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999B1 - 피페리딘디온 유도체 - Google Patents

피페리딘디온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999B1
KR102474999B1 KR1020210118004A KR20210118004A KR102474999B1 KR 102474999 B1 KR102474999 B1 KR 102474999B1 KR 1020210118004 A KR1020210118004 A KR 1020210118004A KR 20210118004 A KR20210118004 A KR 20210118004A KR 102474999 B1 KR102474999 B1 KR 102474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ethoxy
oxo
mmol
chlorophe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9855A (ko
Inventor
유혜동
신영준
김성진
김보경
이은명
신소현
김용환
최서원
배민식
양동식
홍정현
배진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큐어테라퓨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큐어테라퓨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큐어테라퓨틱스
Priority to EP21835570.9A priority Critical patent/EP4116298A4/en
Priority to US17/626,377 priority patent/US20230295105A1/en
Priority to PCT/KR2021/016588 priority patent/WO2022250224A1/ko
Priority to CN202180056397.4A priority patent/CN116323619A/zh
Priority to KR1020220166167A priority patent/KR20220165709A/ko
Publication of KR20220159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 A61K31/5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having two nitrogen atoms, e.g. dilaze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4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 A61K47/545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4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 A61K47/5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the modifying agent being also a pharmac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i.e. the entire conjugate being a codrug, i.e. a dimer, oligomer or polymer of pharmac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 C07D49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1/10Spiro-condensed systems
    • C07D491/107Spiro-condensed systems with only one oxygen atom as ring hetero atom in the oxygen-containing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5/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hree hetero rings
    • C07D495/1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신규한 피페리딘디온 유도체 화합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피페리딘디온 유도체 {Derivatives of piperidinedione}
본 발명은 피페리딘디온 유도체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피페리딘디온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프로탁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프로탁(PROTACs)은 프로테올리시스 타겟팅 키메라(PROteolysis TArgeting Chimeras)의 약자로서, 표적단백질(POI: protein of interest)의 분해를 유도하는 기술이다.
프로탁은 표적단백질 리간드 및 E3 효소 리간드가 링커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표적단백질 리간드는 질병과 관련된 표적 단백질에 결합할 수 있는 구조이며, E3 효소 리간드는 E3 효소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이다.
E3 효소(E3 리가아제)는 표적단백질에 유비퀴틴이라는 표지를 붙일 수 있고, 이러한 유비퀴틴 표지가 붙은 표적단백질은 프로테아좀에 의하여 분해된다.
프로탁 화합물의 표적단백질 리간드가 표적단백질에 결합한다면, 프로탁 화합물에 의하여 E3 효소가 표적단백질의 아주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게 되며, 따라서 표적단백질이 프로테아좀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게 된다.
특히, 프로탁 화합물이 암세포의 증식에 관여하는 표적단백질에 결합한다면 해당 표적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여 암 치료 효과를 거둘 수 있다.
Taavi K. Neklesa 등, "Targeted protein degradation by PROTACs"; Pharmacology & Therapeutics 174 (2017) 138-144.
본 발명은 표적단백질의 분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프로탁 화합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탁 화합물의 E3 효소 리간드로 사용될 수 있는 신규의 피페리딘디온 화합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21102564500-pat00001
상기식에서,
X는 수소, 할로겐, 아미노, 니트로, 히드록시, C1 내지 C6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옥시, 또는 산소 또는 질소를 포함하는 4원 내지 8원의 헤테로사이클릭이고,
Q1 내지 Q4는 각각 독립적으로 C-F, C-Cl, C-H, C-X 또는 N이며, 단 Q1 내지 Q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C-X이며,
R1은 수소, 니트로, 아미노, 카보닐, C1 내지 C6의 직쇄, 분지쇄 또는 사이클릭 알킬,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C1 내지 C6의 직쇄, 분지쇄 또는 사이클릭 알킬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서, X는 수소,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아미노, 니트로, 히드록시, 피페라진기,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고, Q1 내지 Q4는 각각 독립적으로 C-H 또는 C-X이며, R1은 수소, 아미노, 메틸, 에틸, 사이클로프로필 또는 CF3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하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이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002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자체적으로 CRBN 에 작용하므로, CRBN 단백질 관련 질병의 치료제(예를 들어, 항종양 또는 면역조절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표적단백질 리간드, 링커 및 E3 효소 리간드를 포함하는 프로탁 화합물에서 E3 효소 리간드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E3 효소 리간드로서 상기 링커와 연결된 프로탁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21102564500-pat00003
상기식에서,
X는 수소, 할로겐, 아미노, 니트로, 히드록시, C1 내지 C6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옥시, 또는 산소 또는 질소를 포함하는 4원 내지 8원의 헤테로사이클릭이고,
Q1 내지 Q4는 각각 독립적으로 C-F, C-Cl, C-H, C-X 또는 N이며, 단 Q1 내지 Q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C-X이며,
R1은 수소, 니트로, 아미노, 카보닐, C1 내지 C6의 직쇄, 분지쇄 또는 사이클릭 알킬,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C1 내지 C6의 직쇄, 분지쇄 또는 사이클릭 알킬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탁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004
본 발명에 따른 프로탁 화합물에서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링커가 공유결합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특히 링커가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치환기 X와 공유결합되거나, 또는 링커가 치환기 X를 치환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과 공유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링커는 (i)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X를 대체하여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연결되거나 또는 (ii)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X의 질소원자 또는 산소원자에 결합하여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탁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X를 통하여 링커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탁 화합물은 핵 수용체(예를 들어, ER, AR, RAR 등), 단백질 키나제(예를 들어, Akt, c-Abl, BTK, anaplastic lymphoma kinase [ALK], CDK9, c-Met, RIPK2, DAPK1, PSD-95 등), 전사 조절에 관여하는 단백질(예를 들어, BRD4, Sirt2, HDAC6, TRIM24, IKZH1/3, Smad3 등), 조절 단백질(예를 들어, CRABP-I/II, TACC3, AHR, FKBP12, ERRα, SHP2, X-protein, PTPN11 등), 신경-퇴행성 관련 단백질(예를 들어, Huntingtin, Tau, a-synuclein, PSD-95 등), 세포 대사 효소(예를 들어, MetAP-2, DHODH), 융합 단백질(예를 들어, Alk-fusion, BCR-Abl, Brd-Nut, Ret-fusion, Halo Tags 등), 돌연변이 단백질(예를 들어, Braf mutant, EGFR mutant 및 deletion, Kras mutant, TP53 mutant 및 splicing varient 등), 비정상적 변형 단백질(예를 들어, EGFRdel19, P53 splicing varient, fusion proteins 등) 등을 표적단백질로 하여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탁 화합물은 이러한 표적단백질에 결합할 수 있는 화합물이 표적단백질 리간드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탁 화합물은 상기한 바와 같은 표적단백질과 관련있는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탁 화합물에서 BRD4 저해제 또는 SHP2 저해제가 표적단백질 리간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표적단백질 리간드가 하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005
본 발명의 프로탁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링커로는 상기 표적단백질 리간드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연결할 수 있는 임의의 링커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2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이 링커로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21102564500-pat00006
[화학식 3]
Figure 112021102564500-pat00007
[화학식 4]
Figure 112021102564500-pat00008
[화학식 5]
Figure 112021102564500-pat00009
[화학식 7]
-Y-R2-R4-
[화학식 8]
-(C=O)-R2-(C=O)-
[화학식 9]
-R4-(C=O)-R2-
상기 식에서,
n은 0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값을 갖는 정수이고,
R4는 4원 내지 8원의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릭이고,
R2는 -(CH2)m-; -(CH2)m-R4-(CH2)q-; 또는 -(C=O)-(CH2)m-(CONH)-(CH2)q- 이며,
R3는 -(CH2)m-; -(CH2)m-R4-(CH2)q-; -(C=O)-(CH2)m-(CONH)-(CH2)q-; 또는 직접 연결이고,
여기에서, m 및 q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10의 정수이고,
Y는 -NR8-, -N(R8)-C(O)-, -C(O)-N(R8)-, -CHR8-, -O-, -S-, -S(O)-, -S(O)NR8-, -S(O)2-, -S(O)2NR8-, -C(=CH2)-, -CH=CH- 또는 -C≡C- 이고,
R8은 수소, C1 내지 C6의 직쇄, 분지쇄 또는 사이클릭 알킬,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C1 내지 C6의 직쇄, 분지쇄 또는 사이클릭 알킬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식에서, R8은 -CH2-CH2F, -CH2-CHF2 또는 -CH2-CF3 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으로 나타낸 링커에서, 상기 구조식의 좌측은 표적단백질 리간드에 공유결합하고, 상기 구조식의 우측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치환기 X 중의 산소 또는 질소 등과 같은 원자에 결합하거나 또는 Q1 내지 Q4 중의 어느 하나의 탄소 원자에 결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탁 화합물에서 링커로서 하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링커가 사용될 수 있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01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탁 화합물에서 링커로서 하기 화합물 10 및 1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링커가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10]
Figure 112021102564500-pat00011
[화학식 11]
Figure 112021102564500-pat00012
상기식에서,
b는 0 부터 20 사이의 정수이고,
a는 2 또는 3이며,
T1은 -CH2-, -O-, -CHRg- 이고, 여기에서 Rg는 C1 내지 C4의 알킬이며,
R6 및 R7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각
Figure 112021102564500-pat00013
바이아릴, 바이헤테로사이클릭, 헤테로사이클릭, 바이헤테로사이클릭 또는 스피로 바이헤테로사이클릭이며,
여기에서, e는 1 내지 10 사이의 정수이며,
x1, x2, x3, x4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각 C-H, C-N, 또는 C-Ri이며, 이때 Ri는 -F, -Cl, -Br이고,
Figure 112021102564500-pat00014
바람직하게는, 상기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Figure 112021102564500-pat00015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탁 화합물에서 링커는 표적단백질 리간드 및 E3 효소 리간드와 각각 공유결합으로 연결되어, 표적단백질 리간드와 E3 효소 리간드를 연결한다. 링커, 표적단백질 리간드 및 E3 효소 리간드에서 서로 공유결합하여 연결되는 부위는 공유결합 반응 과정 중에서 일부 치환기가 이탈될 수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표적단백질 리간드, 링커 및 E3 효소 리간드를 포함하되, 상기 링커는 상기 표적단백질 및 상기 E3 효소 리간드와 각각 공유결합으로 연결되는 프로탁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에서 상기 E3 효소 리간드 부분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로탁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6의 화합물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112021102564500-pat00016
상기식에서,
Z는 표적단백질 리간드 및 이와 연결되어 있는 링커이고,
Q1 내지 Q4는 각각 독립적으로 C-F, C-Cl, C-H, C-Z, C-O-Z, C-NH-Z 또는 N이며, 단 Q1 내지 Q4 중 어느 하나는 C-Z, C-O-Z 또는 C-NH-Z이며,
R1은 수소, 니트로, 아미노, 카보닐, C1 내지 C4의 직쇄, 분지쇄 또는 사이클릭 알킬,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C1 내지 C4의 직쇄, 분지쇄 또는 사이클릭 알킬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탁 화합물에서, 상기 표적단백질 리간드는 하기 화합물 또는 이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017
상기 식에서, Z'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이와 연결된 링커를 의미하며, 이는 본 발명에서 예시된 프로탁 화합물의 구조를 이해하기 쉽도록 링커와 연결되는 표적단백질 리간드의 부분을 나타내기 위한 의도로 표시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프로탁에 사용될 수 있는 표적단백질 리간드 또는 이의 유도체 중에 포함되어 있는 아미노기에 링커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링커가 연결되어 있는, 표적단백질 리간드 또는 이의 유도체 중에 포함되어 있는 아미노기도 링커의 일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고, 아래와 같이 링커(L)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탁 화합물에서, 상기 링커 L로는 상기 표적단백질 리간드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연결할 수 있는 임의의 링커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2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이 링커 L로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21102564500-pat00018
[화학식 3]
Figure 112021102564500-pat00019
[화학식 4]
Figure 112021102564500-pat00020
[화학식 5]
Figure 112021102564500-pat00021
[화학식 7]
-Y-R2-R4-
[화학식 8]
-(C=O)-R2-(C=O)-
[화학식 9]
-R4-(C=O)-R2-
상기 식에서,
n은 0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값을 갖는 정수이고,
R4는 4원 내지 8원의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릭이고,
R2는 -(CH2)m-; -(CH2)m-R4-(CH2)q-; 또는 -(C=O)-(CH2)m-(CONH)-(CH2)q- 이며,
R3는 -(CH2)m-; -(CH2)m-R4-(CH2)q-; -(C=O)-(CH2)m-(CONH)-(CH2)q-; 또는 직접 연결이고,
여기에서, m 및 q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10의 정수이고,
Y는 -NR8-, -N(R8)-C(O)-, -C(O)-N(R8)-, -CHR8-, -O-, -S-, -S(O)-, -S(O)NR8-, -S(O)2-, -S(O)2NR8-, -C(=CH2)-, -CH=CH- 또는 -C≡C- 이고,
R8은 수소, C1 내지 C6의 직쇄, 분지쇄 또는 사이클릭 알킬,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C1 내지 C6의 직쇄, 분지쇄 또는 사이클릭 알킬이다.
상기 화학식으로 나타낸 링커 L에서, 상기 화학식의 좌측은 표적단백질 리간드에 공유결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탁 화합물에서 링커 L로서 하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링커가 사용될 수 있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022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탁 화합물에서 링커 L로서 하기 화합물 10 및 1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링커가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10]
Figure 112021102564500-pat00023
[화학식 11]
Figure 112021102564500-pat00024
상기식에서,
b는 0 부터 20 사이의 정수이고,
a는 2 또는 3이며,
T1은 -CH2-, -O-, -CHRg- 이고, 여기에서 Rg는 C1 내지 C4의 알킬이며,
R6 및 R7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각
Figure 112021102564500-pat00025
바이아릴, 바이헤테로사이클릭, 헤테로사이클릭, 바이헤테로사이클릭 또는 스피로 바이헤테로사이클릭이며,
여기에서, e는 1 내지 10 사이의 정수이며,
x1, x2, x3, x4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각 C-H, C-N, 또는 C-Ri이며, 이때 Ri는 -F, -Cl, -Br이고,
Figure 112021102564500-pat00026
바람직하게는, 상기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Figure 112021102564500-pat00027
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프로탁 화합물에서 상기 링커는 하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028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탁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029
본 발명의 피페라진디온 유도체 화합물은 CRBN 에 작용하여 CRBN 단백질 관련 질병의 치료제(예를 들어, 항암제 또는 면역조절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페라진디온 유도체는 프로탁 화합물의 E3 효소 리간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탁 화합물은 핵 수용체(예를 들어, ER, AR, RAR 등), 단백질 키나제(예를 들어, Akt, c-Abl, BTK, anaplastic lymphoma kinase [ALK], CDK9, c-Met, RIPK2, DAPK1, PSD-95 등), 전사 조절에 관여하는 단백질(예를 들어, BRD4, Sirt2, HDAC6, TRIM24, IKZH1/3, Smad3 등), 조절 단백질(예를 들어, CRABP-I/II, TACC3, AHR, FKBP12, ERRα, SHP2, X-protein, PTPN11 등), 신경-퇴행성 관련 단백질(예를 들어, Huntingtin, Tau, a-synuclein, PSD-95 등), 세포 대사 효소(예를 들어, MetAP-2, DHODH), 융합 단백질(예를 들어, Alk-fusion, BCR-Abl, Brd-Nut, Ret-fusion, Halo Tags 등), 돌연변이 단백질(예를 들어, Braf mutant, EGFR mutant 및 deletion, Kras mutant, TP53 mutant 및 splicing varient 등), 비정상적 변형 단백질(예를 들어, EGFRdel19, P53 splicing varient, fusion proteins 등) 등을 표적단백질로 하여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탁 화합물은 이러한 표적단백질에 결합할 수 있는 화합물이 표적단백질 리간드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탁 화합물은 상기한 바와 같은 표적단백질과 관련있는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피페라진디온 유도체 화합물을 E3 효소 리간드로서 포함하는 프로탁 화합물은 우수한 항암 효과를 갖는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탁 화합물은, 암 이외의 다른 질병에 관여하는 특정 단백질에 대해서도 해당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여 해당 질병에 대한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헤테로"는 탄소 또는 수소가 아닌 원자, 예를 들어 질소, 산소 또는 황과 같은 원자를 포함하는 형태임을 의미한다.
도 1은 표적단백질 리간드, 링커 및 E3 효소 리간드로 이루어지는 프로탁 화합물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CRBN 리간드 친화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E3 ligase binder를 적용한 BRD4-표적 PROTAC의 단백질 분해 효능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E3 ligase binder를 적용한 BRD4-표적 PROTAC의 암세포 증식억제 효능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E3 ligase binder를 적용한 SHP2-표적 PROTAC의 단백질 분해 효능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E3 ligase binder를 적용한 SHP2-표적 PROTAC의 암세포 증식억제 효능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가 어떤 의미로든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기본골격(scaffold)은 하기 반응식 1 또는 반응식 2의 반응 단계를 거쳐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112021102564500-pat00030
[반응식 2]
Figure 112021102564500-pat00031
상기 반응식 1 또는 2에서, X는 수소, 할로겐, 아미노, 니트로 또는 히드록시, 피페라진기 또는 C1 내지 C4의 알콕시이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반응식에서는 화학식 1의 화합물 중 Q1 내지 Q4에서 탄소에 결합될 수 있는 치환기의 표시를 생략하였고, R1 치환기 중에서는 수소 또는 메틸과 같이 간단한 치환기만을 대표적으로 표시하였다.
이하에서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를 실시예를 통하여 제조한다.
실시예 A: 피페리딘디온 유도체 화합물의 제조
실시예 1:
화합물
Figure 112021102564500-pat00032
의 제조 (반응식 1에 준하여 제조함)
1-1) 메틸 2-메틸-6-니트로벤조에이트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33
실온에서, 아세톤 (100ml) 중의 2-메틸-6-니트로벤조 산 (5g, 27.6 mmol) 용액에 K2CO3 (19.1g, 138 mmol)을 가하였다. 30분간 교반 후, 반응물에 요오드화 메탄 (19.6g, 138 mmol)을 가하고, 6시간 동안 60oC로 가열하였다. 냉각 후, 반응물을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생성물을 추가 정제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5.45g, 98%) MS (ESI, m/z): [M+1]+ = [195.2].
1-2) 메틸 2-(브로모메틸)-6-니트로벤조에이트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34
실온에서, ClCH2CH2Cl (100ml) 중의 메틸 2-메틸-6-니트로벤조에이트 (5.39g, 27.6 mmol) 용액에 1-브로모피롤리딘-2,5-디온 (7.39g, 41.4mmol) 및 벤조일 벤젠카보퍼옥소에이트 (0.67g, 7.26mmol)을 순차적으로 가하였다. 반응물을 3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붉은 색이 사라지는 시점이 반응 완료 시점이다. 냉각 후, 반응물을 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추가 정제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7.34g, 98%) MS (ESI, m/z): [M+1]+ = [274.4].
1-3) 메틸 2-포르밀-6-니트로벤조에이트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35
실온에서, DCM (30ml) 중의 메틸 2-(브로모메틸)-6-니트로벤조에이트 (580mg, 2.12mmol) 용액에 NMO (N-메틸모르폴린 N-옥사이드) (561mg, 4.87mmol) 및 4Å 분자체를 순차적으로 가하였다. 반응물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분자체를 여과하고, DCM (10ml)로 세척하였다. DCM 층을 물(50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시켰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흰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50mg, 79.07%) MS (ESI, m/z): [M+1]+ = [210.0].
1-4) 2-포르밀-6-니트로벤조산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36
실온에서, THF (10ml) 중의 메틸 2-포르밀-6-니트로벤조에이트 (2g, 9.56mmol) 용액에 리튬(+1) 하이드록사이드 (1.15g, 47.8mmol) 수용액(10ml)을 가하였다. 2시간 교반 후, 반응물을 감압 농축하여 THF를 건조시켰다. 0℃로 냉각시킨 후, 반응물을 1N HCl로 산성화시켜 pH를 4로 조정하였다.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ml)로 2회 추출하였다. 결합한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시켜, 흰색 결정을 수득하였다(1.50g, 80.3%). MS (ESI, m/z): [M+1]+ = [195.2].
1-5) 8-니트로프탈라진-1(2H)-온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37
실온에서, 메탄올 (10ml) 중의 2-포르밀-6-니트로벤조산 (1.2g, 6.15mmol) 용액에 NH2NH2 일수화물 (417mg, 8.33mmol)을 가하였다. 30분간 교반 후, 반응물을 2시간 동안 80℃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감압 농축하였다. 잔사를 물(50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 (50ml)로 2회 추출하였다. 결합한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시켜, 흰색 결정을 수득하였다(1g, 85.07%). MS (ESI, m/z): [M+1]+ = [191.8].
1-6) 3-(8-니트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38
DMF (1ml) 중의 8-니트로-1,2-디하이드로프탈라진-1-온 (60mg, 0.314mmol) 용액에 3-브로모피페리딘-2,6-디온 (90mg, 0.471mmol)과 K2CO3 (129mg, 0.942mmol)을 순차적으로 가하였다. 반응물을 5시간 동안 85℃로 가열하였다. 냉각 후, 반응물을 물(5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 (5ml)로 2회 추출하였다. 결합한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시켰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흰색 결정으로 수득하였다(68mg, 71.7%). MS (ESI, m/z): [M+1]+ = [302.6].
1-7) 3-(8-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39
메탄올 (5ml) 중의 3-(8-니트로-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 (25mg, 0.82mmol) 용액에 20mg의 10% Pd/C (습식) (5mg)을 가하고, 벌룬 내 수소 하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99%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ESI, m/z): [M+1]+ = [272.3].
Figure 112021102564500-pat00040
실시예 2:
화합물
Figure 112021102564500-pat00041
의 제조
2-1) 메틸 2-메틸-3-니트로벤조에이트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42
실온에서, 아세톤 (100ml) 중의 2-메틸-3-니트로벤조 산 (5g, 27.6 mmol) 용액에 K2CO3 (19.1g, 138 mmol)을 가하였다. 30분간 교반 후, 반응물에 요오드화 메탄 (19.6g, 138 mmol)을 가하고, 6시간 동안 60oC로 가열하였다. 냉각 후, 반응물을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생성물을 추가 정제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5.45g, 98%) MS (ESI, m/z): [M+1]+ = [195.3].
2-2) 메틸 2-(브로모메틸)-3-니트로벤조에이트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43
실온에서, ClCH2CH2Cl (100ml) 중의 메틸 2-메틸-3-니트로벤조에이트 (5.39g, 27.6 mmol) 용액에 1-브로모피롤리딘-2,5-디온 (7.39g, 41.4mmol) 및 벤조일 벤젠카보퍼옥소에이트 (0.67g, 7.26mmol)을 순차적으로 가하였다. 반응물을 3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붉은 색이 사라지는 시점이 반응 완료 시점이다. 냉각 후, 반응물을 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추가 정제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7.34g, 98%) MS (ESI, m/z): [M+1]+ = [274.4].
2-3) 메틸 2-포르밀-3-니트로벤조에이트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44
실온에서, DCM (30ml) 중의 메틸 2-(브로모메틸)-3-니트로벤조에이트 (580mg, 2.12mmol) 용액에 NMO (561mg, 4.87mmol) 및 4Å 분자체를 순차적으로 가하였다. 반응물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분자체를 여과하고, DCM (10ml)로 세척하였다. DCM 층을 물(50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시켰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흰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350mg, 79.07%) MS (ESI, m/z): [M+1]+ = [210.0].
2-4) 2-포르밀-3-니트로벤조산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45
실온에서, THF (10ml) 중의 메틸 2-포르밀-3-니트로벤조에이트 (2g, 9.56mmol) 용액에 리튬(+1) 하이드록사이드 (1.15g, 47.8mmol) 수용액(10ml)을 가하였다. 2시간 교반 후, 반응물을 감압 농축하여 THF를 건조시켰다. 0℃로 냉각시킨 후, 반응물을 1N HCl로 산성화시켜 pH를 4로 조정하였다.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ml)로 2회 추출하였다. 결합한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시켜, 흰색 결정을 수득하였다(1.50g, 80.3%). MS (ESI, m/z): [M+1]+ = [195.2].
2-5) 5-니트로프탈라진-1(2H)-온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46
실온에서, 메탄올 (10ml) 중의 2-포르밀-3-니트로벤조산 (1.2g, 6.15mmol) 용액에 NH2NH2 일수화물 (417mg, 8.33mmol)을 가하였다. 30분간 교반 후, 반응물을 2시간 동안 80℃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감압 농축하였다. 잔사를 물(50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 (50ml)로 2회 추출하였다. 결합한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시켜, 흰색 결정을 수득하였다(1g, 85.07%). MS (ESI, m/z): [M+1]+ = [191.8].
2-6) 3-(5-니트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47
DMF (1ml) 중의 5-니트로프탈라진-1(2H)-온 (60mg, 0.314mmol) 용액에 3-브로모피페리딘-2,6-디온 (90mg, 0.471mmol)과 K2CO3 (129mg, 0.942mmol)을 순차적으로 가하였다. 반응물을 5시간 동안 85℃로 가열하였다. 냉각 후, 반응물을 물(5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 (5ml)로 2회 추출하였다. 결합한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시켰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흰색 결정으로 수득하였다(68mg, 71.7%). MS (ESI, m/z): [M+1]+ = [302.4].
2-7) 3-(5-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48
메탄올 (5ml) 중의 3-(5-니트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25mg, 0.82mmol) 용액에 20mg의 10% Pd/C (습식) (5mg)을 가하고, 벌룬 내 수소 하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99% 수율로 수득하였다. MS (ESI, m/z): [M+1]+ = [272.3].
Figure 112021102564500-pat00049
실시예 3:
화합물
Figure 112021102564500-pat00050
의 제조
3-1) 메틸 2-플루오로-6-메틸벤조에이트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51
실온에서, 아세톤 (200ml) 중의 2-플루오로-6-메틸벤조 산 (10g, 64.9 mmol) 용액에 K2CO3 (44.8g, 324 mmol)을 가하였다. 30분간 교반 후, 반응물에 요오드화 메탄 (46g, 324 mmol)을 가하고, 6시간 동안 60oC로 가열하였다. 냉각 후, 반응물을 여과하고, 감암 하에서 농축하였다. 생성물을 추가 정제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11.2g, 수율 103%) MS (ESI, m/z): [M+1]+ = [168.3].
3-2) 메틸 2-(브로모메틸)-6-플루오로벤조에이트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52
실온에서, ClCH2CH2Cl (250ml) 중의 메틸 2-플루오로-6-메틸벤조에이트 (21.2g, 126 mmol) 용액에 1-브로모피롤리딘-2,5-디온 (24.7g, 139mmol) 및 벤조일 벤젠카보퍼옥소에이트 (1.53g, 6.30mmol)을 순차적으로 가하였다. 반응물을 16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붉은 색이 사라지는 시점이 반응 완료 시점이다. 냉각 후, 반응물을 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 을 추가 정제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35g, 수율 112%) MS (ESI, m/z): [M+1]+ = [245.9].
3-3) 메틸 2-플루오로-6-포르밀벤조에이트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53
실온에서, DCM (280ml) 중의 메틸 2-(브로모메틸)-6-플루오로벤조에이트 (35g, 142mmol) 용액에 NMO(24.9g, 212mmol)를 가하였다. 반응물을 4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DCM 층을 물(200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시켰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흰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1.52g, 수율 45%) MS (ESI, m/z): [M+1]+ = [183.1].
3-4) 2-플루오로-6-포르밀벤조산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54
실온에서, THF (82ml) 중의 메틸 2-플루오로-6-포르밀벤조에이트 (11.5g, 63.2mmol) 용액에 리튬(+1) 하이드록사이드 (7.57g, 180mmol) 수용액(41ml)을 가하였다. 4시간 교반 후, 반응물을 감압 농축하여 THF를 건조시켰다. 0℃로 냉각시킨 후, 반응물을 1N HCl로 산성화시켜 pH를 4로 조정하였다.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ml)로 2회 추출하였다. 결합한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시켜, 흰색 결정을 수득하였다(10.4g, 97.8%). MS (ESI, m/z): [M+1]+ = [168.8].
