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923B1 - 강관 절단 장치 - Google Patents

강관 절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923B1
KR102475923B1 KR1020210109431A KR20210109431A KR102475923B1 KR 102475923 B1 KR102475923 B1 KR 102475923B1 KR 1020210109431 A KR1020210109431 A KR 1020210109431A KR 20210109431 A KR20210109431 A KR 20210109431A KR 102475923 B1 KR102475923 B1 KR 102475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teel pipe
vertical
roller
vertic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문철
Original Assignee
최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문철 filed Critical 최문철
Priority to KR1020210109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9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 B23D45/1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with a circular saw blade for cutt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9/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rotary discs
    • B23D19/04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rotary discs having rotary shearing discs arranged in co-operating p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21/00Machines or devices for shearing or cutting tubes
    • B23D21/04Tube-severing machines with rotating tool-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 B23D33/02Arrangements for holding, guiding, and/or feeding work during the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관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구현한 강관 절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절단물인 강관을 체결하며, 절단 공정이 시작되면 상기 강관을 회전시키는 강관 회전부; 상기 강관 회전부의 전단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강관 회전부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상기 강관을 전단을 절단하는 제1 절단부; 상기 제1 절단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강관 회전부의 전단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강관 회전부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상기 강관을 전단을 절단하는 제2 절단부; 및 상기 강관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상기 강관 회전부의 후방으로 노출되는 상기 강관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관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강관 절단 장치{STEEL PIPE CUTTING DEVICE}
본 발명은 강관 절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관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구현한 강관 절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관은 상수도관, 하수도관, 농업 용수관, 가스관, 송유관 등 유체 수송 배관에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강관은 대부분 적절한 길이로 제작되어, 배관 시공 현 장에 운송된 후에 일렬로 배치한 상태에서 용접하는 방법으로 연결하여 시공하게 된다.
하지만, 배관 시공 과정에서 배관의 길이가 필요 이상으로 길 경우에는 시공 현장에서 직접 강관을 절단한 후에 배관 연결 시공을 해야하며, 배관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용접을 이용하여 다른 배관을 연결하여야 한다.
이때, 강관을 절단할 때는 절단면이 상호 연결할 부분과 일치되도록 정밀하게 절단하여야 한다. 이는 강관을 이용한 배관 시공은 강관과 강관 사이의 접합부를 용접하는 방법으로 상호 연결하는데, 상호 접합 부분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용접 불량이 발생하거나 배관 시공 후에도 응력 집중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배관 시공 과정뿐만 아니라 배관 시공 후에도 강관을 절단해야 할 경우가 발생된다. 즉, 배관 시공 후에 배관이 부분적으로 불량 또는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 이상 발생 부분 또는 인접한 부분을 절단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추후 강관 접속을 위해서는 정밀한 절단이 요구된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60826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강관을 180도 회전시키면서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구현한 강관 절단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 절단 장치는, 피절단물인 강관을 체결하며, 절단 공정이 시작되면 상기 강관을 회전시키는 강관 회전부; 상기 강관 회전부의 전단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강관 회전부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상기 강관을 전단을 절단하는 제1 절단부; 상기 제1 절단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강관 회전부의 전단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강관 회전부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상기 강관을 전단을 절단하는 제2 절단부; 및 상기 강관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상기 강관 회전부의 후방으로 노출되는 상기 강관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관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강관 지지부는, 상기 강관의 하측을 체결하는 하부 체결 유닛; 상기 하부 체결 유닛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강관의 상측을 체결하는 상부 체결 유닛; 및 상기 하부 체결 유닛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체결 유닛을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지지하는 지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체결 유닛은, 4 번 절곡 되어 형성되는 다각 하부 프레임;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다각 하부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강관의 하부가 안착되는 곡선형 하부 프레임; 상기 강관이 안착되는 상기 곡선형 하부 프레임의 내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곡선형 하부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되는 상기 강관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하부 지지 구체; 및 상기 다각 하부 프레임과 상기 곡선형 하부 프레임 사이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곡선형 하부 프레임을 상기 강관과 밀착시켜 주는 다수 개의 하부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체결 유닛은, 상기 다각 하부 프레임과 상하 대칭 구조로 형성되어 4 번 절곡 되어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다각 하부 프레임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다각 하부 프레임의 타단에 체결되는 다각 상부 프레임;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다각 상부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강관의 상부가 안착되는 곡선형 상부 프레임; 상기 강관이 안착되는 상기 곡선형 상부 프레임의 내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곡선형 상부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되는 상기 강관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 구체; 및 상기 다각 상부 프레임과 상기 곡선형 상부 프레임 사이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곡선형 상부 프레임을 상기 강관과 밀착시켜 