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8665B1 - 전기오븐의 도어스위치 액츄에이터 편심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전기오븐의 도어스위치 액츄에이터 편심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8665B1
KR100688665B1 KR1020060007552A KR20060007552A KR100688665B1 KR 100688665 B1 KR100688665 B1 KR 100688665B1 KR 1020060007552 A KR1020060007552 A KR 1020060007552A KR 20060007552 A KR20060007552 A KR 20060007552A KR 100688665 B1 KR100688665 B1 KR 100688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case
door switch
rail
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7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완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7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86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14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06B7/2307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a single sealing-line or -plane between the wing and the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븐도어의 개폐에 따라 작동되는 전기오븐의 도어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 내부와 액츄에이터일측에 편심을 방지하는 구속부를 형성한 전기오븐의 도어스위치 액츄에이터 편심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도어스위치 액츄에이터 편심방지구조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620)와, 상기 케이스(620)의 내부에 수용되고, 오븐도어(300)의 일측과 접촉하여 연동하는 액츄에이터(640)와, 상기 액츄에이터(640)의 유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수단(700)과, 상기 케이스(620)의 일측을 차폐하는 캡(80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620)의 내부와 상기 액츄에이터(640)의 일측에는, 상기 액츄에이터(640)의 유동 시 편심을 방지하도록 액츄에이터(640)의 유동경로를 제한하는 구속부(50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도어스위치 액츄에이터 편심방지구조에 의하면 액츄에이터의 동작시 브리지와 레일간의 국부적인 접촉불량으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이점이 있다.
도어스위치, 액츄에이터, 편심방지, 브리지

Description

전기오븐의 도어스위치 액츄에이터 편심방지구조{Essentric protect structure of door switch for electric oven}
도 1 은 일반적인 전기오븐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스위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 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스위치의 내부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오븐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인 도어스위치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인 도어스위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인 도어스위치의 내부 구조를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기오븐 120 ..... 전면플레이트
200 ..... 오븐캐비티 300 ..... 오븐도어
320 ..... 도어후면 500 ..... 구속부
520 ..... 가이드돌기 540 ..... 가이드홈
600 ..... 도어스위치 620 ..... 케이스
622 ..... 측면 624 ..... 전면
626 ..... 슬릿 628 ..... 전면관통홀
640 ..... 액츄에이터 642 ..... 돌출부
644 ..... 걸림부 660 ..... 액츄에이터가이드
700 ..... 전원수단 720 ..... 레일
740 ..... 브리지 800 ..... 캡
820 ..... 레일관통홀 900 ..... 후크
920 ..... 후크중심홀 940 ..... 후크체결부
S ....... 스프링
본 발명은 전기오븐의 도어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오븐의 오븐도어 개폐시 오븐램프를 점등시키는 전기오븐의 도어스위치 액츄에이터 편심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븐의 종류와 장착형태에 관계없이 이용 가능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전기오븐의 예를 들어서 설명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오븐은 전기오븐과 가스오븐으로 대별되며, 전기오븐은 조리재료를 수납하여 밀폐한 후에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세라믹히터(Ceramic heater)와 시즈히터(Sheathe heater), 할로겐히터(Halogen heater) 등 다양한 히터와 마그네트론 등을 이용하여 건열(乾裂)로 요리재료를 가열하는 조리기기로, 조리물의 겉과 속을 동시에 가열하게 되어 요리 속도가 빠르고 열효율 또한 높으며, 전기를 사용 함으로써 깨끗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이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전기오븐의 외관을 보인 정면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전기오븐(1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조리물을 수납한 채로 조리하는 공간인 오븐캐비티(20)가 형성된다.
상기 전기오븐(10)의 전면 일부 즉, 상기 오븐캐비티(20)의 전면은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븐캐비티(20)의 개구된 전면은 회동가능하게 형성된 오븐도어(30)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차폐되며, 상기 오븐도어(30)의 상단부에는 도어핸들(3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오븐캐비티(20)의 개구된 전면은 회동가능하게 형성된 오븐도어(30)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차폐되며, 상기 오븐도어(30)의 상단부에는 도어핸들(32)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전기오븐(10)의 전면 상부 즉, 상기 오븐캐비티(20)의 상부 전면에는 컨트롤패널(40)이 구비되어, 상기 전기오븐(10)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조작노브(42)와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44) 등이 구비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오븐캐비티(20)의 내부에는 시즈히터(Sheath heater)와 할로겐히터(Halogen heater)등 다수개의 히터가 구비되며, 다수개의 히터에 의해 가열된 열기는 컨벡션팬에 의해서 상기 오븐캐비티(20)의 내부를 강제순환하게 된다.
