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9266B1 - 스티어링 컬럼 로어 쉬라우드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컬럼 로어 쉬라우드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9266B1
KR102469266B1 KR1020200182019A KR20200182019A KR102469266B1 KR 102469266 B1 KR102469266 B1 KR 102469266B1 KR 1020200182019 A KR1020200182019 A KR 1020200182019A KR 20200182019 A KR20200182019 A KR 20200182019A KR 102469266 B1 KR102469266 B1 KR 102469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shroud
fixing
base plate
grommet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0970A (ko
Inventor
박성계
이상도
김성주
이영훈
김남규
Original Assignee
도림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림공업(주) filed Critical 도림공업(주)
Priority to KR1020200182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266B1/ko
Publication of KR20220090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05Inspection and final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1Kn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steering wheel, steering hand lever or steering colum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스티어링 컬럼 로어 쉬라우드의 불량률을 효과적으로 낮추는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 로어 쉬라우드 검사 장치는 스티어링 컬럼의 하부를 감싸는 형태이고 내측에 그로멧을 수용하는 홀이 형성된 몸체부, 몸체부의 길이 방향 일측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 몸체부의 길이 방향 타측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한 로어 쉬라우드의 불량을 검사하는 검사 장치에 있어서, 고정부의 사출 불량을 검사하는 제1 검사지그; 그로멧의 결합 유무를 검사하는 제2 검사지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티어링 컬럼 로어 쉬라우드 검사 장치{INSPECTION DEVICE FOR STEERING COLUMN LOWER SHROUD}
본 개시(The Disclosure)는 스티어링 컬럼 로어 쉬라우드의 불량을 검사하는 장치와 관련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70126호에는 스티어링 컬럼 로어 쉬라우드의 일례가 게재되어 있다. 여기서, 스티어링 컬럼이란 스티어링휠과 스티어링기어를 연결하는 지지대로써, 스티어링휠에 입력된 조작명령을 스티어링기어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티어링 칼럼의 아랫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장착되는 커버를 스티어링 컬럼 로어 쉬라우드라고 한다.
전술한 스티어링 컬럼 로어 쉬라우드는 출하하는 과정에서 종종 어퍼 쉬라우드에 결합되는 고정부의 사출이 불량이거나, 그로멧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출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검사할 수 있는 방법이 육안으로 일일이 검사하는 방법 말고는 없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KR 10-2000-0070126 A (2002. 05. 30. 공개)
스티어링 컬럼 로어 쉬라우드의 불량률을 효과적으로 낮추는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 로어 쉬라우드 검사 장치는 스티어링 컬럼의 하부를 감싸는 형태이고 내측에 그로멧을 수용하는 홀이 형성된 몸체부, 몸체부의 길이 방향 일측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 몸체부의 길이 방향 타측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한 로어 쉬라우드의 불량을 검사하는 검사 장치에 있어서, 고정부의 사출 불량을 검사하는 제1 검사지그; 그로멧의 결합 유무를 검사하는 제2 검사지그;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 로어 쉬라우드 검사 장치의 제1 검사지그는 상면 일측에 함몰부가 형성된 베이스판, 베이스판의 상면 타측에 구비되고, 플레이트부의 일측면을 고정하는 제1 고정블록, 베이스판의 상면 타측에 구비되고, 플레이트부의 타측면을 고정하는 제2 고정블록, 베이스판의 상면에 구비되고, 함몰부와 제2 고정블록 사이에 위치하여, 몸체부의 너비 방향 일측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블록, 베이스판의 상면에 구비되고, 함몰부와 제2 고정블록 사이에 위치하여, 몸체부의 너비 방향 타측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블록, 베이스판에 구비되고, 베이스판에 로어 쉬라우드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함몰부에 