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492B1 -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상하수관 부분보수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분보수 공법 - Google Patents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상하수관 부분보수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분보수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492B1
KR102475492B1 KR1020220074049A KR20220074049A KR102475492B1 KR 102475492 B1 KR102475492 B1 KR 102475492B1 KR 1020220074049 A KR1020220074049 A KR 1020220074049A KR 20220074049 A KR20220074049 A KR 20220074049A KR 102475492 B1 KR102475492 B1 KR 102475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urethane resin
adhesive composi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4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엘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엘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엘케이
Priority to KR1020220074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4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1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10Presence of inorganic materials
    • C09J2400/12Ceram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9/00Presence of polyvinyl alcoho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경화제 5 내지 3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3 내지 20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 2 내지 10중량부; 반응석 희석제 2 내지 15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1 내지 5중량부; 구아검 1 내지 5중량부; 증점제 1 내지 5중량부; 부착증진제 1 내지 5중량부; 박리방지제 5 내지 15중량부; 산화방지제 1 내지 5중량부; 및 변형방지제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상하수관 부분보수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분보수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 특정적으로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상하수관 부분보수용 접착제 조성물은 신속히 경화되면서도 우수한 접착강도 및 유연성을 가지므로 상하수관의 손상부위를 보수하기 위한 보수장치 등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상하수관 부분보수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분보수 공법{Adhesive Composition for Partially Repairing Sewer Pipe Comprising Urethane Resin and Repairing Methods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상하수관 부분보수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분보수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수관의 부분적인 손상부위를 보수하기 위한 패커 등의 보수장치에 적용하기 위하여 우수한 접착강도, 유연성 및 짧은 경화시간을 갖는 상하수관 부분보수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분보수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구상에 존재하는 물의 양은 약 13억㎦ 로 추정되며, 이러한 물은 바다, 강, 호수, 하천 등의 형태를 이루어 지구 표면의 약 71%를 덮고 있고, 지표 아래인 지층 속에도 상당량의 지하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우리 인류도 70% 가량의 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든 생물체는 상당량의 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으므로 물은 우리 인류와 생물체가 살아가는데 있어서 매우 소중한 자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없어서는 안 되는 맑고 깨끗한 물을 사용하기 위하여 또는 사용한 물의 하수를 위해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상수관과 하수관을 지하에 매설하여 각 가정을 포함한 아파트, 빌딩, 병원, 공장과 같은 산업현장 등지의 수많은 곳에 보내거나 하수로 배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수관 시설물의 설치 불량 및 파손 등의 노후로 인하여 우리의 소중한 식수원이 누수로 손실되고 있으며, 부식으로 인한 녹이 발생하여 수돗물이 오염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노후관에서 발생하는 누수 손실량은 연 10억톤으로 추정되며, 총 생산량의 20% 가까이에 육박하는 것으로서, 경제적인 손실액도 연간 5천억원에 이르며, 경제적인 손실을 떠나서 우리 인류의 소중한 식수원이 점점 고갈되어 간다는 점에서 매우 안타까운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생활하수 및 분뇨 또는 각종 축산폐수 및 산업폐수가 포함된 오/폐수가 배출되는 하수관의 경우에도 매설기간이 장기화되면 노후화로 인한 이음부 불량 및 파손 등으로 인해 생활하수 및 산업폐수가 다량 유출되면서 하천과 강 및 토양을 심하게 오염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수관과 하수관은 노후화로 인한 파손이 심각하게 진행된 경우는 노후된 상하수관 시설을 굴착하여 새것으로 교체해 주어야 하지만, 이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교체비용이 많이 요구되므로 균열 등의 노후화가 진행되었을 때 상하수관을 즉시 보수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기존의 재래식 굴착 보수공법은 공사기간이 오래 걸리고, 교통체증을 유발하며, 지반 침하 등으로 인한 건물손실 등 사회적 간접 손실이 많게 된다.
최근 들어, 상기 상하수관 보수공법으로서, 땅을 파지 않고 크랙 등이 발생된 노후 매설관로 속에 보강튜브를 삽입시켜 상하수관 속에 새로운 복합관을 형성시키는 비굴착 상하수관 보수공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비굴착 상하수관 보수공법은 상/하수 관로 설비의 수밀성이 부족하거나 크랙, 파손 등으로부터 침입수나 누수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행하여지는 기술로서, 주입공법이나 링크공법 및 쿠킹공법 등이 있으며, 기설관의 파손, 크랙 등의 결함을 관내면으로부터 보강하는 공법으로는 형성공법, 반전공법, 라이너공법 등이 있다.
또한 기설관의 강도가 파손, 부식, 마모 등에 의해 극도로 저하되거나 상하수관이 변형 및 단면 부족에 의해 상ㆍ하수의 유수 능력이 저하되었을 때 새로운 관을 투입하여 교환하더라도 상ㆍ하수도로서의 역할이 부족할 경우 그 기능을 복구할 목적으로 행하여지는 갱생공법, 개축유지공법 등이 있다.
