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7049B1 -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for Tunnel and Assembly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for Tunnel and Assembly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7049B1
KR102477049B1 KR1020220125947A KR20220125947A KR102477049B1 KR 102477049 B1 KR102477049 B1 KR 102477049B1 KR 1020220125947 A KR1020220125947 A KR 1020220125947A KR 20220125947 A KR20220125947 A KR 20220125947A KR 102477049 B1 KR102477049 B1 KR 102477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panel
tunnel
transparent
evacuation passag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59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봉용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건
Priority to KR1020220125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0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0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10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concrete cast in situ; Shuttering also lost shutterings, e.g. made of blocks, of metal plates or other equipment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21F1/003Ventilation of traffic tu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unnel partition-detachable evacuation passage firewall structure and an assembly method thereof. The in-tunnel partition-detachable evacuation passage firewall structure comprises: transparent blocking walls which are installed on one side of a tunnel, in which a road is constructed, to provide a space for an evacuation passage, and include a flame-retardant transparent panel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inside of the evacuation passage can be viewed from the outside; roof blocking walls which are installed between upper portions of the transparent blocking walls and the wall of the tunnel to finish the space for the evacuation passage so that the space is separated from the tunnel; at least one door which is installed in regions of the transparent blocking walls; and ventilation means which ventilate the inside of the evacuation passage. The transparent blocking walls are installed by a plurality of partitions arranging in lattice form. The partitions include: a transparent panel; and a frame module installed to be detachable from the transparent panel so that the transparent panel can be maintained. Therefore, the in-tunnel partition-detachable evacuation passage firewall structure allows the transparent blocking walls to be partially replaced and maintained when the transparent blocking walls installed in the tunnel are damaged, and can prevent a gap from occurring in the structure due to heat in case of a fire, thereby blocking toxic contaminants from entering the space.

Description

터널 내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방화벽 구조물 및 그 조립방법{Evacuation Passage Structure for Tunnel and Assembly Method thereof}Evacuation Passage Structure for Tunnel and Assembly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터널 내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방화벽 구조물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널 내 설치되는 투명 차단벽이 파손되었을 시 전체적으로 해체하지 않고 부분교체가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유지보수가 가능하고, 화재발생 시 열에 의해 구조물에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동대피공간으로 들어오는 유독성 오염물질을 차단할 수 있는 터널 내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방화벽 구조물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tition wall separation type evacuation passage firewall structure in a tunnel and a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It relates to a partition wall separation type evacuation passage firewall structure in a tunnel that can block toxic contaminants entering a mobile shelter space by preventing the formation of gaps in the structure due to heat in the event of a fire and a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일반적으로 터널이나 지하차도 내에서 사고나 화재 등이 발생하면 이차적인 사고를 유발할 수 있고, 사고로 인한 교통 혼잡에 따른 매연, 화재로 인한 화염과 연기 등으로 인해 유독가스에 쉽게 노출되므로 피난대피통로가 필요하다. In general, if an accident or fire occurs in a tunnel or underpass, it can cause a secondary accident, and it is easily exposed to toxic gases due to smoke from traffic congestion due to an accident and flame and smoke from a fire. is needed

특히, 터널의 길이가 장대화되고 있는 추세에서 터널 내에 사고나 화재 발생시에는 막대한 인명 피해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소방방재 시설 및 피난대피통로가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since the length of the tunnel is increasing, it can cause enormous human damage in the event of an accident or fire in the tunnel, so fire prevention facilities and evacuation routes to minimize human damage are urgently required.

이에, 도로터널 방재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국토교통부예규 제308호, 2020. 8. 31. 일부개정)에 따르면 터널 내에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를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Road Tunnel Disaster Prevention Facility Installation and Management Guidelines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Regulation No. 308, partially revised on August 31, 2020), it is stipulated to install a 'separated bulkhead evacuation passage' in the tunnel.

여기서,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는 터널 내에 터널과 격벽에 의해서 분리하여 화재연기 및 열을 차단할 수 있는 통로를 말한다.Here, 'bulk-separated evacuation passage' refers to a passage that can block fire smoke and heat by separating the tunnel and the bulkhead within the tunnel.

도 1은 종래의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를 도시한 것으로, 터널(1)의 차로 옆에는 격벽(2)이 시공되고, 격벽(2)에 의해 차로와 단절된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3)가 형성된다. 여기서, 격벽(2)은 수직부와 천정부를 구조로 하며 콘크리트로 시공된다.1 shows a conventional bulkhead-separated evacuation passage, and a bulkhead 2 is constructed next to the road of the tunnel 1, and a bulkhead-separated evacuation passage 3 disconnected from the road by the bulkhead 2 is formed. do. Here, the bulkhead 2 has a structure of a vertical part and a ceiling part and is constructed of concrete.

이와 같이, 종래의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는 콘크리트로 격벽(2)을 만들다 보니 화염이나 연기, 열의 차단은 가능하지만, 피난대피통로(3) 안에 있는 사람이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는 단점을 갖는다. As such, since the bulkhead 2 is made of concrete, the conventional bulkhead-separated evacuation passage can block flame, smoke, and heat, but has the disadvantage that people inside the evacuation passage 3 cannot be seen from the outside.

즉, 터널 내에 있는 사람이 피난대피통로(3) 안에 있는 사람을 볼 수 없으므로, 예컨대, 피난대피통로 내에서 사람이 쓰러져 있거나 위험에 처한 상황이 되더라도 피난대피통로 밖에서는 이를 인지할 수 없어서 위험에 처한 상황이 오래 지속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That is, since the person in the tunnel cannot see the person in the evacuation passage 3, for example, even if a person is down or in danger within the evacuation passage, it cannot be recognized outside the evacuation passage, so it is in danger. Since the situation we are in can last for a long time, countermeasures are required.

또한, 종래의 경우 화재가 발생하면 유독가스가 피난대피통로에 침투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재로 인한 유독가스가 대피통로에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막을 수 있도록 고온에서도 일정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는 밀폐성을 갖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In addition, in the prior art, since toxic gas can penetrate into the evacuation passage when a fire occurs, it has an airtightness that can be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ven at high temperatures so as to prevent the toxic gas from entering the evacuation passage as much as possible. It is very important.

한국등록특허 제10-2410766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41076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외부에서도 피난대피통로 내부의 사람들을 볼 수 있도록 하여, 위급한 상황에서 이를 쉽게 감지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투명형과 안전성을 확보한 난연재 투명 패널을 이용한 피난대피통로 방화벽 구조물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so that people inside the evacuation passage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so that they can easily detect and respond to them in emergency situations. A transparent flame retardant panel that secures safety and transparenc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used evacuation passage firewall structure and its assembly method.