주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 스프링; 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하부 체결 유닛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체결 유닛을 지지하며, 외측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는 상부 지지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에 상기 상부 지지대의 외측 나사산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상부 지지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대; 및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부 외측을 따라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기 하부 지지대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는 지지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다리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부 외측에 설치되는 다리 본체; 상기 다리 본체의 하부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다리 하부홈; 상기 다리 하부홈에 배치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지지 패드; 및 상기 지지 패드의 상측과 상기 다리 하부홈의 상측 사이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다리 본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다리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리 완충부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다리 하부홈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1 수평 지지대;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와 대향하면서 상기 지지 패드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2 수평 지지대; 상하 방향의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일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일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수직 지지대; 상하 방향의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타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타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수직 지지대; 및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를 지지하면서 설치되는 완충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모듈은,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를 지지하는 제1 지지 프레임;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를 지지하는 제2 지지 프레임;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를 지지하는 제3 지지 프레임;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를 지지하는 제4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1 수직 지지대보다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는 제1 지지 롤러;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2 수직 지지대보다 상기 제1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는 제2 지지 롤러; 상기 제3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1 수직 지지대보다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는 제3 지지 롤러; 상기 제4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2 수직 지지대보다 상기 제1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는 제4 지지 롤러; 상기 제4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1 수직 지지대보다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는 제1 경유 롤러;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1 지지 롤러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경유 롤러; 및 일단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지지 롤러, 상기 제2 지지 롤러, 상기 제3 지지 롤러, 상기 제4 지지 롤러, 상기 제1 경유 롤러 및 상기 제2 경유 롤러를 차례로 경유한 뒤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는 완충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은, 큐브 형상의 상기 제1 지지 롤러의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전단 및 후단에 배치되는 각 프레임에 좌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큐브 슬라이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큐브 슬라이딩 홈에는, 상기 제1 지지 롤러의 전단 및 후단을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큐브 지지 스프링이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수직 지지대는,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일측을 지지하는 상부 벽체; 상기 상부 벽체와 대향하면서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부에 상기 상부 벽체의 하부 안착되기 위한 벽체 안착홈이 형성되는 하부 벽체; 및 상기 벽체 안착홈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벽체의 하측을 지지하는 벽체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벨트는, 일단이 상기 제2 수직 지지대와 대향하는 상기 하부 벽체의 타측면을 관통하고 상기 벽체 안착홈으로 삽입된 뒤 상기 벽체 안착홈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상부 벽체의 하측에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벽체는, 상기 제2 수직 지지대와 대향하는 타측면에 상기 완충 벨트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완충 벨트를 상기 상부 벽체의 하측 방향으로 경유시켜 주기 위한 벨트 경유 롤러가 관통홀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벽체는, 상기 벨트 경유 롤러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벽체의 관통홀과 대향하는 타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롤러 배치홈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강관을 용이하게 절단함으로써, 강관 절단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 절단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강관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지지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다리 완충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제1 지지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5의 제1 수직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 절단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 절단 장치(10)는, 강관 회전부(100), 제1 절단부(200), 제2 절단부(3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관 지지부(400-1, 400-2)를 포함한다.
강관 회전부(100)는, 피절단물인 강관(P)을 체결하며, 제1 절단부(200)와 제2 절단부(300)에 의한 절단 공정이 시작되면 강관(P)을 회전시킨다.
제1 절단부(200)는, 강관 회전부(100)의 전단 일측에 설치되며, 강관 회전부(100)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강관(P)을 전단을 회전하는 회전날(210)을 이용하여 절단한다.
제2 절단부(300)는, 제1 절단부(200)와 대향하면서 강관 회전부(100)의 전단 타측에 설치되며, 강관 회전부(100)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강관(P)을 전단을 절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절단부(200)와 제2 절단부(300)는, 강관 회전부(100)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강관(P)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 설치되며, 절단 공정이 시작되면 강관(P) 방향으로 접근하면서 강관(P)을 절단할 수 있다.
