "c"를 갖는 도면에서 단면도로 도시된다.
기본 구조와 관련하여, 인출 가이드는 모든 경우에 도 1a 내지 1c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한 설명이 명시적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인출 가이드는 각각의 경우에 고정 바디 레일 1 및 이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는 주행 레일 2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중간 레일 3은 바디 레일 1과 주행 레일 2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중간 레일은 각 경우에 롤링 요소 케이지 4에 위치되는 롤링 요소 5를 통해 바디 레일 1 및/또는 주행 레일 2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러나, 중간 레일 (부분 인출)이 없는 배치도 고려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선택적인 핀 6이 주행 레일 2 상에 배열되고, 이 핀은 그 위에 배치된 음식물 지지대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선택적인 단부 커버 7는 단부 측면에 제공되지만, 모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다.
도시된 각각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파 실드 10가 제공되지만, 이들은 각각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서로 상이하다. 마이크로파 실드 10의 구성은 각각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a 내지 2c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파 실드 10는 두 개의 차폐 플레이트(shielding plate) 13, 14를 포함하고, 이 중 제1 (하부) 차폐 플레이트 13는 바디 레일 1에 연결되고 제2 (상부) 차폐 플레이트 14는 주행 레일 2에 연결된다. 두 개의 차폐 플레이트 13, 14는 인출 가이드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인출 가이드가 완전히 수축되는 경우, 두 개의 차폐 플레이트 13, 14는 서로 마주보는 측면 에지(side edge) 131 141를 갖고 서로 지지된다(bear against). 그러므로 인출 가이드의 두 개의 레일 즉 바디 레일 1과 주행 레일 2 사이의 간극은 두 개의 차폐 플레이트 13, 14의 상대적으로 평면적인 배열에 의해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되어 어떠한 마이크로파도 침투할 수 없다.
차폐 플레이트들 13, 14의 두 개의 서로 마주보는 에지 131, 141는 주행 레일 2이 연장됨에 따라 이들 에지 131, 141가 서로 마찰되지 않고 오히려 서로 떨어지도록 경사져있다. 또한 종방 에지 131, 141들은 보다 나은 접촉을 위해 프로파일된 에지 또는 반원형 에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한번 도 1a 내지 1c의 예시적인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한편으로는 폐쇄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인출 가이드의 연장을 방해하지 않는 실드가 형성된다.
또한 차폐 플레이트 13, 14들의 유사한 배치는 마찬가지로 인출 가이드의 수축된 상태에서 바디 레일 1 및 주행 레일 2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폐쇄하기 위해 원칙적으로 인출 가이드의 반대쪽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인출 가이드의 이 측면은 종종 조리실의 금속 측벽에 비교적 가깝게 위치되기 때문에, 측벽의 차폐 효과에 의해 마이크로파가 이러한 간극으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인출 레일이 조리 기기의 조리실에 적절하게 설치되었다고 가정하면, 이 면에 실드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도 3a 내지 3c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파 실드 10는 인출 가이드의 수축된 상태에서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고 위에서부터 주행 레일 2 상에 배치되고 후자에 부착되는 하나의 U형 프로파일 레일 15을 포함한다. 내측으로 개방된 채널(channel) 153들은 U형 프로파일 레일 15의 레그 151들의 양 자유 단부에 형성되고, 해당 채널은 차례로 U형의 단면을 갖는다.
복수의 접촉 요소(contact element) 8는 이들 개방 채널(opening channel) 153들 내에 또는 바디 레일 1상에 바람직하게는 규칙적인 간격으로 측면에 장착되고, 해당 접촉 요소들은 도 3b 및 3c에 도시된 인출 가이드의 조립된 상태에서 측면 채널 153에 위치된다. 접촉 요소 8들은 가이드 요소(guide element)로서 기능하고 U형 프로파일 레일 15을 인출 가이드의 수축된 상태에서 1 내지 수 센티미터의 간격으로 바디 레일 1과 접촉시킨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접촉 요소 8들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방식으로 개방 채널 153에 유지되고 바디 레일상에서 회전되는 롤링 요소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접촉 요소 8들은 또한 채널 153 또는 바디 레일 1에 배치되고 주행 레일 2이 이동함에 따라 이들 요소들 각각과 마찰적 접촉을 하는 접촉 스프링(contact spring)일 수 있다. 스프링 효과, 마찰 및/또는 롤링 접촉 요소의 조합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접촉 요소들은 전기 전도성 재질, 특히 금속 및/또는 흑연 및/또는 전기 전도성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금속은 구리, 황동 또는 청동으로 이는 우수한 전도성 때문이다. 전기 전도성 재질로서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폴리케톤 (Polyketone, POK),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PP),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및/또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Polyetheretherketone, PEEK)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이는 카본 블랙과 같은 탄소 입자인 적절한 첨가제에 의해 전기 전도성으로 만들어진다.