또한, 터널 내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연기나 유독가스가 대피통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밀성과 밀폐성을 확보하여, 사고처리가 종료되거나 화재가 진압되기까지 오랜 시간을 대피통로 내부에서 안전하게 지낼 수 있도록 고온에서도 일정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는 밀폐성을 갖는 피난대피통로 방화벽 구조물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event of a fire in the tunnel, confidentiality and airtightness are secured to prevent smoke or toxic gas from entering the evacuation passage, so that a long time can be safely spent inside the evacuation passage until the accident process is completed or the fire is extinguished.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evacuation passage firewall structure and an assembly method having airtightness that can be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ven at high temperatures.

더 나아가, 터널 내 설치되는 투명 차단벽이 파손되었을 시 전체적으로 해체하지 않고 부분교체가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유지보수 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는 피난대피통로 방화벽 구조물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Furthermore, by having a structure that allows partial replacement without disassembly as a whole when the transparent barrier installed in the tunnel is damaged, an evacuation passageway firewall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maintained and significantly reduce maintenance costs and an assembly method thereof Its purpose is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도로가 시공되는 터널의 일측에 피난대피통로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피난대피통로의 내부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난연성 투명 패널을 포함하여 설치되는 투명 차단벽체와, 상기 투명 차단벽체의 상부와 터널의 벽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피난대피통로의 공간이 터널과 분리되도록 마감하는 지붕 차단벽체와, 상기 투명 차단벽체의 일부 영역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입문과, 상기 피난대피통로 내부의 환기를 위한 환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투명 차단벽체는 복수개의 격벽이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 설치되며, 상기 격벽은 투명 패널과, 상기 투명 패널의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상기 투명 패널에서 분리가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모듈을 포함하는 터널 내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방화벽 구조물이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provide a space for an evacuation passage on one side of a tunnel in which a road is constructed inside, and is transparent so that the inside of the evacuation passage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A transparent blocking wall installed including a flame retardant transparent panel of material, a roof blocking wall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transparent blocking wall and the wall of the tunnel and closing the space of the evacuation passage to be separated from the tunnel, and the transparent blocking wall It includes at least one door installed in a partial area of the wall and a ventilation means for ventilation inside the evacuation passage, wherein the transparent blocking wall is install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in a lattice form, and the partition walls are transparent panels. and a frame module detachably installed from the transparent panel to enable maintenance of the transparent pane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모듈은 상기 투명 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모듈과, 상기 투명 패널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모듈과, 상기 투명 패널의 측부에 설치되는 측부 프레임모듈로 이루어지며, 상기 투명 패널이 파손되었을 시 전체적으로 해체하지 않고 부분교체가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module is composed of an upper frame modul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transparent panel, a lower frame modul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transparent panel, and a side frame modul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transparent panel, When the transparent panel is damag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ucture in which partial replacement is possible without disassembling the whole.

상기 프레임모듈은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상기 투명 패널을 설치하기 위해 내측으로 움푹하게 형성된 'ㄱ'자 형상의 안착부가 구비되는 파이프 형상의 프레임 바디와, 상기 안착부에 설치되는 투명 패널을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투명 패널이 설치되는 공간을 두고 상기 안착부에 결합되는 분리형 클립과, 상기 분리형 클립을 상기 프레임 바디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와, 상기 투명 패널과 분리형 클립 사이의 틈새를 메우기 위한 방화 실리콘과, 상기 방화 실리콘을 화재의 열에 보호할 수 있도록 방화 실리콘의 표면에 덮이는 내열성 섬유와, 상기 내열성 섬유를 눌러주기 위한 누름캡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rame module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a pipe-shaped frame body provided with a 'L'-shaped seating part recessed inward to install the transparent panel at one corner, and installed on the seating part In order to fix the transparent panel, a detachable clip coupled to the seating part with a space in which the transparent panel is installed, a fastening member for fixing the detachable clip to the frame body, and a gap between the transparent panel and the detachable clip It may include a fire-resistant silicone for filling the fire-resistant silicon, a heat-resistant fiber covered on the surface of the fire-resistant silicone to protect the fire-resistant silicon from the heat of fire, and a pressing cap for pressing the heat-resistant fiber.

여기서,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분리형 클립이 삽입고정되는 고정 플렌지가 형성되고, 상기 분리형 클립에 내열성 섬유와 누름캡을 고정하기 위한 제2 체결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Here, a fixing flange into which the detachable clip is inserted and fixed is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and a second fastening member for fixing the heat-resistant fiber and the pressing cap to the detachable clip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프레임 바디는 상기 투명 패널이 삽입되는 공간의 측면에 상기 투명 패널과 접촉하여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투명 패널과 상기 프레임 바디 사이의 밀폐를 위한 가스켓이 설치될 수 있다. The frame body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transparent panel at a side of a space into which the transparent panel is inserted to improve bearing capacity, and a gasket for sealing between the transparent panel and the frame body may be installed.

한편, 상기 내열성 섬유는 아라미드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heat-resistant fi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ramid fiber.

또한, 상기 투명 패널은 강화접합유리, 방화유리, PC, PMMA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nsparent panel may be made of any one of tempered laminated glass, fireproof glass, PC, and PMMA.

상기 환기수단은 터널에서 피난대피통로로 유입될 수 있는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피난대피통로로 유입하기 위한 송풍팬을 포함한다. The ventilation means includes a blower fan for discharging polluted air that may flow into the evacuation passage from the tunnel to the outside or introducing fresh air from the outside into the evacuation passage.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터널 내 설치되는 투명 차단벽체의 프레임모듈을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 바디의 안착부에 투명 패널을 끼우는 단계와, 상기 안착부에 끼워진 투명 패널을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안착부에 형성된 고정 플렌지에 분리형 클립을 눌러 투명 패널을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형 클립을 상기 프레임 바디에 고정하도록 상기 분리형 클립과 프레임 바디를 체결부재로 체결하는 단계와, 상기 투명 패널과 분리형 클립 사이의 틈새를 메우기 위해 상기 투명 패널과 분리형 클립 사이에 방화 실리콘을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방화 실리콘을 화재의 열에 보호할 수 있도록 내열성 섬유로 상기 방화 실리콘의 상부를 덮는 단계와, 상기 내열성 섬유 위에 누름캡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단계로 진행되는 방화벽 구조물 조립방법이 제공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method of assembling a frame module of a transparent barrier wall installed in a tunnel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tep of inserting a transparent panel into the mounting portion of a frame body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fixing the transparent panel by pressing a detachable clip on a fixing flange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to fix the transparent panel inserted into the portion; fastening; filling the gap between the transparent panel and the detachable clip with fire-retardant silicone to fill the gap between the transparent panel and the detachable clip; and using a heat-resistant fiber to protect the fire-resistant silicone from the heat of fire. A method for assembling a firewall structure is provided, which includes the steps of covering the top of and fixing using a pressing cap on the heat-resistant fiber.

