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8623B1 - 축박스 서스펜션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기대차 - Google Patents

축박스 서스펜션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기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8623B1
KR102468623B1 KR1020207031498A KR20207031498A KR102468623B1 KR 102468623 B1 KR102468623 B1 KR 102468623B1 KR 1020207031498 A KR1020207031498 A KR 1020207031498A KR 20207031498 A KR20207031498 A KR 20207031498A KR 102468623 B1 KR102468623 B1 KR 102468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et
buffer
shaft box
wedge structur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1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8373A (ko
Inventor
산차오 수
란디 수
엔보 판
웬롱 장
얀후이 왕
지제 리
루잉 장
펭준 무
시펭 수
Original Assignee
씨알알씨 치치하르 롤링 스톡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알알씨 치치하르 롤링 스톡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씨알알씨 치치하르 롤링 스톡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00138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3/00Types of bogies
    • B61F3/02Types of bogies with more than one axle
    • B61F3/04Types of bogies with more than one axle with driven axles or wheels
    • B61F3/06Types of bogies with more than one axle with driven axles or wheels with three or more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26Mounting or securing axle-boxes in vehicle or bogie underframes
    • B61F5/30Axle-boxes mounted for movement under spring control in vehicle or bogie under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Handcart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박스 서스펜션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기대차를 제공하고, 축박스 서스펜션장치는 단부 휠세트모듈을 포함하고, 단부 휠세트모듈은 제1 휠세트;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제1 휠세트에 설치된 제1 축박스; 제1 지지부에 설치된 제1 완충부품; 제2 지지부에 설치된 제2 완충부품; 제1 휠세트와 제1 축박스 사이에 설치된 제1 새들; 제1 완충부품에 설치되고 제1 위치결정 플레이트가 제1 축박스의 사이드 플레이트와 대향되게 설치된 제1 안내 프레임; 밑면이 제2 완충부품에 연결된 제1 경사 쐐기 구조; 제1 경사 쐐기 구조의 경사면에 설치된 제2 안내 프레임; 및 제1 새들과 제1 축박스 사이에 설치된 제3 완충부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방안에 의하면, 기존기술중의 축박스 서스펜션장치의 동역학 성능이 안정적이지 않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축박스 서스펜션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기대차
본 발명은 보기대차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축박스 서스펜션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기대차에 관한 것이다.
현재, 철도 화물차는 일반적으로 차체, 보기대차, 브레이크장치, 커플러 완충 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보기대차는 차체를 지지하고 궤도에 따라 주행하도록 차량을 안내하며 차체 및 레일로부터 받는 각종 부하를 감당하는 작용을 하고, 보기대차는 철도 화물차의 중요한 구성 부분으로서 차량의 동역학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부품이다. 3축 보기대차의 주요 특징은 기존의 3부분으로 구성된 2축 보기대차에 비하여 축 수량이 많고 고정축거가 크다.
종래기술 중 철도 화물차용 용접 프레임형 3축 보기대차는 일반적으로 프레임 어셈블리, 기초 브레이크장치, 축박스 서스펜션장치 및 탄성 사이드 베어링 등으로 구성되고, 축박스 서스펜션장치는 3개 휠세트와 휠세트에 장착된 축박스, 스프링, 경사 쐐기 및 새들 등으로 구성된다. 3축 보기대차가 장착된 철도 차량의 곡선 통과 성능, 고속 운전 안전성 및 안전 성능은 차량을 심사하는 중요한 지표이고, 보기대차의 축박스 서스펜션장치는 차량의 동역학 성능과 관련되며, 차량의 동역학 성능을 직접 결정하고 영향을 주게 된다.
종래기술 중 보기대차의 축박스 서스펜션장치는 스프링, 경사 쐐기, 새들 및 축박스로 구성된다. 보기대차의 단부 휠세트에는 쌍 경사 쐐기 구조를 적용하고, 중간 휠세트에는 경사 쐐기가 없다. 새들은 축박스내에 설치되어 있고, 축박스와 베어링 사이에 위치한다. 단부 휠세트는 경사 쐐기의 경사면 및 마찰력 양측 대칭 구조에 의하여 위치결정 됨으로, 균형점 위치를 결정하기 아주 어렵고 불안정적인 구조에 속한다. 중간 휠세트는 스프링의 가로 및 세로 방향의 강도에 의하여 위치결정 되고, 축박스 스프링 자체의 강도가 작아서 차량의 동역학 성능이 안정적이지 않다. 그리고, 기존기술에 있어서, 축박스내에 새들이 설치되어 있고, 새들의 상면과 축박스내의 상면은 금속과 금속의 매칭이므로 마모가 쉽게 발생한다.
