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3174B1 - 개구부 내주면 및 상면이 동시에 밀봉되는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개구부 내주면 및 상면이 동시에 밀봉되는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174B1
KR102473174B1 KR1020200049462A KR20200049462A KR102473174B1 KR 102473174 B1 KR102473174 B1 KR 102473174B1 KR 1020200049462 A KR1020200049462 A KR 1020200049462A KR 20200049462 A KR20200049462 A KR 20200049462A KR 102473174 B1 KR102473174 B1 KR 102473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ircumferential surface
container body
cap
inn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1088A (ko
Inventor
정보슬
Original Assignee
정보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보슬 filed Critical 정보슬
Priority to KR1020200049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174B1/ko
Publication of KR20210131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65D41/041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plug,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in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3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separate sealing elements
    • B65D41/044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을 담거나 인출하여 사용하는 개구부의 밀봉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개구부 내주면 및 상면이 동시에 밀봉되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수용부(110)에 내용물이 충전되고, 일방으로 개방된 형태의 개구부(120)를 갖는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개폐 조작되고 동시에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기 한 개폐 캡(2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폐 캡(200)의 내부 하측으로는 결합단관(210)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단관으로는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120) 내주면(122) 및 상면(124)을 동시에 밀봉 차단하기 위한 연질 소재의 밀봉 캡(300)이 탈착 가능하게 탄성 결합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구부 내주면 및 상면이 동시에 밀봉되는 포장용기{Packaging container in whic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ing are sealed together}
본 발명은 화장품을 포함하여 각종 내용을 담아 사용하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용물을 담거나 인출하여 사용하는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대한 밀봉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도 밀봉성은 현저하게 향상되는 개구부 내주면 및 상면이 동시에 밀봉되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을 포함하여 각종 형태의 내용물들을 담아 사용하는 포장용기의 경우에는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밀봉성이 강하게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액상 형태의 화장 내용물이나 외부 공기 유입에 따른 변질, 산화 등이 쉽게 이루어지는 내용물들의 경우에는 특히, 강한 밀봉성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포장 용기의 개구부에 대한 밀봉성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들이 종래에도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 제공되고 있는 밀봉 구조들은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고, 또 용기에 대한 캡의 결합을 통하여 밀봉성이 이루어지는 구조들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기대하는 것 만큼의 큰 밀봉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제시되고 있는 밀봉 구조의 일 예로서, 특허문헌 1,2에 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제시된 밀봉구조의 경우, 캡과 바디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가 캡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캡을 바디에 착탈시, 바디의 대응 외주면이 실링되도록 하는 구조이고, 또 특허문헌 2에 제시된 밀봉구조의 경우에는 캡의 개방단부 내주면에 스프트한 재질의 기밀패드를 이중 사출 방식으로 일체 형성하여 용기본체의 결합부 측벽을 기밀하도록 이루어진 구조이다.
하지만, 상기 특허문헌 1,2의 밀봉구조는 바디 또는 용기본체의 개방단부 외주면을 기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캡의 나사 결합 구조상, 실링부재나 기밀패드의 분리 이탈, 훼손 우려는 물론 용기본체의 개구부 내주면에 대한 밀봉이 동시에 이루어지지 못하기 높은 밀봉 효과를 제공하느데는 한계가 있다.