상기 공법 중 기설관을 교환하지 않고 섬유질의 재료인 부직포에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함침하여 만든 튜브를 기설관 내면에 수압 및 공기압으로 반전 투입한 다음 관내에 가압, 가열 등으로 경화시켜 기설관을 포함 재생할 목적으로 행하여지는 갱생관 공법의 경우 에폭시 수지 조성물로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냄새가 심하고, 내 알카리성이 떨어지며, 경화시에 수축이 크고 크랙이 발생되면서 접착력이 떨어지는 단점과 점도가 높은 것을 사용해야 하므로 함침속도가 느리며, 함침 효과가 약하여 물성 저하 및 성형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일례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8-0007198호에는 비굴착 상하수관의 내면을 보수 및 보강하기 위해 필름지가 한쪽면에 부착된 부직포에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함침시켜서 튜브를 구성할 때 상기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비스페놀-F 와 에피클로로히드린의 반응 생성물인 에폭시 수지 70~80(중량)%; 알킬화 페놀 및 포름알테히드로부터 제조된 페놀 노블락 수지20~30(중량)%, 지방족 변성 아민형 경화제로 사용한 비굴착 상.하수관 보강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결함이 발생된 상하수관을 복구하기 위한 공법으로서, 사용자는 그 손상부위의 특성 및 주위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는바, 이러한 일례로서, 관의 직경이 200~700㎜의 비교적 작은 하수관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상하수관 내부로 들어갈 수 없기 때문에 그라우팅(grouting) 또는 라이닝(lining) 공법 등이 채택된다.
이 중에서 라이닝 공법은 손상 부위의 손상 정도가 심해 보강기능이 필요한 경우 예컨대, 관로의 손상 부위가 넓게 분포되어 있거나 관로의 내경 전체를 둘러가면서 손상 부위가 형성되어 그라우팅 작업이 불가능한 경우에 별도의 라이닝재를 관로의 내측벽에 라이닝 하여 넓은 범위에 걸쳐 있는 손상 부위를 일시에 보강하는 공법이다.
상기 라이닝 공법은 상하수관로 부분 보수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수장치는 통상적으로 속이 빈 프레임의 외주면에 패커를 씌우고 패커 둘레에 보수재인 라이닝재를 둘러싼 후, 압축공기를 주입관을 통하여 패커에 주입하여 패커를 팽창시킴으로써 라이닝재를 하수관로의 내주면에 접착시킨다.
여기서, 상기 패커는 그 중앙부가 양단부에 비하여 압축공기에 의하여 많이 팽창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상하수관의 부분적인 손상부위를 보수하기 위한 패커 등의 보수장치에 적용하기 위하여 우수한 접착강도, 유연성 및 짧은 경화시간을 갖는 상하수관 부분보수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분보수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경화제 5 내지 3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3 내지 20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 2 내지 10중량부;
반응석 희석제 2 내지 15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1 내지 5중량부;
구아검 1 내지 5중량부;
증점제 1 내지 5중량부;
부착증진제 1 내지 5중량부;
박리방지제 5 내지 15중량부;
산화방지제 1 내지 5중량부; 및
변형방지제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상하수관 부분보수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수하고자 하는 관의 내부 파손 부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단계;
상기 보수하고자 하는 관의 내부로 삽입하여 보수하는 보수기와 보수기에 착용되는 보수재의 양면에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경화제 5 내지 3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3 내지 20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 2 내지 10중량부, 반응석 희석제 2 내지 15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1 내지 5중량부, 구아검 1 내지 5중량부, 증점제 1 내지 5중량부, 부착증진제 1 내지 5중량부, 박리방지제 5 내지 15중량부, 산화방지제 1 내지 5중량부, 및 변형방지제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상하수관 부분보수용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한 후 접착제 조성물이 도포된 보수재를 보수기에 착용하는 보수기 준비단계;
상기 보수기 준비단계가 종료된 후 보수기를 보수하고자 하는 관의 내부 파손 부위로 이동시키는 보수기 이동단계;
상기 보수기 이동단계가 종료된 후 보수기에 공기를 주입하여 파손부위에 보수재를 부착한 뒤 경화시키는 경화단계; 및