출원번호가 CN200920100324인 특허출원에 3축 보기대차가 개시되었는데, 이 3축 보기대차에 있어서, 단부 휠세트에는 단측 경사 쐐기 구조를 적용하고, 중간 휠세트에는 경사 쐐기 구조가 없으며, 축박스는 직접 베어링과 매칭된다. 출원번호가 CN200920279848인 특허출원에는 철도 화물차 3축 보기대차가 개시되었는데, 이 3축 보기대차에 있어서, 단부 휠세트에는 양측 경사 쐐기 구조를 적용하고, 중간 휠세트에는 경사 쐐기 구조가 없으며, 축박스와 베어링 사이에는 새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두가지 구조의 동역학 성능은 모두 안정적이지 않고 마모가 크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 중 축박스 서스펜션장치의 동역학 성능이 안정적이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는 축박스 서스펜션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기대차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부 휠세트모듈을 포함하고, 단부 휠세트모듈은 제1 휠세트;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제1 휠세트에 설치된 제1 축박스; 제1 지지부에 설치된 제1 완충부품; 제2 지지부에 설치된 제2 완충부품; 제1 휠세트와 제1 축박스 사이에 설치된 제1 새들; 제1 완충부품에 설치되고, 제1 축박스의 사이드 플레이트와 대향되게 설치된 제1 위치결정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제1 위치결정 플레이트에 의하여 제1 축박스의 사이드 플레이트와 매칭되어 위치결정되는 제1 안내 프레임; 밑면이 제2 완충부품에 연결된 제1 경사 쐐기 구조; 제1 경사 쐐기 구조의 경사면에 설치된 제2 안내 프레임; 및 제1 새들과 제1 축박스 사이에 설치된 제3 완충부품을 포함하는 축박스 서스펜션장치를 제공한다.
진일보로, 제3 완충부품은 제1 완충 플레이트; 제1 완충 플레이트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고 제1 완충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완충 구간을 갖는 제2 완충 플레이트; 및 제1 완충 플레이트와 제2 완충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 연결 부품을 포함한다.
진일보로, 제1 완충 플레이트는 제2 완충 플레이트에 가까운 일측에 완충 오목면을 구비하고, 제2 완충 플레이트는 제1 완충 플레이트에 가까운 일측에 완충 볼록면을 구비하며, 완충 오목면과 완충 볼록면은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고, 완충 볼록면과 완충 오목면 사이의 간격이 완충 구간을 형성한다.
진일보로, 제1 완충 플레이트 및/또는 제2 완충 플레이트는 탄성재료에 의하여 제작된다.
진일보로, 제3 완충부품은 제1 완충 플레이트 및/또는 제2 완충 플레이트에 설치된 제1 위치결정부를 더 포함하고, 제1 위치결정부에 의하여 위치결정된다.
진일보로, 단부 휠세트모듈은 제1 위치결정 플레이트와 제1 축박스의 사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 제1 마모부품을 더 포함하고, 제1 마모부품에 의하여 제1 위치결정 플레이트의 마손을 감소시킨다.
진일보로, 단부 휠세트모듈은 제1 경사 쐐기 구조와 제1 축박스의 사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 제2 마모부품을 더 포함하고, 제2 마모부품에 의하여 제1 경사 쐐기 구조의 마손을 감소시킨다.
진일보로, 축박스 서스펜션장치는 중간 휠세트모듈을 더 포함하고, 중간 휠세트모듈은 제1 휠세트와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2 휠세트; 제2 휠세트에 설치되고, 제3 지지부와 제4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 축박스; 제3 지지부에 설치된 제4 완충부품; 제4 지지부에 설치된 제5 완충부품; 제2 휠세트와 제2 축박스 사이에 설치된 제2 새들; 제4 완충부품에 설치된 제2 경사 쐐기 구조; 및 제5 완충부품에 설치된 제3 경사 쐐기 구조를 포함한다.
진일보로, 제3 경사 쐐기 구조는 제2 경사 쐐기 구조와 동일한 구조이고, 제3 경사 쐐기 구조와 제2 경사 쐐기 구조는 제2 축박스에 대칭되게 설치되어 있다.
진일보로, 축박스 서스펜션장치는 제2 새들과 제2 축박스 사이에 설치된 제6 완충부품을 더 포함하고, 제6 완충부품에 의하여 완충을 실현한다.
진일보로, 제1 경사 쐐기 구조는 제1 축박스의 제2 축박스에 가까운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진일보로, 축박스 서스펜션장치는 두개의 단부 휠세트모듈 및 두개의 단부 휠세트모듈 사이에 설치된 하나의 중간 휠세트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축박스 서스펜션장치를 포함하는 보기대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방안에 의하면, 제1 안내 프레임의 제1 위치결정 플레이트가 제1 축박스의 사이드 플레이트와 매칭되어 위치결정되므로, 위치결정의 세로 방향의 강성을 제공한다. 제1 경사 쐐기 구조의 하부가 제2 완충부품이고, 제2 완충부품은 제1 경사 쐐기 구조에 지지력을 제공하며, 제1 경사 쐐기 구조의 경사면에 의하여 분력이 생성되어, 제1 위치결정 플레이트와 제1 축박스의 사이드 플레이트 사이의 힘과 균형을 이루어 큰 세로 방향의 위치결정 강도를 제공한다. 이와 함께, 제3 완충부품의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의 위치결정 강도를 합리하게 설정함으로써 양호한 동역학 성능 효과를 실현하고, 동역학 성능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방안에 의하면 기존기술중의 축박스 서스펜션장치의 동역학 성능이 안정적이지 않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를 구성하는 도면은 본 발명을 진일보로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 및 그 설명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축박스 서스펜션장치의 구조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단부 휠세트모듈의 구조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중간 휠세트모듈의 구조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제1 축박스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제1 축박스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제3 완충부품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제3 완충부품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제3 완충부품의 좌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제1 새들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제1 새들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제1 새들의 좌측면도이다.
