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2831A -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2831A
KR20140122831A KR20130039728A KR20130039728A KR20140122831A KR 20140122831 A KR20140122831 A KR 20140122831A KR 20130039728 A KR20130039728 A KR 20130039728A KR 20130039728 A KR20130039728 A KR 20130039728A KR 20140122831 A KR20140122831 A KR 20140122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sphalt
concrete composition
asphalt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9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중
Original Assignee
(주)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케이 filed Critical (주)지케이
Priority to KR20130039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2831A/ko
Publication of KR20140122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8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2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41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75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for road constr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7Water resistance, i.e. waterproof or water-repellent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재, 아스팔트,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염, 산화방지제 및 박리방지제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수분 침투시 포함된 흡수성 수지인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염의 팽창에 의해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이 매워져 수분의 침투가 방지되며, 콘크리트 내부의 내구성이 증진되어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사용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시공방법 {ASPHALT CONCRETE COMPOSITION HAVING WATER RESISTANC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THEREOF}
본 발명은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분 침투시 포함된 흡수성 수지인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염의 팽창에 의해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이 매워져 수분의 침투가 방지되며, 콘크리트 내부의 내구성이 증진되어 사용수명이 연장되는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분 침투시 포함된 흡수성 수지인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염의 팽창에 의해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이 매워져 수분의 침투가 방지되며, 콘크리트 내부의 내구성이 증진되어 사용수명이 연장되는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로 포장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는 짧은 시공 기간, 경제성 등의 장점으로 인해 도로 포장에 많이 적용되고 있으나, 불안정하고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다. 아스팔트는 외부에 노출되면 자외선 및 습기에 의해 화학적 변화 및 산화가 진행되며 시간 경과에 따른 탄성과 접착력을 상실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물성 저하로 인해 아스팔트 콘크리트는 접착력을 상실하게 되고, 균열 등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인해 아스팔트 콘크리트 사이에 발생한 균열 사이로 습기가 투입되면 산화과정이 진행되며, 복사열이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부실 공간을 통과하게 되면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부식과정이 급속하게 진행되는데, 겨울철과 같이 눈을 녹이기 위해 사용되는 염화 칼슘에 노출되거나, 여름 장마철 강우시 장시간 습기에 노출될 때에는 아스팔트 콘크리트에 포트홀이 빠르게 발생되어 도로면의 요철로 인한 교통사고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방수공법이 사용되는데, 방수공법은 크게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방식(시트방수)과, 방수재를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방식(도막방수)으로 대별할 수 있으나, 시트방수의 경우 시트 상호의 조인트 부분에 누수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도막방수의 경우 콘크리트의 균열 발생시 도막에도 함께 균열이 발생한다는 점과 소정 두께의 형성을 위해 과다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분 침투시 포함된 흡수성 수지인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염의 팽창에 의해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이 매워져 수분의 침투가 방지되며, 콘크리트 내부의 내구성이 증진되어 사용수명이 연장되는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골재, 아스팔트,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염, 산화방지제 및 박리방지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스팔트 5 내지 7 중량부,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염 0.5 내지 2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내지 0.4 중량부, 박리방지제 0.1 내지 0.4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에는 상기 골재 100 중량부 대비 첨가제 2 내지 4 중량부가 더 함유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첨가제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프로펜라텍스,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크릴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염화비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암면 및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에는 상기 골재 100 중량부 대비 채움재 