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578B1 - 실리콘 중합체, 탄화수소계 오일 및 실리콘 파우더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실리콘 중합체, 탄화수소계 오일 및 실리콘 파우더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578B1
KR102472578B1 KR1020200054052A KR20200054052A KR102472578B1 KR 102472578 B1 KR102472578 B1 KR 102472578B1 KR 1020200054052 A KR1020200054052 A KR 1020200054052A KR 20200054052 A KR20200054052 A KR 20200054052A KR 102472578 B1 KR102472578 B1 KR 102472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hydrocarbon
lips
silicone
based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5868A (ko
Inventor
이현주
김기백
우영화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4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578B1/ko
Publication of KR20210135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1Preparations for care of the l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실리콘 중합체, 탄화수소계 오일 및 실리콘 파우더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도포력, 밀착력, 컬러지속력 및 전체적으로 우수한 사용감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실리콘 중합체, 탄화수소계 오일 및 실리콘 파우더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Lip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opolymerized silicone polymer, hydrocarbon-based oil and silicone powder}
실리콘 중합체, 탄화수소계 오일 및 실리콘 파우더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 및 해외 시장에서 벨벳과 같은 사용감을 가지는 리퀴드 립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 제형은 실리콘 크로스 폴리머 겔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부드럽고 건조하지 않은 사용감과 매트한 마무리감을 연출할 수 있지만, 지속력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실리콘 크로스 폴리머 겔의 함량을 높여 논스머징 효과를 연출하거나, 파우더를 첨가하여 밀착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들은 색소 분산력의 감소로 흰 띠 발생, 제품 도포 시 알갱이가 밀려나옴, 주름 부각 등의 한계가 있어 또 다른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벨벳과 같은 사용감을 가지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KR 등록특허 10-0239186), 아직은 미비한 실정이다.
일 양상은 실리콘 중합체, 탄화수소계 오일 및 실리콘 파우더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실리콘 중합체, 탄화수소계 오일 및 실리콘 파우더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중합체/탄화수소계 오일의 혼합물과 실리콘 파우더의 혼합 중량비는 1:10 내지 10:1일 수 있다.
상기 혼합 중량비는 1:9 내지 9:1, 1:7 내지 7:1, 1:5 내지 5:1, 또는 1:4 내지 4:1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중합체는 비스-하이드록시에톡시프로필디메치콘/아이피디아이코폴리머에칠카바메이트(Bis-Hydroxyethoxypropyl Dimethicone/IPDI Copolymer Ethylcarbamate) 및 비스-하이드록시라우릴다이메티콘/아이피디아이코폴리머(BisHydroxylaurylDimethicone/IPDI Co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은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도데칸, 테트라데칸 및 운데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이상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중합체와 탄화수소계 오일 혼합물의 총 중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10중량%, 1 내지 8중량%, 2 내지 8중량%, 3 내지 7중량%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중합체와 탄화수소계 오일 혼합물의 혼합 중량비는 5:1 내지 1:5, 3:1 내지 1:3 또는 2:1 내지 1:2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수치는 명시하지 않아도 "약"의 의미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된 수치는 10%, 5%, 2%, 또는 1%로 변할 수 있다. 어떤 구체예에서, 상기 값은 5%, 2%, 또는 1%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의 값은 대략 5의 범위는 갖는 4.5 및 5.5 사이, 4.75 및 5.25 사이, 또는 4.9 및 5.1 사이, 또는 4.95 및 5.05 사이의 임의의 값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립스틱, 립글로스, 립밤, 립크림, 립펜슬, 립라이너펜슬, 또는 액상루즈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사용 목적에 따라 아이섀도(eye shadow), 치크(cheek), 또는 블러셔(Blusher) 등의 다양한 색조 메이크업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착색제, 색소, 보존제,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점증제, 용해제,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유화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정제수, 분산제, 충전제, 감미료, 비타민, 자유-라디칼 스케빈저, 금속이온 봉쇄제, 냉감제 또는 제한제 등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첨가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존제 등의 추가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40 중량%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기술수준에 비추어 볼 때, 상기 가열, 혼합 및 냉각을 포함하는 통상의 제조 방법에 의해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상 사용된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주름 끼임이 적고, 균일한 도포력을 가지며, 컬러 지속력이 뛰어나다. 또한 높은 발림성 및 밀착력을 가지므로 바람직한 사용감을 가진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양상에 있어서 실리콘 중합체 및 탄화수소계 오일을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밀착력, 균일한 도포력, 발림성, 색상지속력 및 전체적으로 우수한 사용감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주름 끼임 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의 뭉침 정도인 균일한 도포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컬러 지속력을 나타낸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시험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 및 시험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시험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명세서의 범주에 포함된다.
