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3062B1 - 공조시스템용 덕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공조시스템용 덕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062B1
KR102473062B1 KR1020220055787A KR20220055787A KR102473062B1 KR 102473062 B1 KR102473062 B1 KR 102473062B1 KR 1020220055787 A KR1020220055787 A KR 1020220055787A KR 20220055787 A KR20220055787 A KR 20220055787A KR 102473062 B1 KR102473062 B1 KR 102473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ir conditioning
conditioning system
inner space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5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규명
Original Assignee
채규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규명 filed Critical 채규명
Priority to KR1020220055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0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F16L55/28Constructional aspects
    • F16L55/30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opulsion means, e.g. towed by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1/00Uses or applications of pigs or moles
    • F16L2101/10Treating the inside of pipes
    • F16L2101/12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을 따라 설치되는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시공 메뉴얼 제공을 통해 덕트의 설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공조시스템용 덕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설치를 위해 천장에 타공을 실시하는 천장 타공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조시스템용 덕트 시공 방법{Duct Construction Method For 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공조시스템용 덕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을 따라 설치되는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시공 메뉴얼 제공을 통해 덕트의 설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공조시스템용 덕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건식 에어덕트 환기 시스템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방측과 욕실측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정상적으로 배기되도록 하기 위하여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주방측과 욕실측 일측 선상에 설치되어 상술한 가스의 배기와 환기를 조장하게 된다.
이러한 건식 에어덕트 환기 시스템(DRY AIR DUCT SYSTEM)은 피브이시(PVC) 소재나 갈바늄 갈바륨(알루미늄 아연 도금) 소재를 이용한 에어덕트를 각 층마다 연결하여 옥탑에서 자연 배기되도록 형성된다.
종래에는 바닥 콘크리트의 층간마다 에어덕트의 연결을 위한 시공홀이 형성되는 한편, 그 내부에 슬리브가 끼움 결합되어 별도의 지지구로 하여금 이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바, 이는 시공상 에어덕트가 슬리브에 결합된 상태에서 유동하지 못하도록 별도의 백업제 또는 실란트를 처리하여야 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상당히 불편한 작업을 유도하게 되고, 상술한 별도의 부자재가 요구되어 원가 상승 등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27903호 한국등록특허 제10-1867766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천장을 따라 설치되는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시공 메뉴얼 제공을 통해 덕트의 설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공조시스템용 덕트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용 덕트 시공 방법은,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설치를 위해 천장에 타공을 실시하는 천장 타공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용 덕트 시공 방법은, 상기 천장 타공 단계에 의해 천장에 형성된 타공을 이용하여 천장을 따라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를 설치하는 덕트 설치 단계; 상기 덕트 설치 단계에 의해 설치된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를 따라 필터 유닛을 설치하는 필터 유닛 설치 단계; 상기 덕트 설치 단계에 의해 설치된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에 구동을 위한 전원을 연결 설치하는 전원 연결 단계; 및 상기 덕트 설치 단계에 의해 설치되는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에 전원을 공급하여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운전을 수행하는 시운전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용 덕트 시공 방법은, 상기 덕트 설치 단계에 의해 설치된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내측면의 이물질을 덕트 청소 장치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덕트 클리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덕트 청소 장치는,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내측에 안착되어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내측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유닛; 상기 이동 유닛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청소하는 상단 청소부; 상기 이동 유닛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내부 공간의 하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청소하는 하단 청소부; 상기 이동 유닛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단 청소부에 의한 청소 과정에서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으로부터 분리되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로부터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제1 흡입 노즐; 및 상기 이동 유닛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단 청소부에 의한 청소 과정에서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내부 공간의 하측면으로부터 분리되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로부터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제2 흡입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내부 공간의 하측면에 안착되기 위한 다수 개의 제1 롤러가 하측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에 안착되기 위한 다수 개의 제2 롤러가 상측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내부 공간의 일측면에 안착되기 위한 다수 개의 제3 롤러가 일측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내부 공간의 타측면에 안착되기 위한 다수 개의 제4 롤러가 타측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단 청소부는, 사각형 형태로 배치되는 4 개의 지지 롤러에 의해 각 코너가 지지되어 "ㅁ" 형태로 상기 이동 유닛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4 개의 지지 롤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 롤러가 회전 구동함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회전 컨베이어 벨트의 상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이동 유닛의 상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에 안착되며, 상기 회전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동하는 동시에 스스로 자전하면서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청소하는 청소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청소 유닛은, 상기 회전 컨베이어 벨트의 상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유닛 지지대; 상하 방향으로 연통 형성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유닛 지지대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배관; 상기 고정 배관의 내부 공간과 자신의 내부 공간이 연통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통 형성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배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배관; 상기 고정 배관과 상기 회전 배관이 맞물리는 상기 고정 배관의 상측에서 상기 회전 배관의 외주면을 수평 방향으로 일주하면서 반복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회전 배관을 회전 구동시켜 주는 배관 회전 기어; 상기 회전 배관의 내부 공간의 중단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 배관이 회전 구동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 배관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승되는 공기의 이동을 유도시켜 주는 상승 프로펠러; 및 상기 회전 배관의 상측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회전 배관이 회전 구동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쓸어서 청소하는 청소용 솔;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청소 유닛이 상측으로 노출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측면을 따라 "ㅁ" 형태의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제1 롤러의 회전을 위해 구동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청소 유닛은, 상기 상승 프로펠러를 회전 구동시켜 주기 위한 회전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천장을 따라 설치되는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시공 메뉴얼 제공을 통해 덕트의 설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용 덕트 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용 덕트 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덕트 클리닝 단계에서 사용되는 덕트 청소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5의 상단 청소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청소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용 덕트 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용 덕트 시공 방법은, 우선 공조시스템용 덕트(10)의 설치를 위해 천장에 타공을 실시한다(S110).
