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9726B1 - 경관 조명용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경관 조명용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9726B1
KR102469726B1 KR1020220052529A KR20220052529A KR102469726B1 KR 102469726 B1 KR102469726 B1 KR 102469726B1 KR 1020220052529 A KR1020220052529 A KR 1020220052529A KR 20220052529 A KR20220052529 A KR 20220052529A KR 102469726 B1 KR102469726 B1 KR 102469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se unit
unit
landscape lighting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우
Original Assignee
에코라이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라이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라이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2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726B1/ko
Priority to KR1020220154595A priority patent/KR20230153229A/ko
Priority to KR1020220154594A priority patent/KR20230153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21V15/013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the housing being an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02Making uncoated products
    • B21C23/04Making uncoated products by direct extrusion
    • B21C23/08Making wire, bars, tubes
    • B21C23/085Mak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8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tubes or other hollow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1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low-built type, e.g. landscape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경관 조명용 프레임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관 형상의 케이스 유닛의 단면에 대응되는 압출공이 형성된 다이스(dies)를 향해 빌릿(billet)을 가압하여 케이스 유닛을 압출하는 단계, 및 케이스 유닛의 상단부 및 하단부 각각에 판 형상의 커버 유닛 및 베이스 유닛을 나사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관 조명용 프레임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경관 조명용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FRAME FOR LANDSCAPE LIGHT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경관 조명용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경 등을 위한 다양한 디자인의 경관 조명이 개발되어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경관 조명의 프레임을 제작함에 있어 강판 등을 기계적으로 절곡하거나 절단하여 구성 파트들을 제작하고 이를 용접으로 결합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방식은 제작자의 높은 숙련도가 요구되고, 품이 많이 드는 반면 작업성이 떨어지고 다량 생산 시 균일한 품질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소기의 품질을 갖춘 경관 조명용 프레임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크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1-0053810호 (2011.05.24. 공개)
본 발명은 소기의 품질을 갖춘 경관 조명용 프레임을 효과적으로 제조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관 형상의 케이스 유닛의 단면에 대응되는 압출공이 형성된 다이스(dies)를 향해 빌릿(billet)을 가압하여 케이스 유닛을 압출하는 단계, 및 케이스 유닛의 상단부 및 하단부 각각에 판 형상의 커버 유닛 및 베이스 유닛을 나사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관 조명용 프레임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압출공은 케이스 유닛에 커버 유닛 및 베이스 유닛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홈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압출하는 단계 이후에, 케이스 유닛의 외주면에 케이스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투광홀을 타공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압출공은 케이스 유닛에 투광홀을 내측에서 커버하는 투광판을 배치 가능한 배치홈이 형성되도록 마련되고, 나사 결합하는 단계 이전에, 투광판을 배치홈에 배치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압출공은 케이스 유닛에 배치홈의 단부 측으로 투광판의 이탈을 방지 가능한 이탈 방지 돌기가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압출공은 배치홈에 배치되는 투광판의 두께 변화를 수용 가능하도록, 이탈 방지 돌기에 배치홈 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 유닛은 외주를 따라 복수의 절곡부가 형성되고, 압출공은 케이스 유닛에 절곡부의 내측에 개재되어 절곡부를 보강하는 보강부가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 유닛은 커버 유닛 및 베이스 유닛 대비 높은 전성을 가질 수 있다.
