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659B1 - 조각 패널들에 의한 금속카드의 고급화 방법 - Google Patents

조각 패널들에 의한 금속카드의 고급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659B1
KR102474659B1 KR1020200148446A KR20200148446A KR102474659B1 KR 102474659 B1 KR102474659 B1 KR 102474659B1 KR 1020200148446 A KR1020200148446 A KR 1020200148446A KR 20200148446 A KR20200148446 A KR 20200148446A KR 102474659 B1 KR102474659 B1 KR 102474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ign pattern
surface area
pattern piece
metal
de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2810A (ko
Inventor
박혜린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스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스마트 filed Critical (주)바이오스마트
Priority to KR1020200148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659B1/ko
Publication of KR20220062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6Sculp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10Producing and filling perforations, e.g. tarsia pl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4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카드의 고급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금속카드의 표면을 금속재질 본연의 질감을 제공하는 제 1 표면영역과, 상기 제 1 표면영역과 구별되는 제 2 표면영역으로 구분하여 형성하되; 상기 제 2 표면영역에는 서로 인접한 다수의 디자인패턴 조각들을 포함하고, 상기 인접한 다수의 디자인패턴 조각들은 서로 결합되어 소정의 자체적인 디자인패턴을 형성하며; 서로 인접한 각각의 디자인패턴 조각의 모서리 경사면들에 의해 V자 또는 U자 형태의 계곡부(V)를 형성하고, 상기 계곡부(V)로 인하여 제 1 디자인패턴 조각 및 제 2 디자인패턴 조각의 외형적인 형태와, 그로 인한 전체적인 통합디자인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전체적인 통합디자인이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입체적인 미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조각 패널들에 의한 금속카드의 고급화 방법{Method of upgrading a metal card by sculpture panels}
본 발명은 금속카드의 고급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탈카드의 표면을 금속 본연의 질감을 구현하는 표면으로 방치하지 아니하고, 이를 제 1 금속제 표면영역과, 제 2 금속제 표면영역으로 구분하여 형성하되, 상기 제 2 금속제 표면영역에 의해 금속 본연의 질감을 벗어난 새로운 질감을 제공할 수 있는 금속카드의 고급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카드는 현금을 지참하고 있지 않으면서도, 자유롭게 상품을 구매할 수 있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일정한 기간이 경과된 이후에 비용이 결재된다는 편리성으로 인하여, 그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플라스틱 카드가 일반화되고 보편화되어가게 되면서, 플라스틱 카드 회사들은 우수 고객을 유치하기 위하여 각종 다양한 혜택과 더불어, 더욱 향상된 기능과 디자인을 가진 플라스틱 카드의 개발에 돌입하고 있다.
플라스틱 카드의 개발 동향은 신용카드 자체에 향상된 기능을 더욱 탑재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지기도 하고, 신용카드의 외부 표면을 미려하게 디자인함으로써, 사용자들로 하여금 만족감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기도 하며, 플라스틱 카드 자체를 고급질감을 가진 박막의 메탈 카드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도 한다.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카드는 전체적으로 PVC 플라스틱 박막 시트를 합지하고, 각각의 플라스틱 박막 시트에 필요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금속의 메탈 카드는 박막의 금속 시트의 내부에 각종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부품들을 내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플라스틱 카드 또는 메탈 카드는, 카드의 표면에 표시되는 디자인이나 무늬가 정형화된 인쇄시트의 도안으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여러 가지 무늬 패턴이나 질감을 연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카드 또는 금속 카드의 표면을 개선하기 위하여, 가죽무늬를 플라스틱 카드의 표면에 형성하거나, 모시 원단을 플라스틱 카드의 내부에 삽입시키거나, 플라스틱 카드의 표면에 투명시트에 의한 무늬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단조로운 인쇄시트의 인쇄문양에 변화를 주고자하는 시도가 있었지만, 이러한 기술들은 단순히 실험실적으로 수행하는 것에 그치거나, 대량 생산에 의한 상업화를 기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오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양을 형성하고, 그 문양을 모든 플라스틱 카드와 메탈 카드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문양 형성용 플라스틱 시트는 존재하지 아니하였다.
