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353B1 - 부품 접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품 접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353B1
KR102470353B1 KR1020200101708A KR20200101708A KR102470353B1 KR 102470353 B1 KR102470353 B1 KR 102470353B1 KR 1020200101708 A KR1020200101708 A KR 1020200101708A KR 20200101708 A KR20200101708 A KR 20200101708A KR 102470353 B1 KR102470353 B1 KR 102470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able
insulator
disposed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1187A (ko
Inventor
박용희
박홍빈
정홍주
Original Assignee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1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353B1/ko
Priority to PCT/KR2021/010696 priority patent/WO2022035241A1/ko
Priority to US18/015,712 priority patent/US20230292477A1/en
Publication of KR20220021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64Earth or grounding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16Earth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7Housings
    • H05K7/1432Housing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drive units or power converters
    • H05K7/14329Housing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drive units or power converters specially adapted for the configuration of power bus ba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509Multiple-component heat spreaders; Multi-component heat-conducting support plates; Multi-component non-closed heat-conducting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ower Conversion In General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접지 시스템은, 복수 개의 부품을 수용하는 케이스, 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되어 케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직류 캐피시터(DC Capacitor) 및 케이스와 직류 캐패시터 사이에 배치되어 케이스와 직류 캐패시터를 연결하고 -전극을 나타내는 버스바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부품 각각은 버스바에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부품 접지 시스템 {A SYSTEM FOR GROUNDING A COMPONENT}
아래의 실시예들은 부품 접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서브 모듈 내부에는 여러가지의 전장보드(전원장치, 제어기, 드라이버, PCB 등)이 실장되어 있으며, 각각의 보드는 기준 전위 설정을 위해 케이블을 이용하여 기준전위점(DC Capacitor (-)극)에 연결된다.
이 때, 복수의 케이블 간의 간섭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결선을 형성하기 위하여 기준전위점(DC Capacitor (-)극)과 같은 전위인 서브 모듈 케이스를 연결하게 된다. 다만, 이러한 방식은 케이스 및 방열판의 Stray capacitance를 최소화할 수 없는 문제점을 지님에 따라, 기준전위에 노이즈 전압이 크게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는 기준 전위에 노이즈 전압을 크게 발생시키는 요소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63298호에는 전주 장착용 소형 분배중계기함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기생 캐패시턴스를 저감시킬 수 있는 부품 접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 따른 목적은 기준 전위에 발생될 수 있는 노이즈 전압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부품 접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접지 시스템은, 복수 개의 부품을 수용하는 케이스, 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되어 케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직류 캐피시터(DC Capacitor) 및 케이스와 직류 캐패시터 사이에 배치되어 케이스와 직류 캐패시터를 연결하고 -전극을 나타내는 버스바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부품 각각은 버스바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부품을 각각 버스바에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2 케이블 각각은 버스바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부품 접지 시스템은,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방열판 및 케이스의 내부 측면에 배치되는 제2 절연체를 더 포함하고, 복수 개의 부품 각각과 연결되는 제2 케이블은 상기 제2 절연체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방열판은 제3 케이블에 의하여 버스바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제3 케이블과 제2 절연체는 제4 케이블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부품 접지 시스템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고압의 제1 케이블 및 상기 제1 케이블이 상기 케이스의 내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케이스를 이격시키는 제1 절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절연체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절연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케이블은 상기 복수 개의 홈 중 일부를 통과하여 연장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부품 접지 시스템은, 상기 케이스와 상기 직류 캐패시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와 상기 직류 캐패시터를 연결하고 +전극을 나타내는 연결단자 및 상기 방열판의 하측에 배치되는 방전저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접지 시스템은 기생 캐패시턴스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 따른 부품 접지 시스템은 기준 전위에 발생될 수 있는 노이즈 전압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접지 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접지 시스템의 절연체를 상세히 나타낸다.
