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535B1 - 곡물 세척기 - Google Patents

곡물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535B1
KR102474535B1 KR1020220096948A KR20220096948A KR102474535B1 KR 102474535 B1 KR102474535 B1 KR 102474535B1 KR 1020220096948 A KR1020220096948 A KR 1020220096948A KR 20220096948 A KR20220096948 A KR 20220096948A KR 102474535 B1 KR102474535 B1 KR 102474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grain
washing
grains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6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철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경성방앗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경성방앗간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경성방앗간
Priority to KR1020220096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5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척 대상 곡물을 공급하는 곡물 공급부와; 내부에 곡물 이송 스크류를 구비하고, 상기 곡물 공급부를 통해 내부로 공급되는 세척 대상 곡물을 세척조 측으로 자동 이송시켜 주는 곡물 이송수단과; 내벽에 체반 받침구가 구비되고, 일측면 외측 저부에는 배수구가 구비된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곡물은 받쳐주고, 곡물의 세척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 및 세척수는 세척조의 바닥측으로 통과시켜 주는 체반과; 세척수 공급관 고정대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세척수 공급관과; 상기 세척수 공급관의 저부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곡물의 세척에 필요한 세척수를 체반 상면의 곡물 측으로 분사시켜 주는 복수의 세척수 분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깨나 콩류 등과 같은 각종 곡물을 훼손없이 체반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세척조 측으로 원활히 이송시켜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곡물 세척기{Grain washer}
본 발명은 곡물 세척기(穀物洗滌機; Grain wash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깨나 콩류 등과 같은 각종 곡물을 훼손없이 체반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세척조로 원활히 이송시킨 상태에서, 비교적 높은 위치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 세척수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낙수압을 통해 보다 깨끗이 자동 세척해 낼 수 있도록 발명한 웜 샤프트 충격 흡수형 곡물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깨나 콩류 및 벼 등과 같은 곡물에는 수확되는 과정에서 돌, 흙, 모래 등의 이물질이 섞인다. 깨끗한 곡물을 얻기 위하여 탈곡한 후, 체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걸러내고 다시 물을 이용하여 세척한 다음, 건조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종래 대부분,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면서 이물질의 제거 및 세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곡물의 세척 상태가 불량인 경우가 많으며, 특히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들어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곡물에 남아있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곡물을 건조할 장소로 이송하고, 이를 건조하는 데 걸리는 시간과 노동력이 추가로 들어가게 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있으며, 특히 미건조시 습기에서 발생하는 세균에 의해 곡물이 변질될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세척작업을 위해 세척수를 공급받아 세척조 내에서 스크류의 회전으로 곡물을 세척하는 장치들이 제시된 바 있으나, 곡물에 남아있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탈수장치와 건조장치가 추가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설치비용과 이를 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 문제점과, 탈수와 건조시의 소요시간에 의해 생산성이 감소되어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곡물이 세척수와 함께 세척이 되므로 곡물의 세척후, 세척한 물을 배수한 후에 물기가 묻은 곡물들의 엉김현상에 의해 곡물이 곡물 배출구로 배출이 잘 되지 않아 수작업으로 엉긴 곡물들을 배출시켜야 하는 불편함과, 배출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건조되지 않은 상태로 방치되는 경우에 엉긴 곡물이 세균에 의해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세척수를 사용하지 않고 곡물과 혼합된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건식공기를 이용한 장치도 제시되고 있는데, 이는 혼합된 이물질을 분리할 수는 있으나, 곡물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어 또 다시 세척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10-0804135호(2008년 02월 