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021B1 -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021B1
KR102472021B1 KR1020210176543A KR20210176543A KR102472021B1 KR 102472021 B1 KR102472021 B1 KR 102472021B1 KR 1020210176543 A KR1020210176543 A KR 1020210176543A KR 20210176543 A KR20210176543 A KR 20210176543A KR 102472021 B1 KR102472021 B1 KR 102472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camp
type
information
candi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석
박건영
배현철
강영수
Original Assignee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6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021B1/ko
Priority to PCT/KR2021/019374 priority patent/WO2023106499A1/ko
Priority to KR1020220159140A priority patent/KR20230088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021B1/ko
Priority to TW111147292A priority patent/TW202324234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4Choice of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8Historical dat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개시에 따르면, 아이템의 정보 및 배송지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업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배송 업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 업무가 분류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배송 업무가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는 경우, 배송 업무가 할당되는 제2타입의 캠프에 대한 정보를 제1타입의 캠프에 제공하는 단계; 제2타입의 캠프로부터 배송 업무에 관련된 출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출발 정보를 기반으로 배송 업무에 대한 상태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배송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ELECTRONIC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DELIVERY TASKS AND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배송 업무가 분류(sortation)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배송 업무가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는 경우, 배송 업무가 할당되는 제2타입의 캠프에 대한 정보를 제1타입의 캠프에 제공하고, 제2타입의 캠프로부터 배송 업무에 관련된 출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반으로 배송 업무에 대한 상태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술의 발달에 따라 전자상거래는 쇼핑의 한 분야로 자리잡았다. 고객은 직접 쇼핑몰이나 시장에 가지 않고도 온라인 상에서 아이템(item)을 구매할 수 있으며, 온라인 상에서 구매한 아이템은 고객이 요청한 배송지로 배송된다.
전자상거래 시장이 크게 성장함과 더불어,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고객이 일정 시간 안에 주문한 아이템을 받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경쟁 요소로 작용함에 따라, 고객의 배송 요청을 빠짐없이 시간 내에 처리하는 것의 중요성이 크다.
고객의 배송 요청을 빠짐없이 시간 내에 처리하기 위해서는 물류 센터나 허브로부터 배송지까지의 거리가 지나치게 멀어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인구 밀집 지역 인근에 대형 물류 센터나 대형 허브를 설치하는 데에는 비용적인 면과 공간적인 면에서 제약이 있을 수 있고, 도서 지역이나 산간 지역 등 대형 물류 센터나 허브를 설치하는 데에는 기술적인 면과 공간적인 면에서 제약이 있을 수 있는 등, 배송지 인근에 대형 물류 센터나 대형 허브를 설치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관련하여, KR101799458B1 건이나 KR20130111801A 건 등의 선행문헌들을 참조할 수 있다.
본 실시 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이템의 정보 및 배송지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업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배송 업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 업무가 분류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배송 업무가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는 경우, 배송 업무가 할당되는 제2타입의 캠프에 대한 정보를 제1타입의 캠프에 제공하고, 제2타입의 캠프로부터 배송 업무에 관련된 출발 정보를 수신하고, 출발 정보를 기반으로 배송 업무에 대한 상태를 업데이트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 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배송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은 아이템의 정보 및 배송지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업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배송 업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송 업무가 분류(sortation)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배송 업무가 상기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는 경우, 상기 배송 업무가 할당되는 제2타입의 캠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타입의 캠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2타입의 캠프로부터 상기 배송 업무에 관련된 출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출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배송 업무에 대한 상태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타입의 캠프는 아이템 인수인계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캠프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템 인수인계 작업은, 상기 제1타입의 캠프에 근무하는 메인 배송원에 의해 운반되는 아이템을 상기 제2타입의 캠프에 근무하는 서브 배송원에게 전달하는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배송원이 아이템을 운반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차량은 상기 서브 배송원이 아이템을 운반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차량보다 더 큰 적재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캐닝(scanning)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아이템의 식별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상기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는지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분류 작업을 처리하도록 설정된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 중 상기 배송 업무에 대한 분류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캠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류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캠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 별로 관리하는 아이템의 목록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템의 정보 및 상기 후보 캠프 별로 관리하는 아이템의 목록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류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캠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 및 상기 배송지 간의 거리 정보,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에서 출발한 배송원이 상기 배송지를 방문하기 위한 배송 경로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에서 상기 배송지까지 이동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 별로 상기 배송 업무를 처리하는 경우의 배송 효율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의 정보가 포함하는 상기 아이템의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송 업무에 대한 분류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타입의 캠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타입의 캠프에 제공하는 단계는 아이템 인수인계 작업을 처리하도록 설정된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 중 상기 배송 업무를 할당할 캠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송 업무를 할당할 캠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 별로 대응되는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송 업무를 할당할 캠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특성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 별 위치 정보,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 별로 근무하는 배송원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 별로 처리할 수 있는 배송 업무의 수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송 업무를 할당할 캠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 중 상기 배송 업무를 할당하기에 적합한 캠프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배송 업무를 할당하기 위한 캠프를 신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은, 미래에 발생할 배송 업무를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한 결과에 기초하여, 아이템 인수인계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를 신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를 