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445B1 -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 - Google Patents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74445B1 KR102474445B1 KR1020220013181A KR20220013181A KR102474445B1 KR 102474445 B1 KR102474445 B1 KR 102474445B1 KR 1020220013181 A KR1020220013181 A KR 1020220013181A KR 20220013181 A KR20220013181 A KR 20220013181A KR 102474445 B1 KR102474445 B1 KR 1024744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extinguishing
- unit
- vehicle
- vehicle fir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3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595 m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5—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with two or more outl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04—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riven by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discharged, e.g. the liquid actuating a motor before passing to the outlet
- B05B3/06—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riven by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discharged, e.g. the liquid actuating a motor before passing to the outlet by jet reaction, i.e. creating a spinning torque due to a tangential component of the j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에 따르면,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로 물을 분사시키는 분사부; 상기 분사부의 측방향으로 연결되고, 소방호스로부터 공급받는 물을 분사부에 공급하는 입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화재시 화재 차량의 하부에 거치하고 상방으로 물을 분사하여 차량의 하면에 진행중인 연소를 소화함으로써 신속하게 차량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대원이 화재진압할 때, 연소부분에 정면으로 방수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소화방법이다.
차량화재 중, 차량의 하부에 연소가 이루어지는 경우, 소방대원이 차량의 하부 지면에서 관창을 상방으로 향하여 연소부위에 방수한다면 가장 효과적인 소화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차량 하면과 지면과의 사이 공간이 협소하여 소방대원이 차량 하부로 들어가 위를 향하여 방수 자세를 취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고 연소물에 극도로 근접하여 화재진압을 하는 것 또한 소방대원이 고도의 위험을 부담하는 것으로서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차량 하부에 연소가 이루어지는 경우 종래의 관창으로서는 화재 차량의 측면에서 차량 하부를 향하여 방수를 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었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연소부위에 정면으로 방수를 하는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화재진압의 효과가 현저히 저하되고, 관창을 장시간 파지하고 방수를 함으로써 소방대원의 피로가 가중되고 화재차량으로부터의 갑작스러운 화염 분출 등으로 인한 부상의 위험을 소방대원이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하부와 같은 협소한 공간으로 이동시켜 거치하고, 물을 연소부위에 직접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어, 협소한 공간에서의 소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타깃부재에 물을 배출시켜 타격함으로써, 이동부에 의해 이동이 가능함으로써, 소방관이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에 분사부를 위치시켜 소화할 뿐만 아니라, 소방관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에 따르면,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로 물을 분사시키는 분사부; 및 상기 분사부의 측방향으로 연결되고, 소방호스로부터 공급받는 물을 분사부에 공급하는 입수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받침부를 지면으로부터 고정 및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중공형태로 형성되며, 하부에 돌출공이 형성된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내부에 구비된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와 돌출공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팽창으로 상기 돌출공으로 돌출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탄성부재와 회전부재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타격되는 이동용 타깃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용 타깃부는,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걸이봉과, 상기 걸이봉에 결합되어 구비되되, 상기 분사부의 측방향에서 타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타깃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타깃부재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이 내입된 내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입수부 상부에 안착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입수부가 측부에 결합되도록 받침부에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방 또는 측방으로 물을 배출시키는 출수부 를 포함하고, 상기 출수부는, 상기 몸통으로부터 전달된 물이 부딪혀 측방으로 분사되도록 중앙에 반사판이 형성되고, 상기 반사판에는 상방으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방 배출공이 형성되며, 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분사각조절장치가 너트 형태로 결합되어 상하 이동함으로써 상기 반사판에 부딪혀 측방으로 분사되는 물의 분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입수부가 측부에 결합되도록 받침부에 구비되어 돔형상으로 위로 볼록한 형태의 몸체에 상방 및 측방으로 물이 배출될 수 있는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입수부가 측부에 결합되도록 받침부에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방 또는 측방으로 물을 배출시키는 출수부 를 포함하고, 상기 출수부에는 상방 및 측방으로 물이 배출될 수 있는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고, 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산에 너트 형태로 결합되어 상하 이동함으로써 상기 측방으로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개폐하여 분사각을 조절하는 분사각조절장치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입수부가 측부에 결합되도록 받침부에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방 또는 측방으로 물을 배출시키는 출수부 를 포함하고, 상기 출수부에는 측방으로 물이 배출되는 측방배출공 및 상방으로 물이 배출되는 상방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측방배출공으로 배출되는 물의 반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측방배출공 및 상방배출공이 형성된 출수부 전체가 공회전되고 이 회전력에 의하여 상기 측방배출공으로 배출되는 물이 안개와 같은 