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509B1 - 휴믹물질을 포함하는 제설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휴믹물질을 포함하는 제설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509B1
KR102467509B1 KR1020210124868A KR20210124868A KR102467509B1 KR 102467509 B1 KR102467509 B1 KR 102467509B1 KR 1020210124868 A KR1020210124868 A KR 1020210124868A KR 20210124868 A KR20210124868 A KR 20210124868A KR 102467509 B1 KR102467509 B1 KR 102467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c
chloride
gluconate
eco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4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트레이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트레이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트레이딩
Priority to KR1020210124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5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8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for application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ice, mist or water thereto; Thawing or antifreeze materials for application to surfaces
    • C09K3/185Thawing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산을 함유한 친환경 제설제에 관한 것으로 유기산으로서 휴믹물질을 사용하여 휴믹물질의 음이온성 관능기가 상기 염화물 및 글루콘산염과 킬레이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제설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자원인 휴믹물질을 사용하여 생산 원가를 줄일 뿐 아니라 부식방지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토양 오염, 차량 부식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적인 제설제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제설제 조성물은 액상형 제설제와 고상형 제설제, 두 가지 제형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가공공정 없이 고상의 제설제에 물만 혼합하여 액상형 제설제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믹물질을 포함하는 제설제 조성물 {ECO-FRIENDLY DEICER COMPOSITION USING HUMUS SUBSTANCES}
본 발명은 유기산을 함유한 친환경 제설제에 관한 것이다.
겨울철 길이나 도로에 쌓인 눈을 제거하기 위해 뿌려지는 염화칼슘(CaCl2)은 칼슘 이온 1개와 염화이온 2개의 비율로 구성된 화학물질로서, 상온에서 고체이고 물에 잘 녹으며 하얀색을 띤다. 염화칼슘은 낮은 온도에서도 물에 잘 녹을 뿐만 아니라,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잘 흡수하기 때문에 밀폐된 공간의 수분 제거 또는 순수한 기체에 포함된 수분 제거에도 염화칼슘을 이용한다.
염화칼슘은 제설에 필요한 노동력의 부족 혹은 도로 여건상 물리력으로 눈을 치우는 것이 쉽지 않을 때 필요한 양만큼 제한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현실에서는 작업의 시급성 등으로 인해 필요한 것보다 많은 양을 도포하는데, 이것은 도로, 자동차, 철제 구조물 등을 부식시킬 뿐 아니라 가로수 주변의 토양을 염류화시켜 서 가로수를 고사시키고 토양 및 수질 나아가 대기까지도 오염시킨다. 염화칼슘은 토양을 알칼리화시키고 염화이온과 칼슘이온으로 분리된 후 식물의 뿌리로 흡수되어 이온 농도를 증가시키며, 그 복합작용으로 인해 식물의 황하현상, 조기 낙엽현상, 광합성 기능저해뿐만 아니라 괴사현상을 유발하게 된다. 길에 뿌려진 염화칼슘은 염화이온이 철 및 강철의 부식을 촉진하기 때문에 특히 추운지방에서 운행되는 자동차들의 차체 부식을 더 빨리 진행시키게 된다. 또한, 기온이 많이 내려가서 물과 함께 얼어버리면 미끄러운 얼음층이 되어 자동차 및 사람들 통행에 방해가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염화칼슘을 주요 성분으로 하는 제설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친환경 제설제를 개발하려는 노력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6574호에서는 금속부식성이 낮고 환경친화적인 고상 제설제가 개시되어있는데, 이 제설제는 전체 100중량부에 대해, 염화나트륨 46~56중량부, 염화칼슘 15~25중량부, 인산나트륨 4~6중량부, 요소 6~10중량부, 초산나트륨 5~7중량부, 초산칼슘4~6중량부, 초산칼륨 4~6중량부를 함유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5138호에서는 금속 부식성이 낮고 일정크기의 과립으로 성형된 친환경 고상