한편, 금속카드의 경우에는, 플라스틱 카드의 고급화를 지향하는 방식으로 등장하였고, 금속카드가 제공하는 상대적으로 무거운 중량감과 금속카드가 제공하는 금속 본연의 질감에 의하여 카드의 고급화 전략에 상당한 기여를 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종래의 금속 카드는 표면의 단조로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그 표면에 어떠한 추가적인 작업을 수행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은 플라스틱 카드와 같이 다수의 박막 시트를 합지할 수 없는 근본적인 한계로 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플라스틱 카드의 경우, 그 표면을 통상의 경우와 동일하게 평평하고 매끄럽게 형성하면서도, 그 내부에 합지되는 박막의 플라스틱 시트들을 이용하여 렌티큘라 현상을 일으켜서 복합층을 형성하는 듯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었지만, 금속카드는 그 자체가 투명한 박막 시트를 이룰 수 없으므로, 렌티큘러 현상을 이용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금속카드는 금속카드의 본질적인 한계로 인하여, 여태까지 그 자체적으로 시각적인 입체감을 제공할 수도 없었고, 손으로 파지할 경우 금속 질감 이외의 다른 질감을 제공할 수 없었던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860536호 (2008. 9. 2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0095호 (2011. 6. 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3625호 (2013. 12. 13.);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2-120520호 (2012. 11.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2231호 (2016. 6. 21.);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메탈카드의 표면을 금속 본연의 질감을 구현하는 표면으로 방치하지 아니하고, 이를 제 1 표면영역과, 제 2 표면영역으로 구분하여 형성하되, 상기 제 2 표면영역에 의해 금속 본연의 질감을 벗어나 새로운 질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금속카드의 고급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금속재질로 구성된 금속카드의 고급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속카드의 표면을 금속재질 본연의 질감을 제공하는 제 1 표면영역과, 상기 제 1 표면영역과 구별되는 제 2 표면영역으로 구분하여 형성하되; 상기 제 2 표면영역에는 서로 인접한 다수의 디자인패턴 조각들을 포함하고, 상기 인접한 다수의 디자인패턴 조각들은 서로 결합되어 소정의 자체적인 디자인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서로 인접한 디자인패턴들은 각각 제 1 디자인패턴 조각의 모서리 경사면(R1)과 제 2 디자인패턴 조각의 모서리 경사면(R2)에 의해 V자 형태 또는 U자 형태의 계곡부(V)를 형성하고, 상기 계곡부(V)가 상기 제 1 디자인패턴 조각 및 상기 제 2 디자인패턴 조각의 결합부위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이루고, 상기 계곡부(V)의 연결된 형태에 의하여 상기 제 1 디자인패턴 조각 및 상기 제 2 디자인패턴 조각의 외형적인 형태가 시각적으로 외부로 드러나게 되어지고; 상기 제 1 디자인패턴 조각 및 상기 제 2 디자인패턴 조각이 서로 결합되어 전체적인 통합디자인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전체적인 통합디자인이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입체적인 미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며; 결과적으로 상기 제 1 표면영역으로 인한 금속재질에 의한 금속성 질감 및 상기 제 2 표면영역에 형성된 합체 디자인패턴조각들로 인한 입체성 질감과 입체적인 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금속카드의 고급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금속카드의 표면을 제 1 영역을 평평한 상태로 두고 있는 반면에, 제 2 영역을 다수의 디자인패턴 조각들에 의한 결합체로 가공하고 있으므로, 하나의 금속카드의 표면에 평면성과 입체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개별적인 디자인패턴 조각들을 사용함으로써, 개별적인 디자인패턴 조각의 형상과 미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들이 전체적으로 통합하여 결합된 통합 디자인패턴을 제공함으로써, 금속카드에 전체적인 통일성과 조합성, 그리고, 디자인 변화에 의한 역동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금속카드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금속카드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금속카드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금속카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구체적인 수치 또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창작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 또는 하부라 함은 그 대상물체의 한쪽 표면을 대상으로 한 방향을 의미하며, 상부와 하부는 그 대상물체를 중심으로 하여 그 반대편에 위치한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은 금속카드(100)의 고급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금속카드(100)의 표면을 금속 본연의 질감을 구현하는 표면으로 방치하지 아니하고, 이를 제 1 표면영역(110)과, 제 2 표면영역(120)으로 구분하여 형성하되, 상기 제 2 표면영역(120)에 의해 금속 본연의 질감을 벗어나 새로운 질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금속카드의 고급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금속카드(100)의 표면을 금속재질 본연의 질감을 제공하는 제 1 표면영역(110)과, 상기 제 1 표면영역(110)과 구별되는 제 2 표면영역(120)으로 구분하여 형성한다.