상기 오븐캐비티(20)의 전단부에는 외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전기오븐(10)의 전면외형 일부를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50)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플레이트(50)는 상기 오븐도어(30)의 후면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면플레이트(50)의 우측상단에는 상기 도어스위치(60)가 장착된다.
상기 도어스위치(60)는 상기 오븐도어(30)의 개폐에 따라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오븐램프를 점등시키는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스위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 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스위치의 내부 형상을 보인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도어스위치(6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62)와, 상기 케이스(62)의 내부에 수용되고, 오븐도어(30)의 일측과 접촉하여 연동하는 액츄에이터(64)와, 상기 액츄에이터(64)의 유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전류가 도통되는 전원수단(70)과, 상기 케이스(62)의 일측을 차폐하는 캡(8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액츄에이터(64)는 대략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는 돌출부(63')와 ,상기 돌출부(63')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부(63)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62)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외관을 형성하는 측면(62')과,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61)으로 구성되며, 후면은 개구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62')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후크(90)가 결합되는 슬릿(62'')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62)의 전면(61)에는 천공형성 된 액츄에이터관통홀(61') 이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62)의 내부에는 전원수단(70)이 구비된다.
상기 전원수단(70)은 상기 케이스(62)의 내부에 장착되며, 각각이 전원회로와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레일(72)과, 상기 액츄에이터(68)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액츄에이터(68)의 유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레일(72)에 접촉되는 브리지(74)로 구성된다.
상기 레일(72)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도 2 에서 볼 때 좌측 끝단이 내측으로 각각 절곡형성되어, 절곡된 끝단이 상기 케이스(62)의 전면(61)을 향하도록 삽입시켜 상기 케이스(62)의 내측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62)의 내측에 장착된 레일(72) 사이에는 상기 액츄에이터(64)가 끼워지고, 상기 액츄에이터(64)의 걸림부(63)의 상면에는 상기 브리지(74)가 끼워진다. 즉, 상기 브리지(74)가 끼워진 상태의 액츄에이터(64)를 상기 레일(72)의 사이에 끼워넣음으로써 상기 레일(72)과 상기 브리지(74)가 상기 액츄에이터(64)의 유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촉가능하게 장착된다.
한편, 상기 브리지(74)가 끼워진 액츄에이터(64)의 상방에는 스프링(S)이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S)이 수용된 케이스(62)의 개구된 후면은 캡(80)에 의해서 차폐된다.
상기 캡(80)은 상기 케이스(62)의 후면 형상과 형합하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는 절제되어 형성된 레일관통홀(82)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레일관통홀(82)은 상기 케이스(62)에 장착된 레일(72)이 관통하는 곳으 로, 상기 레일(72)은 상기 케이스(62)의 측면을 형성하는 원통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62)의 후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상기 레일관통홀(82)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돌출된 레일(72) 사이를 지나고 상기 케이스(62)의 양측면에 형성된 슬릿(62'')에 삽입되는 후크(90)가 더 구비된다.