1. KR1020130049717(2013.05.14. 공개) 2. KR1020170083218(2017.07.18.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밀봉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도 용기본체에 대하여 개폐 캡의 닫음 조작시, 용기본체의 개구부 내주면 및 상면이 동시에 밀봉 차단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높은 밀봉성을 제공하도록 한 개구부 내주면 및 상면이 동시에 밀봉되는 포장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개구부 내주면 및 상면이 동시에 밀봉되는 포장용기에 따르면, 수용부(110)에 내용물이 충전되고, 일방으로 개방된 형태의 개구부(120)를 갖는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개폐 조작되고 동시에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기 한 개폐 캡(2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폐 캡(200)의 내부 하측으로는 결합단관(210)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단관으로는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120) 내주면(122) 및 상면(124)을 동시에 밀봉 차단하기 위한 연질 소재의 밀봉 캡(300)을 탈착 가능하게 탄성 결합하되, 상기 밀봉 캡(300)은 내주면이 상기 결합단관(210)의 외측에 밀착 지지되고 동시에 외주면이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20) 내주면(122)에 상호 밀착되는 관체 형상의 측벽부(310)와, 상기 측벽부의 일 측을 일체로 연결 차단 지지하는 연결부(320), 상기 연결부로 연결된 타 측의 측벽부 상단 외측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어 개폐 캡(200)의 내주면 및 개구부(120)의 상면(124)에 대하여 동시에 밀착되는 플렌지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밀봉 캡(300)의 측벽부(310) 외경(L1)은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20) 내경(L2)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구성하되, 상기 밀봉 캡(300)의 측벽부(310) 외주면(310a)은 하단을 향해 좁아지도록 경사(A)지게 형성하여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20)에 대한 초기 진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지되, 상기 밀봉캡(300)은 상기 결합단관(210)의 외주면 및 밀봉 캡(300)의 측벽부(310) 대응 내주면으로 형성된 걸림 테(212)(312)가 걸림 결합되어 지고 동시에 밀봉캡(300)의 플렌지부(330)가 상기 개폐 캡(200)으로 형성된 걸림턱(220)에 의해 상호 걸림되어 지는 것에 의해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됨과 동시에 상기 개폐 캡(200)의 걸림턱(220)에 대하여 밀봉 캡(300)의 플렌지부(330)가 안정적으로 걸림고정되어 짐에 따라 상기 플렌지부가 개폐 캡의 개폐 조작시, 임의적으로 처지거나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대해 개폐 캡을 열고 닫을 때 개폐 캡의 결합단관으로 탄성 결합된 연질 소재의 밀봉 캡이 개구부 내주면을 비롯하여 상면을 동시에 탄성 밀착하는 상태로 밀봉함에 따라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대한 기밀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도 높은 밀봉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특단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조립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용기본체로부터 개폐 캡이 분리되 상태의 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리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캡의 발췌 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조립 측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구부 내주면 및 상면이 동시에 밀봉되는 포장용기는, 용기본체(100) 및 개폐 캡(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용기본체(100)는 내부 공간에 포장 내용물이 채워지는 수용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의 일방으로는 내용물의 충전이나 인출 사용을 위한 개구부(120)가 단차지게 갖추어져 있다.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20)는 개폐 캡(200)에 의해 열고 닫힌다. 즉, 개폐 캡을 열면 상기 개구부가 개방되어 지고, 또 닫으면 밀봉되는 구조이다.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20)에 대하여 열고 닫히는 개폐 캡(200)은 다양한 개폐 결합에 의해 밀봉 개폐되어 질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예시된 나사 결합 방식을 비롯하여,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언더 컷 결합 방식은 물론 실용신안등록 제20-0425672호에 개재된 삼각 돌편을 이용한 개폐 구조나, 특허 제10-0799504호에 개재된 개폐 방식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특정 개폐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개폐 캡(200)의 내부 하측으로는 결합단관(210)이 연장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결합단관의 연장 길이는 개구부(120)의 내부로 어느 정도 진입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면 된다.