다만, 모순되지 않는 한 본 출원의 실시예 및 실시예중의 특징을 서로 조합할 수 있다. 아래 도면을 참조하고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있어서 축박스 서스펜션장치를 제공하는데, 이 축박스 서스펜션장치는 단부 휠세트모듈(10)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 휠세트모듈(10)은 제1 휠세트(11), 제1 축박스(12), 제1 완충부품(13), 제2 완충부품(14), 제1 새들(15), 제1 안내 프레임(16), 제1 경사 쐐기 구조(17), 제2 안내 프레임(110) 및 제3 완충부품(18)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축박스(12)는 제1 휠세트(11)에 설치되어 있고,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축박스(12)는 제1 지지부(121)와 제2 지지부(122)를 포함하며, 제1 완충부품(13)은 제1 지지부(121)에 설치되어 있고, 제2 완충부품(14)은 제2 지지부(122)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새들(15)은 제1 휠세트(11)와 제1 축박스(12)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도 9 내지 도 11에 제1 새들(15)의 구조를 도시하였다. 제1 안내 프레임(16)은 제1 완충부품(13)에 설치되어 있고, 제1 축박스(12)의 사이드 플레이트와 대향되게 설치된 제1 위치결정 플레이트(161)를 포함하며, 제1 위치결정 플레이트(161)에 의하여 제1 축박스(12)의 사이드 플레이트와 매칭되어 위치결정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중의 사이드 플레이트는 제1 지지부(121) 및 제2 지지부(122)에 모두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중의 제1 위치결정 플레이트(161)는 제1 안내 프레임(16)의 제1 축박스(12)에 가까운 일단에 설치되어 있고, 제1 축박스(12)의 사이드 플레이트와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으며, 작동 과정에 제1 위치결정 플레이트(161)와 제1 축박스(12)의 접촉을 통하여 매칭 및 위치결정된다. 제1 경사 쐐기 구조(17)의 밑면은 제2 완충부품(14)에 연결되고, 제2 안내 프레임(110)은 제1 경사 쐐기 구조(17)의 경사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3 완충부품(18)은 제1 새들(15)과 제1 축박스(12)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휠세트(11)에는 제1 베어링이 설치되어 있고, 제1 새들(15)은 제1 베어링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축박스 서스펜션장치에 의하면, 작동 과정에 제1 안내 프레임(16)의 제1 위치결정 플레이트(161)가 제1 축박스(12)의 사이드 플레이트와 접촉하여 매칭 및 위치결정됨으로써, 위치결정의 세로 방향의 강성을 제공한다. 제1 경사 쐐기 구조(17)의 하부가 제2 완충부품(14)이고, 제2 완충부품(14)이 제1 경사 쐐기 구조(17)에 지지력을 제공하며, 제1 경사 쐐기 구조(17)의 경사면에 의하여 분력이 생성되어 제1 위치결정 플레이트(161)와 제1 축박스(12)의 사이드 플레이트 사이의 힘과 균형을 이루어 큰 세로 방향의 위치결정 강도를 제공한다. 이와 함께, 제3 완충부품(18)의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의 위치결정 강도를 합리하게 설정함으로써, 제1 위치결정 플레이트(161)의 위치결정의 강도를 완화시키고 일정한 탄성적 위치결정을 제공하여 양호한 동역학 성능 효과를 실현하고, 차량의 동역학 성능을 지속적으로 안정하게 확보할 수 있다. 제3 완충부품(18)에 의하여 제1 축박스와 제1 새들(15)이 직접 접촉되어 마모가 발생하는 상황을 피할수 있고, 마모를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완충부품(13)을 스프링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제2 완충부품(14)을 스프링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제1 완충부품(13)과 제2 완충부품(14)을 모두 스프링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완충 작용을 더욱 잘 발휘하도록 제1 완충부품(13)과 제2 완충부품(14)을 모두 스프링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제3 완충부품(18)은 제1 완충 플레이트(181), 제2 완충 플레이트(182) 및 연결 부품(183)을 포함한다. 제2 완충 플레이트(182)는 제1 완충 플레이트(181)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고, 제1 완충 플레이트(181)와 제2 완충 플레이트(182) 사이에 완충 구간을 구비하며, 연결 부품(183)은 제1 완충 플레이트(181)와 제2 완충 플레이트(182)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 완충 플레이트(181) 또는 제2 완충 플레이트(182)가 가압될 때에 제1 완충 플레이트(181)와 제2 완충 플레이트(182) 사이의 완충 구간이 유호적으로 완충 작용을 발휘하여 양호한 동역학 성능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완충 플레이트(181), 제2 완충 플레이트(182) 및 연결 부품(183)의 구조, 사이즈 및 재료 등 파라미터를 합리하게 설정함으로써 대응하는 제3 완충부품(18)의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의 위치결정의 강도를 획득할 수 있고, 동역학 성능 효과를 진일보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동역학 성능 효과를 진일보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제1 완충 플레이트(181)는 제2 완충 플레이트(182)에 가까운 일측에 완충 오목면(1811)을 구비하고, 제2 완충 플레이트(182)는 제1 완충 플레이트(181)에 가까운 일측에 완충 볼록면(1821)을 구비하며, 완충 오목면(1811)과 완충 