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3890B1 - 유리 건재 - Google Patents

유리 건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890B1
KR102473890B1 KR1020207029571A KR20207029571A KR102473890B1 KR 102473890 B1 KR102473890 B1 KR 102473890B1 KR 1020207029571 A KR1020207029571 A KR 1020207029571A KR 20207029571 A KR20207029571 A KR 20207029571A KR 102473890 B1 KR102473890 B1 KR 102473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building material
glass
material according
main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9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2944A (ko
Inventor
가즈히코 우메다
노부사토 코바야시
세이이치 기노시타
나오키 가도타
히데키 마츠오
츠카사 마키노
노부히사 오타
아키히코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Publication of KR20200132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 C03C17/360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 C03C17/3657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the multilayer coating having optical properties
    • C03C17/366Low-emissivity or solar contro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88Double glass encapsulation, e.g. photovoltaic cells arranged between front and rear glass she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6Building materials integrated with PV modules, e.g. façade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Abstract

본 개시에 관한 유리 건재는, 제1 방향으로 연신하는 형상을 갖는 양면 수광형의 제1 태양 전지와,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태양 전지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신하는 형상을 갖는 양면 수광형의 제2 태양 전지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어레이와, 상기 태양 전지 어레이의 제1 주면측을 덮는 제1 유리 기판과, 상기 태양 전지 어레이의 제2 주면측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 투과율이 반사율보다도 높고, 근적외 영역에 있어서 반사율이 투과율보다도 높은 반사막과, 상기 태양 전지 어레이와, 상기 반사막 사이에 개재하는 공기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리 건재
본 발명은, 유리 건재에 관한 것이다.
하기 비특허문헌 1에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된 양면 수광형의 태양 전지가 개시되어 있다.
우에시타 도시오 등 저 「양면 수광형 태양 전지의 기본 응용 기술의 개발」 전학론 B, 123권 8호, 2003년, p.947-955
그러나, 종래의 양면 수광형의 태양 전지를 건물의 창 등에 설치한 경우, 실내측의 수광면에 있어서의 발전량이 적었다. 즉, 실내측의 수광면이, 실외로부터의 태양광을 효율적으로 수광할 수 없기 때문에, 그 결과로서 발전량이 적어져 버렸다.
한편, 종래의 채광형 태양 전지 모듈은, 발전량 증대를 목적으로 하여 일사 투과율이 높은 유리를 사용한 결과, 건물의 냉방 부하를 증대시키는 과제가 있다.
본 개시는,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은, 태양 전지를 포함하는 유리 건재를 건물의 창 등에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의, 실내측의 수광면에서의 발전량을 증가시키는 데 있다.
또한, 냉방 부하를 삭감하여 건물의 에너지 절약을 도모함과 함께, 압박감이 없는 조망의 확보와 채광 성능의 향상에 있다.
(1) 본 개시에 관한 유리 건재는, 제1 방향으로 연신하는 형상을 갖는 양면 수광형의 제1 태양 전지와,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태양 전지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신하는 형상을 갖는 양면 수광형의 제2 태양 전지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어레이와, 상기 태양 전지 어레이의 제1 주면측을 덮는 제1 유리 기판과, 상기 태양 전지 어레이의 제2 주면측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 투과율이 반사율보다도 높고, 근적외 영역에 있어서 반사율이 투과율보다도 높은 반사막과, 상기 태양 전지 어레이와, 상기 반사막 사이에 개재하는 공기층을 포함한다.
(2) 상기 유리 건재에 있어서, 상기 반사막과 상기 제1 태양 전지의 거리가,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태양 전지의 길이의 0.5배 이상이어도 된다.
(3) 상기 유리 건재에 있어서, 상기 제1 태양 전지의 상기 제2 주면에 대향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신하는 형상을 갖는 제1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4) 상기 유리 건재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반사판의 길이는,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태양 전지의 길이 이상이어도 된다.