상기 보수기에 주입된 공기를 제거한 뒤 보수기를 보수하고자 하는 관의 내부로부터 회수하는 보수기 회수단계를 포함하는 상하수관 부분보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 특정적으로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상하수관 부분보수용 접착제 조성물은 신속히 경화되면서도 우수한 접착강도 및 유연성을 가지므로 상하수관의 손상부위를 보수하기 위한 보수장치 등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 가지 관점에서, 본 발명은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경화제 5 내지 3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3 내지 20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 2 내지 10중량부; 반응석 희석제 2 내지 15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1 내지 5중량부; 구아검 1 내지 5중량부; 증점제 1 내지 5중량부; 부착증진제 1 내지 5중량부; 박리방지제 5 내지 15중량부; 산화방지제 1 내지 5중량부; 및 변형방지제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상하수관 부분보수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보수하고자 하는 관의 내부 파손 부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단계; 상기 보수하고자 하는 관의 내부로 삽입하여 보수하는 보수기와 보수기에 착용되는 보수재의 양면에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경화제 5 내지 3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3 내지 20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 2 내지 10중량부, 반응석 희석제 2 내지 15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1 내지 5중량부, 구아검 1 내지 5중량부, 증점제 1 내지 5중량부, 부착증진제 1 내지 5중량부, 박리방지제 5 내지 15중량부, 산화방지제 1 내지 5중량부, 및 변형방지제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상하수관 부분보수용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한 후 접착제 조성물이 도포된 보수재를 보수기에 착용하는 보수기 준비단계; 상기 보수기 준비단계가 종료된 후 보수기를 보수하고자 하는 관의 내부 파손 부위로 이동시키는 보수기 이동단계; 상기 보수기 이동단계가 종료된 후 보수기에 공기를 주입하여 파손부위에 보수재를 부착한 뒤 경화시키는 경화단계; 및 상기 보수기에 주입된 공기를 제거한 뒤 보수기를 보수하고자 하는 관의 내부로부터 회수하는 보수기 회수단계를 포함하는 상하수관 부분보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 특정적으로 상하수관 부분보수용 접착제 조성물, 보다 특정적으로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상하수관 부분보수용 접착제 조성물은 상하수관의 파손부위에 보수재를 접착시켜 상하수관을 부분적으로 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제 조성물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상하수관의 파손부위로 삽입시켜 보수하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보수기, 예를 들면 공기를 주입하여 부풀어 오름으로써 파손부위에 보수재를 접착할 수 있도록 하는 패커(Packer)에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커에 적용되는 보수재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보수재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추천하기로는 유리섬유, PVC 시트, 및/또는 섬유 직조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우레탄 수지는 조성물의 접착성, 내수성, 내화학성 및/또는 내부착성 등을 향상시키기는 동시에 접착제 조성물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우레탄 수지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우레탄 수지 외 나머지 성분의 함량은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화제는 상하수관 부분보수용 접착제 조성물을 신속히 경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경화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바람직한 경화제로는 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민, N-부틸디에탄올아민, 2-디이소프로필아미노에틸아민, 3-디메틸아미노-1-프로필아민, 파라 톨루엔 설포닉산[PTSA(Para Toluene Solfonic Acid)], 페놀술폰산, t-부틸페록식 벤조에이트(tert-Butylperoxy benzoate, TBPB), 무수프탈산(Phthalic acid anhydride), 방향족 폴리아민, 비스-(4-t -부틸사이클로헥산)페록시디카보네이트, 폴리메르캅탄(Polymercaptan)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3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세라믹 입자는 접착제 조성물, 특정적으로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상하수관 부분보수용 접착제 조성물의 양생 중에 표면으로 부상하여 치밀하고 경도가 높은 표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수증기와 기타 기체, 액체의 투과를 방지함은 물론, 내습성, 내구성, 내후성, 내충격성 및/또는 내약품성이 향상된다.
상기 나노세라믹 입자의 사용량은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3 내지 20중량부인 것이 좋다.
바람직한 나노세라믹 입자는 실리콘카바이드, 알루미나, 실리카, 지르코니아-실리카, ZnO, TiO2 및/또는 CaCO3가 포함된다.
