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3597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597B1
KR102473597B1 KR1020150187861A KR20150187861A KR102473597B1 KR 102473597 B1 KR102473597 B1 KR 102473597B1 KR 1020150187861 A KR1020150187861 A KR 1020150187861A KR 20150187861 A KR20150187861 A KR 20150187861A KR 102473597 B1 KR102473597 B1 KR 102473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ing unit
light emitting
storage compartment
light e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9726A (ko
Inventor
츠요시 아다치
다이스케 우치다
쥰지 요시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23760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7106637A/ja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5/01436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105177A2/ko
Priority to US15/539,904 priority patent/US10203153B2/en
Publication of KR20160079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9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4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wavelength conversion means distinct or spaced from the light-generating element, e.g. a remote phosphor lay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5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specially adapted for changing the characteristics or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g. by adjustment of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7Array of lenses or refractors for a cluster of light sources, e.g. for arrangement of multiple light sources in one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Lens or lenticular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1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사용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고, 저장실 내부에 충분한 빛을 제공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저장실 및 상기 저장실 내에 장착되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재 및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기설정된 각도의 범위 이내에서 진행하도록 제어하는 광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발광된 빛은 상기 반사부재에 의해 전방으로 진행하는 것이 방해되고 상기 저장실의 후방으로 진행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조명부의 구조가 개선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공개 2012-26678호에는 저장물을 탑재하는 적재 선반이 설치되어 있는 냉장실과, 냉장실 내의 천정측에 설치되고 빛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냉장고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는 그 광축이 냉장실의 전면측을 향해 있음과 아울러, 최상단의 적재 선반과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냉장고에는 저장실 내부를 밝히는 조명 장치가 구비된다. 종래에는, 냉장고 내부에 조명 장치가 구비되더라도 저장실 내부가 어둡게 느껴지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저장실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의 휘도를 크게 하더라도, 사용자가 눈부심을 느낄 가능성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저장실 내부의 음식물 등을 보기 힘들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 내의 밝기감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저장실 내의 물품을 보기 쉽게 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저장실 및 상기 저장실 내에 장착되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재; 및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기설정된 각도의 범위 이내에서 진행하도록 제어하는 광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발광된 빛은 상기 반사부재에 의해 전방으로 진행하는 것이 방해되고 상기 저장실의 후방으로 진행한다.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발광된 빛은 상기 광학부재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저장실의 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축과 이루는 각도가 20˚ 이상 60˚이하의 범위에 있다.
상기 광학부재는, 상기 발광부재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발광된 빛을 굴절시키는 렌즈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조명부는,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발광된 빛이 통과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재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커버부 및 상기 제1커버부보다 빛의 확산도가 높게 구비되고 상기 제1커버부와 평행하게 구비되는 제2커버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커버부와 상기 제2커버부는 일체로 마련된다.
상기 제1커버부 및 상기 제2커버부는 상기 저장실의 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축과 20˚이상 60˚이하의 범위 내에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발광된 빛을 상기 저장실 안쪽으로 안내한다.
상기 광학부재는 반사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발광되는 빛은 상기 반사부재에서 반사되어 상기 커버부재로 입사된다.
상기 광학부재는, 상기 발광부재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저장실의 내측으로 진행하려는 빛을 반사시키는 제1반사부재 및 상기 제1반사부재로부터 반사된 빛을 상기 저장실 내측 후방으로 반사시키는 제2반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조명부는 복수의 발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재는 단일하게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발광부재의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렌즈부재는, 상기 복수의 발광부재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된다.
상기 광학부재는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발광된 빛의 파장을 변환시키는 파장변환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파장변환부재는,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발광된 빛을 흡수하여 장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형광체를 포함한다.
상기 파장변환부재는, 청색광을 흡수하여 녹색광을 발산하는 녹색 형광부 및 청색광을 흡수하여 적색광을 발산하는 적색 형광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명부는,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발광된 빛이 통과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파장변환부재에 의해 파장이 변환된 빛이 상기 커버부재로 입사되도록 반사시키는 반사부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물품이 수용되는 저장실 및 상기 저장실 내에 장착되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재; 및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발광된 빛이 상기 저장실의 안쪽으로 진행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발광부재의 빛을 확산시키는 제1확산부 및 상기 제1확산부보다 큰 확산도를 갖는 제2확산부를 포함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확산부는, 상기 조명부가 설치되는 상기 저장실의 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축으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제2확산부는 상기 제1확산부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제1확산부와 상기 제2확산부는 각각 복수 개가 구비되어 서로 교번하여 위치된다.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발광된 빛이 상기 커버부재로 입사되도록 반사시키는 반사부재 및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발광된 빛이 상기 반사부재로 입사되도록 제어하는 광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반사부재의 일면은,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먼 반사면의 광축이 상기 조명부가 구비되는 저장실의 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축과 이루는 각도보다 상기 발광부재에 인접한 반사면의 광축이 수직축과 이루는 각도가 작게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물품이 수용되는 저장실 및 상기 저장실 내에 장착되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 및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이 상기 저장실 안쪽으로 진행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저장실의 전방으로 진행하는 것을 방해하는 광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의 최대 휘도가 상기 저장실의 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축과 이루는 각도가 20° 이상 60° 이하의 범위에 있도록 배광(配光)을 제어한다.
상기 광학 부재는, 최대 휘도를 가진 광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의 배광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광학 부재는 배광각이 협각이 되도록 배광을 제어한다.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저장실의 배면부의 좌우 방향의 조도가 균일하게 되도록 배광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저장실; 및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이 상기 저장실의 안쪽으로 진행하게 하고 상기 개구부 측을 향해 진행하는 것을 방해하는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조명부; 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저장실의 측면부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한다.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의 최대 휘도가 상기 저장실의 측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축과 이루는 각도가 30° 이상 60° 이하의 범위 내에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 발광 소자의 기판은 상기 저장실의 상기 측면에 장착된다.
상기 광학 부재는 대향되는 양쪽 측면 사이의 조도가 균일하게 되도록 배광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일방향으로부터 타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 및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이 일방향으로 진행하도록 안내하고 타방향의 진행을 방해하도록 구비되는 광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부재는, 상기 발광소자의 빛을 확산시키는 제1확산부 및 상기 제1확산부보다 큰 확산도를 갖는 제2확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확산부는 제2확산부를 통과하는 빛이 일방향으로 진행하도록 상기 광학부재와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축과 기설정된 각도를 갖도록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제1확산부와 나란히 한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을 일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재; 및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되어 타방향을 향해 진행하는 빛이 상기 반사부재에 입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발광소자에 인접한 반사면의 광축이 상기 수직축과 이루는 각도가 이보다 먼 반사면의 광축이 상기 수직축과 이루는 각도보다 작다.
상기 제1 확산부는, 상기 발광 소자와 대향되는 방향에 상기 기설정된 각도와 직교하는 면을 구비한다.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을 일방향을 향해 반사시키는 제1반사 부재; 및 상기 발광 소자가 발광한 빛 중에서 타방향을 향해 진행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재를 상기 제1반사부재를 향해 진행하도록 반사시키는 제2반사부재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냉장고의 저장실에 설치되는 조명장치로서, 상기 조명장치는,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이 상기 저장실의 안쪽을 향해 진행하도록 하고, 전방을 향해 진행되는 것을 방해하는 광학부; 상기 발광 소자에 대향되어 구비되고 상기 발광 소자가 발광하는 빛의 파장을 변환시키는 파장 변환부; 및 상기 파장 변환부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발광 소자가 발광하는 빛이 상기 파장 변환부를 통과하지 않도록 진행시키는 비통과부;를 구비한다.
상기 파장 변환부와 상기 발광 소자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공간부; 및 상기 파장 변환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 공간부와 대향되는 방향에 제2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부의 단면적은 상기 제2 공간부의 단면적과 비교하여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1공간부 및 상기 제2공간부는 상기 광학부와 상기 파장 변환부 사이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의 빛이 일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하고, 타방향으로의 진행을 방해하는 광학부; 상기 발광 소자에 대향되어 구비되고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입사된 빛을 투과시키는 투과부; 상기 투과부를 중심으로 상기 발광 소자와 대향되는 방향에 구비되어 상기 투과부에 입사된 빛의 파장을 변환시키는 파장 변환부; 및 상기 투과부에 형성되고, 상기 투과부에 입사한 빛을, 상기 파장 변환부를 통과시키지 않고 상기 투과부로부터 출력시키는 출력부;를 구비한다.
상기 투과부는 상기 발광 소자의 광축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출력부는 빛의 확산도가 상기 경사부에서의 빛의 확산도보다 크게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저장실 내부가 충분한 양의 빛에 의해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조명부는 저장실 내부를 밝게 비추어 저장실내에 위치되는 물품 등에 대한 가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렌즈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변형예 1 및 변형예 2에 따른 조명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변형예 3 및 변형예 4에 따른 조명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제6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제6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제7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제7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제8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제8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변형예 5에 따른 발광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냉장고(1)는, 물품(100)을 수용하는 저장실(2) 및 저장실(2)을 개폐하는 문(3)을 구비한다. 냉장고(1)에는, 물품(100)이 탑재되는 선반(4)과 저장실(2) 내부를 비추는 조명(6)을 구비될 수 있다. 또, 냉장고(1)는 저장실(2) 내부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도시하지 않음)와 저장실(2) 내의 냉기를 순환시키는 팬(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1)의 전후 방향을 정면으로 바라볼 때 지면 전방 측을 간단히 “전방측(F)”, 지면 안쪽을 “안쪽(B)”라고 칭한다. 또, 도 1에 도시된 냉장고(1)의 좌우 방향의 지면 좌측을 간단히 “좌측(L)”라 하고, 지면 우측을 간단히 “우측(R)”이라고 칭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냉장고(1)의 상하 방향의 지면 상측을 간단히 “상측(U)”이라고 칭하고, 지면 하측을 간단히 “하측(D)”이라고 칭할 수 있다.
저장실(2)은 좌측(L)에 구비되는 좌측면부(2L)와, 우측(R)에 구비되는 우측면부(2R)를 갖는다. 저장실(2)은 상측(U)에 형성되는 상면부(2U)와, 하측(D)에 형성되는 하면부(도시하지 않음)와, 안쪽(B)에 형성되는 배면부(2B)를 갖는다. 또, 저장실(2)은 전방측(F)에는 개구부(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저장실(2)은, 좌측면부(2L), 우측면부(2R), 상면부(2U), 하면부(도시하지 않음) 및 배면부(2B)에 의해 물품(100)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구비된다.
저장실(2)에는, 선반(4)을 지지하는 돌기부(22)가 구비될 수 있다. 돌기부(22)는 저장실(2)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고, 전방측(F)으로부터 안쪽(B)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돌기부(22)가 좌측면부(2L)와 우측면부(2R)에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1)에서, 문(3)은, 좌측(L)에 설치되는 좌측문(3L)과, 우측(R)에 설치되는 우측문(3R)을 가지고 있다. 우측문(3R) 및 좌측문(3L)은 각각 저장실(2)의 전방측(F)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문(3)은 개구부(21)를 개폐한다.
선반(4)은 판 형상의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반(4)이 복수개 구비된다. 선반(4)은 돌기부(22)에 의해 지지된다. 선반(4)은 물품(100)을 탑재하기 위한 면을 저장실(2) 내에 형성한다.