상기 제 1 표면영역(110)은 금속카드(100)의 본래의 표면을 지칭하는 반면에, 상기 제 2 표면영역(120)은 상기 제 1 표면영역(110)에서 전체적인 통합디자인(130)을 형성하여 결합시키게 될 영역이다. 상기 전체적인 통합디자인(130)은 다수의 개별적인 디자인패턴 조각(30)들이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통일된 디자인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제 2 표면영역(120)에 다수의 디자인패턴 조각(30)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디자인패턴 조각(30)들을 서로 밀착하여 결합시켜서 소정의 통일되고 조화로운 통합 디자인을 형성한다.
상기 디자인패턴 조각(30)들은, 그와 인접한 다른 디자인패턴 조각(30)들과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조합되고 통일적인 통합디자인(130)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들이 되어진다. 상기 디자인패턴 조각(30)들은 그와 인접한 다른 디자인패턴 조각(30)들과 서로 동일한 형상과 모양을 이루거나, 서로 다른 형상과 모양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디자인패턴 조각(30)들이 서로 결합되었을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통일된 미감 내지 질감을 제공하는 통합디자인(130)을 형성하게 되어진다.
상기 디자인패턴 조각(30)들과 그에 인접한 다른 디자인패턴 조각(30)들은 서로 밀착하여 결합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 그들 사이에 어떠한 빈 공간을 형성하지 않게 된다. 그들 사이에 어떤 빈공간을 형성할 경우, 본 발명에 의한 디자인패턴 조각(30)들이 그와 인접한 다른 디자인패턴 조각(30)들 사이에 소정의 계곡부(V)를 형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 디자인패턴 조각(30)들이 다수의 복수를 이를 경우, 이것을 제 1 패턴조각(31), 제 2 패턴조각(32), 제 3 패턴조각(33), 제 4 패턴조각(34) 등으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패턴조각(32)은 설명의 필요상 구분된 것으로 상기 제 1 패턴조각(31)에 대하여 상대적인 개념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패턴조각(32)은 상기 제 1 패턴조각(31)과 비교하여 서로 동일할 수 있고, 서로 다른 형상과 모양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 2 패턴조각(32)은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서로 다른 형상과 모양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디자인패턴 조각(30)들이 모두 그 가장자리에 경사면(R)를 형성하고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기 제 1 패턴조각(31)의 가장자리 경사면(R1)와 상기 제 2 패턴조각(32)의 가장자리 경사면(R2)가 서로 맞닿아서, 그 단면이 V자 형상 또는 단면 U자 형상의 계곡부(V)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계곡부(V)는 상기 제 1 패턴조각(31) 및 상기 제 2 패턴조각(32)이 서로 밀착하여 결합되어 있을 경우, 서로 밀착하여 결합된 부위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계곡부(V)는 2개의 디자인패턴 조각들이 서로 맞닿아 형성된 것으로, 서로 결합된 부분을 따라 부분적으로 직선의 형태를 이루게 되거나 서로 곡선의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형태는, 서로 인접된 디자인패턴 조각들이 그 결합된 짝을 달리하게 되는 부분에서 절곡된 형태를 이루면서 다시 직선의 형태 또는 곡선의 형태를 이루게 되고, 이러한 결합관계를 계속하면서, 최종적으로는 처음 출발 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이로써, 상기 계곡부(V)는 그 처음 출발부분과 그 최종 마무리부분이 서로 연결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호 관계에 의하여, 상기 계곡부(V)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금속카드(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금속카드(100)의 표면에 형성된 제 2 표면영역(110)과 상기 제 2 표면영역(120)을 