천장 타공 단계(S110)에 의해 천장에 형성된 타공을 이용하여 천장을 따라 공조시스템용 덕트(10)를 설치한다(S120).
덕트 설치 단계(S120)에 의해 설치된 공조시스템용 덕트(10)를 따라 필터 유닛을 설치한다(S130).
덕트 설치 단계(S120)에 의해 설치된 공조시스템용 덕트(10)에 구동을 위한 전원을 연결 설치한다(S140).
덕트 설치 단계(S120)에 의해 설치되는 공조시스템용 덕트(10)에 전원을 공급하여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운전을 수행한다(S15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용 덕트 시공 방법은, 천장을 따라 설치되는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시공 메뉴얼 제공을 통해 덕트의 설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용 덕트 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용 덕트 시공 방법은, 덕트 설치 단계(S120)에 의해 설치된 공조시스템용 덕트(10)의 내측면의 이물질을 도 3 이하에서 후술하는 덕트 청소 장치(20)를 이용하여 제거한다(S15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용 덕트 시공 방법은, 공조시스템용 덕트(10)의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하면서 공조시스템용 덕트(10)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부착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공조시스템용 덕트(10)의 유지 보수를 수행하는 동시에 이물질의 축척에 다른 약취 등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덕트 클리닝 단계에서 사용되는 덕트 청소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덕트 청소 장치(20)는, 이동 유닛(100), 상단 청소부(200), 하단 청소부(300), 제1 흡입 노즐(400) 및 제2 흡입 노즐(500)을 포함한다.
이동 유닛(100)은, 공조시스템용 덕트(10)의 내측에 안착되어 공조시스템용 덕트(10)의 내측을 따라 이동하며, 상단 청소부(200), 하단 청소부(300), 제1 흡입 노즐(400) 및 제2 흡입 노즐(50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 유닛(100)은, 청소 유닛(220)이 상측으로 노출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측면을 따라 "ㅁ" 형태의 개구부(110)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 유닛(100)은, 공조시스템용 덕트(10)의 내부 공간의 하측면에 안착되기 위한 다수 개의 제1 롤러(R1)가 하측을 따라 설치되고, 공조시스템용 덕트(10)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에 안착되기 위한 다수 개의 제2 롤러(R2)가 상측을 따라 설치되고, 공조시스템용 덕트(10)의 내부 공간의 일측면에 안착되기 위한 다수 개의 제3 롤러(R3)가 일측을 따라 설치되고, 공조시스템용 덕트(10)의 내부 공간의 타측면에 안착되기 위한 다수 개의 제4 롤러(R4)가 타측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 유닛(100)은, 하단에 설치되는 제1 롤러(R1)의 회전을 위해 구동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단 청소부(200)는, 이동 유닛(100)의 상측에 설치되어 공조시스템용 덕트(10)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청소한다.
하단 청소부(300)는, 이동 유닛(100)의 하측에 설치되어 공조시스템용 덕트(10)의 내부 공간의 하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청소한다.
제1 흡입 노즐(400)은, 이동 유닛(10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단 청소부(200)에 의한 청소 과정에서 공조시스템용 덕트(10)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으로부터 분리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이동 유닛(100)의 후단에 설치되는 제1 배출 튜브(T1)를 통해 공조시스템용 덕트(10)로부터 외부로 배출시켜 준다.