미립자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입수부가 측부에 결합되도록 받침부에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방 또는 측방으로 물을 배출시키는 출수부 를 포함하고, 상기 출수부에는, 상기 몸체 중앙 상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몸통으로부터 전달된 물을 상방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고정출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출수부의 둘레를 에워싸면서 상기 고정출수부와 상기 몸통 사이에 결합되어 공회전 가능한 구조의 회전출수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출수부에는 상방으로 물을 배출시키는 고정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출수부에는 측방향으로 물이 배출되는 회전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배출공은 물이 상기 몸체의 중심축으로부터 비켜 배출되어 배출되는 물의 반동력으로 상기 회전출수부가 공회전하게 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출수부와 상기 회전출수부 사이에 상기 회전출수부가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 이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조의 역방향회전출수부가 형성되며 상기 역방향회전출수부에는 상기 회전배출공와 비키는 방향이 반대인 역방향회전배출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입수부는, 구형관으로 시작하여 상기 몸체쪽으로 가면서 납작하고 보다 넓은 형태로 되며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사부는, 상기 받침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구비되되, 상기 입수부가 구비된 반대측으로 편심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받침부에 결합하여 받침부를 화재 차량 아래로 이동시키기 위한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가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레버는, 봉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일측에 상기 레버를 삽입하여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사부를 기준으로 상기 입수부와 반대쪽에 보조입수부가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입수부와 상기 보조입수부 중 적어도 하나는 분사부 쪽으로만 물이 이동할 수 있는 원웨이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차량의 하부와 같은 협소한 공간으로 이동시켜 거치하고, 물을 연소부위에 직접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어, 협소한 공간에서의 소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타깃부재에 물을 배출시켜 타격함으로써, 이동부에 의해 이동이 가능함으로써, 소방관이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에 분사부를 위치시켜 소화할 뿐만 아니라, 소방관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예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예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부분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실시예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실시예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실시예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실시예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실시예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실시예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입수부와 별도로 보조입수부가 설치된 실시예의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의 이동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의 이동용 타깃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이동용타깃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별도의 관창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에 주수로 타격하여 이동시키는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의 레버와 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레버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을 화재차량 쪽으로 이동시키는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예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예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부분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실시예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실시예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실시예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실시예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실시예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실시예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입수부와 별도로 보조입수부가 설치된 실시예의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의 이동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의 이동용 타깃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이동용타깃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별도의 관창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에 주수로 타격하여 이동시키는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의 레버와 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레버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을 화재차량 쪽으로 이동시키는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평면도, 측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받침부(100), 분사부(200), 입수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원활한 이동과 안정적인 거치를 위해 이동부(40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먼저, 받침부(100)는,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받침부(100)는 후술할 분사부(200)보다 더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분사부(200)에서 물이 상방으로 배출될 때 발생하는 반동력으로 지면에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분사부(200)가 반동력에 의해 회전되지 않고 일정하게 물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분사부(200)는, 받침부(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로 물을 분사시킨다.
한편, 분사부(200)는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먼저, 분사부(200)는, 몸체(210)와 출수부(220)를 포함한다.
몸체(210)는, 입수부(300)가 측부에 결합되도록 받침부(100)에 구비된다.
이때, 몸체(210)는 입수부(300)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입수부(300)로 공급되는 물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출수부(220)는, 몸체(2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방 및 측방으로 물을 배출시킨다.