상기 결합단관(210)으로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20) 내주면(122) 및 상면(124)을 동시에 밀봉 차단하기 위한 연질 고무 소재의 밀봉 캡(300)이 탈착 가능하게 탄성 결합되어 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밀봉 캡(300)은 내주면이 상기 결합단관(210)의 외측에 밀착 지지되고 동시에 외주면이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20) 내주면(122)에 상호 밀착되는 관체 형상의 측벽부(310)와, 상기 측벽부의 일 측을 일체로 연결 차단 지지하는 연결부(320), 상기 연결부로 연결된 타 측의 측벽부(310) 상단 외측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어 개폐 캡(200)의 내주면 및 개구부(120)의 상면(124)에 대하여 동시에 밀착되는 플렌지부(33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결합단관(210)에 탄성 결합되는 밀봉 캡(300)의 측벽부(310) 외경(L1)은,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20) 내경(L2)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밀봉 캡(300)의 측벽부(310)의 외경(L1)이 개구부(120)의 내경(L2)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하여 이들의 결합시, 자체 탄성을 갖는 밀봉 캡(300)의 측벽부(310)가 개구부(120)의 내주면(122)에 대해 강제로 압축되면서 밀착 끼움되기 때문에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20)에 대한 확실한 탄성 밀봉력이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좀더 상술하면, 개폐 캡의 닫음 조작시, 밀봉 캡(300)은 결합단관(210)의 외주면에 탄성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부(120)에 대한 밀봉 진입시, 측벽부(320)의 직경이 개구부의 직경보다 다소 큰 상태이더라도 자체 탄성을 통해 압착되어지고, 이때 압착되는 측벽부는 그 내측이 결합단관(210)에 의해 버팀되어 짐에 따라 직경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강제적으로 압축되어 지면서 개구부(120)의 내주면(122)에 밀착되면서 끼워지게되고, 그 탄성 압축된 만큼 개구부는 더욱 강한 밀봉력을 제공받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결합단관(210)의 외주면으로는 걸림 테(212)를 더 형성하고, 상기 밀봉 캡(300)의 측벽부(310) 대응 내주면으로도 걸림 테(312)를 더 형성하여 결합단관(210)에 대해 밀봉 캡(300)의 결합시, 상기 걸림 테(212)(312)의 상호 걸림에 의해 임의적인 분리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밀봉 캡(300)의 측벽부(310) 외주면(310a)은 하단을 향해 좁아지도록 경사(A)지게 형성하여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20)에 대한 초기 진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밀봉 캡(300)의 측벽부(310) 외주면(310a)이 하단을 향해 내측으로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으로 인해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20) 내주면에 때한 밀봉 캡(300)의 초기 진입을 보다 신속 용이하게 유도하여 개폐 캡(200)의 닫힘 동작을 보다 신속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폐 캡(200)의 내측으로는 결합단관(210)에 대한 밀봉 캡(300)의 탄성 결합시, 밀봉 캡(300)의 플렌지부(330)가 걸림되는 걸림턱(220)이 더 형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개폐 캡(200)에 형성되는 걸림턱(220)에 대하여 밀봉 캡(300)의 플렌지부(330)가 안정적으로 걸림 고정됨에 따라 상기 플렌지부가 개폐 캡의 개폐 조작시, 임의적으로 처지거나 유동되는 문제를 피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밀봉 캡(300)은 실리콘,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BR(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eral Rubber), NRSBR(Nateral Rubber Styrene Butadiene Rubber), 우레탄, 폴리에틸렌, 라텍스, 니트릴고무, 부틸고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개구부 내주면 및 상면이 동시에 밀봉되는 포장용기는, 개폐 캡(200)의 결합단관(210)에 대하여 밀봉 캡(300)이 탄성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임의적인 분리 이탈이 방지되면서,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20)에 대해 개폐 캡(200)의 결합시, 상기 밀봉 캡(300)의 측벽부(310) 및 플렌지부(330)가 상기 개구부(120)의 내주면(122) 및 상면(124)에 대해 동시에 탄성 밀착됨에 따라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20)는 항상 안정된 밀봉 상태를 유지 제공받게 된다.
특히, 밀봉 캡(30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20) 내주면에 대해 강제로 밀착되더라도 그 탄성 밀착력이 결합단관(210)에 의해 적정하게 제어됨에 따라 항상 일정하고 안정된 밀봉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문론이다.
100: 용기본체 110: 수용부
120: 개구부 122: 내주면
124: 상면 200: 개폐 캡
210: 결합단관 212,312: 걸림 테
220: 걸림턱 300: 밀봉 캡
310: 측벽부 310a: 측벽부의 외주면
320: 연결부 330: 플렌지부

Claims (6)

  1. 수용부(110)에 내용물이 충전되고, 일방으로 개방된 형태의 개구부(120)를 갖는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개폐 조작되고 동시에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기 한 개폐 캡(2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폐 캡(200)의 내부 하측으로는 결합단관(210)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단관으로는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120) 내주면(122) 및 상면(124)을 동시에 밀봉 차단하기 위한 연질 소재의 밀봉 캡(300)을 탈착 가능하게 탄성 결합하되,