구비되고, 함몰부에 고정부가 위치되면, 고정부의 사출 불량을 검사하는 광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 로어 쉬라우드 검사 장치의 제2 검사지그는 그로멧의 내경보다 큰 지름을 갖고 홀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되, 길이 방향 일측이 테이퍼(taper)지게 형성되는 고정봉, 고정봉의 길이 방향 일측 내부에 삽입되고, 고정봉의 길이 방향 일측에 그로멧의 안착 여부를 검사하는 광센서 및 고정봉의 길이 방향 타측 외부에 구비되는 감지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 로어 쉬라우드 검사 장치는 로어 쉬라우드에 부착되는 바코드를 스캔하는 바코드리더기, 제1 검사지그와 제2 검사지그에서 검사한 정보와 바코드에 포함된 로어 쉬라우드의 유형 정보를 대비하여 로어 쉬라우드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로어 쉬라우드의 불량 여부를 영상신호로 출력하는 모니터 및 로어 쉬라우드의 불량 여부를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 로어 쉬라우드 검사 장치는 제1 검사지그의 상방에 구비되는 롤러와, 롤러에 권취되며 로어 쉬라우드에 부착되는 보호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 로어 쉬라우드 검사 장치는, 제1 고정블록과 제2 고정블록에 플레이트부를 고정시키면, 광센서가 구비된 함몰부에 고정부가 위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 로어 쉬라우드 검사 장치의 사용자는 베이스판에 로어 쉬라우드를 안착시키면, 함몰부에 고정부가 위치하게 되고, 함몰부에 구비된 광센서가 이를 감지함으로써, 고정부의 사출 불량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 로어 쉬라우드 검사 장치는, 고정봉이 그로멧의 내경보다 큰 지름을 갖고 홀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 로어 쉬라우드 검사 장치의 사용자는 고정봉에 그로멧을 삽입시키면, 고정봉의 길이 방향 일측에 그로멧이 걸리게 되고, 고정봉에 구비된 광센서가 이를 감지함으로써, 그로멧의 결합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로어 쉬라우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 로어 쉬라우드 검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검사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검사지그에 로어 쉬라우드가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 5는 제2 검사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2 검사지그에 로어 쉬라우드가 장착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 로어 쉬라우드 검사 장치(100)[이하 '검사 장치'라고 함]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로어 쉬라우드의 사시도인 도 1을 참조하면, 로어 쉬라우드(10)는 몸체부(11), 고정부(12), 플레이트부(13) 및 그로멧(14)을 포함한다.
몸체부(11)는 스티어링 컬럼의 하부를 감싸는 형태로, 너비 방향 단면은 'U'자 형태에 근접하다. 몸체부(11)의 내측에는 그로멧(14)이 수용되는 홀(11a)이 형성된다.
고정부(12)는 몸체부(11)의 길이 방향 일측에 형성되며, 몸체부(11)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고정부(12)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플레이트부(13)는 몸체부(11)의 길이 방향 타측에 형성되며, 몸체부(11)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로멧(14)은 홀(11a)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검사 장치(100)의 사시도인 도 2를 참조하면, 검사 장치(100)는 제1 검사지그(110)와 제2 검사지그(120)를 포함한다.
또한, 검사 장치(100)는 바코드리더기(130), 제어부(140), 모니터(150), 스피커(도면 미도시) 및 롤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검사지그(110)의 사시도인 도 3을 참조하면, 제1 검사지그(110)는 베이스판(111), 제1 고정블록(112), 제2 고정블록(113), 제1 지지블록(114), 제2 지지블록(115), 감지센서(116) 및 광센서(117)를 포함한다.
베이스판(111)은 소정 면적을 갖는 판 형태이며, 상면 일측에 함몰부(111a)가 형성된다.
제1 고정블록(112)은 베이스판(111)의 상면 타측에 구비되며,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블록(112)은 로어 쉬라우드(10)가 베이스판(111)에 안착되었을 때, 로어 쉬라우드(10)의 플레이트부(13)의 일측면을 고정한다.
제2 고정블록(113)은 베이스판(111)의 상면 타측에 구비되며,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블록(113)은 로어 쉬라우드(10)가 베이스판(111)에 안착되었을 때, 로어 쉬라우드(10)의 플레이트부(13)의 타측면을 고정한다.
제1 지지블록(114)은 베이스판(111)의 상면에 구비되고,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블록(114)은 함몰부(111a)와 제2 고정블록(113) 사이에 위치하며, 몸체부(11)의 너비 방향 일측면을 지지한다.