이들 세라믹입자는 평균 입경이 나노미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한데, 구체적으로 상기 실리콘카바이드의 평균 입경은 300 내지 500nm, 상기 알루미나의 평균 입경은 500 내지 1000nm, 상기 실리카의 평균 입경은 700 내지 1500nm, 상기 지르코니아-실리카의 평균 입경은 500 내지 1000nm, 상기 ZnO의 평균 입경은 500 내지 1000nm, 상기 TiO2의 평균 입경은 100 내지 300nm, 그리고 CaCO3의 평균 입경은 500 내지 10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에서도 실리콘카바이드는 천연광물로 존재하지 않으므로 인공적으로 합성하며, 고온에서의 화학적 안정성 및 내식성이 뛰어나고 높은 경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비닐 알코올은 부분보수용 접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구성성분의 분산성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초기의 끈적임 정도(tacky property)도 증가되어 초기접착력을 개선함으로써 들뜸 현상, 뒤틀림 등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폴리비닐 알코올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폴리비닐 알코올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인 기공을 0.05 내지 0.4cc/g의 범위로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분말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바람직한 폴리비닐 알코올의 사용량은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2 내지 10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응성 희석제는 접착제 조성물에 가소성을 부여하거나 가시시간(Pot-life)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반응성 희석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1, 4-부타디올 디글리시딜 에스터(1,4-Butanediol diglycidyl ester),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 에스터(Ethyleneglycol diglycidyl ester), 1,6-헥사디올 디글리시딜 에스터(1.6-Hexanediol diglycidyl ester), 네오펜틸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스터(Neopentyl glycol diglycidyl ester),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지만, 추천하기로는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2 내지 15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옥틸트리에톡시실란은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상하수관 부분보수용 접착제 조성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옥틸트리에톡시실란은 단량체 형태로 사용 가능하며, 상기 단량체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450Da인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아검은 수용성 고분자 물질인 천연수지로서, 그 사용량은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이때, 상기 구아검은 수화반응에 의한 팽창 및 탈수에 의한 수축작용과, 조성물의 수화반응에 의한 고화시 팽창작용과의 상호작용으로 공극이 발생하며, 이러한 공극과 천연수지인 구아검 고유의 탄성력에 의해 충격흡수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증점제는 접착제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여 조성물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증점제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아크릴산, 하이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즈(HydroxyEthyl Cellulose), 소수성 우레탄변성계 증점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바람직한 증점제의 사용량은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증진제는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부착되는 부착면 및/또는 접착대상물, 예를 들면 보수재 등이 보다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사용량은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인 것이 좋다.
바람직한 부착증진제로는 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로일 포스페이트, 하이드록시 에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박리방지제는 접착제 조성물이 부착면 및/또는 접착제 조성물이 도포되는 보수재 등으로부터 쉽게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박리방지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인산계, 아민계, 또는 인산 에스테르계 박리방지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특정적으로, 상기 박리방지제는 액상형으로 비중이 1.0 이상이고 60℃ 점도가 110 cPs인 폴리인산계 박리방지제; 산가가 10 ㎎KOH/g 이하이고, 총 아민가가 140 내지 400㎎HCl/g인 아민계 박리방지제일 수 있다.
바람직한 박리방지제의 사용량은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15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화방지제는 접착제 조성물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한 산화방지제는 아민계, 비스페놀계, 모노페놀계 및 유황계 산화방지제가 사용될 수 있고, 그 사용량은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인 것이 좋다.
특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산화방지제는 고온에서 가공이 이루어질 경우 저분자형 고분자형 페놀계 산화방지제, 예를 들면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2 . 2 - M e t h y l e n e b i s ( 4 - m e t h y l - 6 - t - b u t y l p h e n o l )], 2.6-디-t-부틸-4-메틸페놀(2.6-di -t-Butyl-4-methylphenol)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형방지제는 접착제 조성물의 소성변형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그 사용량은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인 것이 좋다.
바림직한 변형방지제는 폴리에틸렌, 폴리뷰텐, 하임팩트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 특정적으로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상하수관 부분보수용 접착제 조성물은 하기의 특정 양태로 실시되는 부가물을 1종 또는 1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내식성, 내열성, 열전도성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의 질화알루미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균일한 분산성과 내구성 및 내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이산화규소를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산화규소의 사용량이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내구성을 유지하기 어렵고, 5중량부를 초과하면 수화반응성이 과대하여 물성을 저하시키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방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푸탈산 수지 니스(phthalic resin varnish)를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강도, 침투력, 및/또는 발수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장기강도 발현 및 내구성 증진을 위하여 겔라이트 미분말을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겔라이트는 황토의 187배 이상의 효과를 가진 광물질로서 상기 효과 이외에 양질의 원적외선 방출 효과도 있는 것으로서, 바람직한 평균입도는 1 내지 5㎛ 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초기강도 발현 및 수축저감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규산칼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습윤강도 및 마모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진크암모늄클로라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내구성 및 열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부의 트리아세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경화속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동결 온도를 낮추어 동결융해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의 질산나트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자가 응집을 방지하고, 도막 형성 후 발생하는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알루미늄실리케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점도 및 재료분리 저항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세피올라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이 