육안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이러한 관계를 좀더 설명하면, 상기 계곡부(V)가 상기 제 1 패턴조각(31)의 주변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전체적이고 연속적인 형태는 상기 제 1 패턴조각(31)의 모습을 시각적으로 외부로 드러내게 되는 것이고, 또 다른 계곡부(V)는 상기 제 2 패턴조각(32)에 대해 그 주변부를 따라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2 패턴조각(32)의 외형적인 형태를 시각적으로 외부로 드러내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관계를 계속 이루면서, 상기 계곡부(V)를 통하여, 상기 제 1 패턴조각(31)의 형태와, 그에 인접되어 있는 상기 제 2 패턴조각(32)의 형태를 각각 나타내게 내게 되고, 전체적으로는 이들이 서로 조합되어 구현되는 통합디자인(130)을 외부로 드러내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제 1 패턴조각(31) 및 상기 제 2 패턴조각(32)이 서로 결합되어 전체적인 통합디자인(13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 1 패턴조각(31)은 상기 제 2 패턴조각(32)에 밀착되어 결합되어 있고, 그 밀착된 경계면을 따라 상기 단면 V자형 또는 단면 U자형 계곡부(V)를 연속적으로 형성하고 있고, 이러한 계곡부(V)는 상기 제 1 패턴조각(31)과 상기 제 2 패턴조각(32)의 외형적인 모습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외형적인 모습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통합디자인(13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통합디자인(130)은 그 구성을 이루고 있는 상기 제 1 패턴조각(31)과 상기 제 2 패턴조각(32)의 형상과 모양에 의해 그의 외형적인 미감이나 느낌이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디자인패턴 조각(30)들이 2개 이상 복수일 경우, 상기 제 1 패턴조각(31)의 주변에 제 3 패턴조각(32)을 밀착시켜 결합시키거나, 상기 제 2 패턴조각(32)의 주변에 상기 제 3 패턴조각(32)을 밀착시켜 결합시켜 나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 1 패턴조각(31) 및 상기 제 2 패턴조각(32)에 의해 형성된 전체적인 통합디자인(130)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입체적인 미감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전체적인 통합디자인(130)은 사용자가 그의 손으로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입체적인 질감을 느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제 1 표면영역(110)에서 금속재질에 의한 금속성 질감을 제공하는 반면에, 상기 제 2 표면영역(120)에서는 전체적으로 합체된 통합디자인(130)에 의해 입체적인 질감과 미감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금속성 카드의 표면을 개선하는 기술적 사상은 아직까지 국내외에서 소개된 바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금속카드(100)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금속재질로 구성된 금속카드의 본체를 형성하는 제 1 단계(S 21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될 금속카드는 금속 재질의 얇은 강판을 선택하고, 그 표면을 처리하여 준비한다. 상기 금속카드는 그 본체를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얇은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금속시트를 선정하여 사용한다. 상기 금속시트는, 단일의 박막 강판으로 이루어지거나 복수의 박막 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금속시트의 두께는 0.7 밀리미터 내지 0.82 밀리미터의 범위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시트의 두께가 0.7 밀리미터 이하일 경우에는 그 표면 위에 도장층을 형성한 상태에서 카드 규격에 미달하게 될 염려가 있는 반면에, 0.82 밀리미터 이상일 경우에는 카드 규격을 초과하게 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금속시트는 그 표면이 평탄한 것을 선택하고, 그 표면을 깨끗이 세척하여 준비한다.