여기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프레임 바디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상기 투명 패널을 설치하기 위해 내측으로 움푹하게 형성된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리형 클립에 내열성 섬유와 누름캡을 고정하기 위한 제2 체결부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Here, the seating part is formed in an 'L' shape recessed inward to install the transparent panel at any one corner of the frame body, and a second part for fixing the heat-resistant fiber and the pressing cap to the detachable clip. A fastening member may be further install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터널의 피난대피통로의 차단벽체가 투명한 재질로 되어 있어서. 외부에서도 피난대피통로 내부의 사람들을 볼 수 있도록 하여, 위급한 상황에서 이를 쉽게 감지하여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blocking wall of the evacuation passage of the tunnel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t is possible to see people inside the evacuation passage from the outside, so that it can be easily detected and responded to in an emergency.

또한, 터널 내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연기나 유독가스가 대피통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밀성과 밀폐성을 확보하여, 사고처리가 종료되거나 화재가 진압되기까지 오랜 시간을 대피통로 내부에서 안전하게 지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event of a fire in the tunnel, confidentiality and airtightness are secured to prevent smoke or toxic gas from entering the evacuation passage, so that a long time can be safely spent inside the evacuation passage until the accident process is completed or the fire is extinguished. has the effect of

또한, 터널 내 설치되는 투명 차단벽이 파손되었을 시 전체적으로 해체하지 않고 부분교체가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유지보수 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having a structure that allows partial replacement without dismantling the entire tunnel when the transparent barrier wall installed in the tunnel is damaged, there is an effect that maintenance is easy and maintenance costs can be greatly reduced.

도 1은 종래의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구조물이 적용된 터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구조물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격벽을 도시한 (a)정면도, (b)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격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상부 프레임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부 프레임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측부 프레임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상부 프레임모듈과 하부 프레임모듈이 결합되는 부위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방화벽 구조물 조립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ulkhead-separated evacuation passage.
FIG. 2 is a view showing a tunnel to which a partition-separated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 front view showing a partition wall separation type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a front view, (b) a side view showing the partition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ition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upper fram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ower fram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de fram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where an upper frame module and a lower frame module are coupl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a method of assembling a firewall struc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by this will be described as at least one embodiment, where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r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구조물이 적용된 터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구조물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격벽을 도시한 (a)정면도, (b)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격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2 is a view showing a tunnel to which a partition wall separation type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a partition wall separation type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a front view and (b) a side view showing the partition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artition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구조물은 내부에 도로가 시공되는 터널(10)의 일측에 피난대피통로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피난대피통로의 내부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난연성 투명 패널(102)을 포함하여 설치되는 투명 차단벽체(100)와, 상기 투명 차단벽체(100)의 상부와 터널의 벽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피난대피통로의 공간이 터널과 분리되도록 마감하는 지붕 차단벽체(160)와, 상기 투명 차단벽체(100)의 일부 영역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입문(104)과, 상기 피난대피통로 내부의 환기를 위한 환기수단(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partition-separated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ace for an evacuation passage on one side of a tunnel 10 in which a road is constructed, and A transparent blocking wall 100 installed including a flame retardant transparent panel 102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inside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and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transparent blocking wall 100 and the wall of the tunnel to provide the evacuation passage A roof blocking wall 160 that closes the space of the tunnel to be separated from the tunnel, at least one door 104 installed in a part of the transparent blocking wall 100, and ventilation means for ventilation inside the evacuation passage (150).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서 콘크리트 격벽으로 이루어진 피난대피통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피난대피통로로 연기나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고자 기밀성과 밀폐성을 확보하는 구성을 갖는데 그 특징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olves the problem of the evacuation passage made of concrete bulkheads in the prior art, and has a configuration to secure airtightness and airtightness in order to prevent smoke or contaminated air from entering the evacuation passage as much as possible. have.

이를 위하여, 상기 투명 차단벽체(100)는 외부에서도 피난대피통로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 패널(102)을 이용하여 차단벽체(100)를 구성함으로써, 위험에 처한 상황을 피난대피통로 밖에서도 인지하여 위급상황 발생 시 이에 대해 대응할 수 있게 한다. To this end, the transparent blocking wall 100 constitutes the blocking wall 100 using a transparent panel 102 so that the inside of the evacuation passage can be seen even from the outside, thereby recognizing the dangerous situation even outside the evacuation passage To be able to respon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상기 투명 차단벽체(100)는 복수개의 격벽이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 설치되며, 상기 투명 패널(102)은 화재 시 이용자가 사고 인지를 할 수 있는 투명성과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화염 등에 강한 재질의 난연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투명 패널(102)은 강화접합유리, 방화유리, PC, PMMA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ransparent barrier wall 100 is install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in a lattice form, and the transparent panel 102 is made of a flame retardant material that is resistant to flames to ensure transparency and safety for users to recognize accidents in case of fire. made up of For example, the transparent panel 102 may be made of any one of tempered laminated glass, fireproof glass, PC, and PMMA.

본 발명에서, 상기 투명 차단벽체(100)는 H빔(140)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H빔(140)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각각의 H빔(140) 사이에 상기 투명 패널(102)를 설치하여 차단벽체를 구성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blocking wall 100 can form a skeleton of a structure using H beams 140, and the H beams 140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nd between each H beam 140. A blocking wall may be configured by installing the transparent panel 102 .

이 경우,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방향에는 H빔(140)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수평방향으로는 투명 패널(102)을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모듈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격벽이 격자형태로 배열되어 차단벽체를 구성함도 가능하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H beams 140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rame modules for installing the transparent panels 102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bulkhead is formed in a lattice form.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a blocking wall by being arranged as.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H빔(140)의 설치간격은 대략 2m 정도로 이루어지고, 수평방향으로는 1m 간격으로 프레임이 설치되어 대략 2×1m의 크기의 격자형태로 격벽이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명 패널(102)의 크기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H-beam 140 is approximately 2 m, and frames are installed at intervals of 1 m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partition walls are installed in the form of a grid having a size of approximately 2 × 1 m. Although shown to be, i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ize of the transparent panel 102 may be variously applied.