신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예측한 결과에 기초하여, 아이템 인수인계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후보 캠프를 신규 설정하기 위한 목표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목표 위치에 후보 캠프를 신규 설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위치에 후보 캠프를 신규 설정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목표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반경 내에 후보 캠프를 신규 설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제2타입의 캠프에 상기 아이템의 인계 및 배송을 요청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제1타입의 캠프에 근무하는 작업자에게 상기 분류 작업의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배송 업무에 대응하는 고객의 장치에 상기 배송 업무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배송 정보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는 트랜시버,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랜시버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어, 아이템의 정보 및 배송지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업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배송 업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송 업무가 분류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배송 업무가 상기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는 경우, 상기 배송 업무가 할당되는 제2타입의 캠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타입의 캠프에 제공하고, 상기 제2타입의 캠프로부터 상기 배송 업무에 관련된 출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출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배송 업무에 대한 상태를 업데이트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배송 정보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은 인구 밀집 지역이나 도서 지역, 산간 지역 등 인근에 대형 물류 센터나 대형 허브를 설치하기 어려운 곳으로의 배송 업무를 정해진 시간 내에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짐으로써 해당 지역들의 공간적 특수성에도 불구하고 고객이 정해진 시간 내에 아이템을 배송받도록 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는 경우의 배송 프로세스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목표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반경 내에 후보 캠프를 신규 설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캠프 별로 처리할 수 있는 배송 업무의 수량 정보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 배송원이 아이템을 운반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차량 및 서브 배송원이 아이템을 운반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차량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2타입의 캠프에 배송 업무의 처리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거나 고객의 장치에 배송 업무의 처리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배송 업무의 처리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기재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b,c 모두’를 포괄할 수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통신 기반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송 정보 처리를 위한 시스템(100)은, 전자 장치(110), 제1타입의 캠프의 장치(120) 및 제2타입의 캠프의 장치(130)를 포함한다. 배송 정보 처리를 위한 시스템(100)이 포함하는 제1타입의 캠프의 장치(120)는 제1타입의 캠프에 근무하는 메인 배송원의 장치를 포함하고, 제2타입의 캠프의 장치(130)는 제2타입의 캠프에 근무하는 서브 배송원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타입의 캠프의 장치(120)가 제1타입의 캠프에 근무하는 메인 배송원의 장치를 포함하고 제2타입의 캠프의 장치(130)가 제2타입의 캠프에 근무하는 서브 배송원의 장치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라, 배송 정보 처리를 위한 시스템(100)은 고객 장치(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배송 정보 처리를 위한 시스템(100)은 전자 장치(110), 제1타입의 캠프의 장치(120), 제2타입의 캠프의 장치(130) 및 고객 장치(140) 중 적어도 일부 간의 정보 송수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 제1타입의 캠프의 장치(120), 제2타입의 캠프의 장치(130) 및 고객 장치(140) 각각은 트랜시버,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10), 제1타입의 캠프의 장치(120), 제2타입의 캠프의 장치(130) 및 고객 장치(14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 전반에서 전자 장치(110), 제1타입의 캠프의 장치(120), 제2타입의 캠프의 장치(130) 및 고객 장치(140) 각각은 분리된 장치 또는 서버로 언급되나 이는 논리적으로 나누어진 구조일 수 있으며, 이들 중 적어도 일부가 하나의 장치 또는 서버에서 분리된 기능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 제1타입의 캠프의 장치(120), 제2타입의 캠프의 장치(130) 및 고객 장치(140)는 네트워크 서버로 구현되는 다수의 컴퓨터 시스템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10), 제1타입의 캠프의 장치(120), 제2타입의 캠프의 장치(130) 및 고객 장치(140) 중 적어도 일부는 인트라넷 또는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하위 장치와 연결되어 작업 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여 수행 결과를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지칭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전자 장치(110), 제1타입의 캠프의 장치(120), 제2타입의 캠프의 장치(130) 및 고객 장치(140) 중 적어도 일부는 네트워크 서버 상에서 동작할 수 있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과, 내부 혹은 연결된 다른 노드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10), 제1타입의 캠프의 장치(120), 제2타입의 캠프의 장치(130) 및 고객 장치(140) 중 적어도 일부는 도스(DOS), 윈도우(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또는 맥OS(MacOS)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는 네트워크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다양한 정보를 구성하여 제공하는 장치이다. 전자 장치(110)는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일련의 배송 업무가 원활히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10)는 배송과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배송과 관련된 정보를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등으로 제공하거나, 제공받는 단말에서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등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아이템의 정보 및 배송지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업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배송 업무에 대한 정보는 물류 센터(fulfillment center) 장치나 고객 장치(140)로부터 획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송 업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10)는 배송 업무가 분류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1타입의 캠프는 아이템의 분류 작업을 처리하도록 설정된 캠프를 포함할 수 있다. 관련하여, 아이템의 분류 작업은, 효율적인 배송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아이템을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는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타입의 캠프에서는 배송지로의 직접적인 배송은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타입의 캠프에서 배송지로의 직접적인 배송을 수행하지 않고, 아이템의 분류 작업을 수행한 후 분류된 아이템을 메인 배송원이 제2타입의 캠프로 운반하도록 하며, 제2타입의 캠프에서 메인 배송원과 서브 배송원 간에 아이템 인수인계가 이루어진 후 서브 배송원이 아이템을 배송지로 배송하도록 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타입의 캠프에서 직접적인 배송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제1타입의 캠프에서는 배송 수행을 위한 공간(예컨대 배송용 차량의 보관 및 동선 확보를 위한 공간)을 절약하여 분류 작업을 위하여 활용할 수 있으므로, 분류와 배송을 모두 수행하는 경우에 비해 더 작은 면적의 부지 위에 제1타입의 캠프를 설치할 수 있으며, 동일 면적의 부지 위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처리할 수 있는 분류 작업의 개수가 더 늘어날 수 있다는 기술적 효과가 존재한다. 또한, 제2타입의 캠프에서는 별도의 분류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분류와 배송을 모두 수행하는 경우에 비해 더 작은 면적의 부지 위에 제2타입의 캠프를 설치할 수 있으며, 동일 면적의 부지 위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처리할 수 있는 배송 작업의 개수가 더 늘어날 수 있다는 기술적 효과가 존재한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타입의 캠프에서 적어도 일부 아이템에 대하여 배송지로의 직접적인 배송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1타입의 캠프에서 직접 배송을 수행하는 대상이 되는 배송 업무는 제1타입의 캠프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배송지에 대한 배송 업무를 포함하거나, 적절한 제2타입의 캠프를 설정하지 못한 배송지에 대한 배송 업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기준에 따라 제1타입의 캠프에서 직접 배송을 수행하는 대상이 되는 배송 업무가 결정될 수 있다.