조명(6)은, 좌측면부(2L)의 하측(D)에 설치되는 좌측 제1 조명부(60L1)와, 좌측면부(2L)의 상측(U)에 설치되는 좌측 제2 조명부(60L2)를 포함한다. 또, 조명(6)은 우측면부(2R)의 하측(D)에 설치되는 우측 제1 조명부(60R1)와, 우측면부(2R)의 상측(U)에 설치되는 우측 제2 조명부(60R2)를 갖는다. 또, 조명(6)은 상면부(2U)에서 좌측(L)에 설치되는 좌측 제3 조명부(60L3)와, 상면부(2U)에서 우측(R)에 설치되는 우측 제3 조명부(60R3)를 갖는다.
한편, 좌측 제1 조명부(60L1), 좌측 제2 조명부(60L2), 좌측 제3 조명부(60L3), 우측 제1 조명부(60R1), 우측 제2 조명부(60R2) 및 우측 제3 조명부(60R3)는 각각 기본 구조가 동일하다. 이하에서, 이들을 특별히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간단히 “조명부(60)”라고 총칭한다.
도 2a 및 도 2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에는 조명부(60)의 일례로서 우측 제1 조명부(60R1)가 도시되고, 도 2b에는 도 2a에 도시된 조명부(60)의 IIb-IIb 단면이 도시되었다.
도 3a 및 도 3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조명부(60)를 전후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60)는, 케이스(51)와, 케이스(51)를 덮는 커버 부재(52)를 포함한다. 조명부(60)는, 빛을 발하는 복수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53)와, LED(53)가 실장되는 기판(54)과, LED(53)가 발하는 빛을 제어하는 렌즈 부재(65)를 포함한다.
케이스(51)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를 갖는 상자 형상의 부재이다. 케이스(51)는 내측에 복수개의 LED(53) 및 기판(54)을 수납할 수 있다. 일례로 케이스(51)는 저장실(2)의 우측면부(2R) 등에 매립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커버 부재(52)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51)의 개구를 커버한다. 커버 부재(52)는, LED(53), 기판(54) 및 렌즈 부재(65)를 케이스(51)의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커버부재(52)는, PC(폴리카보네이트), PMMA(폴리메타크릴산 메틸 수지) 등의 수지, 유리 등을 사용하여 재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커버 부재(52)는 LED(53)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구비될 수 있다.
커버 부재(52)는 확산 특성을 갖도록 백색으로 구비되거나, 내측부 또는 외측부에 렌즈 컷 가공이나 도장 가공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LED(53)는 저장실(2)에 수용되는 물품(100)을 비출 수 있으면 어떠한 종류의 LED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LED(53)에는 백색 발광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세히, 본 실시예의 LED(53)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와, 청색의 빛을 녹색으로 변환하는 형광재와, 청색의 빛을 적색으로 변환하는 형광재에 의해 백색 발광을 실현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LED(53)는 그 주면(53S)이, 저장실(2)을 구성하는 각 면(예를 들면 좌측면부(2L)나 상면부(2U) 등)을 따라 배치되도록 부착된다.
LED(53)로부터 조사되는 주된 발광 방향은, 저장실(2)을 구성하는 각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이하, “수직축(S)”라고 칭한다)이 된다.
기판(54)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54)은 LED(53)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 기판(54)은 LED(53)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기판(54)은 그 주면(54S)이, 저장실(2)을 구성하는 각 면(예를 들면 좌측면부(2L)나 상면부(2U) 등)을 따라 배치되도록 부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LED(53)의 주면(53S)이나 기판(54)의 주면(54S)이, 저장실(2)을 구성하는 각 면(예를 들면 좌측면부(2L)나 상면부(2U) 등)을 따라 배치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조명부(60)가 저장실(2)의 중심 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량을 감소시켜, 조명부(60)를 콤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다.
렌즈 부재(65)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본 실시예에서는, 6개)의 LED(53)에 대해 각각 설치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단체(單體)의 렌즈 부재(65)에 의해, 단체(單體)의 LED(53)의 빛을 제어한다. 또, LED(53)로부터 발광된 빛이 저장실(2)의 안쪽(B)을 향하도록 하고, LED(53)로부터 발광된 빛이 전방측(F)을 향해 진행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배광(配光)이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렌즈 부재(65)는 PC(폴리카보네이트 수지), PMMA(폴리메타크릴산 메틸 수지) 등의 수지, 유리 등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방측(F)을 향한 빛의 진행을 방지한다는 것은 LED(53)를 통과하는 수직축(S)에 대해, LED(53)의 빛이 전방측(F)에 0°보다도 큰 각도를 이루어 진행하지 않도록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단일의 렌즈 부재(65)와 단체(單體)의 LED(53)에 의해 구성되는 단위를 “광원(600)”이라고 칭한다.
렌즈 부재(65)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에 중공부(65C)가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렌즈 부재(65)는 중공부(65C)의 내측에 LED(53)를 수용한다. 이하에서는, 중공부(65C) 측의 면을 렌즈 부재(65)의 “내면”, 외측의 면을 렌즈 부재(65)의 “외면”이라고 부른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부재(65)는 LED(53)로부터의 빛을 편광시켜 배광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례로 렌즈 부재(65)는 3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렌즈부재(65)에는, 안쪽(B)으로부터 전방측(F)을 향해, 제1 영역(651), 제2 영역(652) 및 제3 영역(653)이 차례로 위치될 수 있다.
제1 영역(651)은 LED(53)를 기준으로 안쪽(B)에 형성되는 영역이다. 제1 영역(651)은 단면의 개략적인 형태가, 내면 및 외면 양쪽 모두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LED(53)로부터 방사상으로 조사되는 빛 중에서, 제1 영역(651)으로 입사된 빛은 대체로 LED(53)로부터 방사되는 각도를 유지하고 안쪽(B)을 향해 진행한다.
제2 영역(652)은 LED(53)를 기준으로 전방측(F) 및 안쪽(B)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는 영역이다. 제2 영역(652)는 단면의 개략적인 형태가, 내면 및 외면 양쪽 모두, LED(53)의 주면(53S)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다. 제2 영역(652)의 외면은 안쪽(B)으로부터 전방측(F)에 걸쳐서 돌출 높이가 낮아지도록 완만하게 경사져 있다.
따라서, LED(53)로부터 방사상으로 조사되는 빛 중에서, 제2 영역(652)으로 입사된 빛은 소정의 각도로 굴절을 하여, 안쪽(B)을 향해 진행한다.
제3 영역(653)은 LED(53)를 기준으로 전방측(F)에 형성되는 영역이다. 이 제3 영역(653)의 내면은 단면이 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영역(653)의 내면은 기판(54)에 대해 이루는 각도가 예각이 되도록 구비된다. 제3 영역(653)의 외면은 원호 형상이며, 기판(54)에 대해 이루는 각도가 예각이 되는 형상을 하고 있다.
따라서, LED(53)로부터 방사상으로 조사되는 빛 중에서, 제3 영역(653)에 입사한 빛은 외면 측에서 전반사되어, 전방측(F)을 향해 빛이 진행하지 않는다.
렌즈 부재(65)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에서 기판(54)과 수직을 이루고 연장된 수직축(S)으로 보이는 가상의 면에서의 조도가 균일하게 한다. 특히, 렌즈 부재(65)는, 배면부(2B)의 좌우 방향의 조도가 균일하게 되도록 배광을 제어한다. 그리고, 저장실(2) 내의 전 영역에서, 조도가 균일하고 전체적으로 빛이 밝게 비추도록 한다.
렌즈 부재(65)는 LED(53)으로부터 발광된 광을 제어하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휘도를 가진 광선의 방향(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광축(Bm)”라고 칭한다.)이, 수직축(S)에 대해 20° 이상 60° 이하가 되게 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렌즈 부재(65)는 광축(Bm)을 중심으로 ±30°(협각)의 배광각을 형성한다. 또, 렌즈 부재(65)는 광축(Bm)을 회전 중심으로 한 대략 원추 형상의 배광 패턴을 형성한다. 즉, 렌즈 부재(65)는 각각 스포트 광을 조사할 수 있다.
한편, 렌즈 부재(65)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LED(53)의 전체 광도나, 냉장고의 크기 등에 따라 적절히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는 조명부(60)에 설치되는 각 광원(600)의 광도에 대한 개념도가 도시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조명부(60)에서, 복수의 광원(600)은, 전방측(F)으로부터 안쪽(B)으로 갈수록 광원(600)의 광도가 커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조명부(60)에서, 배면부(2B)가 되는 안쪽(B)에 위치하는 광원(600)의 광도는 전방측(F)에 위치하는 광원(600)의 광도보다 작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는, 전방측(F)에 위치하는 광원(600)의 광도를 크게 하고, 안쪽(B)에 위치하는 광원(600)의 광도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배면부(2B)의 조도는, 배면부(2B)의 전체 영역에서 균일하게 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조명부(60)는 전방측(F)으로부터 안쪽(B)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전방측(F)으로부터 안쪽(B)을 향해 연장되는 돌기부(22)(도 1 참조)에 조명부(60)를 매립시켜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돌기부(22)는, 선반(4)을 지지하는 기능과, 조명부(60)의 일부를 구성하는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저장실(2) 내에서의 물품(100)의 가시성, 저장실(2) 내의 밝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조명부(6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2)의 전방측(F)으로부터 안쪽(B)을 향해 복수의 광원(600)이 설치된다. 전방측(F)에 위치하는 광원(600)에 의해 전방측(F)으로부터 물품(100)이 비추어진다. 전방측(F)으로부터 비추어지는 빛에 의해 물품(100)이 용이하게 보일 수 있다. 다만, 물품(100)이 전방측(F)의 광원(600)에 의해 비추어짐으로써, 물품(100)의 안쪽(B)에 그림자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600)이 안쪽(B)에도 배치되어 있다. 안쪽(B)에 위치하는 광원(600)에 의해, 물품(100)의 안쪽(B)에 위치한 그림자에 빛이 비추어진다. 그 결과, 저장실(2) 전체적으로 밝게 느껴지게 된다. 특히, 배면부(2B)가 밝아지기 때문에, 배면부(2B)로부터 확산 반사된 빛에 의해, 사용자가 전체적으로 밝게 느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2)의 상면부(2U)에도, 전방측(F)으로부터 안쪽(B)을 향해 복수의 광원(600)이 나란히 설치되는 좌측 제3 조명부(60L3) 및 우측 제3 조명부(60R3)를 구비한다. 좌측 제3 조명부(60L3) 및 우측 제3 조명부(60R3)에 대해서도 조명부(60)의 구성 및 효과에 관한 내용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조명부(60)는 광축(Bm)의 각도가 수직축(S)에 대해 20° 이상 60°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고 있다. 조명부(60)로부터 발광된 빛은 주로, 저장실(2)를 형성하는 각 면(배면부(2B), 좌측면부(2L), 우측면부(2R))에서 복수회 반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에 파선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부(2B)에서 반사된 빛은 다시 우측면부(2R)를 비출 수 있다. 배면부(2B)나 우측면부(2R)에서는, 빛이 확산 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면이 보다 밝게 느껴진다. 한편, 각 면에서 확산 반사가 이루어지고, LED(53)로부터 직접 진행되는 빛이 아니기 때문에, 이들 빛에 의해 사용자가 눈부심을 느끼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1)는, 각 조명부(60)로부터 사용자가 위치하는 전방측(F)의 개구부(21)를 향해 LED(53)의 빛이 직접 진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서는, 사용자의 눈부심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어, 물품(100)의 가시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경우, 제1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100)을 수용하는 저장실(2)과, 저장실(2)을 개폐하는 문(3)과, 물품(100)이 탑재되는 선반(4)과, 저장실(2) 안을 비추는 조명(5)을 구비한다. 냉장고(1)는 저장실(2) 내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도시하지 않음)와, 냉기를 저장실(2)에 순환시키는 팬(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조명(5)의 구성이 제1 실시예의 조명(6)과는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5)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조명(5)은, 좌측면부(2L)의 전방측(F)에 설치되는 좌측 제1 조명부(50L1)와, 좌측면부(2L)의 안쪽(B)에 설치되는 좌측 제2 조명부(50L2)를 포함한다. 조명(5)은 우측면부(2R)의 전방측(F)에 설치되는 우측 제1 조명부(50R1)와, 우측면부(2R)의 안쪽(B)에 설치되는 우측 제2 조명부(50R2)를 포함한다. 또, 조명(5)은 상면부(2U)의 전방측(F)에 배치되는 상측 제1 조명부(50U1)와, 상면부(2U)의 안쪽(B)에 설치되는 상측 제2 조명부(50U2)를 포함한다.