세균, 곰팡이 박테리아 등에 의해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온에서 공기 중에서 산소에 의해 산화되는 방지하기 위하여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의 벤조산(benzoic aci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방수성, 내열성, 내염성 및/또는 접착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의 아세틸레이티드라놀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폴리실리콘 슬러지를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폴리실리콘 슬러지는 그 성상이 밝은 회색빛을 띄고 있고, 함수율 62%로 높은 함수율로 배출되며, 밀도가 낮고 가벼우며, 분말도가 7,122㎤/g로 미세한 분말 형태로서, 화학조성은 대부분 SiO2와 CaO로 조성되어 있고 알칼리성분인 K2O와 Na2O가 미량 포함되어 있으며, 분말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실리콘 슬러지 분말을 60℃에서 24시간 이상 건조시킨 후, 얻은 결정상은 CaCO3로 이루어져 있으며, Na2O와 Cl의 화합물인 NaCl이 소량 포함되어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조성물의 혼합 후에도 다시 엉김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의 로진산 나트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노화방지, 박리방지 및 균열 저항성 향상을 위하여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글루코노락톤(gluconolacton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분산성 및 유동성을 일정시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의 이타코닉 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강도, 내마모성 및 내약품성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부의 산화베릴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유동성을 높이면서 접착시공 후에는 강도를 증가시키고 방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의 규불화마그네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내수성, 내화학성 및/또는 내부착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재료분리 저항성, 작업성 및 동결융해 내구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미다졸린베타인을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가소성 및 보수성을 향상시키고 균열방지와 강도증진을 위하여 코코베타인을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내마모성, 내구성, 충전효과 및 증점효과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의 황산바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내수성을 보강하고, 접착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의 아라고나이트(aragonite)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아라고나이트는 사방정계의 탄산염 광물로서 잘게 분쇄가 가능하여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쉬운 장점이 있어, 이를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시키면 상기와 같은 효과를 발현하게 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이 시공되는 시공면의 알카리성을 회복시키고, 표면에 비활성막을 형성시킴으로써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진크설페이트(zinc sulphat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신율과 강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을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그 함량이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중량부 미만이면 신율 및 강도 개선의 효과가 미미하며, 5중량부를 초과하면 경제적이지 못하여 좋지 않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내화 및/또는 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의 하프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결합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카올리나이트 1 내지 5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올리나이트는 카올린을 주성분으로 함에 따라 흡수성 및 점성이 우수하여 도자기의 재료로 많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카올리나이트는 비교적 미립이고, 경도가 2 내지 2.5이므로 조성물이 시공면에 시공될 경우 조성물의 구성성분들의 사이로 침투하여 고화됨에 따라 시공면의 내력을 더욱 강화시킨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열화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화방지제는 접착제 조성물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열화방지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바람직한 열화방지제, 특정적으로 오존열화방지제는 6PPD (N-(1,3-dimethylutyl)-N'-phenyl-p-phenylenediamine) 및/또는 TAPDT(2,4,6-tris-(N-1,4-dimethylpentyl-p-phenylenediamino)-1,3,5-triazine)를 포함하여 활성화된 오존라디칼의 산화작용에 의한 접착제 조성물의 촉진열화작용을 오존열화방지제 분자구조에 아민과 결합된 방향족 고리화합물 거대분자의 이중결합부분이 자유전자 이동현상에 의해 활성화된 오존라디칼과 상쇄되어 접착제 조성물의 열화 방지 및 열화를 지연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오존열화방지제는 페닐렌디아민(Phenylenediamine-based)계 왁스를 사용할 수 있고, 6PPD와 TAPDT을 포함하는 혼합수지 조성을 사용하거나 라디칼 생성이 활발한 방향족 폴리아민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페닐렌디아민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겔화를 위하여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의 폴리인돌로카바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내산성, 내알칼리성, 내후성, 난연성, 향균성, 방음성,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5중량부의 미세 중공체(microscopic hollow sphere)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세중공체 분말은 알루미늄 실리케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30 내지 100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미세 중공을 갖는 분말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조성물이 시공되는 시공대상면의 공극을 충전하기 위하여 폴리메틸실세스키옥산(polymetylsilsesquioxane)을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온도에 따라 점도가 상승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해주는 온도조정첨가제를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온도조정첨가제로는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왁스, 하이드록시 스테아린산(Hydroxy Stearic Acid), 1,2-하이드록시 스테아린산, 라우린산 아미드, 비스 아마이드 왁스(에틸렌 비스 스테라미드; Ethylene-Bis-Stearamide), 스테아린산 아미드, 오레인산 아미드, 에르카산 아미드, N-오레일 스테아린산 아미드, N-스테아릴 스테아린산아미드, N-스테아릴 에르카산 아미드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재료분리 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아타풀자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타풀자이트는 마그네슘, 알루미늄의 염기성 함수 규산염 광물로 수성암 중의 휘석, 각섬석에서 변질되어 생성하며 염호 지역에서 몬모릴론석으로부터 생성한다. 또는 몬모릴론 석화 작용을 받은 섬장암에 포켓상 혹은 맥상으로 산출한다.
특히, 상기 아타풀자이트의 화학성분은 주로 SiO2(49.57%), Al2O3(9.44%) 및 MgO(8.81%)로 구성되며, 길이 1.5 내지 2micron, 굵기 3nm인 막대기형의 입자로 양 끝단은 + charge를, 측면은 - charge를 띠고 있으며, 분산되면 입자가 상호결합, 그물구조를 형성하여 점도를 형성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접착제 조성물은 수분침투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염 1 내지 1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염은 접착제 조성물의 내부의 공극을 채우게 되어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내부의 내구성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상세하게는 상기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염은 아크릴레이트염의 중합체가 가교(crosslinking)된 물질을 말하며, 가교제로 아크릴산(Acrylic acid)이 포함된 아크릴산과 소듐아크릴레이트(sodium acrylate)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며, 하기(C3H4O2.C3H3O3Na)x의 분자식을 갖는다.
