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961B1 - 황산바륨 분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산바륨 분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961B1
KR102470961B1 KR1020197009909A KR20197009909A KR102470961B1 KR 102470961 B1 KR102470961 B1 KR 102470961B1 KR 1020197009909 A KR1020197009909 A KR 1020197009909A KR 20197009909 A KR20197009909 A KR 20197009909A KR 102470961 B1 KR102470961 B1 KR 102470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ium sulfate
resin
powder
sulfate powder
organic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9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5913A (ko
Inventor
츠토무 야마모토
히로노부 오가타
히로아키 하마무라
마사유키 아사다
Original Assignee
사카이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카이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카이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75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3/00Treatment in general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C09C3/12Treatment with organosilicon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11/00Compounds of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C01F11/46Sulfates
    • C01F11/462Sulfates of Sr or B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08K9/06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with 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2Compounds of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C09C1/027Bar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7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pi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8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non-macromolecular additives other than solvents, pigments or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7/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7/04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9D1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09D7/62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modified by treatment with othe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7Particle size smaller than 1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3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SE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0Solid den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60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60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 C01P2006/62L* (lightness axi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60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 C01P2006/63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a* (red-green axi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60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 C01P2006/64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b* (yellow-blue axi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80Compositional pur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045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3/00Treatment in general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C09C3/08Treatment with low-molecular-weight non-polym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ompounds Of Alkaline-Earth Elements, Aluminum Or Rare-Earth Met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Ink Jet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지나 용제에 용이하면서 간편히 분산시킬 수 있는 미세한 황산바륨 분체를 제공한다. 또한, 이 황산바륨 분체를 사용한 수지 조성물, 도료 조성물, 잉크 조성물 및 수지 성형체, 그리고, 이와 같은 황산바륨 분체를 얻기 위한 제조 방법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평균 일차 입자경이 1 ∼ 100 nm 인 황산바륨 분체로서, 그 분체는, 표면에 유기 화합물을 갖고, 그 분체의 압축 성형체와 증류수의 접촉각이 10 ∼ 170 도인 황산바륨 분체이다.

Description

황산바륨 분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황산바륨 분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황산바륨 분체는, 각종 용도에서 필러 등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무기 안료 용도에서는, 내열성이나 표면 평활성, 기계적 강도 등의 향상, 백색화, 중량 부여 등의 목적에서 수지 조성물의 필러로서 사용되고 있고, 광학 필름 용도에서는, 필름 연신시에 공극을 형성하여 반사율을 향상시킬 목적에서 액정의 반사 필름의 필러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황산바륨 분체는, 각종 용도에서 원하는 물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지에 대한 분산성이 우수한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래서, 특허문헌 1 에서는, 수지에 대한 분산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황산바륨을 유기 첨가물로 피복하는 방법이 검토되었다.
그런데, 본원 출원인은, 소정 금속 원소의 수산화물, 산화물 및/또는 인산염에 의해 피착된 초미립자 황산바륨을 개발하고 있다 (특허문헌 2 참조). 이 초미립자 황산바륨은, 물에 대한 분산성이나 수성 수지에 대한 친화성이 우수한 것으로, 수성 도료나 수성 잉크 조성물 등의 각종 용도로 매우 유용한 것이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3-523914호 국제 공개 제2007/069353호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황산바륨 분체는, 수지에 대한 분산성이 우수한 것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수지 조성물은, 화학 섬유나 필름 형상 등으로 성형 (成形)(성형 (成型) 이라고도 한다) 되어 사용되게 되지만, 수지에 대한 분산성이 낮은 필러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에서는, 그 필러가 수지 조성물 중에서 응집 입자를 형성하고, 섬유의 실 끊김이나 필름 표면의 요철의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은 점에서도, 필러로서 이용 가능한 황산바륨 분체에 있어서, 수지에 대한 분산성은 매우 중요한 특성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내열성이나 표면 평활성, 기계적 강도 등의 향상이나 미세한 공극 형성에는, 황산바륨 분체의 입경이 미세한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되지만, 분체가 미세해질수록 응집력이 강해져, 수지에 대한 분산이 곤란해진다.
여기서,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도료와 같은 용액계에서 필러를 분산시키는 경우에는, 분산 강도가 강한, 미디어를 사용하는 분산기로 장시간 분산시키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한편, 수지에 분산시킬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가열 용융된 수지에 필러를 첨가하여 혼련하므로, 이축 압출기 등의 스크루나 롤 사용하에서 분산시키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 분산기는, 미디어를 사용하는 분산기에 비해서 분산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보다 미세한 황산바륨 분체를 수지 중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은 용이하지 않고 어렵다. 또한, 분산 시간을 길게 하는 것은 수지를 열화시키게도 된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황산바륨은, 수지에 대한 분산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유기 첨가물로 피복된 것이다. 하지만,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는 것은 평균 입도 d50 이 500 ∼ 4900 nm 로, 입경이 큰 황산바륨뿐이며, 예를 들어 수평균 일차 입자경이 100 nm 이하가 되는 미세한 황산바륨에 대해서는 검토되어 있지 않다. 분체의 분야에서는, 입경이 미세해지면 미세해질수록 분산은 곤란해지는 것이 기술 상식이므로, 이 기술 상식에 반해서 미세한 입경이어도 수지에 대한 분산성이 우수한 황산바륨 분체를 얻기 위해 연구할 여지가 있었다.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초미립자 황산바륨은, 물에 대한 분산성이나 수성 수지에 대한 친화성이 우수한 것으로, 수성 도료나 수성 잉크 조성물 등의 각종 용도로 매우 유용한 것이다. 하지만, 용제나 수지, 그 중에서도 특히 비극성 수지에 대해서도 우수한 분산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구할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현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수지나 용제에 용이하면서 간편히 분산시킬 수 있는 미세한 황산바륨 분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 황산바륨 분체를 사용한 수지 조성물, 도료 조성물, 잉크 조성물 및 수지 성형체, 그리고, 이와 같은 황산바륨 분체를 얻기 위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황산바륨 분체에 대해서 여러 가지로 검토하는 가운데, 수평균 일차 입자경이 1 ∼ 100 nm 이고, 표면에 유기 화합물을 갖고, 또한 접촉각이 소정 범위에 있는 황산바륨 분체가 미세한 입경임에도 불구하고, 용제나 비극성 수지 등의 각종 수지에 대하여 우수한 분산성을 갖고, 용제나 수지에 분산시킬 때, 큰 에너지나 장시간 분산을 필요로 하지 않아도 용이하면서 간편히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이와 같은 황산바륨 분체는, 예를 들어, 수평균 일차 입자경이 1 ∼ 100 nm 인 황산바륨 기재에, 소정의 유기 화합물을 첨가하는 첨가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바람직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황산바륨 분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은 도료 조성물 또는 잉크 조성물로서 특히 유용한 것도 알아내어, 상기 과제를 훌륭하게 해결할 수 있는 것에 상도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수평균 일차 입자경이 1 ∼ 100 nm 인 황산바륨 분체로서, 그 분체는, 표면에 유기 화합물을 갖고, 그 분체의 압축 성형체와 증류수의 접촉각이 10 ∼ 170 도인 황산바륨 분체이다.