제2 흡입 노즐(500)은, 이동 유닛(10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단 청소부(200)에 의한 청소 과정에서 공조시스템용 덕트(10)의 내부 공간의 하측면으로부터 분리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이동 유닛(100)의 후단에 설치되는 제2 배출 튜브(T2)를 통해 공조시스템용 덕트(10)로부터 외부로 배출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덕트 청소 장치(20)는, 공조시스템용 덕트(10)의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하면서 공조시스템용 덕트(10)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부착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공조시스템용 덕트(10)의 유지 보수를 수행하는 동시에 이물질의 축척에 다른 약취 등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상단 청소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단 청소부(200)는, 회전 컨베이어 벨트(210) 및 청소 유닛(220)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단 청소부(300)는, 후술하는 상단 청소부(20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상단 청소부(200)의 회전 컨베이어 벨트(210) 및 청소 유닛(220)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회전 컨베이어 벨트(210)는, 사각형 형태로 배치되는 4 개의 지지 롤러(230)에 의해 각 코너가 지지되어 "ㅁ" 형태로 이동 유닛(10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며, 4 개의 지지 롤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 롤러(230)가 회전 구동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청소 유닛(220)를 이동시켜 준다.
청소 유닛(220)은, 회전 컨베이어 벨트(210)의 상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부가 이동 유닛(100)을 따라 형성되는 개구부(110)를 통해 이동 유닛(100)의 상방으로 노출되어 공조시스템용 덕트(10)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에 안착되며, 회전 컨베이어 벨트(21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 컨베이어 벨트(210)에 의해 이동하는 동시에 스스로 자전하면서 공조시스템용 덕트(10)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청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단 청소부(200)는, 공조시스템용 덕트(10)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에 부착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공조시스템용 덕트(10)의 유지 보수를 수행하는 동시에 이물질의 축척에 다른 약취 등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청소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및 도 8을 참조하면, 청소 유닛(220)은, 유닛 지지대(221), 고정 배관(222), 회전 배관(223), 배관 회전 기어(224), 상승 프로펠러(225) 및 청소용 솔(226)을 포함한다.
유닛 지지대(221)는, 회전 컨베이어 벨트(210)의 상측에 직립되어 설치되어 고정 배관(222)을 지지한다.
고정 배관(222)은, 상하 방향으로 연통 형성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유닛 지지대(221)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측에 회전 배관(223)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회전 배관(223)은, 고정 배관(222)의 내부 공간과 자신의 내부 공간이 연통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통 형성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 배관(222)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배관 회전 기어(224)는, 고정 배관(222)과 회전 배관(223)이 맞물리는 고정 배관(222)의 상측에서 회전 배관(223)의 외주면을 수평 방향으로 일주하면서 반복 형성되는 기어산(G)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회전 배관(223)을 회전 구동시켜 준다.
상승 프로펠러(225)는, 회전 배관(223)의 내부 공간의 중단에 배치되며, 회전 배관(223)이 회전 구동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회전 배관(223)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승되는 공기의 이동을 유도시켜 준다.
청소용 솔(226)은, 회전 배관(223)의 상측을 따라 설치되며, 회전 배관(223)이 회전 구동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공조시스템용 덕트(10)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쓸어서 청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청소 유닛(220)은, 회전 구동 모터(2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구동 모터(227)는, 상승 프로펠러(225)를 회전 구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청소 유닛(220)은, 회전하는 청소용 솔(226)을 이용하여 공조시스템용 덕트(10)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을 쓸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시에 바람을 공조시스템용 덕트(10)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 방향으로 불어 줌으로써 제거된 이물질이 다시 공조시스템용 덕트(10)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에 부착되어 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공조시스템용 덕트
20: 덕트 청소 장치
100: 이동 유닛
200: 상단 청소부
300: 하단 청소부
400: 제1 흡입 노즐
500: 제2 흡입 노즐

Claims (3)

  1.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설치를 위해 천장에 타공을 실시하는 천장 타공 단계;
    상기 천장 타공 단계에 의해 천장에 형성된 타공을 이용하여 천장을 따라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를 설치하는 덕트 설치 단계;
    상기 덕트 설치 단계에 의해 설치된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를 따라 필터 유닛을 설치하는 필터 유닛 설치 단계;
    상기 덕트 설치 단계에 의해 설치된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에 구동을 위한 전원을 연결 설치하는 전원 연결 단계; 및