상기 후크(90)는 대략“
Figure 112006005619012-pat00001
”와 같은 형상으로 중앙부가 상기 캡(80)의 상면에 안착된 후 절곡형성된 양측부의 일측이 상기 케이스(62)의 측면에 형성된 슬릿(62'')에 삽입되고, 양 측단부는 다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일종의 판스프링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전면플레이트(50)의 상단에 형성된 스위치홈(미도시)에 상기 도어스위치(60)가 끼움 결합될 때, 상기 절곡된 양 측단부가 판스프링의 역할을 하게 되어 탈거가 방지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62)의 내부구조는, 상기 케이스(62)의 상/하부(도 3에서)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65)와, 상기 케이스(62)의 좌/우측(도 3에서)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액츄에이터가이드(66')에 의해 구획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액츄에이터(64)가 중앙에 삽입되도록 하는 액츄에이터가이드(66')는 상기 걸림부(66)의 외주면 일부분 즉, 부채꼴의 호(弧)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액츄에이터(64)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돌기(65)와 액츄에이터가이드(66')의 사이에는 상기 레일(72)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액츄에이터가이드(66')와 돌기(65)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레일(72)이 삽입 장착되고, 상기 레일(72)이 장착된 후 상기 액츄에이터(64)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터(64)의 걸림부(66) 상면에 브리지(74)가 장착되고, 상기 브리지(74)가 장착된 액츄에이터(64)의 상면에 스프링(S)이 삽입된 다음, 상기 캡(80)에 의해 상기 케이스(62)의 후면이 차폐되고, 상기 캡(80)의 상면에 상기 후크(90)가 안착된 후 상기 케이스(62)의 측면에 형성된 슬릿(62'')에 끼워져 상기 도어스위치(60)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어스위치(60)는 상기 전면플레이트(50)에 끼움결합됨으로써 상기 도어스위치(60)의 장착이 완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도어스위치(60)는 상기 전기오븐(10)의 전면플레이트(50) 일측에 끼움결합되어, 오븐도어(30)의 개폐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즉, 상기 액츄에이터(64)가 상기 오븐도어(30)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동작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오븐도어(30)에 의해서 눌려지는 액츄에이터(64)는 상기 액츄에이터가이드(64')와 소정의 간극(間隙)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편심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액츄에이터(64)와 액츄에이터가이드(64')의 편심에 의해 상기 액츄에이터(64)와 레일(72)이 국부적으로 접촉불량이 되어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선안으로 윤활유를 도포하여 사용하기도 하나 윤활유의 누출우려가 있고 외관상 좋지않아 구조적 개선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스위치 액츄에이터의 유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여 도어스위치의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전기오븐의 도어스위치 액츄에이터 편심방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도어스위치 액츄에이터 편심방지구조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오븐도어의 일측과 접촉하여 연동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유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전류가 도통되는 전원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을 차폐하는 캡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일측에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유동 시 편심을 방지하도록 액츄에이터의 유동경로를 제한하는 구속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오븐도어와 접촉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돌출부의 크기보다는 크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걸림부보다는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케이스홀이 구비된 전면과,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는 전원수단과 액츄에이터의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액츄에이터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며, 각각이 전원회로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레일과, 상기 액츄에이터의 일측과 결합되며 액츄에이터의 유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레일과 접촉하여 전류를 도통시키는 브리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리지는 상기 레일과 접촉하는 면적을 줄이도록 레일 접촉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은 상기 케이스의 후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후면을 차폐하는 것으로, 상기 레일이 관통되도록 다수개의 레일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의 상면에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캡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와 캡의 분리를 방지하고 상기 오븐의 일측에 끼움장착 가능하도록 일부분이 절곡형성된 판스프링 형태의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속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구속돌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일측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구속돌기가 삽입되는 구속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액츄에이터의 편심이 방지되어 상기 오븐도어의 개폐시 발생되는 도어스위치의 소음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전기오븐의 외형은 일반적인 전기오븐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오븐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기오븐(10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조리물이 수납되어 조리되는 공간인 오븐캐비티(200)가 형성된다.
상기 오븐캐비티(200)는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개구된 전면은 상하로 회동하는 오븐도어(300)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오븐캐비티(200)의 전단부에는 전면플레이트(120)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플레이트(120)는 상기 오븐캐비티(200)의 전(全)단부에서 수직하게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전기오븐(100)의 전면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오븐도어(300)의 도어후면(320)과 접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면플레이트(120)의 일측에는 소정의 크기로 관통 형성된 스위치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도어스위치(600)가 삽입된다.
이하에서는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도어스위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인 도어스위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인 도어스위치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도어스위치(600)는 내부에 수용공간 을 형성하는 케이스(620)와, 상기 케이스(620)의 내부에 수용되고, 오븐도어(300)의 일측과 접촉하여 연동하는 액츄에이터(640)와, 상기 액츄에이터(640)의 유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전류가 도통되는 전원수단(700)과, 상기 케이스(620)의 일측을 차폐하는 캡(8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액츄에이터(640)는 상기 케이스(62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으로, 대략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는 돌출부(642)와, 상기 돌출부(642)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부(64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644)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가이드홈(54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620)는 전체적으로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620)의 측면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수용된 부품들을 보호하는 측면(622)과, 상기 측면(622)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고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620)의 전방을 차폐하는 전면(624)으로 구성되며, 후면은 개구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622)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후크(900)가 결합되는 슬릿(626)이 더 구비된다.