상기 격벽은 투명 패널(102)과, 상기 투명 패널의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상기 투명 패널에서 분리가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모듈(110)(120)(130)을 포함한다. The barrier rib includes a transparent panel 102 and frame modules 110, 120, and 130 detachably installed from the transparent panel to enable maintenance of the transparent pane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모듈은 상기 투명 패널(102)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모듈(110)과, 상기 투명 패널(102)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모듈(120)과, 상기 투명 패널의 측부에 설치되는 측부 프레임모듈(130)로 이루어진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module includes an upper frame module 110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ansparent panel 102, a lower frame module 120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transparent panel 102, and the transparent panel It consists of a side frame module 130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격벽(100)은 상기 투명 패널(102)이 파손되었을 시 전체적으로 해체하지 않고 파손이 발생한 투명 패널(102)의 부분교체가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프레임모듈(110)(120)(130)이 분리가 가능하여 투명 패널(102)의 유지보수가 가능하게 된다. The bulkhea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amaged transparent panel 102 can be partially replaced without disassembling the entirety when the transparent panel 102 is damaged. That is, since the frame modules 110, 120, and 130 can be separated, maintenance of the transparent panel 102 is possible.

도 6은 본 발명의 상부 프레임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하부 프레임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측부 프레임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서, 상부 프레임모듈과 하부 프레임모듈이 결합되는 부위의 단면도이다.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upper fram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ower fram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de fram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where the upper frame module and the lower frame module are coupled.

상기 상부 프레임모듈(110), 하부 프레임모듈(120) 및 측부 프레임모듈(130)은 투명 패널(102)이 끼워지는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투명 패널(102)이 끼워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더 나아가 터널 내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연기나 유독가스가 대피통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밀성과 밀폐성을 확보하는 구성을 갖는데 특징이 있다. The upper frame module 110, the lower frame module 120, and the side frame module 130 have spaces in which the transparent panel 102 is inserted, and the state in which the transparent panel 102 is inserted is stably fixed, Furthermore,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configuration that secures airtightness and airtightness to prevent smoke or toxic gas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evacuation passage in the event of a fire in the tunnel.

이를 위해, 상기 상부 프레임모듈(110), 하부 프레임모듈(120) 및 측부 프레임모듈(130)은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파이프 형상의 프레임 바디(112)(122)(132)와, 프레임모듈에 투명 패널(102)을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투명 패널이 설치되는 공간을 두고 상기 프레임 바디(112)(122)(132)에 결합되는 분리형 클립(114)(124)(134)을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upper frame module 110, the lower frame module 120, and the side frame module 130 are pipe-shaped frame bodies 112, 122, and 132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 and the frame module is transparent. In order to fix the panel 102, a detachable clip 114, 124, 134 coupled to the frame body 112, 122, 132 with a space where the transparent panel is installed is included.

본 발명에서, 상부 프레임모듈(110), 하부 프레임모듈(120) 및 측부 프레임모듈(130)은 그 구성요소가 동일하고, 프레임 바디의 형상에 있어서만 미차가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상부 프레임모듈(110)을 통해 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mponents of the upper frame module 110, the lower frame module 120, and the side frame module 130 are the same, and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only in the shape of the frame body, hereinafter, the upper frame module 110 ) to explain its composition.

상기 상부 프레임모듈(110)을 구성하는 프레임 바디(112)는 격벽의 두께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상기 투명 패널(102)을 설치하기 위해 내측으로 움푹하게 형성된 'ㄱ'자 형상의 안착부(112a)가 구비된다. The frame body 112 constituting the upper frame module 110 is made of a rectangular cross-section having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partition wall, and inward to install the transparent panel 102 at one corner. A recessed 'L' shaped seating portion 112a is provided.

상기 안착부(112a)에 투명 패널(102)이 설치되는 공간을 두고 상기 분리형 클립(114)이 결합되는데, 상기 안착부(112a)에는 상기 분리형 클립(114)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 플렌지가 형성된다. The detachable clip 114 is coupled to the seating portion 112a with a space where the transparent panel 102 is installed. is formed

상기 고정 플렌지는 분리형 클립(114)이 압박끼움이 가능하도록 분리형 클립(114)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112a)에서 소정높이로 돌출형성되는 2개의 플렌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xing flange is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detachable clip 114 so that the detachable clip 114 can be press-fitted, and may consist of two flanges protruding from the seating portion 112a to a predetermined height.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분리형 클립(114)을 상기 프레임 바디(112)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20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체결부재는 스크류가 적용될 수 있으며,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112a)의 고정 플렌지에 분리형 클립(114)을 끼운 후 분리형 클립(114)을 상기 프레임 바디(112)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체결부재(200)를 분리형 클립(114)과 안착부(112a)에 체결시킨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fastening member 200 for fixing the detachable clip 114 to the frame body 112 is further installed. A screw may be applied to the fastening member, and as shown in FIG. 9, after inserting the detachable clip 114 into the fixing flange of the seating part 112a, fixing the detachable clip 114 to the frame body 112 To this end, the fastening member 200 is fastened to the detachable clip 114 and the seating portion 112a.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투명 패널(102)과 분리형 클립(114) 사이의 틈새를 메우기 위한 방화 실리콘(116)이 구비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fireproof silicon 116 is provided to fill the gap between the transparent panel 102 and the detachable clip 114.

방화 실리콘(116)은 화재로 인해 대형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종 개구부를 효과적으로 밀폐시키도록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투명 패널(102)과 분리형 클립(114) 사이의 틈새에 방화 실리콘(116)을 도포하여 틈새를 메우므로, 터널 내 화재로 인한 연기나 유독가스가 대피통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reproof silicone 116 is used to effectively seal various openings in order to prevent large-scale accidents from occurring due to fire. (116) is applied to fill the gap, so smoke or toxic gas caused by a fire in the tunnel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evacuation passag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화 실리콘(116)을 화재의 열에 보호할 수 있도록 방화 실리콘의 표면에 덮이는 내열성 섬유(117)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further comprising a heat-resistant fiber 117 covered on the surface of the fire-resistant silicon to protect the fire-resistant silicon 116 from the heat of fire.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투명 패널(102)과 분리형 클립(114) 사이의 틈새를 메우도록 방화 실리콘(116)을 도포하고, 상기 방화 실리콘(116)을 화재의 열에 보호할 수 있도록 방화 실리콘의 표면에 내열성 섬유(117)를 덮어 상기 투명 패널(102)과 분리형 클립(114) 사이의 틈새를 이중으로 막는 구성을 갖는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e prevention silicone 116 is applied to fill the gap between the transparent panel 102 and the detachable clip 114, and the surface of the fire prevention silicone 116 can be protected from the heat of fire. The heat-resistant fiber 117 is covered to double-block the gap between the transparent panel 102 and the detachable clip 114.