(5) 상기 유리 건재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판은, 상기 반사막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태양 전지와 대향하지 않는 면측에 배치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6) 상기 유리 건재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판과 상기 반사막 사이에 배치된 제2 유리 기판을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7) 상기 유리 건재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판과 상기 제2 유리 기판 사이에 배치된 제4 유리 기판을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8) 상기 유리 건재에 있어서, 상기 공기층과 상기 반사막 사이에 배치된 제5 유리 기판을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9) 상기 유리 건재에 있어서, 상기 제5 유리 기판과 상기 반사막 사이에 배치된 제6 유리 기판을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10) 상기 유리 건재에 있어서, 상기 태양 전지 어레이와 상기 공기층 사이에 개재하는 제3 유리 기판을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11) 상기 유리 건재에 있어서, 상기 제1 태양 전지와 상기 제2 태양 전지 사이에 개재하는 밀봉재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12) 상기 유리 건재에 있어서, 상기 제1 태양 전지는, 적어도 300㎚ 내지 1200㎚의 파장 범위에 분광 감도를 갖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13) 상기 유리 건재에 있어서, 상기 제1 태양 전지는, 헤테로 접합형 태양 전지여도 된다.
(14) 상기 유리 건재에 있어서, 상기 반사막은, 상기 제1 태양 전지의 상기 제1 주면측으로부터 입사하는 태양광에 있어서의 적어도 근적외광을 반사하여, 상기 제1 태양 전지의 상기 제2 주면에 입사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15) 상기 유리 건재에 있어서, 상기 반사막이, 그의 표면에 요철을 갖고, 상기 근적외광을 난반사시켜 상기 제1 태양 전지의 상기 제2 주면에 입사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16) 상기 유리 건재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판은, 상기 제1 태양 전지의 상기 제1 주면측으로부터 입사하는 태양광에 있어서의 적어도 근적외 성분과 가시광 성분을 반사하여, 상기 제1 태양 전지의 상기 제2 주면에 입사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유리 건재의 개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유리 건재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유리 건재에 있어서의 제1 태양 전지의 분광 감도와 반사막의 반사율의 파장 의존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태양 전지와 반사막의 간격과, 출력 상승률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유리 건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유리 건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유리 건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유리 건재의 개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있어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 건재(100)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태양 전지(13)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어레이와, 이 태양 전지 어레이의 제1 주면측을 덮도록 마련된 제1 유리 기판(21)을 갖는다. 또한, 복수의 태양 전지(13)로서는, 단결정 실리콘 태양 전지, 다결정 실리콘 태양 전지, 헤테로 접합형 태양 전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태양 전지(13)로서, 헤테로 접합형 태양 전지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1 유리 기판(21)이란, 예를 들어 건물의 창으로서 설치되는 유리 기판이고, 실내 및 태양 전지의 표면에 태양광을 입사시키도록, 투과율이 높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태양 전지 어레이는, 제1 태양 전지(11), 제2 태양 전지(12)를 포함한다. 제1 태양 전지(11), 제2 태양 전지(12)는, 복수의 태양 전지 셀을 직선상으로 배치, 접속함으로써 구성되고, 제1 방향으로 연신하는 형상을 하고 있고, 제1 태양 전지(11)는, 폭 W1을 갖고 있다. 폭 W1이란, 제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1 태양 전지(11)의 길이를 의미한다. 제2 태양 전지(12)는,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제1 태양 전지(11)와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제1 태양 전지(11)와 제2 태양 전지(12)는, 제1 간격 W2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태양 전지(11), 제2 태양 전지(12)의 폭 방향과, 제1 태양 전지(11), 제2 태양 전지(12)의 연신 방향은, 직교하는 관계에 있다. 또한, 제1 태양 전지(11), 제2 태양 전지(12)의 연신 방향인 제1 방향과, 복수의 태양 전지(13)의 배열 방향인 제2 방향은, 반드시 직교 관계에 있을 필요는 없고, 교차하는 관계에 있으면 된다.
제1 태양 전지(11)의 상대 분광 감도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 300㎚ 내지 1200㎚로 감도를 갖고, 근적외 영역인 1000㎚ 부근에서 높은 값을 갖는다. 제1 태양 전지(11)와, 제2 태양 전지(12)는 양면 수광형이고, 실외측인 제1 주면(11A, 12A)과, 실내측인 제2 주면(11B, 12B)으로부터 수광한 광을 발전에 기여시킬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태양 전지(11)의 제1 주면(11A)과, 제2 태양 전지(12)의 제1 주면(12A)은, 실외로부터의 태양광(40)을 제1 유리 기판(21)을 통해 수광한다.