상기 슬릿(626)은 상기 케이스의 측면(622)에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후크체결부(940)가 끼움결합되도록 후크체결부(94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620)의 전면(624)에는 상기 액츄에이터(640)의 돌출부(642)의 지름보다는 크고, 걸림부(644)의 지름 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전면관통홀(628)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액츄에이터(640)가 상기 케이스(620)에 삽입된 후 상기 전면관통홀(628)를 통해 상기 케이스(620)의 돌출부(642)만 외부로 노출가 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620)의 내부에는 전원수단(700)이 구비된다.
상기 전원수단(700)은 상기 케이스(620)의 내부에 장착되며, 각각이 전원회로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레일(720)과, 상기 액츄에이터(640)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액츄에이터(640)의 유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레일(720)에 접촉되는 브리지(740)로 구성된다.
상기 레일(720)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도 5 에서 볼 때 좌측끝단이 내측으로 소정각도로 절곡형성되고, 절곡된 끝단이 상기 케이스(620)의 전면(624)을 향하도록 삽입시켜 상기 케이스(620)의 내측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레일(720)의 길이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62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므로, 상기 케이스(620)의 내측에 장착된 후 상기 레일(720)의 단부가 상기 케이스(620)외부로 돌출되어 나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620)의 내측에 장착된 레일(720) 사이에는 상기 액츄에이터(640)가 끼워지고, 상기 액츄에이터(640)의 걸림부(644)의 상면에는 상기 브리지(740)가 끼워진다. 즉, 상기 브리지(740)가 끼워진 상태의 액츄에이터(640)를 상기 레일(720)의 사이에 끼워넣음으로써, 상기 레일(720)과 상기 브리지(740)가 액츄에이터(640)의 유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촉가능하게 장착된다.
한편, 상기 브리지(740)가 끼워진 액츄에이터(640)의 상방에는 탄성을 가진 스프링(S)이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S)이 수용된 케이스(620)의 개구된 후면은 캡(800)에 의해서 차폐된다.
상기 캡(800)은 상기 케이스(620)의 후면 개구부와 형합하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는 절제되어 형성된 레일관통홀(820)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레일관통홀(820)은 상기 케이스(620)에 장착된 레일(720)이 관통하는 곳으로, 상기 케이스(620)의 후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상기 레일관통홀(820)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돌출된 레일(720) 사이를 지나고 상기 케이스(620)의 양측면에 형성된 슬릿(626)에 삽입되는 후크(9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후크(900)는 대략“
Figure 112006005619012-pat00002
”와 같은 형상으로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단부가 수직으로 절곡형성되어 후크체결부(940)를 이루고, 중앙에는 상기 후크(900)의 중심에 천공형성된 후크중심홀(9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캡(800)의 상면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중심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중심홀(920)이 상기 캡(800)의 상면에 돌출형성된 중심돌기(미도시)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후크(900)가 안착된다.
또한, 상기 후크체결부(940)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622)에 형성된 홈에 걸리도록 상측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 형성부위 이후는 외측(도 6에서 케이스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절곡 형성된다.