3-5) 8-플루오로프탈라진-1(2H)-온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55
실온에서, 메탄올 (120ml) 중의 2-플루오로-6-포르밀벤조산 (10.4g, 61.9mmol) 용액에 NH2NH2 일수화물 (3.72mg, 61.9mmol)을 가하고,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흰색 침전물을 여과하고,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수득한 흰색 결정을 100ml의 에틸 아세테이트(EA)로 슬러리화하고, 여과하여 흰색 결정을 수득하였다(3.05g, 30%). MS (ESI, m/z): [M+1]+ = [164.8].
3-6) 3-(8-플루오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56
0℃에서 DMF (5ml) 중의 8-플루오로프탈라진-1(2H)-온 (200mg, 1.22mmol) 용액에 NaH (60%, 53.6mg, 1.34mmol)을 가하고, 30분간 교반하였다. 이 용액에 3-브로모피페리딘-2,6-디온 (468mg, 2.44mmol)을 가하고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로 반응을 종결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20ml)로 2회 추출하였다. 결합한 에틸 아세테이트를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시켰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흰색 결정으로 수득하였다(70mg, 20.8%). MS (ESI, m/z): [M+1]+ = [276.1].
Figure 112021102564500-pat00057
실시예 4:
화합물
Figure 112021102564500-pat00058
의 제조
4-1) 메틸 5-플루오로-6-메틸벤조에이트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59
실온에서, 메탄올 (60ml) 중의 3-플루오로-2-메틸벤조 산 (10g, 64.9 mmol) 용액에 황산 (2ml)을 가하였다. 80oC로 가열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 후, 반응물을 증발시키고, NaHCO3 및 에틸아세테이트(EA)로 추출하였다. MgSO4로 건조시켰다. 조 생성물을 추가 정제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10.1g, 수율 92%) MS (ESI, m/z): [M+1]+ = [168.3].
4-2) 메틸 2-(브로모메틸)-3-플루오로벤조에이트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60
실온에서, ClCH2CH2Cl (250ml) 중의 메틸 3-플루오로-2-메틸벤조에이트 (10g, 59.5mmol) 용액에 1-브로모피롤리딘-2,5-디온 (15.9g, 89.2mmol) 및 벤조일 벤젠카보퍼옥소에이트 (0.72g, 2.97mmol)을 순차적으로 가하였다. 반응물을 16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붉은 색이 사라지는 시점이 반응 완료 시점이다. 냉각 후, 반응물을 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추가 정제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10.5g, 수율 71%) MS (ESI, m/z): [M+1]+ = [245.9].
4-3) 메틸 3-플루오로-2-포르밀벤조에이트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61
실온에서, DCM (200ml) 중의 메틸 2-(브로모메틸)-3-플루오로벤조에이트 (10g, 40.5mmol) 용액에 NMO (10.4g, 89mmol), 4Å 분자체를 가하였다. 반응물을 4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DCM 층을 물(200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시켰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5.5g, 75%) MS (ESI, m/z): [M+1]+ = [183.1].
4-4) 3-플루오로-2-포르밀벤조산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62
실온에서, THF (68ml) 중의 메틸 3-플루오로-2-포르밀벤조에이트 (2.5g, 13.7mmol) 용액에 리튬(+1) 하이드록사이드 일수화물 (2.88g, 68.6mmol) 수용액(41ml)을 가하였다. 4시간 교반 후, 반응물을 감압 농축하여 THF를 건조시켰다. 0℃로 냉각시킨 후, 반응물을 1N HCl로 산성화시켜 pH를 4로 조정하였다.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ml)로 2회 추출하였다. 결합한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시켜, 흰색 결정을 수득하였다(2.5g, 108%). MS (ESI, m/z): [M+1]+ = [168.8].
4-5) 5-플루오로-1,2-디하이드로프탈라진-1-온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63
실온에서, THF:물=1:1 (70ml) 중의 3-플루오로-2-포르밀벤조산 (2.5g, 14.9mmol) 용액에 NH2NH2 일수화물 (1.22mg, 16.4mmol)을 가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pH 4로 산성화하고, 고체를 헥산으로 여과하였다. 진공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1.3g, 53%). MS (ESI, m/z): [M+1]+ = [165.3]
4-6) 3-(5-플루오로-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64
0℃에서 DMF (10ml) 중의 5-플루오르-1,2-디하이드로로프탈라진-1-온 (300mg, 1.83mmol) 용액에 LDA (리튬 디이소프로필 아마이드, 2.19mmol)을 가하고, 30분간 교반하였다. 이 용액에 3-브로모피페리딘-2,6-디온 (526mg, 2.74mmol)을 가하고 6시간 동안 8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100ml)에 붓고, 6N HCl로 pH를 3~4로 조정하고, 그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이를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시켰다. 생성물을 헥산으로 재결정하고, 진공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ESI, m/z): [M+1]+ = [276.1].
Figure 112021102564500-pat00065
실시예 5
화합물
Figure 112021102564500-pat00066
의 제조
5-1) 메틸 4-플루오로-6-메틸벤조에이트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67
실시예 4-1의 제조방법에 준하여, 4-플루오로-2-메틸벤조산으로부터 메틸 4-플루오로-2-메틸벤조에이트를 제조하였다.
5-2) 메틸 2-(브로모메틸)-4-플루오로벤조에이트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68
실온에서, ClCH2CH2Cl (100ml) 중의 메틸 4-플루오로-2-메틸벤조에이트 (20g, 119mmol) 용액에 1-브로모피롤리딘-2,5-디온 (31.8g, 178mmol) 및 벤조일 벤젠카보퍼옥소에이트 (1.92g, 5.95mmol)을 순차적으로 가하였다. 반응물을 3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붉은 색이 사라지는 시점이 반응 완료 시점이다. 냉각 후, 반응물을 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시켰다. 생성물을 MPLC (HX/EA EA 0 -> 5%)로 정제하였다(22g, 수율 75%). MS (ESI, m/z): [M+1]+ = [248.4].
5-3) 메틸 3-플루오로-2-포르밀벤조에이트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69
실온에서, DCM (100ml) 중의 메틸 2-(브로모메틸)-4-플루오로벤조에이트 (22g, 89mmol) 용액에 NMO (15.6mg, 134mmol) 및 4Å 분자체를 순차적으로 가하였다. 반응물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분자체를 여과하고, DCM (50ml)로 세척하였다. DCM 층을 물(200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시켰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흰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2g, 73.98%) MS (ESI, m/z): [M+1]+ = [183.2].
5-4) 4-플루오로-2-포르밀벤조산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70
실온에서, THF (50ml) 중의 메틸 4-플루오로-6-포르밀벤조에이트 (12g, 65.9mmol) 용액에 리튬(+1) 하이드록사이드 (13.8g, 329mmol) 수용액(50ml)을 가하였다. 2시간 교반 후, 반응물을 감압 농축하여 THF를 건조시켰다. 0℃로 냉각시킨 후, 반응물을 1N HCl로 산성화시켜 pH를 4로 조정하였다.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ml)로 2회 추출하였다. 결합한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시켜, 흰색 결정을 수득하였다(10g, 90.3%). MS (ESI, m/z): [M+1]+ = [169.2].
5-5) 6-플루오로-1,2-디하이드로프탈라진-1-온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71
실온에서, 메탄올 (50ml) 중의 4-플루오로-2-포르밀벤조산 (6.78g, 40.3mmol) 용액에 NH2NH2 일수화물 (2.02g, 40.3mmol)을 가하였다. 30분간 교반 후, 반응물을 2시간 동안 80℃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감압 농축하였다. 잔사를 물(150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 (150ml)로 2회 추출하였다. 결합한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시켜, 흰색 결정을 수득하였다(5.5g, 83.07%). MS (ESI, m/z): [M+1]+ = [165.3].
5-6) 3-(6-플루오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72
0℃에서 DMF (2ml) 중의 6-플루오르-1,2-디하이드로로프탈라진-1-온 (100mg, 0.609mmol) 용액에 소듐 2-메틸프로판-2-올레이트 (175mg, 0.914mmol)을 가하였다. 30분간 교반한 후, 3-브로모피페리딘-2,6-디온 (90mg, 0.471mmol)을 반응 혼합물에 가하고 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20ml)을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20ml)로 2회 추출하였다. 결합된 에틸 아세테이트를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시켰다. 잔사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흰색 결정으로 수득하였다(110mg, 65.5%). MS (ESI, m/z): [M+1]+ = [276.6].
Figure 112021102564500-pat00073
실시예 6
화합물
Figure 112021102564500-pat00074
의 제조
6-1) 메틸 4-플루오로-6-메틸벤조에이트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75
실시예 4-1의 제조방법에 준하여, 5-플루오로-2-메틸벤조산으로부터 메틸 5-플루오로-2-메틸벤조에이트를 제조하였다.
6-2) 메틸 2-(브로모메틸)-5-플루오로벤조에이트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76
실온에서, ClCH2CH2Cl (100ml) 중의 메틸 5-플루오로-2-메틸벤조에이트 (20g, 119mmol) 용액에 1-브로모피롤리딘-2,5-디온 (31.8g, 178mmol) 및 벤조일 벤젠카보퍼옥소에이트 (1.92g, 5.95mmol)을 순차적으로 가하였다. 반응물을 3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붉은 색이 사라지는 시점이 반응 완료 시점이다. 냉각 후, 반응물을 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시켰다. 생성물을 MPLC (HX/EA EA 0 -> 5%)로 정제하였다(29g, 수율 98.8%). MS (ESI, m/z): [M+1]+ = [248.4].
6-3) 메틸 5-플루오로-2-포르밀벤조에이트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77
실온에서, DCM (100ml) 중의 메틸 2-(브로모메틸)-5-플루오로벤조에이트 (29g, 117mmol) 용액에 NMO (20.6mg, 176mmol) 및 4Å 분자체를 순차적으로 가하였다. 반응물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분자체를 여과하고, DCM (50ml)로 세척하였다. DCM 층을 물(200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시켰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흰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5g, 수율 70.16%) MS (ESI, m/z): [M+1]+ = [183.2].
6-4) 5-플루오로-2-포르밀벤조산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78
실온에서, THF (50ml) 중의 메틸 5-플루오로-2-포르밀벤조에이트 (15g, 82.3mmol) 용액에 리튬(+1) 하이드록사이드 (17.3g, 412mmol) 수용액(50ml)을 가하였다. 2시간 교반 후, 반응물을 감압 농축하여 THF를 건조시켰다. 0℃로 냉각시킨 후, 반응물을 1N HCl로 산성화시켜 pH를 4로 조정하였다.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ml)로 2회 추출하였다. 결합한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시켜, 흰색 결정을 수득하였다(12g, 86.67%). MS (ESI, m/z): [M+1]+ = [169.2].
6-5) 7-플루오로-1,2-디하이드로프탈라진-1-온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79
실온에서, 메탄올 (50ml) 중의 5-플루오로-2-포르밀벤조산 (8.16g, 48.5mmol) 용액에 NH2NH2 일수화물 (3.74g, 74.8mmol)을 가하였다. 30분간 교반 후, 반응물을 2시간 동안 80℃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감압 농축하였다. 잔사를 물(150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 (150ml)로 2회 추출하였다. 결합한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시켜, 흰색 결정을 수득하였다(6.5g, 81.59%). MS (ESI, m/z): [M+1]+ = [165.3].
6-6) 3-(7-플루오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80
0℃에서 DMF (5ml) 중의 7-플루오르-1,2-디하이드로로프탈라진-1-온 (500mg, 3.05mmol) 용액에 소듐 2-메틸프로판-2-올레이트 (586mg, 6.09mmol)을 가하였다. 30분간 교반한 후, 3-브로모피페리딘-2,6-디온 (1.05mg, 5.48mmol)을 반응 혼합물에 가하고 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50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50ml)로 2회 추출하였다. 결합된 에틸 아세테이트를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시켰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흰색 결정으로 수득하였다(300mg, 35.78%). MS (ESI, m/z): [M+1]+ = [276.6].
Figure 112021102564500-pat00081
실시예 7
화합물
Figure 112021102564500-pat00082
의 제조 (반응식 2에 준하여 제조함)
7-1) 메틸 2-아세틸-6-플루오로벤조에이트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83
톨루엔 (20ml) 중의 메틸 2-아세틸-6-플루오로벤조에이트 (1.12g, 4.81mmol) 및 트리부틸(1-에톡시비닐)주석 (1.91g, 5.29mmol)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557mg, 0.48mmol)을 가하고, 10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 후, 5ml의 1N-HCl을 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암 하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820mg, 수율 87%) MS (ESI, m/z): [M+1]+ = [196.8].
7-2) 2-아세틸-6-플루오로벤조 산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84
THF (20ml) 및 물 (10ml) 중의 메틸 2-아세틸-6-플루오로벤조에이트 (810mg, 4.13mmol) 용액에 LiOH (494mg, 20.6mmol)을 가하고,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1N-HCl로 산성화시켜 pH가 약 3이 되도록 하였다. 100ml EA를 가하고,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810mg 수율 108%) MS (ESI, m/z): [M+1]+ = [183.1].
7-3) 8-플루오로-4-메틸프탈라진-1(2H)-온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85
메탄올 (23ml) 중의 2-아세틸-6-플루오로벤조 산 (790mg, 4.34mmol) 용액에 히드라진 일수화물 (261mg, 5.20mmol)을 가하고,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ACN (아세토니트릴)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 을 흰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612mg, 수율 79.2%) MS (ESI, m/z): [M+1]+ = [179.1].
7-4) 3-(8-플루오로-4-메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86
0℃에서 THF(30 ml) 중의 8-플루오로-4-메틸프탈라진-1(2H)-온(534 mg, 3 mmol) 용액에 1M-리튬 디이소프로필아마이드 (3.6 ml, 3.6 mmol)을 가하고, 20분간 교반하였다. 이 용액에 3-브로보피페리딘-2,6-디온(863 mg, 4.5 mmol)을 가하고 8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감압 농축하여 건조시켰다. 물(10 ml)를 넣고 1시간 교반 후, 1N-HCl로 산성화시켜 pH를 4로 조정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을 흰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760 mg, 수율: 86.5 %). MS (ESI, m/z): [M+1]+ = [289.8].
Figure 112021102564500-pat00087
실시예 8
화합물
Figure 112021102564500-pat00088
의 제조
8-1) 3-(8-((2,4-디메톡시벤질)아미노)-4-메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의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89
NMP (N-메틸-피롤리돈) (1mL) 중의 3-(8-플루오로-4-메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0.104 mmol), 2,4-디메톡시벤질아민 (0.207 mmol) 및 DIPEA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312 mmol) 용액을 120oC에서 2시간 동안 마이크로파로 자극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C18, 물(0.1% FA) / ACN (0.1% FA), 구배)로 정제하여, 33mg의 흰색 고체를 수득하였다(33mg, 수율 72 %). MS (ESI, m/z): [M+1]+ = [437.0]
8-2) 3-(8-아미노-4-메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의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90
톨루엔 (0.7mL) 중의 3-(8-((2,4-디메톡시벤질)아미노)-4-메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14mg, 0.032mmol)에 0.3ml 의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가하고, 8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18, 물(0.1% FA) / ACN (0.1% FA), 구배)로 정제하여, 7.5 mg 의 흰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7.5mg, 수율 82 %). MS (ESI, m/z): [M+1]+ = [287.0]
[NMR] 1H NMR (400 MHz, DMSO-d6) δ10.98 (s, 1H), 7.54 (t, J = 8.0 Hz, 1H), 7.37 (brs, 2H), 6.95 (d, J = 8.2 Hz, 1H), 6.88 (d, J = 7.6 Hz, 1H), 5.62 (br dd, J = 5.3, 12.0 Hz, 1H), 3.0 - 2.82 (m, 1H), 2.66 - 2.52 (m, 2H), 2.39 (s, 3H), 2.11 - 2.02 (m, 1H)
실시예 9
화합물
Figure 112021102564500-pat00091
의 제조
9-1) tert-부틸 4-(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92
6-플로오로-1,2-디하이드로프탈라진-1-온 (100mg, 0.36mmol) 및 tert-부틸 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81.2mg, 0.36mmol)를 NMP (1mL)에 용해시키고, 반응 혼합물에 DIPEA (5당량)을 가하고, 12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반응을 물로 종료시키고, EA로 추출하고, NH4Cl 포화 수용액 및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에 로딩하고, MPLC로 분리하여(HX/EA 30% -> 50% for 10 min), 오일 생성물을 수득하였다(110mg, 수율 66%).
9-2) 3-(1-옥소-6-(피페라진-1-일)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의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93
tert-부틸 4-[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를 DCM (1ml) 중의 20% TFA 용액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을 NaHCO3 포화 수용액으로 종료시키고, EA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MPLC (MC/ME Me 0 -> 10%)로 정제하였다. 흰색 고체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40 mg, 수율 86%)
[NMR] 1H NMR (400 MHz, DMSO-d6) δ 8.24 (s, 1 H) 8.02 (d, J=9.05 Hz, 1 H) 7.47 (dd, J=8.93, 2.57 Hz, 1 H) 7.31 (s, 0.5 H) 7.23 (d, J=2.45 Hz, 1 H) 7.13 (s, 0.5 H) 5.34 (dd, J=8.93, 4.52 Hz, 1 H) 3.28 - 3.44 (m, 6 H) 2.85 - 2.95 (m, 4 H) 2.30 - 2.40 (m, 1 H) 2.16 - 2.30 (m, 2 H)
MS (ESI, m/z): [M+1]+ = [342.2].
실시예 10
화합물
Figure 112021102564500-pat00094
의 제조
10-1) tert-부틸 4-(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95
3-(7-플루오로-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 (100mg, 0.36mmol) 및 tert-부틸 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81.2mg, 0.44mmol)를 NMP (1 mL)에 용해시키고, DIPEA (5 당량)를 반응 혼합물에 가하고, 12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반응을 물로 종료시키고, EA로 추출하고, NH4Cl 포화 수용액 및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에 로딩하고, MPLC로 분리하여(HX/EA 30% -> 50% for 10 min), 오일로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110mg, 66%).
10-2) 3-(1-옥소-7-(피페라진-1-일)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의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96
tert-부틸 4-[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60mg, 0.14 mmol)을 DCM(1ml) 중의 20% TFA에 녹이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을 NaHCO3 포화 수용액으로 종료시키고, EA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MPLC (MC/ME Me 0 -> 10%)로 정제하여, 생성물로서 흰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수율: 40 mg/ 86%).
[NMR] 1H NMR (400 MHz, DMSO-d6) δ 8.21 - 8.29 (m, 1 H) 7.76 (d, J=8.80 Hz, 1 H) 7.58 (dd, J=8.93, 2.57 Hz, 1 H) 7.47 (d, J=2.45 Hz, 1 H) 7.28 (s, 0.5 H) 7.13 (s, 0.5 H) 5.34 - 5.44 (m, 1 H) 3.26 - 3.33 (m, 4 H) 2.81 - 2.91 (m, 3 H) 2.62 - 2.69 (m, 1 H) 2.55 - 2.62 (m, 1 H) 2.31 - 2.44 (m, 1 H) 2.15 - 2.31 (m, 2 H)
MS (ESI, m/z): [M+1]+ = [342.2].
실시예 11: 3-(8-메톡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의 제조
화합물
Figure 112021102564500-pat00097
의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098
3-(6-플루오로-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100mg, 0.36mmol)을 DMSO(1ml)에 녹이고, NaOMe(19.6mg, 0.36mmol)를 반응 혼합물에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유기 용매를 제거하고, EA 및 물로 추출하였다. 혼합물을 MPLC로 정제하고, 생성물을 흰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수율: 80mg / 76%).
[NMR] 1H NMR (400 MHz, DMSO-d6) δ 11.04 (br. s., 1 H) 8.40 (s, 1 H) 8.14 - 8.25 (m, 1 H) 7.42 - 7.49 (m, 2 H) 5.80 (dd, J=12.23, 5.38 Hz, 1 H) 3.94 (s, 3 H) 2.86 - 2.99 (m, 1 H) 2.52 - 2.67 (m, 2 H) 2.07 - 2.17 (m, 1 H)
MS (ESI, m/z): [M+1]+ = [288.2].
실시예 12: 3-(7-메톡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의 제조
화합물
Figure 112021102564500-pat00099
의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00
3-(7-플루오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100mg, 0.36mmol)을 DMSO(1ml) 중에 용해시키고, NaOMe(19.6mg, 0.36mmol)를 반응 혼합물에 가하였다. 반흥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유기 용매를 제거하고, EA 및 물로 추출하였다. 혼합물을 MPLC로 정제하고, 생성물을 흰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78mg / 75%)
[NMR] 1H NMR (400 MHz, DMSO-d6) δ 11.01 - 11.11 (m, 1 H) 8.38 - 8.45 (m, 1 H) 7.90 - 7.96 (m, 1 H) 7.65 (d, J=2.69 Hz, 1 H) 7.56 (dd, J=8.68, 2.57 Hz, 1 H) 5.77 - 5.85 (m, 1 H) 3.93 - 3.98 (m, 3 H) 2.87 - 3.00 (m, 1 H) 2.53 - 2.70 (m, 2 H) 2.06 - 2.18 (m, 1 H)
MS (ESI, m/z): [M+1]+ = [288.2].
실시예 13: 3-(6-메톡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의 제조
화합물
Figure 112021102564500-pat00101
의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02
3-(6-플루오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100mg, 0.36mmol)을 DMSO(1ml) 중에 용해시키고, NaOMe(19.6mg, 0.36mmol)를 반응 혼합물에 가하였다. 반흥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유기 용매를 제거하고, EA 및 물로 추출하였다. 혼합물을 MPLC로 정제하고, 생성물을 흰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80mg / 76%)
[NMR] 1H NMR (400 MHz, DMSO-d6) δ 11.01 (s, 1 H) 8.32 (s, 1 H) 7.88 (t, J=8.01 Hz, 1 H) 7.40 (d, J=8.31 Hz, 1 H) 7.44 (d, J=7.70 Hz, 1 H) 5.64 (dd, J=11.49, 4.52 Hz, 1 H) 3.90 (s, 3 H) 2.83 - 2.96 (m, 1 H) 2.52 - 2.66 (m, 2 H) 2.03 - 2.13 (m, 1 H)
MS (ESI, m/z): [M+1]+ = [288.2].
실시예 14: 3-(5-메톡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의 제조
화합물
Figure 112021102564500-pat00103
의 제조
14-1) 메틸 2-(브로모메틸)-3-메톡시벤조에이트의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04
실온에서 ClCH2CH2Cl (250 ml) 중의 메틸 2-메틸-3-메톡시벤조에이트 (11.7 g, 64.9 mmol) 용액에 1-브로모피롤리딘-2,5-디온 (11.5 g, 64.94 mmol) 및 벤조일 벤젠카보퍼옥소에이트 (786 mg, 3.24 mmol) 를 순차적으로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붉은색이 사라지는 시점이 반응 완료 시점이다. 냉각 후, 반응물을 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였다. 조 생성물을 추가 정제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16.5 g, 98.2%) MS (ESI, m/z): [M+1]+ = [259.4].
14-2) 메틸 2-포르밀-3-메톡시벤조에이트의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05
DCM (300 mL) 중의 메틸 2-(브로모메틸)-3-메톡시벤조에이트 (14.1 g, 54.1 mmol) 용액에 NMO (12.6 g, 108.1 mmol) 및 4Å 분자체 (50 g)을 실온에서 순차적으로 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분자체를 여과하고, DCM (100 mL)로 세척하였다. DCM 층을 물(250 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표제 화합물을 흰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8.3 g, 80.01%)
MS (ESI, m/z): [M+1]+ = [195.0].
14-3) 2-포르밀-3-메톡시벤조 산의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06
THF (100 mL) 중의 메틸 2-포르밀-3-메톡시벤조에이트 (6.5 g, 33.6 mmol) 용액에 H2O (100 mL) 중의 리튬(1+) 하이드록사이드 (2.4 g, 100.5 mmol)를 실온에서 가하였다.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물을 감압 농축하여 THF를 증발시켰다. 0℃로 냉각시킨 후, 반응물을 1N HCl로 산성화하여 pH를 4로 조정하였다. 반응물을 ethyl acetate (250 mL)로 2회 추출하였다. 결합된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여, 흰색 결정 을 수득하였다. (11.2g, 82.6%)
MS (ESI, m/z): [M+1]+ = [199.2].
14-4) 5-메톡시프탈라진-1(2H)-온의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07
MeOH (20 mL) 중의 2-포르밀-3-메톡시벤조 산 (8.2 g, 45.5 mmol) 용액에 NH2NH2 일수화물 (10.3g, 342mmol)을 실온에서 가하였다.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물을 감압 농축하고, 물(50 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 (150 mL)로 2회 추출하였다. 결합된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여 흰색 결정을 수득하였다. (9.2g, 76.35%)
MS (ESI, m/z): [M+1]+ = [176.9].
14-5) 3-(5-메톡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의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08
THF (250 mL) 중의 5-메톡시프탈라진-1(2H)-온 (5.1g, 28.9 mmol) 일부 현탁액에 1.0 M LDA (37.4 mL)를 0℃에서 적가하였다. 30분간 교반한 후, 3-브로모피페리딘-2,6-디온을 반응물에 일부분씩 가하였다. 반응물을 80℃로 가열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료되면,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물(100 ml)에 붓고, 6N HCl로 pH를 3~4로 조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이를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였다. 잔사를 M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흰색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7.2g, 수율 86.5%)
MS (ESI, m/z): [M+1]+ = [288.3].
[NMR] 1H NMR (400 MHz, DMSO-d6) δ11.06 (s, 1H), 8.51 (s, 1H), 7.87-7.77 (m, 2H), 7.54-7.51 (m, 1H), 5.85 (m, 1H), 4.0 (s, 3H), 2.98 - 2.90 (m, 1H), 2.65 - 2.55 (m, 2H), 2.14 - 2.09 (m, 1H).
실시예 15: 3-(6-브로모-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의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09
15-1) 5-브로모-3-하이드록시이소벤조푸란-1(3H)-온의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10
200 ml 의 ClCH2CH2Cl 중의 5-브로모프탈라이드 (5.2 g, 24.4 mmol) 및 N-브로모숙신이미드 (5.6 g, 31.7 mmol) 혼합물에 AIBN (401 mg, 2.44 mmol)을 가하고, 8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에 뒤이어 TLC를 진행하였다. 숙신이미드를 여과하고, 케이크를 ClCH2CH2Cl (50 mL)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잔사 5.2g를 남기고, 여기에 50 ml 물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환류시키고,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생성물을 여과하고, 물로 중화 세척하고, 건조하여, 옅은 황백색의 결정을 수득하였다. (4.85g, 수율 86.7%)
MS (ESI, m/z): [M+1]+ = [229.6] and [230.5]
15-2) 6-브로모프탈라진-1(2H)-온의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11
MeOH (50 mL) 중의 5-브로모-3-하이드록시-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1-온 (1.5g, 6.55 mmol) 용액에 NH2NH2 H2O (315 mg, 9.82 mmol)를 실온에서 가하고,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을 5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감압 농축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분쇄(trituration)하여, 흰색 결정을 수득하였다. (1.31g, 5.82 mmol)
MS (ESI, m/z): [M+1]+ = [226.3].
15-3) 3-(6-브로모-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의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12
THF (150 mL) 중의 6-브로모-1,2-디하이드로프탈라진-1-온 (1.31g, 5.82mmol) 현탁액에 1.0 M LDA (7.33 mL)을 0℃에서 적가하였다. 30분간 교반한 후, 3-브로모피페리딘-2,6-디온을 반응물에 일부분씩 가하였다. 반응물을 80℃로 가열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료되면,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100 ml)에 붓고, 6N HCl로 pH를 3~4로 조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이를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여, 흰색 결정을 수득하였다.(1.73g, 5.15 mmol)
MS (ESI, m/z): [M+1]+ = [337.2].