도3 내지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접지 시스템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 데이터이다.
도6은 변형 실시예에 따른 부품 접지 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접지 시스템은, 복수 개의 부품(10)을 수용하는 케이스(100), 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되어 케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직류 캐피시터(DC Capacitor, 200) 및 케이 스와 직류 캐패시터 사이에 배치되어 케이스와 직류 캐패시터를 연결하고 -전극을 나타내는 버스바(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부품에는 SCR 드라이버, BP 드라이버, SM 제어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IGBT 방열판 같은 구성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 개의 부품들은 각각 버스바(30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품 접지 시스템은,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방열판(500) 및 케이스의 내부 측면에 배치되는 제2 절연체(600)를 더 포함하고, 복수 개의 부품 각각과 연결되는 제2 케이블(410)은 상기 제2 절연체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방열판(500)은 제3 케이블(420)에 의하여 버스바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제3 케이블과 제2 절연체는 제4 케이블(43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종 부품과 연결된 케이블들을 직접적으로 케이스(100)에 연결시키지 않고, 방열판(500)을 포함한 복수 개의 부품과 연결되는 제2 케이블(410)을 제2 절연체(600)에 연결시킨 후, 별도의 제3 케이블(420)에 의하여 방열판(500)을 버스바에 연결시키고, 제2 절연체(600)와 제3 케이블(420)를 제4 케이블(430)에 의하여 연결시킴으로써, 복수 개의 부품들의 기준 전위 케이블을 한 지점으로 묶을 수 있으며, 기생 캐패시턴스(stray capacitance)가 가장 큰 방열판에서 -전극을 나타내는 버스바(300)로 한 점 접지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방식보다 기생 캐패시턴스를 저감시키고 기준전위에서 발생하는 노이즈 전압을 50% 이상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부품 접지 시스템은, 접지 케이블인 제2 케이블(410) 내지 제4 케이블(430) 외에 고압 케이블(440) 또는 신호 케이블을 케이스로부터 절연시키기 위한 제1 절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부품 접지 시스템은,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고압의 제1 케이블(440) 및 제1 케이블이 케이스의 내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제1 케이블과 케이스를 이격시키는 제1 절연체(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절연체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절연체(700)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홈(710)이 구비되고, 제1 케이블(440)은 복수 개의 홈(710) 중 일부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방식으로 제1 절연체(700)에 접하여 케이스 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제1 케이블(440)은 케이스의 내면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접지 케이블 외에 고압 케이블 및 신호 케이블도 절연체를 이용하여 케이스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기생 캐패시턴스를 저감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아울러, 부품 접지 시스템은, 케이스와 직류 캐패시터 사이에 배치되어 케이스와 직류 캐패시터를 연결하고 +전극을 나타내는 연결단자(800) 및 방열판의 하측에 배치되는 방전저항(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며,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접지 시스템의 구조에 따른 노이즈 전압의 저감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음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3을 참조하면, 실험은 시헙전합 2260V, 2400V, 2640V, 3000V의 네 개의 전압에 대하여 실시되었으며, Case 마다 제2 케이블, 제2 절연체, 방열판에 대한 접지 연결 여부를 달리 설정하여 실험하였다.
결과적으로, 제2 케이블, 제2 절연체 및 방열판 모두에 대하여 접지 연결을 설정한 경우 실험 결과가 가장 좋은 것을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제2 케이블, 제2 절연체 및 방열판 모두에 대하여 접지 연결을 하지 않은 Case 1의 경우, 도4와 같이 2260V, 2400V, 2640V, 3000V의 네 개의 전압에 대하여 114V 내지 162V의 노이즈 전압이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달리, 제2 케이블, 제2 절연체 및 방열판 모두에 대해서 접지 연결을 설정한 Case 2의 경우, 도5와 같이 2260V, 2400V, 2640V, 3000V의 네 개의 전압에 대하여 40V 내지 62V의 노이즈 전압이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경우가 가장 낮은 노이즈 전압을 발생시키는 Case로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며, 해당 Case가 본 발명의 부품 접지 시스템의 구조가 반영된 것이다.
즉, 본 발명과 같이 제2 케이블, 제2 절연체 및 방열판을 접지 연결시키는 구조를 통하여, 노이즈 전압을 저감 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6과 같이 변형 실시예로써 부품 접지 시스템의 복수 개의 부품은 제2 절연체로 연결되지 않고, 복수 개의 부품 각각이 별도의 제2 케이블들에 의하여 버스바에 개별적으로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접지 시스템은 기생 캐패시턴스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기준 전위에 발생될 수 있는 노이즈 전압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케이스
200 : 직류 캐패시터
300 : 버스바
410 : 제2 케이블
420 : 제3 케이블
430 : 제4 케이블
440 : 제1 케이블
500 : 방열판
600 : 제2 절연체
700 : 제1 절연체
800 : 연결단자
900 : 방전저항