강관 지지부(400-1, 400-2)는, 강관(P)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강관 회전부(100)의 후방으로 노출되는 강관(P)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 절단 장치(10)는, 다양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강관(P)을 용이하게 절단함으로써, 강관(P) 절단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강관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강관 지지부(400)는, 하부 체결 유닛(410), 상부 체결 유닛(420) 및 지지 유닛(430)을 포함한다.
하부 체결 유닛(410)은, 상부 체결 유닛(420)과 상하 대칭 구조로서, 일단이 상부 체결 유닛(420)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강관(P)의 하측을 체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체결 유닛(410)은, 다각 하부 프레임(411), 곡선형 하부 프레임(412), 다수 개의 하부 지지 구체(413) 및 다수 개의 하부 지지 스프링(414)을 포함할 수 있다.
다각 하부 프레임(4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번 절곡 되어 형성되며, 일단이 다각 상부 프레임(421)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411a)이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다각 상부 프레임(421)의 타단에 체결된다.
곡선형 하부 프레임(412)은,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하부 지지 스프링(414)에 의해 지지되어 다각 하부 프레임(411)의 내측에 배치되며, 강관(P)의 하부가 안착되며, 내측을 따라 하부 지지 구체(413)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된다.
하부 지지 구체(413)는, 강관(P)이 안착되는 곡선형 하부 프레임(412)의 내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곡선형 하부 프레임(412)의 내측에 안착되는 강관(P)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지지 구체(413)는, 안착되어 있는 강관(P)이 회전하는 경우 또는 전진, 후진 하는 경우 회전하면서 안정적으로 강관(P)을 지지할 수 있다.
하부 지지 스프링(414)은, 다각 하부 프레임(411)과 곡선형 하부 프레임(412) 사이를 따라 설치되어 곡선형 하부 프레임(412)을 강관(P)과 밀착시켜 준다.
상부 체결 유닛(420)은, 하부 체결 유닛(410)과 상하 대칭 구조로서, 하부 체결 유닛(410)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강관(P)의 상측을 체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체결 유닛(420)은, 다각 상부 프레임(421), 곡선형 상부 프레임(422), 다수 개의 상부 지지 구체(423) 및 다수 개의 상부 지지 스프링(424)을 포함할 수 있다.
다각 상부 프레임(421)은, 다각 하부 프레임(411)과 상하 대칭 구조로 형성되어 4 번 절곡 되어 형성되며, 일단이 다각 하부 프레임(411)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421a)이 다각 하부 프레임(411)의 타단에 체결된다.
이때, 다각 하부 프레임(411)과 다각 상부 프레임(421)의 타단은, 볼트(B)와 너트(N)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체결 될 수 있다.
곡선형 상부 프레임(422)은,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상부 지지 스프링(424)에 의해 지지되어 다각 상부 프레임(421)의 내측에 배치되며, 강관(P)의 상부가 안착되며, 내측을 따라 상부 지지 구체(423)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곡선형 상부 프레임(422)은, 상부 지지 구체(423)이 안착될 수 있도록 내측을 따라 구체 안착홈(42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지지 구체(423)는, 강관(P)이 안착되는 곡선형 상부 프레임(422)의 내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곡선형 상부 프레임(422)의 내측에 안착되는 강관(P)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지지 구체(423)는, 안착되어 있는 강관(P)이 회전하는 경우 또는 전진, 후진 하는 경우 회전하면서 안정적으로 강관(P)을 지지할 수 있다.
상부 지지 스프링(424)은, 다각 상부 프레임(421)과 곡선형 상부 프레임(422) 사이를 따라 설치되어 곡선형 상부 프레임(422)을 강관(P)과 밀착시켜 준다.
지지 유닛(430)은, 하부 체결 유닛(410)의 하측에 설치되어 하부 체결 유닛(410)을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강관 지지부(400)는, 강관(P)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강관(P)이 회전하는 경우 또는 전진, 후진 하는 경우 등과 같이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도 설치 위치의 변경 없이 강관(P)이 안정적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지지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 유닛(430)은, 상부 지지대(431), 하부 지지대(432), 및 지지 다리(433)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대(431)는, 하부 체결 유닛(410)의 하측에 설치되어 하부 체결 유닛(410)을 지지하며, 외측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며, 하부 지지대(432)의 내측으로 회전하면서 삽입된다.