상기 구조로 이루어지는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염은 고분자 사슬 간의 가교결합(cross-linking)을 통한 3차원 망상구조 또는 단일 사슬구조에서 친수성기의 도입에 따라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염이 사용되면 수분 침투시팽창하여 내부 공극을 채워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고, 내구성을 증진시키게 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고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부틸글리시딜에테르(Butyl glycidyl ether)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그 함량이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중량부 미만이면 점도조절 및 부착성 향상의 효과가 미미하며, 5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가 지연되고 표면의 경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어 좋지 않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자외선을 흡수하고 크랙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하이드라진 페닐 트리아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초기 접착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톨루엔 및 검로진이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톨루엔-검로진 혼합물을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접착시공면의 균일성을 위하여 티오우레아를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시공면의 크랙을 방지하기 위하여 규회석을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이 시공되는 접착시공면에 존재하는 유해 성분들이 외부로 용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환경오염을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15중량부의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내마모성 및 기계적 강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이황화텡스텐(WS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강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술폭시폴리에틸렌글리콜노닐페닐프로페닐에테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장기 강도 발현 및 내구성 증진을 위하여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산성백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점도 및 보수성 개선을 위하여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작업성 및 내구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내식성 및 내구성 개선시키기 위하여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아질산 칼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한 상하수관 보수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한 상하수관 보수방법은 보수하고자 하는 관의 내부 파손 부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단계;
상기 보수하고자 하는 관의 내부로 삽입하여 보수하는 보수기와 보수기에 착용되는 보수재의 양면에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경화제 5 내지 3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3 내지 20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 2 내지 10중량부, 반응석 희석제 2 내지 15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1 내지 5중량부, 구아검 1 내지 5중량부, 증점제 1 내지 5중량부, 부착증진제 1 내지 5중량부, 박리방지제 5 내지 15중량부, 산화방지제 1 내지 5중량부, 및 변형방지제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상하수관 부분보수용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한 후 접착제 조성물이 도포된 보수재를 보수기에 착용하는 보수기 준비단계;
상기 보수기 준비단계가 종료된 후 보수기를 보수하고자 하는 관의 내부 파손 부위로 이동시키는 보수기 이동단계;
상기 보수기 이동단계가 종료된 후 보수기에 공기를 주입하여 파손부위에 보수재를 부착한 뒤 경화시키는 경화단계; 및
상기 보수기에 주입된 공기를 제거한 뒤 보수기를 보수하고자 하는 관의 내부로부터 회수하는 보수기 회수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수기는 상하수관에 삽입되어 보수하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보수기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공기를 주입하여 부풀어 오름으로써 파손부위에 보수재를 접착할 수 있도록 하는 패커(Packer)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패커에 적용되는 보수재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보수재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추천하기로는 유리섬유, PVC 시트, 및/또는 섬유 직조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우레탄 수지 100g, N-부틸디에탄올아민 18g, 평균입경이 400nm인 실리콘카바이드 12g, 약 5㎛인 기공을 약 0.2cc/g의 범위로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코올 분말 6g, 1, 4-부타디올 디글리시딜 에스터 8g, 옥틸트리에톡시실란 3g, 구아검 3g, 하이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즈 3g, 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로일 포스페이트 3g, 액상형으로 비중이 1.0 이상이고 60℃ 점도가 110 cPs인 폴리인산계 박리방지제 10g,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 3g, 및 폴리뷰텐 3g을 혼합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질화알루미늄 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이산화규소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푸탈산 수지 니스 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평균입도가 약 3㎛인 겔라이트 미분말 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규산칼슘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진크암모늄클로라이드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트리아세틴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질산나트륨 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알루미늄실리케이트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세피올라이트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벤조산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아세틸레이티드라놀란 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리실리콘 슬러지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로진산 나트륨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글루코노락톤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이타코닉 산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산화베릴륨 1.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규불화마그네슘 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이미다졸린베타인 1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코코베타인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황산바륨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아라고나이트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진크설페이트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하프늄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카올리나이트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6PPD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리인돌로카바졸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를 주성분으로 하고, 평균적으로 약 60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미세 중공을 갖는 미세 중공체 분말 7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리메틸실세스키옥산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1,2-하이드록시 스테아린산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아타풀자이트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염 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부틸글리시딜에테르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하이드라진 페닐 트리아진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톨루엔 및 검로진이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톨루엔-검로진 혼합물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티오우레아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규회석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10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이황화텡스텐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술폭시폴리에틸렌글리콜노닐페닐프로페닐에테르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산성백토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리에틸렌옥사이드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아질산 칼슘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8에 따라 부가된 부가물을 모두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험]
보수기로서 패커 및 가로/세로의 길이가 약 300mm의 PVC시트의 일측면에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된 접착제를 각각 도포한 뒤 약 600mm의 직경을 갖는 PVC관의 내부로 패커를 삽입한 뒤 패커에 공기를 주입하여 PVC시트를 PVC관 내부에 부착시켜 경화하였다.