[NMR] 1H NMR (400 MHz, DMSO-d6) δ11.08 (s, 1H), 8.45 (s, 1H), 8.28 (s, 1H), 8.18-8.16 (m, 1H), 8.06-8.04 (m, 1H), 5.84-5.80 (m, 1H), 2.93 - 2.90 (m, 1H), 2.65 - 2.54 (m, 2H), 2.15 - 2.12 (m, 1H).
실시예 16: 3-(1-옥소-8-(피페라진-1-일)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2HCl의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13
16-1) 3-(1-옥소-8-(피페라진-1-일)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이염산염 의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14
DMA(4 mL) 중의 3-(8-플루오로-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 (0.3g, 1.09 mmol) 용액에 tert-부틸 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244 mg, 1.13 mmol) 및 에틸비스(프로판-2-일)아민 (423 mg, 3.24 mmol)을 순차적으로 가하였다. 혼합물을 120℃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옅은 황백색의 오일을 수득하였다. (415 mg, 86.2%)
MS (ESI, m/z): [M+1]+ = [442.4]
16-2) 3-(1-옥소-8-(피페라진-1-일)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이염산염의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15
DMF (1 mL) 중의 8-니트로-1,2-디하이드로프탈라진-1-온(60 mg, 0.314 mmol) 용액에 3-브로모피페리딘-2,6-디온(90 mg, 0.471 mmol) 및 K2CO3 (129 mg, 0.942 mmol)를 순차적으로 가하였다. 반응을 85℃로 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 후, 반응 혼합물을 물(5 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5 mL)로 2회 추출하였다. 결합된 에틸 아세테이트를 MgSO4 로 추출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흰색 결정으로 수득하였다. (68.0 mg, 수율 71.7%)
MS (ESI, m/z): [M+1]+ = [342.6].
[NMR] 1H NMR (400 MHz, DMSO-d6) δ11.02 (s, 1H), 8.35 (s, 1H), 7.87-7.83 (m, 1H), 7.53-7.51 (m, 1H), 7.39-7.41 (m, 1H), 5.55 (m, 1H), 3.31-3.27 (br, 8H), 2.88 - 2.80 (m, 1H), 2.64 - 2.57 (m, 2H), 2.50 (br, 1H), 2.13 - 2.08(m, 1H).
실시예 B : 프로탁 제조
실시예 21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메틸)아세트아마이드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16
링커와 E3 효소 리간드의 연결
과정 1) tert-부틸 (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틸)카바메이트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17
DMF (2ml) 중의 3-(8-플루오로-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 (0.13mmol), tert-부틸 N-{2-[2-(2-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틸}카바메이트 (0.15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DIPEA) (0.38mmol) 용액을 120℃에서 2시간 동안 마이크로파 상에서 자극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위 반응식과 같이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MS (ESI, m/z): [M+1]+ = [504.0]
과정 2) 3-(8-((2-(2-(2-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HCl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18
tert-부틸 N-{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틸}카바메이트 (0.10mmol)를 아세토니트릴 (1mL)에 용해하고, 여기에 디옥산(1ml) 중의 4N HCl을 실온에서 가하였다. 반응을 1시간 동안 진행시켰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시키고, 추가 정제 과정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MS (ESI, m/z): [M+1]+ = [404.0]
링커와 표적단백질 리간드의 연결
과정 3)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메틸)아세트아마이드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19
DMF(1ml) 중의 JQ-1 카복실 산 (0.037mmol), 3-[8-({2-[2-(2-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041mmol),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EDCl) (0.041mmol), 및 6-클로로-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Cl-HOBt) (0.041mmol) 용액에 DIPEA (0.13mmol)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목적 화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d 8.89 (br, 1H), 8.64-8.57 (m, 1H), 7.95 (s, 1H), 7.41-7.39(m, 4H), 6.88-6.75(m, 3H), 5.64 (m, 1H), 4.65 (m, 1H), 3.81-3.45 (m, 14H), 2.66 (s, 3H), 2.39 (s, 3H), 1.66 (s, 3H),
MS (ESI, m/z): [M+1]+ = [786.3]
실시예 22
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N-(3-{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1,2,3-벤조트리아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세트아마이드
Figure 112021102564500-pat00120
링커와 E3 효소 리간드의 연결
과정 1) tert-부틸 N-(3-{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1,2,3-벤조트리아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카바메이트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21
DMF (4ml) 중의 3-(5-플루오로-4-옥소-3,4-벤조트리아진-3-일)피페리딘-2,6-디온 (100mg, 0.36mmol) tert-부틸 N-(3-{2-[2-(2-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카바메이트 (136mg, 0.4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DIPEA) (1.02mmol) 용액을 90℃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위 반응식과 같이 생성물을 수득하였다.(Yield : 69.5%, 150mg)
과정 2) 3-{5-[(2-{2-[2-(3-아미노펜옥시)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4-옥소-3,4-디하이드로-1,2,3-벤조트리아진-3-일}피페리딘-2,6-디온 염산염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22
tert-부틸 N-(3-{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1,2,3-벤조트리아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카바메이트 (0.10mmol)를 DCM(2mL)에 용해하고, 여기에 디옥산(1ml) 중의 4N HCl을 천천히 적가하고, 10분간 음파처리하였다(sonification).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사를 메탄올 중에 용해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진공 건조하여, 위 반응식과 같이 생성물을 수득하였다.(수율 75%, 100mg)
링커와 표적단백질 리간드의 연결
과정 3) 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N-(3-{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1,2,3-벤조트리아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세트아마이드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23
DMF(2ml) 중의 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아세트산 (JQ-1 카복실 산) (50mg, 0.13mmol), 3-{5-[(2-{2-[2-(3-아미노펜옥시)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4-옥소-3,4-디하이드-1,2,3-벤조트리아진-3-일}피페리딘-2,6-디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73.1mg, 0.14mmol),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EDCl) (26.3mg, 0.14mmol), 및 6-클로로-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Cl-HOBt) (23.3mg, 0.14mmol) 용액에 DIPEA (78.4㎕, 0.44mmol)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목적 화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Yield : 15.5%, 17mg).
MS (ESI, m/z): [M+1]+ = [881.3].
[NMR] 1H NMR (400 MHz, DMSO-d6) d ppm 11.18 (s, 1 H), 10.30 (s, 1 H), 8.34 (t, J=5.14 Hz, 1 H), 7.77 (t, J=8.07 Hz, 1 H), 7.39 - 7.53 (m, 3 H), 7.36 (s, 1 H), 7.16 - 7.25 (m, 2 H), 7.09 - 7.16 (m, 1 H), 6.94 - 7.03 (m, 1 H), 6.62 (dd, J=8.19, 1.59 Hz, 1 H), 5.86 (dd, J=11.86, 5.01 Hz, 1 H), 4.60 (t, J=7.09 Hz, 1 H), 3.97 - 4.08 (m, 2 H), 3.64 - 3.79 (m, 4 H), 3.61 (s, 4 H), 3.50 (d, J=7.09 Hz, 2 H), 3.40 (q, J=5.05 Hz, 2 H), 2.83 - 2.99 (m, 1 H), 2.57 - 2.70 (m, 5 H), 2.41 (s, 3 H), 2.23 (dd, J=10.15, 5.01 Hz, 1 H), 1.96 (d, J=13.69 Hz, 1 H), 1.62 (s, 3 H)
실시예 23: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3-(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세트아마이드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24
실시예 22와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125
NMP (10 mL) 중의 3-(8-플루오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541 mg, 1.97 mmol), tert-부틸 N-(3-{2-[2-(2-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카바메이트 (870 mg, 2.56 mmol) 및 DIPEA(1 ml) 용액을 100℃에서 6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물 (0.1% FA) / ACN(0.1% FA) = 95/1 to 0/100 구배)로 정제하고, 대응 분획을 감압 하에서 제거하여, 980mg의 밝은 연황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수율 = 83.6 %) MS (ESI, m/z): [M+1]+ = [596.2]
Figure 112021102564500-pat00126
27 ml DCM 중의 tert-부틸 (3-(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카바메이트 (1.35 g, 2.27 mmol) 용액에 6.75 ml TFA 를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진공에서 건조시켰다 (TFA 염의 약 5당량으로서 2.23g). MS (ESI, m/z): [M+1]+ = 496.0
Figure 112021102564500-pat00127
3.3 ml DMF 중의 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아세트산 (401 mg, 1 mmol), 3-(8-((2-(2-(2-(3-아미노펜옥시)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496 mg, 1 mmol) 및 DIPEA (539 μl, 3 mmol) 용액에 EDCl-HCl (230 mg, 1.2 mmol) 및 HOBt (187 mg, 1.1 mmol)를 0℃에서 가하고, 2시간 동안 5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390 mg, 44.4%).
1H NMR (400 MHz, DMSO-d6) δ= 11.03 (s, 1H), 10.30 (s, 1H), 8.83(t, J = 5.14 Hz, 1H), 8.22 (s, 1H), 7.62 (t, J = 8.01 Hz, 1H), 7.49 (d, J= 8.6 Hz, 2H), 7.43 (d, J= 8.6 Hz, 2H), 7.36 (s, 1H), 7.23 - 7.11 (m, 2H), 6.91(d, J = 7.95 Hz, 2H), 6.62 (d, J = 7.49 Hz, 1H), 5.76 - 5.66 (m, 1H), 4.60 (t, J = 7.09 Hz, 1H), 3.76 (m, 2H), 3.67 (m, 2H), 3.60 (m, 4H), 3.50 (m, 2H), 3.38 (m 2H), 2.93 - 2.82 (m, 1H), 2.63 - 2.53 (m, 5H), 2.48 - 2.38 (m, 4H), 2.10 (m, 1H), 1.63 (s, 3H).
MS (ESI, m/z): [M+1]+ = [878.4] and [880.4].
실시예 24:
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N-(4-{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세트아마이드
Figure 112021102564500-pat00128
실시예 23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129
DMF(4mL) 중의 3-(8-플루오로-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50mg, 0.182mmol), tert-부틸 N-(3-{2-[2-(2-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카바메이트(74.2mg, 0.218mmol) 및 DIPEA(129uL, 0.727mmol) 용액을 90℃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생성물을 얻었다. 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 용액에 가하고, 디옥산 중의 4N HCl을 가하였다. 반응물을 1시간 교반하고, 진공에서 건조하였다 (2 단계 수율 : 36.2%, 35mg)
Figure 112021102564500-pat00130
DMF 중의 JQ-1 카복실산(35mg, 0.087mmol), 3-{8-[(2-{2-[2-(4-아미노펜옥시)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 염산염(46.4mg, 0.087mmol), EDCl-HCl(18.4mg, 0.096mmol) 및 HOBt(16.3mg, 0.096mmol) 용액에 DIPEA (54.9uL, 0.306mmol)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 물로 희석하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표제화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MS (ESI, m/z): [M+1]+ = 879.3
[NMR] 1H NMR (400 MHz, DMSO-d6) d ppm 11.03 (s, 1 H), 10.18 (s, 1 H), , 8.83 (t, J=5.01Hz, 1 H), 8.22 (s, 1 H), 7.77 (d, J=8.31 Hz, 2 H), 7.60 - 7.67 (m, 1 H), 7.40 - 7.56 (m, 4 H), 7.35 - 7.42 (m, 2 H), 6.80 - 6.91 (m, 4 H), 4.59 (t, J=7.09 Hz, 1 H), 4.06 - 4.14 (m, 1 H), 3.96 - 4.04 (m, 2 H), 3.61 - 3.73 (m, 2 H), 3.51 - 3.60 (m, 6 H), 3.38 - 3.50 (m, 5 H), 2.56 - 2.65 (m, 4 H), 2.42 (s, 3 H), 1.63 (s, 3 H)
실시예 25: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4-(2-(2-(2-((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세트아마이드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31
실시예 2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132
DMF (2mL) 중의 3-(6-플루오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50.0mg, 0.182 mmol), tert-부틸 (4-(2-(2-(2-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카바메이트 (68.0mg, 0.200mmol) 및 DIPEA (323uL, 1.82 mmol) 용액을 마이크로파로 120 ℃에서 5시간 자극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20.0 mg, 18.5 %). MS (ESI, m/z): [M+1]+ = [596.8]
Figure 112021102564500-pat00133
20% TFA 의 DCM (1 mL) 중의 tert-부틸 (4-(2-(2-(2-((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카바메이트 (15.0mg, 0.025mmol)를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하고,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수율: 10.0mg, 80.1%) MS (ESI, m/z): [M+1]+ = 496.8
Figure 112021102564500-pat00134
DMF(1mL) 중의 JQ-1 카복실산(7.02mg, 0.017 mmol), EDCl(3.36mg, 0.018mmol), HOBt(2.97mg, 0.018mmol) 및 DIPEA(0.01 ml, 0.056mmol) 용액을 실온에서 0.5시간 교반하였다. 3-(6-((2-(2-(2-(4-아미노펜옥시)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7.89mg, 0.016mmol)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혼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수율: 7.0mg, 50.1%)
MS (ESI, m/z): [M+1]+ = 879.4
[NMR] 1H NMR (400 MHz, DMSO-d6) d ppm 10.99 (s, 1 H) 10.18 (s, 1 H) 8.17 (s, 1 H) 7.91 (d, J=8.80 Hz, 1 H) 7.39 - 7.56 (m, 6 H) 7.12 (dd, J=8.86, 2.26 Hz, 1 H) 6.94 (t, J=5.44 Hz, 1 H) 6.88 (d, J=8.93 Hz, 2 H) 6.82 (d, J=2.20 Hz, 1 H) 5.68 - 5.76 (m, 1 H) 4.59 (t, J=7.09 Hz, 1 H) 3.98 - 4.07 (m, 3 H) 3.69 - 3.76 (m, 2 H) 3.57 - 3.66 (m, 7 H) 3.46 (d, J=7.21 Hz, 2 H) 2.84 - 2.95 (m, 1 H) 2.42 (s, 2 H) 1.96 (d, J=14.31 Hz, 3 H) 1.63 (s, 3 H) 1.21 - 1.27 (m, 3 H)
실시예 26: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4-(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세트아마이드
Figure 112021102564500-pat00135
실시예 2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하기 제조과정을 통하여 표제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136
DMF (2mL) 중의 3-(7-플루오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50.0mg, 0.182 mmol), tert-부틸 (4-(2-(2-(2-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카바메이트 (68.0mg, 0.200mmol) 및 DIPEA (323uL, 1.82 mmol) 용액을 마이크로파로 120℃에서 5시간 자극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25.0mg, 23.1%) MS (ESI, m/z): [M+1]+ = 596.8
Figure 112021102564500-pat00137
20% TFA 의 DCM (1 mL) 중의 tert-부틸 (4-(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카바메이트 (15.0mg, 0.025mmol)를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수율: 18.0mg, 86.5%) MS (ESI, m/z): [M+1]+ = 496.8
Figure 112021102564500-pat00138
DMF(1mL) 중의 JQ-1 카복실산(16.0mg, 0.040 mmol), EDCl(7.66mg, 0.040mmol), HOBt(6.78mg, 0.040mmol) 및 DIPEA(0.033 ml, 0.18 mmol) 용액을 실온에서 0.5시간 교반하였다. 3-(7-((2-(2-(2-(4-아미노펜옥시)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18.0mg, 0.036mmol)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혼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수율: 8.0mg, 25.1%)
MS (ESI, m/z): [M+1]+ = 879.4
[NMR] 1H NMR (400 MHz, DMSO-d6) ppm 11.00 (s, 1 H) 10.18 (s, 1 H) 8.14 (s, 1 H) 7.62 (d, J=9.29 Hz, 1 H) 7.39 - 7.56 (m, 6H) 7.18 - 7.23 (m, 2 H) 6.84 - 6.97 (m, 2 H) 5.70 - 5.78 (m, 1 H) 4.55 - 4.62 (m, 1 H) 3.98 - 4.08 (m, 3H) 3.69 - 3.76 (m, 2 H) 3.41 -3.66 (m, 9 H) 2.55 - 2.64 (m, 2 H) 2.42 (s, 2 H) 1.89 - 2.02 (m, 3 H) 1.65 (br. s., 3 H) 1.19 - 1.28 (m, 3 H)
실시예 27:
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 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N-[4-(2-{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세트아마이드
Figure 112021102564500-pat00139
실시예 2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140
DMF 중의 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아세트산 (20mg, 0.050mmol), 3-{8-[12-(4-아미노펜옥시)-4,7,10-트리옥사-1-아자도데칸-1-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 염산염 (28.7mg, 0.050mmol), EDCl-HCl(10.5mg, 0.055mmol) 및 HOBt(9.31mg, 0.055mmol) 용액에 DIPEA(31.3uL, 0.175mmol)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수율 : 8.7%, 4mg)
MS (ESI, m/z): [M+1]+ = 923.5
[NMR] 1H NMR (400 MHz, DMSO-d6) d ppm 11.03 (s, 1 H), 10.18 (s, 1 H), , 8.83 (t, J=5.01Hz, 1 H), 8.22 (s, 1 H), 7.78 (d, J=8.31 Hz, 2 H), 7.60 - 7.67 (m, 1 H), 7.44 - 7.56 (m, 4 H), 7.39 - 7.44 (m, 2 H), 6.83 - 6.94 (m, 4 H), 4.59 (t, J=7.09 Hz, 1 H), 4.06 - 4.14 (m, 1 H), 3.98 - 4.06 (m, 2 H), 3.63 - 3.75 (m, 4 H), 3.53 - 3.62 (m, 8 H), 3.40 - 3.53 (m, 5 H), 2.56 - 2.65 (m, 4 H), 2.42 (s, 3 H), 1.63 (s, 3 H)
실시예 28: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4-(2-(2-(2-(2-((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세트아마이드
Figure 112021102564500-pat00141
실시예 2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142
NMP(4ml) 중에 3-(6-플루오로-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1.05 g, 3.82 mmol) 및 2-(2-(2-(2-(4-니트로펜옥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탄-1-아민(1.0 g, 3.18 mmol)을 용해시키고, DIPEA(4.53 ml, 25.5 mmol)를 반응 혼합물에 가하고, 이를 120℃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70.0mg, 67.6%) MS (ESI, m/z): [M+1]+ = 570.6
Figure 112021102564500-pat00143
3-(6-((2-(2-(2-(2-(4-니트로펜옥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70.0mg, 0.123 mmol)을 MeOH(3ml)에 용해시키고, 20 mg의 10% Pd/C (습식)를 가하고 풍선 중의 H2 하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Pd/C 를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표제화합물을 99% 순도로 수득하였다 (수율: 60.0mg, 90.4%)
MS (ESI, m/z): [M+1]+ = 540.6
Figure 112021102564500-pat00144
DMF(1mL) 중의 JQ-1 카복실산(49.0mg, 0.12 mmol), EDCl(38.4mg, 0.20mmol), HOBt(33.9mg, 0.20mmol) 및 DIPEA(0.10 ml, 0.556 mmol) 용액을 실온에서 0.5시간 교반하고, 3-(6-((2-(2-(2-(2-(4-아미노펜옥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60.0mg, 0.11mmol)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혼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수율: 25.0mg, 24.4%)
MS (ESI, m/z): [M+1]+ = 923.5
[NMR] 1H NMR (400 MHz, DMSO-d6) δ 10.99 (s, 1H), 10.19(s, 1H), 8.15 - 8.19 (m, 1H), 7.91 (d, J = 8.80 Hz, 1H), 7.40 - 7.56(m, 6H), 7.12 ( dd, J = 8.86, 2.02 Hz, 1H), 6.86 - 6.97 (m, 3H), 6.81 (d, J=1.96 Hz, 1H), 5.73 (br dd, J=11.98, 4.89 Hz, 1H), 4.59 (t, J=7.03 HZ, 1H), 3.99 - 4.08 (m, 2H), 3.67 - 3.76 (m, 2H), 3.52 - 3.64 (m, 10H), 3.38 - 3.51 (m, 3H), 3.16 (br, 1H), 2.69 - 2.95 (m, 1H), 2.55 -2.65 (m, 5H), 2.38 - 2.47 (m, 4H), 1.98 - 2.14(m, 1H), 1.63 (s, 3H).
실시예 29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4-(2-(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세트아마이드
Figure 112021102564500-pat00145
실시예 2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146
3-(7-플루오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50 mg, 0.182 mmol) 및 2-(2-(2-(2-(4-니트로펜옥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탄-1-아민(68.5 mg, 0.218 mmol)을 NMP(4ml)에 용해시키고, DIPEA(0.323 mL, 1.82 mmol)를 반응 혼합물에 가하고, 이를 120℃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70.0mg, 67.6%) MS (ESI, m/z): [M+1]+ = 570.6
Figure 112021102564500-pat00147
3-(7-((2-(2-(2-(2-(4-니트로펜옥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70.0mg, 0.123 mmol)를 MeOH(3ml)에 용해시키고, 20 mg의 10% Pd/C (습식)를 가하고, 풍선 중의 H2 하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The Pd/C를 제거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표제화합물을 99% 순도로 수득하였다.
(수율: 60.0mg, 90.4%) MS (ESI, m/z): [M+1]+ = 540.6
Figure 112021102564500-pat00148
DMF(1mL) 중의 JQ-1 카복실산(49.0mg, 0.12 mmol), EDCl(38.4mg, 0.20mmol), HOBt(33.9mg, 0.20mmol) 및 DIPEA(0.10 ml, 0.556 mmol) 용액을 실온에서 0.5시간 교반하고, 3-(7-((2-(2-(2-(2-(4-아미노펜옥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60.0mg, 0.11mmol)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혼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yield: 25.0mg, 20.4%)
MS (ESI, m/z): [M+1]+ = 923.5
[NMR] 1H NMR (400 MHz, DMSO-d6) δ 11.00 (s, 1H), 10.19 (s, 1H), 8.14 (s, 1H), 7.63 (d, J = 8.44 Hz, 1H), 7.38 - 7.56(m, 6H), 7.17 - 7.24 (m, 2H), 6.86 - 7.11 (m, 3H), 5.75 (br dd, J=12.04, 5.07 Hz, 1H), 4.47 - 4.68 (m, 1H), 3.98 - 4.24 (m, 2H), 3.66 - 3.78 (m, 2H), 3.43 - 3.64 (m, 11H), 3.07 - 3.29 (m, 2H), 2.84 - 3.00 (m, 1H), 2.53 - 2.64 (m, 6H) 2.42 (s, 3H), 1.89 - 2.15 (m, 1H), 1.63 (s, 3H).
실시예 30
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N-(3-{2-[2-(2-{[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세트아마이드
Figure 112021102564500-pat00149
실시예 20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150
DMF 중의 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아세트산(50mg, 0.125mmol), 3-{8-[(2-{2-[2-(3-아미노펜옥시)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 염산염(66.4mg, 0.125mmol), EDCl-HCl(26.3mg, 0.137mmol) 및 HOBt (23.3mg, 0.137mmol) 용액에 DIPEA(78.4uL, 0.437mmol)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표적화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Yield : 7.8%, 8.61mg)
MS (ESI, m/z): [M+1]+ = 878.4
[NMR] 1H NMR (400 MHz, DMSO-d6) d 11.03 (s, 1 H), 10.30 (s, 1 H), 8.65 (s, 1H), 7.52 - 7.61 (m, 1 H), 7.45 - 7.52 (m, 2 H), 7.31 - 7.45 (m, 4 H), 7.09 - 7.24 (m, 2 H), 7.02 (d, J=8.31 Hz, 1 H), 6.83 (t, J=5.62 Hz, 1 H), 6.62 (dd, J=8.07,1.71 Hz, 1 H), 5.75 (dd, J=12.10, 5.01 Hz, 1 H), 4.60 (t, J=7.09 Hz, 1 H), 3.95 - 4.08 (m, 2 H), 3.69 - 3.76 (m, 2 H), 3.55 - 3.69 (m, 6 H), 3.50 (d, J=7.09 Hz, 2 H), 3.41 (q, J=5.62 Hz, 2 H), 2.83 - 2.98 (m, 1 H), 2.41 (s, 3 H), 1.99 - 2.14 (m, 1 H), 1.62 (s, 3 H)
실시예 31: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1-(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틸)-1H-1,2,3-트리아졸-4-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Figure 112021102564500-pat00151
과정 1) (S)-2-(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프로프-2-인-1-일)아세트아마이드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52
DMF (2 ml) 중의 JQ-1 카복실산 (160 mg; 0.4 mmol), 프로프-2-인-1-아민 (26.4 mg; 0.5 mmol) EDCl-HCl (84.2 mg; 0.44 mmol), 및 HOBt (74.4 mmol; 0.44 mmol) 용액에 DIPEA (181mg; 1.4mmol)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생성되 잔사를 ㅋ컬럼 크로마토그래피 (DCM : MeOH (0~10%))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옅은 황백색의 오일로 수득하였다 (159 mg; 87.8%)
MS (ESI, m/z): [M+1]+ = 439.0
과정 2) 3-(8-((2-(2-(2-아지도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53
NMP (3 mL) 중의 3-(8-플루오로-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 (100 mg; 0.36 mmol) 및 1-(2-아미노에톡시)-2-(2-아지도에톡시)에탄 (76 mg; 0.44 mmol) 용액에 에틸비스(프로판-2-일)아민을 실온에서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110℃로 가열하였다. 냉각 후, 반응물을 물 10 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 (20 mL)로 2회 추출하였다. 결합된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DCM/MeOH (0~10%))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89 mg, 57%)을 수득하였다.
MS (ESI, m/z): [M+1]+ = 430.3
과정 3)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1-(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틸)-1H-1,2,3-트리아졸-4-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Figure 112021102564500-pat00154
THF/물 (5 mL/ 5mL) 중의 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N-(프로프-2-인-1-일)아세트아마이드 (20 mg; 0.045 mmol) 및 3-(8-((2-(2-(2-아지도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18.7 mg;0.045 mmol) 용액에 소듐 아스코르베이트 (1.81 mg; 0.0091 mmol) 및 황산구리 (1.46 mg; 0.0091 mmol)를 25℃에서 가하였다. 반응을 2시간 동안 진행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 50 mL을 붓고, EA (50 mL)로 2회 추출하고, MgSO4로 건조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에 로딩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DCM/MeOH 0% -> 10%)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을 흰색 결정으로 수득하였다 (18.0 mg; 16.1%)
MS (ESI, m/z): [M+1]+ = 867.3
실시예 32: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1-(2-(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1H-1,2,3-트리아졸-4-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Figure 112021102564500-pat00155
실시예 3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156
NMP (3 mL) 중의 3-(8-플루오로-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 (100 mg; 0.36 mmol) 및 2-(2-(2-(2-아지도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탄-1-아민 (96.3; 0.44 mmol) 용액에 에틸비스(프로판-2-일)아민 (141 mg; 1.1 mmol)을 실온에서 가하였다. 반응물을 110℃에서 16시간 가열하였다. 냉각 후, 반응물을 물(10 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 (20 mL)로 2회 추출하였다. 결합된 에틸 아세테이트를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농축하였다. 생성된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DCM/MeOH (0~10%))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92 mg 54%) MS (ESI, m/z): [M+1]+ = 474.5
Figure 112021102564500-pat00157
THF/물 (5 mL/ 5mL) 중의 a 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N-(프로프-2-인-1-일)아세트아마이드 (20 mg; 0.045 mmol) 및 3-[8-(12-아지도-4,7,10-트리옥사-1-아자도데칸-1-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 (21.6 mg;0.045 mmol) 용액에 소듐 아스코르베이트 (1.81 mg; 0.0091 mmol) 및 황산 구리 (1.46 mg; 0.0091 mmol)를 25℃에서 가하였다. 반응을 2시간 동안 진행시켰다. 반응물을 50 mL 물에 붓고, EA (50 mL)로 2회 추출하고, MgSO4로 건조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에 로딩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18.0 mg; 43.3%)
MS (ESI, m/z): [M+1]+ = 912.5
실시예 33
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N-[(1-{2-[2-(2-{[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틸}-1H-1,2,3-트리아졸-4-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Figure 112021102564500-pat00158
실시예 3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159
NMP(4mL) 중의 3-(5-플루오로-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100mg, 0.36mmol), 1-(2-아미노에톡시)-2-(2-아지도에톡시)에탄(82.3mg, 0.47mmol) 및 DIPEA(259uL, 1.45mmol) 용액을 120 ℃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 12.8%, 20mg) MS (ESI, m/z): [M+1]+ = 430.8
Figure 112021102564500-pat00160
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N-(프로프-2-인-1-일)아세트아마이드, 3-[5-({2-[2-(2-아지도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을 THF:물(1:1)에 가하고, 소듐 아스코르베이트 및 황산 구리를 혼합물에 가하였다. 반응물을 100℃로 2시간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EA로 추출하고, MgSO4로 건조시켰다. 표적화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Yield : 38.4%, 15.2mg).