통상, 옥외에서 화재시 650℃ 정도의 열기로 인하여 방화 실리콘이 열화점이 약하여 취약한 부분이 있으며, 본 발명은 방화 실리콘 표면 위에 내열성 섬유로 덮어주어 열에 약한 부분을 보안하는 방식의 프레임모듈이다.In general, in the case of an outdoor fire, there is a vulnerable part due to the weak deterioration point of the fireproof silicone due to the heat of about 650 ° C.

본 발명에서, 상기 내열성 섬유(117)는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resistant fiber 117 may be made of aramid fiber.

아라미드 섬유는 우수한 강도, 내충격성, 파단신도, 흡습성, 내산/염기성, 내열성 등이 특징인 섬유로서, 800℃ 이상의 열에도 견딜 수 있어 소방복 혹은 레이싱복 등 화염을 견뎌야 하는 분야에 사용되는 섬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투명 패널(102)과 분리형 클립(114) 사이의 틈새를 방화 실리콘(116)으로 메우고, 상기 방화 실리콘(116)의 표면에 아라미드 섬유(117)를 덮으면 화재로 인한 열 또는 화염으로부터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Aramid fiber is a fiber characterized by excellent strength, impact resistance, elongation at break, hygroscopicity, acid/base resistance, heat resistance, etc., and can withstand heat of 800 ° C or more, so it is used in fields such as firefighting suits or racing suits that need to withstand flames.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gap between the transparent panel 102 and the detachable clip 114 is filled with fireproof silicone 116 and the aramid fiber 117 is covered on the surface of the fireproof silicone 116, heat or It provides complete protection from fire.

또한, 상기 내열성 섬유(117)로 아라미드 섬유 외에 내고온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폴리이미드 섬유(PI Fiber) 또는 PBI(Polybenzimidazol) 섬유 등을 적용할 수 있다. 폴리이미드 섬유(PI Fiber)는 난연성, 산, 항산화 등의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제공하며 약 350°C까지 열적으로 안정적인 특성이 있다. In addition, as the heat-resistant fiber 117, in addition to aramid fiber, polyimide fiber (PI fiber) or polybenzimidazol (PBI) fiber having high temperature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may be used. Polyimide fiber (PI Fiber) provide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flame retardancy, acid and antioxidant properties, and is thermally stable up to about 350°C.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구조물은 화재발생시 고온으로 인한 금속재 및 유독가스 취약부분인 유입구 틈새에 방화 실리콘(116)을 사용하여 이동대피공간으로 들어오는 유독성 오염물질을 차단하며, 방화 실리콘(116) 위에 아라미드 섬유 등의 내열성 섬유(117)로 덮어 방화 실리콘을 열에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As such, the partition-separated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blocks toxic contaminants entering the mobile shelter space by using fireproof silicon 116 in the inlet gap, which is a vulnerable part of metal materials and toxic gases due to high temperature in the event of a fire, and fireproof silicon It has a function of protecting the fireproof silicone from heat by covering it with a heat-resistant fiber 117 such as aramid fiber on top of (116).

한편, 상기 내열성 섬유(117)를 눌러주기 위해 상기 내열성 섬유(117) 위에는 누름캡(118)이 더 설치되며, 상기 분리형 클립(114)에 내열성 섬유(117)와 누름캡(118)을 고정하기 위한 제2 체결부재(21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ss the heat-resistant fiber 117, a pressing cap 118 is further installed on the heat-resistant fiber 117, and to fix the heat-resistant fiber 117 and the pressing cap 118 to the detachable clip 114 A second fastening member 210 may be further included.

여기서, 상기 누름캡(118)이 상기 내열성 섬유(117)를 분리형 클립(114)에 고정시키는 고정력이 더 강화되도록 상기 내열성 섬유(117)가 사이에 끼워지는 분리형 클립(114)과 누름캡(118)의 접촉면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요철(凹凸)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detachable clip 114 and the pressing cap 118 in which the heat-resistant fiber 117 is interposed so that the holding force of the pressing cap 118 fixing the heat-resistant fiber 117 to the detachable clip 114 is further strengthene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tact surface of ) preferably has a concave-convex shape.

한편, 상기 프레임 바디(112)는 상기 투명 패널(102)이 삽입되는 공간의 측면, 즉, 상기 방화 실리콘(116)과 내열성 섬유(117)가 설치되는 면의 반대편에 상기 투명 패널(102)과 접촉하여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투명 패널(102)과 상기 프레임 바디(112) 사이의 밀폐를 위한 가스켓(113)이 설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rame body 112 has the transparent panel 102 and the transparent panel 102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pace where the transparent panel 102 is inserted, that is, the side where the fireproof silicone 116 and the heat-resistant fiber 117 are installed. A gasket 113 may be installed to improve bearing capacity by contacting and to seal between the transparent panel 102 and the frame body 112 .

상기 가스켓(113)은 일측이 상기 프레임 바디(112)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투명 패널(102)에 면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one side of the gasket 113 is inserted into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frame body 112 and the other side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transparent panel 102 .

상기 가스켓(113)의 형상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나, 상기 프레임 바디(112)과 투명 패널(102) 사이의 완벽한 밀폐가 이루어지어 연기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투명 패널(102)이 안착부(112a)에 삽입될 때 삽입방향으로 투명 패널(102)이 가스켓(113)을 밀어 넓은 면으로 면접촉이 가능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hape of the gasket 113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but the transparent panel 102 is seated in order to prevent smoke or the like from entering through perfect sealing between the frame body 112 and the transparent panel 102. When inserted into the portion 112a,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parent panel 102 pushes the gasket 113 in the insertion direction and has a shape capable of surface contact with a wide surface.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가스켓(113)이 투명 패널(102)과 접촉하여 투명 패널(102)을 지지하므로 투명 패널의 설치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투명 패널(102)과 상기 프레임 바디(112) 사이의 밀폐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asket 113 contacts the transparent panel 102 and supports the transparent panel 102, the installation of the transparent panel is performed more stably, and the transparent panel 102 and the frame body 112 The airtightness between them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상기 하부 프레임모듈(120) 및 측부 프레임모듈(130) 역시, 상부 프레임모듈(110)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Meanwhile, the lower frame module 120 and the side frame module 130 also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upper frame module 110 .