입술용 화장료의 제조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시험예 1 내지 4를 제조하였다. 왁스와 끓는점이 높은 오일을 비이커에 계량한 후, 80 ℃ 이상의 온도에서 아지믹서(Agi-mixer)를 이용하여 2500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한다. 공정온도를 70~80℃로 유지하면서 실리콘 크로스 폴리머 겔 원료를 투입한 후 5분 간 아지믹서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한다. 나머지 원료들을 투입한 후에 15분간 아지믹서를 이용하여 균일 혼합하였다. 실리콘 크로스폴리머 겔 원료 투입 후 60~ 65℃의 공정온도를 유지하며 공정을 진행한다. 그 다음 기포를 제거하고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1 시험예2 시험예3 시험예4 시험예5 비교예1 비교예2
다이메티콘 60.2 60.2 60.2 60.2 60.2 60.2 60.2
다이메티콘 실리콘 폴리머 12.8 12.8 12.8 12.8 12.8 12.8 12.8
무기색소 10.77 10.77 10.77 10.77 10.77 10.77 10.77
유기색소 3.13 3.13 3.13 3.13 3.13 3.13 3.13
겔링제 1.0 1.0 1.0 1.0 1.0 1.0 1.0
방부제 0.05 0.05 0.05 0.05 0.05 0.05 0.05
분산제 3.0 3.0 3.0 3.0 3.0 3.0 3.0
에스테르계 오일 1.0 1.0 1.0 1.0 1.0 1.0 1.0
피막형성제 1.55 1.55 1.55 1.55 1.55 1.55 1.55
시어버터 1.0 1.0 1.0 1.0 1.0 1.0 1.0
실리카 파우더 0.5 1.1 2.75 4.4 5.0 - 5.5
비스-하이드록시에톡시프로필다이메티콘/아피디아이코폴리머에틸카바메이트 3.2 2.816 1.76 0.704 0.32 3.52 -
아이소도데케인 1.8 1.584 0.99 0.396 0.18 1.98 -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비교예 1 및 2는 실리콘 중합체/탄화수소계 오일 혼합 원료 또는 실리콘 파우더를 각각 적용하지 않은 것이며, 시험예 1 내지 4는 실리콘 중합체와 탄화수소계 오일 혼합물 및 실리콘 파우더의 혼합 중량비(10:1, 4:1, 1:1, 1:4, 1:10)에 따른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실험예 1: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주름 끼임 확인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주름 끼임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피험자의 손목에 도포한 후, 손목을 꺾었다 펴는 동작은 30회 반복하여 주름 사이에 제형이 고이는 정도를 카메라로 촬영하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험예 3, 4, 5 및 비교예 2에 비하여 실리콘 중합체/탄화수소계 오일의 혼합물을 실리카 파우더보다 높은 중량으로 적용한 시험예 1, 2 및 비교예 1이 더 적은 주름 끼임 현상을 나타냈다. 그 중에서도 시험예 1과 비교예 1의 주름 부각 정도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실험예 2: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균일한 도포력 확인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균일한 도포력을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피험자의 손목에 도포한 후, 반대쪽 손을 사용하여 10회 마찰한 뒤 제형이 뭉치는 정도를 카메라로 촬영하는 것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실리콘 중합체와 탄화수소계 오일의 혼합물과 실리카 파우더를 10:1, 4:1을 사용한 시험예 1, 2 내지 실리콘 중합체와 탄화수소계 오일의 혼합물만 사용한 비교예 1이 더 좋은 도포력을 나타냈다. 그 중에서도 시험예 1이 가장 뭉치는 정도가 적어 우수한 도포력을 가진 제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컬러 지속력 확인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컬러 지속력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피험자의 입술에 도포한 후, 도포 직후, 4시간 후 및 8시간 후 입술에 남은 색을 측정하는 것이다. 측정기기는 VISIA-CR (Canfield Scientific, Inc., U.S.A)와 I-MAX PLUS (INGPLUS, Korea)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2에 비하여 실리콘 중합체/ 탄화수소계 오일의 혼합물을 실리콘 파우더보다 높은 중량으로 사용한 시험예 1 내지 2, 비교예 1이 더 좋은 지속력을 나타냈다. 그 중에서도 시험예 1이 8시간 동안 색상지속력이 93.1%로써, 가장 지속력이 뛰어난 제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밀착력 확인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발림성 및 밀착력을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피험자의 입술에 도포하고 20여명의 시험인원이 평가하게 하였다. 평가척도는 1점-매우 나쁨, 2점-나쁨, 3점-보통, 4점-좋음, 5점- 매우 좋음이다.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험예 1 내지 비교예 1을 입술에 도포하였을 때, 발림성 및 밀착력은 기존의 벨벳 타입 제형에 해당하는 비교예 2에 비하여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발림성은 비교예 1이 우수했으나, 밀착력은 시험예 1만이 가장 우수하였다. 즉, 전체적인 사용감에 있어 시험예 1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발림성 밀착력 전체적인 사용감
시험예 1 4.3 4.7 4.6
시험예 2 4.0 4.1 4.0
시험예 3 3.6 3.8 3.6
시험예 4 3.1 3.4 3.3
시험예 5 2.4 2.6 2.5
비교예 1 4.5 4.3 4.5
비교예 2 2.1 2.2 2.1

Claims (4)

  1. 실리콘 중합체 및 탄화수소계 오일의 혼합물과 실리콘 파우더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실리콘 중합체는 비스-하이드록시에톡시프로필다이메티콘/아이피디아이코폴리머에틸카바메이트(Bis-Hydroxyethoxypropyl Dimethicone/IPDI Copolymer Ethylcarbamate)이며,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은 아이소도데케인이며,