11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353652호(2014년 01월 14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803038호(2017년 11월 23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곡물 이송수단 내의 스크류 형상을 변화시켜 줌은 물론 스크류 사이에 복수의 경사형 타공판을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하여, 깨나 콩류 등과 같은 각종 곡물을 훼손없이 체반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세척조 측으로 원활히 이송시켜 공급할 수 있고, 복수의 세척수 분사수단을 세척조로부터 비교적 높은 위치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하여, 적은 량의 세척수를 사용하면서도 세척수의 낙수 압력을 이용하여 각종 곡물을 보다 깨끗이 자동 세척해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곡물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원활히 분리할 수 있으며, 또한 세척수의 자동 배수를 원활히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각종 곡물 세척에 따른 효율을 물론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곡물 세척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곡물 세척기는,
세척 대상 곡물을 공급하는 호퍼 형상의 곡물 공급부와; 내부에 곡물 이송 스크류를 구비하고, 상기 곡물 공급부를 통해 내부로 공급되는 세척 대상 곡물을 세척조 측으로 자동 이송시켜 주는 곡물 이송수단과; 상부가 개구된 사각 함체 형상을 갖되, 내벽에는 체반 받침구가 구비되고, 일측면 외측 저부에는 배수구가 구비된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 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곡물은 받쳐주고, 곡물의 세척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 및 세척수는 세척조의 바닥측으로 통과시켜 주는 체반과; 세척수 공급관 고정대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세척수 공급관과; 상기 세척수 공급관의 저부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곡물의 세척에 필요한 세척수를 체반 상면의 곡물 측으로 분사시켜 주는 복수의 세척수 분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세척수 분사수단은, 상기 세척수 공급관과 세척수 분사노즐 사이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세척수 분사노즐의 각도를 임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 조절부재와; 내부가 중공인 사각 판체형 노즐 본체의 저면에는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의 분사공들이 천공된 상태에서, 상기 각도 조절부재를 통해 상기 세척수 공급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척수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각도 조절부재는 볼 조인트(ball join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곡물 이송수단은,
상면 개구부에 뚜껑체를 구비한 긴 사각 함체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본체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일단부는 상기 모터의 축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본체의 내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축지되는 회전축과; 나선 형상을 갖는 고정판을 통해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의 외측 단부를 따라서는 주걱 형상을 갖는 복수의 곡물 이송 날개가 정해진 간격 및 각도를 두고 연이어 형성된 형태를 갖되,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곡물 이송 날개들의 위치는 정해진 각도 및 폭 범위내에서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 곡물 이송 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위치에서 정해진 각도 및 폭 범위내에서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 상기 복수의 곡물 이송 날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사이에는, 상기 본체의 내부를 이송중인 곡물을 뒤썩어 주어 곡물들이 상호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경사형 타공판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조의 저부에는 측단면이 "V"자 또는 "U"자 형상을 갖고, 일단부에서 배수구가 구비된 타단부 측으로 점차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체반을 통과한 각종 이물질 및 세척수가 배수구 측으로 흘러내리도록 하는 경사형 배수로 형성판을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 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 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 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곡물 세척기에 의하면, 첫째 곡물 이송수단 내의 스크류 형상을 변화시켜 줌은 물론 스크류 사이에 복수의 경사형 타공판을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하여 줌으로써, 깨나 콩류 등과 같은 각종 곡물을 훼손없이 체반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세척조 측으로 원활히 이송시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세척수 분사수단을 세척조로부터 비교적 높은 위치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하여 