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9021B1 - 탄소나노섬유의 코팅방법 및 이를 위한 코팅장치 - Google Patents

탄소나노섬유의 코팅방법 및 이를 위한 코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9021B1
KR102469021B1 KR1020200182569A KR20200182569A KR102469021B1 KR 102469021 B1 KR102469021 B1 KR 102469021B1 KR 1020200182569 A KR1020200182569 A KR 1020200182569A KR 20200182569 A KR20200182569 A KR 20200182569A KR 102469021 B1 KR102469021 B1 KR 102469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carbon nanofibers
nanofibers
fiber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1251A (ko
Inventor
이형우
우채영
홍순규
오승훈
김영권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82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021B1/ko
Publication of KR20220091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1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8Carbon nanotubes
    • C01B32/16Pr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22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inorganic material, other than metallic material
    • C23C16/26Deposition of carbon only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4Dry spinning metho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0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8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of inorganic material
    • D01F9/12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4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with carbon or graphite; with carbides; with graphitic acids or their salts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나노섬유의 코팅방법 및 이를 위한 코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화학 기상 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을 통해 건식방사가 가능한 수직 배열된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를 합성하고, 상기 합성된 탄소나노튜브를 건식방사하여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고, 상기 제조된 탄소나노섬유 표면에 탄소나노필름을 건식 코팅하여 기계적, 전기적 특성이 강한 탄소나노섬유를 제작하기 위한 탄소나노섬유의 코팅방법 및 이를 위한 코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탄소나노섬유의 코팅방법 및 이를 위한 코팅장치 {Method for dry coating and dry coating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탄소나노섬유의 코팅방법 및 이를 위한 코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화학 기상 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을 통해 건식방사가 가능한 수직 배열된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를 합성하고, 상기 합성된 탄소나노튜브를 건식방사하여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고, 상기 제조된 탄소나노섬유 표면에 탄소나노필름을 건식 코팅하여 기계적, 전기적 특성이 강한 탄소나노섬유를 제작하기 위한 탄소나노섬유의 코팅방법 및 이를 위한 코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는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더불어서, 낮은 전기비저항, 높은 열전도율을 가진 산업전반에서 그 응용성이 주목되는 소재이다. 예를 들어 탄소나노튜브는 알루미늄보다 낮은 밀도를 가지면서 인장강도는 철보다 약 370배 강하며, 전기 비저항과 열전도율은 각각 구리 및 다이아몬드와 유사한 값을 나타내어 전기전자, 정보통신, 에너지, 바이오, 우주항공, 스포츠, 국방 등 폭넓은 분야에서 응용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일례로, 인장강도 35GPa, 인장탄성률이 1TPa에 육박하는 탄소나노튜브가 보고되고 있다.
탄소나노튜브섬유(Carbon Nanotube Fiber: CNTF)는 탄소나노튜브가 여러 분야에 쉽게 응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매크로(macro)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 탄소나노튜브의 집합체이다. 탄소나노튜브섬유는 우수한 물성을 갖는 탄소나노튜브를 응집하여 제조되므로 기존의 아라미드 섬유, 탄소섬유와 같은 상용화된 고성능 섬유재료를 능가하는 섬유재료로의 응용가능성이 주목되었다.
고순도의 탄소나노튜브 섬유를 제조하는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에는 탄소나노튜브가 분산된 용액을 고분자용액이 담긴 회전하는 용기 내부로 직접 방사하여, 고분자용액이 탄소나노튜브 입자 사이에 침투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접착하여 섬유를 만드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용액이 직접 방사되는 경우, 고분자용액이 탄소나노튜브 사이로의 확산되는 속도가 느리고, 또한 고분자용액이 담기 용기를 회전하는 속도의 제한으로 인하여 탄소나노튜브 섬유의 제조 효율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제조된 탄소나노튜브 섬유의 30 wt% 내외가 고분자여서 우수한 탄소나노튜브의 특성발현이 제한된다.