제1 태양 전지(11)의 제2 주면(11B)측 및 제2 태양 전지(12)의 제2 주면(12B)측에는, 제1 태양 전지(11), 제2 태양 전지(12)와 제2 간격 d를 두고 배치된 반사막(31)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반사막(31)은, 제2 유리 기판(22)의 표면에 마련되어 있다. 이 반사막(31)은, 예를 들어 Low-E(Low Emissivity(저 방사율))막이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가시광선의 대부분을 투과하고, 근적외선의 대부분을 반사하는 차열형 Low-E막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유리 건재에 있어서의 제1 태양 전지(11) 및 제2 태양 전지(12)의 분광 감도와 반사막(31)(반사막(31A), 반사막(31B), 반사막(31C))의 반사율의 파장 의존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태양 전지(11) 및 제2 태양 전지(12)에는 동종의 헤테로 접합형 태양 전지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분광 감도 특성을 갖고 있고, 도 3에 있어서 「헤테로 분광 감도」라고 표시하고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사막(31A), 반사막(31B), 반사막(31C)의 각각은, 750 내지 2500㎚와 같은 근적외 영역에 높은 반사율을 갖고 있고, 이 근적외 영역에 있어서는, 투과율보다도 반사율이 높게 되어 있다. 한편, 반사막(31A), 반사막(31B), 반사막(31C)의 각각은, 380 내지 750㎚와 같은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는 낮은 반사율을 갖고 있고, 이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는, 투과율이 반사율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이러한 반사막(31)을 제1 태양 전지(11)의 제2 주면(11B)측에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실외로부터 입사하는 태양광에 있어서의 근적외 성분(41)의 일부는, 이 반사막(31)에 의해 반사되고, 제1 태양 전지(11)의 제2 주면(11B) 및 제2 태양 전지(12)의 제2 주면(12B)에 있어서 수광된다. 도 3을 사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태양 전지(11), 제2 태양 전지(12)는, 근적외 영역에 있어서 높은 분광 감도 특성을 갖고 있고, 반사막(31)에 의해 반사된 근적외 성분(41)을 효율적으로 발전에 기여시킬 수 있다.
한편, 실외로부터 입사하는 태양광에 있어서의 가시광 성분(42)의 일부는, 이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는 낮은 반사율을 갖는 반사막(31)을 통과하여, 실내에 입사한다. 그 때문에, 이 유리 건재(100)를 통해, 조망과 채광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일사의 근적외 성분을 반사막(31)으로 삭감하기 때문에, 냉방 부하가 삭감되어 건물의 에너지 절약화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조망과 채광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리 건재(100)로서의 기능을 상실하지 않고, 실내측의 수광면에 있어서의 발전량을 증가시키는 것과 건물의 냉방 부하 삭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태양 전지(11)와 반사막(31)의 간격인 제2 간격 d는, 제1 태양 전지(11)가 갖는 폭 W1의 0.1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제2 간격 d가, 폭 W1의 0.5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각 개구율에 있어서의, 제2 간격 d와, 제1 태양 전지(11)의 출력 상승률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개구율이란, 제1 태양 전지(11)와 제2 태양 전지(12)의 간격인 제1 간격 W2를, 제1 태양 전지(11)의 폭 W1과 제1 간격 W2의 합으로 나눈 값이다. 횡축은, 제2 간격 d를, 제1 태양 전지의 폭 W1로 나눈 값을 나타내고 있다. 