2 내지 4 중량부가 더 함유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채움재는 석회분말, 포틀랜드 시멘트, 소석회, 플라이애쉬, 회수 더스트, 전기로 제강더스트, 주물더스트 및 소각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스팔트 5 내지 7 중량부 및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 염 0.5 내지 2 중량부, 산화방지제, 박리방지제, 첨가제, 채움재를 혼합한 후 200℃의 온도로 4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하는 첨가제투입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평탄화된 아스팔트 표면을 택 코우트 처리하는 제1택코우트처리단계, 상기 택 코우트 처리된 아스팔트 표면에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20 내지 100밀리미터의 두께로 포설하는 제1기층형성단계, 상기 제1기층형성단계를 통해 형성된 제1기층의 표면을 택 코우트 처리하는 제2택코우트처리단계, 상기 제2택코우트처리단계를 거친 아스팔트의 표면에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10 내지 80밀리미터의 두께로 포설하는 제2기층형성단계 및 상기 제1기층형성단계 및 상기 제2기층형성단계를 통해 포설된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양생하는 양생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시공방법을 제고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스팔트 5 내지 7 중량부,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염 0.5 내지 2 중량부, 산화방지제 2 내지 0.1 내지 0.4 중량부, 박리방지제 0.1 내지 0.4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 시공방법은 수분 침투시 포함된 흡수성 수지인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염의 팽창에 의해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이 매워져 수분의 침투가 방지되며, 콘크리트 내부의 내구성이 증진되어 사용수명이 연장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종래에 일반적인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골재, 아스팔트,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염, 산화방지제 및 박리방지제로 이루어지며, 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스팔트 5 내지 7 중량부,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염 0.5 내지 2 중량부, 산화방지제 2 내지 0.1 내지 0.4 중량부, 박리방지제 0.1 내지 0.4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골재는 100 중량부가 함유되며, 석재, 자갈, 모래 및 실리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석재로는 석회석, 현무암, 백운석, 사암, 화강암 및 규암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재는 부착물이 제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KSF2357의 규격에 부합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상기 골재의 입자크기는 2 내지 20 밀리미터를 갖는다.
상기의 입자크기를 갖는 골재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전체적으로 고른 물성을 나타내도록 한다.
상기 아스팔트는 5 내지 7 중량부가 함유되며, 상기 골재를 결속시키는 바인더의 역할을 하는데, 유기혼합물과 미량의 무기화합물 등이 포함된 수천 종 이상의 고분자 탄화수소(CH)가 매우 복잡하게 구성된 흑색 또는 흑갈색 고체 또는 반고체의 열가소성 물질을 뜻하며, 아스팔트 시멘트(Asphalt Cement) 또는 비트멘(Bitumen:역청)으로도 통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스팔트로는 천연아스팔트, 석유계 아스팔트 및 타르가 모두 사용될 수 있으나, 석유계 아스팔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 아스팔트로는 레이크(Lake) 아스팔트, 록(Lock) 아스팔트, 샌드 아스팔트, 길소나이트 아스팔트, 그라하마이트 아스팔트 및 글랜스피치 아스팔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석유계 아스팔트로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아스팔트 시멘트, z컷백 아스팔트, 유화 아스팔트, 블로운 아스팔트 및 개질 아스팔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스팔트는 침입도가 40 내지 1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염은 0.5 내지 2 중량부가 함유되며, 본 발명에 따른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에 수분이 침투되게 되면, 수분에 의해 팽창되어 콘크리트 조성물 내부의 공극을 채우게 되어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게 되고 이에따라 콘크리트 내부의 내구성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염은 아크릴레이트염의 중합체가 가교(crosslink)된 물질을 말하며, 고흡수성 폴리머의 일종으로, 가교제로 아크릴산(Acrylic acid)이 포함된 아크릴산과 소듐아크릴레이트(sodium acrylate)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며, 하기 분자식을 갖는다.
<분자식>
(C3H4O2.C3H3O2.Na)x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염은 고분자 사슬 간에 가교결합(cross-linking)을 통한 3차원의 망상구조 또는 단일 사슬구조에서 친수성기의 도입에 따른 유체의 흡수현상을 나타내는 폴리머로, 일반 폴리머 재료에 비하여 흡수성이 월등히 높기 때문에 위생용품의 슬림화 및 고성능화를 실현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고기능성 재료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기능성을 갖는 고흡수성 폴리머인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염을 아스팔크 콘크리트 첨가제로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에서 최초로 공개되는 것이며, 상기의 기능성을 갖는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염은 수분 침투시 팽창하여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내부 공극을 채워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고, 내구성을 증진시키게 된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0.1 내지 0.4 중량부가 함유되며, 본 발명에 따른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산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되면 산화방지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이 0.4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산화방지제로는 