제 1실시예의 출수부(220a) 중앙에는, 몸체로부터 전달된 물이 아랫면에 부딪혀 측방으로 분사되도록 반사판(224)이 형성되고 반사판(224)의 아랫면에 부딪힌 물은 측방배출공(223a)를 통하여 측방으로 배출된다. 또한 반사판(224)에는 상방배출공(222a)이 형성되어 상방으로 물이 배출된다. 즉, 물의 일부는 반사판(224)의 아랫면에 부딪혀 측방배출공(223a)로 배출되고 나머지 일부는 반사판(224)의 배출공(222a)를 통하여 상방으로 배출된다. 출수부(220a)의 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나사산을 따라 분사각조절장치(225a)가 너트 형태로 결합된다. 분사각조절장치(225a)를 돌려 위로 이동시기면 반사판(224)에 부딪혀 측방으로 분사되는 물의 분사각이 커지거나 좁아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로 분사부(200b)가 돔형상으로 위로 볼록한 형태의 몸체(210b)를 포함하고 상방 및 측방으로 물이 배출될 수 있는 다수의 배출공(221b)이 형성되어 있다. 제 1실시예에 비해서 보다 많은 배출공(221b)이 형성될 수 있고 물의 흐름에 대한 저항이 최소화 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보다 많은 방수량을 얻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의 제3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로 출수부(220c)에 상방 및 측방으로 물이 배출될 수 있는 다수의 배출공(222c, 223c)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 나사산에 너트 형태로 결합되는 분사각조절장치(225c)를 회전시켜 위로 이동시키면 나사산이 형성된 곳에 있는 측방배출공(223c)을 막아 분사각이 좁아지는 구조이다. 승용차보다 차량 하부의 높이가 높은 SUV 차량이나 트럭에서는 분사각을 보다 좁혀서 적응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의 도면중 좌측은 분사각조절고리(225c)가 아래쪽에 위치한 상태이고 우측은 분사각을 축소시키기 위하여 분사각조절고리(225c)를 돌려 위로 이동시킨 상태를 보여준다.
도 6은 도 5의 제 3실시예에서 방수를 할 때 분사부(200c) 내부에서 물이 배출되는 모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좌측은 분사각조절고리(225c)가 아래쪽에 있어 분사각이 넓은 상태이고 우측은 분사각조절고리(225c)를 위로 회전 이동하여 분사각이 좁아진 상태를 보여준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및 평면도로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배출되는 물의 반동력을 이용하여 출수부(220d)를 공회전시키고 이 회전력에 의하여 분출되는 물이 흩뿌려지는 구조가 되어 안개와 같은 미분무가 형성된다.
물이 미분무로 배출될 때 수막을 형성하여 같은 질량의 물 대비 높은 냉각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출수부(220d)는 몸체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방으로 물이 배출되는 상방배출공(222d)과 측방으로 물이 배출되는 측방배출공(223d)이 형성되는데 측방배출공(223d)이 중심축에 대하여 비스듬한 각도로 비켜 형성되어 물이 측방배출공(223d)을 통하여 배출될 때 그 반동력으로 출수부(220d)가 회전되게 된다.
도 9 및 도 10은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회전력을 이용하여 미분무를 만들어 낸다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제 4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제 4실시예처럼 출수부 전체가 회전하지 않고 출수부(220e)의 중앙에 상방으로 물이 배출되는 고정출수부(226)가 고정 설치되고 이를 둘러싸고 고정출수부(226)와 몸체(210) 사이에 회전출수부(227)가 설치되는 구조이다.
제 4실시예에서는 상방으로 배출되는 물에 의하여 하방으로 반동력이 생성됨으로써 출수부가 공회전하는 것에 방해가 될 수 있는데 제 5실시예에서는 그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제4실시예 및 제5실시예의 경우 출수부(220)가 공회전됨이 바람직하지만 어떤 이유로 공회전이 원활하지 않아 받침부가 출수부(220)가 회전됨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 6실시예에서는 회전출수부(227)와 반대로 회전하는 역방향회전출수부(228)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받침부(100)가 비의도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역방향회전출수부(228)는 위의 위의 회전출수부(227)와 고정출수부(226)의 사이에 위치한다. 도12를 참조하면 역방향회전출수부(228)에는 역방향회전배출공(228a)이 회전배출공(227a)이 비키는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비켜 형성된다.