배송 업무가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는 경우, 전자 장치(110)는 배송 업무가 할당되는 제2타입의 캠프에 대한 정보를 제1타입의 캠프에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2타입의 캠프는 아이템 인수인계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캠프를 포함할 수 있다. 관련하여, 아이템 인수인계 작업은, 제1타입의 캠프에 근무하는 메인 배송원에 의해 운반되는 아이템을 제2타입의 캠프에 근무하는 서브 배송원에게 전달하는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 배송원은 전달받은 아이템을 배송지까지 배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제1타입의 캠프의 장치(120)에 제2타입의 캠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제2타입의 캠프로부터 배송 업무에 관련된 출발 정보를 수신하고, 출발 정보를 기반으로 배송 업무에 대한 상태를 업데이트한다. 전자 장치(110)는 제2타입의 캠프의 장치(130)로부터 배송 업무에 관련된 출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업데이트된 배송 업무에 대한 결과를 서브 배송원 장치(130) 및 고객 장치(140)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제2타입의 캠프의 장치(130)는 서브 배송원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어서 예컨대 제1타입의 캠프 내부에 설치된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의 동작과 관련된 보다 상세한 사항은 도 2 등에서 후술한다.
제1타입의 캠프는 아이템의 분류 작업을 처리하도록 설정된 캠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타입의 캠프의 장치(120)는 제1타입의 캠프와 연관된 장치를 포괄하는 개념으로서, 전술하였듯이 제1타입의 캠프의 장치(120)는 메인 배송원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제1타입의 캠프 내부에 설치된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타입의 캠프의 장치(120)는 제1타입의 캠프에 근무하면서 분류 작업을 처리하는 작업자의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타입의 캠프는 아이템의 인수인계 작업을 처리하도록 설정된 캠프를 포함하며, 제2타입의 캠프는 아이템 인계 후의 나머지 배송 작업을 처리할 수도 있다. 제2타입의 캠프의 장치(130)는 제2타입의 캠프와 연관된 장치를 포괄하는 개념으로서, 전술하였듯이 제2타입의 캠프의 장치(130)는 서브 배송원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제2타입의 캠프 내부에 설치된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배송원 및 서브 배송원은 배송 업무를 수행하는 다양한 주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배송원 및 서브 배송원은 전자 장치(110)가 제공하는 배송 서비스와 관련하여 고용된 배송원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리랜서 등 다양한 형태의 주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타입의 캠프의 장치(120) 및 제2타입의 캠프의 장치(130)는 전자 장치(11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배송원 및 작업자 등으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타입의 캠프의 장치(120)는 제2타입의 캠프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10)로부터 수신하여 메인 배송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타입의 캠프의 장치(130)는 배송 업무에 관련된 출발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전자 장치(110)에 제공할 수 있다.
고객은 아이템의 배송을 요청한 주체에 대응될 수 있다. 고객은 아이템을 주문한 주체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객 장치(140)는 고객으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전자 장치(110) 등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고객 장치(140)는 고객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아이템의 정보 및 배송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자 장치(110)로 전달하거나, 아이템의 정보 및 배송지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업무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10)로 전송하거나, 배송 업무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전자 장치(110)로부터 수신하여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의 제1타입의 캠프의 장치(120) 및 제2타입의 캠프의 장치(130) 중 적어도 하나는, 스마트폰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형태로 구현되거나, POS 기 상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제1타입의 캠프의 장치(120) 및 제2타입의 캠프의 장치(130) 중 적어도 하나는 바코드를 식별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하며, 메인 배송원 및 로컬 배송원은 아이템의 바코드를 스캐닝함으로써 아이템 식별 정보 등의 아이템 관련 정보를 읽어들이거나 배송의 담당을 전자 장치(110)에 요청하거나 배송 상태의 변경을 전자 장치(110)에 알릴 수 있다.