아민계, 비스페놀계, 모노페놀계 및 유황계 산화방지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박리방지제는 0.1 내지 0.4 중량부가 함유되며, 상기 아스팔트가 상기 골재와 접착하는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외력이나 수분에 의해 골재와 아스팔트가 분리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박리방지제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골재와 아스팔트의 박리억제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박리방지제의 함량이 0.4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박리억제 효과의 상승은 미미하며,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박리방지제로는 4급 아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에는 상기 골재 100 중량부 대비 첨가제 2 내지 4 중량부가 더 함유될 수도 있는데, 상기 첨가제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첨가제로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프로펜라텍스,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크릴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염화비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암면 및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에는 상기 골재 100 중량부 대비 채움재 2 내지 4 중량부가 더 함유될 수도 있는데, 상기 채움재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공극채움성과, 안정도, 내마모성 및 내유동성을 향상시켜, 결과적으로는 마샬안정도([Marshall stability)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채움재로는 석회분말, 포틀랜드 시멘트, 소석회, 플라이애쉬, 회수 더스트, 전기로 제강더스트, 주물더스트 및 소각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스팔트 5 내지 7 중량부, 가교된 풀리아크릴레이트 염 0.5 내지 2 중량부, 산화방지제 및 박리방지제 0.1 내지 0.4 중량부, 첨가제 2-4 중량부, 채움재 2-4 중량부를 혼합하여 200℃의 온도로 4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시공방법은 평탄화된 아스팔트 표면을 택 코우트 처리하는 제1택코우트처리단계(S201), 상기 택 코우트 처리된 아스팔트 표면에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20 내지 100밀리미터의 두께로 포설하는 제1기층형성단계(S203), 상기 제1기층형성단계(S203)를 통해 형성된 제1기층의 표면을 택 코우트 처리하는 제2택코우트처리단계(S205), 상기 제2택코우트처리단계(S205)를 거친 아스팔트의 표면에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10 내지 80밀리미터의 두께로 포설하는 제2기층형성단계(S207) 및 상기 제1기층형성단계(S203) 및 상기 제2기층형성단계(S207)를 통해 포설된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양생하는 양생단계(S209)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택 코우트는 아스팔트, 정제수 및 유화제로 이루어지며, 아스팔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30 내지 50 중량부 및 유화제 1 내지 5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스팔트 5 내지 7 중량부,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염 0.5 내지 2 중량부, 산화방지제 2 내지 0.1 내지 0.4 중량부, 박리방지제 0.1 내지 0.4 중량부가 포함되며, 산화방지제와 박리방지제의 성분은 상기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에 사용된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석회석 및 실리카로 이루어지며, 입자크기가 1-10 밀리미터인 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5 중량부,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염 0.5 중량부, 아민계 산화방지제 0.1 중량부 및 4급 아민으로 이루어진 박리방지제 0.4 중량부를 180℃의 온도에서 혼합하고, 25℃의 공기 욕조에서 4시간 동안 양생하여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석회석 및 실리카로 이루어지며, 입자크기가 1-10 밀리미터인 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5.5 중량부,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염 1 중량부, 아민계 산화방지제 0.2 중량부 및 4급 아민으로 이루어진 박리방지제 0.3 중량부를 180℃의 온도에서 혼합하고, 25℃의 공기 욕조에서 4시간 동안 양생하여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석회석 및 실리카로 이루어지며, 입자크기가 1-10 밀리미터인 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6 중량부,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염 1.5 중량부, 아민계 산화방지제 0.3 중량부 및 4급 아민으로 이루어진 박리방지제 0.2 중량부를 180℃의 온도에서 혼합하고, 25℃의 공기 욕조에서 4시간 동안 양생하여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석회석 및 실리카로 이루어지며, 입자크기가 1-10 밀리미터인 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6.5 중량부,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염 2 중량부, 아민계 산화방지제 0.4 중량부 및 4급 아민으로 이루어진 박리방지제 0.1 중량부를 180℃의 온도에서 혼합하고, 25℃의 공기 욕조에서 4시간 동안 양생하여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석회석 및 실리카로 이루어지며, 입자크기가 1-10 밀리미터인 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7 중량부,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염 2 중량부, 아민계 산화방지제 0.4 중량부 및 4급 아민으로 이루어진 박리방지제 0.1 중량부를 180℃의 온도에서 혼합하고, 25℃의 공기 욕조에서 4시간 동안 양생하여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는 상기 골재 100 중량부 대비 첨가제 2 내지 4 중량부를 함유하여 적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5를 통해 제조된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마샬안정도와 흐름값을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마샬안정도는 상기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에 하중을 가하여 공시체가 파괴될 때의 하중을 측정한 것이며, 흐름값은 안정도 시험시 최대하중(안정도)까지의 변형값을 측정한 것이다.}