좌측 제1 조명부(50L1), 좌측 제2 조명부(50L2), 우측 제1 조명부(50R1), 우측 제2 조명부(50R2), 상측 제1 조명부(50U1) 및 상측 제2 조명부(50U2)는 각각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이하에서, 이들을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간단히 “조명부(50)”라고 총칭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냉장고(1)의 좌측면부(2L), 우측면부(2R), 상면부(2U)에는, 전방측(F)(개구부(21) 근방) 및 안쪽(B)(배면부(2B) 근방)에 각각 조명부(50)가 배치된다.
도 7a 및 도 7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에는 조명부(50)의 일례로서 우측 제1 조명부(50R1)가 도시되고 있다. 도 7b에는 도 7a에 도시된 조명부(50)의 VIIb-VIIb 단면이 도시되고 있다.
도 8a 및 도 8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렌즈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조명부(50)를 전후 방향을 따라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조명부(50)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51)와, 케이스(51)를 덮는 커버 부재(52)를 포함한다. 조명부(50)는 빛을 발광하는 복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53), LED(53)가 실장되는 기판(54) 및 LED(53)가 발광하는 빛을 제어하는 렌즈 부재(55)를 포함한다.
렌즈 부재(55)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좌측면부(2L) 및 우측면부(2R)(도 6 참조)에서, 렌즈 부재(55)는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상면부(2U)(도 6 참조)에서, 렌즈 부재(55)는 좌우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조명부(50)는, 복수의 LED(53) 및 단일하게 구비되는 렌즈 부재(55)를 포함한다. 렌즈 부재(55)는 복수개의 LED(53)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일괄하여 배광 제어한다. 렌즈 부재(55)는 LED(53)로부터 발광된 빛이 저장실(2)의 안쪽(B)을 향하게 하고, LED(53)로부터 발광된 빛이 전방측(F)을 향해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광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렌즈 부재(55)의 재료로는 PC(폴리카보네이트 수지), PMMA(폴리메타크릴산 메틸 수지) 등의 수지, 유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렌즈 부재(55)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에 중공부(55C)를 갖는다. 렌즈 부재(55)는 중공부(55C)의 내측에 LED(53)를 수용한다. 이하에서는, 중공부(55C) 측의 면을 렌즈 부재(55)의 “내면”, 외측의 면을 렌즈 부재(55)의 “외면”이라고 부른다.
렌즈 부재(55)는 LED(53)로부터의 빛을 편광시켜 배광을 제어하는 영역으로서, 크게 나누어, 3개의 영역을 구비하고 있다. 즉, 렌즈 부재(55)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한다. 렌즈부재(55)는 제1영역(551), 제2영역(552) 및 제3영역(553)을 포함한다. 제1 영역(551), 제2 영역(552) 및 제3 영역(553)은 안쪽(B)으로부터 전방측(F)을 향해 차례로 위치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제1 영역(551), 제2 영역(552) 및 제3 영역(553)은 제1 실시예의 제1 영역(651), 제2 영역(652) 및 제3 영역(653)과 각각 유사한 기능을 갖는다. 제2 실시예의 조명부(50)에서도, 렌즈 부재(55)는 각 LED(53)가 발광하는 빛이 안쪽(B)을 향해 진행하도록 하고, 각 LED(53)로부터 발광된 빛의 전방측(F) 진행을 방지한다.
렌즈 부재(55)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축(S)을 형성하는 가상 면에서 조도가 균일하게 한다. 렌즈 부재(55)는 배광을 제어하여 배면부(2B)의 좌우 방향의 조도가 균일하게 한다. 또한, 저장실(2) 내의 전영역에서, 조도가 불균일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밝게 한다.
렌즈 부재(55)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Bm)이 수직축(S)에 대해 30°이상 60° 이하가 되도록 LED(53)로부터 발광된 빛을 제어한다.
도 9a 및 도 9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최대 휘도를 가진 광의 각도가 수직축(S)에 대해 30°이상 60° 이하의 범위 내에 존재하도록 함으로써, 배면부(2B)의 좌우 방향의 조도를 균등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제1 조명부(50L1)에서 수직축(S)에 대해 광축(Bm)의 각도가 30°이상 60° 이하로 설정되고, 우측 제1 조명부(50R1)에서 최대 휘도를 가진 광의 각도가 30°이상 60°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축(S)에 대해 광축(Bm)의 각도가 30°로 설정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좌측 제1 조명부(50L1)의 광축(Bm)은 배면부(2B)에서의 우측(R)의 모퉁이를 향한다. 좌측 제1 조명부(50L1)에 의해 비추어지는 범위는 배면부(2B)의 좌우 방향에 걸친다. 마찬가지로, 우측 제1 조명부(50R1)의 광축(Bm)은 배면부(2B)에서의 좌측(L)의 모퉁이를 향한다. 우측 제1 조명부(50R1)에 의해 비추어지는 범위는 배면부(2B)의 좌우 방향에 걸친다.
또,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축(S)에 대해 광축(Bm)의 각도가 60°로 설정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좌측 제1 조명부(50L1)의 광축(Bm)은 배면부(2B)에서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를 향한다. 그리고 좌측 제1 조명부(50L1)에 의해 비추어지는 범위는 그 중앙부로부터 좌측(L)의 모퉁이까지 된다. 마찬가지로, 우측 제1 조명부(50R1)의 광축(Bm)은 배면부(2B)에서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를 향한다. 그리고 우측 제1 조명부(50R1)에 의해 비추어지는 범위는 그 중앙부로부터 우측(R)의 모퉁이까지 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Bm)의 각도가 30°인 경우, 배면부(2B)에 대한 좌측 제1 조명부(50L1) 및 우측 제1 조명부(50R1)의 빛의 조사 범위는 광축(Bm)의 각도가 60°인 경우와 비교하여 넓은 범위가 된다. 따라서, 광축(Bm)의 각도가 30°인 경우, 좌측 제1 조명부(50L1) 및 우측 제1 조명부(50R1) 양쪽의 빛에 의해 배면부(2B)가 비추어진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Bm)의 각도가 60°인 경우, 배면부(2B)에 대한 좌측 제1 조명부(50L1) 및 우측 제1 조명부(50R1)로부터의 빛의 조사 범위는 광축(Bm)의 각도가 30°인 경우와 비교하여 좁은 범위가 된다. 다만, 광축(Bm)의 각도가 60°인 경우, 좌측 제1 조명부(50L1) 및 우측 제1 조명부(50R1)에 의해 절반씩 배면부(2B)가 비추어진다.
따라서, 광축(Bm)의 각도가 30°인 경우와 광축(Bm)의 각도가 60°인 경우에 배면부(2B)의 조도는 동등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제2 실시예의 조명부(50)는, 수직축(S)에 대해 조명부(50)의 광축(Bm)의 각도가 30° 이상 60° 이하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축(Bm)은 배면부(2B)의 좌측(L)의 모퉁이 또는 우측(R)의 모퉁이로부터 중앙부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축(Bm)의 각도와 무관하게, 배면부(2B)의 조도가 균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명부(50)가 배면부(2B)를 균등하게 비춘다.
통상적으로 냉장고(1)의 사이즈(용량)에 관계없이,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의 길이의 비(소위 종횡비)는 유사하다. 따라서, 냉장고(1)의 사이즈(용량)에 관계없이 상술한 수치 범위를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3 실시예가 적용되는 냉장고(1)에 대해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서, 다른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는 조명부(70)의 좌우 방향 중 어느 한쪽을 바라본 도면이고,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조명부(70)의 Xb-Xb 단면도이다.
제3 실시예의 냉장고(1)는 제1 실시예의 조명부(60) 대신 조명부(60)와 구성이 유사한 조명부(70)를 구비한다. 다만, 조명부(70)는 제1 실시예의 조명부(60)의 렌즈 부재(65) 대신, 반사 부재(165)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반사 부재(165)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반사 부재(165)는 복수의 반사부(165R)를 포함한다. 각각의 반사부(165R)는 반원호의 돔 형상으로 구비된다. 반사부(165R)는 LED(53)의 전방측(F)에 배치되고, 개구가 안쪽(B)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반사부(165R)의 표면은, LED(53)가 발하는 빛의 파장 중에서 적어도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반사하는 재료가 사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반사부(165R)는 복수의 LED(53)에 각각 구비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된다.
제3 실시예에서, 각각의 반사부(165R)는 LED(53)로부터 발광된 빛이 저장실(2)의 안쪽(B)을 향하도록 하고, LED(53)로부터 발광된 빛이 전방측(F)을 향해 진행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 광축(Bm)의 각도는 수직축(S)에 대해 30° 이상 60° 이내의 범위 내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 제1 실시예의 렌즈 부재(65)와 마찬가지로, 반사 부재(165)는 광축(Bm)(최대 휘도가 되는 광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의 배광 패턴을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반사 부재(165)는 배광각이 협각이 되는 대략 원추 형상의 배광 패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3 실시예의 조명부(70)에 의해서, 사용자가 저장실(2) 내를 밝게 느끼게 된다. 제3 실시예의 조명부(70)에 의해서, 조명부(70)에 의한 스포트 광의 조사에 의해 헌트 효과를 실현하여, 물품(100)이 선명하게 보일 수 있다.
반사부(165R)는 LED(53)로부터 발광된 빛이 전방측(F)으로 진행하는 것을 방지한다. 사용자가 위치하는 개구부(21) 측을 향해 LED(53)로부터 발광된 빛이 진행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눈부심 현상이 줄어들 수 있고, 사용자가 저장실(2) 내의 물품(100)이 더 보기 쉬워진다.
제2 실시예의 조명부(50)에서, 렌즈 부재(55) 대신에 제3 실시예의 반사 부재(165)를 적용해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제4 실시예가 적용되는 냉장고(1)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제4 실시예에서, 다른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는 조명부(80)의 좌우 방향 중 어느 한쪽에서 본 도면이고,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XIb-XIb 단면도이다.
제4 실시예의 냉장고(1)는 제2 실시예의 조명부(50) 대신, 제2실시예의조명부(50)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 조명부(80)를 포함한다.