또한, 탄소나노튜브의 우수한 물성들은 개별 탄소나노튜브 만으로 제한되어 있으며, 현재까지의 기술로는 기존의 탄소나노튜브가 갖고 있는 성질에 훨씬 미치지 못하는 탄소나노튜브섬유 만을 제조할 수 있어서,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는 탄소나노튜브섬유를 생산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가들은 건식 방사를 이용하여 제조된 탄소섬유에 우수한 물성을 갖기 위해 탄소나노필름을 고르게 코팅할 수 있는 방법 및 이의 장치의 개발이 시급하다 인식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6614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72987호
본 발명의 목적은 화학 기상 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을 통해 건식방사가 가능한 수직 배열된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를 합성하고, 상기 합성된 탄소나노튜브를 건식방사하여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고, 상기 제조된 탄소나노섬유 표면에 탄소나노필름을 건식 코팅하여 기계적, 전기적 특성이 강한 탄소나노섬유를 제작하기 위한 탄소나노섬유의 코팅방법 및 이를 위한 코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식 방사를 이용하여 제조된 탄소섬유에 탄소나노필름을 고르게 코팅함으로써 강도, 열전도율 등의 우수한 기계적, 전기적 물성을 갖는 탄소나노필름이 코팅된 탄소나노섬유의 제조가 가능한 탄소나노섬유의 코팅방법 및 이를 위한 코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탄소나노섬유의 코팅방법 및 이를 위한 코팅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섬유의 코팅방법을 제공한다.
(S1)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하는 단계;
(S2) 상기 탄소나노튜브로 구성된 탄소나노튜브 포레스트(carbon nanotube forest)를 제조하는 단계;
(S3) 상기 탄소나노튜브 포레스트를 건식방사하여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및
(S4) 상기 탄소나노섬유 상에 탄소나노필름을 건식코팅하는 단계.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는 하기의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2A) SiO2/Si 기판 상에 알루미나(산화알루미늄, Al2O3)를 1 내지 5 nm의 두께로 증착하는 단계;
(S2B) 상기 알루미나 상에 철(Fe) 촉매를 2 내지 3 nm의 두께로 증착하는 단계; 및
(S2C) 상기 철 촉매 상에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화학기상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을 통해 탄소나노튜브 포레스트를 제조하는 단계.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나와 철 촉매 사이에는 1 내지 3 nm의 합금(alloy)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는 상기 탄소나노튜브 포레스트를 초당 1 내지 10 mm 속도로 방사하여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필름은 상기 탄소나노튜브 사이에 존재하는 반데르 바알스 힘(Van der Waals' force)에 의한 인력이 작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4) 단계는 상기 탄소나노섬유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탄소나노필름은 1 내지 10 mm/s의 속도로 좌우 이동하여 상기 탄소나노필름이 상기 탄소나노섬유의 외면에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디부; 상기 바디부 양측면에 위치하고, 탄소나노섬유의 양단을 고정하기 위한 섬유고정부; 및 상기 탄소나노섬유의 외면에 코팅되는 탄소나노필름을 고정하기 위한 필름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섬유의 코팅장치를 제공하낟.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섬유고정부는 상기 섬유의 양면을 고정시키는 섬유고정대; 상기 섬유고정대를 회전시키기 위한 섬유회전부; 및 상기 섬유회전부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름고정부는 상기 탄소나노필름이 부착되어 고정되는 필름고정대; 및 상기 필름고정대를 일정한 속도로 이동시키기 위한 필름이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동부는 초당 1 내지 10 mm 속도로 상기 필름고정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팅장치는 상기 탄소나노섬유에 장력(tension)을 유지하기 위한 로드(rod);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소나노섬유의 코팅방법 및 이를 위한 코팅장치에서 언급된 모든 사항은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탄소나노섬유의 코팅방법 및 이를 위한 코팅장치는 화학 기상 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을 통해 건식방사가 가능한 수직 배열된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를 합성하고, 상기 합성된 탄소나노튜브를 건식방사하여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고, 상기 제조된 탄소나노섬유 표면에 탄소나노필름을 건식 코팅하여 기계적, 전기적 특성이 강한 탄소나노섬유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탄소나노섬유의 코팅방법 및 이를 위한 코팅장치는 건식 방사를 이용하여 제조된 탄소섬유에 탄소나노필름을 고르게 코팅함으로써 강도, 열전도율 등의 우수한 기계적, 전기적 물성을 갖는 탄소나노필름이 코팅된 탄소나노섬유의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나노섬유의 코팅방법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탄소나노튜브 포레스트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나노필름의 코팅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탄소나노필름이 코팅된 탄소나노섬유의 이미지이다.