MS (ESI, m/z): [M+1]+ = 870.4
[NMR] 1H NMR (400 MHz, DMSO-d6) d ppm 11.02 (s, 1 H), 8.76 (t, J=5.87 Hz, 1 H), 8.63 (s, 1 H), 7.93 (s, 1H), 7.55 (t, J=7.95 Hz, 1 H), 7.46 (d, J=8.31 Hz, 2 H), 7.38 (d, J=8.07 Hz, 3 H), 7.01 (d, J=8.07 Hz, 1 H), 6.80 (t, J=5.50 Hz, 1 H), 5.69 - 5.80 (m, 1 H), 4.52 (t, J=6.97 Hz, 1H), 4.44 - 4.49 (m, 2 H), 4.36 (d, J=5.38 Hz, 2 H), 3.80 (t, J=5.26 Hz, 2 H), 3.58 (t, J=5.75 Hz, 2 H), 3.53 (s, 4 H), 3.37 (q, J=5.79 Hz, 2 H), 3.23 - 3.30 (m, 2H), 2.81 - 2.99 (m, 1 H), 2.60 - 2.65 (m, 1 H), 2.58 (s, 4 H), 2.38 (s, 3 H), 2.01 - 2.14 (m, 1 H), 1.59 (s, 3 H)
실시예 34:
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N-{[1-(2-{2-[2-(2-{[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1H-1,2,3-트리아졸-4-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Figure 112021102564500-pat00161
실시예 3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162
NMP(4mL) 중의 3-(5-플루오로-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100mg, 0.36mmol), 1-[2-(2-아미노에톡시)에톡시]-2-(2-아지도에톡시)에탄(103mg, 0.472mmol) 및 DIPEA(259uL, 1.45mmol) 용액을 120℃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11.6%, 20mg)
Figure 112021102564500-pat00163
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N-(프로프-2-인-1-일)아세트아마이드 (20mg, 0.046mmol), 3-[5-(12-아지도-4,7,10-트리옥사-1-아자도데칸-1-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21.6mg, 0.046mmol)을 THF:물(1:1, 2mL)에 가하였다. 소듐 아스코르베이트(1.81mg, 0.009mmol) 및 황산 구리(1.46mg, 0.009mmol)를 혼합물에 가하였다. 반응물을 100℃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EA로 추출하고. MgSO4로 건조시켰다. 표적화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Yield : 12.6%, 5.23mg).
MS (ESI, m/z): [M+1]+ = 914.4
[NMR] 1H NMR (400 MHz, DMSO-d6) d ppm 11.02 (s, 1 H), 8.74 (t, J=5.87 Hz, 1 H), 8.64 (s, 1 H), 7.92 (s, 1 H), 7.57 (t, J=7.95 Hz, 1 H), 7.47 (d, J=8.80 Hz, 3 H), 7.38 (d,J=8.31 Hz, 4 H), 7.02 (d, J=8.31 Hz, 1 H), 6.81 (t, J=5.62 Hz, 1 H), 4.52 (t, J=7.21Hz, 1H), 4.43 - 4.56 (m, 2 H), 4.36 (d, J=5.87 Hz, 2 H), 3.78 (t, J=5.26 Hz, 2 H), 3.61 (t, J=5.75 Hz, 2 H), 3.51 - 3.56 (m, 2 H), 3.48 (t, J=4.52 Hz, 7 H), 3.39 (d, J=5.62 Hz, 2 H), 3.27 (t, J=6.72 Hz, 2 H), 2.59 (s, 3 H), 2.36 - 2.44 (m, 3 H), 1.56 - 1.66 (m, 3 H)
실시예 35:
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N-[2-(2-{2-[4-({[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메틸)-1H-1,2,3-트리아졸-1-일]에톡시}에톡시)에틸]아세트아마이드
Figure 112021102564500-pat00164
실시예 3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165
DMF 중의 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아세트산(50mg, 0.125mmol), 1-(2-아미노에톡시)-2-(2-아지도에톡시)에탄(28.2mg, 0.162mmol), EDCl-HCl(26.3mg,0.137mmol) 및 HOBt(23.3mg, 0.137mmol) 용액에 DIPEA(78.4uL, 0.437mmol)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표적화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수율 : 72.0%, 50mg) MS (ESI, m/z): [M+1]+ = 557.5
Figure 112021102564500-pat00166
N-{2-[2-(2-아지도에톡시)에톡시]에틸}-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아세트아마이드 (50mg, 0.090mmol), 3-{1-옥소-5-[(프로프-2-인-1-일)아미노]-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36.2mg, 0.117mmol)을 THF:물(1:1, 3mL)에 가하였다. 소듐 아스코르베이트(3.56mmol, 0.018mmol) 및 황산 구리(2.86mg, 0.018mmol)를 혼합물에 가하였다. 반응물을 100℃로 2시간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EA로 추출하고, MgSO4로 건조시켰다. 표적화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Yield : 20.4%, 15.8mg).
MS (ESI, m/z): [M+1]+ = 867.4
[NMR] 1H NMR (400 MHz, DMSO-d6) d ppm 11.02 (s, 1 H), 9.07 (t, J=5.26 Hz, 1 H), 8.20 -8.30 (m, 2 H), 8.03 (s, 1 H), 7.63 (t, J=7.95 Hz, 1 H), 7.38 - 7.51 (m, 4 H), 6.91 - 7.05 (m, 2 H), 4.45 - 4.55 (m, 5 H), 3.80 (t, J=5.14 Hz, 2 H), 3.45 - 3.56 (m, 5 H), 3.37 - 3.44 (m, 2 H), 3.15 - 3.29 (m, 4 H), 2.80 - 2.95 (m, 1 H), 2.56 - 2.65 (m, 5 H), 2.36 - 2.42 (m, 3 H), 1.57 - 1.65 (m, 4 H)
실시예 36:
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N-{2-[2-(2-{2-[4-({[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메틸)-1H-1,2,3-트리아졸-1-일]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아세트아마이드
Figure 112021102564500-pat00167
실시예 3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168
DMF 중의 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아세트산(50mg, 0.125mmol), 1-[2-(2-아미노에톡시)에톡시]-2-(2-아지도에톡시)에탄(40.8mg, 0.187mmol), EDCl-HCl(26.3mg, 0.137mmol) 및 HOBt(23.3mg, 0.137mmol) 용액에 DIPEA(78.4uL, 0.437mmol)를 가하였다. 혼합물를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표적화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수율 : 66.5%, 50mg) MS (ESI, m/z): [M+1]+ =601.3
Figure 112021102564500-pat00169
N-(2-{2-[2-(2-아지도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아세트아마이드 (50mg, 0.083mmol), 3-{1-옥소-8-[(프로프-2-인-1-일)아미노]-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33.6mg, 0.108mmol)을 THF:물(1:1, 3mL)에 가하였다. 소듐 아스코르베이트 (3.3mg, 0.0167mmol) 및 황산 구리(2.66mg, 0.017mmol)를 혼합물에 가하였다. 반응물을 100℃로 2시간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EA로 추출하였다. MgSO4로 건조시켰다. 표적화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Yield 18.9%, 14.3mg)
MS (ESI, m/z): [M+1]+ = 911.4
[NMR] 1H NMR (400 MHz, DMSO-d6) d ppm 11.02 (s, 1 H), 9.07 (s, 1 H), 8.20 - 8.31 (m, 2 H), 8.03 (s, 1 H), 7.59 - 7.72 (m, 1 H), 7.37 - 7.52 (m, 4 H), 6.91 - 7.05 (m, 2 H), 4.44 - 4.55 (m, 5 H), 3.79 (t, J=5.14 Hz, 2 H), 3.38 - 3.53 (m, 12 H), 3.15 - 3.29 (m, 4 H), 2.59 (s, 4 H), 2.40 (s, 3 H), 1.61 (s, 3 H), 1.23 (s, 1 H)
실시예 37: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5-((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아미노)펜틸)아세트아마이드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70
과정 1) tert-부틸 (5-((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아미노)펜틸)카바메이트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71
NMP (10 mL) 중에 3-(6-플루오로-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1g, 3.63mmol) 및 tert-부틸 N-(5-아미노펜틸)카바메이트 (0.74g, 3.63mmol)를 용해시키고, DIPEA (5.17ml, 29.04 mmol)를 반응 혼합물에 가하고, 12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물로 종료시키고, DCM, NH4Cl 및 브라인 용액으로 추출하고, MgSO4로 건조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이 로딩하고, MPLC로 분리하였다. 생성물을 오일로 수득하였다. (yield: 1.3g, 66%)
과정 2) 3-(6-((5-아미노펜틸)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72
tert-부틸 N-(5-{[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아미노}펜틸) 카바메이트 (1g, 2.19mmol)를 DCM(30ml) 중의 20% TFA 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종료된 후, 용매를 고진공(high vacuum)에서 제거하였다. 생성물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생성물을 순수한 오일로 수득하였다. (yield: 0.78g, 99%),
과정 3)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5-((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아미노)펜틸)아세트아마이드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73
JQ-1 카복실산 (1.05g, 2.62 mmol), HATU(1.08g, 2.84 mmol), 및 DIPEA(2.74uL, 15.3 mmol)를 DMF(25ml)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3-{6-[(5-아미노펜틸)아미노]-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780 mg, 2.18 mmol)을 반응 혼합물에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A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생성물을 MPLC로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흰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yield: 0.66g, 41%),
MS (ESI, m/z): [M+1]+ = 741.3
[NMR]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10.98 (s, 1 H) 8.24 (t, J=5.56 Hz, 1 H) 8.15 (d, J=1.22 Hz, 1 H) 7.89 (d, J=8.80 Hz, 1 H) 7.39 - 7.50 (m, 5 H) 7.05 (dd, J=8.86, 2.26 Hz, 1 H) 6.87 (t, J=5.14 Hz, 1 H) 6.73 (d, J=2.08 Hz, 1 H) 5.72 (dd, J=11.92, 5.07 Hz, 1 H) 4.53 (dd, J=7.95, 6.24 Hz, 1 H) 3.17 - 3.30 (m, 3 H) 3.10 (d, J=6.11 Hz, 3 H) 2.85 - 2.96 (m, 1 H) 2.59 (m, 4 H) 2.37 (s, 3 H) 2.02 - 2.11 (m, 1 H) 1.62 (d, J=7.34 Hz, 2 H) 1.56 (d, J=1.71 Hz, 2 H) 1.39 - 1.54 (m, 4 H)
실시예 38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3-(4-(3-((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프로필)피페라진-1-일)프로필)아세트아마이드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74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175
DMF (5 mL) 중의 3-(8-플루오로-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 (200 mg; 0.73 mmol) 및 3-[4-(3-아미노프로필)피페라진-1-일]프로판-1-아민 (291 mg; 1.45 mmol)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5시간 동안 90℃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물(50 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2회 추출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 (0~10%))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21 mg; 36.4 mmol) MS (ESI, m/z): [M+1]+ = 356.4
Figure 112021102564500-pat00176
DMF(4 mL) 중의 JQ-1 카복실산 (17 mg; 0.042 mmol) 및 HATU (11 mg; 0.0046 mmol) 용액에 DIPEA (27.4 mg; 0.21 mmol)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DMF (4 mL) 중에서 3-[8-({3-[4-(3-아미노프로필)피페라진-1-일]프로필}아미노)-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 (19.3 mg; 0.042 mmol)호 처리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 (0~10%))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ESI, m/z): [M+1]+ = 838.4.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11.03 (s, 1H) 8.75 (m, 1H) 8.23 (s, 1H) 7.65 (dd, J=8.1, 2.3 Hz, 1H) 7.42 (d, J=2.1 Hz, 2H) 7.44 (d, J=2.1 Hz, 2H) 6.92 (d, J=2.1 Hz, 2H), 5.20 (m, 1H), 4.51 (m, 1H), 3.75-3.48 (m, 14H), 3.33 (m, 6H), 3.22 - 3.24 (m, 2H), 2.80 (m, 2H), 2.57 (m, 2H), 2.59 (s, 3H), 2.41 (s, 3H), 2.09 (m, 1H), 1.75 (m, 1H), 1.62 (s, 3H).
실시예 39: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3-(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1-메틸-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세트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77
39-1) tert-부틸 (3-(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1-메틸-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78
NMP (1mL) 중의 3-(8-플루오로-4-메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30.0 mg, 0.104 mmol), tert-부틸 (3-(2-(2-(2-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카바메이트 (45.9 mg, 0.135 mmol) 및 DIPEA (0.067 mL, 0.407 mmol) 용액을 16시간 동안 12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41 mg, 64.8 %)
MS (ESI, m/z): [M+1]+ = 610.2
39-2) 3-(8-((2-(2-(2-(3-아미노펜옥시)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4-메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의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79
20% TFA의 DCM (0.6 mL) 중의 tert-부틸 (3-(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1-메틸-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카바메이트 (41 mg, 0.076 mmol) 를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추가 정제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수율: 34.3 mg, 정량)
MS (ESI, m/z): [M+1]+ = [510.0]
39-3)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3-(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1-메틸-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세트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80
DMF (1 mL) 중의 3-(8-((2-(2-(2-(3-아미노펜옥시)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4-메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34.3 mg, 0.067 mmol), JQ-1 카복실산 (27 mg, 0.067 mmol), DIPEA (0.073 ml, 0.404 mmol) 및 HOBT (12.6 mg, 0.074 mmol) 용액에 EDCI (16.8 mg, 0.088 mmol)를 0℃에서 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20.1 mg, 33.5 %).
1H NMR (400 MHz, DMSO-d6) δ = 11.00 (s, 1H), 10.30 (s, 1H), 9.05 (t, J = 5.2 Hz, 1H), 7.63 (t, J = 8.1 Hz, 1H), 7.49 (d, J= 8.8 Hz, 2H), 7.42 (d, J= 8.8 Hz, 2H), 7.35 (s, 1H), 7.23 - 7.11 (m, 2H), 6.93 (d, J = 9.5 Hz, 1H), 6.90 (d, J = 8.6 Hz, 1H), 6.62 (d, J = 7.5 Hz, 1H), 5.66 (m, 1H), 4.60 (t, J = 7.1 Hz, 1H), 4.02 (t, J = 4.1 Hz, 2H), 3.74 (t, J = 4.1 Hz, 2H), 3.68 (t, J = 5.4 Hz, 2H), 3.61 (s, 4H), 3.50 (d, J = 7.0 Hz, 2H), 3.38 (m 2H), 2.92 - 2.81 (m, 1H), 2.63 - 2.53 (m, 5H), 2.41 (s, 3H), 2.40 (s, 3H), 2.06 (m, 1H), 1.62 (s, 3H).
MS (ESI, m/z): [M+1]+ = 894.4 및 892.4
실시예 40 :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3-(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프로프-2-인-1-일)아세트아마이드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81
40-1) 3-(6-(3-아미노프로프-1-인-1-일)-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Figure 112021102564500-pat00182
DMF (5 mL) 중의 JQ-1 카복실산 (160 mg;0.40 mmol), 프로프-2-인-1-아민 (26.4mg; 0.48 mmol), EDCl-HCl (84.2 mg; 0.44 mmol) 용액에 DIPEA (182.2 mg; 1.44 mmol)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5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DCM:MeOH=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59 mg; 87.7 %)
MS (ESI, m/z): [M+1]+ = 438.8.
40-2)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3-(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프로프-2-인-1-일)아세트아마이드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83
DMF(2 mL) 중의 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N-(프로프-2-인-1-일)아세트아마이드 (50 mg; 0.11 mmol) 및 3-(6-브로모-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 (38.4 mg; 0.11 mmol) 용액에 CuI (2.19 mg; 0.011mmol) 및 Pd(PPh3)2Cl2 (8.0 mg; 0.011 mmol)를 가하고, 이어서 TEA (34.7 mg; 0.34 mmol)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80℃에서 1.5시간 동안 자극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물 (50 ml)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였다. 잔사를 MPLC (EA/Hex (20~80%))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옅은 황백색(off-white) 고체로 수득하였다.
MS (ESI, m/z): [M+1]+ = 694.8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11.09 (s, 1 H) 8.92 (m, 1 H) 8.47 (s, 1 H) 8.25 (d. J=2.5 Hz, 1 H) 8.10 (s, 1 H) 794 (d, J=2.5 Hz, 1 H) 7.32 (d, J=1.8 Hz, 2 H), 7.23 (d, J=1.8 Hz, 2 H), 5.72 (m, 1 H) 4.62 (m, 2 H) 4.25 (m., 2 H) 2.50-3.31 (m, 4H) 2.60 (s, 3H), 2.41 (s, 3H) 2.15 (m, 1 H) 1.60 (s., 3H).
실시예 41: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3-(2-(2-(2-((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세트아마이드
Figure 112021102564500-pat00184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185
DMF (2mL) 중의 3-(6-플루오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80.0mg, 0.291 mmol), tert-부틸 (3-(2-(2-(2-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카바메이트 (109.0mg, 0.320mmol) 및 DIPEA (363uL, 2.03 mmol) 용액을 마이크로파로 120℃에서 5시간 자극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130.0mg, 75.1%) MS (ESI, m/z): [M+1]+ = 596.8
Figure 112021102564500-pat00186
20% TFA의 DCM (1 mL) 중의 tert-부틸 (3-(2-(2-(2-((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카바메이트 (74.0mg, 0.124mmol)를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추가 정제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수율: 60.0mg, 97.5%) MS (ESI, m/z): [M+1]+ = 496.8
Figure 112021102564500-pat00187
DMF(2mL) 중의 JQ-1 카복실산(53.4mg, 0.133mmol), HATU(55.2mg, 0.145mmol) 및 DIPEA(0.1 ml, 0.605mmol)를 실온에서 0.5시간 교반하였다. 3-(6-((2-(2-(2-(3-아미노펜옥시)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60.0mg, 0.121mmol)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혼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수율: 45.0mg, 42.3%)
MS (ESI, m/z): [M+1]+ = 879.4
[NMR] 1H NMR (400 MHz, DMSO-d6) d ppm 10.99 (s, 1 H) 10.31 (s, 1 H) 8.16 (s, 1 H) 7.90 (d, J=8.80 Hz, 1 H) 7.34 - 7.52 (m, 5 H) 7.17 - 7.24 (m, 1 H) 7.08 - 7.16 (m, 2 H) 6.93 (t, J=5.44 Hz, 1 H) 6.80 (d, J=2.08 Hz, 1 H) 6.58 - 6.67 (m, 1 H) 5.72 (dd, J=12.04, 4.95 Hz, 1 H) 4.60 (t, J=7.15 Hz, 1 H) 4.00 - 4.07 (m, 2 H) 3.70 - 3.78 (m, 2 H) 3.56 -3.66 (m, 8 H) 3.50 (d, J=6.97 Hz, 2 H) 2.85 - 2.96 (m, 1 H) 2.55 - 2.65 (m, 4 H) 2.41 (s, 3 H) 2.01 - 2.10 (m, 1 H) 1.62 (s, 3 H)
실시예 42: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3-(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세트아마이드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88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189
DMF (2mL) 중의 3-(7-플루오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80.0mg, 0.291 mmol), tert-부틸 (3-(2-(2-(2-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카바메이트 (109.0mg, 0.320mmol) 및 DIPEA (363uL, 2.03 mmol) 용액을 마이크로파로 120℃에서 5시간 자극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80.0mg, 46.21%) MS (ESI, m/z): [M+1]+ = 596.8
Figure 112021102564500-pat00190
20% TFA의 DCM (1 mL) 중의 tert-부틸 (3-(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카바메이트 (80.0mg, 0.134mmol)를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수율: 65.0mg, 97.5%) MS (ESI, m/z): [M+1]+ = 496.8
Figure 112021102564500-pat00191
DMF(2mL) 중의 JQ-1 카복실산(57.8mg, 0.144mmol), HATU(59.9mg, 0.157mmol) 및 DIPEA(0.12 ml, 0.656mmol) 용액을 실온에서 0.5 시간 교반하고, 3-(7-((2-(2-(2-(3-아미노펜옥시)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65.0mg, 0.131mmol)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혼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수율: 54.0mg, 46.8%)
MS (ESI, m/z): [M+1]+ = 879.4
[NMR] 1H NMR (400 MHz, DMSO-d6) d ppm 11.00 (s, 1 H) 10.31 (s, 1 H) 8.13 (s, 1 H) 7.61 (d, J=9.17 Hz, 1 H) 7.34 - 7.52 (m, 6 H) 7.10 - 7.26 (m, 4 H) 6.92 (t, J=5.38 Hz, 1 H) 6.62 (dd, J=7.89, 1.65 Hz, 1 H) 5.74 (d, J=7.58 Hz, 1 H) 4.56 - 4.64 (m, 1 H) 3.98 - 4.08 (m, 2 H) 3.67 - 3.78 (m, 2 H) 3.54 - 3.67 (m, 6 H) 3.50 (d, J=7.09 Hz, 2 H) 2.82 - 2.97 (m, 2 H) 2.54 - 2.65 (m, 4 H) 2.37 - 2.45 (m, 3 H) 2.00 - 2.13 (m, 1 H) 1.52 - 1.68 (m, 3 H)
실시예 43: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틸)아세트아마이드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192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193
NMP (1mL) 중의 3-(8-플루오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56.0 mg, 0.203 mmol), tert-부틸 (2-아미노에틸)카바메이트 (48.9 mg, 0.305 mmol) 및 DIPEA (0.134 mL, 0.814 mmol) 용액을 3시간 동안 13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68 mg, 80.5 %) MS (ESI, m/z): [M+1]+ = 416.0
Figure 112021102564500-pat00194
20% TFA in DCM (0.6 mL) 중의 tert-부틸 (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틸)카바메이트 (20.0 mg, 0.048 mmol)를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수율: 15.2 mg, quant.) MS (ESI, m/z): [M+1]+ = 316.0
Figure 112021102564500-pat00195
DMF(0.5 mL) 중의 3-(8-((2-아미노에틸)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15.2 mg, 0.048 mmol), JQ-1 카복실산 (19.3 mg, 0.048 mmol), DIPEA (0.052 ml, 0.288 mmol) 용액에 HATU (21.9 mg, 0.058 mmol)를 0℃에서 가하고,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18 mg, 53.7 %).
1H NMR (400 MHz, DMSO-d6) δ = 11.03 (s, 1H), 8.83(t, J = 5.14 Hz, 1H), 8.51 (s, 1H), 8.24 (s, 1H), 7.66 (t, J = 7.90 Hz, 1H), 7.49 - 7.38 (m, 4H), 7.03 (d, J= 8.5 Hz, 1H), 6.94 (d, J = 7.6 Hz, 1H), 5.67 (m, 1H), 4.53 (m, 1H), 3.31 (m, 2H), 3.26 (m, 4H), 2.93 - 2.82 (m, 1H), 2.63 - 2.53 (m, 5H), 2.41 (s, 3H), 2.05 (m, 1H), 1.61 (s, 3H).
MS (ESI, m/z): [M+1]+ = 698.2 및 700.2
실시예 44: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2-((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틸)아세트아마이드
Figure 112021102564500-pat00196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197
NMP (1mL) 중의 3-(5-플루오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56.0 mg, 0.203 mmol), tert-부틸 (2-아미노에틸)카바메이트 (48.9 mg, 0.305 mmol) 및 DIPEA (0.134 mL, 0.814 mmol) 용액을 3 시간 동안 13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27.2 mg, 32.2 %) MS (ESI, m/z): [M+1]+ = 416.0
Figure 112021102564500-pat00198
20% TFA in DCM (0.6 mL) 중의 tert-부틸 (2-((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틸)카바메이트 (15 mg, 0.036 mmol)를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수율: 11.4 mg, quant.) MS (ESI, m/z): [M+1]+ = 316.0
Figure 112021102564500-pat00199
DMF(0.5 mL) 중의 3-(5-((2-아미노에틸)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11.4 mg, 0.036 mmol), JQ-1 카복실산 (18.8 mg, 0.044 mmol), DIPEA (0.0378 ml, 0.217 mmol) 용액에 HATU (20.6 mg, 0.054 mmol)를 0℃에서 가하고, 실온에서 16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14 mg, 55.5 %).
1H NMR (400 MHz, DMSO-d6) δ = 11.03 (s, 1H), 8.53 (m, 2H), 7.62 (t, J = 7.9 Hz, 1H), 7.45 - 7.38 (m, 5H), 7.08 (d, J= 8.3 Hz, 1H), 6.90 (m, 1H), 5.73 (m, 1H), 4.53 (m, 1H), 3.31 (m, 2H), 3.32 - 3.26 (m, 4H), 2.93 - 2.82 (m, 1H), 2.63 - 2.53 (m, 5H), 2.41 (s, 3H), 2.05 (m, 1H), 1.59 (s, 3H).
MS (ESI, m/z): [M+1]+ = 698.2 및 700.2
실시예 45: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옥시)에틸)아세트아마이드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200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201
DMSO (1mL) 중의 3-(8-플루오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30.0 mg, 0.109 mmol) 및 tert-부틸 (2-하이드록시에틸)카바메이트 (35.1 mg, 0.218 mmol) 용액에 LDA (1M sol. 0.218 ml, 0.218 mmol)를 0℃에서 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29.1 mg, 64.1 %) MS (ESI, m/z): [M+1]+ = 417.0
Figure 112021102564500-pat00202
20% TFA의 DCM (0.6 mL) 중의 tert-부틸 (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옥시)에틸)카바메이트 (15 mg, 0.036 mmol)를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수율: 11.4 mg, quant.) MS (ESI, m/z): [M+1]+ = 317.0
Figure 112021102564500-pat00203
DMF (0.5 mL) 중의 3-(8-(2-아미노에톡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11.4 mg, 0.036 mmol), JQ-1 카복실산 (18.8 mg, 0.047 mmol), DIPEA (0.038 ml, 0.217 mmol) 용액에 HATU (20.6 mg, 0.054 mmol)를 0℃에서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16.7 mg, 66 %).
1H NMR (400 MHz, DMSO-d6) δ = 11.06 (d, J = 9.8 Hz. 1H), 8.51 (m, 1H), 8.36 (s, 1H), 7.89 (t, J = 8.0 Hz, 1H), 7.51 (m, 2H), 7.39 (m, 4H), 5.67 (m, 1H), 4.52 (m, 1H), 4.20 (m, 2H), 3.57 (m, 2H), 3.33 - 3.25 (m, 2H), 2.93 - 2.82 (m, 1H), 2.63 - 2.53 (m, 5H), 2.41 (s, 3H), 2.05 (m, 1H), 1.60 (s, 3H).