하부 지지대(432)는,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에 상부 지지대(431)의 외측 나사산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부 지지대(431)를 지지하며, 하부 외측을 따라 지지 다리(433)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지지대(431)의 하부가 하부 지지대(432)로 삽입되면, 상부 지지대(431)와 하부 지지대(432)를 모두 관통하고 삽입되는 체결핀(432a)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지지 다리(433)는, 하부 지지대(432)의 하부 외측을 따라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며, 하부 지지대(432)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부 지지대(432)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다리(433)는, 다리 본체(4331), 다리 하부홈(4332), 지지 패드(4333) 및 다리 완충부(433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리 본체(4331)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 지지대(432)의 하부 외측에 설치되며, 하부를 따라 다리 하부홈(4332)이 형성된다.
다리 하부홈(4332)은, 지지 패드(4333)가 배치될 수 있도록 다리 본체(4331)의 하부를 따라 연장 형성된다.
지지 패드(4333)는, 다리 완충부(4334)에 의해 지지되어 다리 하부홈(4332)에 배치되어 바닥면에 안착된다.
다리 완충부(4334)는, 지지 패드(4333)의 상측과 다리 하부홈(4332)의 상측 사이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다리 본체(4331)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지 유닛(430)은, 하부 체결 유닛(410)의 설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면서 하부 체결 유닛(4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은 물론, 강관(P)의 움직임에 따라 하부 체결 유닛(41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강관(P)의 움직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다리 완충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완충부(500)는, 제1 수평 지지대(510), 제2 수평 지지대(520), 제1 수직 지지대(530), 제2 수직 지지대(540) 및 완충 모듈(550)을 포함한다.
제1 수평 지지대(510)는, 제2 수평 지지대(5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수직 지지대(530)와 제2 수직 지지대(540)에 의해 일측 및 타측이 지지되어 다리 하부홈(4332)의 상측을 지지한다.
제2 수평 지지대(520)는, 제1 수평 지지대(5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수평 지지대(510)와 대향하면서 지지 패드(4333)의 상측을 지지하며, 상부 일측 및 상부 타측에 제1 수직 지지대(530)와 제2 수직 지지대(540)가 직립되어 설치된다.
제1 수직 지지대(530)는, 상하 방향의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제2 수직 지지대(540)와 대향하면서 제1 수평 지지대(510)의 일측과 제2 수평 지지대(520)의 일측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수평 지지대(510)의 일측을 지지하며,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다리 본체(4331)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제2 수직 지지대(540)는, 상하 방향의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제1 수직 지지대(530)와 대향하면서 제1 수평 지지대(510)의 타측과 제2 수평 지지대(520)의 타측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수평 지지대(510)의 타측을 지지하며,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다리 본체(4331)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완충 모듈(550)은, 제1 수직 지지대(530)와 제2 수직 지지대(540) 사이를 지지하면서 설치되어 다리 본체(4331)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완충 모듈(550)은, 제1 지지 프레임(5501), 제2 지지 프레임(5502), 제3 지지 프레임(5503), 제4 지지 프레임(5504), 제1 지지 롤러(5505), 제2 지지 롤러(5506), 제3 지지 롤러(5507), 제4 지지 롤러(5508), 제1 경유 롤러(5509), 제2 경유 롤러(5510) 및 완충 벨트(55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프레임(5501)은,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5501a, 5501b)으로 이루어지며, 제1 수직 지지대(530)와 제2 수직 지지대(540) 사이를 지지하며, 제1 지지 롤러(5505)와 제2 경유 롤러(551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2 지지 프레임(5502)은,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으로 이루어지며, 제1 지지 프레임(5501)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제1 수직 지지대(530)와 제2 수직 지지대(540) 사이를 지지하며, 제2 지지 롤러(5506)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3 지지 프레임(5503)은,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으로 이루어지며, 제2 지지 프레임(5502)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제1 수직 지지대(530)와 제2 수직 지지대(540) 사이를 지지하며, 제3 지지 롤러(5507)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4 지지 프레임(5504)은,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으로 이루어지며, 제3 지지 프레임(5503)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제1 수직 지지대(530)와 제2 수직 지지대(540) 사이를 지지하며, 제4 지지 롤러(5508)와 제1 경유 롤러(5509)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1 지지 롤러(5505)는, 제1 지지 프레임(5501)에 연결 설치되되, 제1 수직 지지대(530)보다 제2 수직 지지대(540)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어 완충 벨트(5511)의 이동 방향을 제2 지지 롤러(5506) 방향으로 변경시킨다.