도 5는 (a) 본 발명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포레스트를 건식방사하여 제조된 탄소나노섬유 및 (b) 상기 탄소나노섬유 상에 탄소나노필름을 건식코팅된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이미지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탄소나노섬유의 코팅방법
본 발명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탄소나노섬유의 코팅방법을 제공한다.
(S1)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하는 단계;
(S2) 상기 탄소나노튜브로 구성된 탄소나노튜브 포레스트(carbon nanotube forest)를 제조하는 단계;
(S3) 상기 탄소나노튜브 포레스트를 건식방사하여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및
(S4) 상기 탄소나노섬유 상에 탄소나노필름을 건식코팅하는 단계.
상기 (S1) 단계를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하는 단계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저압 화학 기상 증착(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LP-CVD)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압 화학 기상 증착이 수행되는 반응기의 챔버 내부는 탄소 나노 튜브가 성장하기 위한 기판으로 넣고, 상기 챔버 내부를 기 설정된 압력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응기에 불활성 기체를 흘려주면서 400 내지 700 ℃로 상기 반응기를 유지시키고, 수소(H2) 가스를 300 내지 800 sccm로 0.1 내지 60분 동안 상기 챔버에 도입하여 균일한 크기의 촉매 입자를 형성하게 하여 전처리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 공정을 완료하고, 상기 불활성 기체를 다시 흘려주고 500 내지 950 ℃로 온도로 가열하여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아세틸렌(ethyne, C2H2)을 100 내지 500 sccm으로, 수소(H2)를 200 내지 800 sccm으로 동시에 0.1 내지 6 시간 동안 챔버 내부에 흘려주면서 탄소나노튜브를 성장시킬 수 있다. 최종적으로, 상기 불활성 기체를 흘려주면서 실온으로 냉각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불활성 기체는 아르곤일 수 있으나, 상기 반응에 첨가되어 상기 반응에 참여하지 않는 기체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S2) 단계는 하기의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S2A) SiO2/Si 기판 상에 알루미나(산화알루미늄, Al2O3)를 1 내지 5 nm의 두께로 증착하는 단계;
(S2B) 상기 알루미나 상에 철(Fe) 촉매를 2 내지 3 nm의 두께로 증착하는 단계; 및
(S2C) 상기 철 촉매 상에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화학기상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을 통해 탄소나노튜브 포레스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알루미나와 철 촉매 사이에는 1 내지 3 nm의 합금(alloy)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S2A) 단계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나는 1 내지 5 nm의 두께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루미나가 1 nm 미만으로 코팅될 경우 상기 알루미나의 두께가 너무 얇게 형성되어 상기 알루미나로 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상기 알루미나를 10 nm 초과하여 코팅될 경우 상기 알루미나 층과 상기 탄소 나노 튜브 사이의 결합력이 증대되어 건식 방사가 수행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알루미나는 1 내지 5 nm의 두께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nm의 두께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S2B) 단계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SiO2) 기판 일면에 증착된 알루미나의 상부면에 철(Fe) 촉매를 2 내지 3 nm의 두께로 증착할 수 있다.
상기 철 촉매는 전자 빔 코팅 시스템(electron beam coating system)에 의해 증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빔 코팅 시스템은 증발 챔버(evaporating chamber), 증발 제어 시스템(evaporate control system), 전원 공급 시스템(power supply system) 및 진공 시스템(vacuum system)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증발 챔버 내에 상기 알루미나가 코팅된 실리콘 기판을 삽입하고, 4 x 10-6 내지 5 x 10-6 torr의 압력을 가한다. 다음으로, 4 내지 6 kV의 고전압을 인가하고, 철 촉매를 상기 알루미나 상부면에 증착시킨다.