즉, 도 5에서 봤을 때는 대략적인 형상이“
Figure 112006005619012-pat00003
”와 같이 형성되어, 상기 후크(900)가 체결된 도어스위치(60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전면플레이트(도 4에서 120)의 상단에 형성된 스위치홈(미도시)에 상기 도어스위치(600)가 끼움 결합 될 때, 상기 절곡된 후크체결부(940)가 판스프링의 역할을 하게 되어, 스위치홈(미도시)에 끼워진 후 쉽게 탈거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후크(900)는 어느정도의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인 도어스위치의 내부 구조를 후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620)의 내부구조는 상기 케이스(620)의 상/하부(도 7에서)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가이드돌기(520)와 상기 케이스(620)의 좌/우측(도 3에서)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액츄에이터가이드(660)에 의해 구획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액츄에이터(640)가 중앙에 삽입되도록 가이드 하는 액츄에이터가이드(662)는 상기 액츄에이터(640)의 걸림부(644)의 외주면의 일부분 즉, 부채꼴의 호(弧)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액츄에이터(640)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돌기(520)와 상기 액츄에이터가이드(660)의 사이에는 상기 레일(720)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액츄에이터가이드(660)와 상기 가이드돌기(52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레일(720)이 삽입 장착되고, 상기 레일(720)이 장착된 후 상기 액츄에이터(640)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640)는 구속부(500)에 의하여 구속된다. 즉, 상기 액츄에이터의 걸림부(644)에 형성된 가이드홈(540)에 상기 가이드돌기(520)가 삽입됨 으로써 상기 액츄에이터(640)의 유동시 유동경로가 안내된다.
상기 액츄에이터(640)의 걸림부(644) 상면에는 브리지(740)가 장착되고, 상기 브리지(740)가 장착된 액츄에이터(640)의 상면에 스프링(S)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캡(800)에 의해 상기 케이스(620)의 후면이 차폐되고, 상기 캡(800)의 상면에 상기 후크(900)가 안착된 후 상기 케이스(620)의 측면(622)에 형성된 슬릿(626)에 상기 후크(900)의 후크체결부(940)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도어스위치(600)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어스위치(600)는 상기 전면플레이트(120)에 끼움결합됨으로써 상기 도어스위치(600)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도어스위치 액츄에이터 편심방지구조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도어스위치(600)는 상기 전기오븐(100)의 전면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스위치 체결홈(미도시)에 끼워져 장착된다. 즉, 상기 후크(900)에 형성된 후크체결부(940)가 상기 스위치 체결홈(미도시)에 장착음을 내며 끼워짐으로써 상기 전면플레이트(120)에 장착되고, 후크체결부(940)의 탄성에 의해 쉽게 탈거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체결된 도어스위치(600)는 내부에 구성된 점등회로와 연결된다. 즉, 상기 도어스위치(600)는 상기 오븐도어(300)의 개폐시 오븐램프(미도시)의 점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상기 오븐램프의 점등회로에 구성된 릴레이(Relay)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여 오븐램프(미도시)를 점등하게 된다.
즉, 상기 오븐도어(300)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개폐하게 되면, 상기 도어스위 치(600)의 내부에 수용된 액츄에이터(640)가 상기 스프링(S)의 탄성에 의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620) 내부에 형성된 구속부(500)에 의해 상기 액츄에이터(640)의 이동경로가 안내되어 상기 액츄에이터(640)의 편심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액츄에이터(640)의 이동중에 생기는 편심에 의한 레일(720)과 브리지(740)와의 마찰 및 접촉불량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액츄에이터(640)가 노출되면, 상기 액츄에이터의 걸림부(644) 상면에 장착된 브리지(740)가 액츄에이터(640)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상기 케이스(620) 내부에 장착된 레일(720)에 접하게 되어 전류가 도통되고, 점등회로에 구비된 릴레이(Relay)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릴레이(Relay)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릴레이의 접점이 붙게되어 상기 오븐램프에 전류가 공급되고 오븐램프가 점등(點燈)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오븐도어(300)를 상방으로 회동시켜 차폐하게 되면, 상기 액츄에이터(640)가 상기 구속부(500)의 안내에 따라 내측으로 편심없이 인입되고, 상기 액츄에이터(640)가 인입됨에 따라 상기 브리지(740)가 상기 레일(720)과 떨어져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상기 릴레이의 접점이 해지되고 상기 오븐램프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아 오븐램프가 소등(消燈)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액츄에이터의 편심방지를 위해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를 상기 액츄에이터가이드에 더 형성하고 상기 액츄에이터이 걸림부에 가이드홈을 더 구비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의 걸림부에 가이드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액츄에이터가이드에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도어스위치 액츄에이터 편심방지구조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가이드부가 형성된다.