제설제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 제설제는 염화칼슘 40.5~56중량%, 염화나트륨 36~51중량%, 구연산나트륨 3.1~7.5 중량%, 제2인산칼슘 0.1~0.9중량%, 초산나트륨 0.2~2.5중량% 및 요소 0.2~2.0중량%를 포함하며, 지름 2~5mm의 과립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구연산이나 초산 같은 유기산을 함유하는 경우 염화칼슘에 비하여 만족할 만한 제설 효과를 가지지 못하며 생산원가가 급격히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폐자원을 재활용하여 생산 원가를 줄일 뿐 아니라 부식방지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기존 염화칼슘 제설제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인 토양 오염, 차량 부식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적인 제설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상형 제설제와 고상형 제설제, 두 가지 제형이 가능하여 별도의 가공공정 없이 고상의 제설제에 물만 혼합하여 액상형 제설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염화물, 글루콘산염 및 유기산을 포함하는 제설제 조성물로서, 상기 유기산은 휴믹물질이고 상기 휴믹물질의 음이온성 관능기가 상기 염화물 및 글루콘산염과 킬레이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제설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휴믹물질은 휴민(Humin), 휴믹산(Humic Acid; HA), 풀빅산(Fulvic Acid; FA)을 포함하고 pH 2 ~ 7.5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휴믹물질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1 중량부이고, 전체 휴믹물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휴민(Humin) 40 내지 60 중량부, 휴믹산(Humic Acid; HA) 20 내지 40 중량부, 풀빅산(Fulvic Acid; FA) 20 내지 4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염화물, 글루콘산염 및 유기산을 포함하는 제설제 조성물의 제조방법로서, 염화물 및 글루콘산염을 혼합하여 교반하는 제1 혼합단계; 혼합물에 pH 2 ~ 7.5의 유기산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제2 혼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산은 휴믹물질이고 상기 휴믹물질의 음이온성 관능기가 상기 염화물 및 글루콘산염과 킬레이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제설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자원인 휴믹물질을 사용하여 생산 원가를 줄일 뿐 아니라 부식방지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토양 오염, 차량 부식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적인 제설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설제 조성물은 액상형 제설제와 고상형 제설제, 두 가지 제형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가공공정 없이 고상의 제설제에 물만 혼합하여 액상형 제설제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제 조성물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설명은 본 발명의 구현예들을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보호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염화물, 글루콘산염 및 유기산을 포함하는 제설제 조성물로서 상기 유기산은 휴믹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믹물질은 토양에 들어간 유기물이 긴 세월동안에 분해, 축합, 중합되고 산화되어 이중결합이 증가하고 축합고리가 형성된 거대 고분자호학물로서 갈색-흑색의 유기교질 상태의 유기물로서 그 성분이 매우 복잡한 혼합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휴믹물질의 음이온성 관능기가 염화물 및 글루콘산염과 킬레이트를 형성하는데, 구체적으로 휴믹물질의 음이온성 관능기가 염화물 및 글루콘산염의 음이온과 리간드 교환, 특히 환경오염, 차량 및 도로 부식에 원인이 되는 염화 이온과 리간드 교환을 하고 또한 휴믹물질 내 공간에 염화 이온을 물리적으로 흡착하여 염화 이온의 외부 반응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휴믹물질은 휴민(Humin), 휴믹산(Humic Acid; HA), 풀빅산(Fulvic Acid; FA)으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에서 염화물 및 글루콘산염과의 반응에 이용되는 것은 주로 휴믹산과 풀빅산이다. 