제 4실시예 내지 제 6실시예에서 출수부(220)가 회전하는 동안 차량의 저면에 붙어있는 연소물 등에 출수부(220)가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출수부(220)의 외곽에 보호커버가 설치될 수 있다(미도시).
한편, 분사부(200)는, 받침부(100)의 중앙을 기준으로 구비되되, 입수부(300)가 구비된 반대측으로 편심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는, 분사부(200)가 받침부(100)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으나, 중앙에 구비되면, 입수부(300)는 받침부(100)의 중앙이 아닌 편심된 측부에 구비된다. 이때, 입수부(300)가 구비된 부위에 하중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받침부(100)를 기울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100)가 기울어지면 차량의 저면을 향하지만 직상부를 향하지 않고 기울어진 상태로 물의 배출에 의한 반동력으로 지면에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받침부(1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의 상부에 각각 분사부(200) 및 입수부(300)가 구비 즉, 편심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받침부(100)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물 배출시에도 물의 반동력에 의해 받침부(100)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입수부(300)는, 분사부(200)의 측방향으로 연결되고, 소방호스(H)로부터 공급받는 물을 분사부(200)에 공급한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부(300)의 반대측에 보조입수부(300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분사부(20)의 양쪽에 보조입수부(300a)가 구비되어 보다 많은 물이 공급될 수 있고 상방방사관창을 보다 안정감있게 거치할 수 있다. 입수부(300)와 보조입수부(300a) 중 적어도 하나는 분사부(200) 쪽으로만 물이 이동할 수 있는 원웨이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입수부(300)는 구형관으로 시작하여 몸체(210)쪽으로 가면서 납작하고 보다 넓은 형태로 되며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로 되는데 이는 차량 하부의 좁은 공간에서 유효한 분사각을 얻기 위하여 출수부(220)의 높이를 최대한 낮추기 위한 것이다.
이동부(400)는, 받침부(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받침부(100)를 지면으로부터 고정 및 이동시킨다.
이때, 도 14를 참조하면, 이동부(400)는, 기둥부(410), 탄성부재(420), 회전부재(430) 및 지지부재(440)를 포함한다.
기둥부(410)는, 받침부(100)의 하부에 구비되고, 중공형태로 형성되고, 하부에 돌출공이 형성된다.
탄성부재(420)는, 기둥부(4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이때 탄성부재(420)의 길이에 따라 기둥부(410)가 받침부(100)의 상부에 돌출될 수도 있다.
회전부재(430)는, 탄성부재(420)와 돌출공 사이에 구비되고, 탄성부재(420)의 팽창으로 돌출공으로 돌출된다. 회전부재(430)는, 구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420)는, 받침부(100), 입수부(300) 및 분사부(200)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갖어, 회전부재(430)를 돌출공으로 밀어낼 수 있다.
그리고, 분사부(200)에서 물이 배출되면 반동력에 의해 탄성부재(420)가 압축되어 받침부(100)가 지면에 지지되고, 그 위치에 고정된다.
즉, 이동부는, 회전부재(480)가 기둥부(410)의 하부로 돌출되어, 구름회전함에 따라, 받침부(100)가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분사부(200)로 물이 배출되면, 물의 배출에 따른 반동에 의해 지면으로 반동력이 발생하여 회전부재(480)가 눌리며 탄성부재(420)의 압축이 이루어지고, 기둥부(410)의 하측면이 지면에 지지되며 받침부(100)는 회전부재(480)에 의해 이동되지 않는다.
지지부재(440)는, 탄성부재(420)와 회전부재(430)의 사이에 구비되어, 탄성부재(420)와 회전부재(430)를 지지한다.