볼록면(1821)이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고, 완충 볼록면(1821)과 완충 오목면(1811) 사이의 간격이 완충 구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 완충 플레이트(181) 또는 제2 완충 플레이트(182)가 가압될 때에 완충 오목면(1811)과 완충 볼록면(1821)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게 되고 완충 구간이 변화하게 되어 완충 작용을 더욱 잘 발휘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동역학 성능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완충 플레이트(181)를 탄성재료로 제작할 수 있고, 또는 제2 완충 플레이트(182)를 탄성재료로 제작할 수 있으며, 또는 제1 완충 플레이트(181) 및 제2 완충 플레이트(182)를 모두 탄성재료로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완충 효과를 더욱 잘 발휘하도록 제1 완충 플레이트(181) 및 제2 완충 플레이트(182)를 모두 탄성재료로 제작한다. 구체적으로, 제1 완충 플레이트(181) 및 제2 완충 플레이트(182)는 모두 고무 패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3 완충부품(18)은 제1 위치결정부(184)를 더 포함하고, 제1 위치결정부(184)에 의하여 위치결정된다. 제1 위치결정부(184)를 제1 완충 플레이트(181)에 설치할 수 있고, 또는 제1 위치결정부(184)를 제2 완충 플레이트(182)에 설치할 수 있으며, 또는 제1 완충 플레이트(181) 및 제2 완충 플레이트(182)에 모두 제1 위치결정부(184)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완충 플레이트(181)의 제2 완충 플레이트(182)로부터 떨어진 일단에 제1 위치결정부(184)가 설치되어 있고, 제2 완충 플레이트(182)의 제1 완충 플레이트(181)로부터 떨어진 일단에도 제1 위치결정부(184)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1 위치결정부(184)에 의하여 각각 제1 축박스(12) 및 제1 새들(15)과 위치결정 되어 위치결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작동 과정에 제3 완충부품(18)의 위치가 이탈되어 완충 효과가 불량한 현상을 피할 수 있으며, 더욱 우수한 동역학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축박스(12)에 제2 위치결정부가 설치되어 있고, 제1 새들(15)에 제3 위치결정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2 위치결정부는 제1 위치결정부(184)와 매칭되어 위치결정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고, 제3 위치결정부는 제1 위치결정부(184)와 매칭되어 위치결정을 실현하기 위한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제3 완충부품(18)을 더욱 잘 위치결정 되도록 할 수 있고, 더욱 양호한 동역학 성능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부 휠세트모듈(10)은 제1 마모부품(191)을 더 포함하고, 제1 마모부품(191)은 제1 위치결정 플레이트(161)와 제1 축박스(12)의 사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1 마모부품(191)을 통하여 제1 위치결정 플레이트(161)의 마손을 감소시킨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마모부품(191)을 제1 위치결정 플레이트(161)에 설치할 수 있고, 제1 마모부품(191)은 비 금속 재료 또는 금속 재료로 제작될 수 있으며, 제1 마모부품(191)은 마모 플레이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단부 휠세트모듈(10)은 제2 마모부품(192)을 더 포함하고, 제2 마모부품(192)은 제1 경사 쐐기 구조(17)와 제1 축박스(12)의 사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2 마모부품(192)을 통하여 제1 경사 쐐기 구조(17)의 마손을 감소시킨다. 구체적으로, 제2 마모부품(192)은 제1 경사 쐐기 구조(17)의 사이드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있고, 제1 경사 쐐기 구조(17)의 사이드 플레이트는 제1 경사 쐐기 구조(17)의 밑면과 경사면 사이에 위치한다. 제2 마모부품(192)은 금속 재료 또는 비 금속 재료로 제작될 수 있고, 제2 마모부품(192)은 마모 플레이트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마모부품(192)은 가죽 등 비 금속 재료로 제작될 수 있고, 제2 마모부품(192)이 축박스의 사이드 플레이트와 접촉하여, 제2 마모부품(192)을 통하여 제1 축박스(12)와 제1 경사 쐐기 구조(17) 사이의 마찰을 줄이는 동시에 일정한 진동 감소 및 완충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축박스 서스펜션장치는 중간 휠세트모듈(20)을 더 포함한다. 중간 휠세트모듈(20)은 제2 휠세트(21), 제2 축박스(22), 제4 완충부품(23), 제5 완충부품(24), 제2 새들(25), 제2 경사 쐐기 구조(26) 및 제3 경사 쐐기 구조(27)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휠세트(21)는 제1 휠세트(11)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제2 축박스(22)는 제2 휠세트(21)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2 축박스(22)는 제3 지지부(221)와 제4 지지부(222)를 포함하고, 제4 완충부품(23)은 제3 지지부(221)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5 완충부품(24)은 제4 지지부(222)에 설치되어 있고, 제2 새들(25)은 제2 휠세트(21)와 제2 축박스(22)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2 경사 쐐기 구조(26)는 제4 완충부품(23)에 설치되어 있다. 