    상기 실리콘 중합체 및 탄화수소계 오일의 혼합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10중량%인 것이고,
    상기 실리콘 중합체 및 탄화수소계 오일의 혼합물의 혼합 중량비는 5:1 내지 1:1인 것이며,
    상기 실리콘 중합체 및 탄화수소계 오일의 혼합물과 실리콘 파우더의 혼합 중량비는 10:1 내지 1:1 인 것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054052A 2020-05-06 2020-05-06 실리콘 중합체, 탄화수소계 오일 및 실리콘 파우더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72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052A KR102472578B1 (ko) 2020-05-06 2020-05-06 실리콘 중합체, 탄화수소계 오일 및 실리콘 파우더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052A KR102472578B1 (ko) 2020-05-06 2020-05-06 실리콘 중합체, 탄화수소계 오일 및 실리콘 파우더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868A KR20210135868A (ko) 2021-11-16
KR102472578B1 true KR102472578B1 (ko) 2022-11-30

Family

ID=78717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052A KR102472578B1 (ko) 2020-05-06 2020-05-06 실리콘 중합체, 탄화수소계 오일 및 실리콘 파우더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57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801B1 (ko) * 2018-06-26 2020-03-06 그린코스 주식회사 우수한 색상 지속력과 유연성을 가지는 입술용 메이크업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2762A (ko) * 2015-02-23 2016-08-31 (주)아모레퍼시픽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53363B1 (ko) * 2015-09-30 2022-10-07 (주)아모레퍼시픽 묻어남이 개선된 메이크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30356B1 (ko) * 2018-08-06 2020-07-06 코스맥스 주식회사 고온 안정도가 높은 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801B1 (ko) * 2018-06-26 2020-03-06 그린코스 주식회사 우수한 색상 지속력과 유연성을 가지는 입술용 메이크업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868A (ko) 202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2762A (ko)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67028A (ko) 랜덤 삼원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품
KR20170091864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77757A (ko) 오일 분산형 화장료 조성물
JP4664049B2 (ja) パーソナルケアー用途での防水剤としてのアクリレートコポリマーの使用
KR20200144904A (ko)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71421B1 (ko)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15052664A (zh) 超持久化妆粉底
KR20140146375A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72578B1 (ko) 실리콘 중합체, 탄화수소계 오일 및 실리콘 파우더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9027838A1 (en) AQUEOU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SKIN APPEARANCE
CN111278423B (zh) 睫毛化妆料
KR101055164B1 (ko) 오일 분산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41496B1 (ko) 번들거림 및 지속성을 개선시키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978370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94034B1 (ko) 캡슐화된 쿨링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34672B1 (ko) 발수 및 발유 특성이 동시에 우수한 고분자 피막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84418B1 (ko) 성형성이 향상된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346766B1 (ko)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스타이렌/메칠스타이렌/인덴코폴리머를 포함하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321692B1 (ko) 나일론에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이 코팅된 원료를 포함하는 글리터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3679062B2 (ja) ゲル組成物の製造方法、ゲル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美爪料
KR20180102035A (ko)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73086A (ko) 사용감이 향상된 고광택 립 메이크업 조성물
KR20120053259A (ko) 수용성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18496A (ko) 폴리글리세릴 화합물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