조명부(80)는 복수의 광원(600)을 포함하고, 광원(60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광원(600)은 LED(53) 및 렌즈 부재(65)를 포함한다. 조명부(80)에서, 각 광원(600)은 LED(53)로부터 발광된 빛이 저장실(2)의 안쪽(B)을 향하도록 하고, LED(53)로부터 발광된 빛이 전방측(F)을 향해 진행하는 것을 방지한다.
각 광원(600)에서, 렌즈 부재(65)는 수직축(S)에 대해 광축(Bm)이 30˚ 이상 60˚ 이하의 범위 내가 되도록 배광을 제어한다.
각 광원(600)에서, 렌즈 부재(65)는 광축(Bm)(최대 휘도가 되는 광선)을 회전 대칭으로 한 배광 패턴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렌즈 부재(65)는 배광각이 협각이 되는 대략 원추 형상의 배광 패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제4 실시예의 조명부(80)에 의해 저장실(2) 내부 전체가 밝아질 수 있다. 제4 실시예의 조명부(80)는 스포트한 배광 패턴에 의해서, 물품(100)이 선명하게 보이도록 한다. 또, 조명부(80)에 의해, 사용자의 눈부심이 줄어들고, 사용자가 저장실(2) 내의 물품(100)을 보기가 용이해진다.
이하에서는, 제5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 대해 설명한다. 제5 실시예에서, 다른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는 조명부(90)를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면을 따라 절단 하고, 상하 방향에서 본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제5 실시예의 냉장고(1)는 제2 실시예의 조명부(50)(도 6 참조) 대신, 조명부(90)를 갖는다.
조명부(9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53)와, 기판(54)과, 케이스(91)를 포함한다. 조명부(90)는 케이스를 덮는 커버 부재(92)와, LED(53)가 발광하는 빛을 제어하는 편광 렌즈 부재(93)와, LED(53)가 발하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 부재(94)를 포함한다.
제5 실시예의 조명부(90)는, 발광하는 LED(53)(발광 소자의 일례)와, LED(53)로부터의 빛을 저장실(2)의 안쪽(B)(일방측)을 향하도록 하고, LED(53)로부터 발광된 빛이 전방측(F)(일방측)을 향해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는 편광 렌즈 부재(93)(광학 부재의 일례)를 포함한다. 조명부(90)는 저장실(2) 내를 비춘다.
제5 실시예에서, LED(53) 및 기판(54)은 각각의 주면(53S,54S)이 수직축(S)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LED(53)의 광축(53bm)은, 저장실(2)의 좌측면부(2L)(우측면부(2R), 상면부(2U)에 설치되는 경우도 마찬가지)의 전후 방향이 된다.
한편, 광축(53bm)은 LED(53)로부터 발광되는 빛 중에서, 최대 휘도를 가진 광선이 향하는 방향이다. 본 실시예에서, 광축(53bm)은 LED(53)의 주면(53S)과 직교(약 89°~약 91°)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케이스(91)는 내측에, 복수의 LED(53) 및 기판(54)을 수납한다. 그리고 케이스(91)는 저장실(2)의 좌측면부(2L)(우측면부(2R), 상면부(2U)에 설치되는 경우도 마찬가지)에 매립되도록 하여 부착된다.
커버 부재(92)는 케이스(91)의 개구를 덮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커버 부재(92)는, LED(53), 기판(54), 편광 렌즈 부재(93) 및 반사 부재(94)를 케이스(91) 외부로부터 차단한다. 또, 커버 부재(92)는 적어도 LED(53)로부터 발광된 빛 중에서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성을 갖는다. 커버 부재(92)의 재료로는 PC(폴리카보네이트), PMMA(폴리메타크릴산 메틸 수지) 등의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커버 부재(92)는, 제1 커버부(921)(제1 확산부의 일례)와, 제1 커버부(921)와 나란히 설치되는 제2 커버부(922)(제2 확산부의 일례)를 갖는다. 이들 제1 커버부(921) 및 제2 커버부(922)는 각각 한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설치된다. 제1 커버부(921) 및 제2 커버부(922)는 각각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커버부(922) 및 제1 커버부(92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버부(922) 및 제1 커버부(921)는 전후 방향으로 교번하여 나란히 배치된다.
도 12에 도시된 조명부(9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의 제1 커버부(921)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의 제2 커버부(922)가 전후 방향으로 평행하게 교번하여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제1 커버부(921)는 제2 커버부(922)보다도 빛의 확산도가 낮게 구비된다. 한편, 제1 커버부(921)는 실질적으로 빛의 확산을 일으키지 않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제2 커버부(922)는 제1 커버부(921)보다 빛의 확산도가 높게 구비된다. 즉, 제5 실시예에서는, 제1 커버부(921)의 확산도를 C1, 제2 커버부(922)의 확산도를 C2로 한 경우에, C2>C1≥0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구비된다.
제2 커버부(922)의 단면은 수직축(S)(소정의 공간에서의 일방측 및 타방측의 방향에 대한 수직축)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각도 θc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5 실시예에서, 제2 커버부(922)의 단면은 수직축(S)에 대해, 각도 θc가 약 45°가 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제2 커버부(922)의 단면은 수직축(S)에 대한 각도 θc가, 20° 이상 60° 이하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부(921) 및 제2 커버부(922)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커버부(921) 및 제2 커버부(922)가 각각 별개 부재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별개 부재로 구성하는 경우, 제1 커버부(921)와 제2 커버부(922)를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2 커버부(922)는 좌우 방향에서, 제1 커버부(921)의 좌측(L) 또는 우측(R)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커버부(921)의 좌측(L) 및 우측(R)의 양쪽에 배치될 수도 있다.
편광 렌즈 부재(93)는 LED(53)의 안쪽(B)에서 LED(53)에 대향되도록 위치된다. 편광 렌즈 부재(93)는 LED(53)의 광축(53bm)에 대해 저장실(2)측(도 12의 예에서는 우측(R))의 절반의 영역에는 대향한다. 한편, 편광 렌즈 부재(93)는 LED(53)의 광축(53bm)을 기준으로 저장실(2)의 반대측(도 12의 예에서는 좌측(L))의 절반의 영역에는 위치되지 않는다.
편광 렌즈 부재(93)는, 적어도 LED(53)로부터 발광된 빛 중에서 가시광선을 투과시키는 투과성을 가지고 있다. 편광 렌즈 부재(93)는 제1 렌즈부(931) 및 제2 렌즈부(932)를 포함한다. 편광 렌즈 부재(93)는 LED(53)가 발광한 빛 중에서, LED(53)의 광축(53bm)에 대해 저장실(2) 내측을 향하는 빛이 저장실(2) 내부의 반대 방향을 향해 진행되도록 제어한다.
제1 렌즈부(931)는 LED(53)의 광축(53bm)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제1 렌즈부(931)의 전방측(F)의 단부면(931f) 및 안쪽(B)의 단부면(931b)은 각각 광축(53bm)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된다. 제1 렌즈부(931)는 LED(53)가 발광한 빛을 광축(53bm)을 따라 안쪽(B)으로 진행시킨다.
제2 렌즈부(932)는 LED(53)가 발광한 빛 중에서, LED(53)의 광축(53bm)보다도 저장실(2) 내측을 향해 직접 진행하려고 하는 빛을 전반사에 의해 편광시킨다. 제2 렌즈부(932)는 LED(53)가 발한 빛을 반사 부재(94)를 향해 진행시킨다.
한편, 편광 렌즈 부재(93)는, LED(53)의 광축(53bm)에 대해 좌측(L)의 절반 영역에는 위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편광 렌즈 부재(93)는 LED(53)가 발하는 빛 중에서, LED(53)의 광축(53bm)보다도 반사 부재(94) 측을 향해 진행하는 빛을 반사 부재(94)를 향해 그대로 진행시킨다.
반사 부재(94)는 LED(53)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면을 갖는다. 제5 실시예의 반사 부재(94)는 저장실(2) 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곡면으로 구비된다. 반사 부재(94)는 커버 부재(92)에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반사 부재(94)는 LED(53)가 발광한 빛을 저장실(2) 내측을 향해 반사시킨다.
제5 실시예의 반사 부재(94)는 2개의 영역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반사 부재(94)는 안쪽(B)에 형성되는 반사면인 제1 반사 영역(941)과, 전방측(F)에 형성되는 반사면인 제2 반사 영역(942)을 가지고 있다.
제1 반사 영역(941)이 광축(53bm)에 대해 이루는 각도(θ1)는, 제2 반사 영역(942)의 광축(53bm)에 대해 이루는 각도(θ2)보다 크다(θ1>θ2). 반사 부재(94)의 반사면의 각도는 LED(53)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광축(53bm)에 대해 이루는 각도가 점차 커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반사 부재(94)의 반사면은 곡면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평면이 접합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편광 렌즈 부재(93) 및 반사 부재(94)는 LED(53)로부터 발광된 빛을 안쪽(B)을 향해 기설정된 각도로 커버 부재(92) 측으로 진행시킨다. 제5 실시예에서, 편광 렌즈 부재(93) 및 반사 부재(94)는 LED(53)로부터의 빛을, 안쪽(B)을 향해 수직축(S)에 대해 약 45°를 이루도록 진행시킨다. 한편, 편광 렌즈 부재(93) 및 반사 부재(94)는 LED(53)로부터 발광된 빛이, 안쪽(B)을 향해 수직축(S)에 대해 20° 이상 60° 이하의 범위에서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53)로부터 광축(53bm)을 따라 발광된 빛은 편광 렌즈 부재(93)의 제1 렌즈부(931)에 입사된다. 이 빛은 광축(53bm)을 따라 진행하여 제1 렌즈부(931)로부터 나온다. 그 후, 이 빛은 제1 반사 영역(941)에서 반사되어 커버 부재(92)를 향해 진행한다.
제1 렌즈부(931)를 투과하는 빛은 반사 부재(94)에 대해 작은 각도로 입사된다. 반사 부재(94)에 대해 작은 각도로 입사된 빛은 광축(53bm)에 대해 이루는 각도가 비교적 큰 제1 반사 영역(941)에서 반사된다. 제1 반사 영역(941)에서 반사된 빛은 수직축(S)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각도(제5 실시예에서는 약 45°)로 커버 부재(92)를 향해 진행한다.
LED(53)로부터 제2 렌즈부(932)로 입사되는 빛은 제2 렌즈부(932)에서 전반사된다. 제2 렌즈부(932)에서 반사된 빛은 제2 반사 영역(942)를 향해 진행한다. 제2 반사 영역(942)에서 반사된 빛은 커버 부재(92)를 향해 진행한다.
제2 렌즈부(932)를 반사한 빛은 반사 부재(94)에 대해 큰 각도로 진행한다. , 반사 부재(94)에 대해 큰 각도로 진행한 빛은 광축(53bm)에 대해 이루는 각도가 비교적 작은 제2 반사 영역(942)에서 반사된다. 제2 반사 영역(942)에서 반사된 빛은 수직축(S)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각도(제5 실시예에서는 약 45°)로, 커버 부재(92)를 향해 진행된다.
한편, LED(53)로부터 발광되고, 광축(53bm)보다도 저장실(2)의 반대측(도 12의 예에서는 좌측(L)측)을 향하는 빛은 반사 부재(94)에 직접 진행한다. 그리고 반사 부재(94)에 직접 진행한 빛은 반사 부재(94)에서 반사된다. 그리고 반사 부재(94)에서 반사된 빛은 수직축(S)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각도(제5 실시예에서는 약 45°)로, 커버 부재(92)를 향해 진행된다.