제2 지지 롤러(5506)는, 제2 지지 프레임(5502)에 연결 설치되되, 제2 수직 지지대(540)보다 제1 수직 지지대(530)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어 완충 벨트(5511)의 이동 방향을 제3 지지 롤러(5507) 방향으로 변경시킨다.
제3 지지 롤러(5507)는, 제3 지지 프레임(5503)에 연결 설치되되, 제1 수직 지지대(530)보다 제2 수직 지지대(540)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어 완충 벨트(5511)의 이동 방향을 제4 지지 롤러(5508) 방향으로 변경시킨다.
제4 지지 롤러(5508)는, 제4 지지 프레임(5504)에 연결 설치되되, 제2 수직 지지대(540)보다 제1 수직 지지대(530)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어 완충 벨트(5511)의 이동 방향을 제1 경유 롤러(5509) 방향으로 변경시킨다.
제1 경유 롤러(5509)는, 제4 지지 프레임(5504)에 연결 설치되되, 제1 수직 지지대(530)보다 제2 수직 지지대(540)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어 완충 벨트(5511)의 이동 방향을 제2 경유 롤러(5510) 방향으로 변경시킨다.
제2 경유 롤러(5510)는, 제1 지지 프레임(5501)에 연결 설치되되, 제1 지지 롤러(5505)와 제2 수직 지지대(540) 사이에 설치되어 제1 경유 롤러(5509)를 경유하고 전달되는 완충 벨트(5511)를 제2 수직 지지대(540)로 전달한다.
완충 벨트(5511)는, 일단이 제1 지지 프레임(5501)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1 지지 롤러(5505), 제2 지지 롤러(5506), 제3 지지 롤러(5507), 제4 지지 롤러(5508), 제1 경유 롤러(5509) 및 제2 경유 롤러(5510)를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하면서 차례로 경유한 뒤 제2 지지 프레임(5502)에 설치된다.
여기서, 완충 벨트(5511)는, 제1 지지 프레임(5501)과 제2 지지 프레임(5502)의 길이가 수축됨에 따라 일단 및 타단이 제1 지지 프레임(5501)과 제2 지지 프레임(5502) 방향으로 각각 잡아 당겨지는 동시에 제1 지지 롤러(5505), 제2 지지 롤러(5506), 제3 지지 롤러(5507)와 제4 지지 롤러(5508) 각각에 설치되는 완충 구조(즉, 큐브 슬라이딩 홈(5501c)과 큐브 지지 스프링(5501d) 등)를 통해 제1 수평 지지대(51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 프레임(5501)은, 큐브 형상의 제1 지지 롤러(5505)의 전단 및 후단(5505a)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전단 및 후단에 배치되는 각 프레임(5501a, 5501b)에 좌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큐브 슬라이딩 홈(5501c)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큐브 슬라이딩 홈(5501c)에는, 제1 지지 롤러(5505)의 전단 및 후단(5505a)을 제2 수직 지지대(540)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큐브 지지 스프링(5501d)이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큐브 슬라이딩 홈(5501c)과 큐브 지지 스프링(5501d)은, 제2 지지 롤러(5506), 제3 지지 롤러(5507) 및 제4 지지 롤러(5508)의 각 전단 및 후단이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 프레임(5502), 제3 지지 프레임(5503) 및 제4 지지 프레임(5504)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구조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완충부(500)는, 제1 지지 롤러(5505), 제2 지지 롤러(5506), 제3 지지 롤러(5507)와 제4 지지 롤러(5508)를 경유하고 안착되는 완충 벨트(5511)에 형성되는 장력을 제1 지지 롤러(5505), 제2 지지 롤러(5506), 제3 지지 롤러(5507)와 제4 지지 롤러(5508) 각각에 설치되는 완충 구조(즉, 큐브 슬라이딩 홈(5501c)과 큐브 지지 스프링(5501d) 등)를 통해 감쇄시켜 줌으로써, 제1 수평 지지대(51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5의 제1 수직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수직 지지대(530)는, 상부 벽체(531), 하부 벽체(532) 및 벽체 지지 스프링(533)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수직 지지대(540)는, 후술하는 제1 수직 지지대(530)와 대칭 구조로서 제1 수직 지지대(530)의 상부 벽체(531), 하부 벽체(532) 및 벽체 지지 스프링(533)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부 벽체(531)는, 제1 수평 지지대(510)의 일측을 지지하며, 벽체 안착홈(532a)으로 삽입되어 벽체 지지 스프링(533)에 의해 지지되며, 하측에 완충 벨트(5511)의 일단이 체결된다.