한편,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은, 이동용 타깃부(500)를 더 포함한다.
이동용 타깃부(500)는, 받침부(100)의 상부에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타격된다.
즉, 이동용 타깃부(500)는, 받침부(100)를 타격시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이동용 타깃부(500)는, 걸이봉(510)과 타깃부재(520)를 포함한다.
걸이봉(510)은, 받침부(100)의 상부에 구비된다. 이때, 걸이봉(510)은, 입수부(3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타깃부재(520)는, 걸이봉(510)에 결합되어 구비되되, 분사부(200)의 측방향에서 타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타깃부재(52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이 내입된 내입홈이 형성되어 입수부(300) 상부에 안착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화재위치에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을 위치시키기 어려울 때는, 입수부(300)에 관창을 연결하고, 또 다른 관창으로 배출되는 물을 타깃부재(520)로 향하여 타깃부재(520)를 타격시킴에 따라,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입수부(300)에 연결된 관창에서는 물의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입수부(300)에 연결된 관창으로 물의 공급유무를 조절하기 위하여, 소방차량의 밸브를 직접 조절하거나, 관창에 연결된 수관의 중간에 링밸브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 18 및 도 19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600) 및 레버(700)를 더 포함한다.
결합부(600)는, 받침부(100)에 결합되고, 일측에 결합공(610)이 형성된다. 이때, 결합공(610)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레버(700)는, 결합부(600)의 결합공(610)에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고, 받침부(100)를 화재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레버(700)는, 봉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고, 끝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710)가 형성된다.
소방관은, 레버(700)의 끝단에 형성된 돌기(710)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레버(70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는 결합부(600)의 결합공(610)에 레버(700)를 용이하게 결합과 해체를 할 수 있다.
이동부(400)는 도1과 같이 설치할 수도 있지만 차량 하부의 낮은 높이에 대한 적응성을 높이기 위하여 도4와 같이 이동부(400)를 설치하지 않고 레버(700)로 밀어 미끄러뜨려 이동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작동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받침부
200 : 분사부
210 : 몸체
220 : 출수부
221 : 배출공
222 : 상방배출공
223 : 측방배출공
224 : 반사판
225 : 분사각조절장치
226 : 고정출수부
226a : 고정배출공
227 : 회전출수부
227a : 회전배출공
228 : 역방향 회전출수부
228a : 역방향 회전배출공
300 : 입수부
300a : 보조입수부
400 : 이동부
410 : 기둥부
420 : 탄성부재
430 : 회전부재
440 : 지지부재
500 : 이동용 타깃부
510 : 걸이봉
520 : 타깃부재
600 : 결합부
610 : 결합공
700 : 레버
710 : 돌기
200 : 분사부
210 : 몸체
220 : 출수부
221 : 배출공
222 : 상방배출공
223 : 측방배출공
224 : 반사판
225 : 분사각조절장치
226 : 고정출수부
226a : 고정배출공
227 : 회전출수부
227a : 회전배출공
228 : 역방향 회전출수부
228a : 역방향 회전배출공
300 : 입수부
300a : 보조입수부
400 : 이동부
410 : 기둥부
420 : 탄성부재
430 : 회전부재
440 : 지지부재
500 : 이동용 타깃부
510 : 걸이봉
520 : 타깃부재
600 : 결합부
610 : 결합공
700 : 레버
710 : 돌기
Claims (18)
-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로 물을 분사시키는 분사부; 및
상기 분사부의 측방향으로 연결되고, 소방호스로부터 공급받는 물을 상기 분사부에 공급하는 입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입수부가 측부에 결합되도록 받침부에 구비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방 또는 측방으로 물을 배출시키는 출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수부는, 상기 몸체로부터 전달된 물이 부딪혀 측방으로 분사되도록 중앙에 반사판이 형성되고, 상기 반사판에는 상방으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방 배출공이 형성되며, 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분사각조절장치가 너트 형태로 결합되어 상하 이동함으로써 상기 반사판에 부딪혀 측방으로 분사되는 물의 분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받침부를 지면으로부터 고정 및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중공형태로 형성되며, 하부에 돌출공이 형성된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내부에 구비된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돌출공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팽창으로 상기 돌출공으로 돌출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타격되는 이동용 타깃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타깃부는,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걸이봉, 및