Claims (7)

  1. 복수 개의 부품을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직류 캐피시터(DC Capacitor); 및
    상기 케이스와 상기 직류 캐패시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와 상기 직류 캐패시터를 연결하고 -전극을 나타내는 버스바;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부품 각각은 상기 버스바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고압의 제1 케이블; 및
    상기 제1 케이블이 상기 케이스의 내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케이스를 이격시키는 제1 절연체;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연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케이블은 상기 복수 개의 홈 중 일부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부품 접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부품을 각각 상기 버스바에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2 케이블 각각은 상기 버스바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부품 접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방열판;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 측면에 배치되는 제2 절연체;
    를 더 포함하고,
    복수 개의 부품 각각과 연결되는 제2 케이블은 상기 제2 절연체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방열판은 제3 케이블에 의하여 상기 버스바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3 케이블과 상기 제2 절연체는 제4 케이블에 의하여 연결되는,
    부품 접지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체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부품 접지 시스템.
  6. 삭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직류 캐패시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와 상기 직류 캐패시터를 연결하고 +전극을 나타내는 연결단자; 및
    상기 방열판의 하측에 배치되는 방전저항;
    을 더 포함하는,
    부품 접지 시스템.

KR1020200101708A 2020-08-13 2020-08-13 부품 접지 시스템 KR102470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708A KR102470353B1 (ko) 2020-08-13 2020-08-13 부품 접지 시스템
PCT/KR2021/010696 WO2022035241A1 (ko) 2020-08-13 2021-08-12 부품 접지 시스템
US18/015,712 US20230292477A1 (en) 2020-08-13 2021-08-12 Component ground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708A KR102470353B1 (ko) 2020-08-13 2020-08-13 부품 접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187A KR20220021187A (ko) 2022-02-22
KR102470353B1 true KR102470353B1 (ko) 2022-11-23

Family

ID=80247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708A KR102470353B1 (ko) 2020-08-13 2020-08-13 부품 접지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92477A1 (ko)
KR (1) KR102470353B1 (ko)
WO (1) WO202203524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3633A (ja) * 2012-12-19 2013-03-21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エンジン始動装置
JP2015122241A (ja) * 2013-12-25 2015-07-0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アース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86765B2 (ja) * 2012-09-28 2018-03-07 北川工業株式会社 ノイズフィルタ付バスバー装置
JP6023556B2 (ja) * 2012-11-09 2016-11-09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の接地構造
JP6608555B1 (ja) * 2019-05-17 2019-11-20 三菱電機株式会社 駆動装置、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3633A (ja) * 2012-12-19 2013-03-21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エンジン始動装置
JP2015122241A (ja) * 2013-12-25 2015-07-0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アース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92477A1 (en) 2023-09-14
WO2022035241A1 (ko) 2022-02-17
KR20220021187A (ko)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8437A (ko) 인쇄회로기판 및 버스 바들을 구비한 필터
CN108370196B (zh) 抗干扰装置、电子组件和抗干扰装置的用途
US8487606B2 (en) Sensor assembly, trip unit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ensor assembly
CN109314470B (zh) 将至少一个电构件与第一和第二汇流排电连接的装置
US10044174B2 (en) Ionizer with electrode unit in first housing separated from power supply controller
JP2009027778A (ja) バスバー
JP2001286152A (ja) インバータシステムの接地構造
US8903047B1 (en) High voltage circuit with arc protection
KR102470353B1 (ko) 부품 접지 시스템
RU2046427C1 (ru) Высоковольтный измерительный трансформатор напряжения
JP6254779B2 (ja) 電力変換装置
CN112544127A (zh) 具有定义的转载路径的功率结构组件和用于制造的方法
CA2923658C (en) Connection of at least four electric conductors
US10532705B2 (en) Resin vehicle body grounding structure
US20040011551A1 (en) Three-phase high voltage cable arrangement having cross-bonded cable screens and cross-bonded water sensing wires
CN104953802A (zh) 电磁兼容滤波器
JP3730137B2 (ja) 電力変換装置
KR101935308B1 (ko) 전기 직류를 전도하기 위한 디바이스
US9627937B2 (en) Stator for an electric motor
CN114270649A (zh) 交流设备的保护
US10257922B2 (en) Method for reducing conductor track spacing in electronic circuit boards and electronic circuit board with reduced spacing between conductor tracks
EP4344371A1 (en) Electromagnetic filter assembly for attenuat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s, feedtrhough assembly, enclosure assembly and vehicle
JP2000224718A (ja) 雷保護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接地端子盤
JP5759917B2 (ja) ブラシ付きモータ
JP2019057558A (ja) 抵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