줌으로써, 적은 량의 세척수를 사용하면서도 세척수의 낙수 압력을 이용하여 각종 곡물을 보다 깨끗이 자동 세척해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곡물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원활히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세척조의 저부에 경사형 배수로 형성판을 더 구비시켜 줌으로써, 세척수의 자동 배수를 원활히 실시할 수 있어 각종 곡물 세척에 따른 효율을 물론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공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곡물 세척기의 전체적인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중 곡물 이송수단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중 세척수 분사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포함하여 각 구성에 따른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곡물 세척기의 전체적인 개략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중 곡물 이송수단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중 세척수 분사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곡물 세척기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곡물 공급부(100)와 곡물 이송수단(200), 세척조(300), 체반(400), 세척수 공급관 고정대(500), 세척수 공급관(600) 및 복수의 세척수 분사수단(700)을 포함하는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곡물 공급부(100)는 사각 또는 원통 형상의 투입부 본체의 저부에 깔때기 형상를 갖는 출구부가 구비된 형태의 호퍼 형상을 갖는 것으로, 외부에서 공급되는 세척 대상 곡물을 곡물 이송수단(200) 측으로 공급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곡물 이송수단(200)은 본체(210)의 내부에 곡물 이송 스크류를 구비하고, 상기 곡물 공급부(100)와 세척조(300)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곡물 공급부(100)를 통해 내부로 공급되는 세척 대상 곡물을 세척조(300) 측으로 자동 이송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상기 곡물 이송수단(2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는 본체(210)와 모터(220), 회전축(230) 및 곡물 이송 스크류(240)로 구성한 것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곡물 이송수단(200)의 구성요소 중 상기 곡물 이송 스크류(240) 사이에는 경사형 타공판(250)이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한 곡물 이송수단(200)의 구성요소 중 상기 본체(210)는, 상면이 트인 긴 사각 함체 형상을 갖되, 상면 개구부에는 상기 본체(210)의 내부를 세척하거나 또는 그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축(230)과 곡물 이송 스크류(240) 및 경사형 타공판(250) 등을 쉽게 보수할 수 있도록 뚜껑체(211)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터(220)는 내부에 감속기어 등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210)의 일측 외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곡물 이송 스크류(240)가 외주면에 고정 설치된 회전축(230)의 회전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회전축(230)은 봉 또는 관 형상을 갖는 것으로, 상기 본체(210)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210)의 외측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일단부는 상기 모터(220)의 축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본체(210)의 내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축지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곡물 이송 스크류(240)는 철판 또는 스테인레스스틸 등을 포함하는 금속 판재를 이용하여 고정판(241)의 외측 단면에 복수의 곡물 이송 날개(242)가 일체로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고정판(241)은 나선형으로 절곡 성형하여 상기 회전축(230)의 외면과 접촉되는 내측 단면을 상기 회전축(230)의 외면에 용접을 통해 일체로 고정한 형태를 갖는다.
또, 상기 복수의 곡물 이송 날개(242)는, 대략적으로 주걱 형상을 갖고, 이송 대상인 세척 대상 곡물과의 접촉면적 및 접촉시 발생되는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세척 대상 곡물이 이송 도중 상기 복수의 곡물 이송 날개(242)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최대한 줄여주기 위하여, 상기 고정판(241)의 외측 단부를 따라서 정해진 간격 및 각도를 두고 연이어 일체로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축(230)의 길이방향에 대해 서로 인접한 상기 곡물 이송 날개(242)들의 설치위치는, 정해진 각도 및 폭 범위내에서 서로 엇갈리게 형성하여 선측의 상기 곡물 이송 날개(242)들 사이의 틈새를 통해 빠져나간 곡물이 후측의 곡물 이송 날개(242)에 의해 계속해서 본체(210)의 배출구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곡물 이송 스크류(240)는, 상기 모터(220)의 회전동력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상기 회전축(230)과 일체로 회전하며, 상기 곡물 공급부(100)를 통해 상기 본체(210) 내의 일측부로 공급되는 세척 대상 곡물을 배출구가 구비된 상기 본체(210)의 타측부를 향해 지속적으로 원활히 이동시켜 주게 된다.