전자 장치(110), 제1타입의 캠프의 장치(120), 제2타입의 캠프의 장치(130) 및 고객 장치(140)는 컴퓨터 장치, 이동 통신 단말,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타입의 캠프의 장치(120), 제2타입의 캠프의 장치(130) 및 고객 장치(14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 패드,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를 포함하거나, 입력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타입의 캠프의 장치(120), 제2타입의 캠프의 장치(130) 및 고객 장치(140)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 스피커, 인터페이스 장치 등의 출력 장치를 포함하거나, 출력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제1타입의 캠프의 장치(120), 제2타입의 캠프의 장치(130) 및 고객 장치(140)의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는 일체로 구성되거나 상호 연관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제1타입의 캠프의 장치(120), 제2타입의 캠프의 장치(130) 및 고객 장치(140) 중 적어도 하나에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일련의 정보 처리 방법과 관련된 동작들은, 단일의 물리적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의 물리적 장치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배송 정보 처리를 위한 시스템(100)에 포함된 구성 중 일부는 어느 하나의 물리적 장치에 의해 구현되고, 나머지 일부는 다른 물리적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어느 하나의 물리적 장치는, 전자 장치(110)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른 물리적 장치는, 제2타입의 캠프의 장치(130)의 일부 또는 기타 외부 장치의 일부로 구현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배송 정보 처리를 위한 시스템(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각각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분산되어 배치되고, 분산 배치된 구성요소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배송 정보 처리를 위한 시스템(100)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본 명세서의 전자 장치(110)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장치를 포함하며, 전자 장치(11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재된 일부 동작들은 제1서브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고, 다른 일부 동작들은 제2서브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배송 정보 처리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아이템의 정보 및 배송지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업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210). 아이템의 정보는 배송이 대상이 되는 아이템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배송지 정보는 배송의 최종 목적지 정보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110)는 물류 센터 장치나 고객 장치(140)로부터 배송 업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장치(110)는 배송 업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 업무가 분류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220).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캐닝 장치를 이용하여 아이템의 식별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는지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10)의 관리자는 스캐닝 장치를 이용하여 아이템에 대응하는 객체(예컨대 아이템을 담은 박스 등)가 포함하거나 외부에 부착된 바코드를 읽어 냄으로써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관련하여, 스캐닝 장치를 이용하여 아이템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주체는 전자 장치(110)를 이용하는 관리자 또는 물류 센터의 관리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스캐닝 장치는 전자 장치(110)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배송 업무가 분류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는지 여부를 직접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10)는 분류 작업을 처리하도록 설정된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를 판단하고,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 중 배송 업무에 대한 분류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캠프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 별로 관리하는 아이템의 목록을 획득하고, 배송 업무에 대한 정보가 포함하는 아이템의 정보 및 후보 캠프 별로 관리하는 아이템의 목록을 비교함으로써 배송 업무에 대한 분류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캠프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배송 업무가 A사의 저지방 우유에 대한 것이라면, A사의 저지방 우유를 관리하지 않는 후보 캠프는 배송 업무에 대한 분류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캠프로 결정되는 것과 관련된 우선 순위가 A사의 저지방 우유를 관리하지 않는 후보 캠프에 비해 더 낮을 수 있다. 혹은, A사의 저지방 우유를 관리하지 않는 후보 캠프는 배송 업무에 대한 분류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캠프의 고려 대상에서 제외될 수도 있다.
관련하여, 관리하는 아이템의 의미는, 후보 캠프에서 현재 보관하고 있는 아이템뿐만 아니라 후보 캠프에서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마련할 수 있는 아이템(예컨대 후보 캠프로 운반되고 있는 아이템이나, 인근 물류 센터 등에 요청함으로써 신속히 조달 가능한 아이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 별로 배송 업무를 처리하는 경우의 배송 효율을 판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분류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캠프를 결정할 수 있다. 배송 효율은 배송 업무에 대응하는 배송지 정보와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10)는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 및 배송지 간의 거리 정보,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에서 출발한 배송원이 배송지를 방문하기 위한 배송 경로 정보 및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에서 배송지까지 이동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배송 효율을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자 장치(110)는 실시간 기상 정보나 교통 상황 정보 등 배송에 영향을 줄 만한 다양한 요소들을 더 고려하여 배송 효율을 판단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아이템의 정보가 포함하는 아이템의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 업무에 대한 분류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방식을 결정함으로써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관련하여, 아이템의 특성 정보는 아이템의 부피, 아이템의 무게 및 아이템의 파손 가능성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10)는 아이템의 특성 정보에 따라 아이템이 특성이 기 설정된 범위의 부피 기준 및 무게 기준에 부합하는 경우에만 제1타입의 캠프를 거쳐 배송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배송 업무가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는 경우, 전자 장치(110)는 배송 업무가 할당되는 제2타입의 캠프에 대한 정보를 제1타입의 캠프에 제공한다(23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10)는 아이템 인수인계 작업을 처리하도록 설정된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를 판단하고,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 중 배송 업무를 할당할 캠프를 결정하고, 결정한 결과를 제1타입의 캠프에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자 장치(110)는 결정된 제2타입의 캠프에 아이템의 인계 및 배송을 요청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 별로 대응되는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 업무를 할당할 제2타입의 캠프를 결정할 수 있다. 관련하여, 특성 정보는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 별 위치 정보,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 별로 근무하는 배송원 정보 및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 별로 처리할 수 있는 배송 업무의 수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 중 배송 업무를 할당하기에 적합한 캠프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배송 업무를 할당하기 위한 캠프를 신규 설정할 수도 있다. 관련하여, 배송 업무를 할당하기 위한 캠프를 신규 설정한다는 것의 의미는, 이미 존재하는 캠프들 중 제1타입의 캠프와 연계하여 아이템 인수인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만한 캠프를 후보 캠프로 추가 지정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미래에 발생할 배송 업무를 예측하고, 예측한 결과에 기초하여, 아이템 인수인계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를 신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송 업무를 할당하기 위한 캠프를 신규 설정한다는 것의 의미는, 이미 존재하는 캠프들 중 제1타입의 캠프와 연계하여 아이템 인수인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만한 캠프를 후보 캠프로 추가 지정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캠프를 추가 설치하는 경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미래에 발생할 배송 업무를 예측하여 후보 캠프를 신규 설정하는 경우에는 이미 발생한 배송 업무를 처리하여야 하는 경우와는 달리 시간적 제약이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부지를 확보하고 캠프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미래에 발생할 배송 업무를 예측하는 것은, 배송 요청될 아이템의 종류, 수량, 배송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예측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나아가, 전자 장치(110)는 미래에 발생할 배송 업무를 예측한 결과에 기초하여 아이템 인수인계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를 신규 설정함에 있어서 제1타입의 캠프에서 처리할 수 있는 배송 업무의 수량 정보 및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 별로 처리할 수 있는 배송 업무의 수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고려할 수 있다.