커버 유닛 및 베이스 유닛은 케이스 유닛 대비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경관 조명용 프레임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경관 조명용 프레임으로서, 케이스 유닛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1 프레임부, 및 복수의 제1 프레임부 사이에 배치되어 조명을 배치 가능한 내부 공간을 구획하고, 복수의 제1 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 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된 후 재절곡되어 복수의 제1 프레임부 중 다른 하나의 타단부 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기의 품질을 갖춘 경관 조명용 프레임을 효과적으로 제조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관 조명용 프레임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경관 조명용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경관 조명용 프레임의 케이스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경관 조명용 프레임의 케이스 유닛을 나타낸 횡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경관 조명용 프레임(100) 및 그 제조 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관 조명용 프레임(100)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형상의 케이스 유닛(120)의 단면에 대응되는 압출공이 형성된 다이스(dies)를 향해 빌릿(billet)을 가압하여 케이스 유닛(120)을 압출하는 단계(S110), 및 케이스 유닛(120)의 상단부 및 하단부 각각에 판 형상의 커버 유닛(140) 및 베이스 유닛(160)을 나사 결합하는 단계(S140)를 포함하는 경관 조명용 프레임(100)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소기의 품질을 갖춘 경관 조명용 프레임(100)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경관 조명용 프레임(100) 제조 방법의 각 단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110에서는 관 형상의 케이스 유닛(120)의 단면에 대응되는 압출공이 형성된 다이스(dies)를 향해 빌릿(billet)을 가압하여 케이스 유닛(120)을 압출할 수 있다.
즉 케이스 유닛(120)은 관 형상을 가지는 바 압출 성형 방식을 통해 효과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출 성형 방식을 통해 다량 생산성이 확보되며 후술할 본 실시예에 따라 제작되는 케이스 유닛(120)의 구체적인 형상과 같이 복잡한 단면 형상을 갖는 경우에도 높은 품질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관 형상의 케이스 유닛(120)을 압출을 통해 한번에 성형하게 되므로 강판 등을 절곡하여 가공하는 경우와 대비해 관 형상을 만들기 위하여 단부를 용접 등으로 접합할 필요가 없는 바 외부 마감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이스에 형성되어 압출 단면을 형성하는 압출공은 케이스 유닛(12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성을 가진 빌릿을 압출공이 형성된 다이스를 향해 가압함으로써 압출공에 따른 단면을 갖는 관 형상의 케이스 유닛(120)을 압출할 수 있다.
여기서 압출공이 형성된 다이스는 금형으로, 빌릿은 금형을 통과시켜 성형하기 위해 가공된 반제품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단계140에서는 케이스 유닛(120)의 상단부 및 하단부 각각에 판 형상의 커버 유닛(140) 및 베이스 유닛(160)을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유닛(140) 및 베이스 유닛(16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 전술한 관 형상의 케이스 유닛(120)과 달리 압출 성형 방식으로 제작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케이스 유닛(120)과 별도로 가공되어 케이스 유닛(120)과 나사 결합을 통해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 유닛(120)은 커버 유닛(140) 및 베이스 유닛(160) 대비 높은 전성을 가질 수 있다.
케이스 유닛(120)은 커버 유닛(140) 및 베이스 유닛(160) 대비 높은 전성을 가져 전술한 압출 성형 방식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케이스 유닛(120)은 전성이 큰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 유닛(120)은 경량성을 가져 설치 장소까지의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외부 설치 시 내식성이 크고, 또한 내부 공간에 배치된 조명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소산시킬 수 있다.
커버 유닛(140) 및 베이스 유닛(160)은 케이스 유닛(120) 대비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커버 유닛(140) 및 베이스 유닛(160)은 케이스 유닛(120) 대비 전성이 낮지만 높은 강성을 가지므로 절단, 펀칭, 선단 등의 전단 가공 방식 등으로 성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버 유닛(140) 및 베이스 유닛(160)은 강성이 큰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유닛(140) 및 베이스 유닛(160)은 외부 설치 시 내식성이 높고, 외부 충격에 대한 저항력이 크며, 특히 케이스 유닛(120)과 결합되어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유닛(160)의 경우 케이스 유닛(120)에 대한 지지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유닛(120)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커버 유닛(140) 및 베이스 유닛(160)은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종 재질에 대한 용접 결합은 결합력이 떨어지므로, 전술한 나사 결합을 통해 높은 결합력을 담보할 수 있다.