즉, 하부 프레임모듈(120)과 측부 프레임모듈(130)은 안착부(122a)(132a)가 구비되는 파이프 형상의 프레임 바디(122)(132)와, 상기 안착부(122a)(132a)에 결합되는 분리형 클립(124)(134)과, 상기 투명 패널(102)과 분리형 클립 사이의 틈새를 메우기 위한 방화 실리콘(126)(136)과, 상기 방화 실리콘(126)(136)을 화재의 열에 보호할 수 있도록 방화 실리콘의 표면에 덮이는 내열성 섬유(127)(137)와, 상기 내열성 섬유(127)(137)를 눌러주기 위한 누름캡(128)(138)을 포함한다. That is, the lower frame module 120 and the side frame module 130 are attached to the pipe-shaped frame bodies 122 and 132 provided with the mounting portions 122a and 132a and to the mounting portions 122a and 132a. The detachable clips 124 and 134 coupled to each other, the fireproof silicone 126 and 136 for filling the gap between the transparent panel 102 and the detachable clip, and the fireproof silicone 126 and 136 are resistant to the heat of fire. It includes heat-resistant fibers 127 and 137 covered on the surface of the fire-resistant silicone to protect it, and pressing caps 128 and 138 for pressing the heat-resistant fibers 127 and 137.

또한, 상기 분리형 클립(124)(134)을 상기 프레임 바디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200)와, 상기 분리형 클립에 내열성 섬유와 누름캡(128)(138)을 고정하기 위한 제2 체결부재(210)를 체결함으로써, 프레임모듈의 설치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fastening member 200 for fixing the detachable clips 124 and 134 to the frame body, and a second fastening member for fixing the heat-resistant fiber and the pressing caps 128 and 138 to the detachable clip ( 210), it is possible to firmly install the frame module.

이와 같은 상기 하부 프레임모듈(120)과 측부 프레임모듈(130)은 그 설치위치에 따라 프레임 바디(122)(132)의 외측 또는 내측에 플랜지(112b) 등이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상부 프레임모듈(110)과 하부 프레임모듈(120)이 상하방향으로 인접하게 결합되는 경우, 상기 플렌지로 인해 상부 프레임모듈(110)과 하부 프레임모듈(12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 상태로 상호 결합할 수 있다. The lower frame module 120 and the side frame module 130 may have flanges 112b or the like further installed on the outside or inside of the frame bodies 122 and 132 according to their installation positions, for example 9, when the upper frame module 110 and the lower frame module 120 are coupled adjacent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upper frame module 110 and the lower frame module 120 due to the flange. They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in one state.

한편, 본 발명에서는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피난대피통로로 유입하기 위한 환기수단으로 송풍팬(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150)은 터널이나 지하차도 공간에서 화재발생시 고온에서도 일정시간 동안 가역회전에 의한 비상운전으로 방재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시설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blowing fan 150 may be included as a ventilation means for discharging contaminated air to the outside or introducing fresh air from the outside into the evacuation passage. The blowing fan 150 is a facility that can perform a disaster prevention function by emergency operation by reversible rot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ven at a high temperature in the event of a fire in a tunnel or underpass space.

상기 송풍팬(150)의 구동은 터널 내에 화염, 연기 감지 후 가동되도록 하거나, 피난대피통로에 사람이 들어오는 것을 감지한 후 가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터널의 임의 위치에 화염, 연기 등을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거나, 피난대피통로에 사람의 출입을 감지하는 센서 등을 설치하고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송풍팬(150)을 가동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The blowing fan 150 can be operated after detecting fire or smoke in the tunnel, or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after detecting a person entering the evacuation passage. To this end, a sensor for detecting flame, smoke, etc. is installed at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tunnel, or a sensor for detecting the entry and exit of a person is installed in an evacuation passage, and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blowing fan 150 according to the signal is installed. can be provide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피난대피통로의 외부에서도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하여, 위급한 상황에서 이를 쉽게 감지하여 대응할 수 있으며, 화재로 인한 연기나 유독가스가 대피통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밀성과 밀폐성을 확보하여, 사고처리가 종료되거나 화재가 진압되기까지 오랜 시간을 대피통로 내부에서 안전하게 지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ide can be seen even from the outside of the evacuation passage, so that it can be easily detected and responded to in an emergency situation, and confidentiality to prevent smoke or toxic gas due to fire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evacuation passage By securing over-sealability, it is effective to safely stay inside the evacuation passage for a long time until the accident treatment is completed or the fire is extinguished.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방화벽 구조물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method of assembling the partition-separated evacuation passage firewal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10은 본 발명에서 방화벽 구조물 조립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하부 프레임모듈(120)에 투명 패널(102)을 설치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10 is a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a method of assembling a firewall struc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method of installing a transparent panel 102 to the lower frame module 120.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부 프레임모듈(120)에 투명 패널(102)을 설치하기 위해, 먼저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 바디(122)의 안착부(122a)에 투명 패널(102)을 끼운다. Referring to FIG. 10, in order to install the transparent panel 102 on the lower frame module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transparent panel 102 is attached to the mounting portion 122a of the frame body 122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 insert

이때, 상기 안착부(122a)에 형성된 패널 삽입공간에 투명 패널(102)을 끼우고, 상기 안착부에 끼워진 투명 패널(102)을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안착부(122a)에 형성된 고정 플렌지에 상기 분리형 클립(124)을 눌러 끼움으로써 상기 투명 패널의 위치를 고정한다(a).At this time, in order to insert the transparent panel 102 into the panel insertion space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122a and fix the transparent panel 102 inserted into the seating portion, the fixing flange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122a The position of the transparent panel is fixed by pressing and fitting the detachable clip 124 (a).

이후, 상기 분리형 클립(124)을 상기 프레임 바디(122)에 완전히 고정하도록 상기 분리형 클립(124)과 프레임 바디(122)를 체결부재(200)로 체결한다(b).Then, the detachable clip 124 and the frame body 122 are fastened with the fastening member 200 so that the detachable clip 124 is completely fixed to the frame body 122 (b).