제5 실시예의 조명부(90)에서는, LED(53)로부터 발광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 부재(94)의 안쪽(B)의 반사면의 각도가, 전방측(F)보다 크게 구비된다. 이로써, 제5 실시예의 조명부(90)는, 면 발광 및 균일 발광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반사 부재(94)에서 반사된 빛은 수직축(S)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각도(제5 실시예에서는 약 45°)로 커버 부재(92)에 진행한다. 여기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부(921)는 수직축(S)에 미리 정해진 각도 θc(제5 실시예에서는 약 45°)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수직축(S)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각도(제5 실시예에서는 약 45°)로 커버 부재(92)에 입사한 빛은 제1 커버부(921)를 투과한다. 한편, 수직축(S)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각도와는 상이한 각도로 커버 부재(92)에 진입한 빛은 제2 커버부(922)에 입사하여 산란광이 된다.
그리고 제5 실시예의 조명부(90)는, 저장실(2)의 안쪽(B)을 향해 비교적 강한 빛을 조사하고, 전방측(F)에는 약한 확산광을 조사하도록 하여, 광축(Bm)을 안쪽(B)으로 편광한다. 이와 같이, 제5 실시예의 조명부(90)는 LED(53)로부터의 빛을 저장실(2)의 안쪽(B)을 향함과 아울러, LED(53)로부터의 빛의 전방측(F)을 향한 진행을 억제하고 있다.
또, 제5 실시예의 조명부(90)에서는, LED(53)의 광축(53bm)을 기준으로 저장실(2)의 반대측에는 편광 렌즈 부재(93)를 설치하지 않고, LED(53)로부터 반사 부재(94)를 향해 빛이 직접 진행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제5 실시예의 조명부(90)에서는, 편광 렌즈 부재(93)의 사이즈가 작아질 수 있다. 또, 조명부(90) 전체적으로 사이즈가 소형화된다. 또, 제5 실시예의 조명부(90)는, 편광 렌즈 부재(93)를 빛이 투과함으로써 생길 수 있는 프레넬 반사에 의한 손실이 억제되어 발광 효율이 높다.
한편, 제5 실시예의 조명부(90)에서는, LED(53)의 광축(53bm)보다도 저장실(2) 측에 편광 렌즈 부재(93)를 배치한다. 이 편광 렌즈 부재(93)에 의한 편광 배광에 의해, LED(53)로부터 커버 부재(92)에 직접 진행하는 빛이 저감된다. 이 때문에, LED(53) 근방에서 발광면이 불균일하게 발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변형예 1 및 변형예 2에 따른 조명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는 변형예 1의 조명부(90)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4b는 변형예 2의 조명부(9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예 1의 조명부(90)는 반사 부재(194)의 형상이, 상술한 제5 실시예의 반사 부재(94)와는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반사 부재(194)에 대해 설명한다.
반사 부재(194)는 반사면의 형상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반사 부재(194)의 단면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반사 부재(194)는 전후 방향에서, 반사면의 예를 들면 광축(53bm)에 대한 각도가 일정하게 되어 있다. 반사 부재(194)는 LED(53)로부터의 빛을, 저장실(2) 측을 향해 반사한다.
이러한 변형예 1의 조명부(90)에서도, LED(53)로부터의 빛이 저장실(2)의 안쪽(B)을 향해 진행하도록 하고, LED(53)로부터의 빛이 전방측(F)을 향해 진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예 2의 조명부(90)는 반사 부재(294)의 형상이, 상술한 제5 실시예의 반사 부재(94)와는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반사 부재(294)에 대해 설명한다.
반사 부재(294)는 반사면의 형상이, 저장실(2) 측을 향해 볼록한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반사 부재(294)는 광축(53bm)에 대해 이루는 각도가, 안쪽(B)과 비교하여 전방측(F)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반사 부재(294)는 LED(53)로부터의 빛을 저장실(2) 측을 향해 반사시킨다.
이러한 변형예 2의 조명부(90)에서도, LED(53)로부터의 빛이 저장실(2)의 안쪽(B)을 향해 진행하도록 하고, LED(53)로부터의 빛이 전방측(F)을 향해 진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변형예 2에서도, 반사 부재(294)의 반사면은 곡면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평면이 접합되어 형성되는 것도 무방하다.
도 15a 및 도 15b는 변형예 3 및 변형예 4에 따른 조명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는 변형예 3의 조명부(90)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5b는 변형예 4의 조명부(9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예 3의 조명부(90)는 커버 부재(392)의 형상이, 상술한 제5 실시예의 커버 부재(92)와는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커버 부재(392)에 대해 설명한다.
커버 부재(392)는, 반사 부재(94)에 대향하는 측이 되는 입광면 측에, 프리즘 컷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제1 커버부(921)에 V자 형상의 볼록부(392P)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볼록부(392P)는, 수직축(S)에 대해 기설정된 각도를 이루는 제2 커버부(922)에 대해 직교 θp(약 89°~91°)하는 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반사 부재(94)에서 반사된 빛은, 제1 커버부(921)에 수직으로 입사될 수 있다.
변형예 3의 조명부(90)는, 반사 부재(94)에서 반사된 빛이 커버 부재(392)에 입사할 때에 생길 수 있는 프레넬 반사에 의한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예 4의 조명부(90)는 상술한 편광 렌즈 부재(93) 대신 제2 반사 부재(95)를 구비하고 있다.
제2반사부재(95)는 LED(53)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반사 부재(95)는, LED(53)에 대해 저장실(2)측(도 15의 예에서는 우측(R))에 설치된다. 제2 반사 부재(95)는 LED(53)로부터 발광된 빛 중에서, 저장실(2) 내측을 향해 진행하려고 하는 빛을 반사형 반사 부재(94)로 입사시킨다.
이러한 변형예 4의 조명부(90)에서도, LED(53)로부터 발광된 빛이 저장실(2)의 안쪽(B)을 향해 진행하도록 하고, LED(53)로부터 발광된 빛이 전방측(F)을 향해 진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5 실시예의 조명부(90)에 의해서 저장실(2) 내의 전체가 밝아질 수 있다. 조명부(90)에 의해, 사용자의 눈부심이 저감될 수 있고, 사용자가 저장실(2) 내의 물품(100)을 용이하게 볼 수 있다.
제5 실시예의 조명부(90)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LED(53)가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LED(53)의 빛을 제어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다. 다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1 실시예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복수개의 LED(53)가 나란하도록 배치하는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즉, 커버 부재(92)(커버 부재(392)), 편광 렌즈 부재(93), 반사 부재(94)(반사 부재(194), 반사 부재(294)), 제2 반사 부재(95)를 사용함으로써, LED(53)의 빛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6 실시예가 적용되는 냉장고(1)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제6 실시예에서, 다른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은 제6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에는 조명부(690)을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면을 따라 절단 하고, 상하 방향에서 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제6 실시예의 냉장고(1)는 제5 실시예의 조명부(90)(도 12 참조) 대신, 조명부(690)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조명부(69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조명부(69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전에 의해 발광하는 LED 칩(153)과, 기판(54), 및 케이스(91)를 구비한다. 조명부(690)는, 케이스를 덮는 커버 부재(692)와, LED 칩(153)에 대향해 설치되는 파장 변환 부재(96)(파장 변환부의 일례)를 포함한다. 또, 조명부(690)는 반사 부재(94)(광학부의 일례)와 제2 반사 부재(95)(광학부의 일례)를 포함한다.
LED 칩(153)은 청색광을 발광하는 반도체 칩이다. 제6 실시예에서, LED 칩(153)은 도시하지 않은 와이어 본딩 실장에 의해 기판(5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6 실시예에서, LED 칩(153) 및 기판(54)은 각각의 주면(153S, 154S)이 수직축(S)을 평행하게 구비된다. LED 칩(153)의 광축(153bm)은 저장실(2)의 좌측면부(2L)(우측면부(2R), 상면부(2U)에 설치되는 경우도 마찬가지)의 전후 방향이 된다.
커버 부재(692)는 케이스(91)의 개구를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커버 부재(92)는 LED 칩(153), 기판(54), 반사 부재(94), 제2 반사 부재(95) 및 파장 변환 부재(96)를, 케이스(91) 외부로부터 차단한다. 커버 부재(692)는 LED 칩(153)이나 파장 변환 부재(96)로부터 발광된 빛 중, 적어도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성을 갖는다.
커버 부재(692)의 재료로는 PC(폴리카보네이트), PMMA(폴리메타크릴산 메틸 수지)등의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파장 변환 부재(96)는 LED 칩(153)이 발광하는 빛을 흡수하고, 장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형광체를 도포된 투명 수지이다. 구체적으로, 파장 변환 부재(96)는 청색광을 흡수하여 녹색광을 발하는 녹색 형광부(961)를 포함한다. 파장 변환 부재(96)는 청색광을 흡수하여 적색광을 발하는 적색 형광부(962)를 갖는다. 녹색 형광부(961) 및 적색 형광부(962)는 각각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녹색 형광부(961) 및 적색 형광부(962)는 서로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파장 변환 부재(96)는 청색광을 흡수하여 녹색광을 발하는 형광체 및 청색광을 흡수하여 적색광을 발하는 형광체를 대향되는 양쪽 면에 도포한 하나의 투명 수지 부재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광원이 발하는 파장 및 형광체가 발하는 파장의 조합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조합이어도 무방하다.
파장 변환 부재(96)는 지지 부재(미도시)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파장 변환 부재(96)는 그 주면(96S)이 수직축(S)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즉, 파장 변환 부재(96)의 주면(96S)은 LED 칩(153)의 주면(153S)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 파장 변환 부재(96)는 LED 칩(153)으로부터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된다.
파장 변환 부재(96)는, 주면(96S)의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좌우 방향)에서, 반사 부재(94)와의 사이에 제1 간극(G1)(비통과부의 일례)을 형성한다. 또, 파장 변환 부재(96)는 주면(96S)의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좌우 방향)에서, 제2 반사 부재(95)와의 사이에 제2 간극(G2)(비통과부의 일례)을 형성한다. 즉, 파장 변환 부재(96)과 서로 이웃한 구성 간에, 제1 간극(G1) 또는 제2 간극(G2)이 형성된다. 이들 제1 간극(G1) 및 제2 간극(G2)은 LED 칩(153)이 발광한 빛이 통과할 수 있다.
제6 실시예에서, 파장 변환 부재(96)는 주로 반사 부재(94)와 커버 부재(692)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2개로 분할한다. 조명부(690)에서, 파장 변환 부재(96)와 LED 칩(153) 사이에는 제1 공간(C1)(제1 공간부의 일례)이 형성된다. 또, 조명부(690)에서, 파장 변환 부재(96)에 대해 LED 칩(153)과는 반대 측에, 제2 공간(C2)(제2 공간부의 일례)이 형성된다. 즉, 파장 변환 부재(96)를 중심으로 제1 공간(C1)과 대향되는 방향이 제2 공간(C2)이 형성된다.
상세히, 제1 공간(C1)은 파장 변환 부재(96), 반사 부재(94), 제2 반사 부재(95), LED 칩(153) 및 기판(54)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다. 제2 공간(C2)은 파장 변환 부재(96), 반사 부재(94) 및 커버 부재(69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다.