하부 벽체(532)는, 상부 벽체(531)와 대향하면서 제2 수평 지지대(52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부에 상부 벽체(531)의 하부 안착되기 위한 벽체 안착홈(532a)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완충 벨트(5511)는, 일단이 제2 수직 지지대(540)와 대향하는 하부 벽체(532)의 타측면을 관통하고 벽체 안착홈(532a)으로 삽입된 뒤 벽체 안착홈(532a)에 안착되어 있는 상부 벽체(531)의 하측에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벽체(532)는, 제2 수직 지지대(540)와 대향하는 타측면에 완충 벨트(5511)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532b)을 형성하고, 완충 벨트(5511)를 상부 벽체(531)의 하측 방향으로 경유시켜 주기 위한 벨트 경유 롤러(532c)가 관통홀(532b)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벽체(531)는, 벨트 경유 롤러(532b)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하부 벽체(532)의 관통홀(532b)과 대향하는 타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롤러 배치홈(531a)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벽체 지지 스프링(533)은, 벽체 안착홈(532a)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부 벽체(531)의 하측을 지지하면서 상부 벽체(531)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강관 절단 장치
100: 강관 회전부
200: 제1 절단부
300: 제2 절단부
400: 강관 지지부

Claims (11)

  1. 피절단물인 강관을 체결하며, 절단 공정이 시작되면 상기 강관을 회전시키는 강관 회전부;
    상기 강관 회전부의 전단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강관 회전부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상기 강관을 전단을 절단하는 제1 절단부;
    상기 제1 절단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강관 회전부의 전단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강관 회전부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상기 강관을 전단을 절단하는 제2 절단부; 및
    상기 강관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상기 강관 회전부의 후방으로 노출되는 상기 강관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관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강관 지지부는,
    상기 강관의 하측을 체결하는 하부 체결 유닛;
    상기 하부 체결 유닛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강관의 상측을 체결하는 상부 체결 유닛; 및
    상기 하부 체결 유닛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체결 유닛을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지지하는 지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하부 체결 유닛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체결 유닛을 지지하며, 외측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는 상부 지지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에 상기 상부 지지대의 외측 나사산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상부 지지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대; 및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부 외측을 따라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기 하부 지지대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는 지지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다리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부 외측에 설치되는 다리 본체;
    상기 다리 본체의 하부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다리 하부홈;
    상기 다리 하부홈에 배치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지지 패드; 및
    상기 지지 패드의 상측과 상기 다리 하부홈의 상측 사이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다리 본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다리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 완충부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다리 하부홈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1 수평 지지대;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와 대향하면서 상기 지지 패드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2 수평 지지대;
    상하 방향의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일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일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수직 지지대;
    상하 방향의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타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타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수직 지지대; 및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를 지지하면서 설치되는 완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 모듈은,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를 지지하는 제1 지지 프레임;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를 지지하는 제2 지지 프레임;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를 지지하는 제3 지지 프레임;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를 지지하는 제4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1 수직 지지대보다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는 제1 지지 롤러;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2 수직 지지대보다 상기 제1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는 제2 지지 롤러;
    상기 제3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1 수직 지지대보다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는 제3 지지 롤러;
    상기 제4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2 수직 지지대보다 상기 제1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는 제4 지지 롤러;
    상기 제4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1 수직 지지대보다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는 제1 경유 롤러;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1 지지 롤러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경유 롤러; 및
    일단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지지 롤러, 상기 제2 지지 롤러, 상기 제3 지지 롤러, 상기 제4 지지 롤러, 상기 제1 경유 롤러 및 상기 제2 경유 롤러를 차례로 경유한 뒤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는 완충 벨트;를 포함하는, 강관 절단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은,
    큐브 형상의 상기 제1 지지 롤러의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전단 및 후단에 배치되는 각 프레임에 좌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큐브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는, 강관 절단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큐브 슬라이딩 홈에는,
    상기 제1 지지 롤러의 전단 및 후단을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큐브 지지 스프링이 일측에 설치되는, 강관 절단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 지지대는,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일측을 지지하는 상부 벽체;
    상기 상부 벽체와 대향하면서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부에 상기 상부 벽체의 하부 안착되기 위한 벽체 안착홈이 형성되는 하부 벽체; 및
    상기 벽체 안착홈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벽체의 하측을 지지하는 벽체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강관 절단 장치.