상기 전자 빔 코팅 시스템에 의해 철 촉매가 증착되고, 탄소 나노 튜브 합성 시, 촉매 금속 아일랜드를 형성하기 위해 가해주는 발생되는 열로 인해 상기 알루미나와 철 촉매 사이에는 합금(alloy)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합금은 1 내지 3 nm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합금으로 인해 상기 (S1C) 단계에서 코팅되는 탄소 나노 튜브 사이의 결합력이 감소되어 탄소섬유가 형성되는 수율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상기 (S2C) 단계에서 상기 (S2B) 단계에서 증착된 철 촉매 일면에 탄소 나노 튜브를 화학기상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을 이용하여 탄소 나노 튜브 포레스트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S3) 단계는 상기 탄소나노튜브 포레스트를 초당 1 내지 10 mm 속도로 방사하여 탄소나노섬유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필름은 상기 탄소나노튜브 사이에 존재하는 반데르 바알스 힘(Van der Waals' force)에 의한 인력이 작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데르 바알스 힘으로 인해 상기 탄소나노튜브가 밀도 높게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탄소나노섬유의 강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S4) 단계는 상기 탄소나노섬유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탄소나노필름은 1 내지 10 mm/s의 속도로 좌우 이동하여 상기 탄소나노필름이 상기 탄소나노섬유의 외면에 코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섬유를 상기 탄소나노필름이 상기 섬유 외면에 고르게 코팅되기 위해 기 설정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섬유 상에 상기 탄소나노필름이 코팅됨으로써 향상된 전기적 특성을 나태낼 수 있다.
탄소나노섬유의 코팅장치
본 발명은 탄소나노섬유의 코팅장치(1)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바디부(100); 상기 바디부(100) 양측면에 위치하고, 탄소나노섬유의 양단을 고정하기 위한 섬유고정부(200); 및 상기 탄소나노섬유의 외면에 코팅되는 탄소나노필름을 고정하기 위한 필름고정부(300);를 포함하는 탄소나노필름 건식코팅장치(1)를 제공한다.
상기 바디부(100)는 상기 건식코팅장치(1)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고정부(200) 및 필름고정부(300)가 고정되고, 후술할 이동부(320)가 형성될 홈(미도시)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은 길이 및 너비는 상기 이동부(320)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섬유고정부(200)는 상기 섬유의 양면을 고정시키는 섬유고정대(210); 상기 섬유고정대(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섬유회전부(220); 및 상기 섬유회전부(220)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230);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섬유고정대(210)는 상기 섬유이 일면을 고정시키는 제1 섬유고정대(211); 및 상기 제1 섬유고정대(211)의 길이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섬유의 타면을 고정시키는 제2 섬유고정대(212);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회전부(220)는 상기 섬유를 초당 1회 360 ° 회전 시킬 수 있으며, 상기 섬유회전부(22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탄소나노필름은 상기 섬유의 외면에 고르게 코팅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230)는 상기 회전부(220)를 거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치대(230)는 상기 섬유회전부(220)를 회전 가능한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하여 거치할 수 있고, 회전 가능한 회전축에 삽입되어 거치할 수 있으며, 회전 가능한 형태로 고정되어 거치되는 것이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필름고정부(300)는 상기 탄소나노필름의 일면이 부착되어 고정되는 필름고정대(310); 및 상기 필름고정대(310)를 일정한 속도로 이동시키기 위한 필름이동부(320);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름고정대(310)는 성가 탄소나노필름의 일면이 부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탄소나노필름의 타면은 상기 섬유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섬유의 외면에 코팅될 수 있다.
상기 필름이동부(320)는 상기 필름고정대(310)를 초당 1 내지 10 mm 속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필름이동부(320)는 일정한 속도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필름고정대(310)에 고정된 탄소나노필름에 장력을 가하면서 상기 섬유의 외면에 코팅될 수 있다.