상기 유기 화합물은, 탄소수 4 이상의 탄소 사슬 및/또는 실록산 결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황산바륨 분체와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이기도 하다.
상기 수지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및 폴리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도료 조성물 또는 잉크 조성물이기도 하다. 즉, 상기 황산바륨 분체와 수지를 함유하는 도료 조성물 또는 잉크 조성물이기도 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성형체이기도 하다.
상기 수지 성형체는, 그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 1 ㎟ 시야 안에 존재하는 10 ㎛ 이상인 황산바륨의 응집 입자의 개수가 10 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수평균 일차 입자경이 1 ∼ 100 nm 인 황산바륨 기재에, 탄소수 4 이상의 탄소 사슬 및/또는 실록산 결합을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을 첨가하는 첨가 공정을 포함하는 황산바륨 분체의 제조 방법이기도 하다.
상기 유기 화합물의 첨가량은, 상기 황산바륨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 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황산바륨 분체는, 상기 서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미세한 입경임에도 불구하고, 용제나 각종 수지에 대하여 우수한 분산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큰 에너지나 장시간 분산을 필요로 하지 않아도 용이하면서 간편히 용제나 수지에 분산시킬 수 있어, 공업적으로 매우 유리하다. 또한, 입경이 미세함으로써, 내열성이나 표면 평활성, 기계적 강도 등의 각종 물성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것 이외에, 예를 들어 반사 필름 제작시의 미세한 공극 형성에도 크게 도움이 된다. 또한, 수지 조성물 중에서의 응집이 충분히 억제되기 때문에, 화학 섬유나 필름 등에 사용되는 필러로서, 섬유의 실 끊김이나 필름 표면의 요철의 원인이 되지 않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투명성이 높은 수지 조성물을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황산바륨 분체는, 수지 조성물, 용제계 도료, 잉크 등에 사용되는 필러로서 특히 유용하다.
도 1 은 비교예 1 에서 촬영한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2 는 실시예 1 에서 촬영한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3 은 실시예 2 에서 촬영한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4 는 실시예 3 에서 촬영한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5 는 실시예 4 에서 촬영한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6 은 실시예 5 에서 촬영한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7 은 실시예 6 에서 촬영한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8 은 실시예 7 에서 촬영한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9 는 실시예 8 에서 촬영한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10 은 실시예 9 에서 촬영한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11 은 비교예 2 에서 촬영한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12 는 비교예 3 에서 촬영한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13 은 비교예 4 에서 촬영한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14 는 비교예 5 에서 촬영한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15 는 비교예 6 에서 촬영한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기재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1, 황산바륨 분체
본 발명의 황산바륨 분체는, 수평균 일차 입자경이 1 ∼ 100 nm 이다. 수평균 일차 입자경이 100 nm 이하임으로써, 이 황산바륨 분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이 투명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내열성이나 표면 평활성, 기계적 강도 등의 각종 물성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것 이외에, 예를 들어 반사 필름 제작시의 미세한 공극 형성에도 유리하다. 수평균 일차 입자경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70 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n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nm 이하이다.
본 명세서 내, 수평균 일차 입자경이란, 전자 현미경 사진에 의한 정방향 (定方向) 직경의 수평균 일차 입자경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한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상기 황산바륨 분체는, 표면에 유기 화합물을 갖는다. 「표면에 유기 화합물을 갖는다」라 함은, 황산바륨 분체의 표면의 일부 이상이 유기 화합물로 피복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 유기 화합물은, 1 종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유기 화합물은, 탄소수 4 이상의 탄소 사슬 및/또는 실록산 결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탄소수 4 이상의 탄소 사슬이란, 탄소 원소가 4 개 이상 연속적으로 결합된, 요컨대 산소 원소나 질소 원소 등의 이 (異) 원소를 개재하지 않고 결합된 것을 말한다. 이로써, 황산바륨 분체에 소수성이 충분히 부여되어, 용제나 수지에 혼련했을 때의 응집이 충분히 억제되기 때문에, 수지나 용제에 대한 친화성이 향상되고, 따라서 용제나 수지에 대한 분산성이 더욱 향상된다. 상기 탄소 사슬을 구성하는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8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4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6 이상이다. 또한, 탄소 사슬의 탄소수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입수 용이성의 관점에서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4 이하이다.