접촉 요소는 전술한 재질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전기 전도성 재질 또는 비전도성 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는 코어가 전기 전도성이고 유연한 재질로 둘러싸이는 것도 가능하다. 전기 전도성이고 유연한 재질은 예를 들어 전도성 실로 형성된 직물(woven fabric) 또는 편물(knitted fabric) 이거나 전도성 브러쉬(brush) 또는 강모(bristle)를 포함한다.
접촉 요소는 마찰 맞춤(friction fit) 및/또는 형태 맞춤(form fit)을 통해 인출 가이드를 수축된 위치에 유지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접촉 요소는 유리하게도 마이크로파 조리 기기에서 종종 바라는 유지-폐쇄(keep-closed) 기능을 또한 구현한다. 이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파 조리 기기의 문과 전방 단부 커버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이에 의해 해당 요소들 사이의 (스파크) 방전을 추가로 방지한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별도의 구성 요소를 통해 유지-폐쇄 기능을 구현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바디 레일 1은 U형 프로파일 레일 15 및 접촉 요소 8들과 함께 마이크로파 실드 10로서 작용하며, 바디 레일 1과 U형 프로파일 레일 15 사이에 여전히 남아있는 간극은 마이크로파 복사의 침투를 방지할 정도로 짧은 섹션으로 접촉 요소 8에 의해 분할된다. 접촉 요소 8들은 추가적으로 U형 프로파일 레일 15 및 주행 레일 2이 항상 바디 레일 1과 동일한 전위에 있도록 한다. 따라서, 바디 레일 1과 주행 레일 2 사이의 방전이 방지된다. 이상적인 접촉을 가정하면 DC 전압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제조된 롤링 요소 5 및 마찬가지로 금속으로 제조된 중간 레일 3로 인해 바디 레일 1과 주행 레일 2 사이 전위의 국부적인 균등화가 이미 존재한다. 그러나, 롤링 요소 케이지 4들은 인출 가이드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지 않기 때문에 고주파 자극과 관련하여 롤링 요소 5를 통한 전위의 균등화가 보장되지는 않는다.
도 4a-4c는 인출 가이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도 3a-3c의 예시적인 실시예와 유사한 기본원리가 구현된다. 다시 한번, U형 프로파일 레일 16이 주행 레일 2 상에 배치되고 접촉 요소를 통해 인출 가이드의 길이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간격으로 분포되는 복수의 접점에서 바디 레일 1과 접촉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U형 프로파일 레일 16은 넓어지며, 즉 아랫부분 쪽으로 폭이 넓어지는 레그 161들을 갖는다. 레그 161들의 하부 에지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래칭 개구(latching opening) 163는 접촉 요소 17들이 삽입된다. 접촉 요소 17들은 각각의 경우 U형 프로파일 레일 16의 두 개의 인접한 래칭 개구 163에 래칭(latch)되는 래칭 헤드(latching head) 171를 갖는다. 래칭 헤드 171로부터 돌출하는 것은 몸체 레일 1과 접촉하는 내향으로 돌출된 접촉 스프링 172이다.
접촉 요소 8들이 바디 레일 1에 장착되는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본 예에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인출 가이드는 U형 프로파일 레일 16이 배치되고 주행 레일 2에 연결되는 도시된 인출 가이드의 기초로 기능할 수 있다. 바디 레일 1의 어떠한 수정도 필요하지 않다.
이러한 기본 원리를 구현하는 도 3a-3c에 및 4a-4c에서 도시된 두 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바디 레일 1의 하부면은 자유롭게 접근 가능하므로, 예를 들어 장착 브래킷에 의해 직접 인출 가이드를 장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5a-5c의 예시적인 실시예도 단지 하나의 프로파일 레일을 갖는 마이크로파 실드 10를 도시하며, 이 경우 참조 부호 18를 갖는다. 프로파일 레일 18은 바디 레일 1 및 주행 레일 2을 둘러싸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프로파일을 갖는다.
슬롯(slot) 181은 측면들 중 하나에서 절개되고, 여기서 해당 슬롯은 프로파일 레일 18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고 수 밀리미터의 높이를 갖는다.