*특히, 상기 곡물 이송 스크류(240)를 형성할 때, 나선형을 갖는 상기 고정판(241)의 외측 단부를 따라 정해진 간격 및 각도를 두고 복수의 곡물 이송 날개(242)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세척 대상 곡물과 상기 복수의 곡물 이송 날개(242) 사이의 접촉면적 및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어 세척 대상 곡물이 이송 도중 상기 복수의 곡물 이송 날개(242)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최대한 줄일 수 있고, 또 상기 회전축(230)의 길이방향에 대해 서로 인접한 상기 곡물 이송 날개(242)들의 설치위치를 각각 정해진 각도 및 폭 범위내에서 서로 엇갈리게 형성하여 줌으로써 선측의 상기 곡물 이송 날개(242)들 사이의 틈새를 통해 빠져나간 곡물이 후측의 곡물 이송 날개(242)에 의해 계속해서 본체(210)의 배출구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각종 곡물을 훼손없이 체반(400)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세척조(300) 측으로 원활히 이송시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곡물 이송 스크류(240)를 형성할 때, 상기 회전축(23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위치에서 정해진 각도 및 폭 범위내에서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 상기 복수의 곡물 이송 날개(2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곡물 이송 날개(242) 일측면 사이에 경사형 타공판(250)을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축(23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위치에서 정해진 각도 및 폭 범위내에서 서로 엇갈리도록 상기 고정판(241)의 외측 단부에 돌출 형성된 상기 복수의 곡물 이송 날개(2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곡물 이송 날개(242) 일측면 사이에 상기 경사형 타공판(250)을 더 설치하게 되면, 상기 경사형 타공판(250) 자체가 인접된 곡물 이송 날개(242)의 서로 다른 측면 설치 각도에 대응하여 어느 일측으로 뒤틀린 형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곡물 이송 스크류(240)가 상기 모터(220)의 회전동력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축(230)과 일체로 회전할 때, 상기 곡물 이송 스크류(240)의 서로 인접한 한 쌍의 곡물 이송 날개(242) 일측면 사이에서 어느 일측으로 비틀린 형태로 설치된 상기 경사형 타공판(250)도 회전하며, 자체의 하중 등에 의해 상기 본체(210)의 바닥면 측으로 하강하여 쌓이는 세척 대상 곡물들을 지속해서 상기 경사형 타공판(250)들이 상기 본체(210)의 상방향으로 퍼올려주어 본체의 바닥면에 쌓여 고착화되는 것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부 세척 대상 곡물은 상기 경사형 타공판(250)에 천공된 통공들을 통해 상기 본체(210)의 바닥측으로 통과시켜 주는 동작이 반복되므로 상기 곡물 이송 스크류(240)에 의해 상기 본체의 일측부에서 타측부로 이송중인 세척 대상 곡물의 서로 달라붙지 않고 계속해서 희석되며, 상기 곡물 이송 날개(242)들의 이송력에 대응하여 최소한의 마찰력을 갖고 세척조(300) 측으로 원활히 이송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척조(300)는 스테인레스스틸 등으로 됨 금속 판재 및 복수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부가 개구된 사각 함체 형상을 갖게 형성한 것으로, 내벽에는 체반(400)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체반 받침구(310)가 구비되고, 일측면 외측 저부에는 곡물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곡물로부터 분리된 각종 이물질을 포함하는 오염된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배수구(320)가 구비된 형태를 갖는 것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체반 받침구(310)는 "L"자형 앵글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세척조(300)는 후술하는 체반(400)을 통해 내부로 안치되는 세척 대상 곡물에 대하여, 후술하는 복수의 세척수 분사수단(700)을 통해 제공되는 세척수에 의해 실질적인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간부를 제공하는 것으로, 체반(400)에 안체된 세척 대상 곡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과 더불어 곡물의 세척 과정에서 곡물로부터 분리되는 각종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오염된 세척수가 외부로 자동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세척조(300)는 비교적 그 부피 및 무게가 많이 나가는 중량체이므로 상기 세척조(300)의 저면에는 이동성을 좋게 하고, 특정 장소에 배치하였을 때,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캐스터 바퀴 등을 더 구비시켜 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세척조(300) 내 저부에는 오염된 세척수를 상기 배수구(320)을 통해 자동으로 배수시킬 수 있는 경사형 배수로 형성판(330)을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형 배수로 형성판(330)은 측단면이 "V"자 또는 "U"자 형상을 갖도록 성형하여 상기 세척조(300)의 저부에서 가로방향으로 가로지르게 설치하되, 일단부는 높은 위치에 배치시키고, 타단부는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시킨 형태를 갖는다.