그 다음 패커의 공기를 제거한 뒤 패커를 회수한 후 PVC 시트의 부착지점의 부착성, 방수성, 유해성 용출, 건조수축률 등을 측정하여 표 1로 나타냈다.
방수성능 (%) 부착성 유해성 용출 건조수축률(u)
실시예 1 99 좋음 불검출 175
실시예 2 99 좋음 불검출 173
실시예 3 99 좋음 불검출 175
실시예 4 99 좋음 불검출 174
실시예 5 98 좋음 불검출 176
실시예 6 99 좋음 불검출 175
실시예 7 99 좋음 불검출 177
실시예 8 99 좋음 불검출 173
실시예 9 99 좋음 불검출 175
실시예 10 99 좋음 불검출 176
실시예 11 98 좋음 불검출 174
실시예 12 99 좋음 불검출 177
실시예 13 99 좋음 불검출 175
실시예 14 98 좋음 불검출 176
실시예 15 99 좋음 불검출 177
실시예 16 99 좋음 불검출 176
실시예 17 99 좋음 불검출 176
실시예 18 99 좋음 불검출 176
실시예 19 99 좋음 불검출 175
실시예 20 99 좋음 불검출 177
실시예 21 99 좋음 불검출 173
실시예 22 99 좋음 불검출 173
실시예 23 99 좋음 불검출 175
실시예 24 98 좋음 불검출 174
실시예 25 99 좋음 불검출 177
실시예 26 99 좋음 불검출 175
실시예 27 98 좋음 불검출 174
실시예 28 99 좋음 불검출 173
실시예 29 99 좋음 불검출 175
실시예 30 99 좋음 불검출 176
실시예 31 98 좋음 불검출 175
실시예 32 99 좋음 불검출 176
실시예 33 99 좋음 불검출 174
실시예 34 98 좋음 불검출 177
실시예 35 99 좋음 불검출 175
실시예 36 99 좋음 불검출 177
실시예 37 98 좋음 불검출 175
실시예 38 99 좋음 불검출 175
실시예 39 99 좋음 불검출 174
실시예 40 99 좋음 불검출 177
실시예 41 98 좋음 불검출 176
실시예 42 99 좋음 불검출 175
실시예 43 99 좋음 불검출 178
실시예 44 98 좋음 불검출 177
실시예 45 99 좋음 불검출 174
실시예 46 99 좋음 불검출 174
실시예 47 98 좋음 불검출 173
실시예 48 99 좋음 불검출 176
실시예 49 99 좋음 불검출 177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된 접착제 조성물의 방수성, 부착성 및 건조수축률이 좋고, 유해성분이 용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경화제 5 내지 3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3 내지 20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 2 내지 10중량부;
    반응성 희석제 2 내지 15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1 내지 5중량부;
    구아검 1 내지 5중량부;
    증점제 1 내지 5중량부;
    부착증진제 1 내지 5중량부;
    박리방지제 5 내지 15중량부;
    산화방지제 1 내지 5중량부; 및
    변형방지제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상하수관 부분보수용 접착제 조성물에,
    질화알루미늄을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푸탈산 수지 니스를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진크암모늄클로라이드를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질산나트륨을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세피올라이트를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벤조산을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글루코노락톤을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이타코닉 산을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산화베릴륨을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진크설페이트를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하이드라진 페닐 트리아진을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규회석을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이황화텅스텐을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아질산 칼슘을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상하수관 부분보수용 접착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보수하고자 하는 관의 내부 파손 부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단계;
    상기 보수하고자 하는 관의 내부로 삽입하여 보수하는 보수기와 보수기에 착용되는 보수재의 양면에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경화제 5 내지 3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3 내지 20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 2 내지 10중량부, 반응성 희석제 2 내지 15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1 내지 5중량부, 구아검 1 내지 5중량부, 증점제 1 내지 5중량부, 부착증진제 1 내지 5중량부, 박리방지제 5 내지 15중량부, 산화방지제 1 내지 5중량부, 및 변형방지제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상하수관 부분보수용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한 후 접착제 조성물이 도포된 보수재를 보수기에 착용하는 보수기 준비단계;
    상기 보수기 준비단계가 종료된 후 보수기를 보수하고자 하는 관의 내부 파손 부위로 이동시키는 보수기 이동단계;
    상기 보수기 이동단계가 종료된 후 보수기에 공기를 주입하여 파손부위에 보수재를 부착한 뒤 경화시키는 경화단계; 및
    상기 보수기에 주입된 공기를 제거한 뒤 보수기를 보수하고자 하는 관의 내부로부터 회수하는 보수기 회수단계를 포함하는 상하수관 부분보수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기는 패커이고, 보수재는 유리섬유, PVC 시트 또는 이들로 이루어진 혼합물인 것을 포함하는 상하수관 부분보수 방법.