제2 지지블록(115)은 베이스판(111)의 상면에 구비되고,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블록(115)은 함몰부(111a)와 제2 고정블록(113) 사이에 위치하며, 몸체부(11)의 너비 방향 타측면을 지지한다.
감지센서(116)는 베이스판(111)에 구비된다. 감지센서(116)는 제1 고정블록(112)과 제2 고정블록(113)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베이스판(111)에 로어 쉬라우드(10)의 안착 여부를 감지한다.
광센서(117)는 함몰부(111a)에 구비된다. 베이스판(111)에 로어 쉬라우드(10)가 안착되었을 때, 함몰부(111a)에는 로어 쉬라우드(10)의 고정부(12)가 위치하고, 광센서(117)는 고정부(12)의 사출 불량을 검사한다. 광센서(117)는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어 빛을 주고 받을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제1 검사지그(110)에 로어 쉬라우드(10)가 장착된 사시도인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판(111)에 로어 쉬라우드(10)가 안착된다. 이때, 플레이트부(13)는 제1 고정블록(112)과 제2 고정블록(113) 사이에 고정되며, 고정부(12)는 함몰부(111a)에 위치한다.
베이스판(111)에 로어 쉬라우드(10)가 안착되면, 감지센서(116)가 작동한다.
계속해서, 광센서(117)가 고정부(12)의 사출 불량을 검사하게 된다. 고정부(12)의 사출이 제대로 되었으면, 고정부(12)가 광센서(117)의 사이에 위치하여 광신호를 막는다. 이어서, 광센서(117)는 고정부(12)의 사출이 정상이라는 신호를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만약, 고정부(12)의 사출이 불량이라면, 고정부(12)의 길이가 짧아 광센서(117)의 사이에 위치하지 않아 광신호를 막지 않는다. 이어서, 광센서(117)는 고정부(12)의 사출이 불량이라는 신호를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제2 검사지그(120)의 사시도인 도 5를 참조하면, 제2 검사지그(120)는 고정봉(121), 광센서(122) 및 감지센서(123)를 포함한다.
고정봉(121)은 소정 길이를 갖는 원기둥 형태이며, 지면에 수직으로 구비된다. 고정봉(121)의 지름은 그로멧(14)의 내경보다 큰 지름을 가지고, 로어 쉬라우드(10)의 홀(11a)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다. 고정봉(121)의 길이 방향 일측은 테이퍼(taper)지게 형성된다.
광센서(122)는 고정봉(121)의 길이 방향 일측 내부에 삽입된다. 고정봉(121)의 길이 방향 일측에 그로멧(14)이 안착되었을 때, 광센서(122)는 그로멧(14)의 안착 여부를 검사한다.
감지센서(123)는 고정봉(121)의 길이 방향 타측 외부에 구비된다. 감지센서(123)는 로어 쉬라우드(10)의 접촉을 감지한다.
도 6 (a)와 (b)는 제2 검사지그(120)에 로어 쉬라우드(10)가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 6 (a)를 참조하면, 로어 쉬라우드(10)의 홀(11a)은 고정봉(121)에 삽입된다. 고정봉(121)은 지름이 그로멧(14)의 내경보다 큰 지름을 갖고 로어 쉬라우드(10)의 홀(11a)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며, 길이 방향 일측이 테이퍼(taper)지게 형성되므로, 로어 쉬라우드(10)에 그로멧(14)이 결합되어 있다면, 고정봉(121)의 길이 방향 일측에 그로멧(14)이 걸리게 된다.