본 발명은 휴믹물질의 pH가 휴믹물질 내 휴믹산과 풀빅산의 함량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혀내었고 그 결과 휴먼물질의 pH가 낮을수록 휴믹물질 내 휴믹산의 함량이 낮고 휴먼물질의 pH가 높을수록 휴믹물질 내 풀빅산의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휴믹물질은 pH 2 ~ 7.5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휴믹물질이 pH 2 미만인 경우 휴믹산의 함량이 낮을 뿐 아니라 액상 상태에서 휴믹산이 용해되지 않고 침전물을 형성하므로 액상형 제설제로서 바람직하지 않으며, 반면 휴믹물질이 pH 7.5 초과인 경우 제설제가 도포된 지면, 특히 토양인 경우 토양의 알칼리화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휴믹물질은 피트모스, 미생물, 음식물 쓰레기, 토양 등에서 얻을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휴믹물질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염화물 및 글루콘산염과 킬레이트를 형성하기 위한 관능기가 부족하고, 상기 1 중량부 초과인 경우 오히려 염화물 및 글루콘산염과의 과반응을 초래하여 염화물 및 글루콘산염의 조해 작용이 감소하고 제설 효과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휴믹물질은 전체 휴믹물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휴민(Humin) 40 내지 60 중량부, 휴믹산(Humic Acid; HA) 20 내지 40 중량부, 풀빅산(Fulvic Acid; FA) 20 내지 4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염화물 및 글루콘산염과의 반응에 이용되는 것은 주로 휴믹산과 풀빅산이다. 본 발명에서 휴믹물질 내 휴믹산과 풀빅산의 함량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 각 함량비는 휴믹물질의 유래 출처, 가공과정 등에 따라 달라지며 휴민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일 예로 휴민의 함량비가 60 중량부 초과이면 상대적으로 휴믹산 및 풀빅산의 농도가 낮아 염화물 및 글루콘산염과 킬레이트를 형성하기 위한 관능기가 부족하고, 반대로 휴민의 함량비가 40 중량부 미만이면 상대적으로 휴믹산 및 풀빅산의 농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염화물 및 글루콘산염과의 과반응을 초래하여 염화물 및 글루콘산염의 조해 작용이 감소하고 제설 효과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염화물로서 염화칼슘(CaCl2), 염화나트륨(NaCl) 및 염화마그네슘(MgCl2)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글루콘산염은 글루콘산나트륨(C6H11NaO7), 글루콘산칼륨(C6H11KO7), 글루콘산칼슘(C12H22CaO14)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친환경 제설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패각분말 0.5 ~ 1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각분말은 조개, 굴, 꼬막 등의 패각류 껍데기를 분말화한 것으로 주성분은 탄산칼슘(CaCO 3)이고 그 외 인산칼슘[Ca3(PO4)2]이나 탄산마그네슘(MgCO 3) 등이 소량 함유되어 있으며, 함량 비는 종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탄산칼슘이 89∼99% 포함된다. 패각분말은 융설 효과를 가지면서도 토양의 산소(수소이온 농도)를 교정하여 토양을 개량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패각분말은 본 발명의 염화물 일부를 대체하여 친환경성을 제공하고 자원 재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패각분말이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중량부 미만이면 휴믹물질과 부반응이 일어나 원하는 효과를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반면 상기 패각분말이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초과이면 염화물 대비 조해성이 낮으므로 우수한 융빙성능을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은 염화물, 글루콘산염 및 유기산을 포함하는 제설제 조성물의 제조방법로서, 염화물 및 글루콘산염을 혼합하여 교반하는 제1 혼합단계; 혼합물에 pH 2 ~ 7.5의 유기산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제2 혼합단계를 포함한다. 도 1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설제 조성물은 먼저 염화물 및 글루콘산염을 혼합하는 제1 혼합단계(S01) 및 상기 혼합물에 휴믹물질을 투입하여 혼합하는 제2 혼합단계(S02)를 포함한다. 염화물 및 글루콘산염 대비 휴믹물질의 함량이 소량이기 때문에 휴믹물질은 마지막에 투입하여 조성물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한다.