상기 금속시트의 표면 가공이 완료되어지면, IC 칩 등의 신용카드 기능부재를 장착하여 카드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IC 칩 등의 기능성 부재들은 본 발명의 최종단계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 1 단계(S 210)에서 가공된 금속카드의 표면을 제 1 표면영역과 제 2 표면영역으로 계획하고 이를 확정하는 제 2 단계(S 2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2 단계(S 220)는 본 발명의 금속카드의 상부 표면에서 통합디자인(130)을 구체화하는 작업이다. 이는 상기 제 1 표면영역(110)과 상기 제 2 표면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 1 표면영역(110)과 상기 제 2 표면영역(120)은 금속카드의 상부 표면에 다수의 통합디자인(130)을 형성할 경우에 유익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이를 좀더 단순화하여, 상기 제 1 표면영역(110)을 금속 본연의 재질로 남겨두고, 상기 제 2 표면영역(120)에 통합디자인(13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합디자인(130)은 복수의 디자인패턴 조각(30)들을 서로 밀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그 최종적인 형상이 드러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제 2 단계를 거친 금속카드의 표면에서, 제 2 표면영역을 절단하거나 홈을 형성하여 구체화하는 제 3 단계(S 2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3 단계(S 230)는 금속시트에 상기 통합 디자인패턴을 결합시키는 제 2 표면영역(120)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표면영역(120)은 금속시트의 표면을 절삭하여 파내고, 그 위치에 상기 통합 디자인패턴을 삽입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금속시트는 정밀 가공기계를 이용한 NC 가공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표면영역(120)이 형성되어지면, 에어 세척 등을 통하여, 홈 형성과정에서 발생된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제 3 단계에서 형성된 제 2 표면영역(120)에 결합시킬 디자인패턴 조각들을 형성하는 제 4 단계(S 2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4 단계(S 240)는 상기 통합디자인(130)을 이루게 되는 각각의 디자인패턴 조각(30)들을 낱낱이 형성하거나, 낱낱이 조각하여 만들어나가는 단계이다. 상기 디자인패턴 조각(30)은 단일의 형상을 가지고 있거나,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디자인패턴 조각(30)들은 모두 그 가장자리를 모두 경사진 경사면(R)로 깎아 처리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왜냐하면, 이들이 모두 서로 인접하여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상기 통합디자인(130)을 형성하여야 하고, 이 경우, 서로 인접한 디자인패턴 조각(30)들이 서로 밀착하여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그 단면이 U자형 또는 V자형을 가져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디자인패턴 조각(30)은 그 표면에 색상으로 가공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색상처리의 방식은 특별히 제한될 필요는 없다. 금속 재질의 시트를 대상으로 하였을 경우, 그 표면에 인쇄방식으로 코팅처리하거나, 그 표면에 전착도장방식으로 처리하거나, 그 표면을 도금하거나, 그 표면을 증착가공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디자인패턴 조각(30)의 표면을 색상 처리할 경우, 그 표면에 나타난 색상에 의하여 미려한 미감을 제공하는 반면에, 그 디자인패턴 조각(30)의 주변 경계부에서는 U자 또는 V자 계곡부(V)에서 사용된 패턴 조각의 표면 재질에 의한 질감 내지 색상을 그대로 외부로 제공해주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 4 단계(S 240)에서 각각의 디자인패턴 조각(30)들을 완성하게 되면, 이들을 서로 밀착하여 결합시킬 조각들로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기준이 되는 디자인패턴 조각(30)은 다수의 패턴조각들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패턴조각은 제 1 패턴조각, 제 2 패턴조각, 제 3 패턴조각, 제 4 패턴조각, 제 5 패턴조각, 제 6 패턴조각 등으로 구분하여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첨부도면에서는 4개의 패턴조각을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 4 단계를 거친 이후, 상기 제 2 표면영역의 내부에 각각의 제 1 패턴조각과 제 2 패턴조각을 결합시켜주는 제 5 단계(2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5 단계(250)는 이전 단계에서 만들어진 각각의 제 1 패턴조각을 상기 제 2 표면영역(120)의 내부에 부착시킨 다음, 제 2 패턴조각을 상기 제 1 패턴조각에 밀착시켜 부착시킨다. 상기 제 1 패턴조각이 다수의 측면 경계를 가지고 있을 경우, 각각의 측면 경계에 다른 제 2 패턴조각을 밀착시키고 부착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제 2 패턴조각의 주변 측면에 다른 디자인패턴 조각을 밀착시키고, 이러한 과정을 동일하게 반복하여 통합디자인(130)을 완성하여 나간다.