KR1020220074049A 2022-06-17 2022-06-17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상하수관 부분보수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분보수 공법 KR102475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049A KR102475492B1 (ko) 2022-06-17 2022-06-17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상하수관 부분보수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분보수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049A KR102475492B1 (ko) 2022-06-17 2022-06-17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상하수관 부분보수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분보수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5492B1 true KR102475492B1 (ko) 2022-12-08

Family

ID=84437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4049A KR102475492B1 (ko) 2022-06-17 2022-06-17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상하수관 부분보수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분보수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549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781B1 (ko) * 2005-06-24 2006-03-29 주식회사 구마건설 하수도 보수용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라이너
KR100784192B1 (ko) * 2006-11-07 2007-12-11 부산광역시환경시설공단 비 굴착식 관보수용 팩커를 이용한 비 굴착식 관 보수방법
KR101016774B1 (ko) * 2010-03-30 2011-02-25 (주)동원엔텍 상하수도관 보수용 에폭시 접착제
KR101761555B1 (ko) * 2017-02-23 2017-08-04 (주)백산엔지니어링 습윤 경화형 폴리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거 연결관 부분 뿜칠 비굴착 보수 방법
KR101977199B1 (ko) * 2019-01-29 2019-05-10 지성건설(주)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정착 frp 보강재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 공법
KR102104881B1 (ko) * 2018-12-12 2020-06-01 영림화학주식회사 접착제 조성물 및 상하수도관의 비굴착 갱생공법
KR102224342B1 (ko) * 2020-08-07 2021-03-05 정성민 폴리우레아 수지를 포함하는 친환경 방수제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781B1 (ko) * 2005-06-24 2006-03-29 주식회사 구마건설 하수도 보수용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라이너
KR100784192B1 (ko) * 2006-11-07 2007-12-11 부산광역시환경시설공단 비 굴착식 관보수용 팩커를 이용한 비 굴착식 관 보수방법
KR101016774B1 (ko) * 2010-03-30 2011-02-25 (주)동원엔텍 상하수도관 보수용 에폭시 접착제
KR101761555B1 (ko) * 2017-02-23 2017-08-04 (주)백산엔지니어링 습윤 경화형 폴리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거 연결관 부분 뿜칠 비굴착 보수 방법
KR102104881B1 (ko) * 2018-12-12 2020-06-01 영림화학주식회사 접착제 조성물 및 상하수도관의 비굴착 갱생공법
KR101977199B1 (ko) * 2019-01-29 2019-05-10 지성건설(주)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정착 frp 보강재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 공법
KR102224342B1 (ko) * 2020-08-07 2021-03-05 정성민 폴리우레아 수지를 포함하는 친환경 방수제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4067B1 (ko) 균열과 파임으로 열화된 고층 건축물 및 아파트 외벽의 보수공법
KR101958226B1 (ko) 친환경 속경성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조형물의 제조방법
KR101637987B1 (ko) 열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단면복구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복구공법
KR101959437B1 (ko) 친환경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면보수공법
KR101734136B1 (ko) 바잘트 섬유를 이용한 보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512965B1 (ko) 친환경 표면 보호제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표면 보호공법
KR101900004B1 (ko)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002413B1 (ko) 친환경 단면보수용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면보수공법
KR101999713B1 (ko) 폴리우레아 조성물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보수 및 표면보호 시공방법
KR101997905B1 (ko) 플루오르 조성물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보수 및 표면보호 시공방법
KR102072939B1 (ko) 고점도 고탄성 크랙 보수용 퍼티재를 이용한 아파트 외벽의 보수 공법
KR101634367B1 (ko) 수지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방수공법
KR101767576B1 (ko) 스페이스가 형성된 복합 frp 보강재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807104B1 (ko) 다기능 친환경 표면 마감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마감 코팅 방법
KR10219446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방법
KR101996256B1 (ko) 아크릴수지를 포함하는 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다중 방수 시공방법
KR10102188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아연도보강망과, 무기계 침투성 몰탈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KR101961622B1 (ko) 탄성봉함재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탄성봉함재의 시공방법
KR102439032B1 (ko) 친환경 단면보수용 방청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면보수공법
KR102266502B1 (ko) 콘크리트 단면 보수 보강공법
KR101975924B1 (ko) Frp 보강재용 친환경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KR20140122831A (ko)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시공방법
KR102091173B1 (ko) Frp 리바 매립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구조체 보강공법
KR102415406B1 (ko) 콘크리트 보수 보강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 보강 공법
KR102119756B1 (ko) Sis, seb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도막 방수제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