제설제의 제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의 제설제들을 비교하기 위하여 조성비를 달리하여 고상의 제설제를 제조하였고 각 조성은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염화물로서 염화칼슘(CaCl2)을 사용하였고 글루콘산염은 글루콘산나트륨(C6H11NaO7)을 사용하였다. 염화칼슘(CaCl2)과 글루콘산나트륨(C6H11NaO7)을 교반기에 투입하여 혼합한 후 토양미생물로부터 추출한 휴믹물질을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중량% 염화칼슘
(CaCl2)
글루콘산나트륨
(C6H11NaO7)
휴믹물질 초산 부식방지제 패각분말
휴민 휴믹산 풀빅산
실시예1 32.9 67 0.04 0.03 0.03 - - -
실시예2 32.5 67 0.2 0.15 0.15 - - -
실시예3 32 67 0.4 0.3 0.3 - - -
실시예4 31 67 0.4 0.3 0.3 - - 1
실시예5 31 67 pH 4의 휴믹물질 1% - - -
비교예1 33 67 - - - - - -
비교예2 32 67 - - - 1 - -
비교예3 32 67 - - - - 1 -
비교예4 31.8 67 0.48 0.36 0.36 - - -
비교예5 31 67 0.8 0.6 0.6 - - -
비교예6 32 67 0.7 0.15 0.15 - - -
비교예7 32 67 0.3 0.35 0.35 - - -
비교예8 31 67 pH 1.2의 휴믹물질 1% - - -
실험예
1. 융빙성능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설제 조성물에 대한 융빙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EM502-3:2014 시험방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융빙량 측정 시험으로부터 시간에 따라 융빙제에 의해 녹는 얼음의 양을 구할 수 있다. 시험판은 규격의 글라스 두 개를 이용하여 만든 것으로 시험용 얼음이 제빙되는 용기 부분이 직경 230 mm X 깊이 10 mm 의 구멍을 뚫은 후 나머지 한 판과 서로 접착하였다. 시험에 사용할 융빙제를 10 g을 정량하여 시료병에 넣은 후 시험 온도와 평형이 되도록 시험 1~2 시간 전에 항온실에 놓아두었다. 시험용 얼음은 두께 5 mm를 기준으로 하고, 시험용 융빙제 살포 후 10분이 경과하면 즉시 시험용 접시를 기울여 융빙 용액을 주사기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융빙 용액이 더 이상 흡입되지 않을 때까지 수집하되 1.5분(90초)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얼음이 녹은 양을 측정한 후 용융액을 다시 얼음표면에 부어 시간 경과에 따른 각 융빙제의 누적된 용융량을 측정하였다. 융빙량 측정 시간 간격은 10, 30, 60분이며 시험 온도는 -5℃, -12℃로 하였다.
구분 영하 3도 영하 12도
15분 경과 30분 경과 60분 경과 15분 경과 30분 경과 60분 경과
실시예1 98 106 114 96 102 108
실시예2 100 102 106 98 99 104
실시예3 96 100 107 88 100 104
실시예4 90 94 100 85 88 94
비교예1 100 112 118 100 106 114
비교예2 78 86 102 66 70 72
비교예3 98 108 112 97 98 109
비교예4 92 98 110 90 96 98
비교예5 87 101 104 84 88 92
비교예6 98 100 102 92 94 94
비교예7 95 98 106 90 92 96
상기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제설제는 염화칼슘과 글루콘산나트륨 만으로 구성된 비교예 1과 거의 동등한 융빙성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일반 유기산인 초산을 함유한 비교예 2와 비교하여 살펴보면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물 불용분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설제 조성물에 대한 물 불용분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KS M 1812 산업용 염화칼슘 7.6의 물 불용분 시험방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뚜껑이 있는 병에 각각의 시료 25g을 계량하고 물 200mL로 용해시시켰다. 완전히 용해될때까지 저어주고 시간 정도 방치하였다. 유리병에 거름종이를 얹은 후 시험 용액을 붓고, 거름 종이에서 용액이 완전히 내려간 다음 거름종이에 남아있는 침전물을 100 ℃로 조절된 건조기에 넣고 약 1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데시케이터에서 식힌 후 무게를 0.1mg까지 달아 물 불용분량을 구하였다.
구분 물 불용분 (단위%)
실시예1 0.7
실시예2 0.76
실시예3 0.88
실시예4 0.9
비교예1 0.62
비교예2 0.96
비교예3 1.01
비교예4 0.8
비교예5 1.14
비교예6 1.02
비교예7 0.56
상기 표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제설제는 환경부에서 고시한 물 불용분 1.0% 이하를 만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염화칼슘과 글루콘산나트륨 만으로 구성된 비교예 1과 거의 동등한 물 불용분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일반 유기산인 초산을 함유한 비교예 2와 비교하여 살펴보면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강제부식성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설제 조성물에 대한 금속 부식도를 측정하기 위한 강제부식성 실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내었다. 환경부 시험기준 EM502-1;2014 시험방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비이커(2,000mL)에 KS D 3512에 따른 광택 마무리된 표준 조질의 일반용 강판(SPCC/S/B)을 두께 1 mm, 너비 70 mm, 길이 150 mm 크기의 시편으로 실험용 셀을 구성하였다. 철 시편의 무게 감량 측정을 위하여 0.001g의 정밀도의 저울을 사용하였다. 제설제 용액의 농도는 3.0 wt% 로 하였으며, 시험에 사용된 모든 용액은 탈이온수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시험장치를 이용하여 시험편을 시험 용액에 10분간 완전히 담근 후, 시험용 용기 밖으로 꺼내어 50분간 방치하였다. 이 조작을 168시간(7일), 336시간(14일) 동안 반복하였다.