캠프 별로 처리할 수 있는 배송 업무의 수량 정보와 관련된 일 예시를 도 5에서 후술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제1타입의 캠프에 근무하는 작업자에게 분류 작업의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타입의 캠프에 근무하는 작업자는 전자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제2타입의 캠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분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타입의 캠프에 근무하는 작업자는 제2타입의 캠프의 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분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2타입의 캠프의 특성 정보는 예컨대 제2타입의 캠프의 위치, 제2타입의 캠프에 근무하는 배송원 정보, 제2타입의 캠프에서 처리할 수 있는 배송 업무의 수량 정보 및 제2타입의 캠프에서 처리할 수 있는 배송 업무의 유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제2타입의 캠프로부터 배송 업무에 관련된 출발 정보를 수신한다(240). 배송 업무에 관련된 출발 정보는, 아이템이 제2타입에서 배송 시작된 시간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아이템이 배송 시작된 시간은, 제2타입의 캠프에 메인 배송원이 도착한 시간을 기준으로 판단되거나, 제2타입의 캠프에서 서브 배송원이 아이템을 인계받은 시간을 기준으로 판단되거나, 제2타입의 캠프에서 서브 배송원이 출발한 시간을 기준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기준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수신한 출발 정보를 기반으로 배송 업무에 대한 상태를 업데이트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업데이트된 배송 업무의 상태를 서브 배송원 장치(130) 및 고객 장치(140)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한 일 예시를 도 7에서 후술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는 경우의 배송 프로세스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지 않는 일반 배송 프로세스가 도면 부호 310에 도시된다. 이 경우, 캠프에서 아이템의 분류 및 배송이 모두 이루어져야 하는 만큼, 배송 업무를 충분히 소화하기 위해서는 대형 캠프가 필요할 수 있고, 이 경우 도심 등 인구 밀집 지역이나 도서 지역, 산간 지역 등에는 대형 캠프의 설치가 어려워져 배송 캠프가 해당 지역들로부터 먼 거리에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먼 거리에 배송 캠프가 설치된다면, 설치된 배송 출발지(311)에서 출발한 배송원은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할 뿐만 아니라, 캠프와 배송지 간의 거리를 고려하여 많은 아이템을 한번에 운반해야 하므로 대형 차량을 이용하여야 하여 비용적인 면에서 효율이 떨어지고 도심 등으로의 진입에도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나아가 다수의 배송지를 일일이 방문해야 하므로 배송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 적시적인 배송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배송원의 피로가 빠르게 누적된다는 문제도 있다.
한편,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는 경우의 배송 프로세스의 일 예시가 도면 부호 320에 도시된다.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는 경우의 배송 프로세스는 제1타입의 캠프의 일 예시인 서브-허브(321)에서 아이템의 분류를 수행한 후 메인 배송원이 일차적으로 아이템을 제2타입의 캠프(322)까지 운반하고, 제2타입의 캠프(322)에서 서브 배송원이 아이템을 인계받아 최종 목적지까지 배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아이템을 분류하는 장소와 아이템을 배송하는 장소가 공간적으로 분리되므로 이렇게 먼 거리에 배송 캠프가 설치된다면, 설치된 배송 출발지(311)에서 배송원이 상대적으로 먼 거리를 이동하거나 지나치게 많은 배송지를 한 번에 방문할 필요가 없고, 서브 배송원은 상대적으로 작은 차량을 이용하여 배송을 수행할 수도 있어 비용적인 면 등에서 효율이 상승하며, 적시적인 배송이 보다 용이해지고, 배송원의 피로도 관리에도 이점이 있을 수 있다.