탄소 사슬로는,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등을 들 수 있지만, 용제나 수지에 대한 분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관점에서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탄소 사슬은 또한, 직사슬형, 분기사슬형 또는 고리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직사슬형 또는 분기사슬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화합물은 또한, 친수기를 1 개 이상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유기 화합물이 탄소수 4 이상의 탄소 사슬을 갖는 경우, 당해 유기 화합물은 친수기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기와 소수기 (탄소 사슬) 를 가짐으로써, 친수기가 황산바륨 분체를 구성하는 황산바륨 (황산바륨 기재) 의 표면에 작용하고, 소수기에 의해 수지나 용제에 대한 친화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보다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친수기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카르복실기, 실란올 기, 인산기 등이 바람직하다. 또, 친수기를 2 종 이상 갖고 있어도 된다.
탄소수 4 이상의 탄소 사슬을 갖는 유기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알코올, 글리세린, 지방산, 실란 커플링제, 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포화 지방산, 실란 커플링제 또는 인산에스테르이다. 포화 지방산으로는, 예를 들어,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등을 들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예를 들어 데실트리메톡시실란, 옥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알콕시실란을 들 수 있다. 인산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이소데실애시드포스페이트, 라우릴애시드포스페이트, 이소트리데실애시드포스페이트, 스테아릴애시드포스페이트, 이소스테아릴애시드포스페이트 등의 산성 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화합물로서 탄소수 4 이상의 탄소 사슬을 갖는 유기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이면,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모노메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메탄올아민 등의 탄소수 4 이하의 탄소 사슬을 갖는 유기 화합물을 병용해도 된다.
유기 화합물이 실록산 결합 (Si-O-Si 결합) 을 갖는 경우, 당해 유기 화합물은, 〔-Si(R1)2-O-〕로 나타내는 구성 단위 (R1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를 2 개 이상 갖는 폴리실록산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디메틸실리콘 오일, 메틸하이드로겐실리콘 오일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화합물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황산바륨 분체 중, 탄소 환산으로 0.5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용제나 수지에 대한 친화성 및 분산성이 더욱 향상되는 것 이외에, 황산바륨 분체의 표면의 일부 이상이 유기 화합물로 피복되어 있는 것이 보다 시사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중량% 이상이다. 그 중에서도, 탄소수 4 이상의 탄소 사슬을 갖는 유기 화합물을 사용한 경우에는, 그 함유량이, 탄소 환산으로 1.2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중량% 이상이다. 또한,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황산바륨 분체와 수지를 병용했을 때의 수지의 열화나 증점을 충분히 억제시키는 관점에서 1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중량% 이하이다 (모두 탄소 환산량이다).
본 명세서 내, 유기 화합물의 탄소 환산량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황산바륨 분체가 무기 화합물로 피복된 것이어도, 무기 화합물의 피복량에 따라서는 효과를 발휘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황산바륨 분체가 표면에 유기 화합물과 무기 화합물의 양방을 갖는 형태도 본 발명의 황산바륨 분체에 포함된다.
황산바륨 분체를 피복하는 무기 화합물로는, 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실리카, 함수 (含水) 알루미나, 함수 실리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황산바륨 분체는, 당해 분체의 압축 성형체와 증류수의 접촉각이 10 ∼ 170 도이다. 접촉각이 이 범위에 있으면, 용제나 수지에 대한 분산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접촉각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20 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도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도 이상이다.
본 명세서 내, 상기 접촉각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한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상기 황산바륨 분체는, 백색도 W 값이 85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백색도 W 값은 높을수록 하얗고, W 값이 낮으면 착색된 것을 나타내지만, W 값이 이 범위 내에 있으면, 보다 투명감이 높고, 채색했을 때에 색조가 선명한 수지 조성물이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W 값으로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7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7.5 이상이다.
본 명세서 내, 백색도 W 값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한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상기 황산바륨 분체는, 부피 비중이 0.6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미세한 입경임에도 불구하고, 용제나 수지에 대하여 우수한 분산성을 갖는다는 본 발명의 효과가 한층 더 발휘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g/㎤ 이하이다.
본 명세서 내, 부피 비중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한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상기 황산바륨 분체에서는, 철 성분 (Fe 성분) 이 존재하면 착색되기 때문에, 투명성 향상의 관점에서 철 성분의 함유량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철 성분은 자성이나 도전성을 가지므로, 수지 조성물을 전자 재료 용도에 사용할 경우에도 철 성분의 함유량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철 성분의 함유량이 철 원소 (Fe) 로서 100 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pp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pp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ppm 이하이다.
본 명세서 내, 철 성분의 함유량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한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2, 황산바륨 분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황산바륨 분체의 제조 방법은, 수평균 일차 입자경이 1 ∼ 100 nm 인 황산바륨 기재에, 탄소수 4 이상의 탄소 사슬 및/또는 실록산 결합을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을 첨가하는 첨가 공정을 포함한다. 이로써,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황산바륨 분체를 바람직하게 제조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황산바륨 분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바람직하다. 또, 통상적인 분체의 제조에 채용되는 1 또는 2 이상의 그 밖의 공정을 추가로 포함해도 된다.
