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984B1 -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for Tunnel - Google Patents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for Tun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984B1
KR102475984B1 KR1020220113642A KR20220113642A KR102475984B1 KR 102475984 B1 KR102475984 B1 KR 102475984B1 KR 1020220113642 A KR1020220113642 A KR 1020220113642A KR 20220113642 A KR20220113642 A KR 20220113642A KR 102475984 B1 KR102475984 B1 KR 102475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evacuation passage
cover panel
blocking wal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36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자영
유경철
Original Assignee
대산산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산산업 (주) filed Critical 대산산업 (주)
Priority to KR1020220113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98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9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10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concrete cast in situ; Shuttering also lost shutterings, e.g. made of blocks, of metal plates or other equipment adapted therefor
    • E21D11/102Removable shuttering; Bearing or supporting devic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21F1/003Ventilation of traffic tu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partition-detachable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of a tunnel. The partition-detachable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of a tunnel comprises: vertical blocking walls which include a flame-retardant transparent panel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inside of an evacuation passage can be viewed from the outside; roof blocking walls which are installed between upper portions of the vertical blocking walls and the wall of the tunnel to finish the space for the evacuation passage so that the space is separated from the tunnel; at least one door which is installed in regions of the vertical blocking walls; side covers which are installed between the vertical blocking walls and the roof blocking walls to secure the airtightness of the evacuation passage; upper covers which are installed between the roof blocking walls and the wall of the tunnel to secure the airtightness of the evacuation passage; and ventilation means which ventilate the inside of the evacuation passage. Therefore, the partition-detachable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enables people to safely escape from flames and smoke in case of an accident or an accident or a fire in the tunnel, thereby preventing casualties.

Description

터널의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구조물{Evacuation Passage Structure for Tunnel}Evacuation Passage Structure for Tunnel}

본 발명은 터널의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널 내에서 사고나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사람들이 화염 및 연기로부터 안전하게 대피하여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터널의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nnel partition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unnel partition wall that allows people to safely evacuate from flames and smoke to prevent human casualties in the event of an accident or fire in a tunnel. It relates to a separable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일반적으로 터널이나 지하차도 내에서 사고나 화재 등이 발생하면 이차적인 사고를 유발할 수 있고, 사고로 인한 교통 혼잡에 따른 매연, 화재로 인한 화염과 연기 등으로 인해 유독가스에 쉽게 노출되므로 피난대피통로가 필요하다. In general, if an accident or fire occurs in a tunnel or underpass, it can cause a secondary accident, and it is easily exposed to toxic gases due to smoke from traffic congestion due to an accident and flame and smoke from a fire. is needed

특히, 터널의 길이가 장대화되고 있는 추세에서 터널 내에 사고나 화재 발생시에는 막대한 인명 피해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소방방재 시설 및 피난대피통로가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since the length of the tunnel is increasing, it can cause enormous human damage in the event of an accident or fire in the tunnel, so fire prevention facilities and evacuation routes to minimize human damage are urgently required.

이에, 도로터널 방재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국토교통부예규 제308호, 2020. 8. 31. 일부개정)에 따르면 터널 내에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를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Road Tunnel Disaster Prevention Facility Installation and Management Guidelines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Regulation No. 308, partially revised on August 31, 2020), it is stipulated to install a 'separated bulkhead evacuation passage' in the tunnel.

여기서,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는 터널 내에 터널과 격벽에 의해서 분리하여 화재연기 및 열을 차단할 수 있는 통로를 말한다.Here, 'bulk-separated evacuation passage' refers to a passage that can block fire smoke and heat by separating the tunnel and the bulkhead within the tunnel.

도 1은 종래의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를 도시한 것으로, 터널(1)의 차로 옆에는 격벽(2)이 시공되고, 격벽(2)에 의해 차로와 단절된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3)가 형성된다. 여기서, 격벽(2)은 수직부와 천정부를 구조로 하며 콘크리트로 시공된다.1 shows a conventional bulkhead-separated evacuation passage, and a bulkhead 2 is constructed next to the road of the tunnel 1, and a bulkhead-separated evacuation passage 3 disconnected from the road by the bulkhead 2 is formed. do. Here, the bulkhead 2 has a structure of a vertical part and a ceiling part and is constructed of concrete.

이와 같이, 종래의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는 콘크리트로 격벽(2)을 만들다 보니 화염이나 연기, 열의 차단은 가능하지만, 피난대피통로(3) 안에 있는 사람이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는 단점을 갖는다. As such, since the bulkhead 2 is made of concrete, the conventional bulkhead-separated evacuation passage can block flame, smoke, and heat, but has the disadvantage that people inside the evacuation passage 3 cannot be seen from the outside.

즉, 터널 내에 있는 사람이 피난대피통로(3) 안에 있는 사람을 볼 수 없으므로, 예컨대, 피난대피통로 내에서 사람이 쓰러져 있거나 위험에 처한 상황이 되더라도 피난대피통로 밖에서는 이를 인지할 수 없어서 위험에 처한 상황이 오래 지속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That is, since the person in the tunnel cannot see the person in the evacuation passage 3, for example, even if a person is down or in danger within the evacuation passage, it cannot be recognized outside the evacuation passage, so it is in danger. Since the situation we are in can last for a long time, countermeasures are required.

또한, 종래의 경우 화재가 발생하면 유독가스가 피난대피통로에 침투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재로 인한 유독가스가 대피통로에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막을 수 있도록 밀폐성을 갖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since toxic gas can permeate the evacuation passage when a fire occurs, it is very important to have airtightness so as to prevent toxic gas due to fire from entering the evacuation passage as much as possible.

한국등록특허 제10-2410766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41076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외부에서도 피난대피통로 내부의 사람들을 볼 수 있도록 하여, 위급한 상황에서 이를 쉽게 감지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터널의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llows people inside the evacuation passage to be seen from the outside, so that it can be easily detected and responded to in an emergency situation. Provide a structure of a tunnel partition evacuation passage But it has a purpose.