침지 및 건조 시험이 끝난 시험편을 KS M 8403에 따른 시트르산수소이암모늄 20% 수용액에 넣어 70℃에서 30분간 담가 부식 생성물을 제거하였다. 부식 생성물 제거가 완료된 시험편은 탈이온수로 세척하고 종이 타월로 깨끗이 닦아낸 후 80℃ 이상의 건조기 내에서 충분히 건조 시킨 이후 0.01 g이하까지 질량을 측정하였고 이를 시험편의 부식 생성물 제거 후 질량으로 하였다. 시험편의 질량 감량은 초기 질량(mg)에서 부식 생성물 제거 후 질량(mg)을 뺀 값을 시험편의 표면적(cm2)으로 나눈 값으로 산출하였다. 시험결과는 제설제와 기준물질에 대한 시험편의 질량 감량 평균을 기준으로 한 시험편의 상대 부식성으로 하였다.
구분 1주 (단위%) 2주 (단위%)
실시예1 18 24
실시예2 16.5 22
실시예3 14 16
실시예4 13 17
비교예1 40 48
비교예2 16 28
비교예3 12 18
비교예4 13 18
비교예5 12 16
비교예6 28 32
비교예7 26 30
상기 표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제설제는 염화칼슘과 글루콘산나트륨 만으로 구성된 비교예1과 비교하여 살펴보면 월등히 우수한 부식방지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부식방지제를 함유한 비교예 3과 거의 동등한 부식 방지 효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 액상형 제설제의 제조
휴믹물질의 pH에 따른 액상형 제설제의 제조 가부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예 5 및 비교예 8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액상형 제설제를 제조하여 육안 관찰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아래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및 비교예 8의 조성물과 물을 1 대 9의 비로 혼합하여 교반하고 5분 후 경과를 살펴보았다.
구분 실시예 5 비교예 8
5분 경과 균일한 갈색 침전물 형성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제설제 조성물은 균일한 갈색을 나타내는 반면 비교예 8을 이용한 제설제는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비교예 8에서 나타난 침전물은 휴믹산이 용해되지 않고 침전된 것으로 추측된다. 이로써 휴믹물질의 pH가 제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8)

  1. 염화물, 글루콘산염 및 유기산을 포함하는 제설제 조성물로서,
    상기 유기산은 휴믹물질이고 상기 휴믹물질의 음이온성 관능기가 상기 염화물 및 글루콘산염과 킬레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휴믹물질은 휴민(Humin), 휴믹산(Humic Acid; HA), 풀빅산(Fulvic Acid; FA)을 포함하고 pH 2 ~ 7.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제설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물은 염화칼슘(CaCl2), 염화나트륨(NaCl) 및 염화마그네슘(MgCl2)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제설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글루콘산염은 글루콘산나트륨(C6H11NaO7), 글루콘산칼륨(C6H11KO7), 글루콘산칼슘(C12H22CaO14)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제설제 조성물.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믹물질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1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제설제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믹물질은 전체 휴믹물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휴민(Humin) 40 내지 60 중량부, 휴믹산(Humic Acid; HA) 20 내지 40 중량부, 풀빅산(Fulvic Acid; FA) 20 내지 4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제설제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패각분말 0.5 ~ 1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제설제 조성물.
