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3638B1 -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638B1
KR102473638B1 KR1020200185706A KR20200185706A KR102473638B1 KR 102473638 B1 KR102473638 B1 KR 102473638B1 KR 1020200185706 A KR1020200185706 A KR 1020200185706A KR 20200185706 A KR20200185706 A KR 20200185706A KR 102473638 B1 KR102473638 B1 KR 102473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nozzle opening
inkjet
imag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5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4471A (ko
Inventor
지준배
Original Assignee
(주)에스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티아이 filed Critical (주)에스티아이
Priority to KR1020200185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638B1/ko
Publication of KR20220094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4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21Ink jet for multi-colour printing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은, 잉크를 토출 가능한 복수의 노즐이 제1 방향을 따라 임의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잉크젯 헤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인쇄 매체를 지지 가능한 척;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인쇄 매체의 위치 좌표 별 상기 노즐의 개폐 여부를 조작 가능한 잉크 토출 제어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INKJET PRINT SYSTEM}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 매체의 각 영역별 원하는 해상도로 구현 가능한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잉크젯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종이에 활자 등을 출력하는 경우는 물론, 잉크 등의 액적을 토출하여 박막 형성이나 패터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잉크젯 기술을 응용한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에서는, 잉크젯 헤드에서 토출된 잉크가 인쇄 매체 상의 원하는 위치에 액적(droplet)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종래 방식의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에서는 어느 하나의 인쇄 매체에 서로 다른 해상도를 구현하기 위해 단일 비트맵 멀티 스캔(single bitmap multi-scan) 방식과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 방식을 사용하였다.
종래의 단일 비트맵 멀티 스캔 방식은, 서로 다른 해상도에 해당하는 이미지로 독립적으로 반복 스캔하며 프린팅하여야 한다. 즉 1비트(bite)로 이루어진 비트맵 이미지가 특정 해상도로 일 방향을 따라 스캔하며 이뤄지는 프린팅을 각각의 해상도별 반복적으로 진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단일 비트맵 멀티 스캔 방식은, 프린팅을 하는 스캔 횟수가 무한정 늘어나고, 프린팅 도중 처리해야할 이미지 데이터가 과도하게 많아 상당한 시간 소요를 필요로 하고 이는 생상선 저하를 불러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그레이 스케일 방식은, 4비트 이상의 비트수를 갖는 이미지인 그레이 스케일을 사용해 서로 다른 해상도를 한번에 인쇄하는 방식이다. 다만 그레이 스케일 방식은, 인쇄 이미지가 복잡한 경우 각 영역 별 다른 해상도를 설정하기 어렵고, 오랜 소요 시간을 요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 인쇄 이미지 데이터에 맞는 파형(waveform) 설정을 필요로 하며 이를 위해 테스트 단계에서 적합한 파형을 찾아야 하는 수고로움을 필요로 하였다.
한국공개공보 제10-2019-0132204호(공개일자: 2019.11.2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서로 다른 해상도의 설계 패턴을 인쇄 매체 상에 손쉽게 인쇄 가능한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은, 잉크를 토출 가능한 복수의 노즐이 제1 방향을 따라 임의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잉크젯 헤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인쇄 매체를 지지 가능한 척;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인쇄 매체의 위치 좌표 별 상기 노즐의 개폐 여부를 조작 가능한 잉크 토출 제어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잉크 토출 제어 프로세스는, 설계 패턴을 그룹 단위의 이미지로 변환 가능한 이미지 변환부; 상기 이미지를 토대로 노즐 개폐 정보를 생성 가능한 노즐 개폐 정보 생성부; 및 상기 노즐 개폐 정보에 따라 상기 노즐의 개폐 구동을 조작 가능한 노즐 개폐 구동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설계 패턴은 각 위치 좌표 별 패턴 형성 두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변환부의 이미지는 바이너리 이미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이너리 이미지는 서로 다른 패턴 형성 두께 별로 상기 패턴 형성 두께에 상응하도록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변환부에서는, 서로 다른 해상도들 간의 설계 해상도를 산출 가능한 설계 해상도 산출 모듈; 및 상기 설계 해상도에 따라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기준 피치를 획득 가능한 기준 피치 획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설계 해상도는 상기 위치 좌표 별 해상도들 간의 최소공배수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즐 개폐 정보 생성부는, 상기 기준 피치를 토대로 상기 위치 좌표 별 0과 1로 이루어진 상기 노즐 