    상기 밀봉 캡(300)은 내주면이 상기 결합단관(210)의 외측에 밀착 지지되고 동시에 외주면이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20) 내주면(122)에 상호 밀착되는 관체 형상의 측벽부(310)와, 상기 측벽부의 일 측을 일체로 연결 차단 지지하는 연결부(320), 상기 연결부로 연결된 타 측의 측벽부 상단 외측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어 개폐 캡(200)의 내주면 및 개구부(120)의 상면(124)에 대하여 동시에 밀착되는 플렌지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밀봉 캡(300)의 측벽부(310) 외경(L1)은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20) 내경(L2)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구성하되, 상기 밀봉 캡(300)의 측벽부(310) 외주면(310a)은 하단을 향해 좁아지도록 경사(A)지게 형성하여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20)에 대한 초기 진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지되,
    상기 밀봉캡(300)은 상기 결합단관(210)의 외주면 및 밀봉 캡(300)의 측벽부(310) 대응 내주면으로 형성된 걸림 테(212)(312)가 걸림 결합되어 지고 동시에 밀봉캡(300)의 플렌지부(330)가 상기 개폐 캡(200)으로 형성된 걸림턱(220)에 의해 상호 걸림되어 지는 것에 의해 임의적인 분리 이탈이 방지됨과 동시에 상기 개폐 캡(200)의 걸림턱(220)에 대하여 밀봉 캡(300)의 플렌지부(330)가 안정적으로 걸림고정되어 짐에 따라 상기 플렌지부가 개폐 캡의 개폐 조작시, 임의적으로 처지거나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내주면 및 상면이 동시에 밀봉되는 포장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49462A 2020-04-23 2020-04-23 개구부 내주면 및 상면이 동시에 밀봉되는 포장용기 KR102473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462A KR102473174B1 (ko) 2020-04-23 2020-04-23 개구부 내주면 및 상면이 동시에 밀봉되는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462A KR102473174B1 (ko) 2020-04-23 2020-04-23 개구부 내주면 및 상면이 동시에 밀봉되는 포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088A KR20210131088A (ko) 2021-11-02
KR102473174B1 true KR102473174B1 (ko) 2022-11-30

Family

ID=78476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462A KR102473174B1 (ko) 2020-04-23 2020-04-23 개구부 내주면 및 상면이 동시에 밀봉되는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1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6444A (ja) * 1998-06-26 2000-01-18 Yoshino Kogyosho Co Ltd 密封容器
JP2002211619A (ja) 2001-01-11 2002-07-31 Shibazaki Seisakusho Ltd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2002264962A (ja) * 2001-03-12 2002-09-18 Shibazaki Seisakusho Ltd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2002293340A (ja) 2001-03-30 2002-10-09 Nihon Yamamura Glass Co Ltd 容器口部の密封用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855A (ja) * 1997-06-30 1999-01-26 Pentel Kk 容器用キャップ
KR101414379B1 (ko) 2011-11-04 2014-07-01 최민철 화장품 용기
KR20170083218A (ko) 2016-01-08 2017-07-18 주식회사 리치코스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6444A (ja) * 1998-06-26 2000-01-18 Yoshino Kogyosho Co Ltd 密封容器
JP2002211619A (ja) 2001-01-11 2002-07-31 Shibazaki Seisakusho Ltd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2002264962A (ja) * 2001-03-12 2002-09-18 Shibazaki Seisakusho Ltd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2002293340A (ja) 2001-03-30 2002-10-09 Nihon Yamamura Glass Co Ltd 容器口部の密封用キャ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088A (ko) 202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6145B2 (ja) パフ内蔵型化粧用パウダー容器
US10206482B2 (en) Cosmetic container with inner lid
US10493475B1 (en) Pump type liquid airtight container
PE20001157A1 (es) Cartucho para un liquido
CN102770356A (zh) 包装件
ITMI20081462A1 (it) Dispositivo erogatore di sostanze fluide
KR101548102B1 (ko) 쐐기 결합 방식의 기밀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US10894633B2 (en) Cosmetic container
US8608380B2 (en) Air discharge valve for a vacuum-sealed clothes bag
KR20140012845A (ko)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KR200476920Y1 (ko) 포장용 용기 뚜껑
KR101816997B1 (ko) 화장품 리필 케이스
CN109893011A (zh) 一种薄膜式湿巾桶
KR102473174B1 (ko) 개구부 내주면 및 상면이 동시에 밀봉되는 포장용기
CN110352166A (zh) 盖的密封结构
US2485996A (en) Closure means for rubber hot-water bottles or bags
CN205034502U (zh) 真空控制密封盖
KR20170083218A (ko) 화장품 용기
KR101892401B1 (ko) 밀폐 타입 화장품 용기
KR102352535B1 (ko)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 용기
KR200493583Y1 (ko) 원터치 캡 일체형 화장품 용기
KR101756963B1 (ko) 컴팩트 용기
CN207258478U (zh) 一种带泄气功能的全封闭垃圾桶
KR200459770Y1 (ko) 용기뚜껑
KR20140082536A (ko) 연질의 접철부가 있는 이종물질 수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