MS (ESI, m/z): [M+1]+ = 699.2 및 701.2
실시예 46 :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2-((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옥시)에틸)아세트아마이드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204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205
DMSO (1mL) 중의 3-(5-플루오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30.0 mg, 0.109 mmol) 및 tert-부틸 (2-하이드록시에틸)카바메이트 (35.1 mg, 0.218 mmol) 용액에 LDA (1M sol. 0.218 ml, 0.218 mmol)를 0℃에서 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13.1 mg, 28.9 %) LC/MS (M+Na)-(m/z)=439.0
Figure 112021102564500-pat00206
20% TFA in DCM (0.6 mL) 중의 tert-부틸 (2-((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옥시)에틸)카바메이트 (13.1 mg, 0.032 mmol)를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수율: 9.9 mg, quant.) LC/MS (M+H)-(m/z) = 317.0
Figure 112021102564500-pat00207
DMF (0.5 mL) 중의 3-(5-(2-아미노에톡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9.9 mg, 0.032 mmol), JQ-1 카복실산 (16.4 mg, 0.041 mmol), DIPEA (0.033 ml, 0.189 mmol) 용액에 HATU (18 mg, 0.047 mmol)를 0℃에서 가하고, 실온에서 16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17 mg, 77 %)
1H NMR (400 MHz, DMSO-d6) δ = 11.06 (s, 1H), 8.62 (brs, 1H), 8.59 (m, 1H), 7.82 (m, 2H), 7.55 (m, 1H), 7.40 - 7.25 (m, 4H), 5.79 (m, 1H), 4.54 (m, 1H), 4.20 (m, 2H), 3.79 - 3.50 (m, 2H), 3.35 - 3.20 (m, 2H), 2.93 - 2.82 (m, 1H), 2.63 - 2.53 (m, 5H), 2.40 (s, 3H), 2.07 (m, 1H), 1.57 (s, 3H).
MS (ESI, m/z): [M+1]+ = 699.2 및 701.2
실시예 47: N-(4-(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부틸)-2-((S)-2,3,9-트리메틸-4-페닐-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아세트아마이드 제조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208
메탄올(10mL) 중의 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N-{3-[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프로프-2-인-1-일}아세트아마이드 (11.0 mg; 0.012 mmol) 용액에 10 % Pd/C (5 mg)을 H2 풍선으로 가하였다. 반응물을 4시간 교반하였다. 고형 물질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옅은 황백색의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8.2 mg; 78.0 %)
MS (ESI, m/z): [M+1]+ = 663.2.
1H NMR (400 MHz, DMSO-d6) δ 11.15 (s, 1H), 8.45 (s, 1H), 8.20 (d, J= 2.3 Hz, 2H), 7.80 (s, 1H), 7.75 (d, J= 2.3 Hz, 2H), 7.42 (m, 3H), 5.75 (br, 1H), 4.52 (m, 1H), 3.25-3.27 (m, 2H), 3.17 (m, 2H), 2.75-2.80 (m, 2H), 2.50-2.62 (m, 6H), 1.75 (m, 1H), 1.58 (m, 2H), 1.56 (s, 3H), 1.24 (s, 6H).
실시예 48: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2-(4-(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피페라진-1-일)에틸)아세트아마이드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209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210
3-[1-옥소-6-(피페라진-1-일)-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36mg, 0.1 mmol), tert-부틸 N-(2-브로모에틸)카바메이트(35.4mg, 0.16 mmol), 요오드화 나트륨(31.6mg, 0.21 mmol), 탄산나트륨(33.5mg, 0.32 mmol)을 DMAC(1ml)에 용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C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혼합물을 EtOAc 및 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PLC로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황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수율: 8mg, 16%), MS (ESI, m/z): [M+1]+ = 485.5
Figure 112021102564500-pat00211
tert-부틸 N-(2-{4-[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피페라진-1-일}에틸)카바메이트(8 mg, 0.017 mmol)를 20% TFA의 DCM(1ml)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용매를 진공 하에서 제거하여 농축하였다. 조 생성물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생성물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6mg, 95 %), MS (ESI, m/z): [M+1]+ = 385.5
Figure 112021102564500-pat00212
JQ-1 카복실산(6.9 mg, 0.017 mmol), HATU(7.12 mg, 0.19 mmol) 및 DIPEA(113uL, 0.63 mmol) DMF(1.5ml)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3-{6-[4-(2-아미노에틸)피페라진-1-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 (6 mg, 0.016 mmol)을 반응 혼합물에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A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생성물을 MPLC(MC/Me 0->10%)로 정제하여, 생성물을 흰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7mg, 59 %)
MS (ESI, m/z): [M+1]+ = 768.3
[NMR]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11.01 (s, 1 H) 8.18 - 8.28 (m, 3 H) 8.04 (d, J=9.05 Hz, 1 H) 7.39 - 7.53 (m, 5 H) 7.25 (s, 1 H) 5.75 (dd, J=12.10, 5.38 Hz, 1 H) 4.51 (t, J=6.91 Hz, 1 H) 3.19 - 3.28 (m, 8 H) 2.85 - 2.98 (m, 1 H) 2.54 - 2.66 (m, 9 H) 2.40 (s, 3 H) 2.08 (d, J=9.54 Hz, 1 H) 1.62 (s, 3 H)
실시예 49: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2-(4-(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피페라진-1-일)에틸)아세트아마이드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213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214
3-(1-옥소-7-(피페라진-1-일)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41mg, 0.12 mmol), tert-부틸 N-(2-브로모에틸)카바메이트(40.4mg, 0.18 mmol), 요오드화 나트륨(36.0mg, 0.24 mmol), 탄산 나트륨(38.5mg, 0.36 mmol)을 DMAC(1ml)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60'C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혼합물을 EtOAc 및 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PLC로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황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수율: 10mg, 18%), MS (ESI, m/z): [M+1]+ = 485.5
Figure 112021102564500-pat00215
tert-부틸 (2-(4-(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피페라진-1-일)에틸)카바메이트 (10 mg, 0.021 mmol)를 20% TFA의 DCM(1ml)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농축하였다. 조 생성물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생성물을 오일로 수득하였다 (수율 8mg, 100 %), MS (ESI, m/z): [M+1]+ = 385.5
Figure 112021102564500-pat00216
JQ-1 카복실산(9.2 mg, 0.023 mmol), HATU(9.5 mg, 0.25 mmol) 및 DIPEA(0.015 mL, 0.083 mmol)를 DMF(1.5ml)에 용해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3-(7-(4-(2-아미노에틸)피페라진-1-일)-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8 mg, 0.021 mmol)을 반응 혼합물에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A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Na2SO4 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생성물을 MPLC로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흰색 고체로 수득하였다.(수율: 8mg, 51 %)
MS (ESI, m/z): [M+1]+ = 768.3
[NMR]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11.02 (s, 1 H) 8.18 - 8.30 (m, 2 H) 7.79 (d, J=8.93 Hz, 1 H) 7.61 (d, J=8.80 Hz, 1 H) 7.38 - 7.53 (m, 6 H) 5.77 (br. s., 1 H) 4.51 (t,J=7.09 Hz, 1 H) 3.19 - 3.28 (m, 8 H) 2.86 - 3.00 (m, 1 H) 2.54 - 2.65 (m, 9 H) 2.40 (s, 3 H) 2.10 (br. s., 1 H) 1.62 (s, 3 H)
실시예 50: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1-(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피롤리딘-3-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217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50-1) tert-부틸 3-((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아세트아마이도)메틸)피롤리딘-1-카복실레이트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218
DMF (1 mL) 중의 JQ-1 카복실산 (98.9 mg, 0.247 mmol), tert-부틸 3-(아미노메틸)피롤리딘-1-카복실레이트 (38 mg, 0.190 mmol) 및 DIPEA (0.132 ml, 0.759 mmol) 용액에 HATU (86.6 mg, 0.228 mmol)를 0℃에서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수율: 105 mg, 95 %).
MS (ESI, m/z): [M+1]+ = [583.2] and [585.2]
50-2)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피롤리딘-3-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219
DCM (0.6 mL) 20% TFA 중의 tert-부틸 3-((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아세트아마이도)메틸)피롤리딘-1-카복실레이트 (30 mg, 0.050 mmol)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수율: 24.8 mg, quant.)
MS (ESI, m/z): [M+1]+ = [483.0] and [485.0]
50-3)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1-(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피롤리딘-3-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220
NMP (1mL) 중의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피롤리딘-3-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24.8 mg, 0.051 mmol), 3-(8-플루오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14.1 mg, 0.051 mmol) 및 DIPEA (0.089 mL, 0.513 mmol) 용액을 12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21 mg, 55.4 %)
1H NMR (400 MHz, DMSO-d6) δ = 10.98 (s, 1H), 8.39 (m, 1H), 8.19 (t. J = 2.8 Hz, 1H), 7.65 (m, 1H), 7.45 - 7.35 (m, 4H), 7.17 - 8.05 (m, 2H), 5.61 (brs, 1H), 4.52 (m, 1H), 3.55 - 3.40 (m, 2H), 3.35 - 3.10 (m, 5H), 2.89 (m, 1H), 2.63 - 2.53 (m, 5H), 2.43 (m, 1H), 2.41 (s, 3H), 2.15 - 1.95 (m, 2H), 1.66 (m, 1H), 1.60 (s, 3H)
MS (ESI, m/z): [M+1]+ = 738.2 및 740.2
실시예 51: 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N-(5-{[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펜틸)아세트아마이드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221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222
3-(5-플루오로-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100mg, 0.363mmol) 및 tert-부틸 N-(5-아미노펜틸)카바메이트(110mg, 0.545mmol)를 NMP (2 mL)에 용해시키고, DIPEA (517uL, 2.91mmol)를 반응 혼합물에 가하고, 12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물로 종료시키고, DCM, NH4Cl 및 브라인 용액으로 추출하였다. MgSO4로 건조하고, TFA 20% 용액(DCM:TFA=5:1)을 혼합물에 가하고, 2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진공에서 건조시켰다. (수율 : 60.4%, 100mg)
MS (ESI, m/z): [M+1]+ = 358.5
Figure 112021102564500-pat00223
DMF 중의 3-{5-[(5-아미노펜틸)아미노]-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00mg, 0.212mmol), 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아세트산 (102mg, 0.255mmol), HATU(121mg, 0.318mmol) 용액에 DIPEA(381uL, 2.12mmol)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거.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표적화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수율 : 21.6%, 34mg).
MS (ESI, m/z): [M+1]+ = 740.2
[NMR] 1H NMR (400 MHz, DMSO-d6) d ppm 11.02 (br. s., 1 H), 8.63 - 8.74 (m, 1 H), 8.46 (d, J=8.31 Hz, 1 H), 8.20 - 8.30 (m, 1 H), 7.57 (t, J=8.07 Hz, 1 H), 7.34 - 7.52 (m, 4 H), 6.93 (d, J=8.31 Hz, 1 H), 6.73 (d, J=5.13 Hz, 1 H), 4.44 - 4.56 (m, 1 H), 3.22 - 3.30 (m, 1H), 3.09 - 3.22 (m, 3 H),2.84 - 2.98 (m, 1H), 2.55 - 2.67 (m, 5 H), 2.32 - 2.44 (m, 3 H), 2.01 - 2.13 (m, 1H), 1.60 - 1.74 (m, 3 H), 1.48 - 1.60 (m, 5 H), 1.44 (d, J=7.09 Hz, 2 H), 1.19 - 1.35 (m, 3 H)
실시예 52: 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N-(5-{[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펜틸)아세트아마이드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224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225
3-(8-플루오로-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100mg, 0.363mmol) 및 tert-부틸 N-(5-아미노펜틸)카바메이트(110mg, 0.545mmol)를 NMP (2 mL)에 용해하고, DIPEA (517uL, 2.91mmol)를 반응 혼합물에 가하고, 120'C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물로 종료시키고, DCM, NH4Cl 및 브라인 용액으로 추출하였다. MgSO4로 건조하겨, TFA 20% 용액(DCM:TFA=5:1)을 혼합물에 가하고, 2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진공에서 건조시켰다 (58.4%, 100mg)
MS (ESI, m/z): [M+1]+ = 358.5
Figure 112021102564500-pat00226
DMF 중의 3-{8-[(5-아미노펜틸)아미노]-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00mg, 0.212mmol), 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아세트산 (102mg, 0.255mmol), HATU(121mg, 0.318mmol) 용액에 DIPEA(378uL, 2.12mmol)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표적화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68.8%, 108mg)
MS (ESI, m/z): [M+1]+ = 741.4
[NMR] 1H NMR (400 MHz, DMSO-d6) d ppm 11.03 (s, 1 H), 8.71 (t, J=5.26 Hz, 1 H), 8.17 - 8.26 (m, 2 H), 7.63 (t, J=7.95 Hz,1 H), 7.38 - 7.50 (m, 4 H), 6.79 - 6.94 (m, 2 H), 5.71 (d, J=7.34 Hz, 1 H), 4.51 (dd, J=8.07, 6.11 Hz, 1 H), 3.07 - 3.29 (m, 3 H), 2.81 - 2.94 (m, 1 H), 2.53 - 2.65 (m, 5 H), 2.40 (s, 3 H), 2.03 - 2.15 (m, 1 H), 1.59 - 1.73 (m, 5 H), 1.37 - 1.59 (m, 4 H), 1.20 - 1.31 (m, 4 H)
실시예 53: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1-(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피페리딘-4-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227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228
NMP (1mL) 중의 3-(8-플루오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56.0 mg, 0.203 mmol), 벤질 (피페리딘-4-일메틸)카바메이트 (178 mg, 0.305 mmol) 및 DIPEA (0.134 mL, 0.814 mmol)를 17시간 동안 13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73 mg, 71.3 %)
MS (ESI, m/z): [M+1]+ = 504.2
Figure 112021102564500-pat00229
5 ml 의 MeOH 중의 벤질 ((1-(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피페리딘-4-일)메틸)카바메이트 (72 mg, 0.143 mmol) 용액에 Pd(OH)2 (촉매량)를 가하고, H2 기체 하에서 16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수율: 52 mg, 98.5 %).
MS (ESI, m/z): [M+1]+ = 370.2
Figure 112021102564500-pat00230
DMF (0.5 mL) 중의 3-(8-(4-(아미노메틸)피페리딘-1-일)-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28 mg mg, 0.076 mmol), JQ-1 카복실산 (30.4 mg, 0.076 mmol), DIPEA (0.040 ml, 0.227 mmol) 용액에 HATU (34.6 mg, 0.097 mmol)를 0℃에서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24.7 mg, 43.4 %).
1H NMR (400 MHz, DMSO-d6) δ = 11.03 (s, 1H), 8.33 (m, 2H), 7.85 (brs, 1H), 7.55 - 7.30 (m, 6H), 5.80 (brs, 1H), 4.53 (m, 1H), 3.50 (m, 2H), 3.30 - 3.15 (m, 4H) 3.27 (m, 2H), 2.93 - 2.82 (m, 2H), 2.63 - 2.53 (m, 4H), 2.41 (s, 3H), 2.30 (m, 1H), 2.09 (m, 1H), 1.91 (m, 2H) 1.61 (s, 3H). 1.52 (m, 2H)
MS (ESI, m/z): [M+1]+ = 752.2 및 754.2
실시예 54 : 표적 단백질 리간드 (워헤드 warhead)의 제조
SHP 099 유도체
Figure 112021102564500-pat00231
의 제조
54-1) 3-(2,3-디클로로페닐)-6-(4-메틸-4-(프로프-2-인-1-일아미노)피페리딘-1-일)피라진-2-아민의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232
10 ml의 1,4-디옥산 중의 6-(4-아미노-4-메틸피페리딘-1-일)-3-(2,3-디클로로페닐)피라진-2-아민 (802 mg, 2.28 mmol) 및 3-브로모프로프-1-인 (406 mg, 3.42 mmol) 용액에 DIPEA (1.19 ml, 6.83 mmol)를 가하고, 4시간 동안 90℃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DCM / MeOH = 99 / 1 to 95 / 5, 구배)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황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수율: 314 mg, 35.3 %)
MS (ESI, m/z): [M+1]+ = [390.0][392.0][394.0]
실시예 55
3-(4-((2-(2-(2-(2-(4-(((1-(6-아미노-5-(2,3-디클로로페닐)피라진-2-일)-4-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메틸)-1H-1,2,3-트리아졸-1-일)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1,3-디옥소-2,3-디하이드로-1H-인덴-2-일)피페리딘-2,6-디온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233
과정1) 4-((2-(2-(2-(2-아지도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2-(2,6-디옥소피페리딘-3-일)이소인돌린-1,3-디온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234
2-(2,6-디옥소피페리딘-3-일)-4-플루오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1,3-디온(100 mg, 0.363 mmol) 및 1-[2-(2-아미노에톡시)에톡시]-2-(2-아지도에톡시)에탄(87.2 mg, 0.4 mmol) 및 DIPEA (0.323 mL, 1.82 mmol)를 NMP (1 mL)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12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물로 종료시키고, DCM, NH4Cl 및 브라인 용액으로 추출하였다. MgSO4로 건조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에 로딩하고, MPLC로 분리하였다. 생성물을 오일로 수득하였다. (yield: 60mg, 35%),
과정 2) 제조 of 3-(4-((2-(2-(2-(2-(4-(((1-(6-아미노-5-(2,3-디클로로페닐)피라진-2-일)-4-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메틸)-1H-1,2,3-트리아졸-1-일)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1,3-디옥소-2,3-디하이드로-1H-인덴-2-일)피페리딘-2,6-디온
Figure 112021102564500-pat00235
4-(12-아지도-4,7,10-트리옥사-1-아자도데칸n-1-일)-2-(2,6-디옥소피페리딘-3-일)-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1,3-디온(50 mg, 0.105 mmol) 및 3-(2,3-디클로로페닐)-6-{4-메틸-4-[(프로프-2-인-1-일)아미노]피페리딘-1-일}피라진-2-아민(41.1 mg, 0.105 mmol)을 THF:물(1:1)에 용해시키고, 소듐 아스코르베이트(4.17 mg, 0.021 mmol) 및 구리(2+) 설페이트(3.36 mg, 0.021 mmol)를 반응 혼합물에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ㅅ실온으로 냉각시키고, EA 및 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생성물을 MPLC로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흰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yield: 40mg, 44 %)
MS (ESI, m/z): [M+1]+ = 864.8
[NMR]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10.98 (s, 1 H) 8.24 (t, J=5.56 Hz, 1 H) 8.15 (d, J=1.22 Hz, 1 H) 7.89 (d, J=8.80 Hz, 1 H) 7.39 - 7.50 (m, 4 H) 7.05 (dd, J=8.86, 2.26 Hz, 1 H) 6.87 (t, J=5.14 Hz, 1 H) 6.73 (d, J=2.08 Hz, 1 H) 5.72 (dd, J=11.92, 5.07 Hz, 1 H) 4.53 (dd, J=7.95, 6.24 Hz, 1 H) 3.17 - 3.30 (m, 4 H) 3.10 (d, J=6.11 Hz, 4 H) 2.85 - 2.96 (m, 1 H) 2.59 (s, 5 H) 2.37 (s, 3 H) 2.02 - 2.11 (m, 1 H) 1.62 (d, J=7.34 Hz, 3 H) 1.56 (d, J=1.71 Hz, 5 H) 1.39 - 1.54 (m, 6 H)
실시예 56 : 3-(8-((2-(2-(2-(4-(((1-(6-아미노-5-(2,3-디클로로페닐)피라진-2-일)-4-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메틸)-1H-1,2,3-트리아졸-1-일)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의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236
56-1) 제조 of 3-(8-((2-(2-(2-아지도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Figure 112021102564500-pat00237
NMP (1mL) 중의 3-(8-플루오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100 mg, 0.363 mmol), 2-(2-(2-아지도에톡시)에톡시)에탄-1-아민 (76 mg, 0.436 mmol) 및 DIPEA (0.19 mL, 1.09 mmol) 용액을 16시간 동안 11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 89 mg, 57.4 %)
MS (ESI, m/z): [M+1]+ = [430.0]
56-2) 3-(8-((2-(2-(2-(4-(((1-(6-아미노-5-(2,3-디클로로페닐)피라진-2-일)-4-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메틸)-1H-1,2,3-트리아졸-1-일)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의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238
2 ml 의 TFA / 물 (1/1, v/v) 중의 3-(8-((2-(2-(2-아지도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19.2 mg, 0.0446 mmol), 3-(2,3-디클로로페닐)-6-(4-메틸-4-(프로프-2-인-1-일아미노)피페리딘-1-일)피라진-2-아민 (17.4 mg, 0.0446 mmol) 및 소듐 아스코르베이트 (24 mg, 0.121 mmol) 현탁액액에 CuSO4 (9 mg, 0.0564 mmol)를 0℃에서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30ml 에틸 아세테이트를 가하고,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19mg, 51.9%).
1H NMR (400 MHz, DMSO-d6) δ = 11.3 (s, 1H), 8.83 (t, J = 4.7 Hz, 1H), 8.22 (s, 1H), 7.94 (brs, 1H), 7.64 (t, , J = 8.0 Hz, 1H), 7.62 (dd, J = 8.0, 1.5 Hz, 1H), 7.47 (s, 1H), 7.39 (t, J = 7.8 Hz, 1H), 7.30 (dd, J = 7.6, 1.7 Hz, 1H), 6.92 (d, J = 8.4 Hz, 1H), 6.90 (d, J = 8.4 Hz, 1H), 5.70 (m, 1H), 5.62 (brs, 2H), 4.49 (t, J = 4.9 Hz, 2H), 3.82 (t, J = 5.1 Hz, 2H), 3.73 (brs, 2H), 3.63 (t, J = 5.1 Hz, 2H), 3.56 (brs, 7H), 3.3 (brs, 4H), 2.89 (m, 1H), 2.63 - 2.47 (m, 2H), 2.07 (m, 1H), 1.60 (brs, 2H), 1.48 (brs, 2H), 1.14 (s, 3H).
MS (ESI, m/z): [M+1]+ = [819.4][821.4][823.4]
실시예 57: 3-(6-((2-(2-(2-(4-(((1-(6-아미노-5-(2,3-디클로로페닐)피라진-2-일)-4-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메틸)-1H-1,2,3-트리아졸-1-일)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의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239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240
NMP (1mL) 중의 3-(6-플루오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100 mg, 0.363 mmol), 2-(2-(2-아지도에톡시)에톡시)에탄-1-아민 (76 mg, 0.436 mmol) 및 DIPEA (0.19 mL, 1.09 mmol) 용액을 16시간 동안 11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28 mg, 18 %) MS (ESI, m/z): [M+1]+ = [430.0]
Figure 112021102564500-pat00241
2 ml of TFA / 물 (1/1, v/v) 중의 3-(6-((2-(2-(2-아지도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19.2 mg, 0.0446 mmol), 3-(2,3-디클로로페닐)-6-(4-메틸-4-(프로프-2-인-1-일아미노)피페리딘-1-일)피라진-2-아민 (17.4 mg, 0.0446 mmol) 및 소듐 아스코르베이트 (24 mg, 0.121 mmol) 현탁액에 CuSO4 (9 mg, 0.0564 mmol)를 0℃에서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30 ml 에틸 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8.2 mg, 22.4 %)
1H NMR (400 MHz, DMSO-d6) δ = 10.99 (s, 1H), 8.17 (s, 1H), 7.95 (s, 1H), 7.92 (d, J = 9.0 Hz, 1H), 7.62 (d, J = 7.80 Hz, 1H), 7.47 (s, 1H), 7.38 (t, J = 7.8 Hz, 1H), 7.30 (d, J = 7.6 Hz, 1H), 7.11 (d, J = 9.0 Hz, 1H), 6.91 (m, 1H), 6.8 (s, 1H), 5.73 (m, 1H), 5.61 (brs, 2H), 4.48 (t, J = 4.9 Hz, 2H), 3.81 (t, J = 5.1 Hz, 2H), 3.75 (brs, 2H), 3.56 (brs, 9H), 3.3 (brs, 4H), 2.90 (m, 1H), 2.64 - 2.43 (m, 2H), 2.07 (m, 1H), 1.62 (brs, 2H), 1.48 (brs, 2H), 1.15 (s, 3H).
MS (ESI, m/z): [M+1]+ = [819.4][821.4][823.4]
실시예 58: 3-(6-((2-(2-(2-(2-(4-(((1-(6-아미노-5-(2,3-디클로로페닐)피라진-2-일)-4-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메틸)-1H-1,2,3-트리아졸-1-일)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의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242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243
NMP (1 mL) 중에 3-(6-플루오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100 mg, 0.363 mmol), 1-[2-(2-아미노에톡시)에톡시]-2-(2-아지도에톡시)에탄(87.2 mg, 0.4 mmol) 및 DIPEA (0.323 mL, 1.82 mmol)를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120'C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물로 종료시키고, DCM, NH4Cl 및 브라인 용액으로 추출하고, MgSO4로 건조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에 로딩하고, MPLC로 분리하였다. 생성물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65mg, 37%)
Figure 112021102564500-pat00244
3-(6-((2-(2-(2-(2-아지도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54 mg, 0.114 mmol) 및 3-(2,3-디클로로페닐)-6-{4-메틸-4-[(프로프-2-인-1-일)아미노]피페리딘-1-일}피라진-2-아민(44.6 mg, 0.144 mmol)을 THF:물(1:1)에 용해시켰다. 소듐 아스코르베이트(4.52 mg, 0.023 mmol) 및 황산구리(3.64 mg, 0.023 mmol)를 반응 혼합물에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C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EA 및 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제거하였다. 생성물을 MPLC로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흰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15mg, 15 %),
MS (ESI, m/z): [M+1]+ = 864.8
[NMR]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10.99 (s, 1 H) 8.17 (s, 1 H) 7.91 (d, J=8.80 Hz, 1 H) 7.62 (dd, J=8.01, 1.65 Hz, 1 H) 7.50 (br. s., 1 H) 7.39 (t, J=7.89 Hz, 1 H) 7.29 (dd, J=7.70, 1.59 Hz, 1 H) 7.11 (dd, J=8.93, 2.32 Hz, 1 H) 6.89 - 7.05 (m, 2 H) 6.76 - 6.85 (m, 1 H) 5.72 (dd, J=11.80, 5.56 Hz, 1 H) 5.63 (br. s., 1 H) 5.53 (s, 1 H) 4.50 (br. s., 2 H) 3.79 (t, J=5.01 Hz, 3 H) 3.55 - 3.64 (m, 3 H) 3.42 - 3.55 (m, 8 H) 2.83 - 2.99 (m, 1 H) 2.53 - 2.70 (m, 1 H) 2.07 (dd, J=10.70, 5.07 Hz, 1 H) 1.96 (d, J=12.72 Hz, 1 H) 1.67 (br. s., 3 H) 1.46 (br. s., 2 H) 1.24 (s, 3 H) 1.17 (br. s., 3 H)
실시예 59: 3-(7-((2-(2-(2-(2-(4-(((1-(6-아미노-5-(2,3-디클로로페닐)피라진-2-일)-4-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메틸)-1H-1,2,3-트리아졸-1-일)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의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245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246
3-(7-플루오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100 mg, 0.363 mmol), 1-[2-(2-아미노에톡시)에톡시]-2-(2-아지도에톡시)에탄(87.2 mg, 0.4 mmol) 및 DIPEA (0.323 mL, 1.82 mmol)을 NMP (1 mL) 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120'C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물로 추출하고, DCM, NH4Cl 및 브라인 용액으로 추출하고, MgSO4로 건조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에 로딩하고, MPLC로 분리하였다. 생성물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65mg, 37%)
Figure 112021102564500-pat00247
3-[7-(12-아지도-4,7,10-트리옥사-1-아자도데칸-1-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 (42 mg, 0.088 mmol) 및 3-(2,3-디클로로페닐)-6-{4-메틸-4-[(프로프-2-인-1-일)아미노]피페리딘-1-일}피라진-2-아민(34.6 mg, 0.088 mmol)을 THF:물(1:1)에 용해시켰다. 소듐 아스코르베이트(3.51 mg, 0.018 mmol) 및 황산구리(2.83 mg, 0.018 mmol)를 반응 혼합물에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C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EA, 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생성물을 M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흰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수율: 16mg, 21 %)
MS (ESI, m/z): [M+1]+ = 864.8
NMR]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11.00 (s, 1 H) 8.14 (s, 1 H) 7.58 - 7.66 (m, 2 H) 7.50 (br. s., 1 H) 7.39 (t, J=7.83 Hz, 1 H) 7.29 (dd, J=7.58, 1.59 Hz, 1 H) 7.17 - 7.23 (m, 2 H) 6.91 (t, J=5.62 Hz, 1 H) 5.71 - 5.79 (m, 1 H) 5.63 (br. s., 2 H) 4.50 (br. s., 2 H) 3.79 (t, J=5.14 Hz, 3 H) 3.60 (t, J=5.56 Hz, 3 H) 3.41 - 3.56 (m, 9 H) 2.84 - 2.96 (m, 1 H) 2.52 - 2.70 (m, 2 H) 2.02 - 2.13 (m, 1 H) 1.96 (d, J=13.69 Hz, 1 H) 1.67 (br. s., 3 H) 1.46 (br. s., 2 H) 1.24 (s, 5 H)
실시예 60: 3-(8-((14-(4-(((1-(6-아미노-5-(2,3-디클로로페닐)피라진-2-일)-4-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메틸)-1H-1,2,3-트리아졸-1-일)-3,6,9,12-테트라옥사테트라데실)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Figure 112021102564500-pat00248
60-1) 3-(2,3-디클로로페닐)-6-(4-메틸-4-(프로프-2-인-1-일아미노)피페리딘-1-일)피라진-2-아민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249
DMF(20 mL) 중의 of 6-(4-아미노-4-메틸피페리딘-1-일)-3-(2,3-디클로로페닐)피라진-2-아민 염산염 (2.5 g; 6.43 mmol) 및 3-브로모프로프-1-인 (918 mg; 7.72 mmol) 용액에 K2CO3 (2.22 g; 16.1 mmol)을 가하고, 이어서 NaI (408 mg; 3.22 mmol)를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15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50 ml)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잔사를 MPLC (EA/Hex (20~80%))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엷은 황백색의 고체로 수득하였다 (1.87g; 4.79 mmol)
MS (ESI, m/z): [M+1]+ = 391.3
60-2) 3-(8-((14-(4-(((1-(6-아미노-5-(2,3-디클로로페닐)피라진-2-일)-4-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메틸)-1H-1,2,3-트리아졸-1-일)-3,6,9,12-테트라옥사테트라데실)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250
THF/물 (5 mL/ 5mL) 중의 3-(2,3-디클로로페닐)-6-{4-메틸-4-[(프로프-2-인-1-일)아미노]피페리딘-1-일}피라진-2-아민 (30 mg; 0.077 mmol) 및 3-[8-(15-아지도-4,7,10,13-테트라옥사-1-아자펜타데칸-1-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 (39.8 mg; 0.077 mmol) 용액에 소듐 아스코르베이트 (3.04 mg; 0.0015 mmol) 및 황산 구리 (2.45 mg; 0.0015 mmol)를 25℃에서 가하였다. 반응을 2시간 동안 진행시켰다. 반응물을 50mL 물에 붓고, EA (50 mL)로 2회 추출하고, MgSO4로 건조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에 로딩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 0%-> 10%)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을 흰색 결정으로 수득하였다 (42 mg; 60.2 %)
MS (ESI, m/z): [M+1]+ = 908.8
1H NMR (400 MHz, DMSO-d6) δ 11.04 (s, 1H), 9.12 (br, 1H), 8.23 (s, 1H), 8.12 (s, 1H), 7.65 (m, 2H), 7.30 - 7.45(m, 2H), 6.92 (m, 2H), 5.70 (br, 1H), 4.59 (m, 2H), 4.30 (m, 2H), 4.28 (s, 1H), 3.82 (m, 2H), 3.67 (m, 2H), 3.57 - 3.48 (m, 17H), 3.37 (m, 2H), 2.84 - 3.10 (m, 6H), 1.86 - 2.15 (m, 4H), 1.52 (s, 3H).