제6 실시예에서, 제1 공간(C1)과 제2 공간(C2)의 경계는 파장 변환 부재(96)에 의해 형성된다. 제1 공간(C1)과 제2 공간(C2)의 경계는 파장 변환 부재(96)와 반사 부재(94)를 최단 거리로 연결하는 직선 형상의 가상선(I)에 의해 형성된다. 경계는 파장 변환 부재(96)와 제2 반사 부재(95)를 최단 거리로 연결하는 직선 형상의 가상선(I)에 의해 형성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간(C1)의 단면적은 제2 공간(C2)의 단면적과 비교하여 작게 형성된다. 즉, 제1 공간(C1)의 용적은 제2 공간(C2)의 용적과 비교하여 작게 되어 있다.
한편, 제1 공간(C1)의 단면적은 파장 변환 부재(96)의 횡단면(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른 평면)에서의 좌우 방향의 길이가 주로 기여한다. 또, 제2 공간(C2)의 단면적은 커버 부재(692)의 횡단면에서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주로 기여한다. 따라서, 제6 실시예에서는, 커버 부재(692)의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파장 변환 부재(96)의 좌우 방향의 길이가 짧다.
도 17은 제6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칩(153)으로부터 발광된 빛은 제1 공간(C1)을 통과하여 파장 변환 부재(96)로 입사된다. LED 칩(153)으로부터 발광해진 청색광은 파장 변환 부재(96)에 의해, 적색광이나 녹색광으로 변환된다. 또, 적색광이나 녹색광은 파장 변환 부재(96)의 안쪽(B)에 형성되는 제2 공간(C2)에 도달한다.
또, LED 칩(153)으로부터 발광된 빛 중에서, 제1 간극(G1)을 향하는 빛은 파장 변환 부재(96)를 통과하지 않고 반사 부재(94)를 향해 진행한다. 즉, 제1 간극(G1)을 통과하는 청색광은 파장 변환 부재(96)에 의해 파장이 변환되지 않고 청색광인 채로, 반사 부재(94)에서 반사된다. 그리고 제1 간극(G1)을 통과하는 청색광은 제2 공간(C2)에 도달한다.
또, LED 칩(153)으로부터 발광된 빛 중에서, 제2 간극(G2)을 향하는 빛은 파장 변환 부재(96)를 통과하지 않고 제2 반사 부재(95)를 향해 진행한다. 즉, 제2 간극(G2)을 통과하는 청색광은 파장 변환 부재(96)에 의해 파장이 변환되지 않고 청색광인 채로 제2 반사 부재(95)에서 반사된다. 그리고 제2 간극(G2)을 통과하는 청색광은 제2 공간(C2)에 도달한다.
제2 공간(C2)에서, 파장 변환 부재(96)를 통과해 온 적색광이나 녹색광과, 파장 변환 부재(96)를 통과하지 않고 진행해 온 청색광이 혼합되어 백색광이 된다. 그 후, 제5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들 빛은 반사 부재(94) 등에서 반사되고, 커버 부재(692)를 통과하여 저장실(2)의 안쪽(B)을 향해 진행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제6 실시예의 조명부(690)에 의해, 저장실(2) 내부 전체가 밝아진다. 또, 조명부(690)에 의해, 사용자의 눈부심이 저감되어, 저장실(2) 내의 물품(100)(도 6 참조)을 보기가 더 용이해진다.
조명부(690)에서는, 제2 공간(C2)이 제1 공간(C1)에 대해 크기 때문에,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을 혼합시키기에 충분한 용적이 확보된다. 한편, 제1 공간(C1)이 작기 때문에, LED 칩(153)에 대해 파장 변환 부재(96)가 근처에 배치된다. 그 결과, 파장 변환 부재(96)의 사이즈가 소형화된다. 즉, LED 칩(153)으로부터는, 방사상으로 빛이 발광된이다. 이에 비하여, LED 칩(153)에 파장 변환 부재(96)를 가깝게 하여 배치함으로써, 파장 변환 부재(96)의 사이즈가 작아도 무방하다. 즉, 조명부(69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6 실시예가 적용되는 조명부(690)에서는, 광학 효율의 저하가 억제된다. LED 칩(153)으로부터의 청색광을 형광체가 분산된 투명 부재에 모두 통과시키는 경우를 생각하면, 청색광은 형광체에 의해 녹색광이나 적색광으로 변환되지 않은 빛으로서 취출된다. 그러나, 청색광은 투명 부재를 통과하기 때문에, 프레넬 손실 등의 빛 에너지의 손실이 생길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제6 실시예의 조명부(690)에서, 청색광은 파장 변환 부재(96) 등의 형광체가 분산된 투명 부재를 통과하지 않고 제2 공간(C2)에 도달한다. 이 때문에, 파장 변환 부재(96)를 통과하지 않고 제2 공간(C2)에 도달한 청색광은 프레넬 손실 등의 빛 에너지의 손실이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조명부(690)에서는, 광학 효율의 저하가 억제된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저장실(2) 내의 밝기감이 향상한다.
조명부(690)에서는, 제1 간극(G1) 또는 제2 간극(G2)의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색 온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간극(G1) 또는 제2 간극(G2)의 간격을 작게 함으로써, 청색광이 감소하여 색 온도가 낮아진다. 한편, 제1 간극(G1) 또는 제2 간극(G2)의 간격을 크게 함으로써, 청색광이 증가하여 색 온도가 높아진다. 이와 같이, 제6 실시예에서는, 파장 변환 부재(96)의 사이즈 변경에 의해, 조명부(690)의 색 온도가 용이하게 조정된다.
한편, 파장 변환 부재(69)의 구성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파장 변환 부재(96)로서, 유리 등의 세라믹 판재에 형광체를 코팅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파장 변환 부재(96)의 형상은 상술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파장 변환 부재(96)는 원호의 볼록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판 두께가 상이한 요철이 될 수도 있다.
제6 실시예에 기재되는 조명부(690)의 일부 구성을 다른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다.
일례로, 다른 실시예에서, 단색광을 발광하는 LED 칩을 사용한 경우에, 이 LED 칩 측에 파장 변환 부재(96)를 배치할 수 있다. 이 때, LED 칩으로부터 파장 변환 부재(96)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시켜 제1 공간을 형성한다. 또, 파장 변환 부재(96)에 대해 LED 칩과는 반대 측에, 제1 공간보다도 단면적이 큰 제2 공간을 형성한다. 또, 파장 변환 부재(96)는 LED 칩으로부터의 빛을 모두 통과시키는 것이 아니고, LED 칩으로부터의 빛의 일부가 파장 변환 부재(96)를 통과하지 않도록 구성해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제7 실시예가 적용되는 냉장고(1)에 대해 설명한다. 제7 실시예에서, 다른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a 및 도 18b는 제7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a는 조명부(750)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 도 18b는 도 18a에 도시된 조명부(50)의 XVIIIb-XVIIIb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7 실시예의 냉장고(1)는 제2 실시예의 조명부(50)(도 6 참조) 대신에, 조명부(750)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조명부(750)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조명부(750)는,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하는 LED 패키지(530)와, 기판(54)과, LED 패키지(530)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렌즈 부재(75)(투과부의 일례)와, 파장 변환 부재(96)(파장 변환부의 일례)를 갖는다.
조명부(750)는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방향(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세히, 조명부(750)는 좌측면부(2L) 및 우측면부(2R)(도 6 참조)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LED 패키지(530)는 단면이 오목형상인 용기(531) 내에, LED 칩(153)(발광 소자의 일례)을 수용하여 패키지화된 광원이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용기(531)에는 LED 칩(153)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리드 프레임이 설치된다. 리드 프레임을 통해, LED 칩(153)과 기판(54)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용기(531)의 오목부에는 투명한 봉지 수지가 충전되고, LED 칩(153)이 봉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LED 패키지(530)에서, 봉지 수지에는 형광체가 충전되어 있지 않다.
LED 패키지(530)는 광축(530bm)(LED 패키지(530) 단체(單體)에서 최대 휘도가 되는 광선을 따른 방향)이, 수직축(S)(도 6 참조)과 이루는 각도가 20° 이상 60° 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구비된다. 즉, 광축(530bm)은 전후 방향에서 안쪽(B)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광축(530bm)은 LED 패키지(530)의 단면(530A)에 수직으로 구비된다.
렌즈 부재(75)는,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렌즈 부재(75)는 복수개의 LED 패키지(530)에 대해 단일하게 구비된다. 렌즈 부재(75)는 LED 패키지(530)로부터 입사한 빛을 투과한다. 즉, 렌즈 부재(75)는 복수개의 LED 패키지(530)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일괄하여 배광 제어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렌즈 부재(75) 자체에는 형광체는 포함되지 않았다.
또, 렌즈 부재(75)는,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54)에 고정된다.
렌즈 부재(75)는 LED 패키지(530)로부터의 빛을 저장실(2)의 안쪽(B)을 향함과 아울러, LED 패키지(530)로부터의 빛의 전방측(F)을 향한 진행을 방지하도록 배광을 제어한다(도 6 참조).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 부재(75)의 재료로 PC(폴리카보네이트 수지), PMMA(폴리메타크릴산 메틸 수지)등의 수지, 유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렌즈 부재(75)는,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상하 방향으로 수직인 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렌즈 부재(75)는 LED 패키지(530) 측에 형성되는 하단부(751)를 갖는다. 또, 렌즈 부재(75)는 LED 패키지(530)에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 측에 설치되는 상단부(752)를 갖는다. 또, 렌즈 부재(75)는 측면에 형성는 측부(753)(경사부의 일례)를 가지고 있다.
하단부(751)는 오목형상의 부분을 갖는다. 그리고 하단부(751)는 내측에 LED 패키지(530)를 수용한다. 그리고 하단부(751)를 통해 LED 패키지(530)로부터 발광된 빛이 렌즈 부재(75) 내부로 입사될 수 있다.
하단부(751)는 LED 패키지(530)의 단면(530A)에 대향되는 제1면(751t)과, LED 패키지(530)의 측면에 대향하는 제2면(751s)을 갖는다. 제1면(751t)은 LED 패키지(530)의 단면(530A)과 평행하게 구비된다. 즉, 제1면(751t)은 광축(530bm)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형성된다.
또, 제7 실시예에서, 제1면(751t) 및 제2면(751s)은 각각 LED 패키지(530)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간극을 갖도록 구비된다. 즉, 하단부(751)에서, LED 패키지(530)와의 사이에는 공기 등의 기체가 포함되는 공간(75C)이 형성된다.
상단부(752)는 렌즈 부재(75)에 입사된 빛이 렌즈 부재(75) 외부로 나오는 부위를 형성한다. 제7 실시예에서는, 상단부(752)는,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패키지(530)의 단면(530A)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즉, 상단부(752)는 광축(530bm)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형성된다.
상단부(752)는 파장 변환 부재(96)에 대향하는 대향면(752p)과, 파장 변환 부재(96)에 대향하지 않는 출력면(752n)(출력부의 일례)을 갖는다. 대향면(752p)은,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장 변환 부재(96)에 대응하여, 한 방향(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대향면(752p)에는 파장 변환 부재(96)가 접착 등에 의해 고정된다. 출력면(752n)은 대향면(752p)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출력면(752n)은 대향면(752p)에 서로 이웃하여 형성된다. 2개의 출력면(752n)은 각각 한 방향(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출력면(752n)은 파장 변환 부재(96)를 우회하여, 렌즈 부재(75) 외부로 빛이 진행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제1 실시예에서, 상단부(752)의 면적에서의 출력면(752n)의 면적의 비율은 15%로 설정하고 있다. 이 비율은 2% 이상 3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 비율은 5%이상 30% 이하가 되어도 무방하다.