    상기 덕트 설치 단계에 의해 설치되는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에 전원을 공급하여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운전을 수행하는 시운전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덕트 설치 단계에 의해 설치된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내측면의 이물질을 덕트 청소 장치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덕트 클리닝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덕트 청소 장치는,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내측에 안착되어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내측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유닛; 상기 이동 유닛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청소하는 상단 청소부; 상기 이동 유닛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내부 공간의 하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청소하는 하단 청소부; 상기 이동 유닛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단 청소부에 의한 청소 과정에서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으로부터 분리되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로부터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제1 흡입 노즐; 및 상기 이동 유닛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단 청소부에 의한 청소 과정에서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내부 공간의 하측면으로부터 분리되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로부터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제2 흡입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내부 공간의 하측면에 안착되기 위한 다수 개의 제1 롤러가 하측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에 안착되기 위한 다수 개의 제2 롤러가 상측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내부 공간의 일측면에 안착되기 위한 다수 개의 제3 롤러가 일측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내부 공간의 타측면에 안착되기 위한 다수 개의 제4 롤러가 타측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상단 청소부는,
    사각형 형태로 배치되는 4 개의 지지 롤러에 의해 각 코너가 지지되어 "ㅁ" 형태로 상기 이동 유닛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4 개의 지지 롤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 롤러가 회전 구동함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회전 컨베이어 벨트의 상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이동 유닛의 상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에 안착되며, 상기 회전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동하는 동시에 스스로 자전하면서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청소하는 청소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청소 유닛은,
    상기 회전 컨베이어 벨트의 상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유닛 지지대; 상하 방향으로 연통 형성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유닛 지지대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배관; 상기 고정 배관의 내부 공간과 자신의 내부 공간이 연통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통 형성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배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배관; 상기 고정 배관과 상기 회전 배관이 맞물리는 상기 고정 배관의 상측에서 상기 회전 배관의 외주면을 수평 방향으로 일주하면서 반복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회전 배관을 회전 구동시켜 주는 배관 회전 기어; 상기 회전 배관의 내부 공간의 중단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 배관이 회전 구동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 배관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승되는 공기의 이동을 유도시켜 주는 상승 프로펠러; 및 상기 회전 배관의 상측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회전 배관이 회전 구동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공조시스템용 덕트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쓸어서 청소하는 청소용 솔;을 포함하는, 공조시스템용 덕트 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20055787A 2022-05-05 2022-05-05 공조시스템용 덕트 시공 방법 KR102473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787A KR102473062B1 (ko) 2022-05-05 2022-05-05 공조시스템용 덕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787A KR102473062B1 (ko) 2022-05-05 2022-05-05 공조시스템용 덕트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3062B1 true KR102473062B1 (ko) 2022-11-30

Family

ID=84234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787A KR102473062B1 (ko) 2022-05-05 2022-05-05 공조시스템용 덕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0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903B1 (ko) 2009-10-01 2012-03-21 (주)대양기연 슬리브를 덕트구조로 사용하는 환기덕트 시공방법
KR101867766B1 (ko) 2017-06-01 2018-06-14 (주)대우건설 층고 축소 및 시공성 향상을 위한 덕트용 연결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덕트시공방법
KR102333654B1 (ko) * 2021-06-22 2021-12-01 정미진 공조시스템용 덕트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903B1 (ko) 2009-10-01 2012-03-21 (주)대양기연 슬리브를 덕트구조로 사용하는 환기덕트 시공방법
KR101867766B1 (ko) 2017-06-01 2018-06-14 (주)대우건설 층고 축소 및 시공성 향상을 위한 덕트용 연결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덕트시공방법
KR102333654B1 (ko) * 2021-06-22 2021-12-01 정미진 공조시스템용 덕트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0090B1 (en) Surface scrubbing machine
JP2004340507A (ja) 天井埋め込み型空気調和機
US6311365B1 (en) Steam cleaning device
JP2007309584A (ja) 空気調和機
KR102473062B1 (ko) 공조시스템용 덕트 시공 방법
JP2001149273A (ja) 建造物の外壁清掃装置
JP2014043683A (ja) 陽圧シェルター
KR100809727B1 (ko) 인상실
WO2018185219A1 (en) A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interior surfaces of tanks and containers
JP2007263441A (ja) 天井埋込み形空気調和機、天井埋込み形空気調和機用フィルタの塵埃除去装置、
KR101962711B1 (ko) 세정 기능을 구비한 베란다 창호 구조
KR102130711B1 (ko) 바닥 전기청소차
GB2592895A (en) Building cleaning system
KR20220010177A (ko) 청소볼 공급장치
JPH05103737A (ja) 自動清掃装置
KR20120119649A (ko) 바닥의 자동 청소 장치
JP2002081367A (ja) 発電装置を備えた煙突
CN213873017U (zh) 一种用于楼房建筑的通风装置
JPH10276952A (ja) 外壁清掃装置
JP5799612B2 (ja) 減圧養生工法
JP3176514B2 (ja) 空調機用洗浄装置の取付構造
JP2000287893A (ja) 現場内清掃システム
JPH0240771B2 (ja) Seibokiniokeruseisosochi
JPH0733080B2 (ja) 印刷機の集麈装置
KR101537606B1 (ko) 통합 배기관이 구비된 의류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