관련하여, 메인 배송원이 아이템을 운반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차량은 서브 배송원이 아이템을 운반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차량보다 더 큰 적재 용량을 가질 수 있으며, 그 일 예시가 도 6에 도시된다. 도 6의 610은 대형 트레일러로서, 분류된 아이템의 운반을 위하여 메인 배송원이 이용하는 차량에 대응될 수 있다. 도 6의 620은 배송 트럭으로서, 인계받은 아이템을 최종 목적지로 배송하기 위하여 서브 배송원이 이용하는 차량에 대응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타입의 캠프에서는 같은 그룹으로 분류된 아이템을 하나의 롤테이너(rolltainer)에 실어 차량에 적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타입의 캠프에 도착한 메인 배송원은 롤테이너를 차량에서 하차시킴으로써 서브 배송원에게 동일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아이템을 빠르게 인계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목표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반경 내에 후보 캠프를 신규 설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전자 장치(110)가 미래에 발생할 배송 업무를 예측하고, 예측한 결과에 기초하여 아이템 인수인계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를 신규 설정하는 경우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아이템 인수인계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후보 캠프를 신규 설정하기 위한 목표 위치(401)를 판단할 수 있다. 후보 캠프를 신규 설정하기 위한 목표 위치(401)는 제1타입의 캠프(서브-허브(321)) 및 미래에 발생할 배송 업무의 배송지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판단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목표 위치(401)에 후보 캠프를 신규 설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목표 위치(401)에 후보 캠프를 신규 설정할 수 있는 경우에는 목표 위치(401)에 캠프의 설치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반면, 목표 위치(401)에 후보 캠프를 신규 설정할 수 없는 경우,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목표 위치(401)로부터 기 설정된 제1반경(402) 내에 후보 캠프를 신규 설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목표 위치(401)로부터 기 설정된 제1반경(402) 내에 후보 캠프를 신규 설정할 수 없는 경우, 제1반경(402)보다 더 큰 값을 갖는 제2반경(403) 내에 후보 캠프를 신규 설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제2반경(403)보다 더 큰 제3반경(404) 내에 후보 캠프를 신규 설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더 판단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전자 장치(110)는 복수 회에 걸쳐 판단 반경을 점진적으로 늘려 가면서 후보 캠프를 신규 설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점차적으로 판단함으로써, 가능한 목표 위치(401)에 가까운 순서대로 후보 캠프를 신규 설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전자 장치(110)가 후보 캠프를 신규 설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 위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자 장치(110)는 목표 위치(401) 인근에 후보 캠프를 신규 설정할 수 없으므로 다른 목표 위치(401)를 설정해야 한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캠프 별로 처리할 수 있는 배송 업무의 수량 정보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제1타입의 캠프가 처리할 수 있는 배송 업무의 수량 정보는, 제1타입의 캠프에서 단위 시간 동안 배송 업무와 관련하여 분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아이템의 수량 정보 또는 해당 아이템에 대응되는 배송 업무의 개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타입의 캠프가 처리할 수 있는 배송 업무의 수량 정보는, 제2타입의 캠프에서 단위 시간 동안 배송 가능한 아이템의 수량 정보 또는 해당 아이템에 대응되는 배송 업무의 개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미래에 발생할 배송 업무를 예측한 결과와 함께, 제1타입의 캠프에서 처리할 수 있는 배송 업무의 수량 정보 및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 별로 처리할 수 있는 배송 업무의 수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아이템 인수인계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를 신규 설정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미래에 발생할 배송 업무가 단위 시간 당 최대 7500건일 것으로 예측하는 경우, 제1타입의 캠프에서 단위 시간 당 처리할 수 있는 배송 업무의 수량이 8000개이고 제1타입의 캠프와 연관된 제1후보 캠프(501)에서 단위 시간 당 처리할 수 있는 배송 업무의 수량이 1500개이고, 제2후보 캠프(502)에서 단위 시간 당 처리할 수 있는 배송 업무의 수량이 2000개이고, 제3후보 캠프(503)에서 단위 시간 당 처리할 수 있는 배송 업무의 수량이 3000개이고, 제4후보 캠프(504)에서 단위 시간 당 처리할 수 있는 배송 업무의 수량이 2000개라면, 제1타입의 캠프에서 단위 시간 당 처리할 수 있는 배송 업무의 수량이 미래에 발생할 배송 업무의 단위 시간 당 최대 수량보다 크고, 복수의 후보 캠프가 단위 시간 당 처리할 수 있는 배송 업무의 수량의 합계가 8500개로서 미래에 발생할 배송 업무의 단위 시간 당 최대 수량보다 크기 때문에, 전자 장치(110)는 후보 캠프를 신규 설정할 필요는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2타입의 캠프에 배송 업무의 처리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거나 고객의 장치에 배송 업무의 처리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업데이트된 배송 업무의 상태를 제2타입의 캠프의 장치(130) 및 고객 장치(140)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 배송 업무의 상태는 아이템의 실시간 위치를 직접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제공되거나, 혹은 아이템을 운반하는 메인 배송원의 위치 또는 서브 배송원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배송 업무의 상태는 아이템의 식별 정보를 특정 장치(예컨대, 제2타입의 캠프의 장치(130))로 읽어들임으로써 변경될 수도 있는데, 예컨대 서브 배송원이 자신의 단말로 아이템의 바코드 정보를 읽어들이는 입력이 있을 경우 서브 배송원이 해당 아이템의 배송을 시작했다고 판단될 수 있다.