즉, 상기 경사형 배수로 형성판(330)은 상기 세척조(300)의 내부 일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일단부에서 상기 배수구(320)가 구비된 타단면 측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줌으로써 세척 대상 곡물이 올려진 체반(400)을 통과한 각종 이물질 및 세척수를 경사지게 설치된 상기 경사형 배수로 형성판(330)의 상면을 따라 상기 배수구(320) 측으로 원활히 흘려내리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배수구(320)를 통해 상기 세척조(300)의 외부로 자동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각종 곡물의 세척시 발생되는 오명 세척수의 자동 배출에 따른 효율을 물론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구(320)에는 도시 생략한 자동 또는 수동 개폐형 밸브를 더 구비시켜 세척조(300) 내의 오염된 세척수의 배수시간 및 배수량을 임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배수구(320)의 출구측 하부에는 거름망을 더 설치하여 오염된 세척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 중 그 부키가 큰 이물질이 하수구 등으로 직접 배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체반(400)은 세척 대상 곡물들이 안치되더라도 그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틀체의 상면에 스테인레스스틸 등으로 형성한 와이어를 격자 형태로 결합한 형태를 갖는 와이어 메쉬(mesh) 망이 일체로 구비된 구성을 가짐은 물론 상기 틀체의 양측 상면에는 손잡이 등이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와이어 메쉬 망의 가로선 및 세로선의 선경이나 망눈 치수(망목 또는 망눈 간격) 등은 세척 대상 곡물의 무게 및 크기 등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가로선 및 세로선에 대한 선경은 한번의 세척과정에서 상기 체반(400) 위에 올려지는 세척 대상 곡물의 중량을 감안하여 결정하면 되고, 상기 망눈 치수의 경우는 정상적인 상태를 갖는 세척 대상 곡물들이 가로선 및 세로선의 격자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망눈을 통해 빠져나가지 않을 정도에서 결정하면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체반(400)은 상기 세척조(300) 내의 체반 받침구(310)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형태를 갖고, 상기 곡물 이송수단(200)을 통해 공급되어 오는 세척 대상 곡물을 일정량씩 받쳐준 상태에서 후술하는 복수의 세척수 분사수단(700)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곡물 자체가 세척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와 같은 세척과정에서 세척수의 분사압력에 의해 곡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지푸라기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을 포함한 곡물의 표면에서 자동 분리되는 먼지나 흙 등과 같은 이물질이 곡물 및 체반(400)을 통과하는 세척수에 포함시켜 오염된 세척수의 형태로 상기 세척조(300)의 바닥측으로 자동 통과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체반(400) 위로 공급된 세척 대상 곡물의 세척이 완료된 후에는, 바가지 등과 같은 별도 도구를 이용하여 세척된 곡물을 퍼내거나, 공기압 컨베이어 등과 같은 별도의 이송장치를 통해 도시 생략한 곡물 건조기 등으로 옮겨 주면 되고, 세척된 곡물을 완전히 옮긴 후에는 틀체에 구비된 손잡이 등을 이용하여 상기 체반(400)을 상기 세척조(300)로부터 분리시켜 별도의 체반 세척공정을 통해 깨끗이 세척한 다음, 다시 상기 세척조(300)에 설치하고 상기한 곡물 이송과정 및 세척과정을 반복 수행하면 된다.