출력면(752n)의 면적을 변경함으로써, 조명부(750)가 발하는 빛의 색 온도가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출력면(752n)의 면적이 커질수록, 조명부(750)의 빛의 색 온도가 높아진다. 한편, 출력면(752n)의 면적이 작아질수록, 조명부(750)의 빛의 색 온도가 낮아진다.
측부(753)는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패키지(530)의 광축(530bm)에 대해,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또, 측부(753)는 LED 패키지(530)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제7 실시예에서, 측부(753)의 LED 패키지(530)에 먼 쪽의 폭(L1)은 LED 패키지(530)에 먼 쪽의 폭(L2)보다 크게 되어 있다. 즉, 측부(753)는 광축(530bm)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각도를 갖고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측부(753)는 LED 패키지(530)로부터 조사된 빛을 전반사시킨다., 측부(753)는 LED 패키지(530)로부터의 빛을, 상단부(752)를 향해 반사시키는 반사면으로서 기능한다.
도 19는 제7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패키지(530)로부터 방사상으로 발광된 청색광은 공간(75C)을 통과하여, 하단부(751)로부터 렌즈 부재(75) 내에 들어간다. 이 때, 청색광은 공간(75C)으로부터 공간(75C)보다도 밀도가 높은 렌즈 부재(75)에 입사됨으로써, 광축(530bm) 측으로 굴절한다. 또, LED 패키지(530)로부터 측부(753)로 진행하는 청색광은 측부(753)를 반사한다. LED 패키지(530)로부터의 청색광은 주로 광축(530bm)을 따라 진행한다.
그리고 LED 패키지(530)로부터 발광된 청색광의 일부는 대향면(752p)을 향한다. 그 후, 이 청색광은 파장 변환 부재(96)를 통과한다. 이 때, 청색광은 파장 변환 부재(96)에 의해, 적색광이나 녹색광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적색광 및 녹색광은 렌즈 부재(75) 및 파장 변환 부재(96)로부터 나온다.
또, LED 패키지(530)로부터 발광된 청색광 중에서, 출력면(752n)을 향하는 빛은 파장 변환 부재(96)을 통과하지 않고 렌즈 부재(75)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조명부(750)로부터는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이 조사된다. 이들 3색 빛은 저장실(2) 내에서 혼합된다. 그 결과, 조명부(750)에 의해, 저장실(2)이 백색으로 비추어진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조명부(750)로부터는 저장실(2)의 안쪽(B)(도 6 참조)을 향해 빛이 진행한다. 또, LED 패키지(530)로부터 저장실(2)의 전방측(F)(도 6 참조)을 향하려고 하는 빛은 렌즈 부재(75)의 측부(753)에서 반사된다. 따라서, 조명부(750)로부터 저장실(2)의 앞측을 향해 빛이 진행하지 않도록 방지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제7 실시예의 조명부(750)에 의해, 저장실(2) 내의 전체가 밝아진다. 이러한 조명부(750)에 의해, 사용자의 눈부심이 저감되고, 사용자가 저장실(2) 내의 물품(100)(도 6 참조)을 보기가 더 쉬워진다.
출력면(752n)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고, 출력면(752n)의 빛의 확산도를 크게 해도 무방하다. 출력면(752n)으로부터의 빛의 취출 효율을 높이도록 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출력면(752n)의 빛의 확산도는 파장 변환 부재(96)의 빛의 확산도와 동등하게 구비될 수 있다.
측부(753)는 LED 패키지(530)로부터의 빛의 반사면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이 때문에, 측부(753)는 빛의 확산도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출력면(752n)의 빛의 확산도는 측부(753)의 빛의 확산도보다 크게 해도 무방하다.
제7 실시예가 적용되는 조명부(750)에서는, 광학 효율의 저하가 억제된다. LED 칩(153)으로부터의 청색광을, 형광체가 분산된 투명 부재에 모두 통과시키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청색광은 형광체에 의해 녹색광이나 적색광으로 변환되지 않은 빛으로서 취출된다. 그러나, 이 청색광은 투명 부재를 통과하고 있기 때문에, 프레넬 손실 등의 빛 에너지의 손실이 생길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제7 실시예의 조명부(750)에서는, 청색광은 파장 변환 부재(96) 등의 형광체가 분산된 투명 부재를 통과하지 않고 출력된다. 따라서, 파장 변환 부재(96)를 통과하지 않고 출력된 청색광은 프레넬 손실 등의 빛 에너지의 손실이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조명부(750)에서는, 광학 효율의 저하가 억제된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저장실(2) 내의 밝기감이 향상한다.
또, LED 패키지(530)로부터 방사상으로 발광된 빛은 상술한 바와 같이, 렌즈 부재(75)에 의해 광축(530bm) 측으로 좁혀진다. 파장 변환 부재(96)는 이 렌즈 부재(75)의 상단부(752)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제7 실시예에서는, 파장 변환 부재(96)의 광축(530bm)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조명부(75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7 실시예에서, 파장 변환 부재(96)는 렌즈 부재(75)에 고정되어 있다. 즉, 파장 변환 부재(96)는 자립 지지된다. 이에 따라, 파장 변환 부재(96)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를 별도 마련할 필요가 없어져, 부품 점수가 삭감된다.
한편, 제7 실시예의 조명부(7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서, 전방측(F)으로부터 안쪽(B)을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서는 조명부(750)로부터 저장실(2)의 안쪽(B)을 향해 빛이 진행하고, 전방측(F)을 향하는 빛의 진행을 억제하도록 렌즈 부재(75)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또, 제7 실시예에 기재되는 조명부(750)의 일부 구성을 다른 실시예에 적용해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제8 실시예가 적용되는 냉장고(1)에 대해 설명한다. 제8 실시예에서, 다른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a 및 도 20b는 제8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a에는 조명부(890)를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면을 따라 절단하고, 상하 방향에서 본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0b에는 조명부(890) 내에 설치되는 발광부(850)의 전체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제8 실시예의 냉장고(1)는 제5 실시예의 조명부(90)(도 12 참조) 대신에 조명부(890)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조명부(890)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조명부(890)는,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하는 발광부(850)와, 케이스(91)를 구비한다. 또, 조명부(890)는, 커버 부재(692), 반사 부재(94), 및 제2 반사 부재(95)를 구비한다.
조명부(890)는 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세히, 조명부(890)는 좌측면부(2L) 및 우측면부(2R)(도 6 참조)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발광부(850)는 기본적인 구성이 제7 실시예의 조명부(750)와 유사하다. 발광부(850)는,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패키지(530)와 기판(54)을 갖는다. 또, 발광부(850)는 LED 패키지(530)에 대향해 설치되는 렌즈 부재(85)와 파장 변환 부재(96)를 갖는다.
렌즈 부재(85)는 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또, 렌즈 부재(85)는 복수개의 LED 패키지(530)에 대해 단일하게 구비된다. 렌즈 부재(85)는 LED 패키지(530)로부터 입사된 빛을 투과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의 렌즈 부재(85) 자체에는 형광체는 포함되지 않았다. 렌즈 부재(85)는 기판(54)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 부재(85)의 재료에는 PC(폴리카보네이트 수지), PMMA(폴리메타크릴산 메틸 수지) 등의 수지, 유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렌즈 부재(85)는,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상하 방향으로 수직인 면)에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렌즈 부재(85)는 LED 패키지(530) 측에 설치되는 하단부(851)를 갖는다. 렌즈 부재(85)는 LED 패키지(530)에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 측에 설치되는 상단부(852)를 갖는다. 렌즈 부재(85)는 측면에 설치되는 측부(853)를 가지고 있다.
하단부(851)는 제7 실시예의 하단부(751)와 기본 구성이 동일하다. 하단부(851)는 오목형상의 부분을 갖는다. 하단부(851)는 내측에 LED 패키지(530)를 수용한다. 그리고 하단부(851)를 통해 LED 패키지(530)로부터 발광된 빛이 렌즈 부재(85) 내부로 입사될 수 있다. 하단부(851)에서, LED 패키지(530)와의 사이에는 공기 등의 기체가 포함되는 공간(85C)이 형성된다.
상단부(852)는 파장 변환 부재(96)와 대향되는 부분을 형성한다. 상단부(852)는,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530bm)에 대해 수직으로 구비된다. 또, 상단부(852)의 폭은 파장 변환 부재(96)의 폭과 동등하게 형성된다. 상단부(852)에는 파장 변환 부재(96)가 접착 등에 의해 고정된다.
측부(853)는 LED 패키지(530)의 광축(530bm)에 대해,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측부(853)는 광축(530bm)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측부(853)에는 파장 변환 부재(96)는 설치되지 않았다. 측부(853)는 파장 변환 부재(96)를 우회하고, 렌즈 부재(85) 외부로 빛이 진행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도 21은 제8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패키지(530)로부터 발광된 청색광은 공간(85C)을 통과하여, 하단부(851)로부터 렌즈 부재(85) 내로 입사된다. 이 때, 방사상으로 넓어지는 LED 패키지(530)의 청색광은 공간(85C)으로부터 공간(85C)보다도 밀도가 높은 렌즈 부재(85)에 입사할 때에, 광축(530bm) 측을 향해 굴절한다. 청색광은 주로 광축(530bm)을 따라 진행한다. 또, 청색광의 일부는 상단부(852)를 향한다. 이 청색광은 파장 변환 부재(96)를 통과한다. 이때, 청색광은 파장 변환 부재(96)에 의해, 적색광이나 녹색광으로 변환된다. 적색광 및 녹색광은 렌즈 부재(85) 및 파장 변환 부재(96)로부터 빠져나온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패키지(530)로부터 발광된 청색광 중에서, 측부(853)를 향하는 빛도 있다. 이 측부(853)를 향하는 빛은 파장 변환 부재(96)를 통과하지 않고 렌즈 부재(85)로부터 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발광부(850)로부터,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이 조사된다. 이들 3색 빛은,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부재(94)나 제2 반사 부재(95)에서 반사된다. 이들 빛은 최종적으로, 커버 부재(692)를 통과하여 저장실(2)의 안쪽(B)을 향해 진행한다. 그 후, 이들 빛은 저장실(2) 내에서 혼합된다. 그 결과, 발광부(850)에 의해, 저장실(2)이 백색으로 비추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8 실시예의 발광부(850)에 의해, 저장실(2) 내의 전체가 밝아진다. 또, 발광부(850)에 의해, 사용자의 눈부심이 저감되고, 사용자가 저장실(2) 내의 물품(100)(도 6 참조)을 보기가 더 쉬워진다.