상기 필름이동부(320)는 롤러를 이용하거나, 모터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이동할 수 있으며, 일정한 속도를 상기 필름고정대(310)를 이동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코팅장치(1)는 상기 탄소나노섬유에 장력(tension)을 유지하기 위한 로드(rod)(4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드(400)는 상기 필름이동부(320) 양단에 고정되어 상기 탄소나노섬유 상에 상기 탄소나노필름이 코팅 될 때 일정한 장력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탄소나노필름의 코팅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 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세 알려 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실시예 1. 탄소나노필름이 코팅된 탄소나노섬유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하고, 화학기상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을 통해 상기 탄소나노튜브로 구성된 탄소나노튜브 포레스트(carbon nanotube forest)를 제조한 다음, 상기 탄소나노튜브 포레스트를 건식방사하여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였다. 상기를 섬유고정부에 고정하고, 탄소나노필름을 필름고정부에 고정한 다음, 상기 탄소나노섬유 상에 탄소나노필름을 건식 코팅하여 탄소나노필름이 코팅된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전기적 특성 확인
본 발명에 따른 탄소나노필름이 코팅된 탄소나노섬유의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탄소나노섬유와 탄소나노필름이 코팅된 탄소나노섬유의 전기저항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20140602896-pat00001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일 탄소나노섬유의 경우 175.8 Ω의 전기저항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탄소나노필름이 코팅된 탄소나노섬유의 경우 69.8 Ω의 현저히 저하된 전기저항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탄소나노필름이 코팅된 탄소나노섬유는 단일 탄소나노섬유와 비교하여 현저히 향상된 전기전도도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탄소나노섬유의 코팅장치 : 1
바디부 : 100
섬유고정부 : 200
필름고정부 : 300
로드(rod) : 400

Claims (8)

  1. (S1)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하는 단계;
    (S2) 상기 탄소나노튜브로 구성된 탄소나노튜브 포레스트(carbon nanotube forest)를 제조하는 단계;
    (S3) 상기 탄소나노튜브 포레스트를 건식방사하여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및
    (S4) 상기 탄소나노섬유 상에 탄소나노필름을 1 내지 10 mm/s의 속도로 좌우 이동하여 상기 탄소나노필름이 상기 탄소나노섬유의 외면에 건식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S2) 단계는
    (S2A) SiO2/Si 기판 상에 알루미나(산화알루미늄, Al2O3)를 1 내지 5 nm의 두께로 증착하는 단계;
    (S2B) 상기 알루미나 상에 철(Fe) 촉매를 2 내지 3 nm의 두께로 증착하는 단계; 및
    (S2C) 상기 철 촉매 상에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화학기상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을 통해 탄소나노튜브 포레스트를 제조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알루미나와 철 촉매 사이에는 1 내지 3 nm의 합금(alloy)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섬유의 코팅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는 상기 탄소나노튜브 포레스트를 초당 1 내지 10 mm 속도로 방사하여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고,
    상기 탄소나노필름은 상기 탄소나노튜브 사이에 존재하는 반데르 바알스 힘(Van der Waals' force)에 의한 인력이 작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섬유의 코팅방법.
  4. 삭제
  5. 바디부;
    상기 바디부 양측면에 위치하고, 탄소나노섬유의 양단을 고정하기 위한 섬유고정부; 및
    상기 탄소나노섬유의 외면에 코팅되는 탄소나노필름을 고정하기 위한 필름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섬유고정부는
    상기 섬유의 양면을 고정시키는 섬유고정대;
    상기 섬유고정대를 회전시키기 위한 섬유회전부; 및
    상기 섬유회전부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로 구성되며,
    상기 필름고정부는
    상기 탄소나노필름이 부착되어 고정되는 필름고정대; 및
    상기 필름고정대를 일정한 속도로 이동시키기 위한 필름이동부;로 구성되고,
    상기 필름이동부는 초당 1 내지 10 mm 속도로 상기 필름고정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섬유의 코팅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장치는 상기 탄소나노섬유에 장력(tension)을 유지하기 위한 로드(rod);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섬유의 코팅장치.