실시예 61: 3-(8-((17-(4-(((1-(6-아미노-5-(2,3-디클로로페닐)피라진-2-일)-4-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메틸)-1H-1,2,3-트리아졸-1-일)-3,6,9,12,15-펜타옥사헵타데실)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251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252
NMP (3 mL) 중의 3-(8-플루오로-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 (100 mg; 0.36 mmol) 및 17-아지도-3,6,9,12,15-펜타옥사헵타데칸-1-아민 (96.3 mg; 0.44 mmol) 용액에 에틸비스(프로판-2-일)아민 (141 mg; 1.1 mmol)을 실온에서 가하였다. 반응물을 110℃로 16시간 가열하였다. 냉각 후, 반응물을 물 (10 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 (20 mL)로 2회 추출하였다. 결합된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MgSO4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DCM/MeOH (0~10%))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103 m 55%) MS (ESI, m/z): [M+1]+ = 562.35
Figure 112021102564500-pat00253
THF/물 (5 mL/ 5mL) 중의 3-(2,3-디클로로페닐)-6-{4-메틸-4-[(프로프-2-인-1-일)아미노]피페리딘-1-일}피라진-2-아민 (30 mg; 0.077 mmol) 및 3-[8-(18-아지도-4,7,10,13,16-펜타옥사-1-아자옥타데칸-1-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 (43.2 mg; 0.077 mmol) 용액에 소듐 아스코르베이트 (3.04 mg; 0.0015 mmol) 및 황산 구리 (2.45 mg; 0.0015 mmol)를 25℃에서 가하였다. 반응을 2시간 동안 진행시켰다. 반응물을 50 mL 물에 붓고, EA (50 mL)로 추출하고, MgSO4로 건조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에 로딩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 (0%-> 10%))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을 흰색 결정으로 수득하였다 (수율 56 mg; 76.9 %).
MS (ESI, m/z): [M+1]+ = 953.6
1H NMR (400 MHz, DMSO-d6) δ 11.04 (s, 1H), 9.10 (br, 1H), 8.23 (s, 1H), 8.12 (s, 1H), 7.63 (m, 2H), 7.29 - 7.42(m, 2H), 6.93 (m, 2H), 5.57-5.64 (br, 1H), 4.38-4.42 (m, 2H), 4.32 (m, 2H), 4.28 (s, 1H), 3.82 (m, 2H), 3.67-3.74 (m, 4H), 3.57 - 3.48 (m, 19H), 3.37 (m, 2H), 2.84 - 3.10 (m, 6H), 1.86 - 2.15 (m, 4H), 1.52 (s, 3H).
실시예 62: N1-(3-((3-아미노-5-((3R,4R)-4-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N4-(3-(2-(2-(3-((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프로폭시)에톡시)에톡시)프로필)숙신아마이드 제조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254
DMF (1 mL) 중의 4-((3-((3-아미노-5-((3R,4R)-4-((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아미노)-4-옥소부타노 산 (15 mg, 0.024 mmol) 용액에 3-[8-(14-아미노-5,8,11-트리옥사-1-아자테트라데칸-1-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 염산염 (14.9 mg, 0.029 mmol) 및 HATU (10 mg, 0.026.6 mmol)를 가하고, 이어서 에틸비스(프로판-2-일)아민 (9.38 mg, 0.073 mmol)을 주변 온도에서 가하였다. 반응 종료 후, 반응물을 물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조화합물을 수득하고, 이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Boc 보호된 화합물을 수득하고, 이를 디옥산(3mL) 중의 4N HCl로 처리하였다. 반응을 LCMS로 모니터링하였다. 반응물을 감압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3.1 mg, 51.5%)
MS (ESI, m/z): [M+1]+ = 979.6.
1H NMR (400 MHz, DMSO-d6) δ 11.05 (s, 1H), 9.61 (br, 1H), 8.21 (s, 1H), 8.19 (m, 1H), 7.75 (m, 3H), 6.95 (m, 3H), 3.40-3.65 (m, 22H), 3.21 (m, 2H), 2.90 (m, 2H), 2.72 (m, 6H), 2.43 (m, 4H), 1.75 (m, 4H), 1.52 (m, 2H), 1.23-1.35 (m, 8H).
실시예 63: N1-(3-((3-아미노-5-(4-아미노-4-메틸피페리딘-1-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N4-(3-(2-(2-(3-((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프로폭시)에톡시)에톡시)프로필)숙신아마이드 제조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255
DMF (5 mL) 중의 4-((3-((3-아미노-5-(4-{[(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4-메틸피페리딘-1-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아미노)-4-옥소부타노 산 (15 mg, 0.027 mmol) 용액에 3-[8-(14-아미노-5,8,11-트리옥사-1-아자테트라데칸-1-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 (12.6 mg, 0.026 mmol) 및 HATU (12.1 mg, 0.032 mmol)를 가하고, 이어서 에틸비스(프로판-2-일)아민 (17.2 mg, 0.133 mmol)을 주변 온도에서 가하였다. 반응 종료 후, 반응물을 물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조화합물을 수득하고, 이를 MPLC로 정제하여 Boc 보호된 화합물을 수득하고, 이를 디옥산(3mL) 중의 4N HCl로 처리하였다. 반응을 LCMS로 모니터링하였다. 반응물을 감압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3.5 mg, 51.1 %)
MS (ESI, m/z): [M+1]+ = 922.6
실시예 64: N1-(3-((3-아미노-5-(4-아미노-4-메틸피페리딘-1-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N4-(14-((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3,6,9,12-테트라옥사테트라데실)숙신아마이드 제조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256
DMF (5 mL) 중의 4-((3-((3-아미노-5-(4-((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4-메틸피페리딘-1-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아미노)-4-옥소부타노 산 (15 mg, 0.027 mmol) 용액에 3-[8-(15-아미노-4,7,10,13-테트라옥사-1-아자펜타데칸-1-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 (15.7 mg, 0.032 mmol) 및 HATU (7.51 mg, 0.032 mmol)를 가하고, 이어서 에틸비스(프로판-2-일)아민 (17.2 mg, 0.133 mmol)을 주변 온도에서 가하였다. 반응 완료 후, 반응물을 물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를 MPLC로 정제하여, boc로 보호된 화합물을 디옥산 (3 mL) 중의 4M HCl로 처리하였다. 반응물을 LCMS로 모니터링하였다. 반응물을 감압 농축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6.2 mg, 60.3%)
MS (ESI, m/z): [M+1]+ = 938.4.
δ ppm 11.12 (s, 1H) 9.52 (s, 1H) 8.25 (m, 2H) 7.73 - 7.78 (m, 2H) 7.30 (s, 1H) 7.12 (m, 1H) 6.87 (m, 2H) 6.42 (m, 1H) 6.09 (s, 2H) 5.74 (m, 1H) 3.75 (m, 2H) 3.50 (m, 12H) 3.39 (br., 3H) 3.20 (m, 3H) 3.10 (m, 2H) 2.90 (m, 4H) 2.54 - 2.65 (m, 4H) 2.39 (m, 2H) 2.07 (m, 1H) 1.82 (m, 2H) 1.60 (m, 3H) 1.50 (br, 5H) 1.13 (s, 3H).
실시예 65: N1-(3-((3-아미노-5-(4-아미노-4-메틸피페리딘-1-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N4-(3-(2-(2-(3-((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아미노)프로폭시)에톡시)에톡시)프로필)숙신아마이드
Figure 112021102564500-pat00257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258
3-(7-플루오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200.0 mg, 0.727 mmol) 및 1tert-부틸 N-(3-{2-[2-(3-아미노프로폭시)에톡시]에톡시}프로필)카바메이트 (233.0 mg, 0.727 mmol) 및 DIPEA (0.633 mL, 3.63 mmol)를 NMP (2 mL)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120'C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물로 종료하고, DCM, NH4Cl 및 브라인 용액으로 추출하였다. MgSO4로 건조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에 로딩하고, MPLC로 분리하였다. 생성물을 오일로 수득하였다 (수율: 120mg, 29%), MS (ESI, m/z): [M+1]+ = 576.5
Figure 112021102564500-pat00259
tert-부틸 (3-(2-(2-(3-((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아미노)프로폭시)에톡시)에톡시)프로필)카바메이트 (50 mg, 0.087 mmol) was dissolved in 20% TFA in DCM. After 반응물 was finished, 반응 혼합물 was 농축하 감압 하에서. The product was directly used in next step. (수율: 40 mg, 97 %), MS (ESI, m/z): [M+1]+ = 476.5
Figure 112021102564500-pat00260
4-((3-((3-아미노-5-(4-((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4-메틸피페리딘-1-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아미노)-4-옥소부타노 산(26.1 mg, 0.046 mmol), HATU(26.4 mg, 0.069 mmol), DIPEA(0.04 mL, 0.231 mmol) 및 3-[7-(14-아미노-5,8,11-트리옥사-1-아자테트라데칸-1-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 (22mg, 0.046 mmol)을 DMF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 혼합물을 EA 및 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제거하였다. 생성물을 MPLC로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흰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수율: 30 mg, 64 %), MS (ESI, m/z): [M+1]+ = 1023.5
Figure 112021102564500-pat00261
tert-부틸 (1-(6-아미노-5-((2-클로로-3-(1-((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아미노-15-옥소-4,7,10-트리옥사-14-아자옥타데칸-18-아마이도)페틸)티오)피라진-2-일)-4-메틸피페리딘-4-일)카바메이트 (30 mg, 0.029mmol)를 1,4 디옥산에 용해시켰다. 1,4 디옥산 중의 4M HCl을 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고, 생성물을 NH2 컬럼 MPLC로 정제하였다. (수율: 15 mg, 55%)
MS (ESI, m/z): [M+1]+ = 923.5
[NMR]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9.55 (s, 1 H) 8.14 (s, 1 H) 7.86 (t, J=5.26 Hz, 1 H) 7.58 - 7.66 (m, 2 H) 7.45 (d, J=7.95 Hz, 1 H) 7.10 - 7.19 (m, 3 H) 6.87 (t, J=5.14 Hz, 1 H) 6.41 (d, J=8.07 Hz, 1 H) 6.09 (s, 2 H) 5.74 (d, J=6.85 Hz, 1 H) 3.56 - 3.70 (m, 2 H) 3.42 - 3.56 (m, 8 H) 3.39 (br. s., 3 H) 3.15 - 3.24 (m, 3 H) 3.03 - 3.12 (m, 2 H) 2.83 - 2.97 (m, 1 H) 2.54 - 2.65 (m, 4 H) 2.39 (t, J=7.03 Hz, 2H) 2.07 (d, J=10.64 Hz, 1 H) 1.82 (t, J=6.54 Hz, 2 H) 1.60 (quin, J=6.57 Hz, 3 H) 1.47 (br. s., 5 H) 1.14 (s, 3H)
실시예 66 : N1-(3-((3-아미노-5-((3R,4R)-4-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N4-(3-(2-(2-(3-((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아미노)프로폭시)에톡시)에톡시)프로필)숙신아마이드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262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263
3-{[3-({3-아미노-5-[(3R,4R)-4-{[(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설파닐)-2-클로로페닐]카바모일}프로파노 산 (28.7 mg, 0.046 mmol), HATU(26.4 mg, 0.069 mmol), DIPEA(0.04 mL, 0.231 mmol) 및 3-[7-(14-아미노-5,8,11-트리옥사-1-아자테트라데칸-1-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 (22mg, 0.046 mmol)을 DMF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3시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반응 혼합물을 EA 및 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하고,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생성물을 MPLC로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흰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수율: 30 mg, 60%), MS (ESI, m/z): [M+1]+ = 1080.5
Figure 112021102564500-pat00264
tert-부틸 N-[(3R,4R)-8-{6-아미노-5-[(2-클로로-3-{3-[(3-{2-[2-(3-{[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아미노}프로폭시)에톡시]에톡시}프로필)카바모일]프로판아마이도}페닐)설파닐]피라진-2-일}-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4-일]카바메이트 (30 mg, 0.028mmol)를 1,4 디옥산에 용해시켰다. 1,4 디옥산 중의 4M HCl을 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생성물을 NH2 컬럼 MPLC로 정제하였다. (수율: 15 mg, 55%),
MS (ESI, m/z): [M+1]+ = 980.5
[NMR]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11.00 (s, 1 H) 9.57 (s, 1 H) 8.14 (s, 1 H) 8.04 (br. s., 2 H) 7.87 (t, J=5.20 Hz, 1 H) 7.60 - 7.69 (m, 2 H) 7.46 (d, J=8.19 Hz, 1 H) 7.10 - 7.20 (m, 3 H) 6.42 (d, J=6.72 Hz, 1 H) 5.74 (d, J=6.60 Hz, 1 H) 4.17 - 4.25 (m, 2 H) 4.12 (d, J=12.84 Hz, 1 H) 3.90 (d, J=9.05 Hz, 1 H) 3.68 (d, J=9.29 Hz, 4 H) 3.30 - 3.40 (m, 8 H) 3.21 (t, J=6.72 Hz, 3 H) 2.99 - 3.13 (m, 4 H) 2.84 - 2.97 (m, 2 H) 2.54 - 2.64 (m, 3 H) 2.35 - 2.44 (m, 2 H) 2.07 (d, J=9.78 Hz, 1 H) 1.78 - 1.86 (m, 2 H) 1.67 - 1.77 (m, 2 H) 1.53 - 1.65 (m, 3 H) 1.19 - 1.30 (m, 3 H)
실시예 67: N-[3-({3-아미노-5-[(3S,4S)-4-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설파닐)-2-클로로페닐]-N'-(17-{[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3,6,9,12,15-펜타옥사헵타데칸-1-일)부탄디아마이드 염산염
Figure 112021102564500-pat00265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266
3-[8-(18-아지도-4,7,10,13,16-펜타옥사-1-아자옥타데칸-1-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240mg, 0.427mmol)을 메탄올 중의 Pd/C (4.5mg, 0.0427mmol) 용액에 가하고, 수소 대기 중에서 실온에서 14시간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휘발성 물질을 감압하에서 제거하여 조 잔사를 수득하였다. (83.0%, 190mg), MS (ESI, m/z): [M+1]+ = 536.3
Figure 112021102564500-pat00267
DMF 중의 3-[8-(18-아미노-4,7,10,13,16-펜타옥사-1-아자옥타데칸-1-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8.64mg, 0.016mmol), 3-{[3-({3-아미노-5-[(3S,4S)-4-{[(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설파닐)-2-클로로페닐]카바모일}프로파노 산 (15mg, 0.024mmol), HATU(9.2mg, 0.024mmol) 용액에 DIPEA(8.61uL, 0.048mmol)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표적화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MS (ESI, m/z): [M+1]+ = 1040.6
실시예 68: N-(3-{[3-아미노-5-(4-아미노-4-메틸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설파닐}-2-클로로페닐)-N'-(17-{[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3,6,9,12,15-펜타옥사헵타데칸-1-일)부탄디아마이드 염산염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268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269
3-[8-(18-아지도-4,7,10,13,16-펜타옥사-1-아자옥타데칸-1-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240mg, 0.427mmol)을 메탄올 중의 Pd/C (4.55mg, 0.0427mmol)에 가하고, 수소 대기 중에서 실온에서 14시간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휘발물질을 감압 하에서 제거하여 조 잔사를 수득하였다 (83.01%, 190mg), MS (ESI, m/z): [M+1]+ = 536.7
Figure 112021102564500-pat00270
DMF 중의 3-[(3-{[3-아미노-5-(4-{[(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4-메틸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설파닐}-2-클로로페닐)카바모일]프로파노 산 (15mg, 0.0266mmol), 3-[8-(18-아미노-4,7,10,13,16-펜타옥사-1-아자옥타데칸-1-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14.2mg, 0.0266mmol), HATU(9.38mg, 0.0399mmol) 용액에 DIPEA(23.7uL, 0.133mmol)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표적화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수율 : 56.4%, 15.3mg)
MS (ESI, m/z): [M+1]+ = 983.6
실시예 69: N-[3-({3-아미노-5-[(3S,4S)-4-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설파닐)-2-클로로페닐]-N'-(14-{[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3,6,9,12-테트라옥사테트라데칸-1-일)부탄디아마이드 염산염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271
DMF 중의 3-[8-(15-아미노-4,7,10,13-테트라옥사-1-아자펜타데칸-1-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 (7.93mg, 0.016mmol), 3-{[3-({3-아미노-5-[(3S,4S)-4-{[(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설파닐)-2-클로로페닐]카바모일}프로파노 산 (15mg, 0.024mmol), HATU(9.2mg, 0.024mmol) 용액에 DIPEA(8.61uL, 0.048mmol)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표적화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수율 : 53.4%, 8.89mg)
MS (ESI, m/z): [M+1]+ = [996.5]
실시예 70 : N-[3-({3-아미노-5-[(3S,4S)-4-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설파닐)-2-클로로페닐]-N'-{3-[4-(3-{[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프로필)피페라진-1-일]프로필}부탄디아마이드 트리염산염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272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273
DMF 중의 3-[8-({3-[4-(3-아미노프로필)피페라진-1-일]프로필}아미노)-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 이염산염(8.52mg, 0.0161mmol), 3-{[3-({3-아미노-5-[(3S,4S)-4-{[(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설파닐)-2-클로로페닐]카바모일}프로파노 산(15mg, 0.0241mmol), HATU(9.2mg, 0.0242mmol) 용액에 DIPEA (8.61uL, 0.0484mmol)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브라인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Na2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생성된 화합물을 DCM (2ml)에 용해하고, 여기에 디옥산 중의 4N HCl을 천천히 적가하고, 10분간 음파처리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사를 메탄올 중에 용해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진공 건조하고, 표적화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수율 : 47.5%, 8.18mg)
MS (ESI, m/z): [M+1]+ = 960.0
실시예 71: N1-(3-((3-아미노-5-((3R,4R)-4-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N4-(3-(2-(2-(3-((3-(2,6-디옥소피페리딘-3-일)-1-메틸-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프로폭시)에톡시)에톡시)프로필)숙신아마이드
Figure 112021102564500-pat00274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275
NMP (1mL) 중의 3-(8-플루오로-4-메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150 mg, 0.519 mmol), tert-부틸 (3-(2-(2-(3-아미노프로폭시)에톡시)에톡시)프로필)카바메이트 (199 mg, 0.622 mmol) 및 DIPEA (0.271 mL, 1.56 mmol) 용액을 16시간 동안 12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236 mg, 77.2 %) MS (ESI, m/z): [M+1]+ = [590.2]
Figure 112021102564500-pat00276
0.3 ml DCM 중의 tert-부틸 (3-(2-(2-(3-((3-(2,6-디옥소피페리딘-3-일)-1-메틸-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프로폭시)에톡시)에톡시)프로필)카바메이트 (20 mg, 0.034 mmol) 용액에 0.1 ml TFA를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수율: 16.6 mg, quant.) MS (ESI, m/z): [M+1]+ = [490.2]
Figure 112021102564500-pat00277
DMF (1 mL) 중의 3-(8-((3-(2-(2-(3-아미노프로폭시)에톡시)에톡시)프로필)아미노)-4-메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16.6 mg, 0.034 mmol), 4-((3-((3-아미노-5-((3R,4R)-4-((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아미노)-4-옥소부타노 산 (20 mg, 0.032 mmol) 및 DIPEA (0.028 ml, 0.16 mmol) 용액에 HATU (19.3 mg, 0.051 mmol)를 0℃에서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31 mg, 83.7 %). MS (ESI, m/z): [M+1]+ = [1092.6]
Figure 112021102564500-pat00278
0.3 ml of DCM 중의 tert-부틸 ((3R,4R)-8-(6-아미노-5-((2-클로로-3-(1-((3-(2,6-디옥소피페리딘-3-일)-1-메틸-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15-옥소-4,7,10-트리옥사-14-아자옥타데칸-18-아마이도)페닐)티오)피라진-2-일)-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4-일)카바메이트 (31 mg, 0.028 mmol) 용액에 0.1 ml TFA를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반응 혼합물을 아미노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17.5 mg, 62.2 %).
1H NMR (400 MHz, DMSO-d6) δ = 10.99 (s, 1H), 9.55 (s, 1H), 8.96 (t, J = 5.3 Hz, 1H), 7.86 (t, J = 5.6 Hz, 1H), 7.66 (t, J = 8.1 Hz, 1H), 7.63 (s, 1H), 7.45 (d, J = 7.6 Hz, 1H), 7.14 (t, J = 8.1 Hz, 1H), 6.91 (d, J = 8.2 Hz, 1H), 6.91 (d, J = 7.6 Hz, 1H), 6.11 (s, 2H), 5.63 (m, 1H), 4.08 (m, 1H), 3.86 (m, 2H), 3.68 (d, J = 8.07 Hz, 1H), 3.57 - 3.47 (m, 10H), 3.47 - 3.42 (m, 2H), 3.37 (m, 4H), 3.27 (m, 4H), 3.08 (q, J = 6.77 Hz, 2H), 2.95 (d, J = 4.9 Hz, 1H), 2.91 - 2.83 (m, 1H), 2.66 - 2.53 (m, 4H), 2.41 (s, 3H), 2.39 (m, 2H), 2.07 (m, 1H), 1.85 (q, J = 6.5 Hz, 2H), 1.72 - 1.40 (m, 6H), 1.35 - 1.15 (m, 2H), 1.09 (d, J = 6.6 Hz, 3H)
MS (ESI, m/z): [M+1]+ = [992.6][994.6]
실시예 72: N1-(3-((3-아미노-5-(4-아미노-4-메틸피페리딘-1-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N4-(3-(2-(2-(3-((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아미노)프로폭시)에톡시)에톡시)프로필)숙신아마이드 제조
Figure 112021102564500-pat00279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280
3-(6-플루오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200.0 mg, 0.727 mmol), tert-부틸 N-(3-{2-[2-(3-아미노프로폭시)에톡시]에톡시}프로필)카바메이트 (233.0 mg, 0.727 mmol) 및 DIPEA (0.633 mL, 3.63 mmol)를 NMP (2 mL)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12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물로 종료시키고, DCM, NH4Cl 및 브라인 용액으로 추출하였다. MgSO4로 건조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에 로딩하고, MPLC로 분리하였다. 생성물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150mg, 38%), MS (ESI, m/z): [M+1]+ = 576.5
Figure 112021102564500-pat00281
tert-부틸 N-(3-{2-[2-(3-{[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아미노}프로폭시)에톡시]에톡시}프로필)카바메이트 (31 mg, 0.054 mmol)를 20% TFA의 DCM에 용해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 혼합물을 감암 하에서 농축하였다. 생성물을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수율: 25 mg, 97 %), MS (ESI, m/z): [M+1]+ = 476.5
Figure 112021102564500-pat00282
4-((3-((3-아미노-5-(4-((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4-메틸피페리딘-1-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아미노-4-옥소부타노 산 (29.7 mg, 0.052 mmol), HATU(30.0 mg, 0.079 mmol), DIPEA(0.05 mL, 0.263 mmol) 및 3-[6-(14-아미노-5,8,11-트리옥사-1-아자테트라데칸-1-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 (25mg, 0.052 mmol)을 DMF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반응 혼합물을 EA 및 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제거하였다. 생성물을 MPLC로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흰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수율: 30 mg, 56 %), MS (ESI, m/z): [M+1]+ = 1023.5
Figure 112021102564500-pat00283
tert-부틸 (1-(6-아미노-5-((2-클로로-3-(1-((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아미노_15-옥소-4,7,10-트리옥사-아자옥타데칸-19-아마이도)페닐)티오)피라진-2-일)-4-메틸피페리딘-4-일)카바메이트 (30mg, 0.029mmol)를 1,4 디옥산에 녹였다. 1,4 디옥산 중의 4M HCl을 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였다. 생성물을 NH2 컬럼 MPLC로 정제하였다. (수율: 17mg, 35%)
MS (ESI, m/z): [M+1]+ = 923.5
[NMR]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9.56 (s, 1 H) 8.42 (s, 2 H) 8.18 (s, 1 H) 7.91 (d, J=8.68 Hz, 1 H) 7.86 (s, 1 H) 7.62 (s, 1 H) 7.45 (d, J=8.07 Hz, 1 H) 7.14 (t, J=8.07 Hz, 1 H) 7.07 (d, J=8.68 Hz, 1 H) 6.89 (s, 1 H) 6.76 (s, 1 H) 6.41 (d, J=7.95 Hz, 1 H) 6.10 (s, 2 H) 5.73 (s, 1 H) 3.63 (br. s., 2 H) 3.43 - 3.56 (m, 8 H) 3.20 (d, J=5.38 Hz, 3 H) 3.08 (d, J=5.26 Hz, 2 H) 2.89 (br. s., 1 H) 2.67 (s, 1 H) 2.54 - 2.64 (m, 4 H) 2.39 (t, J=6.85 Hz, 2 H) 2.07 (br. s., 1 H) 1.82 (t, J=6.24 Hz, 2 H) 1.60 (t, J=7.03 Hz, 3 H) 1.49 (br. s., 5 H) 1.14 (s, 3H)
실시예 73: N1-(3-((3-아미노-5-((3R,4R)-4-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N4-(3-(2-(2-(3-((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아미노)프로폭시)에톡시)에톡시)프로필)숙신아마이드
Figure 112021102564500-pat00284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285
3-{[3-({3-아미노-5-[(3R,4R)-4-{[(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설파닐)-2-클로로페닐]카바모일}프로파노 산 (32.7 mg, 0.053 mmol), HATU(30.0 mg, 0.079 mmol), DIPEA(0.05 mL, 0.263 mmol) 및 3-[6-(14-아미노-5,8,11-트리옥사-1-아자테트라데칸-1-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 (25mg, 0.053 mmol)을 DMF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반응 혼합물을 EA 및 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제거하였다. 생성물을 MPLC로 정제하여, 흰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수율: 40 mg, 71 %), MS (ESI, m/z): [M+1]+ = 1080.5
Figure 112021102564500-pat00286
tert-부틸 ((3R,4R)-8-(6-아미노-5-((2-클로로-3-(1-((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아미노)-15-옥소-4,7,10-트리옥사-14-아자옥타데칸-18-아마이도)페닐)티오)피라진-2-일)-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4-일)카바메이트 (30 mg, 0.028mmol)을 1,4 디옥산에 용해시켰다. 1,4 디옥산 중의 4M HCl을 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였다. 생성물을 NH2 컬럼 MPLC로 정제하였다. (수율: 17 mg, 35%)
MS (ESI, m/z): [M+1]+ = 980.5
[NMR]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10.99 (br. s., 1 H) 7.03 - 7.19 (m, 2 H) 9.55 (s, 1 H) 8.18 (s, 1 H) 7.81 - 7.95 (m, 2 H) 7.62 (s, 1 H) 7.45 (d, J=7.95 Hz, 1 H) 6.88 (t, J=5.26 Hz, 1 H) 6.76 (d, J=2.08 Hz, 1 H) 6.42 (d, J=7.95 Hz, 1 H) 6.10 (s, 2 H) 5.72 (dd, J=12.10, 5.14 Hz, 1 H) 4.07 (quin, J=6.05 Hz, 1 H) 3.86 (br. s., 2 H) 3.68 (d, J=8.56 Hz, 1 H) 3.44 - 3.58 (m, 10 H) 3.15 - 3.24 (m, 4 H) 3.08 (q, J=6.52 Hz, 3 H) 2.84 - 2.96 (m, 2 H) 2.53 - 2.66 (m, 4 H) 2.35 - 2.43 (m, 2 H) 2.02 - 2.11 (m, 1 H) 1.77 -1.87 (m, 2 H) 1.72 (t, J=9.72 Hz, 1 H) 1.60 (quin, J=6.57 Hz, 4 H) 1.54 (br. s., 1 H) 1.48 (br. s., 1 H) 1.09 (d, J=6.48 Hz, 3 H)
실시예 74: N1-(3-((3-아미노-5-((3R,4R)-4-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N4-(1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12-옥소도데실)숙신아마이드
Figure 112021102564500-pat00287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288
0.3 ml DMAC 중의 3-(8-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14 mg, 0.051 mmol), 12-{[(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도데카노 산 (40.6 mg, 0.129 mmol) 및 DIPEA (40 mg, 0.0309 mmol) 용액에 0℃에서 SOCl2 (16.5 mg, 0.139 mmol)를 가하고, 16시간 동안 5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물(0.1% FA) / ACN(0.1% FA) = 95/1 to 0/100 구배)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9.1 mg, 31.6 %). MS (ESI, m/z): [M+1]+ = [568.2]
Figure 112021102564500-pat00289
0.5 ml of DCM 중의 tert-부틸 (1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12-옥소도데실)카바메이트 (9.1 mg, 0.016 mmol) 용액에 0.1 ml TFA를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수율: 7.5 mg, quant.) MS (ESI, m/z): [M+1]+ = [470.2]
Figure 112021102564500-pat00290
DMF (0.4 mL) 중의 12-아미노-N-(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도데칸아마이드 (7.5 mg, 0.016 mmol), 4-((3-((3-아미노-5-((3R,4R)-4-((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아미노)-4-옥소부타노 산 (9.92 mg, 0.016 mmol) 및 DIPEA (0.014 ml, 0.08 mmol) 용액에 HATU (9.1 mg, 0.024 mmol)를 0℃에서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10 mg, 58.4 %). MS (ESI, m/z): [M+1]+ = [1072.2][1074.2].