또한, 터널 내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연기나 유독가스가 대피통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밀성과 밀폐성을 확보하여, 사고처리가 종료되거나 화재가 진압되기까지 오랜 시간을 대피통로 내부에서 안전하게 지낼 수 있도록 하는 터널의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event of a fire in the tunnel, confidentiality and airtightness are secured to prevent smoke or toxic gas from entering the evacuation passage, so that a long time can be safely spent inside the evacuation passage until the accident process is completed or the fire is extinguish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artition wall separation type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of a tunnel to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도로가 시공되는 터널의 일측에 피난대피통로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피난대피통로의 내부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난연성 투명 패널을 포함하여 설치되는 수직 차단벽체와, 상기 수직 차단벽체의 상부와 터널의 벽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피난대피통로의 공간이 터널과 분리되도록 마감하는 지붕 차단벽체와, 상기 수직 차단벽체의 일부 영역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입문과, 상기 수직 차단벽체와 지붕 차단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피난대피통로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측면 커버와, 상기 지붕 차단벽체와 터널의 벽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피난대피통로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상부 커버와, 상기 피난대피통로 내부의 환기를 위한 환기수단을 포함하는 터널의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구조물이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provide a space for an evacuation passage on one side of a tunnel in which a road is constructed inside, and is transparent so that the inside of the evacuation passage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A vertical blocking wall installed including a flame retardant transparent panel of material, a roof blocking wall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blocking wall and the wall of the tunnel and closing the space of the evacuation passage to be separated from the tunnel, and the vertical blocking wall At least one door installed in a partial area of the wall, a side cover installed between the vertical blocking wall and the roof blocking wall to secure airtightness of the evacuation passage, and installed between the roof blocking wall and the wall of the tunnel Thus, a partition wall separation type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of a tunnel including an upper cover for securing airtightness of the evacuation passage and a ventilation means for ventilation inside the evacuation passage is provided.

상기 수직 차단벽체는, 구조물의 골격을 형성하는 H빔과, 상기 H빔에 결합되는 사각형상의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분리형 제2 프레임과, 복수개의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투명한 재질의 난연성 투명 패널과, 상기 H빔과 제1 프레임 사이 또는 제2 프레임과 투명 패널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접하는 면에서의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밀폐용 가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The vertical blocking wall includes an H beam forming the skeleton of the structure, a rectangular first frame coupled to the H beam, a plurality of separable second frames coupled to the first frame, and a plurality of second frames. It includes a flame retardant transparent panel of a transparent material installed between the H-beam and the first frame or between the second frame and the transparent panel, and at least one gasket for sealing to improve the airtightness of the contact surface. can

여기서, 상기 밀폐용 가스켓은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제2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제2 프레임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H빔 또는 투명 패널에 면접촉되도록 평평한 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sealing gasket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rame or the second frame,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first frame or the second frame, and the other side is the H beam or the transparent pane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 flat surface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한편, 상기 측면 커버는 상기 수직 차단벽체의 외면에 설치되기 위한 제1 커버패널과, 상기 제1 커버패널과 소정의 각도를 갖으며 상기 지붕 차단벽체의 외면에 설치되기 위한 제2 커버패널과, 상기 제1 커버패널과 수직 차단벽체 사이가 밀착되도록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1 가스켓과, 상기 제2 커버패널과 지붕 차단벽체 사이가 밀착되도록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2 가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ide cover includes a first cover panel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blocking wall, a second cover panel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cover panel and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of blocking wall, It may include a first gasket to secure airtightness so that the first cover panel and the vertical blocking wall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second gasket to ensure airtightness so that the second cover panel and the roof blocking wall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커버패널과 제2 커버패널은 구조물이 설치되는 터널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각도가 조절가능하도록 상호 분리되며, 상기 제1 커버패널 또는 제2 커버패널 중 어느 하나의 접면에 길이방향으로 각도조절용 홈이 형성되고, 다른 면에는 상기 홈에 삽입되어 회동이 가능한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ver panel and the second cover panel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angle is adjustable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tunnel in which the structure is installed, and the contact surface of either the first cover panel or the second cover pan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grooves for angle adjustment are formed, and on the other side, protrusions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s and rotated can be formed.

상기 제1 가스켓은 H빔이 설치되는 위치와 상기 H빔이 설치되지 않은 위치에 따라 그 형상이 다른 2중 가스켓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gasket may have a double gasket structure having a different shape depending on a location where the H-beam is installed and a location where the H-beam is not installed.

또한,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지붕 차단벽체의 외면에 설치되기 위한 제1 커버패널과, 상기 제1 커버패널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결합되고 상기 터널의 벽면에 설치되기 위한 제2 커버패널과, 상기 제1 커버패널과 지붕 차단벽체 사이가 밀착되도록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1 가스켓과, 상기 제2 커버패널과 터널의 벽면 사이가 밀착되도록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2 가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cover includes a first cover panel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of blocking wall, a second cover panel coupled to the first cover panel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tunnel, It may include a first gasket for securing airtightness so that the first cover panel and the roof blocking wall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second gasket for securing airtightness so that the second cover panel and the wall surface of the tunnel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제1 커버패널과 제2 커버패널은 구조물이 설치되는 터널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각도가 조절가능하도록 상호 분리되며, 상기 제1 커버패널 또는 제2 커버패널 중 어느 하나의 접면에 길이방향으로 각도조절용 홈이 형성되고, 다른 면에는 상기 홈에 삽입되어 회동이 가능한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cover panel and the second cover panel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angl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tunnel in which the structure is installed, and the length of the contact surface of either the first cover panel or the second cover panel A groove for angle adjustment is formed in the direction, and a protrusion capable of rotation may be form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on the other side.