인출 가이드가 마이크로파 기기의 조리실 내에 배치되는 경우 프로파일 레일 18의 슬롯 측면은 바람직하게 조리실의 측벽을 향한다. 프로파일 레일 18은 가능한 해당 측벽에 가깝게,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수 밀리미터의 거리로 배치된다. 도 2a-2c의 예시적인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 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파 복사선은 이러한 방식으로 위치된 슬롯 181 내로 침투 할 수 없거나 투과하는 복사선의 임의의 부분은 더 낮은 강도를 갖는다. 슬롯 181은 바디 레일 1이 슬롯을 통해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하기 때문에 유리하게는 바디 레일을 위한 장착 요소, 예를 들어 장착 브래킷의 사용을 다시 가능하게 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하나의 추가 개발에서 단부 커버 7는 전기 비전도성 재질, 예를 들어 세라믹 재질로 코팅되거나 덮일 수 있다. 이 전기 비전도성 재질은 주행 레일 2과 조리실의 후면 벽 및/또는 마이크로파 조리 기기의 문 사이의 스페이서(spacer)로서 기능한다. 그러므로 인출 가이드 및/또는 문에 높은 전위가 축적되더라도 스파크 방전이 방지된다. 또한, 전술한 유지-폐쇄 메커니즘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파 조리 기기의 문과 전방 단부 커버 7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여 방전(스파크)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단부 커버 7들 중 하나의 비전도성 스페이서는 단부 커버 7의 후면에 추가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인출 가이드가 수축되는 경우 이 위치에서 방전(스파크)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은 해당 단부 커버 7와 인출 가이드의 각각의 다른 레일 사이에 스페이서로서 기능한다.
1 바디 레일
2 주행 레일
3 중간 레일
4 롤링 요소 케이지
5 롤링 요소
6 핀
7 단부 커버
8 접촉 요소
10 실드
11 제1 U형 프로파일 레일
111 레그
12 제2 U형 프로파일 레일
121 레그
122 개구
13 제1 차폐 플레이트
131 측면 에지
14 제2 차폐 플레이트
141 측면 에지
15 U형 프로파일 레일
151 레그
152 개구
153 채널
16 U형 프로파일 레일
161 레그
162 개구
163 래칭 개구
17 접촉 요소
171 래칭 헤드
172 접촉 스프링
18 U형 프로파일 레일
181 슬롯
182 개구

Claims (16)

  1. 마이크로파 조리 기기(microwave cooking appliance) 또는 공업로(industrial furnace)를 위한 인출 가이드(pull-out guide)로서,
    지지대 형성을 위한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바디 레일(1)과 주행 레일(2) 및
    마이크로파에 대해 상기 인출 가이드를 차폐하기 위한 마이크로파 실드 (microwave shield, 10)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 레일 (2)은 부분적으로만 차폐되고,
    상기 마이크로파 실드 (10)는 적어도 두 개의 부품(part)으로 형성되고,
    제1 부품은 상기 바디 레일 (1)에 부착되고 제2 부품은 상기 주행 레일(2)에 부착되고,
    상기 제1 부품은 측면 레그(lateral leg, 111)들을 갖는 제1 U형 프로파일 레일 (first U-shaped profile rail, 11)이고,
    상기 제2 부품은 측면 레그(121)들을 갖는 제2 U형 프로파일 레일 (second U-shaped profile rail 12)이고,
    프로파일 레일들은 서로 맞물리고, 적어도 일부 섹션(section)에서 상기 레그들(111, 121)과 측면으로 서로 겹치는(overlap)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가이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형 프로파일 레일 (11) 및 상기 제2 U형 프로파일 레일 (12)은 그들의 종 방향으로(longitudinal direction) 테이퍼되는(tapered in)
    인출 가이드.