종축은, 실외측의 수광면만의 발전량을 100%로 하여, 실내측의 수광면에서의 발전에 의한 출력 상승이 전체의 발전량의 몇%인지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축이 0.1보다 작아지면, 급격하게 출력 상승률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제2 간격 d가 매우 작아지면, 반사막(31)으로부터의 반사광을 효과적으로 제1 태양 전지(11)의 제2 주면(11B)에 수광시키는 것이 어렵게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제1 태양 전지(11)와 반사막(31)의 간격인 제2 간격 d는, 제1 태양 전지(11)가 갖는 폭 W1의 0.1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횡축의 값이 0.5 이상으로 되면 높은 출력 상승률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태양 전지(13) 사이에,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근적외 성분(41)이 입사한 경우에 있어서도, 제2 간격 d를 크게 해 둠으로써, 복수의 태양 전지(13)의 제2 주면측에 입사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태양 전지(13)가 배치된 층 내에 있어서의, 근적외 성분(41)의 입사 위치와, 그 반사광의 입사 위치의 차는, 제2 간격 d가 커질수록 커진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1 태양 전지(1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근적외 성분(41)이 입사한 경우에 있어서도, 제2 간격 d를 크게 함으로써, 제1 태양 전지(11)에 입사시키는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태양 전지 어레이와, 반사막(31) 사이에 공기층(71)을 개재시키고 있다. 공기층(71)을 개재시킴으로써, 제2 간격 d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제2 간격 d가, 제1 태양 전지(11)가 갖는 폭 W1의 0.5배 이상인 구성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반사막(31)의 표면에 요철을 마련함으로써, 근적외 성분(41)을 난반사시켜, 태양광의 입사각에 구애되지 않고, 제1 태양 전지(11)의 제2 주면(11B), 제2 태양 전지(12)의 제2 주면(12B)에 근적외 성분(41)을 수광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태양 전지 어레이와, 공기층(71) 사이에, 제3 유리 기판(23)을 배치하고, 제1 유리 기판(21)과 제3 유리 기판(23) 사이에, 태양 전지 어레이에 포함되는 제1 태양 전지(11), 제2 태양 전지(12)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제1 유리 기판(21)과 제3 유리 기판(23) 사이에 있어서, 제1 태양 전지(11)와, 제2 태양 전지(12) 사이에 밀봉재(61)를 개재시킴으로써, 제1 태양 전지(11), 제2 태양 전지(12)의 위치를 고정하고 있다. 밀봉재(61)는, 예를 들어 EVA(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이고, 복수의 태양 전지(13)를 보호함과 함께, 유리 건재(100)에 있어서의 복수의 태양 전지(13)의 위치를 고정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사막(31)에 있어서의 제1 태양 전지(11)와의 대향하지 않는 면측, 즉 반사막(31)보다도 실내측에, 제1 태양 전지(11)의 제2 주면(11B)에 대향하는 제1 반사판(51)과, 제2 태양 전지(12)의 제2 주면(12B)에 대향하는 제2 반사판(52)을 마련하고 있다.
이 제1 반사판(51), 제2 반사판(52)은, 예를 들어 금속판이나 백색 반사판이고, 실외로부터 입사한 근적외 성분(41)과 가시광 성분(42)을, 제1 태양 전지(11)의 제2 주면(11B) 및 제2 태양 전지(12)의 제2 주면(12B)에 수광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반사판(51), 제2 반사판(52)은, 제2 유리 기판(22)의 실내측에 첩부되어 있고, 제1 반사판(51), 제2 반사판(52)과, 반사막(31) 사이에, 제2 유리 기판(22)이 개재되도록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1 반사판(51), 제2 반사판(52)은, 제1 태양 전지(11), 제2 태양 전지(12)와 마찬가지로, 제1 방향으로 연신하는 형상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제1 태양 전지(11)와 제2 태양 전지(12) 사이에 입사해 온 태양광에 있어서의 가시광 성분(42)의 일부는, 이 제1 반사판(51)과 제2 반사판(52) 사이를 통과하여 상술한 반사막(31)에 입사한다. 따라서, 실내에 있는 사람이, 이 유리 건재(100)를 통해, 실외의 경치를 볼 수 있다.
또한, 제1 반사판(51)의 폭 W3을, 제1 태양 전지의 폭 W1보다도 큰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1 반사판(51)에 입사한 근적외 성분(41)과 가시광 성분(42)을, 더 효율적으로 제1 태양 전지(11)의 제2 주면(11B)에 수광시킬 수 있고, 또한 유리 건재(100)의 차광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태양 전지(11)의 제2 주면(11B)측을 제1 반사판(51)으로 가릴 수 있어, 실내측으로부터 본 디자인상의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반사판(51)의 폭 W3이란, 제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반사판(51)의 길이를 의미한다.