본 발명에서, 상기 투명 패널은 유리, 방화유리, PC, PMMA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panel may be made of any one of glass, fireproof glass, PC, and PMMA.

한편, 상기 환기수단은 터널에서 피난대피통로로 유입될 수 있는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으며, 터널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피난대피통로로 들어올 수 있는 배관이 더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ventilation means may include a blowing fan for discharging polluted air that may flow into the evacuation passage from the tunnel to the outside, and a pipe through which fresh air outside the tunnel can enter the evacuation passage is further included it is possibl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터널의 피난대피통로의 차단벽체가 투명한 재질로 되어 있어서. 외부에서도 피난대피통로 내부의 사람들을 볼 수 있도록 하여, 위급한 상황에서 이를 쉽게 감지하여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blocking wall of the evacuation passage of the tunnel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t is possible to see people inside the evacuation passage from the outside, so that it can be easily detected and responded to in an emergency.

또한, 터널 내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연기나 유독가스가 대피통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밀성과 밀폐성을 확보하여, 사고처리가 종료되거나 화재가 진압되기까지 오랜 시간을 대피통로 내부에서 안전하게 지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event of a fire in the tunnel, confidentiality and airtightness are secured to prevent smoke or toxic gas from entering the evacuation passage, so that a long time can be safely spent inside the evacuation passage until the accident process is completed or the fire is extinguished. has the effect of

도 1은 종래의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구조물이 적용된 터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구조물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단위 수직 차단벽체를 도시한 (a)정면도, (b)평면도, (c)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의 'A'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의 'B'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각도조절용 측면 커버가 설치되는 수직 차단벽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수직 차단벽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측면 커버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측면 커버의 구성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12은 도 11에서의 'C'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상부 커버의 구성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ulkhead-separated evacuation passage.
FIG. 2 is a view showing a tunnel to which a partition-separated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 front view showing a partition wall separation type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a front view, (b) a plan view, and (c) a side view showing a unit vertical block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ition wall separation type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in FIG. 5 .
FIG. 7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B' in FIG. 5 .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vertical blocking wall in which a side cover for angle adjus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vertical block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ide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ide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C' in FIG. 11 .
Figure 13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by this will be described as at least one embodiment, where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r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구조물이 적용된 터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구조물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단위 수직 차단벽체를 도시한 (a)정면도, (b)평면도, (c)측면도이다. 2 is a view showing a tunnel to which a partition wall separation type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a partition wall separation type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a front view, (b) a plan view, and (c) a side view showing the unit vertical block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구조물(100)은 내부에 도로가 시공되는 터널(10)의 일측에 피난대피통로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터널(10)의 일측에 소정의 공간을 두고 설치되는 수직 차단벽체(110)와, 상기 수직 차단벽체(110)의 상부와 터널의 벽면(10) 사이에 설치되는 지붕 차단벽체(120)와, 상기 수직 차단벽체(110)의 일부 영역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입문(102)과, 상기 수직 차단벽체(110)와 지붕 차단벽체(1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피난대피통로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측면 커버(130)와, 상기 지붕 차단벽체(120)와 터널의 벽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피난대피통로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상부 커버(140)과, 상기 피난대피통로 내부의 환기를 위한 환기수단(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partition-separated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ace for an evacuation passage on one side of the tunnel 10 in which a road is constructed inside the tunnel ( A vertical blocking wall 110 installed with a predetermined space on one side of 10), a roof blocking wall 120 installed between the top of the vertical blocking wall 110 and the wall surface 10 of the tunnel, and the vertical At least one door 102 installed in a partial area of the blocking wall 110, and a side cover installed between the vertical blocking wall 110 and the roof blocking wall 120 to secure airtightness of the evacuation passage. (130), an upper cover (140) installed between the roof blocking wall (120) and the wall surface of the tunnel to ensure airtightness of the evacuation passage, and a ventilation means (150) for ventilation inside the evacuation passage. ).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서 콘크리트 격벽으로 이루어진 피난대피통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피난대피통로로 연기나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고자 기밀성과 밀폐성을 확보하는 구성을 갖는데 그 특징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olves the problem of the evacuation passage made of concrete bulkheads in the prior art, and has a configuration to secure airtightness and airtightness in order to prevent smoke or contaminated air from entering the evacuation passage as much as possible. hav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수직 차단벽체(110)는 외부에서도 피난대피통로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 패널(112)을 이용하여 차단벽체(110)를 구성함으로써, 위험에 처한 상황을 피난대피통로 밖에서도 인지하여 위급상황 발생 시 이에 대해 대응할 수 있게 한다. To this end, the vertical blocking wall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the blocking wall 110 using a transparent panel 112 so that the inside of the evacuation passage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situation in danger can be seen even outside the evacuation passage. Recognize and be able to respon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이와 같은 수직 차단벽체(110)는 터널(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터널의 바닥면에서부터 투명한 재질의 투명 패널(112)이 벽체로 설치되므로, 예컨대, 피난대피통로 내에서 사람이 쓰러져 있는 등 피난대피통로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을 외부에서 쉽게 인지할 수 있다. Such a vertical blocking wall 110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nnel 10, and since a transparent panel 112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s installed as a wall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tunnel, for example, people fall down in the evacuation passage Various hazards that may occur inside the evacuation passage can be easily recognized from the outside.

상기 투명 패널(112)은 투명하면서도 화염 등에 강한 재질의 난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유리, 방화유리, PC, PMMA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ransparent panel 112 is made of a flame retardant material that is transparent and resistant to flame, and may be made of, for example, any one of glass, fireproof glass, PC, and PMMA.

본 발명에서, 상기 수직 차단벽체(110)는 H빔(114)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골격을 형성하며, 상기 H빔(114)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각각의 H빔(114) 사이에 상기 투명 패널(112)를 설치하여 차단벽체를 구성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blocking wall 110 forms the skeleton of the structure using H beams 114, the H beams 114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transparent between each H beam 114 A blocking wall may be configured by installing the panel 112 .