구분

기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마샬안정도
(N)

5,000

15,320

17,580

23,840

39,445

51,040

흐름값
(1/100cm)

20~40

37

38

33

30

36
위에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5를 통해 제조된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마샬안정도와 흐름값이 기준치에 부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흡수성 수지인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염의 팽창에 의해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이 매워져 수분의 침투가 방지되며, 콘크리트 내부의 내구성이 증진되어 사용수명이 연장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아래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조직이 치밀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골재, 아스팔트,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염, 산화방지제 및 박리방지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스팔트 5 내지 7 중량부,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염 0.5 내지 2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내지 0.4 중량부, 박리방지제 0.1 내지 0.4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에는 상기 골재 100 중량부 대비 첨가제 2 내지 4 중량부가 더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프로펜라텍스,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크릴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염화비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암면 및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에는 상기 골재 100 중량부 대비 채움재 2 내지 4 중량부가 더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채움재는 석회분말, 포틀랜드 시멘트, 소석회, 플라이애쉬, 회수 더스트, 전기로 제강더스트, 주물더스트 및 소각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7. 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스팔트 5 내지 7 중량부, 가교된 풀리아크릴레이트 염 0.5 내지 2 중량부, 산화방지제 및 박리방지제 0.1 내지 0.4 중량부, 첨가제 2-4 중량부, 채움재 2-4 중량부를 혼합하여 200℃의 온도로 4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제조방법.
  8. 평탄화된 아스팔트 표면을 택 코우트 처리하는 제1택코우트처리단계;
    상기 택 코우트 처리된 아스팔트 표면에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20 내지 100밀리미터의 두께로 포설하는 제1기층형성단계;
    상기 제1기층형성단계를 통해 형성된 제1기층의 표면을 택 코우트 처리하는 제2택코우트처리단계;
    상기 제2택코우트처리단계를 거친 아스팔트의 표면에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10 내지 80밀리미터의 두께로 포설하는 제2기층형성단계; 및
    상기 제1기층형성단계 및 상기 제2기층형성단계를 통해 포설된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양생하는 양생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시공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스팔트 5 내지 7 중량부,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염 1 내지 2 중량부, 산화방지제 2 내지 0.1 내지 0.4 중량부, 박리방지제 0.1 내지 0.4 중량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시공방법.
KR20130039728A 2013-04-11 2013-04-11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시공방법 KR201401228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9728A KR20140122831A (ko) 2013-04-11 2013-04-11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9728A KR20140122831A (ko) 2013-04-11 2013-04-11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831A true KR20140122831A (ko) 2014-10-21