KR1020210109431A 2021-08-19 2021-08-19 강관 절단 장치 KR102475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431A KR102475923B1 (ko) 2021-08-19 2021-08-19 강관 절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431A KR102475923B1 (ko) 2021-08-19 2021-08-19 강관 절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5923B1 true KR102475923B1 (ko) 2022-12-07

Family

ID=84441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431A KR102475923B1 (ko) 2021-08-19 2021-08-19 강관 절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59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035B1 (ko) * 2022-12-29 2023-06-22 지산스틸 주식회사 업소용 가스 스테인레스 파이프
CN117564502A (zh) * 2023-12-08 2024-02-20 佛山市艺祥机械有限公司 一种可移动的激光切割机及其使用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373U (ko) * 2010-01-18 2011-07-26 박종근 배관설비용 대형 강관 절단기
KR20140060826A (ko) 2012-11-12 2014-05-21 백찬 강관 절단 및 용접 장치
KR102135441B1 (ko) * 2020-04-29 2020-07-17 심규용 피검사물 검사용 거치대
CN211289009U (zh) * 2019-11-12 2020-08-18 中海安盟(北京)海事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管道支撑套件
KR102266519B1 (ko) * 2021-02-23 2021-06-18 김진은 절단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373U (ko) * 2010-01-18 2011-07-26 박종근 배관설비용 대형 강관 절단기
KR20140060826A (ko) 2012-11-12 2014-05-21 백찬 강관 절단 및 용접 장치
CN211289009U (zh) * 2019-11-12 2020-08-18 中海安盟(北京)海事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管道支撑套件
KR102135441B1 (ko) * 2020-04-29 2020-07-17 심규용 피검사물 검사용 거치대
KR102266519B1 (ko) * 2021-02-23 2021-06-18 김진은 절단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035B1 (ko) * 2022-12-29 2023-06-22 지산스틸 주식회사 업소용 가스 스테인레스 파이프
CN117564502A (zh) * 2023-12-08 2024-02-20 佛山市艺祥机械有限公司 一种可移动的激光切割机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5923B1 (ko) 강관 절단 장치
US4128219A (en) Aboveground sliding support assembly for a pipeline
KR101712803B1 (ko) 내진기능을 갖는 천장용 행거장치
KR102088442B1 (ko) 파이프 회전 장치
US7856765B1 (en) Seismic damper
JP5370998B2 (ja) 山側駅から谷側駅に個人を運び降ろすための設備
CN102300487B (zh) 用于家具的自稳定支撑组件
AU2016386003A1 (en) Adjustable support
JP2005342882A (ja) 地震保護車輪位置固定装置
AU2005315252B2 (en) Device for supporting pipes
KR101338731B1 (ko) 파이프 댐핑 장치
ES2343076T3 (es) Sistema de amortiguacion y nivelacion de vibraciones.
KR101744909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간격유지구
KR102071022B1 (ko)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102358417B1 (ko) 강관 적재 및 이송 장치
JP2009298413A (ja) 流体荷役装置支持構造
CN207634833U (zh) 一种石油管道用密封双接头连接装置
KR102415758B1 (ko) 임시 지지용 파이프 지지 장치
RU2624681C2 (ru) Сейсмостойкая неподвижная опора трубопровода,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катушки трубопровода с ростверком опоры трубопровода для сейсмостойкой неподвижной опоры трубопровода и продольное демпф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ейсмостойкой неподвижной опоры трубопровода
JP2003240162A (ja) 流水部材等の支持装置
CN103418981A (zh) 模拟焊接架
KR101905259B1 (ko) 보일러 지지대, 보일러 장치 및 선박
JP6207537B2 (ja) 天井用目地装置
KR20180003411U (ko) 배관 지지용 구조체
US20200229601A1 (en) Overturn preven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