이 경우,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방향에는 H빔(114)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수평방향으로는 투명 패널(112)을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격자형태를 갖도록 차단벽체를 구성함도 가능하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H beams 114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rames for installing transparent panels 112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a grid. It is also possible to construct a wall body.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H빔(114)의 설치간격은 대략 2m 정도로 이루어지고, 수평방향으로는 1m 간격으로 프레임이 설치되어 대략 2×1m의 크기의 격자형태로 투명 패널(112)이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며, 설명의 편의상, 격자형태로 설치되는 투명 패널(112)을 갖는 수직 차단벽체(110)를 단위 수직 차단벽체(110)라 칭하도록 한다. In one embodiment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H beams 114 is approximately 2 m, and frames are installed at intervals of 1 m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a grid of approximately 2 × 1 m in size. Transparent panels ( 112) is shown installed, an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vertical blocking wall 110 having the transparent panel 112 installed in a lattice form is referred to as a unit vertical blocking wall 110.

도 4는 본 발명의 단위 수직 차단벽체를 도시한 (a)정면도, (b)평면도, (c)측면도로서, 이와 같은 단위 수직 차단벽체가 터널의 길이방향과 높이방향으로 연속 설치되어 전체 수직 차단벽체(110)를 구성하게 된다. 4 is (a) a front view, (b) a plan view, and (c) a side view showing a unit vertical block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such a unit vertical blocking wall is continuously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eight direction of the tunnel, so that the overall vertical It constitutes the blocking wall 110.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서의 'A'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5에서의 'B'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ition wall separation type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in FIG. 5, and FIG. 7 is 'B' in FIG. It is an enlarged view showing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각도조절용 측면 커버가 설치되는 수직 차단벽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수직 차단벽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In addi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vertical blocking wall in which the side cover for angle adjus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vertical block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는 H빔(114)의 상부에 단위 수직 차단벽체(110)가 설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H빔(114)의 길이방향으로도 단위 수직 차단벽체(110)가 더 설치되며, 도 5 내지 도 6, 도 8에 도시한 수직 차단벽체(110)의 단면을 통해 본 발명의 수직 차단벽체(11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Although FIG. 5 shows that the unit vertical blocking wall 110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H beam 114, the unit vertical blocking wall 110 is further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 beam 114, and FIGS. 6, the configuration of the vertical blocking wall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rough the cross section of the vertical blocking wall 110 shown in FIG.

상기 수직 차단벽체(110)는 상기 H빔(114)과, 상기 H빔(114)에 결합되는 사각형상의 제1 프레임(115)과, 상기 제1 프레임(115)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분리형 제2 프레임(116)과, 복수개의 상기 제2 프레임(116) 사이에 설치되는 투명한 재질의 난연성 투명 패널(112)과, 상기 H빔(114)과 제1 프레임(115) 사이 또는 제2 프레임(116)과 투명 패널(112)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접하는 면에서의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밀폐용 가스켓(117)(118)을 포함할 수 있다. The vertical blocking wall 110 includes the H beam 114, a rectangular first frame 115 coupled to the H beam 114, and a plurality of separate second frames coupled to the first frame 115. A flame retardant transparent panel 112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nstalled between the frame 116 and the plurality of second frames 116, and between the H beam 114 and the first frame 115 or the second frame 116 ) and at least one or more sealing gaskets 117 and 118 installed between the transparent panel 112 to improve airtightness on the contact surface.

상기 제1 프레임(115)는 상기 H빔(114)의 '┌┐' 형태로 이루어지는 내부공간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으로서, 대략 직사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제1 프레임(115)의 일면에는 상기 제2 프레임(116)이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홈이 형성된다. The first frame 115 is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to the inner space formed of the '┌┐' shape of the H beam 114,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one surface of the first frame 115 has the An installation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second frame 116 can be installed.

상기 설치홈은 2개의 제2 프레임(116)이 끼워지도록 2개의 제2 프레임(116)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2개의 제2 프레임(116) 사이에 난연성 투명 패널(112)이 설치되는 것이다. The installation groove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wo second frames 116 so that the two second frames 116 are inserted, and a flame retardant transparent panel 112 is installed between the two second frames 116. It will be.

상기 제1 프레임(115)은 알루미늄(AL)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상 H빔(114)은 도금을 진행하여 제작되는데, AL 재질의 제1 프레임(115)과 밀착 시 2개의 이종 금속 패널 간의 완벽한 밀폐가 실현되기 어렵다. The first frame 115 may be made of an aluminum (AL) material. Normally, the H beam 114 is manufactured by plating, but it is difficult to achieve perfect sealing between the two dissimilar metal panels when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frame 115 made of AL material.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H빔(114)과 제1 프레임(115) 사이에 완벽한 밀폐가 이루어지어 피난대피통로 내부로 연기나 유독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밀성과 밀폐성을 확보하도록 상기 H빔(114)과 제1 프레임(115) 사이에 밀폐용 가스켓(117)을 설치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 beam ( 114) and the first frame 115, a sealing gasket 117 is installed.

또한, 제2 프레임(116)과 투명 패널(112) 사이에도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밀폐용 가스켓(118)을 설치한다. 상기 가스켓(117)(118)은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며, 접하는 면에서의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2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sealing gasket 118 is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frame 116 and the transparent panel 112 to improve airtightness. At least one gasket 117, 118 is installed, and as shown in FIG. 9, two may be installed to improve airtightness on the contacting surface.

상기 밀폐용 가스켓(117)(118)은 상기 제1 프레임(115) 또는 제2 프레임(116)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제1 프레임(115) 또는 제2 프레임(116)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H빔(114) 또는 투명 패널(112)에 면접촉되도록 평평한 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gaskets 117 and 118 for sealing are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rame 115 or the second frame 116, and one side is attached to the first frame 115 or the second frame 116. It is inserted into the formed insertion groove, and the other side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flat surface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H beam 114 or the transparent panel 112.