KR1020200182569A 2020-12-23 2020-12-23 탄소나노섬유의 코팅방법 및 이를 위한 코팅장치 KR102469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569A KR102469021B1 (ko) 2020-12-23 2020-12-23 탄소나노섬유의 코팅방법 및 이를 위한 코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569A KR102469021B1 (ko) 2020-12-23 2020-12-23 탄소나노섬유의 코팅방법 및 이를 위한 코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251A KR20220091251A (ko) 2022-06-30
KR102469021B1 true KR102469021B1 (ko) 2022-11-18

Family

ID=82215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569A KR102469021B1 (ko) 2020-12-23 2020-12-23 탄소나노섬유의 코팅방법 및 이를 위한 코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90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45080A (ja) 2017-03-09 2018-09-20 大陽日酸株式会社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製造方法、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及び配向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付き基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26153B1 (en) * 2013-07-22 2021-10-13 Murata Machinery, Ltd. Thread production device, and aggregating part
US10450678B2 (en) * 2013-07-22 2019-10-22 Murata Machinery, Ltd. Yarn manufacturing device
WO2016136824A1 (ja) * 2015-02-27 2016-09-01 日立造船株式会社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繊維の製造方法、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繊維の製造装置および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繊維
KR101766143B1 (ko) 2016-05-24 2017-08-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정렬된 활성탄소나노섬유 제조방법
KR101972987B1 (ko) 2017-12-11 2019-04-2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강도 및 고전도도 탄소나노튜브 섬유 연속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45080A (ja) 2017-03-09 2018-09-20 大陽日酸株式会社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製造方法、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及び配向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付き基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251A (ko)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5583B2 (en) Composite graphene structures
US9181098B2 (en) Preparation of array of long carbon nanotubes and fibers therefrom
US7338684B1 (en) Vapor grown carbon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JP3363759B2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725314B2 (en) Continuous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arbon nanofiber reinforced continuous fiber preforms and composites made therefrom
US20070116631A1 (en) Arrays of long carbon nanotubes for fiber spinning
JP5947545B2 (ja) 長微粒子状マイクロメートル材料上の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合成方法
CN105819710B (zh) 一种石墨烯/玄武岩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20050121426A (ko) 탄소나노튜브 제조용 촉매의 제조 방법
KR20210096441A (ko) 3d 프린팅이 가능한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 및 이의 제조방법
Cui et al. Synthesis of carbon nanocoils on substrates made of plant fibers
KR102469021B1 (ko) 탄소나노섬유의 코팅방법 및 이를 위한 코팅장치
JP4125638B2 (ja) V族遷移金属ダイカルコゲナイド結晶からなるナノファイバー又はナノチューブ並びにその製造方法
US9290387B2 (en) Preparation of arrays of long carbon nanotubes using catalyst structure
US9315385B2 (en) Increasing the specific strength of spun carbon nanotube fibers
Takikawa et al. Amorphous carbon fibrilliform nanomaterials prepared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KR102469018B1 (ko) 탄소나노섬유의 합사방법 및 이를 위한 합사장치
Luo et al. Synthesis of high-quality carbon nanotube arrays without the assistance of water
Kim et al. Growth of carbon nanotube field emitters on single strand carbon fiber: a linear electron source
KR102201043B1 (ko) 건식 방사를 이용한 탄소섬유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탄소섬유 제조 장치
CN111850498B (zh) 一种碳纳米纤维增强镍基复合涂层及其制备方法
JP4663187B2 (ja) 微細炭素繊維混合物及びそれを含む組成物
TW200406513A (en) Method for producing graphite nanofiber, electron discharge source, and display device
KR102558864B1 (ko) 탄소나노섬유를 기반으로 하는 고강도 필라멘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15714B1 (ko) 그래핀-탄소나노튜브 복합 섬유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그래핀-탄소나노튜브 복합 섬유의 제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