Figure 112021102564500-pat00291
0.3 ml DCM 중의 tert-부틸 ((3R,4R)-8-(6-아미노-5-((2-클로로-3-(4-((1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12-옥소도데실)아미노)-4-옥소부탄아마이도)페닐)티오)피라진-2-일)-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4-일)카바메이트 (10 mg, 0.093 mmol) 용액에 0.1 ml TFA를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고에서 농축하고, 반응 혼합물을 아미노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5.4 mg, 34.8 %).
1H NMR (400 MHz, DMSO-d6) δ = 12.25 (s, 1H), 9.55 (s, 1H), 8.92 (d, J = 8.3 Hz, 1H), 8.51 (s, 1H), 7.94 (t, J = 8.1 Hz, 1H), 7.84 (t, J = 5.5 Hz, 1H), 7.62 (s, 1H), 7.61 (d, J = 8.1 Hz, 1H), 7.45 (d, J = 7.1 Hz, 1H), 7.14 (t, J = 8.1 Hz, 1H), 6.42 (dd, J = 7.9, 1.3 Hz, 1H), 6.10 (s, 2H), 5.85 (m, 1H), 4.05 (m, 1H), 3.82 (m, 2H), 3.57 (dd, J = 74.09, 8.07 Hz, 2H), 3.26 (m, 2H), 3.07 (q, J = 6.09 Hz, 2H), 2.93 (m, 1H), 2.90 (d, J = 9.05 Hz, 1H), 2.69 - 2.55 (m, 4H), 2.43 (t, J = 7.2 Hz, 2H), 2.39 (t, J = 7.2 Hz, 2H), 2.15 (m, 1H), 1.72 - 1.56 (m, 4H), 1.55 - 1.40 (m, 2H), 1.4 - 1.15 (m, 19H), 1.08 (d, J = 6.4 Hz, 3H).
MS (ESI, m/z): [M+1]+ = [972.6][974.6]
실시예 75: N-(3-((3-아미노-5-((3R,4R)-4-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4-(4-(3-(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4-옥소부탄아마이드
Figure 112021102564500-pat00292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293
1.5 ml NMP 중의 3-(8-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200 mg, 0.727 mmol), tert-부틸 3-(2-(2-아미노에톡시)에톡시)프로파노에이트 (203 mg, 0.872 mmol) 및 DIPEA (0.38 ml, 2.18 mmol) 용액을 20시간 동안 125℃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물(0.1% FA) / ACN(0.1% FA) = 95/1 to 0/100 구배)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320 mg, 90.14 %). MS (ESI, m/z): [M+1]+ = [489.0]
Figure 112021102564500-pat00294
5 ml of DCM 중의 tert-부틸 3-(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프로파노에이트 (320 mg, 0.655 mmol) 용액에 1 ml TFA를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325mg, 0.43 TFA 염, 정량) MS (ESI, m/z): [M+1]+ = [433.0]
Figure 112021102564500-pat00295
DMF (0.4 mL) 중의 3-(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프로파노 산 (15 mg, 0.0347 mmol), tert-부틸 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11.6 mg, 0.052 mmol) 및 DIPEA (0.018 ml, 0.104 mmol) 용액에 HATU (19.8 mg, 0.052 mmol)를 0℃에서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20 mg, 96 %). MS (ESI, m/z): [M+1]+ = [601.2].
Figure 112021102564500-pat00296
0.5 ml DCM 중의 a tert-부틸 4-(3-(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프로파노일)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20 mg, 0.033 mmol)에 0.1 ml TFA를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16.7 mg, 정량) MS (ESI, m/z): [M+1]+ = [501.2]
Figure 112021102564500-pat00297
DMF (0.4 mL) 중의 3-(1-옥소-8-((2-(2-(3-옥소-3-(피페라진-1-일)프로폭시)에톡시)에틸)아미노)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16.7 mg, 0.033 mmol), 4-((3-((3-아미노-5-((3R,4R)-4-((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아미노)-4-옥소부타노 산 (18.6 mg, 0.030 mmol) 및 DIPEA (0.035 ml, 0.2 mmol) 용액에 HATU (15.2 mg, 0.040 mmol)를 0℃에서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16.3 mg, 44.3 %). MS (ESI, m/z): [M+1]+ = [1103.8][1105.6].
Figure 112021102564500-pat00298
0.3 ml of DCM 중의 tert-부틸 ((3R,4R)-8-(6-아미노-5-((2-클로로-3-(4-(4-(3-(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4-옥소부탄아마이도)페닐)티오)피라진-2-일)-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4-일)카바메이트 (16.3 mg, 0.0148 mmol) 용액에 0.1 ml TFA를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반응 혼합물을 아미노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12 mg, 81 %).
1H NMR (400 MHz, DMSO-d6) δ = 11.03 (s, 1H), 9.54 (s, 1H), 8.83 (s, 1H), 8.22 (s, 1H), 7.65 (t, J = 7.8 Hz, 1H), 7.63 (s, 1H), 7.48 (d, J = 7.3 Hz, 1H), 7.14 (t, J = 8.1 Hz, 1H), 6.92 (d, J = 8.1 Hz, 1H), 6.91 (d, J = 8.1 Hz, 1H), 6.42 (dd, J = 8.1, 1.5 Hz, 1H), 6.10 (s, 2H), 5.72 (m, 1H), 4.08 (m, 1H), 3.87 (m, 2H), 3.72 - 3.6 (m, 5H), 3.6 - 3.5 (m, 4H), 3.5 - 3.35 (m, 11H), 3.26 (m, 2H), 2.95 (d, J = 5.1 Hz, 1H), 2.89 (m, 1H), 2.64 (s, 4H), 2,58 -2.5 (m, 4H), 2.10 (m, 1H), 1.76 - 1.40 (m, 4H), 1.09 (d, J = 6.6 Hz, 3H).
MS (ESI, m/z): [M+1]+ = [1003.6][1005.6]
실시예 76: N-(3-((3-아미노-5-((3R,4R)-4-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4-(4-(3-(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4-옥소부탄아마이드
Figure 112021102564500-pat00299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300
1.5 ml NMP 중의 3-(8-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200 mg, 0.727 mmol), tert-부틸 3-(2-(2-(2-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프로파노에이트 (242 mg, 0.872 mmol) 및 DIPEA (0.38 ml, 2.18 mmol) 용액을 20시간 동안 125℃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물(0.1% FA) / ACN(0.1% FA) = 95/1 to 0/100 구배)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360 mg, 93 %). MS (ESI, m/z): [M+1]+ = [533.2]
Figure 112021102564500-pat00301
5 ml DCM 중의 tert-부틸 3-(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프로파노에이트 (360 mg, 0.676 mmol) 용액에 1 ml TFA를 가하고, 및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479 mg, 1.37 TFA salts, quant.) MS (ESI, m/z): [M+1]+ = [477.0]
Figure 112021102564500-pat00302
DMF (0.4 mL) 중의 3-(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프로파노 산 (17 mg, 0.0357 mmol), tert-부틸 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11.9 mg, 0.0535 mmol) 및 DIPEA (0.0186 ml, 0.107 mmol) 용액에 HATU (20.3 mg, 0.054 mmol)를 0℃에서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22 mg, 95.6 %). MS (ESI, m/z): [M+1]+ = [645.2].
Figure 112021102564500-pat00303
0.5 ml DCM 중의 4-(3-(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프로파노일)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22 mg, 0.034 mmol) 용액에 0.1 ml TFA를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19.4 mg, quant.) MS (ESI, m/z): [M+1]+ = [545.2]
Figure 112021102564500-pat00304
DMF (0.4 mL) 중의 3-(1-옥소-8-((2-(2-(2-(3-옥소-3-(피페라진-1-일)프로폭시)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19.4 mg, 0.035 mmol), 4-((3-((3-아미노-5-((3R,4R)-4-((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아미노)-4-옥소부타노 산 (17.7 mg, 0.028 mmol) 및 DIPEA (0.037 ml, 0.214 mmol) 용액에 HATU (17.6 mg, 0.046 mmol)를 0℃에서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22 mg, 53.7 %). MS (ESI, m/z): [M+1]+ = [1147.6][1149.6].
Figure 112021102564500-pat00305
0.3 ml DCM 중의 tert-부틸 ((3R,4R)-8-(6-아미노-5-((2-클로로-3-(4-(4-(3-(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4-옥소부탄아마이도)페닐)티오)피라진-2-일)-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4-일)카바메이트 (22 mg, 0.019 mmol) 용액에 0.1 ml TFA를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반응 혼합물을 아미노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15.5 mg, 77.2 %).
1H NMR (400 MHz, DMSO-d6) δ = 11.03 (s, 1H), 9.55 (s, 1H), 8.82 (s, 1H), 8.23 (s, 1H), 7.66 (s, 1H), 7.64 (t, J = 7.8 Hz, 1H), 7.48 (d, J = 7.3 Hz, 1H), 7.14 (t, J = 8.1 Hz, 1H), 6.92 (d, J = 8.1 Hz, 1H), 6.91 (d, J = 8.1 Hz, 1H), 6.42 (dd, J = 8.1, 1.5 Hz, 1H), 6.15 (s, 2H), 5.71 (m, 1H), 4.18 (m, 1H), 4.12 (m, 2H), 3.86 (m, 1H), 3.72 - 3.6 (m, 5H), 3.6 - 3.5 (m, 4H), 3.52 - 3.45 (m, 4H), 3.45 - 3.35 (m, 11 H), 3.12 (m, 1H), 3.04 (m, 3H), 2.90 (m, 1H), 2.65 (s, 4H), 2,58 -2.5 (m, 3H), 2.09 (m, 1H), 1.76 - 1.40 (m, 4H), 1.23 - 1.1 (m, 3H).
MS (ESI, m/z): [M+1]+ = [1047.6][1049.6]
실시예 77 : N-(3-((3-아미노-5-((3R,4R)-4-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4-(4-(1-((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3,6,9,12-테트라옥사펜타데칸-15-oyl)피페라진-1-일)-4-옥소부탄아마이드
Figure 112021102564500-pat00306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307
1.5 ml NMP 중의 3-(8-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200 mg, 0.727 mmol), tert-부틸 1-아미노-3,6,9,12-테트라옥사펜타데칸-15-오에이트 (280 mg, 0.872 mmol) 및 DIPEA (0.38 ml, 2.18 mmol) 용액을 20시간 동안 125℃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물(0.1% FA) / ACN(0.1% FA) = 95/1 to 0/100 구배)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360 mg, 85.9 %). MS (ESI, m/z): [M+1]+ = [577.2]
Figure 112021102564500-pat00308
5 ml of DCM 중의 tert-부틸 1-((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3,6,9,12-테트라옥사펜타데칸-15-오에이트 (360 mg, 0.624 mmol) 용액에 1 ml TFA를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564 mg, 1.92 TFA salts, quant.) MS (ESI, m/z): [M+1]+ = [521.0]
Figure 112021102564500-pat00309
DMF (0.4 mL) 중의 1-((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3,6,9,12-테트라옥사펜타데칸-15-오 산 (18.6 mg, 0.0357 mmol), tert-부틸 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11.9 mg, 0.0535 mmol) 및 DIPEA (0.0186 ml, 0.107 mmol) 용액에 HATU (20.3 mg, 0.054 mmol)를 0℃에서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24 mg, 99 %). MS (ESI, m/z): [M+1]+ = [689.4].
Figure 112021102564500-pat00310
0.5 ml of DCM 중의 tert-부틸 4-(1-((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3,6,9,12-테트라옥사펜타데칸-15-오일)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24 mg, 0.035 mmol) 용액에 0.1 ml TFA를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21 mg, quant.) MS (ESI, m/z): [M+1]+ = [589.2]
Figure 112021102564500-pat00311
DMF (0.4 mL) 중의 3-(1-옥소-8-((15-옥소-15-(피페라진-1-일)-3,6,9,12-테트라옥사펜타데실)아미노)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21 mg, 0.035 mmol), 4-((3-((3-아미노-5-((3R,4R)-4-((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아미노)-4-옥소부탄오 산 (17.7 mg, 0.028 mmol) 및 DIPEA (0.037 ml, 0.214 mmol) 용액에 HATU (17.6 mg, 0.046 mmol)를 0℃에서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19.2 mg, 45 %). MS (ESI, m/z): [M+1]+ = [1191.8][1193.6].
Figure 112021102564500-pat00312
0.3 ml of DCM 중의 tert-부틸 ((3R,4R)-8-(6-아미노-5-((2-클로로-3-(4-(4-(1-((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3,6,9,12-테트라옥사펜타데칸-15-오일)피페라진-1-일)-4-옥소부탄아마이도)페닐)티오)피라진-2-일)-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4-일)카바메이트 (19.2 mg, 0.016 mmol) 용액에 0.1 ml TFA를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아미노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17.2 mg, 97 %).
1H NMR (400 MHz, DMSO-d6) δ = 11.03 (s, 1H), 9.55 (s, 1H), 8.84 (s, 1H), 8.23 (s, 1H), 7.67 (s, 1H), 7.65 (t, J = 7.8 Hz, 1H), 7.49 (d, J = 7.3 Hz, 1H), 7.14 (t, J = 8.1 Hz, 1H), 6.92 (d, J = 8.2 Hz, 1H), 6.91 (d, J = 8.1 Hz, 1H), 6.42 (dd, J = 8.1, 1.5 Hz, 1H), 6.16 (s, 2H), 5.71 (m, 1H), 4.20 (m, 2H), 4.15 (m, 1H), 3.89 (m, 1H), 3.72 - 3.6 (m, 5H), 3.6 - 3.5 (m, 5H), 3.52 - 3.45 (m, 4H), 3.45 - 3.35 (m, 13 H), 3.1 (m, 3H), 3.04 (m, 1H), 2.90 (m, 1H), 2.65 (s, 4H), 2,58 -2.5 (m, 3H), 2.09 (m, 1H), 1.76 - 1.40 (m, 4H), 1.23 - 1.1 (m, 3H).
MS (ESI, m/z): [M+1]+ = [1091.6][1093.6]
실시예 78: N-(3-((3-아미노-5-((3R,4R)-4-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4-(4-(1-((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3,6,9,12,15-펜타옥사octa데칸-18-오일)피페라진-1-일)-4-옥소부탄아마이드
Figure 112021102564500-pat00313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314
1.5 ml NMP 중의 3-(8-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200 mg, 0.727 mmol), tert-부틸 1-아미노-3,6,9,12,15-펜타옥사옥타데칸-18-오에이트 (319 mg, 0.872 mmol) 및 DIPEA (0.38 ml, 2.18 mmol) 용액을 20시간 동안 125℃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물(0.1% FA) / ACN(0.1% FA) = 95/1 to 0/100 구배)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416 mg, 92.3 %). MS (ESI, m/z): [M+1]+ = [621.2]
Figure 112021102564500-pat00315
5 ml DCM 중의 tert-부틸 1-((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3,6,9,12,15-펜타옥사옥타데칸-18-오에이트 (416 mg, 0.670 mmol)에 1 ml TFA를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652 mg, 2.8 TFA 염, 정량.) MS (ESI, m/z): [M+1]+ = [565.2]
Figure 112021102564500-pat00316
DMF (0.4 mL) 중의 1-((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3,6,9,12,15-펜타옥사옥타데칸-18-오 산 (20.1 mg, 0.0357 mmol), tert-부틸 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11.9 mg, 0.0535 mmol) 및 DIPEA (0.0186 ml, 0.107 mmol) 용액에 HATU (20.3 mg, 0.054 mmol)를 0℃에서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26 mg, 99 %). MS (ESI, m/z): [M+1]+ = [733.4].
Figure 112021102564500-pat00317
0.5 ml DCM 중의 tert-부틸 4-(1-((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3,6,9,12,15-펜타옥사옥타데칸-18-오일)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26 mg, 0.035 mmol) 용액에 0.1 ml TFA를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22.6 mg, quant.) MS (ESI, m/z): [M+1]+ = [633.2]
Figure 112021102564500-pat00318
DMF (0.4 mL) 중의 3-(1-옥소-8-((18-옥소-18-(피페라진-1-일)-3,6,9,12,15-펜타옥사옥타데실)아미노)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26 mg, 0.035 mmol), 4-((3-((3-아미노-5-((3R,4R)-4-((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아미노)-4-옥소부탄오 산 (17.7 mg, 0.028 mmol) 및 DIPEA (0.037 ml, 0.214 mmol) 용액에 HATU (17.6 mg, 0.046 mmol)를 0℃에서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22 mg, 48 %). MS (ESI, m/z): [M+1]+ = [1235.8][1237.8].
Figure 112021102564500-pat00319
0.3 ml DCM 중의 tert-부틸 ((3R,4R)-8-(6-아미노-5-((2-클로로-3-(4-(4-(1-((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3,6,9,12,15-펜타옥사옥타데칸-18-오일)피페라진-1-일)-4-옥소부탄아마이도)페닐)티오)피라진-2-일)-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4-일)카바메이트 (22 mg, 0.018 mmol) 용액에 0.1 ml TFA를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반응 혼합물을 아미노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16 mg, 79 %).
1H NMR (400 MHz, DMSO-d6) δ = 11.05 (s, 1H), 9.54 (s, 1H), 8.83 (t, J = 5.3 Hz, 1H), 8.22 (s, 1H), 7.64 (t, J = 7.8 Hz, 1H), 7.62 (s, 1H), 7.48 (d, J = 7.3 Hz, 1H), 7.14 (t, J = 8.1 Hz, 1H), 6.92 (d, J = 8.2 Hz, 1H), 6.91 (d, J = 8.1 Hz, 1H), 6.42 (dd, J = 8.1, 1.5 Hz, 1H), 6.10 (s, 2H), 5.71 (m, 1H), 4.06 (m, 2H), 3.84 (m, 2H), 3.72 - 3.6 (m, 5H), 3.6 - 3.5 (m, 5H), 3.52 - 3.45 (m, 4H), 3.45 - 3.35 (m, 15 H), 3.3 - 3.1 (m, 5H), 3.04 (m, 1H), 2.90 (m, 1H), 2.65 (s, 4H), 2,58 -2.5 (m, 3H), 2.09 (m, 1H), 1.76 - 1.40 (m, 4H), 1.08 (d, J = 6.4 Hz, 3H).
MS (ESI, m/z): [M+1]+ = [1135.8][1137.8]
실시예 79: N-(3-((3-아미노-5-((3R,4R)-4-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4-(4-(1-((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3,6,9,12,15,18-헥사옥사헤니코산-21-오일)피페라진-1-일)-4-옥소부탄아마이드
Figure 112021102564500-pat00320
하기 공정을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21102564500-pat00321
1.5 ml NMP 중의 3-(8-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200 mg, 0.727 mmol), tert-부틸 1-아미노-3,6,9,12,15,18-헥사옥사헤니코산-21-오에이트 (357 mg, 0.872 mmol) 및 DIPEA (0.38 ml, 2.18 mmol) 용액을 20시간 동안 125℃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물(0.1% FA) / ACN(0.1% FA) = 95/1 to 0/100 구배)에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439 mg, 90.9 %). MS (ESI, m/z): [M+1]+ = [665.4]
Figure 112021102564500-pat00322
5 ml DCM 중의 tert-부틸 1-((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3,6,9,12,15,18-헥사옥사헤니코산-21-오에이트 (439 mg, 0.660 mmol) 용액에 1 ml TFA를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659 mg, 2.2 TFA salts, quant.) MS (ESI, m/z): [M+1]+ = [609.2]
Figure 112021102564500-pat00323
DMF (0.4 mL) 중의 1-((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3,6,9,12,15,18-헥사옥사헤니코산-21-오 산 (21.7 mg, 0.0357 mmol), tert-부틸 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11.9 mg, 0.0535 mmol) 및 DIPEA (0.0186 ml, 0.107 mmol) 용액에 HATU (20.3 mg, 0.054 mmol)를 0℃에서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28 mg, quant.). LC/MS (M+H)-(m/z)= [777.4].
Figure 112021102564500-pat00324
0.5 ml DCM 중의 tert-부틸 4-(1-((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3,6,9,12,15,18-헥사옥사헤니코산-21-오일)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28 mg, 0.035 mmol) 용액에 0.1 ml TFA를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24mg, 정량) MS (ESI, m/z): [M+1]+ = [677.4]
Figure 112021102564500-pat00325
DMF (0.4 mL) 중의 3-(1-옥소-8-((21-옥소-21-(피페라진-1-일)-3,6,9,12,15,18-헥사옥사헤니코실)아미노)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24 mg, 0.035 mmol), 4-((3-((3-아미노-5-((3R,4R)-4-((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아미노)-4-옥소부탄오 산 (17.5 mg, 0.028 mmol) 및 DIPEA (0.037 ml, 0.214 mmol) 용액에 HATU (17.6 mg, 0.046 mmol)를 0℃에서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23 mg, 50.6 %). MS (ESI, m/z): [M+1]+ = [1279.6][1281.6]
Figure 112021102564500-pat00326
0.3 ml DCM 중의 tert-부틸 ((3R,4R)-8-(6-아미노-5-((2-클로로-3-(4-(4-(1-((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3,6,9,12,15,18-헥사옥사헤니코산-21-오일)피페라진-1-일)-4-옥소부탄아마이도)페닐)티오)피라진-2-일)-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4-일)카바메이트 (23 mg, 0.018 mmol) 용액에 0.1 ml TFA를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반응 혼합물을 아미노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11.4 mg, 53.77 %).
1H NMR (400 MHz, DMSO-d6) δ = 11.01 (s, 1H), 9.54 (s, 1H), 8.83 (t, J = 5.3 Hz, 1H), 8.22 (s, 1H), 7.64 (t, J = 7.8 Hz, 1H), 7.62 (s, 1H), 7.48 (d, J = 7.3 Hz, 1H), 7.14 (t, J = 8.1 Hz, 1H), 6.92 (d, J = 8.2 Hz, 1H), 6.92 (d, J = 8.1 Hz, 1H), 6.42 (dd, J = 8.1, 1.5 Hz, 1H), 6.10 (s, 2H), 5.71 (m, 1H), 4.06 (m, 1H), 3.82 (m, 2H), 3.72 - 3.6 (m, 5H), 3.6 - 3.5 (m, 5H), 3.52 - 3.45 (m, 4H), 3.45 - 3.35 (m, 17 H), 3.3 - 3.1 (m, 5H), 3.04 (m, 2H), 2.90 (m, 2H), 2.65 (s, 4H), 2,58 -2.5 (m, 3H), 2.09 (m, 1H), 1.76 - 1.40 (m, 4H), 1.08 (d, J - 6.5 Hz, 3H).
MS (ESI, m/z): [M+1]+ = [1179.4][1181.4]
실시예 C
CRBN binding affinity 평가
1. CRBN binding affinity 측정 [NanoBret assay]
[1] 평가방법
CRBN E3 ligase에 결합하는 합성된 화합물들의 CRBN E3 ligase에 대한 결합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Promega NanoBRETTE Intracellular E3 ligase Assay, CRBN [cat#N2910]을 이용하여 결합력을 측정하였다. Biolumin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BRET) assay는 타겟 단백질의 발광에너지가 결합되어 있는 형광 tracer로 옮겨지는 것을 측정하는 빙법으로 합성된 화합물이 타겟 단백질에 결합하면, 이에 의해 타겟 단백질에 대한 형광 tracer의 결합이 줄어들어 발광 에너지의 transfer가 줄어드는 것을 측정하여 화합물과 타겟 단백질의 결합력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2] 세포주의 배양 및 NanoLuc-CRBN fusion vector의 발현
한국세포주은행에서 구입한 HEK293T 세포는 10 % fetal bovine serum, 페니실린 [100U/ml] 및 스트렙토마이신 [100mg/ml]을 첨가한 DMEM (Welgene)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주를 Trypsin-EDTA(Gibco)을 이용하여 배양접시에서 떼어내어, 2*105 cell/ml의 농도로 배양 접시에 부착한 뒤, 9.0 mg/ml의 DDB1 Expression vector와 1.0 mg/ml의 NanoLuc-CRBN fusion vector를 lipofectamine3000을 사용하여 transfection하였다.