이후, 상기 투명 패널과 분리형 클립 사이의 틈새를 메우기 위해 상기 투명 패널(102)과 분리형 클립(124) 사이에 방화 실리콘(126)을 충진한다. Thereafter, fireproof silicone 126 is filled between the transparent panel 102 and the detachable clip 124 to fill the gap between the transparent panel and the detachable clip.

이와 같이, 방화 실리콘(126)으로 투명 패널과 분리형 클립 사이의 틈새를 메운 후, 상기 방화 실리콘(126)을 화재의 열에 보호할 수 있도록 내열성 섬유(127)로 상기 방화 실리콘(126)의 상부를 덮는다(c). In this way, after filling the gap between the transparent panel and the detachable clip with the fireproof silicone 126, the top of the fireproof silicone 126 is covered with a heat-resistant fiber 127 to protect the fireproof silicone 126 from the heat of fire. cover (c).

이후, 상기 내열성 섬유(127) 위에 누름캡(128)을 이용하여 눌러줌으로써, 상기 내열성 섬유(127)를 고정한다(d). Thereafter, the heat-resistant fiber 127 is fixed by pressing the heat-resistant fiber 127 using the pressing cap 128 (d).

상기 분리형 클립(124)에 내열성 섬유(127)와 누름캡(128)을 고정하기 위해 제2 체결부재(210)를 체결한다(e). In order to fix the heat-resistant fiber 127 and the pressing cap 128 to the detachable clip 124, the second fastening member 210 is fastened (e).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제2 체결부재(210)와 체결부재(200)를 순서대로 풀어 상기 프레임 바디(122)에서 분리형 클립(124)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터널 내 설치되는 격벽이 파손되었을 시 전체적으로 해체하지 않고 파손이 발생한 투명 패널(102)을 교체하는 부분교체가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유지보수 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etachable clip 124 can be separated from the frame body 122 by releasing the second fastening member 210 and the fastening member 200 in order, when the partition wall installed in the tunnel is damaged By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partial replacement in which the damaged transparent panel 102 is replaced without disassembling it as a whole, maintenance cost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터널 100: 투명 차단벽체
102: 투명 패널 110: 상부 프레임모듈
112: 프레임 바디 112a: 안착부
114: 분리형 클립 116: 방화 실리콘
117: 내열성 섬유 118: 누름캡
120: 하부 프레임모듈 130: 측부 프레임모듈
150: 환기수단 200: 체결부재
210: 제2 체결부재
10: tunnel 100: transparent blocking wall
102: transparent panel 110: upper frame module
112: frame body 112a: seating part
114: detachable clip 116: fireproof silicone
117: heat-resistant fiber 118: pressing cap
120: lower frame module 130: side frame module
150: ventilation means 200: fastening member
210: second fastening member

Claims (10)

내부에 도로가 시공되는 터널의 일측에 피난대피통로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피난대피통로의 내부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난연성 투명 패널을 포함하여 설치되는 투명 차단벽체;
상기 투명 차단벽체의 상부와 터널의 벽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피난대피통로의 공간이 터널과 분리되도록 마감하는 지붕 차단벽체;
상기 투명 차단벽체의 일부 영역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입문; 및
상기 피난대피통로 내부의 환기를 위한 환기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투명 차단벽체는 복수개의 격벽이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 설치되며, 상기 격벽은 투명 패널과, 상기 투명 패널의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상기 투명 패널에서 분리가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모듈은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상기 투명 패널을 설치하기 위해 내측으로 움푹하게 형성된 'ㄱ'자 형상의 안착부가 구비되는 파이프 형상의 프레임 바디;
상기 안착부에 설치되는 투명 패널을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투명 패널이 설치되는 공간을 두고 상기 안착부에 결합되는 분리형 클립;
상기 분리형 클립을 상기 프레임 바디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
상기 투명 패널과 분리형 클립 사이의 틈새를 메우기 위한 방화 실리콘;
상기 방화 실리콘을 화재의 열에 보호할 수 있도록 방화 실리콘의 표면에 덮이는 내열성 섬유; 및
상기 내열성 섬유를 눌러주기 위한 누름캡;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방화벽 구조물.
A transparent blocking wall installed to provide a space for an evacuation passage on one side of a tunnel in which a road is constructed, and including a flame retardant transparent panel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inside of the evacuation passage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a roof blocking wall installed between an upper portion of the transparent blocking wall and a wall surface of the tunnel and closing the space of the evacuation passage to be separated from the tunnel;
at least one door installed in a partial area of the transparent blocking wall; and
Ventilation means for ventilation inside the evacuation passage;
Including,
The transparent barrier wall is installed with a plurality of barrier ribs arranged in a lattice form, the barrier rib includes a transparent panel, and a frame module detachably installed from the transparent panel to enable maintenance of the transparent panel,
The frame module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a pipe-shaped frame body provided with a 'L'-shaped seating part recessed inward to install the transparent panel at one corner;
In order to fix the transparent panel installed on the seating portion, a detachable clip coupled to the seating portion with a space where the transparent panel is installed;
a fastening member for fixing the detachable clip to the frame body;
Fireproof silicone for filling the gap between the transparent panel and the detachable clip;
Heat-resistant fibers covered on the surface of the fire-resistant silicone to protect the fire-resistant silicone from the heat of the fire; and
a pressing cap for pressing the heat-resistant fiber;
A partition wall separation type evacuation passage firewall structure in the tunne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모듈은 상기 투명 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모듈과,
상기 투명 패널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모듈과,
상기 투명 패널의 측부에 설치되는 측부 프레임모듈로 이루어지며,
상기 투명 패널이 파손되었을 시 전체적으로 해체하지 않고 부분교체가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방화벽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frame module includes an upper frame module installed on top of the transparent panel;
A lower frame module installed under the transparent panel;
It consists of a side frame modul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transparent panel,
A bulkhead-separated evacuation passage firewall structure in the tun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is capable of partial replacement without dismantling the whole when the transparent panel is damaged.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분리형 클립이 삽입고정되는 고정 플렌지가 형성되고, 상기 분리형 클립에 내열성 섬유와 누름캡을 고정하기 위한 제2 체결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방화벽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A fixed flange into which the detachable clip is inserted and fixed is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and a second fastening member for fixing the heat-resistant fiber and the pressing cap to the detachable clip is further included.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바디는 상기 투명 패널이 삽입되는 공간의 측면에 상기 투명 패널과 접촉하여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투명 패널과 상기 프레임 바디 사이의 밀폐를 위한 가스켓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방화벽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frame body is in contact with the transparent panel on the side of the space where the transparent panel is inserted to improve bearing capacity, and a gasket for sealing between the transparent panel and the frame body is installed. aisle firewall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 섬유는 아라미드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방화벽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resistant fiber is a barrier structure in the tun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aramid fi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 패널은 강화접합유리, 방화유리, PC, PMMA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방화벽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parent panel is a partition wall separation type evacuation passage firewall structure in the tunnel,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ny one of the materials of tempered laminated glass, fireproof glass, PC, PMM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기수단은 터널에서 피난대피통로로 유입될 수 있는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피난대피통로로 유입하기 위한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방화벽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ventilation means includes a blowing fan for discharging polluted air that may flow into the evacuation passage from the tunnel to the outside or introducing fresh air from the outside into the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터널 내 설치되는 투명 차단벽체의 프레임모듈을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 바디의 안착부에 투명 패널을 끼우는 단계;
상기 안착부에 끼워진 투명 패널을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안착부에 형성된 고정 플렌지에 분리형 클립을 눌러 투명 패널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분리형 클립을 상기 프레임 바디에 고정하도록 상기 분리형 클립과 프레임 바디를 체결부재로 체결하는 단계;
상기 투명 패널과 분리형 클립 사이의 틈새를 메우기 위해 상기 투명 패널과 분리형 클립 사이에 방화 실리콘을 충진하는 단계;
상기 방화 실리콘을 화재의 열에 보호할 수 있도록 내열성 섬유로 상기 방화 실리콘의 상부를 덮는 단계; 및
상기 내열성 섬유 위에 누름캡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단계;
로 진행되는 방화벽 구조물 조립방법.
In the method of assembling a frame module of a transparent blocking wall installed in a tunnel,
inserting a transparent panel into a mounting portion of a frame body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fixing the transparent panel by pressing a detachable clip on a fixing flange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to fix the transparent panel inserted into the seating portion;
fastening the detachable clip and the frame body with a fastening member to fix the detachable clip to the frame body;
filling a gap between the transparent panel and the detachable clip with fireproof silicone to fill a gap between the transparent panel and the detachable clip;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fire-resistant silicon with a heat-resistant fiber to protect the fire-resistant silicon from the heat of a fire; and
fixing using a pressing cap on the heat-resistant fiber;
A method of assembling a firewall structure in progress.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프레임 바디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상기 투명 패널을 설치하기 위해 내측으로 움푹하게 형성된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리형 클립에 내열성 섬유와 누름캡을 고정하기 위한 제2 체결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벽 구조물 조립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in an 'L' shape recessed inward to install the transparent panel at any one corner of the frame body,
A method for assembling a fire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fastening member for fixing the heat-resistant fiber and the pressing cap to the detachable clip is further installed.
KR1020220125947A 2022-10-04 2022-10-04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for Tunnel and Assembly Method thereof KR1024770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947A KR102477049B1 (en) 2022-10-04 2022-10-04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for Tunnel and Assembly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947A KR102477049B1 (en) 2022-10-04 2022-10-04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for Tunnel and Assembly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7049B1 true KR102477049B1 (en) 2022-12-13