<첨가 공정>
첨가 공정은, 수평균 일차 입자경이 1 ∼ 100 nm 인 황산바륨 기재에, 유기 화합물을 첨가하는 공정이다. 황산바륨 기재나 유기 화합물,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기타 성분 등의 각 원료는, 각각 1 종 또는 2 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황산바륨 기재는, 합성에 의해 제조해도 되고, 합성에 한정되지 않고, 비드 밀 등의 분쇄기에 의해 분쇄함으로써 얻을 수도 있다. 그 밖에 시판품 (BARIFINE (등록상표) BF-1, BF-10, BF-20, BF-40 ; 모두 사카이 화학 공업사 제조) 을 상기 황산바륨 기재로서 사용해도 된다. 합성할 경우에는, 바륨원 (예를 들어, 수산화바륨, 황화바륨, 염화바륨, 질산바륨 등) 과, 황산원 (황산, 황산나트륨, 황산암모늄 등) 의 반응에 의해 합성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국제 공개 제2007/069353호〔0024〕에 기재된 수법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상기 황산바륨 기재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 (球) 형상, 입방 (立方) 형상, 혹은 애스펙트비가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황산바륨 기재의 수평균 일차 입자경은, 1 ∼ 100 nm 이면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70 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n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nm 이하이다. 입자경이 작을수록 투명성이나 수지 성형체 등의 평활성이 높아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 공정은, 황산바륨 기재를 함유하는 슬러리에 유기 화합물을 첨가하는 공정 (습식법에 의한 첨가 공정), 또는, 건조시킨 황산바륨 기재에 유기 화합물을 첨가하는 공정 (건식법에 의한 첨가 공정)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분체는 건조시에 강한 응집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전자의 습식법에 의한 첨가 공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습식법에 의한 첨가 공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건식법에 의한 첨가 공정을 채용할 경우에는, 건조시킨 황산바륨 기재에 유기 화합물을 첨가한 후, 유기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건식의 분쇄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써 용제나 수지에 친화성이 높은 황산바륨 분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슬러리는, 황산바륨 기재가 액체 매체 중에 분산된 상태의 것임이 바람직하다. 액체 매체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이나 유기 용제 (예를 들어, 알코올류, 실리콘 오일류, 글리콜류) 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물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슬러리는 물 슬러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첨가 공정은, 예를 들어 바륨원의 수용액과 황산원의 수용액을 혼합하여 슬러리를 얻은 후, 건조시키지 않고 유기 화합물을 첨가하는 공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용제나 수지에 의해 높은 친화성을 갖는 황산바륨 분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슬러리 제조 후, 유기 화합물의 첨가 전에 비드 밀 등의 분산기로 충분히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기 화합물의 첨가 도중이나 첨가 후에 비드 밀 등의 분산기로 분산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슬러리 중의 황산바륨 분산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일반적인 분산제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첨가 공정에서 사용되는 유기 화합물에 대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유기 화합물의 첨가량은, 황산바륨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 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2 중량부 이상이면, 용제나 수지에 대한 친화성이 높아져, 응집 입자의 발생이 보다 충분히 억제된다. 20 중량부 이하이면, 얻어지는 황산바륨 분체를 수지와 병용했을 때의 수지의 열화나 증점을 충분히 억제시킬 수 있다. 하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중량부 이상이고, 또한, 상한은 15 중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기 화합물을 첨가할 때, 상기 슬러리의 온도는, 유기 화합물이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되는 온도 조건이면 되지만, 40 ∼ 1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온도 범위에 있는 슬러리에 유기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유기 화합물이 슬러리 중에 충분히 용해 또는 분산되어, 유기 화합물의 반응 효율이 높아지므로, 얻어지는 황산바륨 분체에 의한 작용 효과가 보다 충분히 발휘되게 된다. 슬러리 온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100 ℃ 이다.
또한 황산바륨 기재를 피복하기 위한 재료로서 유기 화합물과 무기 화합물을 병용하는 경우, 유기 화합물과 무기 화합물을 미리 혼합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황산바륨 기재에 첨가해도 되고, 유기 화합물과 무기 화합물을 순번으로 황산바륨 기재에 첨가해도 된다. 순번으로 첨가하는 경우, 어느 것을 먼저 황산바륨 기재에 첨가해도 된다.
황산바륨 기재를 피복하기 위해서 첨가되는 무기 화합물로는, 알루민산소다, 규산소다, 염화아연, 황산아연 등을 들 수 있다.
<숙성 공정>
상기 첨가 공정 (바람직하게는 습식법에 의한 첨가 공정) 후, 숙성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황산바륨 기재의 표면이 유기 화합물로 보다 충분히 피복되기 때문에, 용제나 수지에 대한 분산성이 더욱 향상된다. 숙성 공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40 ∼ 150 ℃ 에서 0.1 ∼ 10 시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분쇄 공정>
상기 첨가 공정 후 (숙성 공정을 실시할 경우에는 그 후), 필요에 따라 세정 공정을 실시해도 되지만, 그 후, 건조 공정 및/또는 분쇄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의 방법이나 조건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증기, 전기, 가스, 적외선 등에 의한 가열, 진공 감압 등에 의한 건조 방법을 들 수 있다. 분쇄의 방법이나 조건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분쇄 공정에서는, 건조시의 응집을 풀 수 있으면 되고, 기류식의 분쇄기 등으로 분쇄할 수 있다.
3,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황산바륨 분체와 수지를 함유한다. 수지 조성물은, 추가로 기타 성분을 함유해도 되고, 각 함유 성분은 각각 1 종 또는 2 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는,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절연성 관점에서 비극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및 폴리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황산바륨 분체와 수지의 질량비는,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황산바륨 분체가 1 ∼ 5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황산바륨 분체와 수지의 친화성이 보다 높아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상이고,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황산바륨 분체와, 수지와, 필요에 따라 추가로 함유되는 기타 성분을, 통상적인 수법에 따라 혼합 또는 혼련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황산바륨 분체가 균일하게 분산된 것이기 때문에, 투명성이나 안정성이 우수한 데다, 내열성이나 표면 평활성, 기계적 강도 등도 우수한 것이다. 따라서, 안료로서 유용하고, 도료나 잉크 용도로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또한, 반사 필름 등의 필름의 재료로서도 바람직하다.
4, 도료 조성물, 잉크 조성물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 및 잉크 조성물은,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황산바륨 분체와 수지를 함유한다. 필요에 따라 추가로 기타 성분을 함유해도 되고, 각 함유 성분은 각각 1 종 또는 2 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수지는,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수지와 동일하다.