또한, 제1 반사판(51), 제2 반사판(52)을, 제2 유리 기판(22)에 있어서의 제1 태양 전지(11)와 대향하지 않는 면측, 즉 실내측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1 태양 전지(11), 제2 태양 전지(12)에 대한, 제1 반사판(51)과 제2 반사판(52)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고정밀도로 맞출 수 있다. 즉, 제1 유리 기판(21)과 제2 유리 기판(22)의 위치가, 밀봉재(61)에 의해 고정된 후에, 제1 태양 전지(11), 제2 태양 전지(12)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제1 반사판(51), 제2 반사판(52)을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밀도로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반사판(51)과 제2 유리 기판(22) 사이 및 제2 반사판(52)과 제2 유리 기판(22) 사이에 개재하는 제4 유리 기판(24)을, 더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층(71)과, 반사막(31) 사이에 개재하는, 제5 유리 기판(25)을 더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5 유리 기판(25)의 막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제2 간격 d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5 유리 기판(25)과 반사막(31) 사이에, 제6 유리 기판(26)을 더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5 유리 기판(25) 및 제6 유리 기판(26)의 막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제2 간격 d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 도 7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반사막(31)에 있어서의 제1 태양 전지(11)와 대향하지 않는 면측, 즉 실내측에, 제2 유리 기판(22) 및 제1 반사판(51), 제2 반사판(52)을 마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도 2, 5, 6을 사용하여 상술한 구성과 마찬가지로, 반사막(31)의 실내측에 제2 유리 기판(22) 및 제1 반사판(51), 제2 반사판(52)을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반사막(31)의 예로서 Low-E막을 들었지만, 가시광 영역의 투과율이 반사율보다도 높고, 근적외 영역의 반사율이 투과율보다도 높은 막이라면 다른 막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반사막(31)은, 산화주석 성분의 조정으로 근적외역의 반사율을 높이는 고안이 실시된 투명 도전막 TCO여도 된다. 또한 반사막(31)을 파장별로 반사 피크가 다른 복수의 반사막에 의해 구성해도 상관없다.

Claims (16)

  1. 제1 방향으로 연신하는 형상을 갖는 양면 수광형의 제1 태양 전지와,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태양 전지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신하는 형상을 갖는 양면 수광형의 제2 태양 전지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어레이와,
    상기 태양 전지 어레이의 제1 주면측을 덮는 제1 유리 기판과,
    상기 태양 전지 어레이의 제2 주면측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 투과율이 반사율보다도 높고, 근적외 영역에 있어서 반사율이 투과율보다도 높은 반사막과,
    상기 태양 전지 어레이와, 상기 반사막 사이에 개재하는 공기층을 포함하는,
    유리 건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막과 상기 제1 태양 전지의 거리가,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태양 전지의 길이의 0.5배 이상인, 유리 건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태양 전지의 상기 제2 주면에 대향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신하는 형상을 갖는 제1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유리 건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반사판의 길이는,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태양 전지의 길이 이상인, 유리 건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판은, 상기 반사막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태양 전지와 대향하지 않는 면측에 배치된, 유리 건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판과 상기 반사막 사이에 배치된 제2 유리 기판을 더 포함하는, 유리 건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판과 상기 제2 유리 기판 사이에 배치된 제4 유리 기판을 더 포함하는, 유리 건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층과 상기 반사막 사이에 배치된 제5 유리 기판을 더 포함하는, 유리 건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유리 기판과 상기 반사막 사이에 배치된 제6 유리 기판을 더 포함하는, 유리 건재.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 전지 어레이와 상기 공기층 사이에 개재하는 제3 유리 기판을 더 포함하는, 유리 건재.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태양 전지와 상기 제2 태양 전지 사이에 개재하는 밀봉재를 더 포함하는, 유리 건재.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태양 전지는, 적어도 300㎚ 내지 1200㎚의 파장 범위에 분광 감도를 갖는, 유리 건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태양 전지는, 헤테로 접합형 태양 전지인, 유리 건재.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막은, 상기 제1 태양 전지의 상기 제1 주면측으로부터 입사하는 태양광에 있어서의 적어도 근적외광을 반사하여, 상기 제1 태양 전지의 상기 제2 주면에 입사시키는, 유리 건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막이, 그의 표면에 요철을 갖고, 상기 근적외광을 난반사시켜 상기 제1 태양 전지의 상기 제2 주면에 입사시키는, 유리 건재.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판은, 상기 제1 태양 전지의 상기 제1 주면측으로부터 입사하는 태양광에 있어서의 적어도 근적외 성분과 가시광 성분을 반사하여, 상기 제1 태양 전지의 상기 제2 주면에 입사시키는, 유리 건재.