이처럼 가이드부를 형성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의 이동경로를 구속하게 되면, 상기 액츄에이터의 편심이 방지되어 상기 브리지와 레일간의 국부적 접촉불량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액츄에이터의 편심이 방지됨에 따라 편심으로 인한 브리지와 레일간의 마찰이 방지되어 소음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아니라, 상기와 같이 마찰이 방지됨에 따라 마찰에 의한 부품의 마모가 방지되어 제품의 수명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오븐도어의 일측과 접촉하여 연동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유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전류가 도통되는 전원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을 차폐하는 캡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일측에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유동 시 편심을 방지하도록 액츄에이터의 유동경로를 제한하는 구속부가 구비되는 전기오븐의 도어스위치 액츄에이터 편심방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오븐도어와 접촉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오븐의 도어스위치 액츄에이터 편심방지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돌출부의 크기보다는 크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걸림부보다는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케이스홀이 구비된 전면과;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는 전원수단과 액츄에이터의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액츄에이터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오븐의 도어스위치 액츄에이터 편심방지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며, 각각이 전원회로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레일과;
    상기 액츄에이터의 일측과 결합되며 액츄에이터의 유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레일과 접촉하여 전류를 도통시키는 브리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오븐의 도어스위치 액츄에이터 편심방지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는,
    상기 레일과 접촉하는 면적을 줄이도록 레일 접촉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전기오븐의 도어스위치 액츄에이터 편심방지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케이스의 후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후면을 차폐하는 것으로, 상기 레일이 관통되도록 다수개의 레일관통홀이 형성되는 전기오븐의 도어스위치 액츄에이터 편심방지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상면에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캡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와 캡의 분리를 방지하고 상기 오븐의 일측에 끼움장착 가능하도록 일부분이 절곡형성된 판스프링 형태의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는 전기오븐의 도어스위치 액츄에이터 편심방지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구속돌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일측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구속돌기가 삽입되는 구속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오븐의 도어스위치 액츄에이터 편심방지구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전기오븐의 도어스위치 액츄에이터 편심방지구조.
KR1020060007552A 2006-01-25 2006-01-25 전기오븐의 도어스위치 액츄에이터 편심방지구조 KR100688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552A KR100688665B1 (ko) 2006-01-25 2006-01-25 전기오븐의 도어스위치 액츄에이터 편심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552A KR100688665B1 (ko) 2006-01-25 2006-01-25 전기오븐의 도어스위치 액츄에이터 편심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8665B1 true KR100688665B1 (ko) 2007-03-02

Family

ID=38102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7552A KR100688665B1 (ko) 2006-01-25 2006-01-25 전기오븐의 도어스위치 액츄에이터 편심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86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9460A (ja) 2002-07-04 2004-02-05 Omron Corp スイッチユニットおよび電子レンジ用ドア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9460A (ja) 2002-07-04 2004-02-05 Omron Corp スイッチユニットおよび電子レンジ用ドアスイッ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1640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도어
KR101140121B1 (ko) 가스 기구
EP4108991B1 (en) Cooking appliance
DE202015104575U1 (de) Haushaltsgerät und Haushaltsgeräteleuchte
KR100233437B1 (ko) 전자렌지의 도어
KR20050031286A (ko) 전자렌지
KR100688665B1 (ko) 전기오븐의 도어스위치 액츄에이터 편심방지구조
CN107734735B (zh) 连接线遮蔽装置、电烹调设备及其盖组装方法
JP6535234B2 (ja) 加熱調理器
KR100879778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부품서비스구조
CN110446891A (zh) 拉出引导件以及具有拉出引导件的微波烹饪器具或工业加热炉
JPH08216774A (ja) 車両用の前照灯
EP3715724A1 (en) An oven muffle equipped with a lighting device for illuminating the cooking chamber
KR101220606B1 (ko) 조리기기
KR100306628B1 (ko) 전자렌지
KR100996534B1 (ko) 램프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레인지
KR100246893B1 (ko) 전자렌지용 도어
RU2134031C1 (ru) Микроволновая печь
US10168055B2 (en) Household device having a door and electrical contacts in the region of a door guide
KR200214529Y1 (ko) 전자렌지의 작동표시창 고정장치
KR20080070409A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100246887B1 (ko) 전자렌지용 도어
KR100981827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덕트브라켓구조
KR19990084890A (ko) 복합전자렌지
KR20110136039A (ko)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