상기 걸이봉에 결합되어 구비되되, 상기 분사부의 측방향에서 타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타깃부재를 포함하는,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부재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이 내입된 내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입수부 상부에 안착되어 구비되는,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부는,
구형관으로 시작하여 상기 몸체쪽으로 가면서 납작하고 보다 넓은 형태로 되며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진,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받침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구비되되, 상기 입수부가 구비된 반대측으로 편심되어 구비되는,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에 결합하여 받침부를 화재 차량 아래로 이동시키기 위한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가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레버는, 봉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는,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일측에 상기 레버를 삽입하여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를 기준으로 상기 입수부와 반대쪽에 보조입수부; 가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입수부와 상기 보조입수부 중 적어도 하나는 분사부 쪽으로만 물이 이동할 수 있는 원웨이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9626 | 2021-05-31 | ||
KR20210069626 | 2021-05-31 | ||
KR1020210088363 | 2021-07-06 | ||
KR20210088363 | 2021-07-0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74445B1 true KR102474445B1 (ko) | 2022-12-06 |
Family
ID=84407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13181A KR102474445B1 (ko) | 2021-05-31 | 2022-01-28 |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74445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60010480U (ko) * | 1985-02-08 | 1986-09-05 | 백명해 | 소방용 분사기 |
KR20140131724A (ko) | 2013-05-06 | 2014-11-14 | 송민정 | 소방용 관창 |
KR20160045450A (ko) * | 2014-10-17 | 2016-04-27 | (주)케이피엠 | 기능성 볼바퀴 장치 |
-
2022
- 2022-01-28 KR KR1020220013181A patent/KR10247444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60010480U (ko) * | 1985-02-08 | 1986-09-05 | 백명해 | 소방용 분사기 |
KR20140131724A (ko) | 2013-05-06 | 2014-11-14 | 송민정 | 소방용 관창 |
KR20160045450A (ko) * | 2014-10-17 | 2016-04-27 | (주)케이피엠 | 기능성 볼바퀴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351393A (en) | Nozzle having deflector for pressurized fire suppression fluid | |
EP2227298B1 (en) | A water mist head for a fire fighting system | |
CN102065954A (zh) | 灭火喷嘴主体 | |
US4801090A (en) | Discharge pipe and discharge apparatus using the same | |
KR100709382B1 (ko) | 소방용 관창 | |
JP3792719B2 (ja) | 携帯式消火銃 | |
KR102474445B1 (ko) | 차량화재진압용 상방방사관창 | |
JP3852069B2 (ja) | 水噴霧ヘッド | |
JP2013094428A (ja) | 流体噴出継ぎ手 | |
JPH08266677A (ja) | 消火薬剤複合噴射ノズル | |
KR20180107343A (ko) | 건식 드라이펜던트 | |
US6189622B1 (en) | Nozzle for fighting fires in buildings | |
JPH08266676A (ja) | 消火液複合噴射ノズル | |
JP2002291921A (ja) | フォームヘッド | |
JP4255218B2 (ja) | 水噴霧ヘッド | |
JP2968932B2 (ja) | 近距離用放水ノズル | |
US6328225B1 (en) | Rotary foam nozzle | |
CA2255079A1 (en) | Nozzle | |
JP2002095767A (ja) | 消火用ヘッド | |
JPH074825Y2 (ja) | スプリンクラヘッドのデフレクタ | |
JP3273281B2 (ja) | 消火用ヘッド | |
JP4060999B2 (ja) | 消防用噴霧ノズル | |
RU2004111676A (ru) | Способ пожаротуш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 |
JPH0450043Y2 (ko) | ||
KR102619893B1 (ko) |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