상기 가스켓(117)(118)의 형상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나, 상기 H빔(114)과 제1 프레임(115) 사이 또는 제2 프레임(116)과 투명 패널(112) 사이의 완벽한 밀폐가 이루어지어 연기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가스켓(117)(118)은 H빔(114) 또는 투명 패널(112)에 접하는 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넓은 면으로 면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gaskets 117 and 118 may have various shapes, but perfect sealing between the H beam 114 and the first frame 115 or between the second frame 116 and the transparent panel 112 is achieved. In order to prevent smoke or the like from entering, the gaskets 117 and 118 are preferably formed flat so that the surfaces in contact with the H-beam 114 or the transparent panel 112 are formed flat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a wide surface.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지붕 차단벽체(120) 역시 상기 수직 차단벽체(11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사각형상의 제1 프레임(115)과, 상기 제1 프레임(115)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분리형 제2 프레임(116)과, 복수개의 상기 제2 프레임(116) 사이에 설치되는 투명한 재질의 난연성 투명 패널(112)과, 상기 H빔(114)과 제1 프레임(115) 사이 또는 제2 프레임(116)과 투명 패널(112)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접하는 면에서의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밀폐용 가스켓(117)(118)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of blocking wall 120 may also be formed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vertical blocking wall 110. That is, the flame retardancy of the transparent material installed between the rectangular first frame 115, the plurality of separable second frames 116 coupled to the first frame 115, and the plurality of second frames 116 At least one is installed between the transparent panel 112, the H beam 114 and the first frame 115 or between the second frame 116 and the transparent panel 112 to improve the confidentiality of the contact surface. It may include gaskets 117 and 118 for sealing.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붕 차단벽체(120)의 경우, 상기 수직 차단벽체(110)가 설치되는 H빔(114)과 터널(10)의 벽면 사이에 H빔을 설치하여 연결함으로써 구조물의 골조로 설치한 후, 상기 H빔 위에 지붕 차단벽체(120)가 얹혀지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roof blocking wall 120, an H beam is installed between the H beam 114 on which the vertical blocking wall 110 is installed and the wall surface of the tunnel 10, and connected to the frame of the structure. After installation, the roof blocking wall 120 may be installed on top of the H-beam.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직 차단벽체(110)와 지붕 차단벽체(120) 사이에 상기 피난대피통로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측면 커버(130)가 설치되고, 상기 지붕 차단벽체(120)와 터널의 벽면 사이에 상기 피난대피통로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상부 커버(140)가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side cover 130 is installed between the vertical blocking wall 110 and the roof blocking wall 120 to secure the airtightness of the evacuation passage, and the roof blocking wall 120 and the tunnel An upper cover 140 is installed between the walls to ensure airtightness of the evacuation passag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지붕 차단벽체(120)는 상기 수직 차단벽체(110)의 H빔(114)과 터널(10)의 벽면을 연결하는 H빔 위에 얹혀지는 형태로 설치되므로, 지붕 차단벽체(120)와 상기 수직 차단벽체(110) 사이의 연결부위는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oof blocking wall 120 is installed in the form of being placed on the H beam connecting the H beam 114 of the vertical blocking wall 110 and the wall of the tunnel 10, the roof blocking wall ( 120) and the vertical blocking wall 110 may have an open top.

따라서, 개방된 지붕 차단벽체(120)와 상기 수직 차단벽체(110) 사이의 연결부위를 마감하는 역할과 함께 상기 수직 차단벽체(110)와 지붕 차단벽체(120) 사이에 상기 피난대피통로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측면 커버(130)가 설치되는 것이다. Therefore, with the role of finish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open roof blocking wall 120 and the vertical blocking wall 110, the airtightness of the evacuation passage between the vertical blocking wall 110 and the roof blocking wall 120 is maintained. To secure the side cover 130 is installed.

상기 측면 커버(130)는 상기 수직 차단벽체(110)의 외면에 설치되기 위한 제1 커버패널(132)과, 상기 제1 커버패널(132)과 소정의 각도를 갖으며 상기 지붕 차단벽체(120)의 외면에 설치되기 위한 제2 커버패널(134)과, 상기 제1 커버패널(132)과 수직 차단벽체(110) 사이가 밀착되도록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1 가스켓(136)과, 상기 제2 커버패널(134)과 지붕 차단벽체(120) 사이가 밀착되도록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2 가스켓(138)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ide cover 130 has a first cover panel 132 to b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blocking wall 110 and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cover panel 132, and the roof blocking wall 120 A second cover panel 134 to b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 a first gasket 136 to secure airtightness so that the first cover panel 132 and the vertical blocking wall 110 are in close contact, 2 A second gasket 138 may be included to ensure airtightness so that the cover panel 134 and the roof blocking wall 120 come into close contact.

상기 제1 커버패널(132)과 제2 커버패널(134)은 각각 상기 수직 차단벽체(110)과 지붕 차단벽체(120)의 외면에 볼트 등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 차단벽체(110)과 지붕 차단벽체(120)이 설치되는 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The first cover panel 132 and the second cover panel 134 may be fix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vertical blocking wall 110 and the roof blocking wall 120 with bolts, respectively, and the vertical blocking wall 110 and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angle at which the roof blocking wall 120 is installed.

이와 같은 상기 제1 커버패널(132)과 제2 커버패널(134)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1 커버패널과 제2 커버패널이 설치되는 터널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각도가 조절가능하도록 상호 분리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first cover panel 132 and the second cover panel 134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the angl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tunnel in which the first cover panel and the second cover panel are installed. It may be configured in a mutually separated form so as to

통상, 터널은 주행도로의 개수, 양방향 주행 터널 또는 일방향 주행 터널 등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터널의 벽면이 이루는 굴곡면의 형상이나 각도가 다를 수 있다. In general, since tunnels may have various sizes and shap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running roads, bi-directional tunnels or uni-directional tunnels, the shape or angle of a curved surface formed by a wall of a tunnel may be different.