Family

ID=51993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9728A KR20140122831A (ko) 2013-04-11 2013-04-11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2831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298B1 (ko) * 2016-02-04 2016-08-10 김인중 방수기능을 갖는 고등급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WO2016182177A1 (ko) * 2015-05-14 2016-11-17 주식회사 지케이기술연구소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893792B1 (ko) * 2018-05-08 2018-08-31 주식회사 지케이기술연구소 Ldpe 및 sis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109265102A (zh) * 2018-09-30 2019-01-25 合肥仁创铸造材料有限公司 一种铸造除尘灰无害化处理方法
KR20200066214A (ko) * 2018-11-30 2020-06-09 (주)엘지하우시스 시멘트 평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46820B1 (ko) * 2020-03-18 2020-08-21 (주)지케이건설 Sis를 이용한 아스팔트 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절삭포장면 안정처리공법
KR102306933B1 (ko) 2021-04-13 2021-09-30 주식회사 서문기술 도막식 교면 방수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220097728A (ko) * 2020-12-31 2022-07-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분저항성 향상을 위한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2177A1 (ko) * 2015-05-14 2016-11-17 주식회사 지케이기술연구소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647298B1 (ko) * 2016-02-04 2016-08-10 김인중 방수기능을 갖는 고등급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WO2017135493A1 (ko) * 2016-02-04 2017-08-10 주식회사 지케이기술연구소 방수기능을 갖는 고등급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893792B1 (ko) * 2018-05-08 2018-08-31 주식회사 지케이기술연구소 Ldpe 및 sis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109265102A (zh) * 2018-09-30 2019-01-25 合肥仁创铸造材料有限公司 一种铸造除尘灰无害化处理方法
KR20200066214A (ko) * 2018-11-30 2020-06-09 (주)엘지하우시스 시멘트 평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46820B1 (ko) * 2020-03-18 2020-08-21 (주)지케이건설 Sis를 이용한 아스팔트 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절삭포장면 안정처리공법
KR20220097728A (ko) * 2020-12-31 2022-07-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분저항성 향상을 위한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KR102306933B1 (ko) 2021-04-13 2021-09-30 주식회사 서문기술 도막식 교면 방수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22831A (ko)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시공방법
CN107033611B (zh) 具有防水功能的高等级沥青组合物及利用其的施工方法
KR101961270B1 (ko) Sis를 이용한 칼라 구스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JP4351723B2 (ja) 建築物用又は橋面用アスファルト系塗膜防水材の施工方法
KR102119728B1 (ko) 라텍스 수지를 포함하는 방수아스팔트(lma)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00413B1 (ko)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음저감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시공방법
KR101934500B1 (ko) Sis, sb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여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포장용 구스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63690B1 (ko) 도로 측구 및 소파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 보강 시공 방법
KR101961280B1 (ko) Sis를 이용한 구스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현장이송장치을 이용한 이의 시공방법
KR102207052B1 (ko) Sebs를 포함하는 도로용 개질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46981B1 (ko) Sis 및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를 이용한 고내유동성 불투수성 개질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52402B1 (ko)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 및 sis를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바인더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54820B1 (ko)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 sis 및 sbs를 이용한 교면포장용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일체형 교면 균열부 보수공법
KR102180905B1 (ko) Sis 이용한 co2 발생저감 및 시공성을 개선한 고등급 폴리머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19756B1 (ko) Sis, seb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도막 방수제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91173B1 (ko) Frp 리바 매립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구조체 보강공법
KR100916306B1 (ko) 수용성 합성고무 라텍스 개질 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보호공법
KR102077051B1 (ko) Sis를 이용한 중온 고분자 개질 쇄석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psma)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77054B1 (ko) 포트홀 보수를 위한 현장 가열형 포대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07012B1 (ko)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불투수성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47375B1 (ko) 초미립 시멘트를 이용한 흡수성 폴리머 개질 속경성 폴리머시멘트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방법
KR101848273B1 (ko) 구스 아스팔트를 이용한 도로 포장 방법
KR101675882B1 (ko) 보수용 상온 아스콘 조성물
KR102077055B1 (ko) Si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이용한 중온 개질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07015B1 (ko) 라텍스 수지를 포함하는 불투수성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