또, 상기 세척수 공급관 고정대(500)는 도면부호 기입을 생략한 받침대의 상면 중앙에 수직 및 수평바가 대략 "┏"자 형상을 갖게 결합된 지지대가 설치된 구성을 갖되, 상기 받침대의 저면에는 이동성을 주기 위해 캐스터 바퀴가 구비된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상기 세척수 공급관 고정대(500)는, 상기 세척조(300)의 배면 등의 바닥에 설치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세척수 공급관(600)을 고정시켜 주는 기능은 물론 상기 세척수 공급관(600)에 결합되는 복수의 세척수 분사수단(700)을 지지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세척수 공급관(600)은 일단부가 플렉시블 관을 통해 수도관 등과 연결된 형태를 갖고, 상기 세척수 공급관 고정대(500)의 지지대 상부의 수평바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복수의 세척수 분사수단(700)이 각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은 물론 수도관 등에서 플렉시블 관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를 복수의 세척수 분사수단(700)에 공급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복수의 세척수 분사수단(700)은 도 3과 같이, 각각 각도 조절부재(710)와 세척수 분사노즐(72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고, 상기 세척조(300)로부터 비교적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세척수 공급관(600)의 저부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세척 대상 곡물의 세척에 필요한 세척수를 상기 세척조(300) 내에서 상기 체반(400)의 상면으로 공급된 곡물 측으로 분사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세척수 분사수단(700)의 구성요소 중 상기 각도 조절부재(710)는, 상기 세척수 공급관(600)과 세척수 분사노즐(720) 사이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세척수 분사노즐(720)의 각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상기 각도 조절부재(710)로는, 상기 세척수 공급관(600)의 세척수 배출구 측에 볼부분을 만들어 케이싱으로 싸고, 그 틈새를 개스킷으로 밀봉한 것으로서, 볼부분이 케이싱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이음매를 2~3개 사용하면 관절의 작용을 하여 관의 신축을 흡수할 수 있어 고온, 고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볼 조인트(ball joint)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도 조절부재(710)는, 상기한 볼 조인트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세척수 공급관(600)과 세척수 분사노즐(720) 사이의 결합부에서 상기 세척수 공급관(600)을 기점으로 상기 세척수 분사노즐(720)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면 어떠한 다른 구성을 잦는 부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 상기 세척수 분사노즐(720)은 내부가 중공인 사각 판체형 노즐 본체(721)의 저면에는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의 분사공(722)들이 천공된 형상을 갖되, 상기 사각 판체형 본체(210)의 중앙부가 상기 각도 조절부재(710)를 통해 상기 세척수 공급관(600)의 저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세척수 분사노즐(720)의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인 사각 판체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노즐 본체(721) 자체가 상기 세척조(300)의 개구부를 덮어주는 형태를 갖게 되므로, 공기중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이 상기 세척조(300) 내의 상기 체반(400) 상에 공급된 곡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사각 판체형 노즐 본체(721)의 저면에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천공되는 복수의 분사공(722)의 지름과 그 간격은, 상기 사각 판체형 노즐 본체(721)의 전체 면적과 그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공급 압력 및 세척 대상 곡물의 종류 등을 감안하여 결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복수의 세척수 분사수단(700)을, 상기 세척조(300)로부터 비교적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세척수 공급관(600) 상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하여 줌으로써, 적은 량의 세척수를 사용하면서도 비교적 강한 세척수의 낙수 압력을 이용하여 각종 곡물을 보다 깨끗이 자동 세척해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곡물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원활히 분리시켜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는, 비록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세척조(300) 내에 구비되는 상기 체반 받침구(310)를 상기 세척조(300) 내에서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더 설치하고, 상기 세척조(300)의 내면과 상기 체반 받침구(310)의 저면 사이에는 상기 체반 받침구(3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체반 높이 조절수단을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세척조(300)의 내면과 상기 체반 받침구(310)의 저면 사이에 체반 높이 조절수단을 더 구비시켜 주게 되면, 작업자가 세척 대상 곡물의 종류와 1회 세척량 등을 감안하여 상기 체반 높이 조절수단을 통해 상기 체반 받침부(310)을 승하강시켜 상기 제반 받침부(310)의 상부에 탁탈 가능하게 안치된 상태에서 