개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잉크 토출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잉크젯 헤드에 형성된 서로 다른 노즐마다 서로 독립적으로 개폐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잉크젯 토출 제어 프로세서에 의해 각 위치 좌표 별 노즐 개폐 조건을 자동 획득함으로써, 인쇄 매체 상에 서로 다른 해상도의 복잡한 설계 패턴이라도 손쉽게 인쇄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잉크젯 토출 제어 프로세서가 각 위치 좌표 별 노즐 별 개폐 여부를 자동으로 설정해, 인쇄 매체 상에 형성되는 박막 또는 패터닝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잉크젯 토출 제어 프로세서를 구비함으로써, 제1 방향의 임의 영역에서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한번의 스캔만으로도 원하는 설계 패턴을 구현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에 의해 잉크 토출 조건을 자동 획득함으로써, 잉크와 인쇄 매체마다 최적 조건을 단시간에 획득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에 의해 잉크 토출 조건을 자동 획득함으로써, 제품 수율을 높이고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잉크젯 헤드 구동 프로세서와 토출 조건 판독 프로세서, 액적 마진 정보 산출 프로세서를 구비함으로써, 잉크 재료 별 관리 항목을 체계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잉크젯 헤드 구동 프로세서와 토출 조건 판독 프로세서, 액적 마진 정보 산출 프로세서를 구비함으로써, 하드웨어를 추가로 증설할 필요없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에 의해 잉크 토출 조건을 획득한 경우 별도 잉크 마진 항목을 추가 획득함으로써,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의 컨디션 관리 포인트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토출 제어 프로세서의 각 구성과 각 결과값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노즐을 나타내고 도 4(b)는 노즐에 따라 형성 가능한 잉크 액적의 기준 위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이미지의 획득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d는 도 5c에 따른 인쇄 매체 상에 착탄된 박막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는 도 5c의 바이너리 이미지에 대응되는 노즐 개폐 정보이고, 도 6(b)는 인쇄 매체 상에 착탄된 잉크 액적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이미지의 획득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e는 도 7d에 따른 인쇄 매체 상에 착탄된 박막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는 도 7d의 바이너리 이미지에 대응되는 노즐 개폐 정보이고, 도 8(b)는 인쇄 매체 상에 착탄된 잉크 액적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형상 및 크기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방향은 직교 좌표계의 X축을 지칭하고, 제2 방향은 Y축을 지칭한다. 이때 제1 방향은 제2 방향과 직교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10)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10)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10)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토출 제어 프로세서(300)의 각 구성과 각 결과값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노즐(110)을 나타내고 도 4(b)는 노즐(110)에 따라 형성 가능한 잉크 액적(D)의 기준 위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모식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이미지의 획득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d는 도 5c에 따른 인쇄 매체(M) 상에 착탄된 박막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a)는 도 5c의 바이너리 이미지(B)에 대응되는 노즐 개폐 정보이고, 도 6(b)는 인쇄 매체(M) 상에 착탄된 잉크 액적(D)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이미지(B)의 획득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e는 도 7d에 따른 인쇄 매체(M) 상에 착탄된 박막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a)는 도 7d의 바이너리 이미지(B)에 대응되는 노즐 개폐 정보이고, 도 8(b)는 인쇄 매체(M) 상에 착탄된 잉크 액적(D)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10)은, 각 위치 좌표별 선택적으로 노즐(110)의 개폐 여부를 조작해 인쇄 매체(M) 상에 서로 다른 두께의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10)은, 잉크젯 헤드(100)와 척(200), 잉크젯 토출 제어 프로세서(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과 도2, 도 4를 참조하면 잉크젯 헤드(100)에는, 복수개의 노즐(110)이 형성될 수 있다. 잉크젯 헤드(100)는, 노즐(110)과 잉크 토출 경로상 잉크 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110)은, 잉크를 토출할 수 있다. 노즐(110)은, 미세 크기의 잉크를 액적 형태로 토출할 수 있다. 수백 내지 수천여 개의 노즐(110)이 잉크젯 헤드(100)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노즐(110)은, 제1 방향을 따라 임의 간격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노즐(110) 간 피치는 고정적이므로, 잉크젯 헤드(100)가 제1 방향의 특정 위치에 위치해 있을 경우, 제1 방향으로 인쇄 매체(M) 상에 형성되는 액적 간 피치는 노즐(110) 간 피치에 상응할 수 있다.
잉크젯 헤드(100)는, 갠트리(400) 상에서 헤드 구동부(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인쇄 매체(M) 상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임의 위치 좌표 상에 위치 이동할 수 있다.