측부(853)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는 등, 측부(853)에서의 빛의 확산도를 크게 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측부(853)로부터의 빛의 취출 효율을 높이도록 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측부(853)의 빛의 확산도는 파장 변환 부재(96)의 빛의 확산도와 동등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제8 실시예가 적용되는 조명부(890)에서는, 제7 실시예의 조명부(750)과 마찬가지로, 광학 효율의 저하가 억제된다. 즉, 제8 실시예에서도, 청색광은 파장 변환 부재(96) 등의 광학 부재를 통과하지 않고 저장실(2)을 향해 조사된다. 따라서, 파장 변환 부재(96)를 통과하지 않고 저장실(2)에 도달한 청색광은 프레넬 손실 등의 빛 에너지의 손실이 억제된다. 즉, 조명부(890)에서는, 광학 효율의 저하가 억제된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저장실(2) 내의 조도가 높아질 수 있다.
제8 실시예에서, 파장 변환 부재(96)가 렌즈 부재(75)에 고정됨으로써, 파장 변환 부재(96)가 자립 지지된다. 이에 따라, 파장 변환 부재(96)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를 별도 마련할 필요가 없어져, 부품비를 절감할 수 있다.
제8 실시예의 조명부(890)는 냉장고(1)의 램프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조명 램프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케이스(91), 커버 부재(692), 반사 부재(94) 및 제2 반사 부재(95)는 필수가 아니고, 발광부(850) 유닛을 조명으로서 적용할 수 있다.
제7 실시예 및 제8 실시예에서, LED 패키지(530)를 채용하는 예를 사용하고 있지만, 광원으로서는 발광 반도체 칩의 단체(單體)이어도 무방하다. 또, 제7 실시예 및 제8 실시예에서, LED 패키지(530)의 주위에 공간(75C)이나 공간(85C)을 형성하고 있지만, 공간(75C)이나 공간(85C)은 각각 필수 구성은 아니다. LED 패키지(530)이나 발광 반도체 칩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지 않도록, 렌즈 부재(75)나 렌즈 부재(85)를 설치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 간극이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예를 들면 프레넬 손실 등의 빛 에너지의 손실이 더욱 억제된다.
이하에서는, 제8 실시예의 발광부(850)의 변형예로서 변형예 5의 발광부(105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2는 변형예 5에 따른 발광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예 5의 발광부(1050)는 LED 패키지(530), LED 패키지(530)에 대향해 설치되는 렌즈 부재(105), 기판(54), 및 파장 변환 부재(996)를 구비한다.
발광부(1050)의 기본 구성은 제8 실시예의 발광부(850)와 유사하다. 다만, 렌즈 부재(105) 및 파장 변환 부재(996)의 구성이 발광부(850)와는 상이하다.
변형예 5의 발광부(1050)에서는, 렌즈 부재(105)의 단면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파장 변환 부재(996)의 단면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파장 변환 부재(996)는 렌즈 부재(105)에 대해 LED 패키지(530)가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측 단부에 설치된다.
상세히, 렌즈 부재(105)는 파장 변환 부재(996)에 대향되는 대향부(1051)를 구비한다. 대향부(1051)에는 파장 변환 부재(996)가 접착 등에 의해 고정된다. 또, 렌즈 부재(105)는 LED 패키지(530)로부터의 빛을 파장 변환 부재(996)에 통과시키지 않고 진행시키는 진행부(1052)를 구비한다. 진행부(1052)는 대향부(1051)에 서로 이웃하도록 구비된다. 진행부(1052)는 파장 변환 부재(996)를 우회하여, 렌즈 부재(105) 외부로 빛이 진행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한편, 진행부(1052)의 표면적은 대향부(1051)의 표면적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예 5의 발광부(1050)에서,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렌즈 부재(105)의 외주 전체에, 파장 변환 부재(996)를 설치하지 않았다. 즉, LED 패키지(530)로부터의 빛을 모두 파장 변환 부재(996)에 통과시키지 않도록 했다. 그리고 렌즈 부재(105)에 입사한 빛의 일부는 렌즈 부재(105)로부터 직접적으로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발광부(1050)를 사용해도, 저장실(2) 내부 전체가 밝아진다. 또, 사용자의 눈부심이 저감되어, 저장실(2) 내의 물품(100)(도 6 참조)을 보기가 더 쉬워진다.
한편, 제1 실시예 내지 제8 실시예, 각 변형예의 조명부를 냉장고(1)에 적용하는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냉장고(1)에 적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실시예 내지 제8 실시예, 각 변형예의 조명부는 예를 들면 조명 기구 등의 저장실 내를 비추는 조명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저장실의 안쪽을 향해 빛을 진행시켜, 저장실의 전방측을 향해 진행하는 빛을 억제하는 것은 필요가 없는 경우도 생긴다. 이러한 경우에는 저장실의 전방측을 향해 진행하는 빛을 억제하는 구성은 필수가 되지 않는다.
1: 냉장고
2: 저장실
4: 선반
50, 60,70,80, 90, 690, 750, 890: 조명부
51: 케이스
52: 커버 부재
53: LED
54: 기판
55: 렌즈 부재
65: 렌즈 부재
92: 커버 부재
93: 편광 렌즈 부재
94: 반사 부재
95: 제2 반사 부재
165: 반사 부재

Claims (20)

  1.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저장실 및 상기 저장실 내에 장착되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저장실의 일면에 매립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를 커버하고, 빛이 투과 가능한 커버 부재;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간에 배치되고,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재;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재를 커버하여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기설정된 각도의 범위 이내에서 진행하도록 가이드하는 광학부재; 및
    상기 광학부재로부터 출사된 광이 상기 커버부재에 입사되도록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커버부 및 상기 제1커버부보다 빛의 확산도가 높게 구비되고 상기 제1커버부와 평행하게 구비되는 제2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부재, 상기 반사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조사된 빛이 상기 저장실의 후방으로 진행하도록 가이드하고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조사된 빛이 상기 개구부를 향해 전방으로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발광된 빛은 상기 광학부재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저장실의 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축과 이루는 각도가 20˚ 이상 60˚이하의 범위에 있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재는
    후방을 향해 진행하도록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발광된 빛을 굴절시키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연결되고, 후방을 향해 진행하도록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전반사시키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발광부재의 전방에 배치되는 냉장고.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부와 상기 제2커버부는 일체로 마련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부 및 상기 제2커버부는 상기 저장실의 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축과 20˚이상 60˚이하의 범위 내에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발광된 빛을 상기 저장실 안쪽으로 안내하는 냉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발광되는 빛은 상기 반사부재에서 반사되어 상기 커버부재로 입사되는 냉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발광부재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저장실의 내측으로 진행하려는 빛을 반사시키는 제1반사부재 및 상기 제1반사부재로부터 반사된 빛을 상기 저장실 내측 후방으로 반사시키는 제2반사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복수의 발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부재는 단일하게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발광부재를 커버하는냉장고.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복수의 발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부재는, 상기 복수의 발광부재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되는 냉장고.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재는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발광된 빛의 파장을 변환시키는 파장변환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변환부재는,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발광된 빛을 흡수하여 장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형광체를 포함하는 냉장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변환부재는, 청색광을 흡수하여 녹색광을 발산하는 녹색 형광부 및 청색광을 흡수하여 적색광을 발산하는 적색 형광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5. 삭제
  16. 물품이 수용되는 저장실 및 상기 저장실 내에 장착되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재;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가이드하는 편광 렌즈 부재로서,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일부가 투과하는 제1 렌즈부와,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일부를 전반사에 의해 편광시키는 제2 렌즈부를 포함하는 편광 렌즈 부재; 및
    상기 케이스를 커버하고 상기 발광부재의 빛을 확산시키는 제1확산부 및 상기 제1확산부보다 큰 확산도를 갖는 제2확산부를 포함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확산부는 상기 조명부가 설치되는 상기 저장실의 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축으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제2확산부는 상기 제1확산부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발광된 빛이 저장실의 안쪽으로 진행하도록 안내하는 냉장고.
  17. 삭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확산부와 상기 제2확산부는 각각 복수 개가 구비되어 서로 교번하여 위치되는 냉장고.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발광된 빛이 상기 커버부재로 입사되도록 반사시키는 반사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편광 렌즈 부재는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발광된 빛이 상기 반사부재로 입사되도록 가이드하는 냉장고.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의 일면은,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먼 반사면의 광축이 상기 조명부가 구비되는 저장실의 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축과 이루는 각도보다 상기 발광부재에 인접한 반사면의 광축이 수직축과 이루는 각도가 작게 구비되는 냉장고.
KR1020150187861A 2014-12-26 2015-12-28 냉장고 KR102473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14362 WO2016105177A2 (ko) 2014-12-26 2015-12-28 냉장고
US15/539,904 US10203153B2 (en) 2014-12-26 2015-12-28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66761 2014-12-26
JP2014266761 2014-12-26
JPJP-P-2015-029929 2015-02-18
JP2015029929 2015-02-18
JPJP-P-2015-177817 2015-09-09
JP2015177817 2015-09-09
JPJP-P-2015-236937 2015-12-03
JP2015236937 2015-12-03
JPJP-P-2015-237600 2015-12-04
JP2015237600A JP2017106637A (ja) 2014-12-26 2015-12-04 冷蔵庫および照明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726A KR20160079726A (ko) 2016-07-06
KR102473597B1 true KR102473597B1 (ko) 2022-12-05

Family

ID=56502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861A KR102473597B1 (ko) 2014-12-26 2015-12-28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5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88452B2 (ja) * 2016-09-16 2020-11-25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2917A (ja) 2009-07-03 2011-01-20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6827C2 (sv) * 1996-06-14 1998-02-16 Electrolux Ab Belysningsanordning vid ett kyl- eller frysskåp
KR100766111B1 (ko) * 2005-11-16 2007-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JP4931628B2 (ja) * 2006-03-09 2012-05-16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表示装置
KR20080001250A (ko) * 2006-06-29 2008-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조명장치
KR20090132400A (ko) * 2008-06-20 2009-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조명장치
KR20120045572A (ko) * 2010-10-29 2012-05-09 (주) 아모엘이디 냉장고 실내 조명 모듈 및 조명용 반사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2917A (ja) 2009-07-03 2011-01-20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726A (ko) 201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3153B2 (en) Refrigerator
US8480266B2 (en) Vehicle light unit and vehicle light
EP2548055B1 (en) A light mixing module, and a luminaire comprising such a light mixing module
JP5794295B2 (ja) 照明装置、棚板ユニット、およびショーケース
JP4937649B2 (ja) 車両用灯具
JP4290601B2 (ja) 車両用灯具ユニットおよび車両用灯具
US9562670B2 (en) Illumination system, luminaire, collimator, and display device
JP6746397B2 (ja) 車両用灯具
JP2010192439A (ja) 発光装置及びその導光部材
JP2006313681A (ja) 車両用灯具
US20110199780A1 (en) Illumination device configured to mix light from a first and a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JP6446202B2 (ja) 広角度拡散光学系及びこれを用いた照明装置
US20220034463A1 (en) Multi-beam vehicle light
JP6214151B2 (ja) 照明装置
JP2013543215A (ja) 狭ビームサイズと高ルーメン出力とを有するセグメント化スポットライト
KR102473597B1 (ko) 냉장고
JP2012074317A (ja) 照明装置、ランプ及びショーケース
US10066793B2 (en) LED luminaire
JP2013077454A (ja) 照明装置
JP2014056787A (ja) 照明装置
JP2010177117A (ja) 照明装置
WO2022102785A1 (ja) 車両用灯具
JP7363024B2 (ja) 車両用導光部材、車両用灯具
JP2022187905A (ja) 車両用灯具
WO2013141053A1 (ja) 照明装置、車両用前照灯および導光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