  5. 마이크로파 조리 기기(microwave cooking appliance) 또는 공업로(industrial furnace)를 위한 인출 가이드(pull-out guide)로서,
    지지대 형성을 위한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바디 레일(1)과 주행 레일(2) 및
    마이크로파에 대해 상기 인출 가이드를 차폐하기 위한 마이크로파 실드 (microwave shield, 10)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 레일 (2)은 부분적으로만 차폐되고,
    상기 마이크로파 실드 (10)는 적어도 두 개의 부품(part)으로 형성되고,
    제1 부품은 상기 바디 레일 (1)에 부착되고 제2 부품은 상기 주행 레일(2)에 부착되고,
    상기 제1 부품은 적어도 제1 스트립형 차폐 플레이트(first strip-shaped shielding plate, 13)이고,
    상기 제2 부품은 적어도 제2 스트립형 차폐 플레이트(second strip-shaped shielding plate, 14)이고,
    차폐 플레이트들은 상기 인출 가이드상에 측면으로 배치되고, 상기 인출 가이드의 적어도 수축된 상태에서 서로 겹치거나 각각의 종방 에지(131, 141)를 따라 서로 지지되는(bear against)
    인출 가이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 에지(longitudinal edge, 131, 141)들은 인출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로를 주행하는
    인출 가이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마이크로파 조리 기기(microwave cooking appliance) 또는 공업로(industrial furnace)를 위한 인출 가이드(pull-out guide)로서,
    지지대 형성을 위한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바디 레일(1)과 주행 레일(2) 및
    마이크로파에 대해 상기 인출 가이드를 차폐하기 위한 마이크로파 실드 (microwave shield, 10)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 레일 (2)은 부분적으로만 차폐되고,
    상기 마이크로파 실드(10)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주행 레일(2)에 부착되고,
    상기 마이크로파 실드(10)는 상기 바디 레일(1)과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 요소(17)들을 가지는 측면 레그(161)들을 갖는 U형 프로파일 레일(16)인 인출 가이드.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요소(17)들은 각각 U형 프로파일 레일(16)의 래칭 개구(latching opening, 163)들내로 삽입되는 래칭 헤드(latching head, 171) 및 이에 연결된 접촉 스프링(contact spring, 172)들을 가지는
    인출 가이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U형 프로파일 레일(16)의 상기 측면 레그(161)들은 서로에 대해 경사진
    인출 가이드.
  14. 마이크로파 조리 기기(microwave cooking appliance) 또는 공업로(industrial furnace)를 위한 인출 가이드(pull-out guide)로서,
    지지대 형성을 위한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바디 레일(1)과 주행 레일(2) 및
    마이크로파에 대해 상기 인출 가이드를 차폐하기 위한 마이크로파 실드 (microwave shield, 10)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 레일 (2)은 부분적으로만 차폐되고,
    상기 마이크로파 실드(10)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주행 레일(2)에 부착되고,
    상기 마이크로파 실드(10)는 상기 바디 레일(1) 및 상기 주행 레일(2)을 둘러싸고 하나의 종방향 측면을 따라 슬롯(181)을 가지는 직사각형 프로파일 레일(rectangular profile rail, 18)인
    인출 가이드.
  15. 제1항, 제4항 내지 제6항, 제10항 및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인출 가이드를 적어도 하나 가지는 마이크로파 조리 기기.
  16. 제1항, 제4항 내지 제6항, 제10항 및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인출 가이드를 적어도 하나 가지는 공업로.
KR1020197030379A 2017-03-22 2018-03-22 인출 가이드 및 인출가이드를 가지는 마이크로파 조리 기기 또는 공업로 KR1024768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06104.5 2017-03-22
DE102017106104.5A DE102017106104A1 (de) 2017-03-22 2017-03-22 Auszugsführung und Mikrowellengargerät oder industrieller Wärmeofen mit einer Auszugsführung
PCT/EP2018/057259 WO2018172445A1 (de) 2017-03-22 2018-03-22 Auszugsführung und mikrowellengargerät oder industrieller wärmeofen mit einer auszugsführ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098A KR20190129098A (ko) 2019-11-19
KR102476890B1 true KR102476890B1 (ko) 2022-12-12

Family

ID=61768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0379A KR102476890B1 (ko) 2017-03-22 2018-03-22 인출 가이드 및 인출가이드를 가지는 마이크로파 조리 기기 또는 공업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137841A1 (ko)
EP (1) EP3601889B1 (ko)
KR (1) KR102476890B1 (ko)
CN (1) CN110446891B (ko)
DE (1) DE102017106104A1 (ko)
PL (1) PL3601889T3 (ko)
WO (1) WO20181724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06787A1 (de) 2018-03-22 2019-09-26 Paul Hettich Gmbh & Co. Kg Auszugsführung und Mikrowellengargerät oder industrieller Wärmeofen mit einer Auszugsführung
JPWO2022138629A1 (ko) * 2020-12-24 2022-06-30
DE102022101098A1 (de) * 2022-01-18 2023-07-20 Paul Hettich Gmbh & Co. Kg Haushaltsgerät und Auszugsführung für ein Haushaltsgerä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42346A1 (de) * 1991-12-20 1993-06-24 Bosch Siemens Hausgeraete Abschirmhuelse fuer eine teleskopfuehrung
DE202009013663U1 (de) * 2009-10-30 2011-03-17 Paul Hettich Gmbh & Co. Kg Auszugsführung und Haushaltsgerä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4531A (en) * 1973-05-29 1974-10-29 N Grengs Slide valve
DE3922843A1 (de) * 1989-07-11 1991-01-24 Bosch Siemens Hausgeraete Anordnung eines mit teleskopauszuegen ausgeruesteten backofens
ITMC20000049A1 (it) * 2000-06-06 2001-12-06 Compagnucci Spa Componente polivalente per cesti metallici scorrevoli, collocati all'interno di mobili.