제2타입의 캠프의 장치(130)에 제공된 배송 상태 정보의 일 예시가 (a)에 도시된다. 제2타입의 캠프의 장치(130)에 제공되는 배송 상태 정보는 일련의 배송 과정을 상세하게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타입의 캠프의 장치(130)에 제공되는 배송 상태 정보는, 제1타입의 캠프에서 배송이 준비중임을 알리는 정보(배송준비), 메인 배송원이 배송 출발하였음을 알리는 정보(배송출발), 제2타입의 캠프에 메인 배송원이 도착하였음을 알리는 정보(제2타입의 캠프 도착), 서브 배송원이 아이템을 인계받았음을 알리는 정보(인계완료) 및 서브 배송원이 배송을 완료하였음을 알리는 정보(배송완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고객 장치(140)에 제공되는 정보는 제2타입의 캠프의 장치(130)에 제공되는 정보와 상이할 수 있다. 고객 장치(140)에 제공된 배송 상태 정보의 일 예시가 (b)에 도시된다. 일 예시에 따르면, 고객 장치(140)에 제공되는 정보는 메인 배송원과 서브 배송원 간의 아이템 인계와 관련한 내용은 포함하지 않고, 다만 배송준비, 배송출발 및 배송완료를 표시할 수 있다. 이는, 고객 입장에서는 아이템이 문제없이 제 시간에 도착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고 상대적으로 배송이 수행되는 구체적 방식을 확인할 필요성은 낮기 때문일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배송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10)는 트랜시버(810), 프로세서(820) 및 메모리(830)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110)는 트랜시버(810)를 통하여 제2타입의 캠프의 장치(130) 및 기타 외부 장치 등과 연결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820)는 도 1 내지 도 7을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7을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830)는 도 1 내지 도 7을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83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82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82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83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의 전자 장치(110)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또는 단말은,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집적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파이썬(Python)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일 예시일 뿐 후술하는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9)

  1. 전자 장치에서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아이템의 정보 및 배송지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업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배송 업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송 업무의 처리를 위하여 분류(sortation)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배송 업무가 상기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는 경우, 상기 배송 업무가 할당되는 제2타입의 캠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타입의 캠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2타입의 캠프로부터 상기 배송 업무에 관련된 출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출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배송 업무에 대한 상태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송 업무가 상기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타입의 캠프가 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 별로 관리하는 아이템의 목록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 별로, 그 관리하는 아이템의 목록이 상기 배송 업무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 별로 관리하는 아이템의 목록 중 상기 배송 업무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포함하는 목록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배송 업무가 상기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송 업무의 처리는, 아이템을 분류하는 작업 및 분류된 아이템을 운반하는 작업을 포함하고,
    상기 제1타입의 캠프는 배송지로 아이템을 운반하는 작업을 직접적으로 처리하지는 않는 캠프이고,
    상기 배송 업무가 상기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지 않는 경우, 제3타입의 캠프에서 아이템을 분류하는 작업 및 분류된 아이템을 운반하는 작업이 수행됨으로써 상기 배송 업무가 처리되는,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타입의 캠프는 아이템 인수인계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캠프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템 인수인계 작업은, 상기 제1타입의 캠프에 근무하는 메인 배송원에 의해 운반되는 아이템을 상기 제2타입의 캠프에 근무하는 서브 배송원에게 전달하는 작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배송원이 아이템을 운반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차량은 상기 서브 배송원이 아이템을 운반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차량보다 더 큰 적재 용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스캐닝(scanning)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아이템의 식별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상기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는지 여부가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 및 상기 배송지 간의 거리 정보,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에서 출발한 배송원이 상기 배송지를 방문하기 위한 배송 경로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에서 상기 배송지까지 이동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더 기초하여, 상기 배송 업무가 상기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의 정보가 포함하는 상기 아이템의 특성 정보에 더 기초하여 상기 배송 업무가 상기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타입의 캠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타입의 캠프에 제공하는 단계는
    아이템을 인계받아 배송지까지 운반하도록 설정된 하나 이상의 제2후보 캠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후보 캠프 중 상기 배송 업무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인계받을 캠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업무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인계받을 캠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2후보 캠프 별로 대응되는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송 업무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인계받을 캠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2후보 캠프 별 위치 정보,
    상기 하나 이상의 제2후보 캠프 별로 근무하는 배송원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후보 캠프 별로 처리할 수 있는 배송 업무의 수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업무를 할당할 캠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2후보 캠프 중 상기 배송 업무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인계받기에 적합한 캠프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배송 업무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인계받기 위한 캠프를 신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미래에 발생할 배송 업무를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의 결과에 기초하여, 후보 캠프를 신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캠프를 신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예측한 결과에 기초하여, 후보 캠프를 신규 설정하기 위한 목표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목표 위치에 후보 캠프를 신규 설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위치에 후보 캠프를 신규 설정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목표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반경 내에 후보 캠프를 신규 설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업무가 상기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는 경우,
    상기 제2타입의 캠프에 상기 배송 업무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인계 및 운반을 요청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업무가 상기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는 경우,
    상기 제1타입의 캠프에 근무하는 작업자에게 상기 배송 업무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분류하는 작업의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업무에 대응하는 고객의 장치에 상기 배송 업무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18. 제1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기록매체.