따라서, 상기 제1 커버패널(132)과 제2 커버패널(134)이 상호 분리되어 상기 제1 커버패널과 제2 커버패널이 설치되는 터널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각도가 조절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은 매우 유용하다. Therefore, the first cover panel 132 and the second cover panel 134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angle is adjustable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tunnel in which the first cover panel and the second cover panel are installed. that is very useful

도 10은 본 발명의 측면 커버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는 본 발명의 측면 커버의 구성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12은 도 11에서의 'C'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상부 커버의 구성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ide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ide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C' in FIG. 13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커버패널(132)과 제2 커버패널(134)이 각도가 조절가능하도록 상호 분리되는 형태로 가지며, 그 접하는 면에는 상기 제1 커버패널(132)과 제2 커버패널(134)을 결합시키며 회동가능하게 하는 홈(132a)과 돌기(134a)가 형성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ver panel 132 and the second cover panel 134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angle is adjustable, and the first cover panel 132 and the second cover panel ( A groove 132a and a protrusion 134a are formed to couple the 134 and enable rotation.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커버패널(132)에 길이방향으로 각도조절용 홈(132a)이 형성되고, 제2 커버패널(134)에는 상기 홈(132a)에 삽입되어 회동이 가능한 돌기(134a)를 형성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홈이 제2 커버패널(134)에 형성되고, 돌기가 상기 제1 커버패널(132)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Specifically, a groove 132a for angle adjustment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ver panel 132, and a protrusion 134a capable of being rotat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132a is formed in the second cover panel 134. It will be.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grooves are formed on the second cover panel 134 and the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first cover panel 132 .

여기서, 상기 홈(132a)은 원통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고, 돌기(134a)는 상기 홈(132a) 형상에 대응되는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어, 상기 돌기(134a)가 홈(132a)에 삽입되어 도 12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Here, the groove 132a is formed in a cylindrical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protrusion 134a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groove 132a, so that the protrusion 134a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32a, FIG. It has a structure capable of rotating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of .

한편, 상기 제1 커버패널(132)과 수직 차단벽체(110) 사이가 밀착되도록 제1 가스켓(136)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커버패널(134)과 지붕 차단벽체(120) 사이가 밀착되도록 제2 가스켓(138)이 설치되어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gasket 136 is installed so that the first cover panel 132 and the vertical blocking wall 110 come into close contact, and the second cover panel 134 and the roof blocking wall 120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 second gasket 138 is installed to ensure airtightness.

상기 제1 가스켓(136)은 제1 커버패널(132)에 형성된 삽입홈(132b)에 삽입되고, 상기 제2 가스켓(138)은 제2 커버패널(134)에 형성된 삽입홈(134b)에 삽입된다. 각각의 삽입홈에 삽입된 부분의 반대편에는 대략 원통형 또는 타원형의 형태를 가지며, 대략 원통형 또는 타원형의 가스켓이 수직 차단벽체(110) 또는 지붕 차단벽체(120)에 밀착되어 기밀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The first gasket 136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32b formed in the first cover panel 132, and the second gasket 138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34b formed in the second cover panel 134. do. The opposite side of the portion inserted into each insertion groove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or elliptical shape, and a substantially cylindrical or elliptical gasket adheres to the vertical blocking wall 110 or the roof blocking wall 120 to ensure airtightness.

여기서, 상기 제1 가스켓(136)은 H빔이 설치되는 위치와 상기 H빔이 설치되지 않은 위치에 따라 그 형상이 다른 2중 가스켓 구조(136a)로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first gasket 136 may be formed of a double gasket structure 136a having a different shape depending on a location where the H-beam is installed and a location where the H-beam is not installed.

또한, 상기 지붕 차단벽체(120)와 터널의 벽면 사이에 상기 피난대피통로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상부 커버(140)가 설치된다. In addition, an upper cover 140 is installed between the roof blocking wall 120 and the wall surface of the tunnel to ensure airtightness of the evacuation passage.

상기 상부 커버(140)는 상기 지붕 차단벽체(120)의 외면에 설치되기 위한 제1 커버패널(142)과, 상기 제1 커버패널(142)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결합되고 상기 터널의 벽면에 설치되기 위한 제2 커버패널(144)과, 상기 제1 커버패널(142)과 지붕 차단벽체(120) 사이가 밀착되도록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1 가스켓(146)과, 상기 제2 커버패널(144)과 터널의 벽면 사이가 밀착되도록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2 가스켓(148)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cover 140 is coupled to the first cover panel 142 to b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of blocking wall 120 and the first cover panel 142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is attached to the wall of the tunnel. A second cover panel 144 to be installed, a first gasket 146 to ensure airtightness so that the first cover panel 142 and the roof blocking wall 120 come into close contact, and the second cover panel ( 144) and a second gasket 148 for ensuring airtightness so that the wall surface of the tunnel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이와 같은 상기 제1 커버패널(142)과 제2 커버패널(144)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1 커버패널과 제2 커버패널이 설치되는 터널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각도가 조절가능하도록 상호 분리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first cover panel 142 and the second cover panel 144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the angl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tunnel in which the first cover panel and the second cover panel are installed. It may also be configured in a mutually separated form so as to.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커버패널(142)과 제2 커버패널(144)이 각도가 조절가능하도록 상호 분리되는 형태로 가지며, 그 접하는 면에는 상기 제1 커버패널(142)과 제2 커버패널(144)을 결합시키며 회동가능하게 하는 홈과 돌기(144a)가 형성되어, 도 13에서의 화살표 방향으로 제2 커버패널(144)이 회동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ver panel 142 and the second cover panel 144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angle is adjustable, and the first cover panel 142 and the second cover panel ( 144) are formed with grooves and protrusions 144a that enable rotation, so that the second cover panel 144 can rotat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13.