압출공은 케이스 유닛(120)에 커버 유닛(140) 및 베이스 유닛(160)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홈(124)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출공을 통해 케이스 유닛(120)이 압출됨에 따라 케이스 유닛(12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커버 유닛(140) 및 베이스 유닛(160)과 나사 결합 가능한 나사홈(124)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유닛(120)은 외주를 따라 복수의 절곡부(123)가 형성되고, 압출공은 케이스 유닛(120)에 절곡부(123)의 내측에 개재되어 절곡부(123)를 보강하는 보강부(125)가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출공을 통해 케이스 유닛(120)이 압출됨에 따라 케이스 유닛(120)의 절곡부(123)의 내측에 보강부(125)가 형성되어 절곡부(123)의 외부 충격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나사홈(124)이 보강부(125)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케이스 유닛(120)을 압출함으로써 보강부(125) 및 나사홈(124)을 일시에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압출하는 단계(S110) 이후에, 케이스 유닛(120)의 외주면에 케이스 유닛(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투광홀(126)을 타공하는 단계(S1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공된 투광홀(126)은 케이스 유닛(12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조명에서 발생된 빛을 외부로 조사할 수 있다.
이 때 투광홀(126)은 케이스 유닛(1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길이 방향으로 압출되는 케이스 유닛(120)의 외주면에 보다 용이하게 투광홀(126)을 타공 형성할 수 있다.
압출공은 케이스 유닛(120)에 투광홀(126)을 내측에서 커버하는 투광판(127)을 배치 가능한 배치홈(128)이 형성되도록 마련되고, 나사 결합하는 단계(S140) 이전에, 투광판(127)을 배치홈(128)에 배치하는 단계(S1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출공을 통해 케이스 유닛(120)이 압출됨에 따라 케이스 유닛(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투광홀(126)을 내측에서 커버하는 투광판(127)을 배치할 수 있는 배치홈(128)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투광판(127)은 투광홀(126)의 내측을 커버하여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조명에서 발생된 빛을 투광홀(126) 측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투광판(127)은 케이스 유닛(120)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압출공은 케이스 유닛(120)에 배치홈(128)의 단부 측으로 투광판(127)의 이탈을 방지 가능한 이탈 방지 돌기(129)가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배치홈(128)에 배치된 투광판(127)이 지지될 수 있도록 배치홈(128)의 단부 측으로부터 이탈 방지 돌기(129)가 돌출되어 케이스 유닛(1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압출공은 이탈 방지 돌기(129)의 단면 및 위치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압출공은 배치홈(128)에 배치되는 투광판(127)의 두께 변화를 수용 가능하도록, 이탈 방지 돌기(129)에 배치홈(128) 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이탈 방지 돌기(129)의 배치홈(128) 측 외면은 배치홈(128)의 저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작 오차, 설계 의도 등에 따른 다양한 두께의 투광판(127)이 배치홈(128)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케이스 유닛(120)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투광판(127)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배치홈(128) 및 이탈 방지 돌기(129)를 통해 이종 재질인 케이스 유닛(120) 및 투광판(127)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배치홈(128) 및 이탈 방지 돌기(129)가 압출 방식에 따라 형성됨으로써 기계 가공 및 용접 등으로 형성되는 경우 대비 작업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그 수치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경관 조명용 프레임(1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케이스 유닛(12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1 프레임부(121), 및 복수의 제1 프레임부(121) 사이에 배치되어 조명을 배치 가능한 내부 공간을 구획하고, 복수의 제1 프레임부(121)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 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된 후 재절곡되어 복수의 제1 프레임부(121) 중 다른 하나의 타단부 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프레임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유닛(140)은 케이스 유닛(120)의 단부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스 유닛(120)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16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스 유닛(120)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되고 지면에 설치됨에 따라 케이스 유닛(120)을 지지할 수 있다.
케이스 유닛(120)은 커버 유닛(140) 및 베이스 유닛(160) 대비 높은 전성을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유닛(140) 및 베이스 유닛(160)은 케이스 유닛(120) 대비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스 유닛(120)에는 커버 유닛(140) 및 베이스 유닛(160)과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나사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나사홈(124)은 후술할 보강부(125)에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유닛(120)에는 제2 프레임부(122)의 절곡부(123)의 내측에 개재되어 절곡부(123)를 보강 가능한 보강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유닛(120)의 외주면에는 내부 공간에 배치된 조명에서 발생된 빛을 외부로 조사 가능한 투광홀(126)이 형성될 수 있다.