세척 대상 곡물을 받쳐주는 상기 체반(400)의 높이를 작업자가 원하는 높이로 임의 조절할 수 있어, 해당 곡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는 비록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세척조(300)의 내부에서 상기 체반(400)의 저부 또는 상기 세척조(300)의 외면 등에 진동발생장치를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동발생장치로는 내부에 캠 등을 구비하고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기계 또는 기구적인 구성의 진동발생장치 또는 초음파나 음파 등을 이용하여 진동이 발생시키는 전기 또는 전자적인 구성의 진동발생장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체반(400)의 저부 또는 상기 세척조(300)의 외면 등에 설치된 상기 진동발생장치는, 상기 체반(400)의 상면에 공급된 세척 대상 곡물을 상기 복수의 세척수 분사수단(70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이용하여 세척하던 중 지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작동시켜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체반(400)의 상면에 공급된 세척 대상 곡물을 상기 복수의 세척수 분사수단(70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이용하여 세척하던 중 상기 진동발생장치를 지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작동시켜 주게 되면, 상기 체반(400)의 상면에 공급된 상태에서 세척중인 곡물의 유동성을 진동 발생력에 대응하여 크게 부여시켜 줄 수 있어 곡물간의 상호 유착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곡물 객체 전체면에 세척수를 고르게 분사시켜 줄 수 있음은 물론 세척 대상 곡물로부터 분리된 각종 이물질이 오염된 세척수와 함께 상기 체반(400)의 눈망을 통해 세척조(300)의 바닥측으로 통과하는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어 해당 곡물의 세척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 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곡물 공급부
200 : 곡물 이송수단
210 : 본체 211 : 뚜껑체
220 : 모터 230 : 회전축
240 : 곡물 이송 스크류
241 : 고정판 242 : 곡물 이송 날개
250 : 경사형 타공판
300 : 세척조 310 : 체반 받침구
320 : 배수구 330 : 경사형 배수로 형성판
400 : 체반
500 : 세척수 공급관 고정대
600 : 세척수 공급관
700 : 세척수 분사수단
710 : 각도 조절부재 720 : 세척수 분사노즐
721 : 노즐 본체 722 : 분사공

Claims (1)

  1. 세척 대상 곡물을 공급하는 호퍼 형상의 곡물 공급부와;
    내부에 곡물 이송 스크류를 구비하고, 상기 곡물 공급부를 통해 내부로 공급되는 세척 대상 곡물을 세척조 측으로 이송시켜 주는 곡물 이송수단과;
    내벽에 체반 받침구가 구비되고, 일측면 외측 저부에는 배수구가 구비되며, 상기 배수구에는 개폐형 밸브가 구비된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곡물은 받쳐주고, 곡물의 세척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 및 세척수는 세척조의 바닥측으로 통과시켜 주는 체반과;
    세척수 공급관 고정대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세척수 공급관과;
    상기 세척수 공급관의 저부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곡물의 세척에 필요한 세척수를 체반 상면의 곡물 측으로 분사시켜 주는 복수의 세척수 분사수단;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세척수 분사수단은,
    상기 세척수 공급관과 세척수 분사노즐 사이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세척수 분사노즐의 각도를 임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각도 조절부재와;
    내부가 중공인 사각 판체형 노즐 본체의 저면에는 정해진 지름과 간격을 두고 복수의 분사공들이 천공된 상태에서, 상기 각도 조절부재를 통해 상기 세척수 공급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척수 분사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곡물 이송수단은,
    상면 개구부에 뚜껑체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본체의 내부를 가로지르게 배치된 상태에서 일단부는 상기 모터의 축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본체의 내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축지되는 회전축과;
    나선 형상을 갖는 고정판을 통해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의 외측 단부를 따라서는 주걱 형상을 갖는 복수의 곡물 이송 날개가 정해진 간격 및 각도를 두고 연이어 형성된 형태를 갖되,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곡물 이송 날개들의 위치는 정해진 각도 및 폭 범위내에서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 곡물 이송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위치에서 정해진 각도 및 폭 범위내에서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 상기 곡물 이송 스크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사이에는, 상기 본체의 내부를 이송중인 곡물을 뒤썩어 주어 곡물들이 상호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경사형 타공판을 더 설치하되, 상기 경사형 타공판은 인접된 곡물 이송 날개의 서로 다른 측면 설치 각도에 대응하여 어느 일측으로 뒤틀린 형태를 가지며,
    상기 세척수 공급관 고정대는, 받침대의 상면 중앙에 수직 및 수평 바가 "┏" 형상으로 결합된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의 저면에는 캐스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세척기.