잉크 공급부(미도시)는, 갠트리(400) 상에 설치되거나 잉크젯 헤드(10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도1과 도 2를 참조하면 척(200)은, 제2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척 척(200)은, 위치 이동하며 제2 방향으로 잉크젯 헤드 척(100)와의 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척(200)은, 인쇄 매체(M)를 지지할 수 있다. 척(200)은, 정전기력에 의해 인쇄 매체를 지지하는 정전 척이거나 진공 감압에 의해 인쇄 매체를 지지하는 진공 척일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잉크 토출 제어 프로세서(300)는, 개별 노즐(110)마다 개폐 여부를 조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토출 제어 프로세서(300)는, 잉크젯 헤드(100) 상에 형성된 복수개 노즐(110)에서 개별 노즐(110)마다 특정 위치 좌표에서의 서로 독립적으로 노즐 개폐 여부를 조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토출 제어 프로세서(300)는, 제2 방향으로 인쇄 매체(M)의 위치 좌표 별 노즐(110)의 개폐 여부를 조작할 수 있다.
잉크 토출 제어 프로세서(300)는, 이미지 변환부(310)와 노즐 개폐 정보 생성부(320), 노즐 개폐 구동 조작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이미지 변환부(310)는, 설계 패턴을 그룹 단위의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
설계 패턴은, 각 위치 좌표 별 패턴 형성 두께를 의미한다.
그룹 단위는, 설계 패턴 상에 동일한 패턴 형성 두께를 가지는 영역에 따라 결정지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인쇄 매체 상에 4㎛와 12㎛의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영역이 있는 경우 2개 그룹 단위(G1, G2)로 이뤄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인쇄 매체 상에 4㎛와 8㎛, 12㎛의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영역이 있는 경우 3개 그룹 단위(G1, G2, G3)로 이뤄질 수 있다.
각각의 그룹 단위마다 설계 패턴을 이미지(B)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는, 0과 1로 이루어진 바이너리(binary) 이미지(B)일 수 있다. 0은 노즐의 비토출, 1은 노즐의 토출을 의미한다.
바이너리 이미지(B)는, 서로 다른 패턴 형성 두께 별로 패턴 형성 두께에 상응하도록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패턴 형성 두께에 따라 그룹 단위가 정해지고, 각 그룹 단위 별로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가지도록 구획될 수 있다.
이미지 변환부(310)는, 설계 해상도 산출 모듈(311)과 기준 피치 획득 모듈(31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설계 해상도 산출 모듈(311)은, 서로 다른 해상도들 간의 설계 해상도를 산출 할 수 있다. 각 그룹 단위마다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가지고. 각각의 해상도에 따라 인쇄 매체(M) 상 특정 영역에 착탄되는 잉크 액적(D)의 수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해상도에 따른 제2 방향으로의 노즐 토출 피치가 달라질 수 있어, 각각의 그룹 단위를 고려해 설계 해상도를 산출할 수 있다.
설계 해상도는, 위치 좌표 별 복수개의 해상도들 간의 최소공배수의 값일 수 있다.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1 그룹 단위(G1)는 360dpi이고, 2 그룹 단위(G2)는 1080dpi일 수 있다. 이때 360와 1080의 최소공배수는 1080이므로, 설계 해상도는 1080dpi가 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라 1 그룹 단위(G1)는 360dpi이고, 2 그룹 단위(G2)는 720dpi, 3 그룹 단위(G3)는 1080dpi일 수 있다. 이때 360와 720, 1080의 최소공배수는 2160으로, 설계 해상도는 2160dpi이 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기준 피치 획득 모듈(312)은, 설계 해상도에 따라 제2 방향으로의 기준 피치를 획득할 수 있다.
기준 피치(Py)는, 제2 방향으로의 토출 가능한 피치를 의미할 수 있다. 기준 피치(Py)는, 제2 방향의 이동량에 따른 노즐 위치 가능 피치이다. 노즐(110)이 0의 값을 가지는 경우에도, 기준 피치(Py) 상에 노즐(110)이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도 5c를 참조하면 설계 해상도 1080dpi를 기준으로 한 제2 방향으로의 기준 피치(Py)가 정해질 수 있다.