투광홀(126)은 케이스 유닛(12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케이스 유닛(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광홀(126)은 제1 프레임부(121)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투광홀(126)을 통해 조사된 빛은 제2 프레임부(122)의 연장면을 따라 확산되어 조사될 수 있게 된다.
투광판(127)은 투광홀(126)을 내측에서 커버하여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조명에서 발생된 빛을 투광홀(126) 측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제1 프레임부(121)의 내측면에는 투광판(127)을 배치 가능한 배치홈(128)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광판(127)은 케이스 유닛(120)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제1 프레임부(121)에는 배치홈(128)에 배치된 투광판(127)의 이탈을 방지 가능하도록 배치홈(128)의 단부 측에 이탈 방지 돌기(129)가 형성될 수 있다.
배치홈(128)에 배치되는 투광판(127)의 두께 변화를 수용 가능하도록, 이탈 방지 돌기(129)에는 배치홈(128) 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유닛(120)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투광판(127)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배치홈(128) 및 이탈 방지 돌기(129)를 통해 이종 재질인 케이스 유닛(120) 및 투광판(127)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경관 조명용 프레임
120: 케이스 유닛
121: 제1 프레임부
122: 제2 프레임부
123: 절곡부
124: 나사홈
125: 보강부
126: 투광홀
127: 투광판
128: 배치홈
129: 이탈 방지 돌기
140: 커버 유닛
160: 베이스 유닛

Claims (10)

  1. 관 형상의 케이스 유닛의 단면에 대응되는 압출공이 형성된 다이스(dies)를 향해 빌릿(billet)을 가압하여 상기 케이스 유닛을 압출하는 단계; 및
    상기 케이스 유닛의 상단부 및 하단부 각각에 판 형상의 커버 유닛 및 베이스 유닛을 나사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유닛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복수의 제1 프레임부 사이에 배치되어 조명을 배치 가능한 내부 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 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된 후 재절곡되어 상기 복수의 제1 프레임부 중 다른 하나의 타단부 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출공은,
    상기 케이스 유닛에 상기 커버 유닛 및 상기 베이스 유닛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홈이 형성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압출공은,
    상기 제2 프레임부의 재절곡부 내측에 개재되어 상기 제2 프레임의 재절곡부를 보강하는 보강부가 형성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나사홈은,
    상기 보강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 유닛이 압출됨에 따라 상기 보강부와 함께 일시에 형성되고,
    상기 압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케이스 유닛의 외주면에 상기 케이스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투광홀을 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광홀은,
    상기 조명으로부터 발생되어 상기 투광홀을 통과한 빛이 상기 제2 프레임부의 연장면을 따라 확산되어 외부로 조사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부에 형성되는, 경관 조명용 프레임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공은,
    상기 케이스 유닛에 상기 투광홀을 내측에서 커버하는 투광판을 배치 가능한 배치홈이 형성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나사 결합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투광판을 상기 배치홈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관 조명용 프레임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공은,
    상기 케이스 유닛에 상기 배치홈의 단부 측으로 상기 투광판의 이탈을 방지 가능한 이탈 방지 돌기가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경관 조명용 프레임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공은,
    상기 배치홈에 배치되는 상기 투광판의 두께 변화를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이탈 방지 돌기에 상기 배치홈 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경관 조명용 프레임 제조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유닛은,
    상기 커버 유닛 및 상기 베이스 유닛 대비 높은 전성을 가지는, 경관 조명용 프레임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유닛 및 상기 베이스 유닛은,
    상기 케이스 유닛 대비 높은 강성을 가지는, 경관 조명용 프레임 제조 방법.
  10. 제1항에 의해 제조되는 경관 조명용 프레임.