KR1020207029571A 2018-03-20 2019-03-13 유리 건재 KR1024738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52362 2018-03-20
JP2018052362A JP2019165568A (ja) 2018-03-20 2018-03-20 ガラス建材
PCT/JP2019/010288 WO2019181688A1 (ja) 2018-03-20 2019-03-13 ガラス建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944A KR20200132944A (ko) 2020-11-25
KR102473890B1 true KR102473890B1 (ko) 2022-12-06

Family

ID=67986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9571A KR102473890B1 (ko) 2018-03-20 2019-03-13 유리 건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771091A4 (ko)
JP (2) JP2019165568A (ko)
KR (1) KR102473890B1 (ko)
WO (1) WO20191816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39747B (zh) * 2022-05-18 2022-10-14 西安中易建科技集团有限公司 建筑光伏模块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8368A (ja) * 2000-11-21 2002-05-31 Sanyo Electric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0062569A (ja) 2008-09-05 2010-03-18 Young Chin-Huai 光電モジュール
JP2013229609A (ja) * 2012-04-26 2013-11-07 Changzhou Almaden Co Ltd 太陽光発電発熱システム
WO2017200487A1 (en) 2016-05-20 2017-11-23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Photovoltaic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9952A (ja) * 2004-03-11 2005-09-22 Sharp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7093054A (ja) * 2015-11-04 2017-05-25 株式会社カネカ 太陽光発電装置
WO2018056286A1 (ja) * 2016-09-20 2018-03-29 株式会社カネカ ガラス建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8368A (ja) * 2000-11-21 2002-05-31 Sanyo Electric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0062569A (ja) 2008-09-05 2010-03-18 Young Chin-Huai 光電モジュール
JP2013229609A (ja) * 2012-04-26 2013-11-07 Changzhou Almaden Co Ltd 太陽光発電発熱システム
WO2017200487A1 (en) 2016-05-20 2017-11-23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Photovoltaic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71091A1 (en) 2021-01-27
JP2023107850A (ja) 2023-08-03
WO2019181688A1 (ja) 2019-09-26
KR20200132944A (ko) 2020-11-25
EP3771091A4 (en) 2021-12-01
JP2019165568A (ja) 2019-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1587B1 (ko) 유리 건축재
JP2566129B2 (ja) プリズムを用いたパネル
NL2013168B1 (en) Solar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solar panel.
EP1928028A1 (en) Photovoltaic roof tile system based on a fluorescent concentrator
US20120234371A1 (en) Incident angle dependent smart solar concentrator
CN114765969B (zh) 具有复合窗格结构的彩色外墙元件
KR101762795B1 (ko) 양면태양전지셀을 이용한 양면유리 태양전지 모듈과 입체형 반사체를 접목한 고효율 태양전지 시스템
JP5981325B2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US20080257403A1 (en) Photovoltaic window panel with high viewing transparency
WO2014020708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23107850A (ja) ガラス建材
CN206293452U (zh) 一种光伏组件及光伏幕墙
CN208028848U (zh) 一种基于分光谱的光伏组件及光伏电池板
JP2017010965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5928951B2 (ja) 採光装置
JP2012002892A (ja) 窓用透明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7390167B2 (ja) 窓パネル
KR102519710B1 (ko) 음영을 개선한 태양광 모듈
US20240162850A1 (en) Device for generating electricity
KR20220013414A (ko) 단열 투명 탠덤 유기 태양 전지
JP2005209957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5101855A (ja) 光制御部材および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