DE202004005475U1 (de) * 2004-04-02 2004-07-01 Paul Hettich Gmbh & Co. Tragboden eines Küchengerätes
DE102004031724B4 (de) * 2004-06-30 2018-10-31 BSH Hausgeräte GmbH Auszugssystem für Haushaltsgeräte
EP1865264B1 (en) * 2006-06-09 2009-05-27 Fagor, S.Coop. Oven with mechanism for extracting a tray
KR100897920B1 (ko) * 2006-12-04 2009-05-18 박윤식 대 직경 볼이 장착된 슬라이드
DE102006061096A1 (de) * 2006-12-22 2008-06-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eleskopauszug
DE202009002073U1 (de) * 2009-04-17 2010-09-09 Paul Hettich Gmbh & Co. Kg Auszugssystem und Haushaltsgerät
KR102211725B1 (ko) * 2014-05-28 2021-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CN104748177B (zh) * 2015-03-26 2017-03-08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分体式微波炉
DE102015206597B4 (de) * 2015-04-14 2019-02-21 BSH Hausgeräte GmbH Adapterschiene zum Koppeln eines Gargutträgers mit einer Laufschiene einer Schienenauszugseinrichtung sowie Anordnung mit einer derartigen Adapterschiene
US10357129B2 (en) * 2017-03-07 2019-07-23 Justin Bauer Magnetic variable length cooking divider with adjustable contac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42346A1 (de) * 1991-12-20 1993-06-24 Bosch Siemens Hausgeraete Abschirmhuelse fuer eine teleskopfuehrung
DE202009013663U1 (de) * 2009-10-30 2011-03-17 Paul Hettich Gmbh & Co. Kg Auszugsführung und Haushaltsgerä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601889T3 (pl) 2022-02-21
CN110446891B (zh) 2022-02-08
KR20190129098A (ko) 2019-11-19
WO2018172445A1 (de) 2018-09-27
EP3601889A1 (de) 2020-02-05
DE102017106104A1 (de) 2018-09-27
US20200137841A1 (en) 2020-04-30
EP3601889B1 (de) 2021-11-03
CN110446891A (zh) 201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6890B1 (ko) 인출 가이드 및 인출가이드를 가지는 마이크로파 조리 기기 또는 공업로
US11994300B2 (en) Pull-out guide and microwave cooking appliance or industrial oven having a pull-out guide
EP1515589B1 (en) Door assembly of microwave oven
EP2757322B1 (en) A side grid system for an oven cavity
US20160014852A1 (en) Cooking appliance and fastening system
KR101276498B1 (ko) 드로워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오븐
KR100208871B1 (ko) 요리장치, 예를들어 전열소자용 프로텍터를 갖는 오븐
KR20130106026A (ko) 상업용 스팀 컨벡션 오븐의 도어부 누습방지장치
KR100652600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리기기
KR20040016744A (ko) 전자렌지
US9615408B2 (en) Cooking device
KR102001300B1 (ko) 전자파 차폐 구조물과 이를 구비하는 도어 및 조리기기
US4347420A (en) Microwave seal structure in microwave oven
NL8102279A (nl) Hoogfrequentie-verhittingsinrichting.
AU735301B2 (en) Grill element
DE102013225400A1 (de) Gargerät
KR100688665B1 (ko) 전기오븐의 도어스위치 액츄에이터 편심방지구조
KR101756990B1 (ko) 히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366426B1 (ko) 빌트인 타입 전자레인지
KR20220152871A (ko) 조리기기
KR100996534B1 (ko) 램프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레인지
KR20230061211A (ko) 조리기기
KR20180099344A (ko) 전자레인지
EP0794388A2 (de) Beheizung für eine Backofenmuffel
TR201610841A2 (tr) İyi̇leşti̇ri̇lmi̇ş yan tel raflara sahi̇p pi̇şi̇ri̇ci̇ ci̇haz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