KR1020220052529A 2022-04-28 2022-04-28 경관 조명용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KR102469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529A KR102469726B1 (ko) 2022-04-28 2022-04-28 경관 조명용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20154595A KR20230153229A (ko) 2022-04-28 2022-11-17 경관 조명용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20154594A KR20230153228A (ko) 2022-04-28 2022-11-17 경관 조명용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529A KR102469726B1 (ko) 2022-04-28 2022-04-28 경관 조명용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4594A Division KR20230153228A (ko) 2022-04-28 2022-11-17 경관 조명용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20154595A Division KR20230153229A (ko) 2022-04-28 2022-11-17 경관 조명용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9726B1 true KR102469726B1 (ko) 2022-11-22

Family

ID=8423662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529A KR102469726B1 (ko) 2022-04-28 2022-04-28 경관 조명용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20154595A KR20230153229A (ko) 2022-04-28 2022-11-17 경관 조명용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20154594A KR20230153228A (ko) 2022-04-28 2022-11-17 경관 조명용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4595A KR20230153229A (ko) 2022-04-28 2022-11-17 경관 조명용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20154594A KR20230153228A (ko) 2022-04-28 2022-11-17 경관 조명용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6972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8717A1 (en) * 2005-07-06 2007-01-11 Flaherty Richard A Extruded lighted assembly
KR100898931B1 (ko) * 2008-12-31 2009-05-21 주식회사 누리플랜 라인형 엘이디 조명등
KR20110053810A (ko) 2009-11-16 2011-05-24 주식회사위너테크 경관조명을 위한 빔스폿을 이용한 조명 방법 및 장치
US20140362564A1 (en) * 2012-06-12 2014-12-11 Nathan Giblett Solar-Powered Bollard Lamp Devices
CN112066311A (zh) * 2020-09-24 2020-12-11 金螳螂精装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装配式星形吊顶安装结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8717A1 (en) * 2005-07-06 2007-01-11 Flaherty Richard A Extruded lighted assembly
KR100898931B1 (ko) * 2008-12-31 2009-05-21 주식회사 누리플랜 라인형 엘이디 조명등
KR20110053810A (ko) 2009-11-16 2011-05-24 주식회사위너테크 경관조명을 위한 빔스폿을 이용한 조명 방법 및 장치
US20140362564A1 (en) * 2012-06-12 2014-12-11 Nathan Giblett Solar-Powered Bollard Lamp Devices
CN112066311A (zh) * 2020-09-24 2020-12-11 金螳螂精装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装配式星形吊顶安装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3229A (ko) 2023-11-06
KR20230153228A (ko) 202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07037A (zh) 弹性管对齐及连接系统与精确地定位并连接部件的方法
US9168967B2 (en) Frame unit for bicy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766621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verhead storage compartment for an aircraft cabin
CN1367078A (zh) 轻质复合制品
KR101514606B1 (ko) 조립식 확장 합성보
US11738417B2 (en) Suspension strut fork and method for producing a suspension strut fork
RU2471952C2 (ru) Заготовка для облицовки двери с калевкой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US20200361386A1 (en) Hybrid running board
KR102469726B1 (ko) 경관 조명용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CN106604830A (zh) 复合热塑性结构和用于其的复合压缩限制器
CN104080649A (zh) 用于制造一体式座椅靠背结构的方法
JPWO2017130429A1 (ja) 車両用骨格部材の製造方法
JP5054743B2 (ja)
US9308959B2 (en) Frame unit of bicycl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EP3473439B1 (en) Manufacturing process for manufacturing a reinforced panel suitable to form a covering in a building
US20060061209A1 (en) Vehicle wheel rim
KR100626108B1 (ko) 하이드로 포밍 장치
US7267024B2 (en) Gea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21106511A1 (ja) 車両用ドアビー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66534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ne piece turnbuckle
KR101163150B1 (ko) 조인트 박스 제조방법
CN216324576U (zh) 一种弹性支撑环成型工装
JP2018111199A (ja) オーバーモールド成形したバーフィーダ用本体
JP2005152962A (ja) 押出形材の製作方法
JP3204707U (ja) ガードフェ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