이어서, 광센서(122)가 그로멧(14)의 안착 여부를 검사한다. 고정봉(121)에 그로멧(14)이 안착되어, 광센서(122)를 가리게 되면, 광센서(122)는 그로멧(14)이 결합되었다는 신호를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만약, 로어 쉬라우드(10)에 그로멧(14)이 결합되어 있지 않으면, 도 6 (b)와 같이 로어 쉬라우드(10)는 그대로 낙하하여 고정봉(121)의 길이 방향 타측에 구비된 감지센서(123)와 부딪히게 되고, 감지센서(123)는 그로멧(14)이 결합되지 않았다는 신호를 제어부(140)로 전달하게 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바코드리더기(130)는 로어 쉬라우드(10)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한다. 로어 쉬라우드(10)에 부착된 바코드에는 로어 쉬라우드(10)의 유형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 로어 쉬라우드(10)의 유형 정보는 로어 쉬라우드(10)에 그로멧(14)을 수용하는 홀(11a)의 형성 여부가 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1 검사지그(110)와 제2 검사지그(120)에서 검사한 정보와 바코드에 포함된 로어 쉬라우드(10)의 유형 정보를 대비하여 로어 쉬라우드(10)의 불량을 판단한다.
모니터(150)는 로어 쉬라우드(10)의 불량 여부를 영상신호로 출력한다.
스피커는 로어 쉬라우드(10)의 불량 여부를 음성신호로 출력한다.
또한, 검사 장치(100)는 보호필름(161)이 권취된 롤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러(160)는 제1 검사지그(110)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롤러(160)에는 보호필름(161)이 권취되어 있다. 보호필름(161)은 로어 쉬라우드(10)에 부착되어 로어 쉬라우드(10)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검사 장치(100)는, 제1 고정블록(112)과 제2 고정블록(113)에 플레이트부(13)를 고정시키면, 광센서(117)가 구비된 함몰부(111a)에 고정부(12)가 위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에 따라, 검사 장치(100)의 사용자는 베이스판(111)에 로어 쉬라우드(10)를 안착시키면, 함몰부(111a)에 고정부(12)가 위치하게 되고, 함몰부(111a)에 구비된 광센서(117)가 이를 감지함으로써, 고정부(12)의 사출 불량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검사 장치(100)는, 고정봉(121)이 그로멧(14)의 내경보다 큰 지름을 갖고 홀(11a)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에 따라, 검사 장치(100)의 사용자는 고정봉(121)에 그로멧(14)을 삽입시키면, 고정봉(121)의 길이 방향 일측에 그로멧(14)이 걸리게 되고, 고정봉(121)에 구비된 광센서(122)가 이를 감지함으로써, 그로멧(14)의 결합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할 때 사용된 표현(용어, 시각화된 이미지 등)들은 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도구적인 목적에 의해 선택된 것에 불과하다.
또한 여건상 본 개시는 제한된 수의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되었고, 통상의 기술자는 설명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새로운 실시예들을 창안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청구범위는 '발명의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난 일부 표현에 의하여 제한되어선 안되고, 명세서의 전반에 내재된 본원적인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함이 마땅하다.
100... 스티어링 컬럼 로어 쉬라우드 검사 장치
110... 제1 검사지그
111... 베이스판
111a... 함몰부
112... 제1 고정블록
113... 제2 고정블록
114... 제1 지지블록
115... 제2 지지블록
116... 감지센서
117... 광센서
120... 제2 검사지그
121... 고정봉
122... 광센서
123... 감지센서
130... 바코드리더기
140... 제어부
150... 모니터
160...롤러
161... 보호필름
10... 로어 쉬라우드
11... 몸체부
11a... 홀
12... 고정부
13... 플레이트부
14... 그로멧

Claims (5)

  1. 스티어링 컬럼의 하부를 감싸는 형태이고 내측에 그로멧을 수용하는 홀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 일측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 타측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한 로어 쉬라우드의 불량을 검사하는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사출 불량을 검사하는 제1 검사지그;
    상기 그로멧의 결합 유무를 검사하는 제2 검사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검사지그는,
    상기 그로멧의 내경보다 큰 지름을 갖고 상기 홀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되, 길이 방향 일측이 테이퍼(taper)지게 형성되는 고정봉,
    상기 고정봉의 길이 방향 일측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봉의 길이 방향 일측에 상기 그로멧의 안착 여부를 검사하는 광센서 및
    상기 고정봉의 길이 방향 타측 외부에 구비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사지그는,
    상면 일측에 함몰부가 형성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측면을 고정하는 제1 고정블록,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의 타측면을 고정하는 제2 고정블록,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함몰부와 상기 제2 고정블록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부의 너비 방향 일측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블록,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함몰부와 상기 제2 고정블록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부의 너비 방향 타측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블록,