KR1020220096948A 2022-03-16 2022-08-03 곡물 세척기 KR102474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948A KR102474535B1 (ko) 2022-03-16 2022-08-03 곡물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593A KR102431375B1 (ko) 2022-03-16 2022-03-16 곡물 세척기
KR1020220096948A KR102474535B1 (ko) 2022-03-16 2022-08-03 곡물 세척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593A Division KR102431375B1 (ko) 2022-03-16 2022-03-16 곡물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4535B1 true KR102474535B1 (ko) 2022-12-06

Family

ID=828468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593A KR102431375B1 (ko) 2022-03-16 2022-03-16 곡물 세척기
KR1020220096948A KR102474535B1 (ko) 2022-03-16 2022-08-03 곡물 세척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593A KR102431375B1 (ko) 2022-03-16 2022-03-16 곡물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3137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743Y1 (ko) * 1993-12-30 1999-06-15 김영남 분사노즐 장치
KR100804135B1 (ko) 2007-04-11 2008-02-19 손창구 곡물세척기
KR101353652B1 (ko) 2013-09-17 2014-01-23 새싹종합식품(주) 곡물 세척장치
KR101803038B1 (ko) 2015-10-30 2017-11-29 강두석 깨 세척 및 탈피장치
KR101867875B1 (ko) * 2018-01-25 2018-06-1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필립라이스 곡물세척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743Y1 (ko) * 1993-12-30 1999-06-15 김영남 분사노즐 장치
KR100804135B1 (ko) 2007-04-11 2008-02-19 손창구 곡물세척기
KR101353652B1 (ko) 2013-09-17 2014-01-23 새싹종합식품(주) 곡물 세척장치
KR101803038B1 (ko) 2015-10-30 2017-11-29 강두석 깨 세척 및 탈피장치
KR101867875B1 (ko) * 2018-01-25 2018-06-1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필립라이스 곡물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1375B1 (ko) 2022-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21666B (zh) 鸭蛋清洗筛选风干工艺
CN207222342U (zh) 一种豌豆育种用除杂装置
CN206251890U (zh) 一种防止堵塞的土豆清洗装置
KR101431899B1 (ko) 곡물세척장치
CN210492539U (zh) 一种龙眼干生产加工用龙眼清洗设备
KR101867875B1 (ko) 곡물세척기
CN207547013U (zh) 一种新型高效滚筛清洗装置
KR20120013077A (ko) 야채류 가공장치
GB2516714A (en) A combined cleaning apparatus for cleaning vegetables or other items and an associated method
KR102474535B1 (ko) 곡물 세척기
JP2004216295A (ja) 穀物洗浄機およびそれに接続される乾燥機
US5020555A (en) Continuous washing apparatus
US5862821A (en) Apparatus for washing leafy plant products
JP2011045803A (ja) 洗米装置
CN208494405U (zh) 一种谷物除尘烘烤研磨一体机
CN107912787A (zh) 大豆清洗风吹干燥装置
CN208030215U (zh) 一种红枣除渣清洗装置
KR200422658Y1 (ko) 쌀 가공장치
CN207243420U (zh) 一种洗洁精灌装流水线的清洗装置
CN105600364A (zh) 一种适用于粘性发酵饲料的自清洁输送装置
KR19980013870A (ko) 곡물 세척 장치(grain washer)
KR100493762B1 (ko) 곡물세척기
CN107520183A (zh) 一种用于饲料加工前的谷物清洗装置
CN111318510A (zh) 一种农产品加工用清洗设备
CN216874926U (zh) 一种蔬菜加工用蔬菜清洗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