제3 경사 쐐기 구조(27)는 제5 완충부품(24)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3 완충부품(18)과 제4 완충부품(23)은 모두 스프링이다. 제2 휠세트(21)에는 제2 베어링이 설치되어 있고, 제2 새들(25)은 제2 베어링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축박스(22)는 제1 축박스(12)와 동일한 구조일 수 있고, 제2 새들(25)은 제1 새들(15)과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제1 축박스(12) 및 제2 축박스(22)는 모두 대칭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중간 휠세트모듈(20)에 있어서, 제2 경사 쐐기 구조(26) 하부의 제4 완충부품(23)과 제3 경사 쐐기 구조(27) 하부의 제5 완충부품(24)이 가압될 때에 지지력을 생성하고, 이와 함께 제2 경사 쐐기 구조(26)의 경사면의 수평 분력과 제3 경사 쐐기 구조(27)의 경사면의 수평 분력이 서로 균형을 이루어 양호한 동역학 성능 효과를 실현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중의 제3 경사 쐐기 구조(27)와 제2 경사 쐐기 구조(26)는 동일한 구조이고, 제3 경사 쐐기 구조(27)와 제2 경사 쐐기 구조(26)는 대칭되게 제2 축박스(22)에 설치어 있다. 이러한 대칭 구조로 설치함으로써 동역학 성능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중간 휠세트모듈(20)은 제6 완충부품(28)을 더 포함하고, 제6 완충부품(28)은 제2 새들(25)과 제2 축박스(22)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6 완충부품(28)을 통하여 완충을 수행한다. 제6 완충부품(28)의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의 위치결정 강도를 합리하게 설정함으로써 양호한 동역학 성능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6 완충부품(28)을 설치함으로써 제2 축박스(22)가 제2 새들(25)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나아가서 제2 축박스(22)와 제2 새들(25) 사이의 마모를 피하여 장치 전체의 마모를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중의 제6 완충부품(28)은 제3 완충부품(18)과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마모를 진일보로 줄이기 위하여, 제2 경사 쐐기 구조(26)의 제2 축박스(22)에 가까운 일측에 제2 마모부품(192)이 설치되어 있고, 제2 마모부품(192)을 통하여 제2 경사 쐐기 구조(26)와 제2 축박스(22)의 사이드 플레이트 사이의 마모를 줄인다. 제3 경사 쐐기 구조(27)의 제2 축박스(22)에 가까운 일측에도 제2 마모부품(192)이 설치되어 있고, 제2 마모부품(192)을 통하여 제3 경사 쐐기 구조(27)와 제2 축박스(22) 사이의 마모를 줄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중간 휠세트모듈(20)은 제3 안내 프레임(291)과 제4 안내 프레임(292)을 더 포함하고, 제3 안내 프레임(291)은 제2 경사 쐐기 구조(26)의 위에 설치되어 있고, 제4 안내 프레임(292)은 제3 경사 쐐기 구조(27)의 위에 설치되어 있다. 제3 안내 프레임(291)의 경사면은 제2 경사 쐐기 구조(26)의 경사면과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고, 제4 안내 프레임(292)의 경사면은 제3 경사 쐐기 구조(27)의 경사면과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제3 안내 프레임(291)과 제2 경사 쐐기 구조(26)의 매칭 및 제4 안내 프레임(292)과 제3 경사 쐐기 구조(27)의 매칭을 통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위치결정이 될 수 있고, 양호한 동역학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경사 쐐기 구조(17)는 제1 축박스(12)의 제2 축박스(22)로부터 떨어진 일측에 설치될 수 있고, 또는 제1 축박스(12)의 제2 축박스(22)에 가까운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경사 쐐기 구조(17)는 제1 축박스(12)의 제2 축박스(22)에 가까운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동역학 성능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중의 축박스 서스펜션장치는 두개의 단부 휠세트모듈(10) 및 하나의 중간 휠세트모듈(20)을 포함하고, 중간 휠세트모듈(20)은 두개의 단부 휠세트모듈(10) 사이에 두개의 단부 휠세트모듈(10)과 모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중의 축박스 서스펜션장치에 의하면 양호한 동역학 성능의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있어서 보기대차를 제공하는데, 보기대차는 축박스 서스펜션장치와 프레임(30)을 포함하고, 여기서, 축박스 서스펜션장치는 실시예1에 따른 축박스 서스펜션장치이다. 본 실시예중의 프레임(30)은 제1 안내 프레임(16), 제2 안내 프레임(110), 제3 안내 프레임(291) 및 제4 안내 프레임(292)의 위에 설치된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는 하기와 같은 기술적 효과를 실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차량의 동역학 성능을 유효적으로 향상시켜 기술적 업그레이드를 실현할 수 있고, 차량의 동역학 성능의 지속적인 안정을 확보하여 안전성과 믿음성을 향상시키며, 제1 축박스(12)와 제1 새들(15) 사이의 무마모 및 제2 축박스(22)와 제2 새들(25) 사이의 무마모를 실현하여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하고, 제1 축박스(12)내에 제3 완충부품(18)을 설치하고 제2 축박스(22)내에 제6 완충부품(28)을 설치함으로써 단부 휠세트모듈(10) 및 중간 휠세트모듈(20)의 탄성적 위치결정을 실현하고 저동력의 기능을 구비하게 된다.