  19. 배송 업무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트랜시버,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랜시버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어,
    아이템의 정보 및 배송지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업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배송 업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송 업무의 처리를 위하여 분류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배송 업무가 상기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는 경우, 상기 배송 업무가 할당되는 제2타입의 캠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타입의 캠프에 제공하고,
    상기 제2타입의 캠프로부터 상기 배송 업무에 관련된 출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출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배송 업무에 대한 상태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배송 업무가 상기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타입의 캠프가 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를 판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 별로 관리하는 아이템의 목록을 획득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 별로, 그 관리하는 아이템의 목록이 상기 배송 업무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캠프 별로 관리하는 아이템의 목록 중 상기 배송 업무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포함하는 목록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배송 업무가 상기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지 않는다고 결정하고,

    상기 배송 업무의 처리는, 아이템을 분류하는 작업 및 분류된 아이템을 운반하는 작업을 포함하고,
    상기 제1타입의 캠프는 배송지로 아이템을 운반하는 작업을 직접적으로 처리하지는 않는 캠프이고,
    상기 배송 업무가 상기 제1타입의 캠프를 거치지 않는 경우, 제3타입의 캠프에서 아이템을 분류하는 작업 및 분류된 아이템을 운반하는 작업이 수행됨으로써 상기 배송 업무가 처리되는, 전자 장치.
KR1020210176543A 2021-12-10 2021-12-10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472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543A KR102472021B1 (ko) 2021-12-10 2021-12-10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PCT/KR2021/019374 WO2023106499A1 (ko) 2021-12-10 2021-12-20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20159140A KR20230088250A (ko) 2021-12-10 2022-11-24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TW111147292A TW202324234A (zh) 2021-12-10 2022-12-09 用於為遞送任務提供資訊之電子設備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543A KR102472021B1 (ko) 2021-12-10 2021-12-10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9140A Division KR20230088250A (ko) 2021-12-10 2022-11-24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2021B1 true KR102472021B1 (ko) 2022-11-30

Family

ID=842344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543A KR102472021B1 (ko) 2021-12-10 2021-12-10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20159140A KR20230088250A (ko) 2021-12-10 2022-11-24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9140A KR20230088250A (ko) 2021-12-10 2022-11-24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2472021B1 (ko)
TW (1) TW202324234A (ko)
WO (1) WO2023106499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4525A (ja) * 2003-01-24 2004-08-12 Japan Tobacco Inc 配達エリア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とプログラム
KR20190032044A (ko) * 2017-09-19 2019-03-27 씨제이대한통운 (주) 배송지에 따른 터미널 결정방법
KR20210058230A (ko) * 2019-11-13 2021-05-24 주식회사 콜로세움코퍼레이션 창고센터 최적화 운용 서버 및 그 방법
KR102263260B1 (ko) * 2019-06-12 2021-06-09 이이삭 택배 배송 중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641B1 (ko) * 2012-07-03 2013-09-05 주식회사 에스엔지소프트 물품 배송을 위한 배송 시스템의 운용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4525A (ja) * 2003-01-24 2004-08-12 Japan Tobacco Inc 配達エリア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とプログラム
KR20190032044A (ko) * 2017-09-19 2019-03-27 씨제이대한통운 (주) 배송지에 따른 터미널 결정방법
KR102263260B1 (ko) * 2019-06-12 2021-06-09 이이삭 택배 배송 중계 방법
KR20210058230A (ko) * 2019-11-13 2021-05-24 주식회사 콜로세움코퍼레이션 창고센터 최적화 운용 서버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24234A (zh) 2023-06-16
KR20230088250A (ko) 2023-06-19
WO2023106499A1 (ko)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3372B1 (ko) 적응형 배달 스케줄링용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532675B1 (ko) 플렉서블 배달 작업의 자동 할당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614931B1 (ko) 플렉서블 배달 작업의 자동 할당 및 재할당을 위한 컴퓨터 구현 방법
KR102445639B1 (ko) 인바운드 스토우 모델을 이용한 아웃바운드 예측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445640B1 (ko) 아웃바운드 예측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1367126B2 (en) Out-of-store purchase routing systems, methods, and media
KR102615190B1 (ko) 다수의 컴퓨팅 시스템 사이에서 워크로드를 밸런싱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및 방법
JP2022511184A (ja) 在庫切れアイテムのインテリジェントな予測および先を見越した再注文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実施方法
KR102531087B1 (ko) 아이템 상호 연관 및 우선 순위 지정을 위한 컴퓨터화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30595A (ko) 풀필먼트 센터 우선순위 값에 기초한 아웃바운드 예측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50122A (ko) 아웃바운드 흐름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유전 알고리즘 기반 시스템 및 방법
KR102472021B1 (ko)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JP2022511189A (ja) 配送作業員の自動割り当て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429437B1 (ko)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422151B1 (ko) 배송 업무를 할당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422809B1 (ko) 로컬 캐시 동기화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22500721A (ja) 配送ウェーブシステムを使用した自動荷物再注文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415901B1 (ko) 배송 정보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464743B1 (ko)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JP2020173531A (ja) 運送計画支援装置、運送計画支援システム及び運送計画支援方法
TWI834369B (zh) 用於處理遞送任務資訊之電子設備及其方法
TWI843324B (zh) 用於為遞送任務提供資訊之電子設備及其方法,及包含用於執行該方法之電腦程式的非暫時性電腦可讀記錄媒體
KR20240030872A (ko) 레이턴시 메트릭을 계산하고 사용자 실험을 비활성화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