상기 도료 조성물 및 잉크 조성물은, 목적, 용도에 따라 필요한 각종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해도 된다. 첨가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도료 조성물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분산제, 습윤제, 레벨링제, 틱소트로피 부여제, 증점제, 늘어짐 방지제, 곰팡이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성막 보조제, 유기 용제, 황산바륨 분체 이외의 유기 또는 무기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잉크 조성물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방부제, 곰팡이 방지제, pH 조정제, 녹 방지제, 계면 활성제, 유기 용제, 황산바륨 분체 이외의 유기 또는 무기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도료 조성물 및 잉크 조성물은, 황산바륨 분체와 수지와 필요에 따라 추가로 함유되는 기타 성분을, 통상적인 수법에 따라 혼합 또는 혼련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5, 수지 성형체
본 발명의 수지 성형체는,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 수지 조성물의 성형체이다. 따라서, 투명성이나 내열성, 표면 평활성, 기계적 강도 등도 우수하여, 각종 용도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수지 성형체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시트 형상, 필름 형상, 막 형상 이외에, 끈 형상, 판 형상, 막대 형상, 펠릿 형상, 관 형상 등의 그 밖의 형상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지 성형체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필름, 화학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 성형체는, 그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 1 ㎟ 시야 안에 존재하는 10 ㎛ 이상인 황산바륨의 응집 입자의 개수가 10 개 이하이다. 수지 성형체의 재료인 황산바륨 분체는, 수평균 일차 입자경이 1 ∼ 100 nm 로 가시광의 파장보다 작은 것이지만, 이 사이즈의 입자는 수지에 대한 분산 공정에서 일부가 응집 입자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10 ㎛ 이상인 응집 입자는, 필름으로 성형했을 때에 요철을 발생시키게 하는 경우가 있는 것 외에, 막두께가 10 ㎛ 정도인 필름을 성형하는 경우에는 막두께 이상의 큰 입자가 존재하게 되기 때문에, 성형이 곤란해진다. 섬유로 성형하는 경우에도 실 끊김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가시광의 파장보다 큰 응집 입자는 가시광을 산란시켜 투명성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지만, 가시광의 파장보다 황산바륨 분체가 미세하게 분산되어 있으면 투명성이 향상된다. 가시광의 파장과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이런 관점들에서 상기 수지 성형체 중의 10 ㎛ 이상인 응집 입자의 개수는 적을수록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10 ㎛ 이상인 응집 입자의 개수가 10 개 이하인 것이 좋다. 10 ㎛ 이상인 응집 입자의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6 개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개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개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 개이다.
본 명세서 내, 상기 10 ㎛ 이상인 응집 입자의 개수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한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에 실시예를 들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각종 물성 등의 평가·측정 조건을 이하에 기재한다.
1) 수평균 일차 입자경
무작위로 시야를 바꿔 촬영한, 배율 10 만배의 투과형 전자 현미경 사진 (니혼 전자 주식회사 제조, JEM-2100) 으로 정방향의 일차 입자경을 300 개 측정하고, 그 측정값으로부터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이 평균값을, 수평균 일차 입자경으로 하였다.
2) 접촉각
측정 대상의 샘플 (분체) 7.5 g 을 외경 44 mm, 내경 40 mm 이고 5 mm 높이의 알루미늄 링에 넣고, 마에카와 시험기 제작소사 제조의 정제 성형 압축기 (형번 BRE-33) 를 사용하며 120 MPa 의 압력으로 성형하여, 시험편 (압축 성형체) 을 제작하였다. 이 시험편을 수평한 대에 두고, 0.2 g 의 증류수를 적하시키고, 적하 5 초 이내에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였다. 시험편과 증류수의 접선을 긋고, 그 각도를 분도기로 측정하였다. 단, 적하 후 촬영할 시간도 없이 증류수가 시험편에 침투한 경우, 혹은 촬영이 가능한 것이어도 적하 후 5 초 이내에 증류수가 시험편에 침투한 경우에는, 샘플은 친수성인 것으로 판단하여, 측정을 하지 않았다.
3) 유기 화합물의 탄소 환산량 (카본량)
고체 탄소 분석 장치 EMIA-110 (호리바 제작소사 제조) 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4) 부피 비중
JIS K5101 제12부 제1절의 안료 시험 방법의 겉보기 밀도의 정치 (靜置) 법에 준하는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5) 철의 함유량
측정 대상의 샘플 5 g 을 500 ℃ 의 전기로에서 60 분간 가열하고, 유기물 성분 (유기 화합물 등) 을 제거한다. 가열 후의 샘플의 전체량을, 2 중량% 염산 100 ㎖ 들이의 비커에 넣고, 60 분간 교반하여 Fe 성분을 용해시켰다. 그 후, 5C 여과지로 여과를 실시하여, 얻어진 여과액 중의 철 (Fe) 을, 에스아이아이나노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제조의 ICP 발광 분석 장치 (형번 SPS3520) 로 정량하였다.
6) 분체색 (백색도 W 값)
측정 대상의 샘플 (분체) 7.5 g 을 외경 44 mm, 내경 40 mm 이고 5 mm 높이의 알루미늄 링에 넣고, 마에카와 시험기 제작소사 제조의 정제 성형 압축기 (형번 BRE-33) 를 사용하며 120 MPa 의 압력으로 성형하여,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시험편에 대해서, 닛폰 덴쇼쿠 공업사 제조의 분체색 측정기 (형번 SPECTRO COLOR METER SE-6000) 로 분석하고, 하기 식 (1) 에 따라 산출하였다.
W=100-{(100-L)2+(a2+b2)}1/2 (1)
식 중, L, a, b 는 각각 헌터 표색계의 명도, 채도, 색상이다.