본 발명은, 상기 제 5 단계를 거친 이후, 상기 제 2 표면영역의 내부에 상기 제 1 패턴조각과 제 2 패턴조각에 의해 U자 또는 V자 형상의 계곡부(V)를 형성하고, 각각의 패턴조각의 형상 및 전체적인 합체 디자인패턴을 완성하는 제 6 단계(26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6 단계(260)는 상기 제 1 패턴조각과 상기 제 2 패턴조각이 서로 경계면에서 밀착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1 패턴조각(31)의 경사면(R1)과 상기 제 2 패턴조각의 경사면(R2)이 서로 맞닿아 U자 형상 또는 V자 형상을 그 단면의 형태로 이루게 된다. 상기 U자 형상 또는 V자 형상은 상기 제 1 패턴조각의 주변 경계를 따라 계속적으로 이어져 있고, 상기 제 1 패턴조각을 시각적으로 구분해 줄뿐만 아니라, 상기 2 패턴조각을 시각적으로 구분해주게 된다.
상기 제 6 단계를 진행하게 되면, 본 발명에 의한 금속카드(100)를 완성하게 된다(도 1f; 도 2e; 도 3e 참조).
이상과 같은 방식으로 금속카드의 표면을 개선시킨 이후에, 신용카드의 기능성 부재를 최종적으로 장착하거나 부착하는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신용카드의 기능성 부재라 함은 상기 금속시트를 신용카드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신용카드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부속품을 의미하고, 예컨대 IC 칩, 스트라이프 테잎, 홀로그램, 서명판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금속카드 및 그 고급화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구체화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모든 특징이 위에서 언급한 항목에만 적용되는 것이라고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0 : 금속카드 110 : 제 1 표면영역,
120 : 제 2 표면영역, 130 : 통합디자인
30 : 디자인패턴 조각, 31 : 제 1 패턴조각,
32 : 제 2 패턴조각, 33 : 제 3 패턴조각,
34 : 제 4 패턴조각 R : 경사면

Claims (5)

  1. 금속재질로 구성된 금속카드의 고급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속카드의 표면을 금속재질 본연의 질감을 제공하는 제 1 표면영역과, 상기 제 1 표면영역과 구별되는 제 2 표면영역으로 구분하여 형성하되;
    상기 제 2 표면영역에는 서로 인접한 다수의 디자인패턴 조각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2 표면영역의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디자인패턴 조각들은 각각 제 1 디자인패턴 조각의 모서리 경사면(R1)과 제 2 디자인패턴 조각의 모서리 경사면(R2)에 의해 V자 형태 또는 U자 형태의 계곡부(V)를 형성하고;
    상기 계곡부(V)는 상기 제 1 디자인패턴 조각 및 상기 제 2 디자인패턴 조각의 결합부위를 따라 연속적으로 직선 또는 곡선으로 연결된 형태를 이루면서 진행함으로써, 상기 제 1 디자인패턴 조각 및 상기 제 2 디자인패턴 조각의 외형적인 형태를 시각적으로 외부로 드러나게 해주고;
    또한, 상기 계곡부(V)는 출발된 위치에서 U자 또는 V자 단면을 이루면서 직선의 형태 또는 곡선의 형태를 이루고 진행하다가, 서로 인접된 디자인패턴 조각들이 그 결합된 짝을 달리하게 되는 부분에서 절곡된 형태를 이루면서 다시 직선의 형태 또는 곡선의 형태를 이루면서 진행하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처음 출발 위치로 되돌아오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계곡부(V)는 그 처음 출발부분과 그 최종 마무리부분이 서로 연결된 형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며;
    결과적으로 상기 금속카드의 상부 표면은 상기 제 1 표면영역에 의한 금속성 질감 및 상기 제 2 표면영역에 존재하는 다수의 디자인패턴 조각들에 의한 통합디자인의 입체성 질감과 입체적인 미감을 동시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금속카드의 고급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패턴 조각들은 그와 인접한 다른 디자인패턴 조각들과 서로 동일한 형상과 모양을 이루거나, 서로 다른 형상과 모양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금속카드의 고급화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곡부(V)는 제 1 패턴조각의 주변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전체적이고 연속적인 형태는 상기 제 1 패턴조각의 모습을 시각적으로 외부로 드러나게 해주고,
    또한, 상기 계곡부(V)는 제 2 패턴조각에 대해 그 주변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2 패턴조각의 외형적인 형태를 시각적으로 외부로 드러나게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금속카드의 고급화 방법.