다만,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는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의 예시적 실시형태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앞뒤 문맥에서 명확하게 지적되지 않는 한,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식은 복수 형식도 포함하고, 그리고 명세서에서 “함유” 및/또는 “포함”을 사용하였을 경우 특징, 단계, 조작, 소자, 모듈 및/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함을 말한다.
별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 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부품 및 단계의 상대적 배치, 수치 표현 방식 및 수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이와 함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나타낸 각 부분의 크기는 실제 비율 관계에 따라 작성된 것이 아니다. 당업자가 공지한 기술, 방법, 기기에 대하여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았지만 적당한 경우에 이러한 기술, 방법, 기기를 명세서의 일부로 인정하여야 한다. 여기서 공개하고 설명한 모든 실예에 있어서, 모든 구체적인 값은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따라서 예시적 실시예의 기타 예시에서는 다른 값일 수도 있다. 여기서, 유사한 부호 및 자모는 도면에서 유사한 항목을 나타내므로 한 항목이 한 도면에서 정의되었으면 그 다음의 도면에서는 진일보로 설명하지 않는다.
본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 후, 상, 하, 좌, 우”, “가로, 세로, 수직, 수평”, “정상, 바닥” 등 방위사가 지시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통상 도면에 도시한 방위 또는 위치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고 간소화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방위사는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된 방위를 가지거나 또는 특정된 방위로 구성 및 조작되어야함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안된다. 방위사 “내, 외”는 각 부품 자체의 윤곽에 대한 내외를 말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공간의 상대적 용어, 예를 들면 “…위에 있다”, “…위측에 있다”, “…상면에 있다”, “상부의” 등은 도면에 나타낸 소자 또는 특징과 기타 소자 또는 특징과의 공간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공간의 상대적 용어는 소자의 도면에 도시된 방위외 사용 또는 조작과정의 다른 방위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한 소자가 반대로 설치되었으면 “기타 소자 또는 구조의 위측에 있다” 또는 “기타 소자 또는 구조의 위에 있다”라고 설명한 소자는 “기타 소자 또는 구조의 아래측에 있다” 또는 “기타 소자 또는 구조의 아래에 있다”로 위치 정해진다. 따라서 예시적 용어 “…위측에 있다”는 “…위측에 있다” 및 “…아래측에 있다”의 두가지 방위를 포함한다. 그 소자는 기타 방식으로 위치 정해질 수도 있고(90도 회전, 또는 기타 방위), 여기서의 공간의 상대적 설명에 대하여 해석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 용어로 부품을 한정하는 경우, 단지 부품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고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이러한 용어는 특별한 의미를 가지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안된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당업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에 대하여 여러가지 변경과 변화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과 원칙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진행한 모든 수정, 동등교체, 개선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10 : 단부 휠세트모듈
11 : 제1 휠세트
12 : 제1 축박스
121 : 제1 지지부
122 : 제2 지지부
13 : 제1 완충부품
14 : 제2 완충부품
15 : 제1 새들
16 : 제1 안내 프레임
161 : 제1 위치결정 플레이트
17 : 제1 경사 쐐기 구조
18 : 제3 완충부품
181 : 제1 완충 플레이트
1811 : 완충 오목면
182 : 제2 완충 플레이트
1821 : 완충 볼록면
183 : 연결 부품
184 : 제1 위치결정부
191 : 제1 마모부품
192 : 제2 마모부품
110 : 제2 안내 프레임
20 : 중간 휠세트모듈
21 : 제2 휠세트
22 : 제2 축박스
221 : 제3 지지부
222 : 제4 지지부
23 : 제4 완충부품
24 : 제5 완충부품
25 : 제2 새들
26 : 제2 경사 쐐기 구조
27 : 제3 경사 쐐기 구조
28 : 제6 완충부품
291 : 제3 안내 프레임
292 : 제4 안내 프레임
30 : 프레임.