7) 10 ㎛ 이상인 응집 입자 (「10 ㎛ 입자」라고 한다) 의 개수
라보 플라스토밀 (토요 정기 제작소사 제조) 사용하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수지 (니혼 폴리에틸렌사 제조, 노바테크 HB420R)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샘플 (황산바륨 분체) 을 20 중량부 첨가한 후, 온도 200 ℃, 회전수 50 rpm, 10 분간의 조건으로 혼련함으로써 분산시켰다. 그 후, 얻어진 분산물 (수지 조성물) 의 표면을, 필요에 따라 회전식 마이크로 톰 RM2265 (라이카사 제조) 로 평활하게 한 후, 주사형 전자 현미경 (니혼 전자 주식회사 제조, JSM-6510A) 으로 관찰하고,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 1 ㎟ 범위의 시야 안에 존재하는 10 ㎛ 이상인 응집 입자의 개수를 세었다.
8) 분광 투과율
2 개 롤 (칸사이 롤 주식회사 제조, Φ8×20 인치 테스트 롤) 사용하에 있어서, 염화비닐 수지 (신다이이치 염화비닐 주식회사 제조, ZEST1000Z)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샘플 (황산바륨 분체) 을 20 중량부 첨가한 후, 온도 167 ℃, 6 분간, 2 개 롤의 회전수를 각각 22 와 18 rpm 의 조건으로 혼련함으로써 분산시켰다. 얻어진 분산물 (수지 조성물) 을, 160 ℃ 의 프레스로 두께 0.5 mm 로 조정한 후, 550 nm 에 있어서의 투과율을, 자외 가시 근적외 분광 광도계 V-770 (니혼 분코사 제조) 으로 측정하였다.
조제예 1 (황산바륨 슬러리의 조제)
흡입구 직경 40 mm, 토출구 직경 25 mm, 내용적 850 ㎖, 임펠러 회전수 2380 rpm 의 워먼 펌프를 반응기로서 사용하고, 이 펌프에 농도 110 g/ℓ (1.1 mol/ℓ), 온도 30 ℃ 의 황산 수용액을 700 ℓ/h 의 일정 유량으로 빨아 들이게 함과 함께, 120 g/ℓ (0.71 mol/ℓ), 온도 50 ℃ 의 황화바륨 수용액을 1180 ℓ/h 의 일정 유량으로 빨아 들이게 함으로써 반응을 실시하고, 70 ℃, 3 시간 숙성시켜 고형분이 100 g/ℓ 인 황산바륨 슬러리를 얻었다.
이 슬러리를 여과, 수세, 건조시켜 얻은 황산바륨 (황산바륨 기재) 에 대해서 상기 서술한 수법으로 정방향 직경의 수평균 일차 입자경을 측정한 바, 50 nm 였다.
비교예 1
조제예 1 에서 얻은 황산바륨 슬러리 1 ℓ 를 30 ℃ 로 조정하고, 30 분간 숙성시켰다. 5C 여과지로 여과하여 이온 교환수로 수세하고, 100 ℃ 의 박스형 항온조 내에서 건조시켰다. 건조 후의 샘플을 기류식 분쇄기 (닛신 엔지니어링사 제조, SJ-500) 로 해쇄함으로써, 황산바륨 분체 (C1) 을 얻었다.
실시예 1
조제예 1 에서 얻은 황산바륨 슬러리 1 ℓ 를 80 ℃ 까지 승온시키고 스테아르산을 4.0 g 첨가하여 30 분간 숙성시켰다. 5C 여과지로 여과하여 이온 교환수로 수세하고, 100 ℃ 의 박스형 항온조 내에서 건조시켰다. 건조 후의 샘플을 기류식 분쇄기 (닛신 엔지니어링사 제조, SJ-500) 로 해쇄함으로써, 황산바륨 분체 (1) 을 얻었다.
실시예 2
스테아르산을 10.0 g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황산바륨 분체 (2) 를 얻었다.
실시예 3
스테아르산 대신에 스테아르산나트륨을 4.0 g 첨가하여 30 분간 숙성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황산바륨 분체 (3) 을 얻었다.
실시예 4
스테아르산 대신에 데실트리메톡시실란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황산바륨 분체 (4) 를 얻었다.
실시예 5
스테아르산 대신에 이소스테아릴애시드포스페이트 (SC 유기 화학사 제조, Phoslex A-180L)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황산바륨 분체 (5) 를 얻었다.
실시예 6
스테아르산 대신에 메틸하이드로겐실리콘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신에츠 실리콘 KF-99)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황산바륨 분체 (6) 을 얻었다.
실시예 7
스테아르산 대신에 디메틸실리콘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신에츠 실리콘 KF-96)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황산바륨 분체 (7) 을 얻었다.
실시예 8
슬러리를 80 ℃ 로 승온시키기 전에, 디에탄올아민을 2.5 g 첨가하여 10 분 교반한 것 및 스테아르산의 첨가량을 5.0 g 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황산바륨 분체 (8) 을 얻었다.
실시예 9
조제예 1 에서 얻은 황산바륨 슬러리 1 ℓ 를 45 ℃ 로 승온시키고, Al2O3 으로서 0.5 g 상당량의 알루민산소다를 첨가하였다. 10 분간 교반 후, 묽은 황산을 사용하여 10 분에 걸쳐 pH 8.5 로 중화시키고 나서 30 분간 숙성시켰다. 슬러리를 80 ℃ 까지 승온시키고 스테아르산을 5.0 g 첨가하여 30 분간 숙성시켰다. 이후의 조작은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황산바륨 분체 (9) 를 얻었다.
비교예 2
바리에이스 (등록상표) B-55 (사카이 화학 공업사 제조) 를 비교예 2 로 하였다. 바리에이스 B-55 는, 수평균 일차 입자경이 500 nm 였다.