물론, 상기 상부 커버(140) 역시 상기 홈이 제2 커버패널(144)에 형성되고, 돌기가 상기 제1 커버패널(142)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upper cover 140 has the groove formed on the second cover panel 144 and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first cover panel 142 .

한편, 본 발명에서는 터널에서 피난대피통로로 유입될 수 있는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환기수단으로 송풍팬(1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널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피난대피통로로 들어올 수 있는 배관이 더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blowing fan 150 may be included as a ventilation means for discharging polluted air that may flow into the evacuation passage from the tunnel to the outsid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pipe through which fresh air outside the tunnel can enter the evacuation passage.

상기 배관의 설치위치나 설치방법은 본 발명에서 특정하지는 않으며, 터널 시공 시 공지된 기술을 적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The installation location or installation method of the pipe is not spec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installed by applying a known technique during tunnel construction.

또한, 상기 송풍팬(150)의 구동은 터널 내에 화염, 연기 감지 후 가동되도록 하거나, 피난대피통로에 사람이 들어오는 것을 감지한 후 가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터널의 임의 위치에 화염, 연기 등을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거나, 피난대피통로에 사람의 출입을 감지하는 센서 등을 설치하고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송풍팬(150)을 가동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lowing fan 150 can be operated after detecting fire and smoke in the tunnel, or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after detecting a person entering the evacuation passage. To this end, a sensor for detecting flame, smoke, etc. is installed at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tunnel, or a sensor for detecting the entry and exit of a person is installed in an evacuation passage, and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blowing fan 150 according to the signal is installed. can be provide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피난대피통로의 외부에서도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하여, 위급한 상황에서 이를 쉽게 감지하여 대응할 수 있으며, 화재로 인한 연기나 유독가스가 대피통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밀성과 밀폐성을 확보하여, 사고처리가 종료되거나 화재가 진압되기까지 오랜 시간을 대피통로 내부에서 안전하게 지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ide can be seen even from the outside of the evacuation passage, so that it can be easily detected and responded to in an emergency situation, and confidentiality to prevent smoke or toxic gas due to fire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evacuation passage By securing over-tightness, it is effective to safely stay inside the evacuation passage for a long time until the accident process is completed or the fire is extinguish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터널 100: 피난대피통로 구조물
102: 출입문 110: 수직 차단벽체
112: 투명 패널 114: H빔
115: 제1 프레임 116: 제2 프레임
117, 118: 밀폐용 가스켓 120: 지붕 차단벽체
130: 측면 커버 132: 제1 커버패널
134: 제2 커버패널 136: 제1 가스켓
138: 제2 가스켓 140: 상부 커버
150: 환기수단
10: tunnel 100: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102: entrance door 110: vertical blocking wall
112: transparent panel 114: H beam
115: first frame 116: second frame
117, 118: sealing gasket 120: roof blocking wall
130: side cover 132: first cover panel
134: second cover panel 136: first gasket
138: second gasket 140: upper cover
150: ventilation means

Claims (11)