    상기 베이스판에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판에 상기 로어 쉬라우드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함몰부에 구비되고, 상기 함몰부에 상기 고정부가 위치되면, 상기 고정부의 사출 불량을 검사하는 광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쉬라우드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하는 바코드리더기,
    상기 제1 검사지그와 상기 제2 검사지그에서 검사한 정보와 상기 바코드에 포함된 상기 로어 쉬라우드의 유형 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로어 쉬라우드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로어 쉬라우드의 불량 여부를 영상신호로 출력하는 모니터 및
    상기 로어 쉬라우드의 불량 여부를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사지그의 상방에 구비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에 권취되며 로어 쉬라우드에 부착되는 보호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KR1020200182019A 2020-12-23 2020-12-23 스티어링 컬럼 로어 쉬라우드 검사 장치 KR102469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019A KR102469266B1 (ko) 2020-12-23 2020-12-23 스티어링 컬럼 로어 쉬라우드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019A KR102469266B1 (ko) 2020-12-23 2020-12-23 스티어링 컬럼 로어 쉬라우드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970A KR20220090970A (ko) 2022-06-30
KR102469266B1 true KR102469266B1 (ko) 2022-11-22

Family

ID=82215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019A KR102469266B1 (ko) 2020-12-23 2020-12-23 스티어링 컬럼 로어 쉬라우드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926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763968U (zh) * 2019-03-18 2019-12-10 长春市大华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汽车转向柱下护罩的检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01165C1 (de) 1997-01-15 1998-04-09 Siemens Ag Chipkartenmodul
KR20020040175A (ko) * 2000-11-23 2002-05-30 이계안 자동차의 쉬라우드
KR20150104766A (ko) * 2014-03-06 2015-09-16 주식회사 미르기술 검사공정에서의 불량 이력 추적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763968U (zh) * 2019-03-18 2019-12-10 长春市大华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汽车转向柱下护罩的检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970A (ko)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03593A1 (en) Method and device for testing an inspection system for detecting surface defects
TW200519374A (en) Inspection method and system for thin-film product, thin-film product, single piece material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000069466A (ko) 웨이퍼 반송 장치
KR102469266B1 (ko) 스티어링 컬럼 로어 쉬라우드 검사 장치
JP5966277B2 (ja) バーコード外観検査システム、バーコード外観検査方法、画像処理装置
JP2010185763A (ja) フィルムの平面性検査装置および平面性検査方法
JP2009076633A (ja) 基板処理装置、表面実装機、印刷機、検査機、及び塗布機
JP5033672B2 (ja) 雄螺子の測定装置及び判定装置
JP5142869B2 (ja) 遠隔渦流探傷装置
JP2007520396A (ja) シールされた容器の密閉完全性を製造工程中に測定するシール力モニタ装置、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1867704B1 (ko) 초음파 탐상 장치
JP4568128B2 (ja) 鋼板の突合せ溶接部検査装置及びこの装置を用いた検査方法
KR102363522B1 (ko) 탭홀 비전 검사장치
JP6766994B2 (ja) コンテナ上面状態記録システム
JP2009012140A (ja) 組立体検査装置及び組立体検査方法
JP2007271375A (ja) 超音波探傷を用いた被探傷材の合否判定システムおよび合否判定方法
KR100584616B1 (ko) 프린터의 동작이상 감지방법 및 동작이상 감지기능을구비한 프린터
JP2009294015A (ja) 検査システム
JP4210789B2 (ja) ボビン検査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検査方法
KR200404386Y1 (ko)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의 구조변형검사장치
KR101826289B1 (ko) 단말기용 방수 검사장치
JP2006242794A (ja) 基板検査装置および基板検査方法
JP2008224347A (ja) 製品検査方法
JP2010112827A (ja) ジョイント検査装置
KR100204968B1 (ko) 소재의 경사각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