비교예 3
바리에이스 (등록상표) B-30 (사카이 화학 공업사 제조) 을 비교예 3 으로 하였다. 바리에이스 B-30 은, 수평균 일차 입자경이 200 nm 였다.
비교예 4
스테아르산 대신에 폴리에틸렌글리콜 2000 (와코 쥰야쿠 공업사 제조)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황산바륨 분체 (C4) 를 얻었다.
비교예 5
조제예 1 에서 얻은 황산바륨 슬러리 1 ℓ 를 70 ℃ 까지 승온시키고 SiO2 로서 4 g 상당량의 3 호 규산소다를 순수 100 ㎖ 로 희석하고 20 분간 적하시키고, 이어서, Al2O3 으로서 2 g 상당량의 알루민산소다를 순수 100 ㎖ 로 희석하고, 20 분간 적하시켰다. 10 분 교반 후, 묽은 황산을 사용하여 30 분에 걸쳐 pH 8 로 중화시키고 나서 10 분 교반하였다. 얻어진 슬러리를 여과하고, 충분히 수세 하고 나서 건조시켜 건조 칩을 얻고, 조쇄 (粗碎) 한 후, 기류식 분쇄기로 해쇄함으로써, 황산바륨 분체 (C5) 를 얻었다.
비교예 6
스테아르산 4.0 g 대신에 1-하이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 (1 수화물) (키시다 화학사 제조) 5.0 g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황산바륨 분체 (C6) 을 얻었다.
상기 서술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각 분체에 대해, 각종 물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 상기 「7) 10 ㎛ 이상인 응집 입자의 개수」 에서 촬영한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을 도 1 ∼ 15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9035283230-pct00001
상기 서술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이하의 사항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 9 에서 얻은 황산바륨 분체 (1) ∼ (9) 와 비교예 1, 4 ∼ 6 에서 얻은 황산바륨 분체 (C1), (C4) ∼ (C6) 을 비교하면, 황산바륨 분체 (1) ∼ (9) 는 모두 수평균 일차 입자경이 1 ∼ 100 nm 이고, 표면에 유기 화합물을 갖고, 접촉각이 10 ∼ 170 도인 반면에, 황산바륨 분체 (C1), (C4) ∼ (C6) 은, 수평균 일차 입자경은 황산바륨 분체 (1) ∼ (9) 와 거의 동등 범위에 있기는 하지만, 접촉각을 측정할 수 없다는 (침투했기 때문에) 점에서 황산바륨 분체 (1) ∼ (9) 와 상이하다. 황산바륨 분체 (C1) 은, 표면에 유기 화합물을 갖지 않는다는 점에서도 황산바륨 분체 (1) ∼ (9) 와는 상이하다. 이 상이함 하에서, 수지에 대한 분산성을, 수지 성형체로 했을 때에 시인 (視認) 되는 10 ㎛ 이상인 응집 입자의 개수에 의해 평가한 결과를 대비하면, 황산바륨 분체 (1) ∼ (9) 에서는 이 개수가 6 개 이하인 반면에, 황산바륨 분체 (C1), (C4) ∼ (C6) 에서는 13 개 이상으로, 그 차이는 현저히 크다. 또한, 분광 투과율로부터, 수지의 투명성이 높아져 있다는 점에서도 분산성이 보인다. 따라서, 미세한 황산바륨 분체임에도 불구하고, 수지나 용제에 용이하면서 간편히 분산시킬 수 있다는 효과의 발휘에는, 표면에 유기 화합물을 갖고, 당해 분체의 압축 성형체와 증류수의 접촉각이 10 ∼ 170 도라는 특징이, 중요한 의의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또, 비교예 2, 3 은, 수평균 일차 입자경이 200 nm 이상으로, 비교적으로 입경이 큰 황산바륨 분체를 사용한 예이다. 이와 같은 황산바륨 분체는 수지 (및 용제) 에 대한 분산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도 11, 12 참조), 본 발명의 미세한 황산바륨 분체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수지나 용제에 대한 분산성) 는, 애초에 전제로서 과제는 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1)

  1. 삭제
  2. 수평균 일차 입자경이 1 ∼ 100 nm 인 황산바륨 분체로서,
    그 분체는, 표면에 유기 화합물을 갖고,
    그 분체의 압축 성형체와 증류수의 접촉각이 10 ∼ 170 도이고,
    그 분체의 부피 비중이 0.6 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산바륨 분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화합물은, 탄소수 4 이상의 탄소 사슬 및/또는 실록산 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산바륨 분체.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기재된 황산바륨 분체와 수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및 폴리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열가소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6. 제 4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조성물 또는 잉크 조성물.
  7. 제 4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성형체는, 그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 1 ㎟ 시야 안에 존재하는 10 ㎛ 이상인 황산바륨의 응집 입자의 개수가 10 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체.
  9. 삭제
  10. 수평균 일차 입자경이 1 ∼ 100 nm 인, 50 ∼ 100 ℃ 의 황산바륨 기재를 함유하는 슬러리에, 탄소수 4 이상의 탄소 사슬 및/또는 실록산 결합을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을 첨가하는 첨가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산바륨 분체의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화합물의 첨가량은, 상기 황산바륨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 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산바륨 분체의 제조 방법.