  8. 염화물, 글루콘산염 및 유기산을 포함하는 제설제 조성물의 제조방법로서,
    염화물 및 글루콘산염을 혼합하여 교반하는 제1 혼합단계;
    혼합물에 pH 2 ~ 7.5의 유기산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제2 혼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산은 휴믹물질이고 상기 휴믹물질의 음이온성 관능기가 상기 염화물 및 글루콘산염과 킬레이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제설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10124868A 2021-09-17 2021-09-17 휴믹물질을 포함하는 제설제 조성물 KR102467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868A KR102467509B1 (ko) 2021-09-17 2021-09-17 휴믹물질을 포함하는 제설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868A KR102467509B1 (ko) 2021-09-17 2021-09-17 휴믹물질을 포함하는 제설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509B1 true KR102467509B1 (ko) 2022-11-16

Family

ID=84235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4868A KR102467509B1 (ko) 2021-09-17 2021-09-17 휴믹물질을 포함하는 제설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50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7483A (ja) * 1986-05-26 1987-12-02 Miyagi Pref Gov 貝殻を原料とした融雪剤の製造法
JPH02124992A (ja) * 1988-11-04 1990-05-14 Tokai Carbon Co Ltd 土壌改良融雪剤
KR101316286B1 (ko) * 2013-03-25 2013-10-18 (주)즐거운미래 친환경 고상 제설제의 제조방법 및 그 친환경 고상 제설제
KR101513284B1 (ko) * 2013-11-19 2015-04-17 주식회사 삼광 친환경 액상 제설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54623A (ko) * 2017-11-14 2019-05-22 주식회사 스타스테크 불가사리 유래 다공성 구조체를 포함하는 친환경 제설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9971425A (zh) * 2017-12-28 2019-07-05 营口富里泥炭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融雪剂及制备方法
CN111748319A (zh) * 2020-08-06 2020-10-09 杨毅男 融雪剂
KR102224238B1 (ko) * 2020-08-13 2021-03-05 정영환 유기산계 고상 제설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7483A (ja) * 1986-05-26 1987-12-02 Miyagi Pref Gov 貝殻を原料とした融雪剤の製造法
JPH02124992A (ja) * 1988-11-04 1990-05-14 Tokai Carbon Co Ltd 土壌改良融雪剤
KR101316286B1 (ko) * 2013-03-25 2013-10-18 (주)즐거운미래 친환경 고상 제설제의 제조방법 및 그 친환경 고상 제설제
KR101513284B1 (ko) * 2013-11-19 2015-04-17 주식회사 삼광 친환경 액상 제설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54623A (ko) * 2017-11-14 2019-05-22 주식회사 스타스테크 불가사리 유래 다공성 구조체를 포함하는 친환경 제설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9971425A (zh) * 2017-12-28 2019-07-05 营口富里泥炭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融雪剂及制备方法
CN111748319A (zh) * 2020-08-06 2020-10-09 杨毅男 融雪剂
KR102224238B1 (ko) * 2020-08-13 2021-03-05 정영환 유기산계 고상 제설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3171B1 (ko) 불가사리 유래 다공성 구조체를 포함하는 친환경 제설제 조성물
CA2431235C (en) Deicing solution
KR102536897B1 (ko) 친환경 제설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36898B1 (ko) 친환경 습염식 제설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4495B1 (ko) 혼합과립형 친환경 제설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14676B1 (ko) 친환경 고상 제설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16286B1 (ko) 친환경 고상 제설제의 제조방법 및 그 친환경 고상 제설제
KR20190054623A (ko) 불가사리 유래 다공성 구조체를 포함하는 친환경 제설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588653B1 (ko) 먼지를 저감시키는 친환경 액상 조성물, 먼지를 저감시키는 친환경 액상 제설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3728A (ko) 제설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25123B1 (ko) 패각류를 포함하는 친환경 제설제 첨가용 조성물
KR102467509B1 (ko) 휴믹물질을 포함하는 제설제 조성물
US6821453B2 (en) Environmentally safe and low corrosive de-icer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2517358B1 (ko) 패각류를 포함하는 친환경 제설제 조성물
US5851418A (en) Particulate low corrosion ice melters
KR102217389B1 (ko) 친환경 제설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129062B1 (ko) 먼지 저감 친환경 고상 제설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3774571B2 (ja) 凍結防止剤
KR102608358B1 (ko) 저부식성 입상 제설제
KR102608362B1 (ko) 친환경 입상 제설제
WO2015092600A1 (en) Snow and ice melting composition
KR102448622B1 (ko) 차량 부식 방지를 위한 친환경 도로 제설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10950B1 (ko) 친환경 고상 제설제 조성물
KR102398024B1 (ko) 친환경 제설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37939A (ko) 수용성 규산혼합물이 함유된 고상형 천연 제설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