Family

ID=84439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5947A KR102477049B1 (en) 2022-10-04 2022-10-04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for Tunnel and Assembly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04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521B1 (en) * 2023-03-28 2023-06-15 주식회사 유승이피씨 Bulkhead separation type evacuation passa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510U (en) * 1992-02-13 1994-03-11 株式会社共成レンテム Panel joint fitting
KR101633071B1 (en) * 2014-08-05 2016-06-24 한국도로공사 The soundproof tunnel
JP2018009329A (en) * 2016-07-12 2018-01-18 旭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Inner structure of tunnel
KR102410766B1 (en) 2021-09-07 2022-06-22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A variable system formwork capable of construction of a bulkhead-separated escape passage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bulkheads using 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510U (en) * 1992-02-13 1994-03-11 株式会社共成レンテム Panel joint fitting
KR101633071B1 (en) * 2014-08-05 2016-06-24 한국도로공사 The soundproof tunnel
JP2018009329A (en) * 2016-07-12 2018-01-18 旭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Inner structure of tunnel
KR102410766B1 (en) 2021-09-07 2022-06-22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A variable system formwork capable of construction of a bulkhead-separated escape passage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bulkheads using 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521B1 (en) * 2023-03-28 2023-06-15 주식회사 유승이피씨 Bulkhead separation type evacuation pass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7049B1 (en)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for Tunnel and Assembly Method thereof
KR101597891B1 (en) Water film forming fire protecting doorfram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20070204540A1 (en) Means and method for fireproof sealing between the peripheral edge of individual floors of a building and the exterior wall structure thereof
KR101558991B1 (en) Tunnel for shelter path and vent path
US20220251864A1 (en) Fragment-, overpressure-, radiation-, and toxic-resistant emergency safety shelter
JP2012225149A (en) Sash
KR102475984B1 (en) Evacuation Passage Structure for Tunnel
KR20180027912A (en) Non-Exposure Type Curtain Wall Unit
GB2067639A (en) Fire-resistant screens
JP2013147795A (en) Building for evacuation
KR20090110534A (en) Guide Structure for Fireproof Screen Shutter at Both Sides
JP2011236728A (en) Fire door with ventilation function
KR100399105B1 (en) Fire Proof Structure for Certain Wall
KR102664728B1 (en) Structure of window frame for supporting fireproof glass windows
KR102612545B1 (en) Fire spread blocking system to block fire spread in soundproof tunnel
JP3707028B2 (en) Parking building
JP5338320B2 (en) Warning area classification method
Watermeyer et al. The fire safety performance of internal and external walls in multi-storey buildings
Rini Applying Indonesia Regulation on Fire Protection System at WTC 1 Building in Jakarta through Fire Risk Assessment (FRA)
GB2493337A (en) Framework walkway
Mihály et al. An Experimental Study of Smoke Movement in a Pressurised Smoke-Free Staircase
KR100214091B1 (en) Sham exercise system for preventing calamity
JP2012097468A (en) Glass panel unit and curtain wall
ES2214103B1 (en) AUTONOMOUS SYSTEM FOR SMOKE AND HEAT EVACUATION IN INDUSTRIAL AND SIMILAR VESSELS.
CN210289549U (en) Smoke-proof, fire-proof and theft-proof safety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