[3] 화합물의 처리 및 CRBN binding affinity 측정
Transfection 후 24시간 이후, 세포주를 Trypsin-EDTA(Gibco)을 이용하여 배양접시에서 떼어내어, 2*105 cell/ml의 농도로 384-white well plate에 분주한 뒤, NanoBRET tracer를 처리하고 15초 동안 섞어주었다. 이후 다양한 농도로 준비된 화합물을 세포주에 처리하여 15초 동안 섞어준 뒤, digitonin을 이용하여 세포벽을 깨어주고 25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luciferase substrate를 처리하여 donor emission wavelength (450nm)와 acceptor emission wavelength (610nm)에서 발광값과 형광값을 측정하여 BRET ratio를 계산하고 normalize 하였다. BREB ratio는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BRET ratio: Acceptor/Donor*1000.
[4] 화합물의 CRBN binding affinity 결과
BRET assay를 이용하여 합성된 화합물과 CRBN의 결합력을 측정하였을 때, 표 2와 도2의 결과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대다수의 화합물은 pomalidomide와 비교하였을 때 동등한 정도의 결합력을 보여주었고, 특히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11은 우수한 CRBN binding affinity를 보였다.
[표 1] BRET ratio IC50
Figure 112021102564500-pat00327
실시예 D:
BRD4 표적 PROTAC의 평가
[1] 세포주 배양 및 화합물 처리
인간 유방암 세포주 [MDA-MB-231]은 10 % fetal bovine serum, 페니실린 [100U/ml] 및 스트렙토마이신 [100mg/ml]을 첨가한 RPMI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합성된 화합물은 DMSO [dimethyl sulfoxide]에 용해시킨 10 mM 또는 50 mM의 원료용액으로 준비하였으며, 순차적으로 희석하여 처리하였다.
[2] BRD4 표적 PROTAC에 의한 BRD4 단백질 분해능 평가
세포에서 발현되는 BRD4에 대한 PROTAC의 분해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세포들을 6 well plate에서 5 × 105 세포/well의 농도로 분주한 뒤, 시료를 24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기 위한 western blotting assay를 수행하기 위하여, 화합물이 처리된 세포에 protease inhibitor가 첨가된 70 μL의 RIPA buffer를 30분간 처리한 뒤, 얼음위에서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세포 용해물을 모아 4 ℃ 15,000 rpm에서 30 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단백질이 포함된 상층액을 얻었다. 이후, 각 샘플 당 10 μg의 단백질을 사용하여 SDS-PAGE, 단백질의 membrane transfer를 수행하고, anti-BRD4, anti-beta-tubulin, anti-GAPDH 항체에 4℃에서 16 시간 동안 반응, 2차 항체를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SuperSignal™ West Pico PLUS chemiluminescence substrate와 이미지 analyzer를 이용하여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단백질의 발현은 β-tublin 또는 GAPDH의 발현값을 기준으로 정규화 하였으며, 0.1% DMSO vehicle을 처리한 샘플을 100% 기준으로 하여 각 샘플에서의 단백질 발현양을 %로 측정하였다. 단백질의 발현양은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량화 되었으며, 화합물 처리에 의한 단백질 발현양의 변화 (DC50: 50 %의 단백질 발현 저해가 달성되는 화합물의 농도)는 GraphicPad Prism 8.0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표 3와 도 3의 결과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3, 실시예 28, 실시예 29, 실시예 37, 실시예 39, 실시예 40, 실시예 41, 실시예 42, 실시예 48, 실시예 49 화합물들은 BRD4를 효과적으로 분해하였다.
[3] BRD4 표적 PROTAC에 의한 암세포 항증식 활성 평가
세포의 성장 저해를 관찰하기 위하여 세포들을 96 well plate에서 5,000 세포/well의 농도로 분주한 뒤, 다양한 농도로 준비된 시료를 72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세포의 생존은 미트콘드리아에 전자전달계에 존재하는 dehydrogenase와 반응하여 formazon을 생성하는 WST-8 (water soluble tetrazolium salt) 시료를 well 당 10 ml씩 첨가한 뒤, 2 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얻은 값을 GraphicPad Prism 8.0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IC50 값 (50 %의 세포 증식 억제를 달성하는 화합물의 농도) 은 3회의 독립적 측정결과의 평균값이다. 결과는 아래의 표와 같다. 표 3와 도 4의 결과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BRD4를 효과적으로 분해하는 실시예 23, 실시예 28, 실시예 29, 실시예 37, 실시예 39, 실시예 40, 실시예 41, 실시예 42, 실시예 48, 실시예 49 화합물들은 250 nM 미만의 농도에서 암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표 2] 새로운 E3 ligase binder를 적용한 BRD4-표적 PROTAC DC50 IC50
Figure 112021102564500-pat00328
실시예 E:
SHP2 표적 PROTAC의 평가
[1] 세포주 배양 및 화합물 처리
인간 혈액암 세포주 [MV-4-11]은 10 % fetal bovine serum, 페니실린 [100U/ml] 및 스트렙토마이신 [100mg/ml]을 첨가한 IMD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합성된 화합물은 DMSO [dimethyl sulfoxide]에 용해시킨 10 mM 또는 50 mM의 원료용액으로 준비하였으며, 순차적으로 희석하여 처리하였다.
[2] SHP2 표적 PROTAC에 의한 SHP2 단백질 분해능 평가
세포에서 발현되는 SHP2에 대한 PROTAC의 분해능을 관찰하기 위하여 세포들을 12 well plate에서 3 × 105 세포/well의 농도로 분주한 뒤, 시료를 24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기 위한 western blotting assay를 위하여, 화합물이 처리된 세포에 protease inhibitor가 첨가된 70 μL의 RIPA buffer를 30분간 처리한 뒤, 얼음위에서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세포 용해물을 모아 4 ℃ 15,000 rpm에서 30 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단백질이 포함된 상층액을 얻었다. 이후, 각 샘플 당 10 μg의 단백질을 사용하여 SDS-PAGE, 단백질의 membrane transfer를 수행하고, anti-SHP2, anti-GAPDH 항체에 4℃에서 16 시간 동안 반응, 2차 항체를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SuperSignal™ West Pico PLUS chemiluminescence substrate와 이미지 analyzer를 이용하여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단백질의 발현 저해는 GAPDH의 발현값을 기준으로 정규화하였으며, 0.1% DMSO vehicle을 처리한 샘플을 100% 기준으로 하여 각 샘플에서의 단백질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단백질의 발현양은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량화 되었으며, 화합물 처리에 의한 단백질 발현양의 변화 (DC50: 50 %의 단백질 발현 저해가 달성되는 화합물의 농도)는 GraphicPad Prism 8.0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표 4과 도 5의 결과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실시예 73, 실시예 77, 실시예 78, 실시예 79 화합물들은 SHP2를 효과적으로 분해하였다.
[3] SHP2 표적 PROTAC에 의한 암세포 항증식 활성 평가
세포의 성장 저해를 관찰하기 위하여 세포들을 96 well plate에서 7,000 세포/well의 농도로 분주한 뒤, 다양한 농도로 준비된 시료를 72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세포의 생존은 미트콘드리아에 전자전달계에 존재하는 dehydrogenase와 반응하여 formazon을 생성하는 WST-8 (water soluble tetrazolium salt) 시료를 well 당 10 ml 씩 첨가한 뒤, 3 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얻은 값을 GraphicPad Prism 8.0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결과는 아래의 표와 같다. 표 3과 그림 5의 결과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SHP2를 효과적으로 분해하는 실시예 73, 실시예 77, 실시예 78, 실시예 79 화합물들은 암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표 3] 새로운 E3 ligase binder를 적용한 SHP2-표적 PROTAC DC50 IC50
Figure 112021102564500-pat00329
실시예 F
실험 재료 및 방법
1. A549 세포주의 배양
인간 폐암 세포주인 A549를 한국세포주은행에서 구입하였다.
세포 배양을 위해 RPMI(Gibco), FBS(Gibco),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S)(Gibco), 100㎟ 세포배양 디쉬(SPL), 6웰 배양 플레이트(NEST), PBS pH 7.4(Gibco), Trypsin-EDTA(Gibco), 카운팅 챔버(Hematocytometer)(INCYTO) 및 0.4% 트립판 블루 용액(SIGMA)를 사용하였다.
2. 본 발명의 프로탁 화합물 처리
6 웰 플레이트(SPL사)의 각 웰 마다 5 × 105 개의 세포를 시딩하였고, 배양 배지 부피를 총 1.5 mL로 하여 세포를 배양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탁 화합물로 다양한 농도(0nM, 0.1nM, 0.3nM, 1nM, 3nM, 10nM, 30nM, 100nM, 300nM, 1000nM, 3000nM, 10000nM)로 상기 배양 세포를 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3. 웨스턴 블롯팅
SDS-PAGE 및 웨스턴 블롯팅을 위해, 1X RIPA 용해 버퍼(Rockland), 100X 프로테아제 억제제 칵테일(CST), BCA 단백질 분석 키트(ThermoScientific), 소 혈청 알부민(GenDEPOT), 4-15 % Mini-PROTEAN TGX stain-free 겔(Bio-rad), 10X 트리스/글리신/SDS 버퍼(Bio-rad), 트랜스-블롯 터보 5x 트랜스퍼 버퍼(Bio-rad), 10X TBS(Bio-rad), 10% 트윈 20(Bio-rad), Color protein standard broad range(Bio-rad), Non-Reducing Lane Marker Sample 버퍼(ThermoScientific), 블로팅-그레이드 블로커(Bio-rad), BRD4(E2A7X) 래빗 mAb(CST), beta-튜불린(Tubulin) 래빗 Ab(CST), Goat pAb to Rb IgG(HRP)(abcam), SuperSignal™ West Pico PLUS chemiluminescence substrate(ThermoScientific)를 사용하였다.
세포 용해(lysis)를 위해, 용해 버퍼(lysis buffer)를 첨가하고 세포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세포 용해물(lysate)을 얻었다. 구체적으로, 세포에 프로테아제 억제제가 함유된 70㎕의 1X RIPA 버퍼를 처리하고, 얼음 위에서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세포 용해물을 모으고,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후, 세포를 4℃ 15,000 rpm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세포 용해물을 얻었다.
그 다음, BCA 어세이를 이용하여 표준 커브를 구하고 이를 대입하여 용해물 내 단백질 질량을 정량하였다. 혼합물에는 1㎕L의 샘플 용액, 200㎕의 BCA 용액을 사용하여 37℃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고, 562nm 흡광도에서 측정하였다. 샘플은 각 웰당 10㎍이 되도록 샘플 버퍼를 넣어 준비하였다.
4-15 % Mini-PROTEAN TGX stain-free 겔(15 웰)에 110V로 70분의 러닝 타임을 설정하여 SDS-PAGE를 수행하였다. 트랜스-블롯 터보 트랜스퍼 시스템(Bio-rad)을 사용하여 트랜스퍼하였다. 블로팅-그레이드 블로커(Bio-rad)로 1시간 동안 블로킹하였다. 0.1% 트윈 20을 포함한 1X TBS로 세척한 후, 1차 항체로서 소 혈청 알부민 내 항-BRD4 항체(1:3000) 또는 항-beta-튜불린(Tubulin) 항체(1:3000)를 4℃에서 1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0.1% 트윈 20을 포함한 1X TBS로 10분 동안 3회 세척한 후, 2차 항체로서 블로팅-그레이드 블로커 내 항-래빗 항체(1:10000)를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 다음, 0.1 % 트윈 20을 포함한 1X TBS로 10분 동안 3회 세척한 후, SuperSignal™ West Pico PLUS chemiluminescence substrate으로 검출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해, 이미지 애널라이저(GE)를 사용하여 최종 블롯 데이터를 얻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탁 화합물의 BRR4에 대한 각 DC50 (50% 분해 농도 (degration concentration))는 하기 표 4와 같다:
프로탁 화합물 DC50 1) DC50 2)
실시예 21 1600nM 242nM
실시예 23 11.3nM 10.9nM
실시예 25 56.86nM 49.63nM
실시예 26 22.02nM 567.9nM
실시예 27 9.21nM 11.87nM
실시예 28 25.26nM 298.8nM
DC50 1): 프로탁 화합물로 처리하지 아니한 시료를 대조군으로 하여 밴드 강도를 비교하여 산출한 DC50 값이다.DC50 2): 베타-튜불린의 밴드 강도와 대비한 상대적 밴드 강도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산출한 DC50 값이다.
실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피페리딘디온 유도체를 포함하는 프로탁 화합물은 항암 치료 시 표적 단백질로 알려진 BRD4에 대한 분해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페리딘디온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탁 화합물은 항암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0)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1]
    Figure 112022098452905-pat00330

    상기식에서,
    X는 수소, 할로겐, 아미노, 니트로, 히드록시, C1 내지 C6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옥시, 또는 피페라진기이고,
    Q1 내지 Q4는 각각 독립적으로 C-H 또는 C-X이되, 단 Q1 내지 Q4 중 어느 하나는 C-X이며,
    R1은 수소, C1 내지 C6의 직쇄, 분지쇄 또는 사이클릭 알킬,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C1 내지 C6의 직쇄, 분지쇄 또는 사이클릭 알킬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X는 수소,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아미노, 니트로, 히드록시, 피페라진기,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고,
    R1은 수소, 메틸, 에틸, 사이클로프로필 또는 CF3인 화학식 1의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학식 1의 화합물:
    Figure 112021102564500-pat00331
  4. 표적단백질 리간드, 링커 및 E3 효소 리간드를 포함하되, 상기 링커는 상기 표적단백질 리간드 및 상기 E3 효소 리간드와 각각 공유결합으로 연결되는 프로탁 화합물로서,
    하기 화학식 6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6]
    Figure 112022098452905-pat00359

    상기식에서,
    Z는 표적단백질 리간드 및 이와 연결되어 있는 링커이고,
    Q1 내지 Q4는 각각 독립적으로 C-H, C-Z, C-O-Z, C-NH-Z 또는
    Figure 112022098452905-pat00360
    이되, 단 Q1 내지 Q4 중 어느 하나는 C-Z, C-O-Z, C-NH-Z 또는
    Figure 112022098452905-pat00361
    이며,
    R1은 수소, C1 내지 C6의 직쇄, 분지쇄 또는 사이클릭 알킬,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C1 내지 C6의 직쇄, 분지쇄 또는 사이클릭 알킬이고,
    여기에서, 상기 Z는 하기 구조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구조식을 가지며;
    Figure 112022098452905-pat00362

    상기 식에서, Z1은 링커이며, 하기 화학식 2 또는 5의 구조식을 갖는다:
    [화학식 2]
    Figure 112022098452905-pat00363

    [화학식 5]
    Figure 112022098452905-pat00364

    상기 식에서,
    Y는 -NH-, -NHCO-, -CH2- 또는 -C(=O)- 이고,
    R2는 -(CH2)m-, -(CH2)m-R4-(CH2)q-, -(CH2)m-(CONH)-(CH2)q- 또는 -C≡C- 이고,
    R3는 -(CH2)m-; -(CH2)m-R4-(CH2)q-; -(CH2)m-(CONH)-(CH2)q- 또는 -C≡C- 이고,
    R4는 벤젠, 트리아졸, 피롤리딘, 피페라진 또는 피페리딘이고,
    m 및 q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고,
    n은 0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커는 하기 구조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Figure 112022098452905-pat00344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제4항에 있어서, 하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Figure 112022098452905-pat00365
  19. 하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3-(8-니트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3-(8-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3-(5-니트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3-(5-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3-(8-플루오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3-(5-플루오로-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2-일)피페리딘-2,6-디온;
    3-(6-플루오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3-(7-플루오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3-(8-플루오로-4-메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3-(8-아미노-4-메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3-(1-옥소-6-(피페라진-1-일)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3-(1-옥소-7-(피페라진-1-일)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3-(8-메톡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3-(7-메톡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3-(6-메톡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3-(5-메톡시-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3-(6-브로모-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및
    3-(1-옥소-8-(피페라진-1-일)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2염산염.
  20. 하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메틸)아세트아마이드
    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N-(3-{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1,2,3-벤조트리아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세트아마이드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3-(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세트아마이드
    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N-(4-{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세트아마이드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4-(2-(2-(2-((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세트아마이드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4-(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세트아마이드
    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 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N-[4-(2-{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세트아마이드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4-(2-(2-(2-(2-((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세트아마이드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4-(2-(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세트아마이드
    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N-(3-{2-[2-(2-{[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세트아마이드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1-(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틸)-1H-1,2,3-트리아졸-4-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1-(2-(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1H-1,2,3-트리아졸-4-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N-[(1-{2-[2-(2-{[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틸}-1H-1,2,3-트리아졸-4-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N-{[1-(2-{2-[2-(2-{[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1H-1,2,3-트리아졸-4-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N-[2-(2-{2-[4-({[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메틸)-1H-1,2,3-트리아졸-1-일]에톡시}에톡시)에틸]아세트아마이드
    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N-{2-[2-(2-{2-[4-({[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메틸)-1H-1,2,3-트리아졸-1-일]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아세트아마이드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5-((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아미노)펜틸)아세트아마이드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3-(4-(3-((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프로필)피페라진-1-일)프로필)아세트아마이드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3-(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1-메틸-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세트아마이드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3-(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프로프-2-인-1-일)아세트아마이드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3-(2-(2-(2-((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세트아마이드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3-(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아세트아마이드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틸)아세트아마이드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2-((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틸)아세트아마이드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옥시)에틸)아세트아마이드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2-((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옥시)에틸)아세트아마이드
    N-(4-(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부틸)-2-((S)-2,3,9-트리메틸-4-페닐-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아세트아마이드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2-(4-(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피페라진-1-일)에틸)아세트아마이드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2-(4-(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피페라진-1-일)에틸)아세트아마이드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1-(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피롤리딘-3-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N-(5-{[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펜틸)아세트아마이드
    2-[(9S)-7-(4-클로로페닐)-4,5,13-트리메틸-3-티아-1,8,11,12-테트라아자트리사이클로[8.3.0.02,6]트리데카-2(6),4,7,10,12-펜타엔-9-일]-N-(5-{[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펜틸)아세트아마이드
    2-((S)-4-(4-클로로페닐)-2,3,9-트리메틸-6H-티에노[3,2-f][1,2,4]트리아졸로[4,3-a][1,4]디아제핀-6-일)-N-((1-(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피페리딘-4-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3-(4-((2-(2-(2-(2-(4-(((1-(6-아미노-5-(2,3-디클로로페닐)피라진-2-일)-4-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메틸)-1H-1,2,3-트리아졸-1-일)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1,3-디옥소-2,3-디하이드로-1H-인덴-2-일)피페리딘-2,6-디온
    3-(8-((2-(2-(2-(4-(((1-(6-아미노-5-(2,3-디클로로페닐)피라진-2-일)-4-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메틸)-1H-1,2,3-트리아졸-1-일)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3-(6-((2-(2-(2-(4-(((1-(6-아미노-5-(2,3-디클로로페닐)피라진-2-일)-4-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메틸)-1H-1,2,3-트리아졸-1-일)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3-(6-((2-(2-(2-(2-(4-(((1-(6-아미노-5-(2,3-디클로로페닐)피라진-2-일)-4-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메틸)-1H-1,2,3-트리아졸-1-일)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3-(7-((2-(2-(2-(2-(4-(((1-(6-아미노-5-(2,3-디클로로페닐)피라진-2-일)-4-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메틸)-1H-1,2,3-트리아졸-1-일)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3-(8-((14-(4-(((1-(6-아미노-5-(2,3-디클로로페닐)피라진-2-일)-4-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메틸)-1H-1,2,3-트리아졸-1-일)-3,6,9,12-테트라옥사테트라데실)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3-(8-((17-(4-(((1-(6-아미노-5-(2,3-디클로로페닐)피라진-2-일)-4-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메틸)-1H-1,2,3-트리아졸-1-일)-3,6,9,12,15-펜타옥사헵타데실)아미노)-1-옥소프탈라진-2(1H)-일)피페리딘-2,6-디온
    N1-(3-((3-아미노-5-((3R,4R)-4-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N4-(3-(2-(2-(3-((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프로폭시)에톡시)에톡시)프로필)숙신아마이드
    N1-(3-((3-아미노-5-(4-아미노-4-메틸피페리딘-1-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N4-(3-(2-(2-(3-((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프로폭시)에톡시)에톡시)프로필)숙신아마이드
    N1-(3-((3-아미노-5-(4-아미노-4-메틸피페리딘-1-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N4-(14-((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3,6,9,12-테트라옥사테트라데실)숙신아마이드
    N1-(3-((3-아미노-5-(4-아미노-4-메틸피페리딘-1-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N4-(3-(2-(2-(3-((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아미노)프로폭시)에톡시)에톡시)프로필)숙신아마이드
    N1-(3-((3-아미노-5-((3R,4R)-4-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N4-(3-(2-(2-(3-((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아미노)프로폭시)에톡시)에톡시)프로필)숙신아마이드
    N-[3-({3-아미노-5-[(3S,4S)-4-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설파닐)-2-클로로페닐]-N'-(17-{[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3,6,9,12,15-펜타옥사헵타데칸-1-일)부탄디아마이드 염산염
    N-(3-{[3-아미노-5-(4-아미노-4-메틸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설파닐}-2-클로로페닐)-N'-(17-{[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3,6,9,12,15-펜타옥사헵타데칸-1-일)부탄디아마이드 염산염
    N-[3-({3-아미노-5-[(3S,4S)-4-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설파닐)-2-클로로페닐]-N'-(14-{[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3,6,9,12-테트라옥사테트라데칸-1-일)부탄디아마이드 염산염
    N-[3-({3-아미노-5-[(3S,4S)-4-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설파닐)-2-클로로페닐]-N'-{3-[4-(3-{[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프로필)피페라진-1-일]프로필}부탄디아마이드 트리염산염
    N1-(3-((3-아미노-5-((3R,4R)-4-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N4-(3-(2-(2-(3-((3-(2,6-디옥소피페리딘-3-일)-1-메틸-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프로폭시)에톡시)에톡시)프로필)숙신아마이드
    N1-(3-((3-아미노-5-(4-아미노-4-메틸피페리딘-1-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N4-(3-(2-(2-(3-((2-(2,6-디옥소피페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아미노)프로폭시)에톡시)에톡시)프로필)숙신아마이드
    N1-(3-((3-아미노-5-((3R,4R)-4-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N4-(3-(2-(2-(3-((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6-일)아미노)프로폭시)에톡시)에톡시)프로필)숙신아마이드
    N1-(3-((3-아미노-5-((3R,4R)-4-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N4-(1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12-옥소도데실)숙신아마이드
    N-(3-((3-아미노-5-((3R,4R)-4-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4-(4-(3-(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4-옥소부탄아마이드
    N-(3-((3-아미노-5-((3R,4R)-4-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4-(4-(3-(2-(2-(2-((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4-옥소부탄아마이드
    N-(3-((3-아미노-5-((3R,4R)-4-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4-(4-(1-((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3,6,9,12-테트라옥사펜타데칸-15-oyl)피페라진-1-일)-4-옥소부탄아마이드
    N-(3-((3-아미노-5-((3R,4R)-4-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4-(4-(1-((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3,6,9,12,15-펜타옥사옥타데칸-18-오일)피페라진-1-일)-4-옥소부탄아마이드
    N-(3-((3-아미노-5-((3R,4R)-4-아미노-3-메틸-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피라진-2-일)티오)-2-클로로페닐)-4-(4-(1-((3-(2,6-디옥소피페리딘-3-일)-4-옥소-3,4-디하이드로프탈라진-5-일)아미노)-3,6,9,12,15,18-헥사옥사헤니코산-21-오일)피페라진-1-일)-4-옥소부탄아마이드.
KR1020210118004A 2021-05-26 2021-09-03 피페리딘디온 유도체 KR102474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835570.9A EP4116298A4 (en) 2021-05-26 2021-11-15 Piperidinedione derivative
US17/626,377 US20230295105A1 (en) 2021-05-26 2021-11-15 Piperidinedione derivatives
PCT/KR2021/016588 WO2022250224A1 (ko) 2021-05-26 2021-11-15 피페리딘디온 유도체
CN202180056397.4A CN116323619A (zh) 2021-05-26 2021-11-15 哌啶二酮衍生物
KR1020220166167A KR20220165709A (ko) 2021-05-26 2022-12-01 피페리딘디온 유도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67965 2021-05-26
KR1020210067965 2021-05-26
KR1020210116004 2021-08-31
KR20210116004 2021-08-3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6167A Division KR20220165709A (ko) 2021-05-26 2022-12-01 피페리딘디온 유도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855A KR20220159855A (ko) 2022-12-05
KR102474999B1 true KR102474999B1 (ko) 2022-12-07

Family

ID=84391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004A KR102474999B1 (ko) 2021-05-26 2021-09-03 피페리딘디온 유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9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01098A (zh) 2020-06-12 2021-12-17 上海济煜医药科技有限公司 酞嗪酮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医药用途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9009046A (es) * 2017-01-31 2019-10-30 Arvinas Operations Inc Ligandos de cereblon y compuestos bifuncionales que comprenden el mismo.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01098A (zh) 2020-06-12 2021-12-17 上海济煜医药科技有限公司 酞嗪酮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医药用途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Med. Chem. Vol. 63, pp. 7510-7528 (2020.5.21. On-l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855A (ko) 202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8191B1 (ko) 표적 단백질 분해 화합물, 이의 항종양 응용, 이의 중간체 및 중간체의 응용
JP7005582B2 (ja) ブルトン型チロシンキナーゼ(btk)インヒビターとしての多フルオロ置換化合物
JP6972210B2 (ja) アンドロゲン受容体の標的分解のための化合物および方法
WO2019114770A1 (zh) Alk蛋白降解剂及其抗肿瘤应用
CN109153663B (zh) 作为rock抑制剂的三唑酮类化合物和四唑酮类化合物
CN115803030A (zh) 用于kras靶向降解的化合物和方法
JP2020143136A (ja) 新規なフェロポーチン阻害剤
JP2019514876A (ja) サイクリン依存性キナーゼ8(cdk8)阻害剤のe3リガーゼリガンドとのコンジュゲーションによるcdk8の分解および使用法
TWI768156B (zh) 新穎緩激肽b2受體拮抗劑及其用途
CN110494433B (zh) 布鲁顿酪氨酸激酶抑制剂
JP7440940B2 (ja) Plk1の選択的分解誘導化合物
JP6954921B2 (ja) ブロモドメイン阻害薬としてのピリジル誘導体
WO2021023233A1 (zh) Egfr蛋白降解剂及其抗肿瘤应用
US11370785B2 (en) Multicyclic compounds as farnesoid X receptor modulators
AU2021339298A1 (en) Compounds for suppressing egfr mutant cancer and pharmaceutical use thereof
JP2018529737A (ja) ブロモドメイン阻害薬としての2−オキソ−1,2−ジヒドロピリジン−3,5−ジカルボキサミド化合物
CN115335381A (zh) 白细胞介素-1受体相关激酶的双功能降解剂及其治疗用途
KR20120034592A (ko) Hiv 복제의 저해제
KR102474999B1 (ko) 피페리딘디온 유도체
CN109415366B (zh) [1,2,3]三唑并[4,5-d]嘧啶衍生物
WO2016184312A1 (zh) 羟基嘌呤类化合物及其应用
CN115210229A (zh) 多环酰胺作为治疗癌症的ube2k调节剂
KR20220165709A (ko) 피페리딘디온 유도체
KR102489160B1 (ko) 피페리딘디온 유도체
JP2024519628A (ja) ピペリジンジオン誘導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