Claims (13)

  1. 두 개의 단부 휠세트모듈(10)을 포함하고,
    상기 단부 휠세트모듈(10)은,
    제1 휠세트(11);
    제1 지지부(121)와 제2 지지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휠세트(11)에 설치된 제1 축박스(12);
    상기 제1 지지부(121)에 설치된 제1 완충부품(13);
    상기 제2 지지부(122)에 설치된 제2 완충부품(14);
    상기 제1 휠세트(11)와 상기 제1 축박스(12) 사이에 설치된 제1 새들(15);
    상기 제1 완충부품(13)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축박스(12)의 사이드 플레이트와 대향되게 설치된 제1 위치결정 플레이트(16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위치결정 플레이트(161)에 의하여 상기 제1 축박스(12)의 사이드 플레이트와 매칭되어 위치결정 되는 제1 안내 프레임(16);
    밑면이 상기 제2 완충부품(14)에 연결된 제1 경사 쐐기 구조(17);
    상기 제1 경사 쐐기 구조(17)의 경사면에 설치된 제2 안내 프레임(110); 및
    상기 제1 새들(15)과 상기 제1 축박스(12) 사이에 설치된 제3 완충부품(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3 완충부품(18)은,
    제1 완충 플레이트(181);
    상기 제1 완충 플레이트(181)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완충 플레이트(181)와의 사이에 완충 구간을 갖는 제2 완충 플레이트(182); 및
    상기 제1 완충 플레이트(181)와 상기 제2 완충 플레이트(182) 사이에 설치된 연결 부품(18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완충 플레이트(181) 및/또는 상기 제2 완충 플레이트(182)는 탄성재료에 의하여 제작되며,
    하나의 중간 휠세트모듈(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 휠세트모듈(20)은,
    상기 제1 휠세트(11)와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2 휠세트(21);
    상기 제2 휠세트(21)에 설치되어 있고, 제3 지지부(221)와 제4 지지부(222)를 포함하는 제2 축박스(22);
    상기 제3 지지부(221)에 설치된 제4 완충부품(23);
    상기 제4 지지부(222)에 설치된 제5 완충부품(24);
    상기 제2 휠세트(21)와 상기 제2 축박스(22) 사이에 설치된 제2 새들(25);
    상기 제4 완충부품(23)에 설치된 제2 경사 쐐기 구조(26); 및
    상기 제5 완충부품(24)에 설치된 제3 경사 쐐기 구조(27)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새들(25)과 상기 제2 축박스(22) 사이에 설치된 제6 완충부품(28)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6 완충부품(28)에 의하여 완충을 실현하며, 상기 제6 완충부품(28)은 상기 제3 완충부품(18)과 동일한 구조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박스 서스펜션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 플레이트(181)는 상기 제2 완충 플레이트(182)에 가까운 일측에 완충 오목면(1811)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완충 플레이트(182)는 상기 제1 완충 플레이트(181)에 가까운 일측에 완충 볼록면(1821)을 구비하며, 상기 완충 오목면(1811)과 상기 완충 볼록면(1821)은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완충 볼록면(1821)과 상기 완충 오목면(1811) 사이의 간격이 상기 완충 구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박스 서스펜션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완충부품(18)은,
    상기 제1 완충 플레이트(181) 및/또는 상기 제2 완충 플레이트(182)에 설치된 제1 위치결정부(18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결정부(184)에 의하여 위치결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박스 서스펜션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휠세트모듈(10)은,
    상기 제1 위치결정 플레이트(161)와 상기 제1 축박스(12)의 사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 제1 마모부품(19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마모부품(191)에 의하여 상기 제1 위치결정 플레이트(161)의 마손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박스 서스펜션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휠세트모듈(10)은,
    상기 제1 경사 쐐기 구조(17)와 상기 제1 축박스(12)의 사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 제2 마모부품(19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마모부품(192)에 의하여 상기 제1 경사 쐐기 구조(17)의 마손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박스 서스펜션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경사 쐐기 구조(27)는 상기 제2 경사 쐐기 구조(26)와 동일한 구조이고, 상기 제3 경사 쐐기 구조(27)와 상기 제2 경사 쐐기 구조(26)는 상기 제2 축박스(22)에 대칭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박스 서스펜션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 쐐기 구조(17)는 상기 제1 축박스(12)의 상기 제2 축박스(22)에 가까운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박스 서스펜션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두개의 상기 단부 휠세트모듈(10) 및 두개의 상기 단부 휠세트모듈(10) 사이에 설치된 하나의 상기 중간 휠세트모듈(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박스 서스펜션장치.