내부에 도로가 시공되는 터널의 일측에 피난대피통로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피난대피통로의 내부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난연성 투명 패널을 포함하여 설치되는 수직 차단벽체;
상기 수직 차단벽체의 상부와 터널의 벽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피난대피통로의 공간이 터널과 분리되도록 마감하는 지붕 차단벽체;
상기 수직 차단벽체의 일부 영역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입문;
상기 수직 차단벽체와 지붕 차단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피난대피통로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측면 커버;
상기 지붕 차단벽체와 터널의 벽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피난대피통로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상부 커버; 및
상기 피난대피통로 내부의 환기를 위한 환기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 차단벽체는, 구조물의 골격을 형성하는 H빔과, 상기 H빔의 '┌┐' 형태로 이루어지는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직사각형 단면형상의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일면에 형성되는 설치홈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분리형 제2 프레임과, 복수개의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투명한 재질의 난연성 투명 패널과, 상기 H빔과 제1 프레임 사이 또는 제2 프레임과 투명 패널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접하는 면에서의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밀폐용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커버는 상기 수직 차단벽체의 외면에 설치되기 위한 제1 커버패널과, 상기 제1 커버패널과 소정의 각도를 갖으며 상기 지붕 차단벽체의 외면에 설치되기 위한 제2 커버패널과, 상기 제1 커버패널과 수직 차단벽체 사이가 밀착되도록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1 가스켓과, 상기 제2 커버패널과 지붕 차단벽체 사이가 밀착되도록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2 가스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의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구조물.
A vertical blocking wall installed to provide a space for an evacuation passage on one side of a tunnel in which a road is constructed, and including a flame retardant transparent panel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inside of the evacuation passage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a roof blocking wall installed between an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blocking wall and a wall surface of the tunnel and closing the space of the evacuation passage to be separated from the tunnel;
at least one door installed in a partial region of the vertical blocking wall;
a side cover installed between the vertical blocking wall and the roof blocking wall to ensure airtightness of the evacuation passage;
an upper cover installed between the roof blocking wall and the wall of the tunnel to ensure airtightness of the evacuation passage; and
Ventilation means for ventilation inside the evacuation passage;
Including,
The vertical blocking wall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 beam forming the skeleton of the structure, a first frame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 shape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formed in the form of '┌┐' of the H beam, and the first frame A plurality of separable second frame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groove, a flame retardant transparent panel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nsta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frames, and at least one interposed between the H-beam and the first frame or between the second frame and the transparent panel. Including a gasket for sealing to improve the airtightness on the surface that is installed at least two,
The side cover includes a first cover panel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blocking wall, a second cover panel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cover panel and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of blocking wall, 1 Tunne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gasket to ensure airtightness so that the cover panel and the vertical blocking wall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second gasket to ensure airtightness so that the second cover panel and the roof blocking wall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 bulkhead-separated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 가스켓은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제2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제2 프레임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H빔 또는 투명 패널에 면접촉되도록 평평한 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의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gasket for sealing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rame or the second frame,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first frame or the second frame, and the other side faces the H beam or the transparent panel. A bulkhead separation type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of a tunne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 flat surface to be in contact.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패널과 제2 커버패널은 구조물이 설치되는 터널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각도가 조절가능하도록 상호 분리되며,
상기 제1 커버패널 또는 제2 커버패널 중 어느 하나의 접면에 길이방향으로 각도조절용 홈이 형성되고, 다른 면에는 상기 홈에 삽입되어 회동이 가능한 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의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ver panel and the second cover panel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angl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tunnel in which the structure is installed,
A groove for angle adjustment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of the contact surfaces of the first cover panel or the second cover panel, and the other surface is inserted into the groove to form a rotatable projection. escape route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스켓은 H빔이 설치되는 위치와 상기 H빔이 설치되지 않은 위치에 따라 그 형상이 다른 2중 가스켓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의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gasket has a double gasket structure having a different shape depending on the location where the H-beam is installed and the location where the H-beam is not install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지붕 차단벽체의 외면에 설치되기 위한 제1 커버패널과,
상기 제1 커버패널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결합되고 상기 터널의 벽면에 설치되기 위한 제2 커버패널과,
상기 제1 커버패널과 지붕 차단벽체 사이가 밀착되도록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1 가스켓과,
상기 제2 커버패널과 터널의 벽면 사이가 밀착되도록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2 가스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의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cover includes a first cover panel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of blocking wall;
A second cover panel coupled to the first cover panel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tunnel;
A first gasket for ensuring airtightness so that the first cover panel and the roof blocking wall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unnel separation type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gasket for securing airtightness so that the second cover panel and the wall surface of the tunnel are in close contact.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패널과 제2 커버패널은 구조물이 설치되는 터널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각도가 조절가능하도록 상호 분리되며,
상기 제1 커버패널 또는 제2 커버패널 중 어느 하나의 접면에 길이방향으로 각도조절용 홈이 형성되고, 다른 면에는 상기 홈에 삽입되어 회동이 가능한 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의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cover panel and the second cover panel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angl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tunnel in which the structure is installed,
A groove for angle adjustment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of the contact surfaces of the first cover panel or the second cover panel, and the other surface is inserted into the groove to form a rotatable projection. escape route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 패널은 유리, 방화유리, PC, PMMA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의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parent panel is a partition wall separation type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of the tunnel,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ny one of glass, fireproof glass, PC, PMM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기수단은 터널에서 피난대피통로로 유입될 수 있는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의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ventilation means comprises a blowing fan for discharging polluted air that may flow into the evacuation passage from the tunnel to the outsid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환기수단은 터널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피난대피통로로 들어올 수 있는 배관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의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0,
The ventilation means further comprises a pipe through which fresh air outside the tunnel can enter the evacuation passage.
KR1020220113642A 2022-09-07 2022-09-07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for Tunnel KR1024759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3642A KR102475984B1 (en) 2022-09-07 2022-09-07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for Tun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3642A KR102475984B1 (en) 2022-09-07 2022-09-07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for Tunn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5984B1 true KR102475984B1 (en) 2022-12-09

Family

ID=84440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3642A KR102475984B1 (en) 2022-09-07 2022-09-07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for Tun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598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521B1 (en) 2023-03-28 2023-06-15 주식회사 유승이피씨 Bulkhead separation type evacuation passa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510U (en) * 1992-02-13 1994-03-11 株式会社共成レンテム Panel joint fitting
KR101633071B1 (en) * 2014-08-05 2016-06-24 한국도로공사 The soundproof tunnel
JP2018009329A (en) * 2016-07-12 2018-01-18 旭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Inner structure of tunnel
KR102410766B1 (en) 2021-09-07 2022-06-22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A variable system formwork capable of construction of a bulkhead-separated escape passage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bulkheads using 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510U (en) * 1992-02-13 1994-03-11 株式会社共成レンテム Panel joint fitting
KR101633071B1 (en) * 2014-08-05 2016-06-24 한국도로공사 The soundproof tunnel
JP2018009329A (en) * 2016-07-12 2018-01-18 旭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Inner structure of tunnel
KR102410766B1 (en) 2021-09-07 2022-06-22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A variable system formwork capable of construction of a bulkhead-separated escape passage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bulkheads using 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521B1 (en) 2023-03-28 2023-06-15 주식회사 유승이피씨 Bulkhead separation type evacuation pass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5984B1 (en)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for Tunnel
ES2761677T3 (en) Modular building structure
KR102236488B1 (en) Evacuation structure of metrorail of deep underground space
KR101558991B1 (en) Tunnel for shelter path and vent path
US6330771B1 (en) Safer school module and assembly
KR101576614B1 (en) Fire door with Smoke cutoff structure
KR102477049B1 (en)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for Tunnel and Assembly Method thereof
JP5850235B2 (en) Evacuation building
Nedryshkin et al. Overview of fire curtains in construction
JPH0213614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ituting fireproof door in tunnel
GB520326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shelters
JP3707028B2 (en) Parking building
EP4290033A1 (en) A tubular smoke shaft section and a smoke shaft
JP6946028B2 (en) building
JP5369688B2 (en) Smoke shield layout design method
JPH0732634Y2 (en) Double tunnel segment
JP5338320B2 (en) Warning area classification method
US20240093458A1 (en) Shelter assembly
JP4349124B2 (en) Pressurized smoke prevention system
JP7186654B2 (en) How to install a bridge flame retardant device and a bridge flame retardant device
KR102520870B1 (en) non-welding type open joint panel assembly without horizontal panel frame
JP2018076740A (en) Collective housing
JP2017055888A (en) Structure
JPH1113178A (en) Variable structure of room
ES2744808T3 (en) Cutfire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