KR1020197009909A 2016-10-28 2017-10-18 황산바륨 분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KR1024709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11656 2016-10-28
JPJP-P-2016-211656 2016-10-28
PCT/JP2017/037701 WO2018079378A1 (ja) 2016-10-28 2017-10-18 硫酸バリウム粉体及びそれを含む樹脂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913A KR20190075913A (ko) 2019-07-01
KR102470961B1 true KR102470961B1 (ko) 2022-11-24

Family

ID=62023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909A KR102470961B1 (ko) 2016-10-28 2017-10-18 황산바륨 분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34378B2 (ko)
EP (1) EP3533763A4 (ko)
JP (1) JP7070424B2 (ko)
KR (1) KR102470961B1 (ko)
CN (1) CN109863120A (ko)
TW (1) TWI808947B (ko)
WO (1) WO20180793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39723A (zh) * 2023-06-16 2023-08-25 南风化工(运城)集团有限公司 一种改性亚微米级硫酸钡的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1709A (ja) 2006-08-25 2010-01-21 ザッハトレーベン ヒェミー ゲゼルシヤ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硫酸バリウムを含有する複合材
US7846409B2 (en) 2003-12-06 2010-12-07 Solvay Infra Bad Hoenningen Gmbh Deagglomerated barium sulfat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18277A1 (de) * 1987-05-30 1988-12-15 Metallgesellschaf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ariumsulfat mit chemoreaktiver oberflaeche
DE3810423A1 (de) * 1988-03-26 1989-10-12 Metallgesellschaft Ag Thermoplastische formmassen
US5709715A (en) * 1992-07-23 1998-01-20 Owens-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Silicon or silica substrate with a modified surface,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new orthoester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3741537B2 (ja) 1998-05-18 2006-02-01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顔料組成物および印刷インキ
TWI278323B (en) * 2000-01-14 2007-04-11 Shiseido Co Ltd Silicone-treated powder, process of production thereof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DE10005685A1 (de) 2000-02-09 2001-08-23 Sachtleben Chemie Gmbh Bariumsulfat,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dessen Verwendung
DE10026791A1 (de) * 2000-05-31 2001-12-06 Solvay Barium Strontium Gmbh Mikronisiertes Bariumsulfat
DE102005025719A1 (de) 2005-06-04 2006-12-07 Solvay Infra Bad Hönningen GmbH Verfahren zum Erzeugen einer Dispersion von desagglomeriertem Bariumsulfat in Kunststoffen oder Kunststoffvorstufen
DE102005029309A1 (de) * 2005-06-04 2006-12-07 Solvay Infra Bad Hönningen GmbH Dispersion von desagglomeriertem Bariumsulfat in halogenierten Lösungsmitteln, Ethern oder Estern
WO2007069353A1 (ja) 2005-12-16 2007-06-21 Sakai Chemical Industry Co., Ltd. 超微粒子硫酸バリウム、水性塗料組成物及び水性インキ組成物
US7645334B2 (en) 2006-02-21 2010-01-12 Sachtleben Chemie Gmbh Barium sulfate
EP2871209B1 (en) 2012-07-06 2018-09-12 Sakai Chemical Industry Co., Ltd. Barium sulfate composite particles,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46409B2 (en) 2003-12-06 2010-12-07 Solvay Infra Bad Hoenningen Gmbh Deagglomerated barium sulfate
JP2010501709A (ja) 2006-08-25 2010-01-21 ザッハトレーベン ヒェミー ゲゼルシヤ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硫酸バリウムを含有する複合材
JP2010501708A (ja) * 2006-08-25 2010-01-21 ザッハトレーベン ヒェミー ゲゼルシヤ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硫酸バリウムを含有する複合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8079378A1 (ja) 2019-09-12
CN109863120A (zh) 2019-06-07
JP7070424B2 (ja) 2022-05-18
EP3533763A4 (en) 2020-05-13
EP3533763A1 (en) 2019-09-04
KR20190075913A (ko) 2019-07-01
US20210139709A1 (en) 2021-05-13
TW201829315A (zh) 2018-08-16
WO2018079378A1 (ja) 2018-05-03
US11434378B2 (en) 2022-09-06
TWI808947B (zh) 2023-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4560B1 (ko) 침강성 탄산칼슘 입자 및 그의 용도
EP3466882B1 (en) Method of producing silicon compound-coated oxide particles, silicon compound-coated oxide particles, and silicon compound-coated oxide composition containing this
JP5095939B2 (ja) 黒色系酸窒化チタン
KR101790553B1 (ko) 중공실리카 입자의 제조방법, 중공실리카 입자 및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단열 시트
US7491349B2 (en) Black titanium oxynitride
Godnjavec et al. 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s as titanium dioxide surface modifiers for transparent acrylic UV blocking hybrid coating
DE102010007147A1 (de) Mit SiO2 beschichtete Metalleffektpigmente, Verfahren zur Herstellung dieser Metalleffektpigmente und Verwendung
PREMAZU Stabilization of rutile TiO2 nanoparticles with glymo in polyacrylic clear coating
PT1836239E (pt) Materiais compósitos contendo nanopartículas de carbono
WO2011102214A1 (ja) 複合粒子とその製造方法
EP3319907A1 (de) Sio2 enthaltende dispersion mit hoher salzstabilität
WO2015194466A1 (ja) 二酸化チタン顔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配合した組成物
DE102010001135A1 (de) Stabile wässrige Dispersionen aus gefällter Kieselsäure
KR102470961B1 (ko) 황산바륨 분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JP2006182627A (ja) 黒色系酸窒化チタン
WO2014104225A1 (ja) 表面被覆粒子およびその用途
KR102128644B1 (ko) 복합 안료
KR101519749B1 (ko) 고분자-나노복합재의 제조방법 및 고분자-나노복합재
CN113165900A (zh) 一种在氨基酸存在下制备二氧化锆纳米颗粒的方法
KR101384424B1 (ko) 지문 방지 코팅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지문 방지 코팅액 제조용 중공체 입자의 제조방법
JP2014133697A (ja) シリカ粒子の表面処理方法
JP4862977B2 (ja) 微細な緑色系顔料並びに該微細な緑色系顔料を用いた塗料及び樹脂組成物
JP5948196B2 (ja) 白色樹脂組成物
TW202132222A (zh) 被覆氧化鋯微粒子及其製造方法
WO2022107823A1 (ja) 水膜の評価方法及び防曇剤の評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