다시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노즐 개폐 정보 생성부(320)는, 이미지를 노즐 개폐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노즐 개폐 정보 생성부(320)는, 기준 피치(Py)를 토대로 위치 좌표 별 0과 1로 이루어진 노즐 개폐 정보(I)를 생성할 수 있다. 기준 피치(Py)를 기준으로 특정 위치에서 노즐 개폐 정보가 0인 경우 노즐(110)의 미토출, 특정 위치에서 노즐 개폐 정보(I)가 1인 경우 노즐(110)의 토출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노즐 개폐 구동 조작부(330)는, 노즐 개폐 정보(I)에 따라 노즐(110)의 개폐 구동을 조작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
100 : 잉크젯 헤드 110 : 노즐
200 : 척
300 : 잉크 토출 제어 프로세서 310 : 이미지 변환부
311 : 최소공배수 해상도 산출 모듈 312 : 기준 피치 산출 모듈
320 : 노즐 개폐 정보 셍성부 330 : 노즐 개폐 구동 조작부
400 : 갠트리
M : 인쇄 매체 D : 잉크 액적
B : 바이너리 이미지 I : 노즐 개폐 정보
Py : 기준 피치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잉크를 토출 가능한 복수의 노즐이 제1 방향을 따라 임의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잉크젯 헤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인쇄 매체를 지지 가능한 척;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인쇄 매체의 위치 좌표 별 상기 노즐의 개폐 여부를 조작 가능한 잉크 토출 제어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 토출 제어 프로세스는,
    설계 패턴을 그룹 단위의 이미지로 변환 가능한 이미지 변환부;
    상기 이미지를 토대로 노즐 개폐 정보를 생성 가능한 노즐 개폐 정보 생성부; 및
    상기 노즐 개폐 정보에 따라 상기 노즐의 개폐 구동을 조작 가능한 노즐 개폐 구동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변환부에서는,
    서로 다른 해상도들 간의 설계 해상도를 산출 가능한 설계 해상도 산출 모듈; 및
    상기 설계 해상도에 따라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기준 피치를 획득 가능한 기준 피치 획득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설계 패턴은 상기 위치 좌표 별 패턴 형성 두께이고,
    상기 이미지 변환부의 이미지는 서로 다른 패턴 형성 두께 별로 상기 패턴 형성 두께에 상응하도록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갖도록 형성된 바이너리 이미지인,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 해상도는 상기 위치 좌표 별 해상도들 간의 최소공배수에 의해 산출 가능한,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개폐 정보 생성부는,
    상기 기준 피치를 토대로 상기 위치 좌표 별 0과 1로 이루어진 상기 노즐 개폐 정보를 생성 가능한,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토출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잉크젯 헤드에 형성된 서로 다른 노즐마다 서로 독립적으로 개폐 조작 가능한,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
KR1020200185706A 2020-12-29 2020-12-29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 KR102473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706A KR102473638B1 (ko) 2020-12-29 2020-12-29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706A KR102473638B1 (ko) 2020-12-29 2020-12-29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4471A KR20220094471A (ko) 2022-07-06
KR102473638B1 true KR102473638B1 (ko) 2022-12-02

Family

ID=82399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706A KR102473638B1 (ko) 2020-12-29 2020-12-29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63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4887A (ja) * 2005-11-09 2007-05-31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6152A (ko) * 2004-08-17 200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타입별로 해상도 지정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지정방법
KR101160169B1 (ko) * 2009-07-31 2012-06-28 세메스 주식회사 프린팅 방법
KR101133020B1 (ko) * 2010-05-04 2012-04-09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잉크 방울 토출 시스템의 벡터 프린팅 방법
JP6968505B2 (ja) 2018-05-17 2021-11-17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インク塗布装置及びインク塗布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4887A (ja) * 2005-11-09 2007-05-31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4471A (ko) 202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0582B2 (en) Method for operating inkjet printer to compensate for printhead damage
US20060092221A1 (en) 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k-jet printer having a wide printhead
EP1303410A1 (en) Ink jet fault tolerance using adjacent nozzles
JP2008155377A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
AU2000253742A1 (en) Ink jet fault tolerance using adjacent nozzles
CA2370674A1 (en) Ink jet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with suppressed bleeding of inks
KR102473638B1 (ko)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
US6428139B1 (en) Ink jet fault tolerance using extra ink dots
EP1260374B1 (en) Printing by switching sub-scanning feed between monochromatic areas and color areas
JP4345046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及び画像記録方法
JP2000025207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AU2000253741B2 (en) Ink jet fault tolerance using extra ink dots
JP4604343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6464335B2 (en) Ink jet printer for reducing dot shift
US11548281B2 (en) Printing method and printing apparatus
AU2004233532B2 (en) A printing method including compensation for faulty printing devices
JPS592855A (ja) インクジエツトプリンタ
JP2006035492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20130076815A1 (en) Inkjet printer and printing method
AU2004203506B2 (en) Method for ink jet fault compensation using extra ink dots
AU2005202029B2 (en) A printing method with nozzle-fault compensation
DE102021115324A1 (d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Tintenstrahldruckmaschine unter Berücksichtigung einer Substratgeometrie und eine Tintenstrahldruckmaschine mit Geometriesensoreinrichtung
AU2004203508B2 (en) Ink jet fault tolerance method
KR20030024702A (ko) 인접 노즐을 사용하는 잉크젯의 오류 허용
AU2005202028A1 (en) Method for fault tolerance prin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