  9. 제1 항 내지 제8 항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축박스 서스펜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기대차.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207031498A 2019-03-25 2019-07-31 축박스 서스펜션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기대차 KR1024686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228677.3A CN109910939A (zh) 2019-03-25 2019-03-25 轴箱悬挂装置及具有其的转向架
CN201910228677.3 2019-03-25
PCT/CN2019/098689 WO2020191979A1 (zh) 2019-03-25 2019-07-31 轴箱悬挂装置及具有其的转向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373A KR20200138373A (ko) 2020-12-09
KR102468623B1 true KR102468623B1 (ko) 2022-11-17

Family

ID=66966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1498A KR102468623B1 (ko) 2019-03-25 2019-07-31 축박스 서스펜션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기대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468623B1 (ko)
CN (1) CN109910939A (ko)
BR (1) BR112020021815A2 (ko)
WO (1) WO20201919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10939A (zh) * 2019-03-25 2019-06-21 中车齐齐哈尔车辆有限公司 轴箱悬挂装置及具有其的转向架
FR3114292A1 (fr) * 2020-09-23 2022-03-25 Alstom Transport Technologies Bogie de véhicule ferroviaire, véhicule et procédé d’installation d’essieu associés
CN112937625B (zh) * 2021-01-08 2023-06-16 江苏纽尔轨道车辆科技有限公司 一种铁路货车及其转向架
CN112918502A (zh) * 2021-03-29 2021-06-08 中车齐齐哈尔车辆有限公司 轴箱悬挂装置、转向架及铁路货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0992208Y (zh) 2006-12-21 2007-12-19 齐齐哈尔轨道交通装备有限责任公司 铁路货车多轴转向架
CN206086746U (zh) 2016-09-30 2017-04-12 中车齐齐哈尔车辆有限公司 一种铁路货车转向架及其减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7768A (en) * 1973-03-05 1974-08-06 Hennessy Products Axle journal stop device
SU1585194A1 (ru) * 1988-07-27 1990-08-15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Вагоностро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сочленени боковой рамы тележки с буксами колесных пар
DE10023039A1 (de) * 2000-05-11 2001-11-15 Daimler Chrysler Ag Fahrwerk eines Schienenfahrzeuges mit radial einstellbaren Radsätzen
GB0708257D0 (en) * 2007-04-28 2007-06-06 Sct Europ Ltd Suspension for a rail vehicle
CN201165233Y (zh) * 2007-12-27 2008-12-17 齐齐哈尔轨道交通装备有限责任公司 铁路货车转向架轴箱减振装置及其转向架、铁路货车
CN201347086Y (zh) * 2008-12-31 2009-11-18 南车二七车辆有限公司 一种低动力作用大轴重转向架
CN201457395U (zh) * 2009-07-08 2010-05-12 哈尔滨轨道交通装备有限责任公司 三轴转向架
CN201573664U (zh) * 2009-11-27 2010-09-08 齐齐哈尔轨道交通装备有限责任公司 铁路货车三轴转向架及铁路货车
CN103481901A (zh) * 2013-09-29 2014-01-01 齐齐哈尔轨道交通装备有限责任公司 转向架
CN204641773U (zh) * 2015-04-09 2015-09-16 齐齐哈尔轨道交通装备有限责任公司 起重机减震装置和起重机转向架
CN111016949B (zh) * 2015-05-13 2021-09-03 内维斯工业有限责任公司 轨道车转向架滚柱轴承适配器垫系统
CN209795495U (zh) * 2019-03-25 2019-12-17 中车齐齐哈尔车辆有限公司 轴箱悬挂装置及具有其的转向架
CN109910939A (zh) * 2019-03-25 2019-06-21 中车齐齐哈尔车辆有限公司 轴箱悬挂装置及具有其的转向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0992208Y (zh) 2006-12-21 2007-12-19 齐齐哈尔轨道交通装备有限责任公司 铁路货车多轴转向架
CN206086746U (zh) 2016-09-30 2017-04-12 中车齐齐哈尔车辆有限公司 一种铁路货车转向架及其减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0021815A2 (pt) 2021-02-23
KR20200138373A (ko) 2020-12-09
WO2020191979A1 (zh) 2020-10-01
CN109910939A (zh) 2019-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8623B1 (ko) 축박스 서스펜션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기대차
EP3306129B1 (en) Plate spring unit and railroad vehicle bogie
CN102556097A (zh) 中央悬挂装置及具有该装置的高速货车转向架
CN112519820B (zh) 一种轨道车辆的转向架系统及轨道车辆
RU2602912C1 (ru) Тележк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оварного вагона с фрикционным демпфированием
KR20010049324A (ko) 고-워프 마찰 모멘트와 저-완충력을 위해 최적화된 완충시스템 및 그 설계 방법
CN209683707U (zh) 一种快捷货车轴箱内置式轻量化转向架
CN107244332B (zh) 铁路货车转向架
CN109515465A (zh) 一种高速铁路货车轴箱内置式转向架
CN103661463A (zh) 一种高速铁路货车转向架
CN102514584A (zh) 一种窄轨距铁路车辆转向架
CN101934740A (zh) 一种高速磁悬浮车辆用悬浮架装置
CN102050135B (zh) 新型焊接构架式转向架
CN212685551U (zh) 一种轻轨车辆转向架和轻轨车辆
CN203593001U (zh) 一种高速铁路货车转向架
CN102490745A (zh) 高速铁路货车转向架二系悬挂装置
RU93764U1 (ru) Трехэлементная тележка грузовых вагонов
CN203126873U (zh) 一种铁路货车转向架及其橡胶垫
CN202378894U (zh) 一种窄轨距铁路车辆转向架
CN100410120C (zh) 铁路货车宽轨铸钢转向架
CN213768551U (zh) 一种三轴转向架
CN213862215U (zh) 转向架
CN102658824A (zh) 快速铁路货车转向架的摇枕
RU2292281C1 (ru) Фрикционный гаситель колебаний тележки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вагона
RU2288123C1 (ru) Боковая опора кузова вагона на тележк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