  5. 삭제
KR1020200148446A 2020-11-09 2020-11-09 조각 패널들에 의한 금속카드의 고급화 방법 KR102474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446A KR102474659B1 (ko) 2020-11-09 2020-11-09 조각 패널들에 의한 금속카드의 고급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446A KR102474659B1 (ko) 2020-11-09 2020-11-09 조각 패널들에 의한 금속카드의 고급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810A KR20220062810A (ko) 2022-05-17
KR102474659B1 true KR102474659B1 (ko) 2022-12-06

Family

ID=81799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446A KR102474659B1 (ko) 2020-11-09 2020-11-09 조각 패널들에 의한 금속카드의 고급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659B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3750A (ja) * 1993-12-10 1995-06-27 Sega Enterp Ltd パズルゲーム装置
US6987590B2 (en) 2003-09-18 2006-01-17 Jds Uniphase Corporation Patterned reflective optical structures
KR100860536B1 (ko) 2007-12-21 2008-09-26 주식회사 제이디씨텍 가죽무늬 문양을 갖는 플라스틱카드
KR20120120520A (ko) 2011-04-22 2012-11-02 (주)바이오스마트 특수문양 카드의 제조방법
KR20140028182A (ko) * 2012-07-29 2014-03-10 양용철 조형성을 위하여 다중 재료로 제작된 신용카드 제작 장치 및 방법
KR101343625B1 (ko) 2012-10-23 2013-12-20 김홍인 카드 표면에 무늬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카드
KR101632231B1 (ko) 2013-03-21 2016-06-21 이동경 시각적 특수효과를 위한 인레이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810A (ko)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79245B (zh) 在冲压工具上通过加设金属层制造表面结构的方法
CN104168809A (zh) 层状复合马桶盖和座圈
JP2016068443A (ja) 加飾パネル及び加飾パネルの製造方法
KR102474659B1 (ko) 조각 패널들에 의한 금속카드의 고급화 방법
JP4660515B2 (ja) 加飾樹脂成形品
US9648998B2 (en) Composite toilet lid and sea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KR20090072104A (ko) 금속카드용 시트, 이를 구비한 금속카드 및 그들의제조방법
KR100579021B1 (ko) 장식물 삽입형 플라스틱 카드 제조 방법
KR102481675B1 (ko) 타공 금속 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635824B1 (ko) 건강팔찌용 금속기재 가공방법
KR200420652Y1 (ko) 문양 장신구
KR102160580B1 (ko) Ic칩 보호부재와 문양형성부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금속 카드
KR100899402B1 (ko) 가구용 도어 패널의 제조 방법 및 그 도어 패널
KR200461716Y1 (ko) 결을 갖는 박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
CN219446605U (zh) 一种具有交替立体纹理区域的饰面及含有其的电器
JP5202898B2 (ja) コンパクト容器用加飾成形体の製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コンパクト容器用加飾成形体。
CN101905624A (zh) 铝塑板版画工艺品的制造方法及其制成品
TWM306176U (en) Reflective ornament having three dimensional molded substrate
JP2869263B2 (ja) 化粧木材の製造方法及び化粧木材
KR200184859Y1 (ko) 입체무늬의 목재패널
CN208533960U (zh) 无缝拼花木质地板
JP5587018B2 (ja) 加飾シート
KR200188922Y1 (ko) 입체무늬를 가지는 가구용 도어패널
JP2869262B2 (ja) 化粧木材の製造方法及び化粧木材
KR20210116766A (ko) 카드의 표면 문양을 광의 굴절현상으로 구현하는 플라스틱 시트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